KR20200092689A -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689A
KR20200092689A KR1020190009894A KR20190009894A KR20200092689A KR 20200092689 A KR20200092689 A KR 20200092689A KR 1020190009894 A KR1020190009894 A KR 1020190009894A KR 20190009894 A KR20190009894 A KR 20190009894A KR 20200092689 A KR20200092689 A KR 20200092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blocking film
guide plate
prism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180B1 (ko
Inventor
한희옥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filed Critical (주)에이치앤에이치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1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차단필름은, 조명 중 420 내지 450nm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와,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시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파장을 프리즘 효과를 통해 분산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면서 프리즘효과를 통해 색을 보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BLOCKING BLUE LIGHT FILM CORRECTING COLOR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FILM}
본 발명은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도광판의 측면에 배열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블루라이트(blue light)라 함은 가시광선 중에서 380nm ~ 500nm의 푸른빛을 말하는 것으로, 파장이 짧고 높은 에너지를 갖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블루라이트는 근래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모니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을 통해서도 발산되고 있고, led 조명장치과 같은 조명기기를 통해서도 발산되고 있다.
블루라이트는 다른 빛보다 에너지가 강하기 때문에 눈동자를 움츠러들게 하고 눈의 근육을 혹사시켜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이로인해 긴장감을 유발하여 어깨와 목 등을 뭉치게 만든다. 또한 강한 파장과 에너지로 눈의 안쪽까지 도달하여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망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블루라이트는 수면 건강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우리의 몸은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양을 통해 낮과 밤을 구분해 자야할 시간을 알려준다. 그러나 다양한 디지털 기기와 LED 조명의 영향으로 블루라이트에 계속해서 노출되면서 잠을 유도하는 호르몬(멜라토닌) 분비가 억제되어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게 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5498호(2014년 05월 14일 공고)는 블루라이트 차단 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에 부착되어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을 보호하고 이면에 접합층이 구비되는 글라스층과; 상기 글라스층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제1 접착층이 상기 글라스층의 표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층의 표면에 접착되고 접착된 글라스층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제1이형층과; 상기 글라스층의 이면에 구비되는 접합층에 접합되고 전자기기의 액정 화면으로부터 발산되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는 블루라이트차단층과; 상기 블루라이트차단층의 이면에 접착되도록 제2접착층이 상기 블루라이트차단층 이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블루라이트차단층의 이면에 접착되고 접착된 블루라이트차단층의 이면으로부터 떨어지는 제2이형층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블루라이트차단층이 글라스층 전체 면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이 증가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면서 프리즘효과를 통해 색을 보정할 수 있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투광판의 측면에 차단필름을 배치시켜 필름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블루라이트를 제거할 수 있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명부와 연결된 전선의 배선을 연결부 내부의 몸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배선정리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명에 의해 유입되는 벌레들이 프레임을 따라 내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시켜 고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차단필름은, 조명 중 420 내지 450nm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와,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시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파장을 프리즘 효과를 통해 분산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리즘시트는 표면에 제1 방향의 제1 프리즘산이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와, 상기 제1 프리즘시트와 접합되며, 표면에 상기 제1 프리즘산과 교차하는 방향의 제2 프리즘산이 형성되는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과 상기 조명부 사이에 위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조명의 색상을 보정하는 차단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측이 'ㄷ'자 구조로 형성되어 개방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고정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대향하여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차단필름가 배열되도록 복수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의 단면이 화살촉 형상으로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는 이웃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연결돌기가 삽입되어 고정지지하는 연결홈과, 상기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면서 프리즘효과를 통해 색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투광판의 측면에 차단필름을 배치시켜 필름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블루라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조명부와 연결된 전선의 배선을 연결부 내부의 몸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배선정리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에 의해 유입되는 벌레들이 