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42A - 굴삭기 - Google Patents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42A
KR20200089142A KR1020190005849A KR20190005849A KR20200089142A KR 20200089142 A KR20200089142 A KR 20200089142A KR 1020190005849 A KR1020190005849 A KR 1020190005849A KR 20190005849 A KR20190005849 A KR 20190005849A KR 20200089142 A KR20200089142 A KR 20200089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amp
cylinder
bucket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4171B1 (ko
Inventor
윤희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417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058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74171B1/ko
Priority to CN201922437063.4U priority patent/CN211773982U/zh
Publication of KR20200089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4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4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 상기 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상기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 및 상기 버킷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붐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됨에 따라, 램프 기구가 외부 구조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삭기{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들로 붐, 암 및 버킷을 작동하여 굴삭작업, 적제작업, 파쇄작업, 정지작업 등을 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건설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등에 사용하는 건설기계이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굴삭기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10), 상기 하부 주행체(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20), 상기 상부 회전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30), 상기 붐(30)을 회전시키는 붐 실린더(40), 상기 붐(3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50), 상기 암(50)을 회전시키는 암 실린더(60), 상기 암(5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70), 상기 버킷(70)을 회전시키는 버킷 실린더(80) 및 상기 버킷(70)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램프 기구(90)는 상기 붐(30)의 측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종래의 굴삭기는, 상기 붐 실린더(40)를 이용하여 상기 붐(30)을 조작하고, 상기 암 실린더(60)를 이용하여 상기 암(50)을 조작하며, 상기 버킷 실린더(80)를 이용하여 상기 버킷(70)을 조작함으로서, 땅을 파거나 깎는 등의 작업을 실시하고, 야간에는 상기 램프 기구(90)로 상기 버킷(70) 측을 조사하여 시야를 확보하며 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굴삭기에 있어서는, 램프 기구(90)가 붐(30)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음에 따라 외부 구조물에 의해 자주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01961호
따라서, 본 발명은, 램프 기구가 외부 구조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굴삭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 상기 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상기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 및 상기 버킷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붐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서 상기 붐에 체결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굴삭기를 제공한다.
상기 붐은, 상기 상부 회전체와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암과 힌지 결합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중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부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버킷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버킷 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붐은, 지면에 대향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면에 대향되는 기저판; 상기 기저판의 일 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측판; 및 상기 기저판의 타 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 상기 기저판,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이 상기 램프를 수용하는 램프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기저판에 상기 램프의 조사 각도가 조절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판과 상기 제2 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램프를 정비하고 상기 램프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램프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램프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상부 회전체의 탑승부에 탑승하는 운전자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램프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암과 상기 버킷 사이 연결부위 또는 상기 버킷에는 위치정보 발신기가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램프가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 측을 비추도록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 상기 붐을 회전시키는 붐 실린더; 상기 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상기 암을 회전시키는 암 실린더; 상기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 상기 버킷을 회전시키는 버킷 실린더; 상기 붐 실린더를 보호하는 실린더 가드; 및 상기 버킷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붐 실린더, 상기 실린더 가드 및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붐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굴삭기를 제공한다.
상기 붐 실린더는, 상기 붐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상부 회전체에 힌지 결합되는 붐 실린더 튜브; 및 상기 붐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붐 실린더 튜브의 타단부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붐에 힌지 결합되는 붐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가드는 적어도 상기 붐 실린더 로드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가드의 길이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의 길이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붐 실린더 튜브의 타단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가드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를 기준으로 상기 붐의 반대측에서 상기 붐 실린더 로드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드 상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상판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드 상판의 타단부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가드는 상기 가드 상판의 측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가드 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실린더 가드에 장착되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가드는 상기 램프를 수용하는 램프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 상기 상부 회전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 상기 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상기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 및 상기 버킷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구는 상기 붐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됨에 따라, 램프 기구가 외부 구조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굴삭기에서 붐, 붐 실린더, 실린더 가드 및 램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램프 기구에서 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에서 붐, 붐 실린더, 실린더 가드 및 램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굴삭기에서 붐, 붐 실린더, 실린더 가드 및 램프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램프 기구에서 케이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100), 상기 하부 주행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200),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300), 상기 붐(300)을 회전시키는 붐 실린더(400), 상기 붐(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500), 상기 암(500)을 회전시키는 암 실린더(600), 상기 