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662A -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662A
KR20200087662A KR1020190121098A KR20190121098A KR20200087662A KR 20200087662 A KR20200087662 A KR 20200087662A KR 1020190121098 A KR1020190121098 A KR 1020190121098A KR 20190121098 A KR20190121098 A KR 20190121098A KR 20200087662 A KR20200087662 A KR 20200087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nob
shaft
button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혁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681A/ko
Priority to KR1020190177048A priority patent/KR20200087685A/ko
Priority to KR1020190177046A priority patent/KR20200087683A/ko
Priority to KR1020190177047A priority patent/KR20200087684A/ko
Priority to PCT/KR2020/000535 priority patent/WO2020145760A1/ko
Priority to PCT/KR2020/000533 priority patent/WO2020145758A1/ko
Priority to PCT/KR2020/000542 priority patent/WO2020145764A1/ko
Priority to PCT/KR2020/000531 priority patent/WO20201457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87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2Reflector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1/00Heating by combined application of processe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H05B3/00 - H05B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샤프트와 버튼 사이 또는 노브와 버튼 사이에 축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버튼이 샤프트 및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샤프트 또는 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OPERATION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는 동안 조리실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니 오븐에서, 도어는 대부분 하부 개방형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미니 오븐에 적용되는 도어는, 그 하단부가 도어 힌지를 통해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폐쇄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는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이와 같이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는 미니 오븐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개방되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미니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니 오븐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크기만큼이나 무게도 가벼운 미니 오븐의 특성 상,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미니 오븐이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증가된다.
특히 선반의 인출시, 조리 상태의 확인이나 선반의 임시 거치를 위해 선반이 도어의 상부에 얹혀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구조에서는 미니 오븐의 전도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선반 또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음식물의 조리에 위험성이 더해질 뿐 아니라, 선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부담이 있게 된다. 즉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의 선반의 채용이 필요하더라도, 미니 오븐의 전도 발생 위험으로 인해 이러한 선반의 채용이 어렵게 된다.
셋째,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된다.
즉 선반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이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조리 상태의 확인의 통로가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 개방만으로는 부족하고, 트레이의 인출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사용자가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한 후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만 하는데,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며, 사용자가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넷째,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부터 선반을 직접 당기거나 조리실 내부로 밀어 넣는 형태로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된다.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반을 인출하여 전체적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후 직접 선반을 잡고 인출하여야 하고, 조리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잡고 조리실 내부로 선반을 밀어 넣어야 한다.
즉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에 사용자가 노출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미니 오븐의 전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될 수 있다.
선행문헌1(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에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조리실을 출입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구성에 따르면, 조리실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1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고, 도어에도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2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어 조리실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슬라이드 레일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조리판이 상방에서 걸려 지지된다. 즉 조리판은 지지부재에 의해 제2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이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을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판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단순히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선행문헌2(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65호)에는,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조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토스터기의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토스터기의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토스터기의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뿐 아니라 상부 일부분도 함께 덮을 수 있게 마련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고, 도어 개방시 토스터홀드가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며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스터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와 조리기기의 프레임 간의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단순히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으로 펼쳐질 뿐 아니라, 전방으로 펼쳐진 도어의 무게에 토스터홀드의 무게,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의 무게가 더해지게 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토스터기의 전도 발생 위험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선행문헌3(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에는,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를 구비하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3의 구성에 따르면, 오븐의 전방에는 프런트 도어가 설치되고, 오븐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설치된다.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는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독자적으로 동작하며, 오븐 내부 공간의 전방은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오븐 내부 공간의 상부는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3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선행문헌3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과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 공간이고 서로 연결된 공간이 아니다.
즉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가 함께 개방된다고 해서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의 개방 정도가 확장되는 것이 아니며,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는 단지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개방될 뿐이다.
선행문헌4(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에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오븐에 설치되어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 도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4에 따르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방시 바디의 전방이나 후방 어디로도 돌출되지 않으며, 단지 바디 둘레를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4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는, 조리기기의 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조리기기 본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둘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바디의 내부에는 선반과 같이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 선반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바디의 구조상 이러한 선반의 인출과 삽입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도어가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도어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선반의 인출과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적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아울러 상기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의 구조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기 어렵다. 이는 바디의 전면과 상부면 대부분이 도어에 의해 덮여있거나 도어의 회전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행문헌4에서는 타이머와 같은 조작스위치가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되지 못하고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4와 같은 조작스위치의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한 형태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 어디에도,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된 형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는 조작스위치가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특히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3에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에 배치되되, 도어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좌우방향 폭이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서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의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선행문헌4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상기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기가 어렵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투시창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투시창이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므로, 도어에 조작스위치가 설치될만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면,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기판이 설치될 공간이 도어 내에서 확보되기도 어렵다.
