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420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420A
KR20160022420A KR1020140107586A KR20140107586A KR20160022420A KR 20160022420 A KR20160022420 A KR 20160022420A KR 1020140107586 A KR1020140107586 A KR 1020140107586A KR 20140107586 A KR20140107586 A KR 20140107586A KR 20160022420 A KR20160022420 A KR 2016002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bottom cas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의정
권명석
나소정
박영민
양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420A/ko
Priority to US14/642,673 priority patent/US9823508B2/en
Publication of KR2016002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수의 광원으로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갖고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 상기 절곡부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모듈; 상기 바텀 케이스와 상기 광모듈 상에 위치한 곡면형 표시패널; 및 상기 곡면형 표시패널과 바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의 단부 사이의 높이가 상기 절곡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의 중앙부 사이의 높이보다 크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수의 광원으로도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 에지형(edge type) 및 코너형(corner type)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 저전력 고효율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발광 다이오드는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적은 수의 발광 다이오드만으로도 충분한 휘도를 제공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갖고 광원부를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 절곡부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모듈; 바텀 케이스와 광모듈 상에 위치한 곡면형 표시패널; 및 곡면형 표시패널과 바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절곡부와 바텀 케이스의 단부 사이의 높이가 절곡부와 바텀 케이스의 중앙부 사이의 높이보다 크다.
곡면형 표시패널의 중앙부에서, 반사판과 바텀 케이스가 이격된다.
바텀 케이스는, 광원부가 위치한 바닥부; 및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측부를 포함한다.
광모듈이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바닥부와 측부가 이루는 각이 둔각이다.
광모듈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 대응하게 바텀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사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반사판 위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를 더 포함한다.
광확산부는, 광원 위에 위치한 렌즈; 렌즈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지지대를 포함한다.
렌즈 지지대는 렌즈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한다.
광모듈은, 바텀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쇄회로기판; 및 보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사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반사판 위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을 더 포함한다.
반사판은, 바닥부의 위에 위치하는 중심 반사부; 및 측부의 위에 위치하는 외곽 반사부를 포함한다.
중심 반사부와 외곽 반사부가 이루는 각이, 바닥부와 측부가 이루는 각보다 작다.
중심 반사부는 이의 중심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외곽 반사부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반사판은, 바닥부의 중심부 위에 위치한 중심 반사부; 측부의 위에 위치하는 외곽 반사부; 및 중심 반사부와 외곽 반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바닥부 위에 위치한 평면 반사부를 포함한다.
광원부는, 평면 반사부에 대응하게 바텀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사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반사판 위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반사판과 곡면형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한 플랫(flat) 렌즈를 더 포함한다.
바닥부와 광원모듈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받침부들의 높이가 서로 다르다.
받침대와 바닥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받침대의 내부가 비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반사판은 중심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적은 수의 광원들 만으로도 충분한 휘도 확보가 가능하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바텀 케이스는 내부가 빈 복수의 받침부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받침부의 구조로 인해 바텀 케이스와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방열 기능이 상승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는 바텀 케이스와 일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바텀 케이스의 강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광확산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다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바텀 케이스 및 반사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 및 반사판에 대한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 및 반사판에 대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a의 IV-IV'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 및 반사판에 대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의 광확산부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다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그 표시 영역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굴곡된, 곡면형 표시장치이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모든 구성요소들은 구부러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힌다.
이러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100), 광모듈(163), 반사판(200), 확산판(400), 광학 시트(500), 몰드 프레임(600), 표시패널(700) 및 탑 케이스(800)를 포함한다. 위 열거된 구성요소들 중 확산판(400), 광학 시트(500), 몰드 프레임(600), 표시패널(700) 및 탑 케이스(800) 그 곡면 형상에 맞춰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바텀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수납공간에 광모듈(163), 지지대들(161, 168) 및 반사판(200)가 배치된다.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바텀 케이스(100)는 바닥부(111a) 및 복수의 측부(11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1a)는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전술된 측부(111b)들 각각은 이 바닥부(111a)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서로 인접한 측부(111b)들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된다. 이 측부(111b)들 및 바닥부(111a)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공간이 위에서 설명된 수납공간이 된다.