암(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700), 상기 버킷(700)을 회전시키는 버킷 실린더(800) 및 상기 버킷(700)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주행체(100)는 바퀴를 사용하는 휠 타입 또는 무한궤도를 사용하는 크롤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회전체(2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부(210) 및 운전자가 탑승 가능한 탑승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300)은 상기 상부 회전체(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300)은, 상기 상부 회전체(200)와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암(500)과 힌지 결합되는 타단부 및 상기 붐(300)의 일단부와 상기 붐(300)의 타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중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붐(300)의 타단부는 상기 붐(300)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버킷(700) 측으로 절곡되어, 즉 상기 붐(300)의 일단부와 지면 사이 예각의 각도보다 상기 붐(300)의 타단부와 지면 사이 예각의 각도가 작게 형성되어, 상기 붐(300)의 중단부가 상기 붐(300)의 일단부와 상기 붐(300)의 타단부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버킷(700)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붐(300)은 하중이 집중되는 상기 붐(300)의 중단부를 보강하기 위한 러그(310)를 포함하고, 상기 러그(310)는 후술할 하면(F)의 일 측부에 형성되는 제1 러그(312) 및 후술할 하면(F)의 타 측부에서 상기 제1 러그(312)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러그(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 실린더(400)는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 실린더(400)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에 후술할 실린더 가드(G)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를 갖는 붐 실린더 튜브(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 실린더(400)는, 일단부가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붐(300)의 중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붐 실린더 로드(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500)은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500)은, 상기 붐(300)의 타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 및 상기 버킷(700)과 힌지 결합되는 타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 실린더(600)는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반대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 실린더(600)는, 상기 붐(300)의 중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암 실린더 튜브(6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 실린더(600)는, 일단부가 상기 암 실린더 튜브(610)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암(500)의 일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암 실린더 로드(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킷(700)은, 상기 암(500)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710) 및 상기 링크부(710)로부터 연장되는 버킷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킷 실린더(800)는, 상기 암(500)의 일단부와 힌지 결합되는 버킷 실린더 튜브(8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킷 실린더(800)는, 일단부가 상기 버킷 실린더 튜브(810)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버킷(700)의 링크부(710)에 힌지 결합되는 버킷 실린더 로드(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붐(300)에 체결되는 케이싱(910) 및 상기 케이싱(910)에 수용되는 램프(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붐(300)은 지면에 대향되는 하면(F)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910)은 상기 붐(300)의 하면(F)에 대향되는 기저판(912), 상기 기저판(912)의 일 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측판(914), 상기 기저판(912)의 타 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측판(9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측판(914)은 상기 제1 러그(312)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측판(916)은 상기 제2 러그(314)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측판(914)는 상기 붐(300)의 일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측판(916)은 상기 붐(300)의 타 측면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붐(300)의 하면(F), 상기 케이싱(910)의 기저판(912), 상기 케이싱(910)의 제1 측판(914) 및 상기 케이싱(910)의 제2 측판(916)이 램프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램프(920)는 상기 케이싱(910)의 기저판(912)에 장착되며 상기 램프 수용공간(S)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920)는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가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920)는 상기 제1 측판(914)과 상기 제2 측판(916)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920)는 상기 기저판(912)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도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920)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램프(920)를 용이하게 정비하기 위해, 상기 제1 측판(914)과 상기 제2 측판(916)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작업자의 손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91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붐 실린더(400)를 기준으로 상기 붐(300)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붐 실린더(400)를 보호하는 실린더 가드(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기준으로 상기 붐(300)의 반대측에서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드 상판(G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드 상판(G1)은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드 상판(G1)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드 상판(G1)의 타단부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타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실린더 가드(G)의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가드 상판(G1)과 함께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의 운동을 안내하는 트랙을 형성하도록, 상기 가드 상판(G1)의 측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가드 측판(G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상기 트랙 사이에는 패킹(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미도시)은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상기 트랙 사이를 절연시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미도시)은 원가 절감을 위해 상기 트랙에 형성되는 것보다는 상기 가이드 돌기(미도시)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미도시)이 탄성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패킹(미도시)과 상기 트랙 사이 마찰이 증가되어, 상기 실린더 가드(G)가 원활히 왕복 운동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패킹(미도시)과 상기 트랙 사이에는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제(예를 들어, 그리스)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동력발생부(21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하부 주행체(100)가 작업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발생부(210)에서 발생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붐 실린더(400), 상기 암 실린더(600) 및 상기 버킷 실린더(800)가 작동되어, 땅을 파거나 깎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가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에 대해 왕복 운동되면서 상기 붐(300)이 회전되고, 상기 암 실린더 로드(620)가 상기 암 실린더 튜브(610)에 대해 왕복 운동되면서 상기 암(500)이 회전되고, 상기 버킷 실린더 로드(820)가 상기 버킷 실린더 튜브(810)에 대해 왕복 운동되면서 상기 버킷(700)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야간과 같이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램프 기구(900)로 상기 버킷(700) 측을 조사하여 시야를 확보하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상기 램프 기구(900)가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램프 기구(900)가 외부 구조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 기구(900)가 상기 붐(300)의 중단부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버킷(70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케이싱(910)의 