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138A -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138A
KR20200090138A KR1020200007498A KR20200007498A KR20200090138A KR 20200090138 A KR20200090138 A KR 20200090138A KR 1020200007498 A KR1020200007498 A KR 1020200007498A KR 20200007498 A KR20200007498 A KR 20200007498A KR 20200090138 A KR20200090138 A KR 2020009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upport
karaoke
hologra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057B1 (ko
Inventor
남성규
장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딜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딜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딜루션
Publication of KR2020009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 본체 및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서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볼 수 있어 노래반주시스템 이용 시 재미와 흥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KARAOKE MIKE FOR DISPLAYING HOLOGRAM IMAGE AND KARAOK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노래를 부르면서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의 노래반주시스템은 노래반주기와 노래방마이크를 구비하며, 노래반주기로부터 선곡된 노래 반주곡이 재생되면,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노래방 마이크를 통하여 가창함으로써, 노래반주기에 스피커를 통하여 노래반주곡과 음성이 출력된다.
노래반주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 주로 상가에 위치된 노래방에 이용료를 지불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과 연계되어 가정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노래반주시스템의 이용이 가능한 가정용 블루투스 노래방 마이크가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노래반주시스템은 노래반주기의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서 해당 노래의 가사와 함께 해당 노래의 뮤직비디오 등에 대한 영상이 출력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노래반주시스템은 노래반주기의 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통해 2차원적인 영상을 보면서 노래를 부르게 되어 사용자가 주로 가사만 보게 되고, 영상에 대한 흥미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노래반주시스템은 2차원 영상으로 사용자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서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볼 수 있어 노래반주시스템 이용 시 재미와 흥미를 크게 향상시키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보면서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얼굴에 맞게 마이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의 일 실시예는 마이크 본체 및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는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하면부, 측면부, 후면부와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가 삽입되는 미디어 기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 상기 하면부의 홀로그램 영상 확인용 개방부에 위치되는 투명 필름부재 및 상기 상면부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반사 패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상기 지지부는 후측으로 기울어져 위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는 전면 측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은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에 의해 커버되는 스크린 패널용 개방부가 구비되어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스크린 지지 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는 후측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스크린 지지 패널부는 상기 하면부의 후단부 측에 하단부가 연결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면부의 선단부 측에 연결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에는 사용자의 이마를 지지하는 이마 지지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마 지지부는 상기 전면부의 상단 또는 상기 상면부에 연결된 형태로 상기 전면부를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고 사용자의 이마가 안착될 수 있는 이마 안착홈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하면부에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1코삽입부와 제2코삽입부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는 상기 마이크 본체와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를 연결하여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마이크 본체가 관통되어 위치되어 상기 마이크 본체가 거치되는 마이크 거치부 및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양 측면에 각각 일단부 측이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마이크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 거치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일단부 측이 힌지부로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 링크부재 및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링크부재에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마이크 거치부에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 링크부재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에 맞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 링크부재는 일단부 측이 힌지부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본체, 상기 링크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지지 링크부재와 연결되는 이동 링크체 및 상기 이동 링크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링크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부는 힌지축부, 상기 힌지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을 구비한 힌지몸체 및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힌지몸체의 회전 각도를 구속하는 회전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스토퍼부는 상기 힌지축부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구속홈부, 상기 힌지축부가 위치되는 축구멍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부에 삽입되고 기설정된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구속홈에서 이탈되어 회전 방향에서 다음 구속홈부로 이동되는 스토퍼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마이크 거치부에 위치되는 상기 마이크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마이크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이크 승하강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레크 기어부재, 상기 마이크 거치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레크 기어부재에 맞물려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재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거치부의 외측에 노출되어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 핸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은 마이크 본체 및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 본체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가 선택되는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의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카메라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변 장소의 영상에 캐릭터를 포함시킨 영상을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은 마이크 본체 및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어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VR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서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볼 수 있어 노래반주시스템 이용 시 재미와 흥미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통해 사용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켜 노래반주시스템에 대한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보면서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얼굴에 맞게 마이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보면서 노래를 편하게 부를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지지대의 힌지부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는 마이크 본체(100)와 마이크 본체(100)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를 포함한다.
마이크 본체(100)는 다수의 노래에 대한 반주가 저장되고, 다수의 노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노래 선택부, 모니터를 통해 노래의 가사와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방 반주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공지의 마이크일 수도 있고,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블루투스 노래방 마이크일 수도 있다.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는 마이크 본체(10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마이크 본체(100)를 잡고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의 일 실시예는 마이크 본체(100)와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를 연결하여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대(300)를 더 포함한다.