프레임을 따라 내부로 이동하는 경로를 차단시켜 고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중 프리즘시트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중 프레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장치 중 차단필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중 연결부의 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프레임과 연결부의 연결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프레임에 전원부와 커버부가 배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중 프리즘시트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10)은 조명장치에서 도광판과 조명부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조명장치는 사각형의 면조명 또는 원형의 원조명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차단필름(10)은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면서 조명의 색상을 보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단필름(10)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 및 프리즘시트(12)를 포함한다.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는 조명 중 420 내지 450nm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의 화합물은 PET 필름 상에 2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5 내지 10 중량부, 레벨링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소포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즘시트(12)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의 일측에 합지되어 차단필름(10)을 형성한다. 프리즘시트(12)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프리즘 효과를 통해 분산시킨다. 이 경우, 3파장의 조명이 적어도 7파장 이상으로 분산된다. 프리즘시트(12)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를 통과한 조명의 빛을 보다 다채롭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프리즘시트(1)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조명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시트(12)는 제1 방향의 제1 프리즘산(12-11)이 표면에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12-1)와 제2 방향의 제2 프리즘산(12-21)이 표면에 형성되는 제2 프리즘시트(12-2)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프리즘시트(12-1)와 제2 프리즘시트(12-2)는 각각 제1 프리즘산(12-11)과 제2 프리즘산(12-21)이 90°각도가 되도록 교차하여 형성된다. 제1 프리즘시트(12-1)와 제2 프리즘시트(12-2)는 열압착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명부(130)로부터 투과되는 조명이 도광판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색을 보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10)은 확산시트(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산시트(13)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 또는 프리즘시트(12)의 일측에 형성된다. 확산시트(13)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 및 프리즘시트(12)를 투과한 조명을 도광판의 일측면으로 확산시킨다. 이는 도광판의 전영역에 조명을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확산시트(13)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1) 및 프리즘시트(12)와 함께 합지되어 하나의 차단필름(1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중 프레임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장치 중 차단필름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100)은 도광판(110), 프레임(120), 조명부(130) 및 차단필름(140)를 포함한다.
도광판(110)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빛을 기 설정된 투과율로 반사시킨다. 도광판(110)은 일정한 두께와 면적으로 형성된다. 도광판(110)은 프레임(120)에 삽입되어 측면으로부터 조명을 입력받는다. 도광판(110)은 4개의 측면이 각각 프레임(120)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도광판(110)의 두께는 프레임(120)의 개구된 측면의 두께에 서로 맞물리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판(110)은 프레임(120)에 의해 차단필름(14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위치한다. 도광판(110)의 측면으로 입사된 조명은 산란하면서 평면으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100)은 면조명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10)의 상면에는 기 설정된 각도의 반사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홈은 도광판(110)의 측면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기 설정된 각도롤 반사시키게 된다. 이 경우, 반사홈은 프리즘과 같은 역할을 하여 빛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광판(110) 중 반사홈 영역에서 빛이 굴절됨에 따라 도광판(110)에 사인이 표시된 영역이 도드라져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프레임(120)은 도광판(11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한다. 프레임(120)은 수평부(121) 및 수직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평부(121)와 수직부(122)는 압출되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구성을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수평부(121)는 도광판(110)의 일측을 고정지지 하는 지지부(121-1)가 형성된다. 지지부(121-1)는 수평부(121)의 일측 단부에 'ㄷ'자 형상으로 내부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격된 공간으로 도광판(110)이 삽입된다. 지지부(121-1)는 도광판(110)의 측면을 고정하기 위해 양 끝단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21-1) 중 내측의 간격(h1)이 외측의 간격(h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광판(11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지지부(121-1)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어, 틈사이로 벌레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평부(121) 중 지지부(121-1)의 내측에는 복수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슬라이딩홈(121-2)은 지지부(121-1)로 삽입되는 도광판(110)의 측면으로 조명부(130)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조명부(130)의 발향방향은 도광판(110)의 측면을 향하게 된다. 