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521A -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 Google Patents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521A
KR20200089521A KR1020190006363A KR20190006363A KR20200089521A KR 20200089521 A KR20200089521 A KR 20200089521A KR 1020190006363 A KR1020190006363 A KR 1020190006363A KR 20190006363 A KR20190006363 A KR 20190006363A KR 20200089521 A KR20200089521 A KR 2020008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usion
needle
fluid
rubber stopp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283B1 (ko
Inventor
박종관
박준성
박준수
우선옥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북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2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1Inlet or outlet ports with connection retaining means, e.g. thread or snap-f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액세트를 구성하는 도입침의 형태를 개선하여 도입침 삽입시 고무마개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고무마개의 조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수액팩의 고무마개를 관통하여 환자에게 수액을 공급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입침은; 선단부에 형성되어 고무마개를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경사부와, 기둥형태의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수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도입침의 길이방향으로 수액유로가 형성되되, 경사부가 막혀있는 구조가 되도록 도입침의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수액유로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관통형성되어 수액유로와 연결되는 노출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introduction of the needle for Infusion supply set}
본 발명은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액세트를 구성하는 도입침의 형태를 개선하여 도입침 삽입시 고무마개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고무마개의 조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은 환자의 혈관을 통해 필요한 영양분이나 주사액을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전해질, 아미노산, 당 등의 용액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수액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세트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팩과, 상기 수액팩에 삽입되는 도입침과, 수액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점적통과, 상기 점적통과 연결되어 환자에 신체에 삽입된 바늘로 수액을 공급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에 설치되어 수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액팩과 도입침은 최초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의료현장에서 도입침을 수액팩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수액팩의 연결부분에는 고무마개가 형성되어 있어 도입침이 고무마개를 관통하면서 내부의 수액이 환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도입침은 단단한 고무마개를 관통하기 위하여 선단부가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뾰족한 경사면에 수액유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무마개의 마찰력 때문에 도입칩을 직진방향으로 눌러서 관통하기 어려워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도입침을 삽입할 때 좌우로 돌리면서 관통을 시도한다. 또한 도입침의 선단부의 표면에 있는 수액유로의 구멍은 고무마개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삽입방향으로 노출되어 있고, 또 도입침을 좌우로 돌리면서 고무마개의 관통을 시도하기 때문에, 표면이 칼날 같은 수액유로 구멍의 표면이 관통하는 고무마개의 표면과 접촉을 하게되고 뚫어진 고무마개구멍의 표면을 깎게 되므로 고무마개의 일부가 작은 조각(particle)상태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이물질은 수액팩 내부에 돌아다니면서 각종 의료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액세트의 도입침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831102호(수액세트 재사용 방지를 위한 도입침 유닛)에는 수액백 측에 접속되는 접속구에,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한 쌍의 변형부들이 마련되게 하고, 한 쌍의 변형부들을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조절링을 별도의 조작 없이 접속구를 수액백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작동되게 하고, 접속구의 수액백에 대한 접속이 완료된 상태에서 변형조절링의 위치가 고정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도입침을 일회용으로만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재사용으로 인한 오염이나 감염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한 기술로서, 도입침의 삽입과정에서 고무마개의 이물질 생성을 줄이고자 한 기술적 사상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고, 도면상에 도입침의 뾰족한 경사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여서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입침의 선단부에 의하여 고무마개에 관통되는 부분의 표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도입침의 구조를 개선하여, 고무마개에 도입침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고무마개의 작은 조각(particle)으로 이루어진 이물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의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액팩의 고무마개를 관통하여 환자에게 수액을 공급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입침은; 선단부에 형성되어 고무마개를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경사부와, 기둥형태의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수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도입침의 길이방향으로 수액유로가 형성되되, 경사부가 막혀있는 구조가 되도록 도입침의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수액유로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관통형성되어 수액유로와 연결되는 노출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출구멍은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 일정구간에는 몸체부의 단면형상을 달리한 변형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구간 내에 노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구간은 둘레를 따라 