따라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요구된다.
한편, 미니오븐에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될 경우, 도어에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닐 수 있다. 크기가 작은 미니오븐의 특성 상,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설치될만한 충분한 공간이 도어에 마련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도어가 사용자와 마주보는 미니오븐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될 경우, 미니오븐의 전체적인 미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편의성의 측면에서도, 미니 오븐에 너무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크기가 그리 크지 않은 도어에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가 배치될 경우, 조작스위치들의 크기가 작아져야만 하거나 조작스위치들 간의 간격이 좁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조작스위치의 오조작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너무 많은 개수의 조작스위치들로 인해 사용자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조작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지 일일이 기억하기 어렵게 되고, 이는 사용자가 미니오븐을 제대로 이용하기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선행문헌5(미국등록특허 제9593855호)에는, 타이밍 기능을 갖는 제어 및 검출 장치에 구비되는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문헌5에 개시된 디바이스(20)는, 가전기기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탭(Tab; 10)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20)는, 박스형 케이싱(21)과 제어수단(Control means)을 포함한다.
케이싱(21)은, 구조물(2,3)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물의 벽(3a)과 탭(10)의 후방부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싱(21)은, 탭(10)의 전방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케이싱(21)은, 컨테이너(Container; 4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40)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이며, 하부벽(40a)과 주변벽(40b)을 갖는다.
제어수단은, 노브(Knob; 12)와 링 너트(Ring nut; 22)를 포함한다.
노브(12)는, 운동전달부재(Motion-transmission member; 51)를 통해 액추에이션 로드(Actuation rod; 11)와 연결될 수 있다. 운동전달부재(51)는 노브(12)와 로드(11) 사이에 결합되며, 노브(12)에 의해 부여된 회전을 로드(11)에 전달할 수 있다.
링 너트(22)는, 노브(12)와 벽(3a)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링 너트(22)는, 노브(12)와 동축으로 구비되며, 디바이스(20)의 스위칭을 야기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링 너트(22)의 각도 위치는, 회로장치(25)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회로장치(25)는, 링 너트(22)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탭(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디바이스(20)에 의해 제어되는 버너의 공급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검출 또는 센서 수단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Display; D)는, 링 너트(22)로 설정될 수 있는 시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디스플레이(D)는, 노브(12) 및 링 너트(22)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지된 위치에 있다.
즉 가스 흐름의 조정을 위해 노브(12)를 돌리더라도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링 너트(22)가 회전되거나 이동되더라도 디스플레이(D)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케이싱(21)은 디스플레이(D)를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수단은, 직립부(Upright part; 70)를 포함한다. 직립부(70)는, 컨테이너(40)의 바닥벽(40a)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직립부(70)의 상단측에는 바닥벽(Bottom wall; 72a)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D)는, 바닥벽(72a)에 지지되며, 이로써 케이싱(21) 상에 고정된다. 이처럼 케이싱(21)에 고정된 디스플레이(D)는, 노브(12) 또는 링 너트(22)의 회전과 무관하게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노브(12)는, 직립부(70)와 디스플레이(D) 및 운동전달부재(51)를 노브(12)의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운동전달부재(51)와 연결된다. 운동전달부재(51)는 로드(11)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노브(12)에 의해 부여된 회전이 운동전달부재(51)를 통해 로드(11)에 전달될 수 있다.
노브(12)의 상단에는, 덮개(Lid; 12c)가 설치된다. 덮개(69)와 디스플레이(D) 사이에는, 축방향 통로가 형성된다. 이 통로는, 노브(12)가 눌려질 때 디스플레이(D)에 대한 노브(12)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로이다. 덮개(69)가 눌려짐으로써 노브(12)가 눌려질 수 있고, 이 경우에도 디스플레이(D)는 노브(12)와 덮개(69)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20)는, 하나의 디바이스(20)로 여러 기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의 개수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즉 상기 디바이스(20)에는, 로드(11)를 회전 및 누름 조작하기 위한 노브(12)와 타이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링 너트(22) 및 링 너트(22)로 설정될 수 있는 시간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가 하나의 장치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미니오븐의 도어에 적용된 상기 디바이스(20)는, 미니오븐의 도어에 배치되는 조작스위치의 개수가 감소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20)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노브(12)의 회전시, 노브(12)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69)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다.