제2 슬라이딩홈(121-3)은 지지부(121-1)로 삽입되는 도광판(110)과 조명부(130) 사이에 차단필름(140)를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차단필름(140)는 블루라이트를 차단하면서 도광판(110)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도광판(110)의 측면에 조명부(130)로 조명을 조사하면서 차단필름(140)에 의해 블루라이트가 필터링된다. 이 경우, 차단필름(140)의 면적을 최소화시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부(121)에는 연결홈(121-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홈(121-4)은 복수의 조명장치(100)을 연결하는 연결부(160)의 돌출된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홈(121-4) 내에는 너트가 삽입되어 외부의 볼트와의 결합을 통해 조명장치(100)을 천장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121)에는 전선홈(121-5)이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홈(121-5)은 조명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171)이 수용되는 홈이다. 이는 전선(171)이 엉키지 않도록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 전선홈(121-5)은 제1 슬라이딩홈(121-2)이나 제2 슬라이딩홈(121-3)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선홈(121-5)은 전선(171)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단면적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전선(171)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수직부(122)는 수평부(121)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수직부(122)는 일단의 단면이 화살촉 형상으로 제2 걸림부(122-1)가 형성되어 브라켓(123)에 걸려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브라켓(123)은 천장에 고정되어 제2 걸림부(122-1)가 걸려지도록 변형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122)의 제2 걸림부(122-1)는 브라켓(123)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깊이 이상으로 이동시 제2 걸림부(122-1)의 단차진 면에 의해 브라켓(123)에 고정되도록 된다. 수직부(122)의 길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조명부(130)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어 도광판(110)의 측면으로 조명을 출력한다. 조명부(130)는 도광판(110)의 측면을 둘러싸면서 해당 영역의 도광판(110)에 빛을 조사한다. 조명부(130)는 플렉서블 PCB 기판에 백색 LED, 알지비(RGB) LED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백색 LED, 알지비 LED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칩은 투명 봉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프레임(120)의 제1 슬라이딩홈(121-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될 수 있다. 조명부(130)는 도광판(110) 및 차단필름(140)의 측면과는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이는 조명부(13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화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차단필름(140)은 프레임(120)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도광판(110)과 조명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면서 조명의 색상을 보정하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단필름(140)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 프리즘시트(142) 및 확산시트(14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는 조명부(130)의 조명 중 420 내지 450nm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의 화합물은 PET 필름 상에 2관능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10 내지 20 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THFA) 5 내지 10 중량부, 레벨링제 10 내지 20 중량부 및 소포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즘시트(142)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의 일측에 합지되어 차단필름(140)을 형성한다. 프리즘시트(142)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을 프리즘 효과를 통해 분산시킨다. 이 경우, 3파장의 조명이 적어도 7파장 이상으로 분산되면서 조명부(130)로부터 통과하게 된다. 프리즘시트(142)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를 통과한 조명의 빛을 보다 다채롭게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프리즘시트(142)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조명부(13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시트(142)는 0°의 각도로 빛을 이동시키는 제1 프리즘시트와 90°각도로 빛을 이동시키는 제2 프리즘시트로 구성된다. 제1 프리즘시트와 제2 프리즘 시트는 열압착되어 격자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명부(130)로부터 투과되는 조명이 도광판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확산시트(143)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 및 프리즘시트(142)를 투과한 조명을 도광판(110)의 일측면으로 확산시킨다. 이는 도광판(110)의 전영역에 조명을 확산시키기 위함이다. 확산시트(143)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 및 프리즘시트(142)와 함께 합지되어 하나의 차단필름(14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100)은 반사판(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10)의 일측 평면에는 반사판(150)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150)은 도광판(110)으로 입사한 조명을 타측 평면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150)에 의해 도광판(110)은 면조명으로 작용한다. 또한, 반사판(150)은 도광판(110)의 타측 측면에 형성되어 조명을 반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100)은 그림판(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110)의 타측 평면에는 그림판(151)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림판(151)은 표면에 그림, 문자, 도형 등이 표시된 판이다. 그림판(151)은 도광판(110)으로부터 출력되는 조명을 출력한다. 이 경우, 차단필름(140)의 블루라이트 차단시트(141) 및 프리즘시트(142)를 통과한 조명에 의해 일정 파장 대의 블루라이트 조명을 차단되면서 자연색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중 연결부의 구성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프레임과 연결부의 연결연결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100)은 연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60)는 복수의 프레임(120)을 직각이 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60)는 몸체부(161), 연결돌기(162) 및 폐쇄부(163)를 포함한다.