오목홈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형구간은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출구멍은 함몰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입침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어떠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막혀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경사부가 고무마개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수액유로의 구멍과 고무마개에 생기는 구멍의 표면 사이에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무마개의 작은 조각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에 형성된 수액유로는 도입침의 둘레방향으로 관통형성된 노출구멍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액공급은 원활하면서 노출구멍에 의한 이물질 생성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서 수액세트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도입침 삽입구조에서 도입침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도입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입침 내부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입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입침의 제2실시예에서 도입침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침의 제3실시예에서 변형구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입침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액세트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액이 수용되어 있는 수액팩(100)과, 상기 수액팩(100)에 삽입되는 도입침(200)과, 수액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점적통(300)과, 상기 점적통(300)과 연결되어 환자에 신체에 삽입된 바늘로 수액을 공급하는 튜브(400)와, 상기 튜브(400)에 설치되어 수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조절기(50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수액팩(100)의 고무마개(110)를 관통하여 환자에게 수액을 공급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입침(200)은;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형성되어 고무마개(1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경사부(210)와, 기둥형태의 몸체부(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220)의 내측에는 수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도입침(200)의 길이방향으로 수액유로(30)가 형성되되, 경사부(210)가 막혀있는 구조가 되도록 도입침(200)의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수액유로(230)와, 상기 몸체부(220)의 둘레에 관통형성되어 수액유로(230)와 연결되는 노출구멍(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입침(200)은 크게 선단부에 뾰족하게 형성된 경사부(210)와, 기둥형태의 몸체부(2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210)는 어떠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막혀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부(210)가 고무마개(110)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표면이 날카로운 수액유로(230)의 구멍과 고무마개(110)에 생기는 관통구멍의 표면과 접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고무마개(110)의 작은 조각이 발생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상기 도입침(200)의 내부에는 점적통(300)과 연결되는 수액유로(230)가 도입침(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액유로(230)는 경사부(210)의 외측까지 관통형성되지 않고 도입침(200)의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입침(200)에는 수액유로(230)와 연결되는 노출구멍(240)이 몸체부(220)의 둘레에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출구멍(240)은 수액팩(100)에 수용된 수액이 최초로 유입되는 구멍으로서, 노출구멍(240)이 몸체부(220)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액이 안정적으로 유입되면서 도입침(200) 삽입과정에서는 고무마개(110)에 형성되는 구멍의 표면과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출구멍(240)은 많은 양의 수액이 유입될 수 있도록 몸체부(2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노출구멍(240)의 개수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노출구멍(240)이 개수가 증가할수록 고무마개(110)와의 접촉될 가능성도 증가하여 이물질이 생성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노출구멍(240)의 개수는 적은 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220)의 길이방향 일정구간에는 몸체부(220)의 단면형상을 달리한 변형구간(A)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구간(A) 내에 노출구멍(240)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2실시예는 변형구간(A)의 형태가 둘레를 따라 오목홈(250)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의 오목홈(250)이 형성된 몸체부(220)의 외경은 오목홈(250)이 형성되지 않은 몸체부(22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노출구멍(240)이 몸체부(220)에서 좀 더 안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출구멍(240)이 고무마개(110)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고무마개(110)의 이물질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25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20)의 둘레를 따라 360도 전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노출구멍(240)이 형성된 부분에만 일정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220)의 길이방향 일정구간에는 몸체부(220)의 단면형상을 달리한 변형구간(A)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구간(A) 내에 노출구멍(240)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변형구간(A)은 몸체부(220)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 돌출부(260)와 함몰부(270)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출구멍(240)은 함몰부(27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노출구멍(240)이 형성되는 변형구간(A)은 단면이 꽃잎무늬와 같은 형태의 돌출부(260)와 함몰부(270)가 반복적으로 원형배치된 형태로 형성되며, 노출구멍(240)이 함몰부(270)에 형성됨으로써, 고무마개(110)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이물질 발생확률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실시예의 경우 노출구멍(240)이 함몰부(270)에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돌출부(260)와 연결되는 부분까지 