측부(111b)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짧은 측부들 및 한 쌍의 긴 측부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한 쌍의 짧은 측부들은 복수의 측부들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으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한 쌍의 긴 측부들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며,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들을 의미한다.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부들(111b)의 외측에 걸림턱(6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긴 측부들 각각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턱(635)에 의해 몰드 프레임(600)이 바텀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이 걸림턱(635)은, 해당 측부(111b)의 일부가 몰드 프레임(600)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광모듈(163)들은 광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다. 광모듈(163)들은 바텀 케이스(100)의 바닥부(111a) 위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광모듈(163)들이 바닥부(111a)의 가장자리들 중 어느 2개의 각각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광모듈(163)들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짧은 측부들이 각각 위치한 바닥부(111a)의 각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각 광모듈(16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63a)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163b)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63a)은 바닥부(111a) 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163a)은 바닥부(111a)의 가장자리에 대응되게 바텀 케이스(100)와 반사판(200) 사이에 위치한다. 인쇄회로기판(163a)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실장(mounting, 實裝) 영역과 배선 영역으로 구분된다. 광원(163b)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실장 영역에 광원(163b)이 하나씩 설치되고, 그리고 배선 영역에 그 광원(163b)들로 구동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들이 설치된다. 전술된 구동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후, 별도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위의 복수의 배선들로 공급된다.
광원(163b)은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인쇄회로기판(163a)에 설치된다. 광원(163b)은 인쇄회로기판(163a)의 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광원(163b)은 반사판(200)을 관통하는 관통홀(20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반사판(200) 위로 노출된다.
광원(163b)이 복수로 구비될 때,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은 어느 하나의 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163b)들은 짧은 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광원(163b)들 중 몇 개의 광원(163b)들만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광원(163b)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광원(163b)들의 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2개의 인쇄회로기판(163a)들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가 다른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가 동일할 때,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하며 서로 대응되는 광원(163b)들이 긴 측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광원(163b)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발광 패키지(packag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키지는 세 종류의 색상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이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전술된 세 가지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들 중 청색 발광다이오드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가 그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부에 형성된다.
광원(163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확산부(188)에 의해 확산된다. 광확산부(188)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88b) 및 적어도 하나의 렌즈 지지대(188a)를 포함한다.
렌즈(188b)는 광원(163b) 위에 위치한다. 렌즈(188b)는 오목 렌즈(188b)가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지지대(188a)는 렌즈(188b)와 인쇄회로기판(163a) 사이에 위치한다.
렌즈 지지대(188a)의 일측은 렌즈(188b)에 부착되며, 렌즈 지지대(188a)의 타측은 인쇄회로기판(163a)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렌즈 지지대(188a)의 일측과 렌즈(188b)는 접착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 지지대(188a)의 타측과 인쇄회로기판(163a)은 접착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렌즈 지지대(188a)의 타측이 인쇄회로기판(163a)이 아닌 바닥부(111a)에 부착될 수도 있다.
렌즈 지지대(188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지지대들은 광원(163b)의 주변에 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지지대(188a)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판(200)은 바텀 케이스(100)와 표시패널(700) 사이에 구비된다. 정확히 말하자면, 반사판(200)은 바텀 케이스(100)와 확산판(400) 사이에 위치한다.
반사판(200)과 표시패널(700)은 서로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반사판(200)의 중심부와 표시패널(700)의 중심부가 서로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반사판(200)은 광원(163b)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표시패널(700) 측으로 반사시킨다.
반사판(200)은 중심 반사부(222) 및 외곽 반사부(208)를 포함한다.
중심 반사부(222)는 바닥부(111a)의 위에 위치한다. 중심 반사부(222)의 중심부는 표시패널(700)을 향하여 뾰족하게 솟아올라 있다. 중심 반사부(222)의 중심부 바로 아래에는 이 중심 반사부(222)를 떠받치는 적어도 하나의 중심 지지부(161)가 위치한다.
