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596A - 빵가루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빵가루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596A
KR20200090596A KR1020190071029A KR20190071029A KR20200090596A KR 20200090596 A KR20200090596 A KR 20200090596A KR 1020190071029 A KR1020190071029 A KR 1020190071029A KR 20190071029 A KR20190071029 A KR 20190071029A KR 20200090596 A KR20200090596 A KR 20200090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bread
unit
conveyor
rota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143B1 (ko
Inventor
문현수
Original Assignee
문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수 filed Critical 문현수
Priority to KR102019007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1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3/00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 A21C13/02Provers, i.e. apparatus permitting dough to rise with endless conveyors, e.g. for moving the dough pieces progressively through the prov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물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반죽부; 상기 반죽부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을 설정된 시간 동안 상온에서 이송시키면서 건조 및 숙성을 행하는 이송숙성부; 상기 이송숙성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여 꽈배기 모양의 꼬임을 형성하는 꼬임제공부; 상기 꼬임제공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빵틀에 수납하여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빵 굽는 작업을 행하는 오븐; 및 상기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을 분쇄하여 빵가루를 제공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빵가루 제조장치{BREAD CRUMB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빵가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질과 같이 결이 이 길쭉하게 형성되는 빵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반죽을 길게 팽창시키고, 꽈배기 모양으로 꼬아서 오븐에서 빵을 제조한 후에 빵을 분쇄하여 섬유질 모양의 빵가루를 제조할 수 있고, 반죽을 꽈배기 모양으로 꼬는 작업을 진행할 때에 작업자의 수작업을 감소시켜 빵가루 제조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빵가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빵가루는 건조된 빵을 이용하여 이를 분쇄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빵가루는 예를 들어, 돈가스, 도너츠, 튀김 등과 같은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하다.
비교적 소량의 빵가루가 필요한 경우에는 특별한 장치 없이도 직접 빵가루를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한 양이 많아지게 되면 빵가루를 만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빵가루를 만들기 위한 장치들은, 건조된 빵을 롤러를 통과시키며 압착하며 분쇄하여 빵가루를 얻는 것과 일반적인 믹서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마른빵을 갈아서 빵가루를 만들어 내는 것 등이 있다. 또한, 모터의 출력축에 밸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톱날을 이용하여 빵을 분쇄하도록 구성된 장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 중에 롤러를 이용한 장치는 부피가 상당히 크고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믹서와 같은 구조를 가진 장치는 빵가루를 만들기 위해 빵을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고 다시 투입구를 통해 빵가루를 수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또한 많은 양을 만들어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모터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톱날을 이용하는 장치는, 벨트를 사용하여 모터에 연결되었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소음도 많이 발생하며, 빵을 톱날만을 이용하여 부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빵가루를 만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빵가루 제조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상측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분쇄실과, 분쇄실 내로 빵을 투입하도록 그 분쇄실로 통하는 빵투입구와, 프레임에 설치되며, 그 출력축이 분쇄실 내에 위치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분쇄실 내에 위치하며 구동모터의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분쇄실로 투입되는 빵을 절단하는 커터블레이드와,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커터블레이트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분쇄실 내에 위치하며 구동모터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커터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 빵을 부수는 파쇄블레이드와, 분쇄실의 하부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결합되며, 분쇄실 내에서 파쇄블레이드에 의해 만들어진 빵가루 중 원하는 크기의 빵가루가 통과될 수 있는 구멍이 다수 형성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필터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7049호(2003년 03월 12일 공고, 고안의 명칭 : 빵가루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빵을 제조할 때에 빵 내피에 결이 형성되게 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제조된 빵을 분쇄하여 빵가루를 제조하면 빵가루의 입자가 불규칙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빵가루가 제공되어 조리되는 음식물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섬유질과 같이 결이 이 길쭉하게 형성되는 빵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반죽을 길게 팽창시키고, 꽈배기 모양으로 꼬아서 오븐에서 빵을 제조한 후에 빵을 분쇄하여 섬유질 모양의 빵가루를 제조할 수 있고, 반죽을 꽈배기 모양으로 꼬는 작업을 진행할 때에 작업자의 수작업을 감소시켜 빵가루 제조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빵가루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빵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물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반죽부; 상기 반죽부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을 설정된 시간 동안 상온에서 이송시키면서 건조 및 숙성을 행하는 이송숙성부; 상기 이송숙성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여 꽈배기 모양의 꼬임을 형성하는 꼬임제공부; 상기 꼬임제공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빵틀에 수납하여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빵 굽는 작업을 행하는 오븐; 및 상기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을 분쇄하여 빵가루를 제공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이송숙성부는, 상기 반죽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단부와 비교하여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 및 상기 제2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의 타단부와 비교하여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을 다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꼬임제공부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죽이 안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회전블록; 상기 경사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고, 회전블록의 