노출구멍(24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출구멍(240)의 노출면에 굴곡이 발생되며, 이러한 노출면의 굴곡으로 인해 고무마개(110)와 접촉될 확률을 더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4실시예 역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부(220)의 길이방향 일정구간에는 몸체부(220)의 단면형상을 달리한 변형구간(A)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구간(A) 내에 노출구멍(240)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변형구간(A)은 " S " 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며 수액유로(230)는 단면 내부에 형성되고, 노출구멍(240)은 골 부분 안쪽에 형성되어, 삽입과정에서 노출구멍(240)이 고무마개(1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4실시예는 도면과 같이 양쪽 골 부분에 대하여 각각 수액유로(230)와 노출구멍(240)을 형성하여 수액의 공급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는 수액유로(230)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공기배출유로로 구성하여 공기의 흡입이 필요한 경우나, 수액이 담겨있는 유리병에 좀 더 안전하고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수액팩 110 : 고무마개
200 : 도입침 210 : 경사부
220 : 몸체부 230 : 수액유로
240 : 노출구멍 250 : 오목홈
260 : 돌출부 270 : 함몰부
300 : 점적통 400 : 튜브
500 : 조절기 A : 변형구간

Claims (5)

  1. 수액팩(100)의 고무마개(110)를 관통하여 환자에게 수액을 공급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200) 삽입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입침(200)은;
    선단부에 형성되어 고무마개(110)를 관통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 경사부(210)와, 기둥형태의 몸체부(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220)의 내측에는 수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도입침(200)의 길이방향으로 수액유로(230)가 형성되되, 경사부(210)가 막혀있는 구조가 되도록 도입침(200)의 내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수액유로(230)와,
    상기 몸체부(220)의 둘레에 관통형성되어 수액유로(230)와 연결되는 노출구멍(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구멍(240)은 몸체부(2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20)의 길이방향 일정구간에는 몸체부(220)의 단면형상을 달리한 변형구간(A)을 형성하고, 상기 변형구간(A) 내에 노출구멍(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구간(A)은 둘레를 따라 오목홈(250)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구간(A)은 몸체부(220)의 둘레를 따라 외주면에 돌출부(260)와 함몰부(270)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노출구멍(240)은 함몰부(270)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KR1020190006363A 2019-01-17 2019-01-17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KR102237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63A KR102237283B1 (ko) 2019-01-17 2019-01-17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363A KR102237283B1 (ko) 2019-01-17 2019-01-17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521A true KR20200089521A (ko) 2020-07-27
KR102237283B1 KR102237283B1 (ko) 2021-04-08

Family

ID=7189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363A KR102237283B1 (ko) 2019-01-17 2019-01-17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28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80000771Y1 (en) * 1977-09-08 1978-07-31 Su Won Han Infusion set
KR830004858A (ko) * 1981-02-17 1983-07-20 이사오 도미자와 수혈수액용 병침(甁針) 및 통기침(通氣針)
KR830000995U (ko) * 1981-03-26 1983-09-22 이스즈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관체 연결용 금구
JPS629868Y2 (ko) * 1978-01-20 1987-03-07
JPH09131405A (ja) * 1995-11-13 1997-05-20 Naito Seimitsukan Seisakusho:Kk 輸液セット用針型びん針
JP2002011097A (ja) * 2000-06-28 2002-01-15 Kawasumi Lab Inc 液体導入針
JP2004215861A (ja) * 2003-01-14 2004-08-05 Sytecs Corp 薬液用接合栓のビン針
WO2016153003A1 (ja) * 2015-03-26 2016-09-29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樹脂製中空針、穿刺部付外筒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80000771Y1 (en) * 1977-09-08 1978-07-31 Su Won Han Infusion set
JPS629868Y2 (ko) * 1978-01-20 1987-03-07
KR830004858A (ko) * 1981-02-17 1983-07-20 이사오 도미자와 수혈수액용 병침(甁針) 및 통기침(通氣針)
KR830000995U (ko) * 1981-03-26 1983-09-22 이스즈 고오교오 가부시기 가이샤 관체 연결용 금구
JPH09131405A (ja) * 1995-11-13 1997-05-20 Naito Seimitsukan Seisakusho:Kk 輸液セット用針型びん針
JP2002011097A (ja) * 2000-06-28 2002-01-15 Kawasumi Lab Inc 液体導入針
JP2004215861A (ja) * 2003-01-14 2004-08-05 Sytecs Corp 薬液用接合栓のビン針
WO2016153003A1 (ja) * 2015-03-26 2016-09-29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樹脂製中空針、穿刺部付外筒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283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2390B2 (ja) 薬物送達装置
CN107427633B (zh) 具有回血指示器的针组件和相关方法
JP2022064993A (ja) 非対称先端を備えるカテーテル
US7766394B2 (en) Breakaway connectors and systems
US9717887B2 (en) Catheter assembly blood control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4889529A (en) Needle
EP0184798B1 (en) Improved needle assembly
US20170027491A1 (en) Use of Automatic Flow Regulators for Flow Modulation During Blood Collection
EP2812065B1 (en) Drug storage apparatus
KR20200089521A (ko) 수액세트의 도입침 삽입구조
WO2020013125A1 (ja) 注入器具セット
GB2105695A (en) Universal piercing device
JP2024019362A (ja) 医療器具および医療器具セット
EP2812064A1 (en) Medical fluid connector apparatus
RU2721823C1 (ru) Карпульный инъектор
KR20160003613U (ko) 필터를 갖는 비강내 약물 분사 장치
CN110882160A (zh) 注射器组件和用于用药物装填注射器的方法
JP2004237131A (ja) 医療用混注ポート
JP2004237130A (ja) 医療用混注ポート
JP2008200130A (ja) 薬液供給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