중심 반사부(222)는 2개의 경사면들(222a, 222b)을 포함한다. 즉, 바닥부(111a)의 중심부와 하나의 측부(111b) 사이에 위치한 제 1 반사부(222a)와, 바닥부(111a)의 중심부와 다른 측부(111b) 사이에 위치한 제 2 반사부(222b)가 이에 포함된다. 여기서, 하나의 측부(111b)와 다른 측부(111b)는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부들을 의미한다.
제 1 반사부(222a)와 제 2 반사부(222b)는 중심부로부터 해당 측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경사면이다. 즉, 제 1 및 제 2 반사부(222a, 222b)는 각각 바닥부(111a)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바닥부(111a)와 제 1 반사부(222a)가 이루는 각, 그리고 바닥부(111a)와 제 2 반사부(222b)가 이루는 각은 모두 예각이다.
외곽 반사부(208)는 측부(111b)들의 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외곽 반사부(208)는 각 측부(111b)의 내면 위에 위치한다. 여기서, 측부(111b)의 내면은, 그 측부(111b)에 포함된 복수의 면들 중 다른 측부(111b)의 면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각 측부(111b)의 내면은 바닥부(111a)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면이다. 바닥부(111a)와 각 측부(111b)가 이루는 각은 둔각이다.
외곽 반사부(208)와 측부(111b)의 내면은 접착 부재,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바텀 케이스(100) 및 반사판(200) 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111a)는 단부(118), 절곡부(115) 및 중앙부(119)를 포함한다.
절곡부(115)는 바닥부(111a)와 측부(111b)가 만나는 곳에 위치하며, 단부(118)는 측부(111b)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며, 그리고 중앙부(119)는 바닥부(111a)의 중심에 위치한다. 여기서, 중앙부(119)는 전술된 중심 지지부(161)가 놓이는 위치에 해당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5)와 단부(118) 사이의 높이(H1)는 절곡부(115)와 중앙부(119) 사이의 높이(H2)보다 더 크다. 여기서, H2는 실질적으로 0이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a)가 중심 반사부(2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절곡부(115)와 단부(118) 사이의 높이(H1)는 절곡부(115)와 중앙부(119) 사이의 높이(H2)보다 더 크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200)의 중심 반사부(222)와 외곽 반사부(208)가 이루는 각은, 바텀 케이스(100)의 바닥부(111a)와 측부(111b)가 이루는 각보다 작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사부(222a)와 이와 연결된 외곽 반사부(208)가 이루는 각(θ1)은, 바닥부(111a)와 측부(111b)가 이루는 각(θ2)보다 작다.
제 1 반사부(222a)의 길이(L1)와, 제 1 반사부(222a)에 접한 외곽 반사부(208)의 길이(L2)와, 제 2 반사부(222b)의 길이(L3)와, 그리고 제 2 반사부(222b)에 접한 외곽 반사부(208)의 길이(L4)는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제 1 반사부(222a)와 이에 접하는 외곽 반사부(208) 간의 경계부와 확산판(400)을 이으며, 상기 제 1 반사부(222a)와 외곽 반사부(208) 간의 각(θ1)을 반으로 가르는 선분(OL)의 길이, 즉 광학 거리가 최대가 된다.
확산판(400)은 반사판(200) 위에 위치한다. 확산판(400)은 광원(163b)들로부터 방출된 광의 휘도를 균일하게 만들어 광학 시트(500)로 전달한다.
확산판(400)의 아래에는 이 확산판(400)을 떠받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168)이 위치한다. 지지 수단(168)은 바닥부(111a) 상에 위치한다. 지지 수단(168)은 그 위에 위치한 반사판(200)의 관통홀(203)을 통해 반사판(200) 위로 노출된다.
광학 시트(500)는 확산판(400)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확산판(400)과 표시패널(700) 사이에 위치한다. 광학 시트(500)는 확산 시트(501a), 프리즘 시트(501b) 및 보호 시트(501c)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201a), 프리즘 시트(501b) 및 보호 시트(501c)는 그 열거된 순서대로 확산판(400)의 위에 차례로 적층된다.