일부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블록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반죽에 마찰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향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마찰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블록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록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블록과 상기 마찰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꼬임제공부는, 상기 회전블록에 안착되는 반죽이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되어 상기 마찰가이드와 접촉되지 않고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죽을 상기 회전블록으로부터 상기 마찰가이드 측으로 유동시키는 진동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회전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블록에서 상기 마찰가이드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진동롤러; 상기 진동롤러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블록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롤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과 상기 진동롤러를 연결하는 편심캠; 및 상기 베이스블록에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회전블록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구동모터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빵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물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절단부에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절단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이송숙성부에 공급하여 이동시키면서 상온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시키는 단계; (c) 상기 이송숙성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회전블록 및 마찰가이드를 구비하는 꼬임제공부에 공급하여 상기 회전블록과 상기 마찰가이드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이 꽈배기 모양으로 꼬이게 하는 단계; (d) 상기 꼬임제공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빵틀에 수납하여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빵을 굽는 단계; 및 (e) 상기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을 분쇄하여 섬유질 모양의 빵가루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c)단계는, 원뿔모양으로 형성되는 상기 회전블록의 경사면에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이 상기 회전블록과 상기 마찰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반죽의 일부분이 상기 마찰가이드와 마찰되면서 반죽에 비틀림 외력이 발생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빵을 제조하기 위한 반죽을 길게 늘인 후에 꽈배기 모양으로 꼬아서 빵틀에 수납하고, 빵틀을 오븐에 투입하여 빵을 굽는 작업이 진행되므로 빵의 내부에 섬유질과 같은 결이 형성되는 빵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빵을 분쇄하면 긴 섬유 모양의 빵가루를 제공할 수 있고, 섬유질 모양의 빵가루를 사용하여 돈가스 등의 요리를 조리하는 경우에 요리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복수 개의 벨트컨베이어가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벨트컨베이어의 단부가 교호로 돌출되게 배치되므로 반죽이 복수 개의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온에서 반죽이 충분히 냉각 또는 경화되면서 빵을 제조하기에 적당한 반죽으로 숙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이송냉각부를 통과하면서 충분히 냉각 및 경화되어 숙성되는 반죽이 꽈배기 모양으로 꼬여지는 꼬임제공부가 구비되므로 반죽이 꽈배기 모양으로 꼬인 상태에서 오븐에 공급되어 빵 굽는 작업이 진행되므로 빵의 내부가 섬유질 모양으로 제조되어 식감이 향상되는 빵가루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는, 반죽이 안착되어 회전되는 회전블록과, 회전블록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회전블록의 경사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며 회전되는 반죽에 마찰되는 마찰가이드를 구비하므로 회전블록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반죽이 마찰가이드에 의해 편심되게 마찰되면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팽창되어 회전블록에 안착되는 반죽이 꽈배기 모양으로 꼬여지면서 이송되어 반죽을 용이하게 꽈배기 모양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는, 반죽이 회전블록과 마찰가이드 사이를 통과할 때에 회전블록에 안착되는 반죽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제공부가 구비되므로 회전블록의 경사면에 반죽이 밀착된 상태로 통과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블록에 안착되는 반죽이 마찰가이드와 마찰되면서 쉽게 꽈배기 모양으로 꼬여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회전블록에 설치되는 진동제공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되므로 회전되고 있는 회전블록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전원 차단에 의해 진동제공부가 정지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블록과 마찰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반죽이 일정한 꽈배기 모양으로 꼬일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반죽부 및 이송냉각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이송냉각부 및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반죽 투입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반죽 배출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반죽부 및 이송냉각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이송냉각부 및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사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작동 상태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반죽 투입상태가 도시된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반죽 배출상태가 도시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는, 빵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물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반죽부와, 반죽부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을 설정된 시간 동안 상온에서 이송시키면서 건조 및 숙성을 행하는 이송숙성부(30)와, 이송숙성부(30)에서 배출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여 꽈배기 모양의 꼬임을 형성하는 꼬임제공부(50)와, 꼬임제공부(50)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빵틀(72)에 수납하여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빵 굽는 작업을 행하는 오븐과,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을 분쇄하여 빵가루를 제공하는 분쇄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다수 개의 빵을 만들 수 있는 양의 반죽 덩어리를 반죽부에 투입하면 반죽부를 통과하면서 반죽 덩어리가 하나의 빵을 만들 수 있는 크기의 반죽으로 절단되어 단위 크기의 반죽으로 하나씩 배출되고, 반죽부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은 이송숙성부(30)를 통과하면서 상온에서 건조 및 숙성되어 빵 굽는 작업에 적당한 정도의 반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이송숙성부(30)는, 반죽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32)와, 제1컨베이어(32)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컨베이어(32)의 일단부와 비교하여 길게 연장되어 제1컨베이어(32)에서 낙하되는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34)와, 제2컨베이어(34) 하부에 설치되고, 제2컨베이어(34)의 타단부와 비교하여 길게 연장되어 제2컨베이어(34)에서 낙하되는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을 다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36)를 포함한다.