개구(918)를 통해 작업자가 손을 넣어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램프(920)를 정비하도록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램프(920)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탑승부(220)에 탑승하는 운전자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램프(92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암(500)과 상기 버킷(700) 사이 연결부위 또는 상기 버킷(700)에 위치정보 발신기가 설치되고, 상기 엑추에이터는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램프(920)가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 측을 비추도록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92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램프(920)가 작업 중 연속적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버킷(700)을 추적하며 빛을 비춤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고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케이싱(910)을 포함하고 상기 램프(920)가 상기 케이싱(910)에 수용되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920)가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램프(920)가 여전히 상기 붐(300)의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됨에 따라 외부 구조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상기 케이싱(910)이 삭제됨에 따라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케이싱(910)을 대신하여 상기 램프(920)를 보호하도록 상기 램프(920)를 수용하는 램프 수용공간(S)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중 지속적으로 포지션이 가변되는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상기 램프(920)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램프(920)는 상기 실린더 가드(G)를 기준으로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가 조절되게 형성될 필요가 없어, 원가가 더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920)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램프(920)가 상기 실린더 가드(G)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경우, 상기 램프(920)의 조사 범위가 증대되어 시야 확보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원가 대비 효익을 고려하여,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주로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보호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실린더 가드(G)의 길이가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길이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에 대향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는 항상 상기 실린더 가드(G)의 보호를 받지만,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와 중첩되는 부위만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와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가 중첩되는 부위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왕복 운동에 따라 가변됨에 따라,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가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반비례하여 상기 실린더 가드(G)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의 일부만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의해 보호받더라도, 상기 붐 실린더(400)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는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의 내부를 출입하며 왕복 운동되는데, 이물질이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상기 붐 실린더(400)의 표면에 적층되어 상기 붐(300) 실린터 튜브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상기 붐 실린더(40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는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의해 보호받을 필요가 있다.
반면,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의 경우 작업 중 발생되는 파편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지만, 상기 붐 실린더(400)의 위치 특성 상 작업 중 발생되는 파편이 상기 붐 실린더(400)에 잘 도달되지 않아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가 손상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는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의해 보호받아야 하는 필요가 적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를 감싸는 튜브 가드 및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감싸며 상기 튜브 가드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 가드를 포함하여 항상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와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보호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붐 실린더(400)의 손상을 방지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주로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100: 하부 주행체 200: 상부 회전체
220: 탑승부 300: 붐
400: 붐 실린더 410: 붐 실린더 튜브
420: 붐 실린더 로드 500: 암
600: 암 실린더 700: 버킷
800: 버킷 실린더 900: 램프 기구
910: 케이싱 912: 기저판
914: 제1 측판 916: 제2 측판
918: 개구 920: 램프
F: 하면 G: 실린더 가드
G1: 가드 상판 G2: 가드 측판

Claims (15)

  1.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100);
    상기 하부 주행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200);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300);
    상기 붐(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500);
    상기 암(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700); 및
    상기 버킷(700)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900);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서 상기 붐(300)에 체결되는 케이싱(910); 및
    상기 케이싱(910)에 수용되는 램프(920);를 포함하는 굴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300)은,
    상기 상부 회전체(200)와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
    상기 암(500)과 힌지 결합되는 타단부; 및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중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단부가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상기 버킷(700)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버킷(700) 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중단부에 형성되는 굴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300)은, 지면에 대향되는 하면(F)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910)은,
    상기 하면(F)에 대향되는 기저판(912);
    상기 기저판(912)의 일 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1 측판(914); 및
    상기 기저판(912)의 타 측부로부터 절곡되는 제2 측판(916);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F), 상기 기저판(912), 상기 제1 측판(914) 및 상기 제2 측판(916)이 상기 램프(920)를 수용하는 램프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굴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920)는 상기 기저판(912)에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가 조절되게 장착되는 굴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판(914)과 상기 제2 측판(916)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램프(920)를 정비하고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구(918)가 형성되는 굴삭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램프(9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램프(920)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상부 회전체(200)의 탑승부(220)에 탑승하는 운전자로부터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조작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램프(92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굴삭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500)과 상기 버킷(700) 사이 연결부위 또는 상기 버킷(700)에는 위치정보 발신기가 설치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램프(920)가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 측을 비추도록 상기 위치정보 발신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92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굴삭기.