확산 시트(501a)는 확산판(400)으로부터 전달된 광을 분산시켜서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프리즘 시트(501b)는 확산 시트(501a) 상에 위치하여 그 확산 시트(501a)로부터 확산된 광을 표시패널(700)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 프리즘 시트(501b)의 일면에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들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시트(501c)는 프리즘 시트(501b) 상에 위치하여 그 프리즘 시트(501b)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 광의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보호 시트(501c)를 통과한 광은 표시패널(700)로 제공된다.
몰드 프레임(600)은 바텀 케이스(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패널(700)과 탑 케이스(800)를 지지함과 아울러, 표시패널(700)과 광학 시트(50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이 몰드 프레임(600)은 제 1 지지부(311a) 및 제 2 지지부(311b)를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311a)는 복수의 측부(111b)들 상에 얹힌 상태에서 자신의 위에 덮이는 탑 케이스(800) 부분을 지지한다. 제 1 지지부(311a)에는 측부(111b)에 형성된 걸림턱(635)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640)이 형성된다.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광학 시트(500)와 표시패널(700) 사이의 공간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다. 이러한 제 2 지지부(311b)와 제 1 지지부(311a)간의 높낮이 차에 의해 탑 케이스(800)와 제 2 지지부(311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그 공간에 표시패널(700)의 가장자리가 위치한다.
표시패널(700)은 영상을 표시한다. 이 표시패널(700)은 크게 표시부와 비표시부로 구분된다. 표시부에 영상이 표시되고, 비표시부에 그 영상의 표시에 필요한 영상 데이터, 각종 제어신호들 및 각종 전원신호들을 전송하는 신호배선들이 설치된다. 또한, 위의 영상 데이터, 각종 제어신호들 및 각종 전원신호들을 제공하는 구동 회로부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그 비표시부 또는 전술된 구동 회로 보드에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시된 표시패널(700)은 액정패널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정패널 이외에도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패널 형태의 구조는 어떠한 구조든지 가능하다.
탑 케이스(800)는 표시패널(700)의 앞면 중 이의 가장자리를 포함한 비표시부를 가리는 사각틀 형태를 이룬다. 이 탑 케이스(800)는 몰드 프레임(600)의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 및 측면과, 그리고 고정 부재(311c)의 측면을 감싼다. 이를 위해, 이 탑 케이스(800)는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을 덮는 상부 덮개(933a)와, 그리고 제 1 지지부(311a)의 측면을 함께 덮는 측면 덮개(933b)를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면 덮개(933b)의 내측에 후크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이 후크는 몰드 프레임(600)에 형성된 고정 부재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 후크에 의해서 탑 케이스(800)가 몰드 프레임(6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163) 및 반사판(200)에 대한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b는 도 5a의 반사판(200)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5b에서의 단면도는 동 도면의 평면도를 II-II'의 선을 따라 잘랐을 때의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모듈(163)은 전술된 인쇄회로기판(163a) 및 복수의 광원(163b)들 외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164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광원(163b)들 중 몇 개의 광원(163b)들만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광원(163b)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의 간격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그 광원(163b)들 중 몇 개의 광원(163b)들만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광원(163b)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광원(163b)들의 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2개의 인쇄회로기판(163a)들 중 어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가 다른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보다 더 많을 수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가 동일할 때,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하며 서로 대응되는 광원(163b)들이 긴 측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은 바텀 케이스(100)와 반사판(200) 사이에 위치하며, 인쇄회로기판(16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163a)과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554)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광원(163b)은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반사판(200)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관통홀(21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반사판(200) 위로 노출된다.
보조 인쇄회로기판(163a)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부(111b)들의 내면과, 그리고 바닥부(111a)의 일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측면에 위치한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 상의 보조 광원(164b)들과 바닥부(111a)의 일부분에 위치한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 상의 보조 광원(164b)들은 인쇄회로기판(163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본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63a)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보조 광원(164b)들 간을 잇는 가상의 선분이 있다고 가정할 때, 이 가상의 선분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2개의 인접한 광원(163b)들 사이를 지난다.