제1컨베이어(32)는 반죽부 본체(14)로부터 연장되는 배출컨베이어(16)의 하부에 배치되어 호퍼(12)로 투입되어 본체(14) 내부에서 단위 크기로 절단된 후에 배출컨베이어(16)를 따라 배출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이 제1컨베이어(32)의 상면에 안착되어 이송숙성부(30)의 일측으로 이송되면서 건조 및 숙성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제1컨베이어(32)로부터 낙하되는 반죽은 제2컨베이어(34) 상면에 안착되어 다시 이송숙성부(30) 타측으로 이송되면서 상온의 공기에 노출되면서 건조 및 숙성이 이루어지고, 제2컨베이어(34)로부터 낙하되는 반죽은 제3컨베이어(36)의 상면에 안착되어 다시 이송숙성부(30)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숙성부(30)는, 3개의 컨베이어에 의해 반죽이 일측 및 타측으로 왕복되면서 상온의 공기에 설정 시간 동안 노출되어 건조 및 숙성이 이루어지게 되고, 제1컨베이어(32), 제2컨베이어(34) 및 제3컨베이어(36)를 통과하는 동안 충분한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이 이루어지므로 빵 굽는 작업에 적당한 반죽을 이루게 된다.
물론, 제1컨베이어(32), 제2컨베이어(34) 및 제3컨베이어(36)의 길이 및 이송 속도를 조절하여 반죽이 상온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컨베이어(32), 제2컨베이어(34) 및 제3컨베이어(36)로부터 반죽이 낙하되면서 상면 및 저면이 역전되어 반죽과 컨베이어 상면이 밀착되어 공기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이 건조 및 숙성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32), 제2컨베이어(34) 및 제3컨베이어(36)를 통과하면서 건조 및 숙성된 반죽은 꼬임제공부(50)를 통과하면서 꽈배기 모양으로 꼬이게 되고, 꽈배기 모양으로 꼬인 반죽이 오븐을 통과하면서 가열되면 빵틀(72)에 빵이 가득 차도록 반죽이 부풀어 오르면서 구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꼬임제공부(50)는, 베이스블록(52)과, 베이스블록(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죽이 안착되는 경사면(56a)을 구비하는 회전블록(56)과, 경사면(56a)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베이스블록(52)에 설치되고, 회전블록(56)의 일부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회전블록(56)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반죽에 마찰되며, 경사면(56a)에 대향되는 경사부(58a)를 구비하는 마찰가이드(58)와, 베이스블록(52)에 설치되고, 회전블록(56)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4)를 포함한다.
제3컨베이어(36) 타측 단부 일측에는 베이스블록(52)이 지면에 설치되고, 베이스블록(52)의 상면에는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블록(5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블록(56)의 일부분이 덮여지도록 베이스블록(52)으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대에 원뿔의 상면 일부분을 감싸는 모양의 마찰가이드(58)가 설치된다.