  9.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하부 주행체(100);
    상기 하부 주행체(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 회전체(200);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붐(300);
    상기 붐(300)을 회전시키는 붐 실린더(400);
    상기 붐(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500);
    상기 암(500)을 회전시키는 암 실린더(600);
    상기 암(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킷(700);
    상기 버킷(700)을 회전시키는 버킷 실린더(800);
    상기 붐 실린더(400)를 보호하는 실린더 가드(G); 및
    상기 버킷(700) 측을 비추는 램프 기구(900);를 포함하고,
    상기 붐 실린더(400), 상기 실린더 가드(G) 및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형성되는 굴삭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붐 실린더(400)는,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상부 회전체(200)에 힌지 결합되는 붐 실린더 튜브(410); 및
    상기 붐(300)을 기준으로 중력 방향 측에 위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의 타단부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붐(300)에 힌지 결합되는 붐 실린더 로드(420);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적어도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굴삭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가드(G)의 길이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길이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는 굴삭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실린더 튜브(410)의 타단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를 기준으로 상기 붐(300)의 반대측에서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가드 상판(G1)을 포함하고,
    상기 가드 상판(G1)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드 상판(G1)의 타단부는 상기 붐 실린더 로드(420)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굴삭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가드 상판(G1)의 측부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가드 측판(G2)을 더 포함하는 굴삭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기구(900)는 상기 실린더 가드(G)에 장착되는 램프(920)를 포함하는 굴삭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가드(G)는 상기 램프(920)를 수용하는 램프 수용공간(S)을 포함하는 굴삭기.
KR1020190005849A 2019-01-16 2019-01-16 굴삭기 KR102674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49A KR102674171B1 (ko) 2019-01-16 굴삭기
CN201922437063.4U CN211773982U (zh) 2019-01-16 2019-12-30 挖掘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49A KR102674171B1 (ko) 2019-01-16 굴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42A true KR20200089142A (ko) 2020-07-24
KR102674171B1 KR102674171B1 (ko) 2024-06-12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10A (ko) * 2020-10-16 2022-04-2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굴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61U (ko) 1995-06-29 1997-01-24 굴삭기의 붐작업등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961U (ko) 1995-06-29 1997-01-24 굴삭기의 붐작업등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10A (ko) * 2020-10-16 2022-04-2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굴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773982U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0453B1 (ja) 油圧ショベル
EP0818583A1 (en) Swing type hydraulic excavator
WO2005121643A2 (en) Loader light mounting apparatus
KR20200089142A (ko) 굴삭기
KR102674171B1 (ko) 굴삭기
CN211646513U (zh) 挖掘机
US7857083B2 (en) Excavation machine
JP2004536984A (ja) シャーシ上で上部構造を変位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上述の上部構造の変位を伴う掘削機等の車両
JP2018184783A (ja) 電気駆動式作業機械のケーブルブラケット
JP5046138B2 (ja) アタッチメントホースのクランプ構造
KR20140095885A (ko) 샹크 링크 회전 방식의 진동 리퍼
KR20200122645A (ko) 굴삭기
KR101415455B1 (ko) 굴삭기의 도저 실린더 보호 장치
KR100505333B1 (ko) 휠굴삭기 도저블레이드의 실린더로드 보호커버
KR101276803B1 (ko)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DE60309264D1 (de) Bagger- und Lademaschine
CN112105858A (zh) 作业机械的电气安装件以及液压软管的设置构造
KR20230162200A (ko) 틸팅 및 회전기능을 가지는 굴삭기용 어태치먼트
JP2024073992A (ja) 作業機械
KR20220032317A (ko) 실린더 가드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JP2018167767A (ja) 双腕型の作業機械
JP6934837B2 (ja) 電気駆動式油圧ショベル
JP7391305B2 (ja) 砕石杭形成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る砕石杭形成装置
KR102504696B1 (ko) 전동식 건설 기계
JP3589595B2 (ja) 旋回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