지지대(300)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위치를 지지하여 사용자가 마이크 본체(100)를 잡고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게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홀로그램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300)는 사용자에 따라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기능 및 길이 조절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마이크 본체(100)가 관통되어 위치되어 마이크 본체(100)가 거치되는 마이크 거치부(330),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양 측면에 각각 일단부 측이 힌지부(340)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타단부 측이 마이크 거치부(330)에 연결되어 마이크 거치부(330)의 위치를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310, 3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지지부(310, 320)는 일단부 측이 힌지부(340)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측면에 힌지부(340)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 링크부재(310),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링크부재(310)에 힌지부(340)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마이크 거치부(330)에 힌지부(340)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 링크부재(320)를 포함한다.
제1지지 링크부재(310)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제1지지 링크부재(310)는 일단부 측이 힌지부(340)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본체(311a), 링크 본체(31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2지지 링크부재(320)와 연결되는 이동 링크체(311b), 이동 링크체(311b)의 위치를 고정하는 링크 고정구(311c)를 포함한다.
링크 고정구(311c)는 링크 본체(311a)에 체결되어 이동 링크체(311b)를 가압하여 이동 링크체(311b)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세트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이동 링크체(311b)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공지의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동 링크체(311b)는 세트 스크류인 링크 고정구(311c)가 풀린 상태에서 링크 본체(311a)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가 짧아지거나 링크 본체(311a)의 외부로 인출되어 길이를 늘릴 수 있다.
이동 링크체(311b)의 길이가 조절된 후 세트 스크류인 링크 고정구(311c)를 체결하여 세트 스크류로 이동 링크체(311b)를 가압함으로써 길이가 조절된 이동 링크체(311b)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지지대의 힌지부(340)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힌지부(340)는 힌지축부(341), 힌지축부(341)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을 구비한 힌지몸체(342), 힌지축부(341)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힌지몸체(342)의 회전 각도를 구속하는 회전 스토퍼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부(343)는 힌지축부(341)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구속홈부, 힌지축부(341)가 위치되는 축구멍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구속홈부에 삽입되고 기설정된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구속홈에서 이탈되어 회전 방향에서 다음 구속홈부(721)로 이동되는 스토퍼 돌기부를 포함한다.
스토퍼 돌기부는 축구멍의 내주면으로 돌출되는 스토퍼 볼부재(343a), 스토퍼 볼부재(343a)를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 스프링부재(343b)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토퍼 돌기부는 이외에도 기설정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 홈에서 이탈되어 다른 홈에 삽입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힌지부(340)는 기설정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회전되어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와 마이크 본체(10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되고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즉, 사용자가 바뀌면서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에 맞게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와 마이크 본체(100)의 각도를 재조정할 경우에만 힌지부(340)에 기설정된 힘 이상을 가해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와 마이크 본체(100)의 각도를 재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의 일 실시예에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는 골판지, 하드보드지 등의 강성을 가지는 종이재질 또는 폼보드 등과 같은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보드 등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외부 케이싱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마이크 본체(100)를 손으로 잡고 사용 시 무게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하고, 사용 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는 전면부(210), 후면부(220), 상면부(230), 하면부(240), 측면부(250), 후면부(220)와 이격되어 사이에 미디어 기기 삽입부(280a)를 형성하는 지지부(280)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싱,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210)에는 사용자가 홀로그램 영상을 볼수 있도록 하는 영상 확인용 개방부(210a)가 위치된다.
또한, 하면부(240)에는 투명 필름부재(200a)가 위치되는 홀로그램 영상 확인용 개방부(240a)가 위치되고, 투명 필름부재(200a)가 홀로그램 영상 확인용 개방부(240a)를 커버하도록 위된다.
그리고, 상면부(230)의 하부면에는 반사 패널부재(200c)가 위치된다.
휴대용 미디어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가능하고,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기기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전면부(210), 후면부(220), 지지부(280)는 후측으로 기울어져 위치되고, 본체 케이싱 내에서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는 전면 측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전사된 영상이 맺히는 판으로서, 홀로그램 처리된 투명판이며, 투과율이 약50%, 반사율이 약50% 정도되며, 홀로그램 처리된 판으로서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한다.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는 스크린 패널용 개방부(270a)가 구비되어 본체 케이싱 내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된 스크린 지지 패널부(270)에 스크린 패널용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크린 지지 패널부(270)는 하면부(240)의 후단부 측에 하단부가 연결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면부(230)의 선단부 측에 연결되게 위치되어 본체 케이싱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고,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는 기울어진 스크린 지지 패널부(270) 상에 장착되어 스크린 패널용 개방부(270a)를 커버하도록 위치되어 스크스크린 지지 패널부(270)와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지게 위치된다.