마찰가이드(58)의 일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굴곡되는 투입가이드(59b)가 구비되므로 제3컨베이어(36)로부터 낙하되는 반죽을 작업자가 긴 막대 모양으로 늘인 후에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으로 투입하면 회전블록(56)의 경사면(56a)에 반죽이 안착되어 마찰가이드(58)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회전블록(56)에 안착되는 반죽은,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반죽의 외벽이 마찰가이드(58)에 의해 마찰되므로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으로 반죽이 구르면서 통과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꼬임제공부(50)는, 회전블록(56)에 안착되어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도록 경사면(56a)과 경사부(58a)는, 서로 다른 기울기로 이루어지므로 막대 모양으로 길게 형성되는 반죽의 상부, 중부 및 하부의 회전 정도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게 된다.
원뿔 모양의 회전블록(56) 상부에 안착되는 반죽의 상부는 회전블록(56)이 한 바퀴 회전될 때에 이동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반죽에 제공되는 비틀림 외벽이 작고, 반죽의 하부로 갈수록 회전블록(56)이 한 바퀴 회전 때에 반죽이 이동되는 거리가 길어지므로 작업자가 반죽의 하단을 잡고 반죽을 회전시켜 꼬임을 만드는 작업 동일한 작업이 반죽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꼬임제공부(50)를 통과한 반죽은 꽈배기 모양으로 꼬인 상태로 배출되고, 작업자는 꽈배기 모양의 반죽을 절반으로 접어 다시 한 번 꽈배기 모양으로 꼬아서 빵틀(72)에 수납시킨다.
빵틀(72)은 복수 개의 구획격벽(72a)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빵틀(72)이 안착되는 오븐컨베이어(72b)가 구동되면 다수 개의 반죽이 수납되는 다수 개의 빵틀(72)이 오븐컨베이어(72b)를 따라 오븐 내부로 삽입되면서 빵 굽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빵가루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빵가루 제조방법은, 빵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물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도록 절단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절단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이송숙성부(30)에 공급하여 이동시키면서 상온에서 설정된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시키는 단계와, 이송숙성부(30)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회전블록(56) 및 마찰가이드(58)를 구비하는 꼬임제공부(50)에 공급하여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를 통과하는 반죽이 꽈배기 모양으로 꼬이게 하는 단계와, 꼬임제공부(50)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빵틀(72)에 수납하여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빵을 굽는 단계와,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을 분쇄하여 섬유질 모양의 빵가루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작업자가 반죽 덩어리를 호퍼(12)에 투입하면 반죽 덩어리가 본체(14)를 통과하면서 1개의 빵 조리에 요구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으로 절단되어 배출컨베이어(16)를 따라 배출되고, 배출컨베이어(16)에서 낙하되는 반죽은 제1컨베이어(32), 제2컨베이어(34) 및 제3컨베이어(36)를 따라 이동되면서 상온의 공기와 접촉되면서 건조 및 숙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숙성이 완료된 반죽은 제3컨베이어(36)의 타단에서 작업자가 수거하여 긴 막대 모양으로 늘린 후에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으로 투입되어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반죽이 꽈배기 모양으로 꼬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꼬임제공단계는, 원뿔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블록(56)의 경사면(56a)에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이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반죽의 일부분이 마찰가이드(58)와 마찰되면서 반죽에 비틀림 외력이 발생되어 이루어진다.
마찰가이드(58)는, 베이스블록(52)으로부터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지지경사대(59c)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경사대(59c)의 상단에는 구동축(5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착플레이트(59d)가 설치되며, 마찰가이드(58) 외벽에는 지지경사대(59c)에 연결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복수 개의 보강리브(59a)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기간 동안 반죽이 투입되어 마찰가이드(58)에 마찰되면서 꼬임 작동이 진속되어도 마찰가이드(58)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가이드(58)와 회전블록(56)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반죽은 꽈배기 모양으로 꼬여진 상태로 배출되고, 작업자는 반죽을 절반으로 접어 다시 한 번 꼬아서 빵틀(72)에 수납하고, 오븐컨베이어(72b)의 작동에 의해 오븐으로 투입되는 반죽이 가열되면서 빵으로 구워지게 된다.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틀(72)은 역전장치에 의해 회전되면서 빵틀(72)로부터 빵이 분리 배출되고, 빵틀(72)에서 배출된 빵은 분쇄부를 통과하면서 섬유질 모양으로 길게 분쇄되어 빵가루를 이루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빵가루 제조장치의 꼬임제공부(50)는, 회전블록(56)에 안착되는 반죽이 회전블록(56)에 밀착되어 마찰가이드(58)와 접촉되지 않고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죽을 회전블록(56)으로부터 마찰가이드(58) 측으로 유동시키는 진동제공부(80)를 더 포함한다.