노브(12)의 상단에 설치된 덮개(69)는, 노브(12)의 상단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사용자가 노브(12)를 눌러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누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덮개(69)는 노브(12)의 내부에 수용된 디스플레이(D)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69)는, 노브(12)의 상단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노브(12)의 회전시 노브(12)와 함께 회전된다. 이 경우, 덮개(69)에 문자나 기호가 표시된다면, 이 덮개(69)에 표시된 문자나 기호는 회전되는 노브(12)를 따라 함께 회전될 수밖에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덮개(69)에 ON/OFF와 같은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노브(69)를 반 바퀴 회전시키면 이 문자가 뒤집힌 상태로 표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는 미니오븐의 전체적인 미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문자의 내용을 제대로 식별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물론, 선행기술5에는 노브(12)가 회전되더라도 디스플레이(D)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D)가 노브(12)에 설치되어서는 안되고, 직립부(70)와 같은 구성이 별도로 추가되어야 한다.
이 경우, 부품이 증가되어 조작스위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조작스위치의 제조가 까다로워지게 된다. 또한 노브(12)가 로드(11)에 직결되기 어렵게 되어 노브(12)와 로드(11)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노브(12)는 로드(11)를 누를 수 있게 로드(11)와 연결되지만, 노브(12)와 로드(11) 간의 연결 구조는 노브(12)가 로드(11)를 효과적으로 누르는데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
노브(12)와 로드(11) 간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노브(12)는 운동전달부재(51)를 통해 로드(11)와 연결된다. 즉 노브(12)는, 로드(11)에 직결되지 않고 운동전달부재(51)를 통해 로드(11)와 결합된다. 이는, 노브(12)의 상부면과 로드(11) 사이에 디스플레이(D)가 배치됨으로 인한 설계의 결과이다.
노브(12)는, 운동전달부재(51)의 부속물(Appendage; 51c)과 결합되어 운동전달부재(51)와 결합된다. 부속물(51c)은, 로드(11)와 결합된 운동전달부재(51)의 본체로부터 로드(1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노브(12)는, 로드(1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운동전달부재(51)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노브(12)와 로드(11) 간의 연결은, 로드(11)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지점으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노브(12)와 로드(11) 간의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노브(12)를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눌려진 노브(12)가 이 힘을 전달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노브(12)를 누르는 힘은 로드(11)와 거의 동일축 상에서 작용되지만, 이 힘을 노브(12)가 운동전달부재(51)로 전달하는 위치는 로드(1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이격된 지점, 즉 노브(12)와 부속물(51c) 간의 결합 지점이 된다.
이 경우, 노브(12)를 누르는 힘은, 로드(11)와 동일축을 이루는 지점에서 작용하지 못하고 로드(1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치우친 지점에 주로 작용하게 된다.
그로 인해, 노브(12)를 필요 이상으로 강한 힘으로 눌러야 노브(12) 및 로드(11)의 누름 조작이 이루어지거나 노브(12)의 누름 조작에도 불구하고 로드(11)의 축방향 이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노브(12)를 누르는 힘이 운동전달부재(51)의 부속물(51c) 부분에 집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노브(12)의 누름 조작이 반복될 경우 운동전달부재(51)의 파손이 발생될 우려도 높다.
셋째, 노브(12)는 로드(11)를 회전시킬 수 있게 로드(11)와 연결되지만, 노브(12)와 로드(11) 간의 연결 구조는 노브(12)가 로드(11)를 효과적으로 회전시키는데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다.
노브(12)와 로드(11) 간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노브(12)와 운동전달부재(51) 간의 연결 지점이 로드(11)로부터 편심되게 위치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노브(12)와 운동전달부재(51) 간의 연결 지점, 즉 노브(12)와 부속물(51c) 간의 결합 지점은, 노브(12)의 회전이 전달되는 지점이다. 이처럼 노브(12)의 회전이 전달되는 지점이 편심되게 배치되면, 노브(12)의 회전이 로드(11)가 아닌 상기 편심된 지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려는 경향이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노브(12)를 회전시켰을 때 노브(12)가 로드(11)를 중심축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회전 과정에서 노브(12)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노브(12)의 회전 조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기울어진 노브(12)로 인해 로드(12)가 틀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노브(12)를 회전시키는 힘이 운동전달부재(51)의 부속물(51c) 부분에 집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노브(12)의 회전 조작이 반복될 경우 운동전달부재(51)의 파손이 발생될 우려도 높다.