영상 확인용 개방부(210a)는 사용자의 눈이 위치되도록 이격된 개방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하면부(240)의 투명 필름부재(200a)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후면부(220)에는 화면용 개방부(220a)가 위치되고, 화면용 개방부(220a)는 미디어 기기 삽입부(280a)에 위치된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 전체를 노출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전면부(210)와 후면부(220)는 후측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하면부(240)의 투명 필름부재(200a)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을 확인한다.
사용자의 눈이 위치되는 전면부(210)와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이 노출되는 후면부(220)는 후면 측으로 기울어져 서로 나란하게 위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확인용 개방부(210a)를 통해 투명 필름부재(200a)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에서 출력되는 2D 화면은 상면부(230)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반사 패널부재(200c), 본체 케이싱 내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된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을 통해 하면부(240)에 위치되는 투명 필름부재(200a)에 3D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하부면의 투명 필름부재(200a)를 통해 홀로그램 영상을 확인하게 된다.
반사 패널부재(200c),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 투명 필름부재(200a)를 이용한 홀로그램의 영상 출력은 공지의 홀로그램 변환 구조에서 공지된 것으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체 케이싱에는 사용자의 이마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홀로그램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마 지지부(260)가 위치된다.
이마 지지부(260)는 전면부(210)의 상단 또는 상면부(230)에 연결된 형태로 전면부(210)를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고 사용자의 이마가 안착될 수 있는 이마 안착홈부(260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마 지지부(260)는 전면부(210)의 상단 측에 위치되고 이마 안착홈부(260a)가 위치되는 이마 지지 패널부재(261), 이마 지지 패널부재(261)의 양 측에서 전면부(210)에 세워져 위치되어 이마 지지 패널부재(261)를 지지하는 받침 패널부재(262)를 포함한다.
이마 지지 패널부재(261)는 양 측면에서 전면부(210)에 세워지게 위치되는 받침 패널부재(262)에 의해 지지되어 사용자의 이마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210)와 하면부(240)에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1코삽입부(210a)와 제2코삽입부(240b)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제1코삽입부(210a)와 제2코삽입부(240b)는 사용자가 마이크 본체(100)를 잡은 상태에서 이마 안착홈부(260a) 내로 이마를 안착시킬 때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면서 코에 안착되어 지지됨으로써 본체 케이싱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마이크 본체(100)를 잡고 이마 안착홈부(260a) 내에 이마를 밀착시키면 사용자의 시야는 본체 케이싱의 하면부(240)를 향하게 되어 투명 패널부재를 통해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200b)와 반사 패널부재(200c)에 의해 형성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는 제1코삽입부(210a)와 제2코삽입부(240b)를 통해 삽입된 사용자의 코에 안착됨과 아울러 이마 지지 패널부재(261)의 이마 안착홈부(260a) 내에 이마가 안착되면서 하중을 분산하여 사용자가 마이크를 잡고 노래를 부를 때 팔에 가해지는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하중을 최소화하고 사용 시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은 마이크 본체(100) 및 마이크 본체(100)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 휴대용 미디어 기기(1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 본체(100)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가 선택되는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체 케이싱의 어느 한면에는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웹페이지 또는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을 체험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여는 QR 코드 등이 위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을 용이하게 체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이크 본체(100),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200)의 실시예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어 중복 기재로 생략함을 밝혀둔다.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은 노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노래의 반주 및 영상을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노래에 대해 기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도 있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10) 즉, 스마트폰의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카메라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변 장소에 대한 영상에 캐릭터를 포함시킨 영상을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캐릭터는 해당 노래의 가수에 대한 캐릭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만화 캐릭터 또는 새로 디자인한 캐릭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해당 노래의 가수에 대한 캐릭터인 경우 사용자에서 홀로그램 영상을 통해 해당 노래의 가수와 함께 노래를 부르는 느낌 또는 해당 노래의 가수가 된 것 같은 느낌을 주어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가 느끼는 흥미와 재미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은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노래를 부르는 장소의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캐릭터와 함께 화면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장소에서 캐릭터가 함께하는 느낌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시선이 변경될 때 캐릭터가 함께 이동하는 캐릭터 이동모드, 캐릭터가 고정되게 위치되고 사용자의 시선 변경에 따른 주변 장소 화면만 변경되는 캐릭터 고정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 시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으로 