반죽이 질게 형성되거나 반죽이 회전블록(56)의 경사면(56a)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마찰가이드(58)가 반죽에 마찰되어도 반죽이 꼬여지지 않고 이동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경사면(56a)으로부터 말착가이드 측으로 돌출 또는 후퇴되면서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제공부(80)가 구비되므로 반죽이 회전블록(56)에 밀착되면서 꼬여지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진동제공부(80)는, 회전블록(5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블록(56)에서 마찰가이드(58)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진동롤러(82)와, 진동롤러(82)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회전블록(56)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4)와, 구동모터(84)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진동롤러(82) 내부에 설치되어 출력축과 진동롤러(82)를 연결하는 편심캠(86)과, 베이스블록(52)에 제공되는 전원을 회전블록(56)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모터(84)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베이스블록(52)과 회전블록(5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부(90)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블록(56)이 구동부(54)의 작동에 의해 회전될 때에 전원공급부(90)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84)에 전원이 공급되고, 구동모터(84)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편심캠(86) 및 진동롤러(82)가 회전되면서 경사면(56a) 외측 방향으로 진동롤러(82)가 출몰되면서 진동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진동롤러(82)가 마찰가이드(58) 방향으로 출몰되는 진동이 제공되므로 경사면(56a)에 안착되는 반죽은 마찰가이드(58) 측으로 밀려나면서 마찰가이드(58)에 쉽게 마찰되면서 회전블록(56)과 마찰가이드(58) 사이에서 꼬여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전운제공부는, 베이스블록(52) 상면에 설치되고, 슬라이딩홈부(92a)가 형성되는 원형단자(92)와, 슬라이딩홈부(92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원형단자(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구동모터(8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단자(88)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단자(88)는 구동모터(84)의 하단으로부터 회전블록(56)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슬라이딩단자(88)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굴곡되는 굴곡대(88a)를 구비하므로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블록(56)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굴곡대(88a)가 회전블록(56)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홈부(92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원형단자(92)에 제공되는 전원이 굴곡대(88a) 및 슬라이딩단자(88)를 통해 구동모터(84)에 전달되어 회전블록(56)이 회전되는 동안에도 구동모터(84)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에의 회전블록(56)은, 구동부(54)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구동부(54)는, 베이스블록(52)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모터(54a)와, 회전모터(54a)의 출력축에 설치되는 주동풀리(54b)와, 주동풀리(54b)와 구동벨트(54d)에 의해 연결되고 구동축(57)에 설치되는 종동풀리(54c)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모터(54a)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동풀리(54b), 구동벨트(54d) 및 종동풀리(54c)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축(57) 및 회전블록(56)이 회전되면서 경사면(56a)에 안착되는 반죽을 꽈배기 모양으로 변형시키게 된다.