각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에 위치한 보조 광원(164b)들의 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모든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에 구비된 보조 광원(164b)들의 수가 다른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에 구비된 보조 광원(164b)들의 수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각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에 구비된 보조 광원(164b)들의 수가 동일할 때, 서로 다른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에 위치하며 서로 대응되는 보조 광원(164b)들이 긴 측부의 길이 방향 또는 짧은 측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보조 인쇄회로기판(164a) 및 보조 광원(164b)의 구성은 전술된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인쇄회로기판(163a) 및 광원(163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3과 관련된 참고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반사판(200)은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반사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 도 5a 및 5b의 반사판(200)은 도 1 내지 도 3의 반사판(200) 보다 더 많은 수의 관통홀(201, 211)들을 포함한다. 이는, 도 1에 비하여 도 5a의 바텀 케이스(100)에 더 많은 수의 광원(163b, 164b)들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a의 바텀 케이스(100) 내부에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광확산부(188), 적어도 하나의 중심 지지부(161)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168)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163) 및 반사판(200)에 대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b는 도 6a의 반사판(200)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6b에서의 단면도는 동 도면의 평면도를 III-III'의 선을 따라 잘랐을 때의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모듈(163)들은 바닥부(111a) 및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들의 내면에 골고루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모듈(163)들의 간격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그 광모듈(163)들 중 몇 개의 광모듈(163)들만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광모듈(163)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포함된 광원(163b)이 복수로 구비될 때,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은 어느 하나의 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163b)들은 짧은 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의 간격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광원(163b)들 중 몇 개의 광원(163b)들만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광원(163b)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실장된 복수의 광원(163b)들의 간격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그 광원(163b)들 중 몇 개의 광원(163b)들만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광원(163b)들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한 광원(163b)들의 수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모든 인쇄회로기판(163a)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가 다른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보다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각 인쇄회로기판(163a)에 구비된 광원(163b)들의 수가 동일할 때, 서로 다른 인쇄회로기판(163a)에 위치하며 서로 대응되는 광원(163b)들이 긴 측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6a에서의 광모듈(163)의 구성은 전술된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광모듈(163)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6a의 광모듈(163)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1 내지 3과 관련된 설명을 참고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반사판(200)은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반사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 도 6a 및 6b의 반사판(200)은 도 1 내지 도 3의 반사판(200) 보다 더 많은 수의 관통홀(201)들을 포함한다. 이는, 도 1에 비하여 도 6a의 바텀 케이스(100)에 더 많은 수의 광원(163b)들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a의 바텀 케이스(100) 내부에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광확산부(188), 적어도 하나의 중심 지지부(161)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수단(168)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6a의 IV-IV'의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1a)의 중심부에 더 근접한 광모듈(163)일수록 바텀 케이스(100)의 바닥부(111a)로부터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는 바텀 케이스(100)의 바닥부(111a)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제 1 반사부(222a) 및 제 2 반사부(222b)는 중심주를 향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기 때문이다.
광모듈(163)의 높이가 달라지도록 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바닥부(111a) 위에 서로 다른 높낮이차를 갖는 복수의 받침부(701)들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받침부(701)들은 바닥부(111a)와 중심 반사부(222) 사이에 위치한다.
바닥부(111a)의 중심부에 더 근접한 받침부(701)일수록 더 큰 높이를 갖는다.
받침부(7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다리(701a)들과, 그 다리(701a)들 위에 떠받쳐져 있는 안착판(701b)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안착판(701b) 위에 인쇄회로기판(163a)이 위치한다.
각 받침부(701)의 다리 길이(701a)는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11a)의 중심부에 더 근접한 받침부(701)일수록 이의 다리(701a) 길이가 더 길다.