사용자가 부르는 노래에 해당되는 영상이 출력 중인 상태에서 미디어 기기 삽입부(280a) 내로 삽입되고, 이 때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화면이 전면부(210)를 향하도록 미디어 기기 삽입부(280a) 내로 삽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시스템은 마이크 본체(100) 및 마이크 본체(100)에 연결되어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VR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VR기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지의 VR기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에서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지지대(300)는 마이크 거치부(330)에 위치되는 마이크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마이크 승하강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승하강부(350)는 마이크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레크 기어부재(351), 마이크 거치부(33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레크 기어부재(351)에 맞물려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재(352), 피니언 기어부재(352)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마이크 거치부(330)의 외측에 노출되어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 핸들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핸들부재(353)를 잡고 조작 핸들부재(353)를 좌, 우로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부재(352)를 회전시킬 수 있고, 피니언 기어부재(352)가 회전되는 회전 방향에 따라 레크 기어부재(351)가 상, 하 이동하면서 마이크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마이크 승하강부(350)는 이마 제1코삽입부(210a)와 제2코삽입부(240b)를 통해 삽입된 사용자의 코에 안착됨과 아울러 이마 지지 패널부재(261)의 이마 안착홈부(260a) 내에 이마가 안착되면서 하중을 분산하여 사용자가 마이크를 잡고 노래를 부를 때 팔에 가해지는 휴대용 미디어 기기(10)의 하중을 최소화하고 사용 시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면서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볼 수 있어 노래반주시스템 이용 시 재미와 흥미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통해 사용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켜 노래반주시스템에 대한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보면서 노래를 부를 때 사용자의 얼굴에 맞게 마이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홀로그램 입체 영상을 보면서 노래를 편하게 부를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시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휴대용 미디어 기기 100 : 마이크 본체
200 :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 200a : 투명 필름부재
200b :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 200c : 반사 패널부재
210 : 전면부 210a : 영상 확인용 개방부
210b : 제1코삽입부 220 : 후면부
220a : 화면용 개방부 230 : 상면부
240 : 하면부 240a : 홀로그램 영상 확인용 개방부
240b : 제2코삽입부 250 : 측면부
260 : 이마 지지부 261 : 이마 지지 패널부재
262 : 받침 패널부재 260a : 이마 안착홈부
270 : 스크린 지지 패널부 270a : 스크린 패널용 개방부
280 : 지지부 280a : 미디어 기기 삽입부
300 : 지지대 310 : 제1지지 링크부재
311a: 링크 본체 311b : 이동 링크체
311c : 링크 고정구 320 : 제2지지 링크부재
330 : 마이크 거치부 340 : 힌지부
341 : 힌지축부 342 : 힌지몸체
343 : 회전 스토퍼부 343a : 스토퍼 볼부재
343b : 스토퍼 스프링부재
350 : 마이크 승하강부 351 : 레크 기어부재
352 : 피니언 기어부재 353 : 조작 핸들부재

Claims (19)

  1. 마이크 본체; 및
    상기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는,
    전면부, 후면부, 상면부, 하면부, 측면부, 후면부와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가 삽입되는 미디어 기기 삽입부를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의 내부에 경사지게 위치되는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
    상기 하면부의 홀로그램 영상 확인용 개방부에 위치되는 투명 필름부재; 및
    상기 상면부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반사 패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상기 후면부, 상기 지지부는 후측으로 기울어져 위치되고,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는 전면 측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은,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에 의해 커버되는 스크린 패널용 개방부가 구비되어 내부에서 기울어지게 위치되어 상기 홀로그램 스크린패널부재의 위치를 지지하는 스크린 지지 패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는 후측으로 기울어지게 위치되고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고,
    상기 스크린 지지 패널부는 상기 하면부의 후단부 측에 하단부가 연결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면부의 선단부 측에 연결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에는 사용자의 이마를 지지하는 이마 지지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마 지지부는,
    상기 전면부의 상단 또는 상기 상면부에 연결된 형태로 상기 전면부를 향해 돌출되게 위치되고 사용자의 이마가 안착될 수 있는 이마 안착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와 상기 하면부에는 서로 연결된 형태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코가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1코삽입부와 제2코삽입부가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본체와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를 연결하여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마이크 본체가 관통되어 위치되어 상기 마이크 본체가 거치되는 마이크 거치부; 및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양 측면에 각각 일단부 측이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마이크 거치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 거치부의 위치를 지지하는 마이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지지부는,
    일단부 측이 힌지부로 상기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지지 링크부재; 및