이로써, 섬유질과 같이 결이 이 길쭉하게 형성되는 빵가루를 생산할 수 있도록 반죽을 길게 팽창시키고, 꽈배기 모양으로 꼬아서 오븐에서 빵을 제조한 후에 빵을 분쇄하여 섬유질 모양의 빵가루를 제조할 수 있고, 반죽을 꽈배기 모양으로 꼬는 작업을 진행할 때에 작업자의 수작업을 감소시켜 빵가루 제조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빵가루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빵가루 제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빵가루 제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반죽부 12 : 호퍼
14 : 본체 16 : 배출컨베이어
30 : 이송냉각부 32 : 제1컨베이어
34 : 제2컨베이어 36 : 제3컨베이어
50 : 꼬임제공부 52 : 베이스블록
54 : 구동부 56 : 회전블록
58 : 마찰가이드 72 : 빵틀
80 : 진동제공부 82 : 진동롤러
84 : 구동모터 86 : 편심캠
90 : 전원공급부 92 : 원형단자
94 : 이동단자

Claims (5)

  1. 빵의 원료가 되는 재료를 물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반죽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하는 반죽부;
    상기 반죽부로부터 배출되는 단위 크기의 반죽을 설정된 시간 동안 상온에서 이송시키면서 건조 및 숙성을 행하는 이송숙성부;
    상기 이송숙성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여 꽈배기 모양의 꼬임을 형성하는 꼬임제공부;
    상기 꼬임제공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빵틀에 수납하여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빵 굽는 작업을 행하는 오븐; 및
    상기 오븐에서 배출되는 빵을 분쇄하여 빵가루를 제공하는 분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가루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숙성부는,
    상기 반죽부에서 배출되는 반죽을 일측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일단부와 비교하여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을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 및
    상기 제2컨베이어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의 타단부와 비교하여 길게 연장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반죽이 안착되고, 반죽을 다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가루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임제공부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반죽이 안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회전블록;
    상기 경사면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고, 회전블록의 일부분에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회전블록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반죽에 마찰되며, 상기 경사면에 대향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마찰가이드;
    상기 베이스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블록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블록에 안착되는 반죽이 상기 회전블록에 밀착되어 상기 마찰가이드와 접촉되지 않고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죽을 상기 회전블록으로부터 상기 마찰가이드 측으로 유동시키는 진동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가루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블록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블록과 상기 마찰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는 반죽에 비틀림 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가루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제공부는,
    상기 회전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블록에서 상기 마찰가이드 측으로 편심되게 설치되는 진동롤러;
    상기 진동롤러에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블록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롤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과 상기 진동롤러를 연결하는 편심캠; 및
    상기 베이스블록에 제공되는 전원을 상기 회전블록과 함께 회전되는 상기 구동모터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회전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빵가루 제조장치.
KR1020190071029A 2019-06-14 2019-06-14 빵가루 제조장치 KR102181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29A KR102181143B1 (ko) 2019-06-14 2019-06-14 빵가루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029A KR102181143B1 (ko) 2019-06-14 2019-06-14 빵가루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330A Division KR102017794B1 (ko) 2019-01-21 2019-01-21 빵가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빵가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596A true KR20200090596A (ko) 2020-07-29
KR102181143B1 KR102181143B1 (ko) 2020-11-20

Family

ID=7189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029A KR102181143B1 (ko) 2019-06-14 2019-06-14 빵가루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1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455A (ja) * 1995-06-05 1996-12-10 Fujisawa:Kk 丸目機
KR100432412B1 (ko) * 2002-07-12 2004-05-22 오용기 빵가루의 제조방법
KR101903015B1 (ko) * 2017-04-05 2018-10-01 이주현 냉방부가 구비된 저온숙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455A (ja) * 1995-06-05 1996-12-10 Fujisawa:Kk 丸目機
KR100432412B1 (ko) * 2002-07-12 2004-05-22 오용기 빵가루의 제조방법
KR101903015B1 (ko) * 2017-04-05 2018-10-01 이주현 냉방부가 구비된 저온숙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143B1 (ko) 2020-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86469B2 (ja) 混捏装置
CN110959642B (zh) 一种夹心面饼生产设备
JP2000093069A (ja) ペ―ス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ペ―スト製品の製造装置
KR102017794B1 (ko) 빵가루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빵가루 제조방법
KR200384226Y1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KR20200090596A (ko) 빵가루 제조장치
EP2897461B1 (en) Dough kneader machine and related method of making an alimentary dough
CN111513089A (zh) 一种薄脆饼干自动烘烤装置
KR20060091364A (ko) 반죽기 및 그 반죽기를 갖는 생면제조장치
US5182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heet of dough
KR20200102296A (ko) 압출 제면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면
KR102242717B1 (ko) 재료 커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반죽 혼합 장치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CA3203246C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US11432564B2 (en) Progressive hydration system
CN220405864U (zh) 一种肉松生产用分散筛选机
CN216906613U (zh) 新型压面机
US12004536B2 (en) Foodstuff processing apparatus
CN218551112U (zh) 一种黄精面条成型装置
CN217509776U (zh) 一种酸面团发酵型饼干的研发装置
CN215346737U (zh) 一种用于面包屑生产的分割机
SU1120505A2 (ru) Тестомесильна машина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
JPH10225258A (ja) パンの製造方法
JP2552715Y2 (ja) 生地の分割切断装置
RU11962U1 (ru) Машина формовки печень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