또한 노브(12)가 측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구조물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되고 장치의 구성이 더 복잡해지며 추가된 지지 구조물로 인해 조립 공차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선행문헌1 : 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 선행문헌2 : 한국공개특허 제20-2011-0001565호 선행문헌3 : 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 선행문헌4 : 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 선행문헌5 : 미국등록특허 제95938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이 모두 가능한 동시에, 누름 조작을 위한 누름면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작장치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조작을 위한 누름면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누름면을 누르는 힘이 노브와 연결된 회전축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구조가 개선된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름 조작을 위한 누름면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노브를 회전시키는 힘이 노브와 연결된 회전축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구조가 개선된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는, 샤프트와 버튼 사이 또는 노브와 버튼 사이에 축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버튼이 샤프트 및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샤프트 또는 노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축연결부재는, 노브와 버튼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브는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샤프트에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축연결부재는 축결합부의 외주면과 버튼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축연결부재는 축결합부에 설치되고 버튼은 축연결부재에 설치됨으로써, 버튼은 노브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버튼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이 모두 가능하면서도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조작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노브의 직경방향 중심이 샤프트와 결합되고, 버튼의 직경방향 중심이 축연결부재를 통해 노브의 직경방향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버튼을 누르는 힘이 샤프트의 이동경로와 동일축으로 작용될 수 있고, 노브를 회전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노브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방향이 일치함으로써 조작장치의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 모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노브와 노브를 눌러 샤프트를 축방향 이동시키는 버튼이 하나의 조작장치에 포함되고, 버튼이 노브의 회전에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노브와 버튼 사이에 축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버튼이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노브에 연결되고, 이 버튼의 무게중심이 축연결부재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장치는, 축연결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버튼에 설치되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중량부재는 버튼의 무게중심이 축연결부재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는, 버튼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스크류부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노브와 버튼 사이에 축연결부재가 구비되어 버튼이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노브에 연결되고, 이 버튼의 회전방향 위치가 자력에 의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장치는 중량부재 주변에 고정되어 자성체를 흡인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중량부재는 자성부재에 흡인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조작장치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는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가열부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투시창이 도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은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가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제1가열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는 조작장치 및 제1제어기판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의 무게 중심도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글라스와 히터 등과 같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부품들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할 때 조리기기의 무게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 및 선반 인출시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작장치와 제1제어기판이 도어전면부에 함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고, 이와 함께 도어 개방에 연동되어 트레이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전면부와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고, 도어전면부에는 흡기구가 형성되며, 도어상면부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도어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제1제어기판과 투시창 내부의 공간부를 냉각시킨 후 배기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케이블장착부가 마련되고, 제1제어기판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작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노브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와 상기 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버튼;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버튼 사이 또는 상기 노브와 상기 버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을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노브에 연결시키는 축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연결부재는,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연결부재는, 상기 축결합부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버튼과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를 상대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연결부재를 상기 축연결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제2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연결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에 설치되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랑부재는, 상기 버튼의 무게중심이 상기 축연결부재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체결보스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체결보스부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 주변에 고정되어 자성체를 흡인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재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브를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소켓부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브는, 상기 결합축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결합축부 및 상기 스커트부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노브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커버는,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커트부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상기 노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브커버는,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커트부와 나란한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전면부와 나란한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누름부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지지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스커트부보다 구심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간섭되어 전방을 향한 상기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누름부는, 전방을 향한 상기 버튼의 이동이 저지되었을 때 상기 누름부의 전면과 상기 전면부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브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부재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소켓부재의 전방측을 차폐하는 전면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브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전면커버부재와 상기 노브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외측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노브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커버부재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주면에는, 삽입홈이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소켓부재의 내부 및 상기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재는,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상기 전방측을 차폐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전면커버부재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측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지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전면커버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광통과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재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노브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발광부재의 점등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상기 샤프트의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결합축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의 상기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측지지부에 고정되어 자성체를 흡인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재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내측지지부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버튼과 마주보는 상기 내측지지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조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이 모두 가능하면서도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미감과 사용 편의성 모두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필요 이상으로 큰 힘을 들여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버튼의 누름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버튼과 샤프트간의 연결 부분의 파손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노브를 회전시키는 