받침부(701)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안착판(701b)에 달린 2개의 다리(701a)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그 안착판(701b)과 마주보는 바닥부(111a) 부분에 그 부분을 관통하는 개구부(76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다리(701a)들 사이의 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공간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부(701)의 구조로 인해 바텀 케이스(100)와 외부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방열 기능이 상승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발생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701)는 바텀 케이스(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최초 바텀 케이스(100)가 만들어 질 때, 도 7과 같은 받침부(701) 형상을 포함하도록 바텀 케이스(100)가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텀 케이스(100)와 받침부(701)가 일체로 구성될 경우, 바텀 케이스(100)의 강성이 증가하는 또 다른 부가적인 효과도 발생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된 광모듈(163) 및 반사판(200)에 대한 또 다른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b는 도 8a의 반사판(200)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8b에서의 단면도는 동 도면의 평면도를 V-V'의 선을 따라 잘랐을 때의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200)은 중심 반사부(224), 외곽 반사부(228), 제 1 평면 반사부(240a) 및 제 2 평면 반사부(240b)를 포함한다.
중심 반사부(224)는 바닥부(111a)의 중심부 위에 위치한다.
중심 반사부(224)는 2개의 경사면들(224a, 224b)을 포함한다. 즉, 바닥부(111a)의 중심부와 제 1 광원부(141) 사이에 위치한 제 1 반사부(224a)와, 바닥부(111a)의 중심부와 제 2 광원부(142) 사이에 위치한 제 2 반사부(224b)가 이에 포함된다.
제 1 반사부(224a)와 제 2 반사부(224b)는 중심부로부터 해당 광원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경사면이다. 즉, 제 1 및 제 2 반사부(224a, 224b)는 각각 바닥부(111a)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바닥부(111a)와 제 1 반사부(224a)가 이루는 각, 그리고 바닥부(111a)와 제 2 반사부(224b)가 이루는 각은 모두 예각이다.
외곽 반사부(228)는 측부(111b)들의 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외곽 반사부(208)는 각 측부(111b)의 내면 위에 위치한다. 여기서, 측부(111b)의 내면은, 그 측부(111b)에 포함된 복수의 면들 중 다른 측부(111b)의 면 또는 중심 반사부(224)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각 측부(111b)의 내면은 바닥부(111a)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경사면이다. 바닥부(111a)와 각 측부(111b)가 이루는 각은 둔각이다.
제 1 평면 반사부(240a)는 제 1 반사부(224a) 및 3개의 외곽 반사부(228)들에 의해 둘러싸인 바닥부(111a) 위에 위치한다.
제 1 평면 반사부(240a)는 제 2 반사부(224b) 및 3개의 외곽 반사부(228)들에 의해 둘러싸인 바닥부(111a) 위에 위치한다.
도 8a 및 도 8b와 같은 구조와 같은 경우, 반사판(200)과 확산판(400) 사이에, 복수의 홀(hole)들을 포함하는 플랫 렌즈(flat lens; 800)가 위치한다.
플랫 렌즈(800)는 제 1 및 제 2 광원부(141, 142)로부터의 광을 확산시켜 표시패널(700) 측으로 제공한다.
플랫 렌즈(800)는 복수의 지지 수단(128)들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수단(128)들은 반사판(200)에 형성된 관통홀(279)을 통해 반사판(200) 위로 노출된다.