몸체부(161)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몸체부(161)는 일측에는 조명장치(100)이 연결되고, 타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조명장치(100)이 연결된다. 몸체부(161) 중 각 조명장치(100)의 전선홈(121-5)에 맞닿는 위치에 관통절개면(161-1)이 형성된다. 관통절개면(161-1)은 외력에 의해 분리되어 전선(171)이 내측으로 관통하도록 한다. 관통절개면(161-1)은 송곳이나 볼펜 등으로 압력을 가할시 몸체부(161)로부터 이탈되어 관통공을 노출시킨다. 관통절개면(161-1)은 몸체부(161) 내부에 전선(171)이 이동할 수 있는 전선통로(161-2)가 형성된다. 몸체부(161)는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171)을 내측에 수용한다. 몸체부(161)는 내부에 센서나 스피커 등을 수용하여 전선(171)과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돌기(162)는 몸체부(161)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연결홈(121-4)에 삽입된다. 연결돌기(162)는 몸체부(161)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연결돌기(162)의 돌출된 길이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연결돌기(162)의 단면 형상은 연결홈(121-4)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돌기(162)는 몸체부(161)의 네 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연결돌기(162)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연결돌기(162)가 조명장치(100)의 연결홈(121-4)에 삽입된 경우 별도의 볼트없이도 고정될 수 있도록 유격이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부(163)는 몸체부(161)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전선홈(121-5)의 개구된 일측으로 삽입된다. 폐쇄부(163)는 몸체부(161)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몸체부(161)의 외측면에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폐쇄부(163)는 전선홈(121-5)의 단부를 일측을 폐쇄시킨다. 이는 외부로부터 벌레들이 전선홈(121-5)으로 따라 이동하여 몸체부(161) 내부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폐쇄부(163)에 의해 전선홈(121-5)에 수용된 전선(17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벌레들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조명부(130) 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폐쇄부(163)는 프레임(120)의 수평부(121) 상부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폐쇄부(163)의 일측은 전선홈(121-5) 상부와 제1 걸림부(121-6) 사이에 슬라이딩 된다.
도 9는 도 3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프레임에 전원부와 커버부가 배선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100)은 전원부(170) 및 커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조명부(130)로 일정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70)는 일종의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구현할 수 있다. 전원부(170)는 프레임(120)의 절곡된 내측면에 안착된다. 이 경우, 프레임(120)의 수평부(121)의 상단은 전원부(170)에 접촉되며, 방열하기 위해 수평부(121)의 상부가 방열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170)는 수평부(121)의 상단에 안착되며 커버부(180)에 의해 고정된다. 전원부(170)와 조명부(130)의 전선(171)은 전선홈(121-5)에 수용된다.
커버부(180)는 일측이 프레임(120)의 제1 걸림부(121-6)에 걸려지고, 타측이 프레임(120)의 제2 걸리부에 걸려지면서 내측에 전원부(170)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제1 걸림부(121-6)는 수평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2 걸림부(122-1)는 수직부(122)의 화살촉 형상의 돌기로 형성된다. 커버부(180)는 제1 걸림부(121-6) 및 제2 걸림부(122-1)에 걸쳐지면서 내측에 전원부(170)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2 걸림부(12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23)이 삽입되기도 하고, 커버부(180)가 삽입되기도 한다. 이는 전체 조명장치(100)의 4면에 위치하는 프레임(120) 중 브라켓(123)이 형성된 부위에는 제2 걸림부(122-1)에 브라켓(123)의 일측이 삽입되고, 전원부(170)가 형성된 부위에는 커버부(180)의 일측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원부(170)를 방열시키면서 프레임(120)에 밀착되도록 무볼트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80)는 방열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원부(17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함이다. 커버부(180)는 전원부(170)의 외표면에 접촉하여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 차단필름
11 : 블루라이트 차단시트
12 : 프리즘시트
12-1 : 제1 프리즘시트
12-11 : 제1 프리즘산
12-2 : 제2 프리즘시트
12-21 : 제2 프리즘산
13 : 확산시트
100 : 조명장치
110 : 도광판
120 : 프레임
121 : 수평부
121-1 : 지지부
121-2 : 제1 슬라이딩홈
121-3 : 제2 슬라이딩홈
121-4 : 연결홈
121-5 : 전선홈
121-6 : 제1 걸림부
122 : 수직부
122-1 : 제2 걸림부
123 : 브라켓
130 : 조명부
140 : 차단필름
141 : 블루라이트 차단시트
142 : 프리즘시트
143 : 확산시트
150 : 반사판
151 : 그림판
160 : 연결부
161 : 몸체부
161-1 : 관통절개면
161-2 : 전선통로
162 : 연결돌기
163 : 폐쇄부
170 : 전원부
171 : 전선
180 : 커버부

Claims (5)

  1.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차단필름에 있어서,
    조명 중 420 내지 450nm 이하의 파장을 흡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는 블루라이트 차단시트; 및
    상기 블루라이트 차단시트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의 파장을 프리즘 효과를 통해 분산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시트는,
    표면에 제1 방향의 제1 프리즘산이 형성되는 제1 프리즘시트; 및
    상기 제1 프리즘시트와 접합되며, 표면에 상기 제1 프리즘산과 교차하는 방향의 제2 프리즘산이 형성되는 제2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3.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고정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조명을 출력하는 조명부;