    일단부 측이 제1지지 링크부재에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상기 마이크 거치부에 힌지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지지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링크부재는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에 맞게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 링크부재는,
    일단부 측이 힌지부로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본체;
    상기 링크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지지 링크부재와 연결되는 이동 링크체; 및
    상기 이동 링크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링크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힌지축부;
    상기 힌지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축구멍을 구비한 힌지몸체; 및
    상기 힌지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힌지몸체의 회전 각도를 구속하는 회전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토퍼부는,
    상기 힌지축부의 외주면에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구속홈부;
    상기 힌지축부가 위치되는 축구멍의 내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속홈부에 삽입되고 기설정된 회전력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면 구속홈에서 이탈되어 회전 방향에서 다음 구속홈부로 이동되는 스토퍼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마이크 거치부에 위치되는 상기 마이크 본체의 높이를 조절하는 마이크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승하강부는,
    상기 마이크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레크 기어부재;
    상기 마이크 거치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레크 기어부재에 맞물려 위치되는 피니언 기어부재; 및
    상기 피니언 기어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마이크 거치부의 외측에 노출되어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조작 핸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17. 마이크 본체;
    상기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고 휴대용 미디어 기기에서 출력되는 화면을 홀로그램 영상으로 출력하는 홀로그램 영상 표시기; 및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 본체와 무선통신하여 사용자가 선택되는 노래에 대한 반주 및 영상을 출력하는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용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의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카메라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주변 장소의 영상에 캐릭터를 포함시킨 영상을 상기 휴대용 미디어 기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
  19. 마이크 본체; 및
    상기 마이크 본체에 연결되어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VR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시스템.
KR1020200007498A 2019-01-18 2020-01-20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 KR102302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6939 2019-01-18
KR1020190006939 2019-0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138A true KR20200090138A (ko) 2020-07-28
KR102302057B1 KR102302057B1 (ko) 2021-09-15

Family

ID=7183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498A KR102302057B1 (ko) 2019-01-18 2020-01-20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03Y1 (ko) 2021-01-26 2022-06-10 주식회사 알앤에스 모바일 장치 거치대가 설치된 마이크 장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9001A (ja) * 2004-04-20 2005-11-04 Make Softwear:Kk カラオケ用マイク付きリモコン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8010966A (ja) * 2006-06-27 2008-01-17 Xing Inc 動画生成システム、及び動画生成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9001A (ja) * 2004-04-20 2005-11-04 Make Softwear:Kk カラオケ用マイク付きリモコン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8010966A (ja) * 2006-06-27 2008-01-17 Xing Inc 動画生成システム、及び動画生成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503Y1 (ko) 2021-01-26 2022-06-10 주식회사 알앤에스 모바일 장치 거치대가 설치된 마이크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057B1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9927B (zh) 便携式电子、电气设备的配件
KR100280860B1 (ko) 화상 표시 장치
US8764206B2 (en) Accessory for reflecting an image from a display scree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8196629A (zh) 显示设备
CN107003515B (zh) 头戴式电子装置
CN113243653A (zh) 具有显示器且集成有人工智能语音助手的智能化妆镜装置
US20220369023A1 (en) Virtual reality headset with foldable head straps
US20090257136A1 (en) Image magnifying device for portable multimedia player
KR20200090138A (ko) 홀로그램 영상 표시가 가능한 노래방 마이크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시스템
CN107153444A (zh) 一种智能终端及其投影显示方法
KR101538660B1 (ko) 입체영상장치
CN102314068A (zh) 全息幻影成像装置及方法
CN206440937U (zh) 用于显示全息图的折叠箱
US10762812B1 (en) Compact and stand alone holographic device using mobile phone, tablet, or computer screen
KR20030017504A (ko) 거치형 카메라 장치
US20180110145A1 (en) Display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6863341U (zh) 头戴式显示设备
KR20110003452U (ko) 반주기 및 어학 학습기 겸용 모니터 일체형 휴대용 유/무선 마이크 구조
CN111133364A (zh) 双模式耳机
US20230252961A1 (en) Space music stand device
JP2023523888A (ja) ディスプレイ背面投影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6427370B1 (en) Picture frame with sound and motion producing means
CN209327691U (zh) 虚拟现实眼镜
CN101458436B (zh) 投影仪
CN207976793U (zh) 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