도 8a에서의 제 1 및 제 2 광원부(141, 142)들의 구성은 전술된 도 1 내지 도 3에 제시된 광모듈(163)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8a의 광모듈(163)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1 내지 3과 관련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바텀 케이스 200: 반사판
400: 확산판 500: 광학 시트
600: 몰드 프레임 700: 표시패널
800: 탑 케이스 111a: 안착부
111b: 측부 222: 중심 반사부
222a: 제 1 반사부 222b: 제 2 반사부
201, 203: 관통홀 161: 중심 지지부
168: 지지 수단 163: 광원부
163a: 인쇄회로기판 163b: 광원
501a: 확산 시트 501b: 프리즘 시트
501c: 보호 시트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갖고 상기 광원부를 수납하는 바텀 케이스;
    상기 절곡부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모듈;
    상기 바텀 케이스와 상기 광모듈 상에 위치한 곡면형 표시패널; 및
    상기 곡면형 표시패널과 바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한 반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의 단부 사이의 높이가 상기 절곡부와 상기 바텀 케이스의 중앙부 사이의 높이보다 큰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형 표시패널의 중앙부에서, 상기 반사판과 바텀 케이스가 이격된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는,
    상기 광원부가 위치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측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이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측부가 이루는 각이 둔각인 표시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에 대응하게 상기 바텀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사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사판 위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키는 광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부는,
    상기 광원 위에 위치한 렌즈;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지지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대는 상기 렌즈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바텀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보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사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사판 위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안착부의 위에 위치하는 중심 반사부; 및
    상기 측부의 위에 위치하는 외곽 반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반사부와 외곽 반사부가 이루는 각이, 상기 안착부와 측부가 이루는 각보다 작은 표시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반사부는 이의 중심부로부터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반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 표시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안착부의 중심부 위에 위치한 중심 반사부;
    상기 측부의 위에 위치하는 외곽 반사부; 및
    상기 중심 반사부와 외곽 반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안착부 위에 위치한 평면 반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모듈은,
    상기 평면 반사부에 대응하게 상기 바텀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반사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반사판 위로 노출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과 상기 곡면형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한 플랫 렌즈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받침부들의 높이가 서로 다른 표시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와 안착부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의 내부가 비어 있는 표시장치.
KR1020140107586A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KR20160022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86A KR20160022420A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US14/642,673 US9823508B2 (en) 2014-08-19 2015-03-0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86A KR20160022420A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20A true KR20160022420A (ko) 2016-03-02

Family

ID=5534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586A KR20160022420A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23508B2 (ko)
KR (1) KR201600224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21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7092B (zh) * 2014-11-07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曲面液晶显示装置的背光源及曲面液晶显示装置
KR20160091520A (ko) * 2015-01-23 2016-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KR102315835B1 (ko) * 2015-03-17 2021-10-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TWI560500B (en) * 2015-03-20 2016-12-0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having brightness enhancement design at periphery of display surface
US9817261B2 (en) * 2015-04-28 2017-11-14 Lg Display Co., Ltd. Curved cover for curved display and curved typ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7037739A (ja) 2015-08-07 2017-02-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9466776B1 (en) * 2015-12-30 2016-10-11 Wei-Lin Hsu Light emitting light string with enhanced heat dissipating efficiency
CN112034652A (zh) * 2016-04-29 2020-12-0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US10634950B2 (en) * 2016-10-24 2020-04-28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Illumination apparatus capable of inhibiting temperature rise in the casing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illumin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447B1 (ko) 2005-06-30 2012-09-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반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0790497B1 (ko) 2005-10-11 2008-01-02 희성전자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EP2515028B1 (en) * 2009-12-18 2017-05-03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KR101832313B1 (ko) * 2011-08-18 2018-04-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19543B1 (ko) *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41883B1 (ko) 2012-07-09 2019-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브드 표시장치
KR101907165B1 (ko) 2012-09-14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7128B1 (ko) * 2014-02-05 2020-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221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23508B2 (en) 2017-11-21
US20160057850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2420A (ko) 표시장치
RU2491472C1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8556445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7641360B2 (en) Light-emitting unit and backlight module
KR102250808B1 (ko) 표시장치
US20200379298A1 (en)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126209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2343720B1 (ko) 표시장치
KR102089970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8228459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11142084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218940A (ja) 発光モジュール、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6297457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JP5317364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EP2428719B1 (en)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1180287A (ja) 表示装置
KR20150145915A (ko) 백라이트 유닛
KR2013003512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150261041A1 (en)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102047223B1 (ko) 엘이디를 사용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9030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60010773A (ko) 표시장치
KR101981586B1 (ko) 다면체형 표시장치
KR101908504B1 (ko) 액정표시소자의 가용성 인쇄회로 필름 구조
TW201348811A (zh) 控制光通量之元件、顯示裝置以及光發射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