    상기 프레임의 측면으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도광판과 상기 조명부 사이에 위치하여 블루라이트를 차단시키면서 상기 조명의 파장을 프리즘 효과를 통해 분산시키는 차단필름을 포함하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측이 'ㄷ'자 구조로 형성되어 개방측으로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고정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과 대향하여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차단필름가 배열되도록 복수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타측에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의 단면이 화살촉 형상으로 제2 걸림부가 형성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이웃하는 복수의 프레임을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의 연결돌기가 삽입되어 고정지지하는 연결홈; 및
    상기 조명부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홈을 더 포함하는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을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190009894A 2019-01-25 2019-01-25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220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94A KR102206180B1 (ko) 2019-01-25 2019-01-25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894A KR102206180B1 (ko) 2019-01-25 2019-01-25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689A true KR20200092689A (ko) 2020-08-04
KR102206180B1 KR102206180B1 (ko) 2021-01-22

Family

ID=7204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894A KR102206180B1 (ko) 2019-01-25 2019-01-25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70B1 (ko) 2021-08-30 2022-07-18 김준석 페룰린 산 유도체를 이용한 블루라이트 차단 조명용 확산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8207A (ja) * 2002-09-28 200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5996A (ja) * 2003-02-13 2004-09-02 Toppan Printing Co Ltd 色補正フィルタ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1221376A (ja) * 2010-04-13 2011-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色補正機能を有するプリズムシート及び面光源装置
KR20130022714A (ko) * 2011-08-26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가진 액정표시장치
JP2015194553A (ja) * 2014-03-31 2015-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表示装置、及び、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
WO2018021485A1 (ja) * 2016-07-28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および光源
JP2018018061A (ja) * 2016-07-14 2018-02-01 川崎化成工業株式会社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及び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積層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8207A (ja) * 2002-09-28 2004-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45996A (ja) * 2003-02-13 2004-09-02 Toppan Printing Co Ltd 色補正フィルタ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液晶表示装置
JP2011221376A (ja) * 2010-04-13 2011-11-04 Dainippon Printing Co Ltd 色補正機能を有するプリズムシート及び面光源装置
KR20130022714A (ko) * 2011-08-26 201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가진 액정표시장치
JP2015194553A (ja) * 2014-03-31 2015-1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表示装置、及び、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
JP2018018061A (ja) * 2016-07-14 2018-02-01 川崎化成工業株式会社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及び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積層体
WO2018021485A1 (ja) * 2016-07-28 2018-02-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ブルーライトカットフィルムおよび光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180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7341B2 (en) Light emitting unit, display, and lighting apparatus
US8872992B2 (en) Optical assembly,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backlight unit
US9880349B2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for simple fixation of lamp bar
JP5555445B2 (ja) 液晶表示装置
CN104508364B (zh) 用于控制光通量的构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以及发光装置
KR102250808B1 (ko) 표시장치
KR20160022420A (ko) 표시장치
KR101844247B1 (ko)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와 이를 포함하는 백 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200092689A (ko) 색보정이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173705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4160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88828B1 (ko)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명장치
WO2019205954A1 (zh) 背光模组、液晶显示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KR102611355B1 (ko) 양자점 시트와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244213B2 (en) Edge-light type planar light source device
KR102135054B1 (ko)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등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2078084B1 (ko) 블루라이트 제거용 조명등 프레임
KR102225247B1 (ko) 백라이트 유닛용 광원 모듈과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004716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173116B1 (ko) 발광 모듈, 및 백라이트 유닛
KR102024646B1 (ko) Led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205131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170168220A1 (en) Backlight modul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KR10239601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073105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