힘이 노브와 연결된 샤프트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노브의 회전 조작이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샤프트의 틀어짐이나 파손의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브와 샤프트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게 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고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질 뿐 아니라, 조립 공차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장치가 도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시창이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가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보며 쉽고 편리하게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회동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도어의 무게 중심이 도어전면부보다 도어상면부에 치우치게 형성되며, 도어의 개방시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은 안정적인 구조의 조리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조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께 및 중량이 증가되는 트레이나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를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를 조리실에 삽입하거나 조리실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하는 동시에 도어 개방 또는 폐쇄시 트레이가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 및 삽입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7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노브와 버튼 등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노브와 버튼 등을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제1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제1다이얼에 의해 조리대상물의 종류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제2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제1다이얼에 의해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제2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3은 도 24에 도시된 제1푸시버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4 및 도 35는 제1푸시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의 제1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6 및 도 37은 제1푸시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의 제2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2는 도 39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ⅩⅩⅩⅩⅤ-ⅩⅩⅩⅤ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ⅩⅩⅩⅥⅩ-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7의 "ⅩⅩⅩⅩⅧ-ⅩⅩⅩ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7의 "ⅩⅩⅩⅩⅨ-ⅩⅩ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0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51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4는 도 51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51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105)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후술할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의 구조]
도 2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100)은 금속판이 "└┘" 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처럼 절곡된 금속판이 하우징(100)의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금속판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는 도 7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 이하, "제1글라스"라 한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 이하, "제2글라스"라 한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의 평면방향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된다.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W)은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로 덮인 관통공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투시창(W)을 형성하는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며, 이로써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이격 공간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처럼 이격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이격 공간 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제2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제1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의 내측 테두리가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관상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 및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조작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작장치(1000)에 마련된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도어전면부(350)를 관통하여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1)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1)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1)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1)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3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55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된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는, 서로 연결된다.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흡기구(301)가 형성된다. 흡기구(301)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형성된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7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70)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상면부(310)에는 여유 공간이 부족하다. 이에 비해 도어전면부(350)에는 제1제어기판(500) 외에는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넉넉한 여유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로서, 제1냉각팬(37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70)은,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고, 이처럼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도어상면부(310) 내부로 유입되어 투시창(W) 내부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배기구(303)를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조리기기의 동작시, 제1제어기판(500)의 온도는 제1가열부(400)에 의해 가열된 투시창(W)의 온도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투시창(W)을 냉각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온도로 투시창(W)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에 대한 냉각과 투시창(W)에 대한 냉각이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어(300) 내부의 냉각 구조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과열, 열화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조리기기의 고장,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가 투시창(W)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투시창(W)의 과열 발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투시창(W)과 접촉하여 화상 등과 같은 부상을 입는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작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6을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작장치(1000)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작장치(1000)는 제1가열부(400; 도 4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 도 4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두 개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중 하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조작 스위치가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조작 스위치 모두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되고, 이 중 하나의 스위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조작 스위치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조작장치(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 조작 스위치는 샤프트(1100)와 노브(1300)와 버튼(1400) 및 축연결부재(1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1100)는, 조작장치(1000)에 마련되는 엔코더(1200)에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엔코더(1200)는, 이러한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엔코더(1200)는, 샤프트(1100)의 축방향 이동도 함께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코더(1200)는 엔코더(120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샤프트(1100)에 의해 연결되는 스위치를 통해 샤프트(1100)의 축방향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어 도여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 또는 축방향 이동을 감지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엔코더(1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가열부(400; 도 4 참조)와 제2가열부(600; 도 4 참조) 및 후술할 발광부재(17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이다.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함께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축결합부(1310)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는, 축결합공(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샤프트(1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축결합공(1311)의 전방은, 축결합부(1310)의 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의 형상에 의해, 축결합부(1310)에 결합되는 샤프트(1100)의 설치 위치 및 삽입 깊이가 안내될 수 있다.
버튼(1400)은, 샤프트(1100)를 누름 조작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버튼(1400)은, 샤프트(1100) 및 노브(13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1400)은, 샤프트(1100)와 함께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샤프트(1100)와 노브(1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1400)이 노브(13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버튼(1400)이 노브(1300)를 후방측으로 누르면, 샤프트(1100)와 연결된 노브(1300)가 샤프트(1100)를 눌러 후방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버튼(1400)은, 누름부(1410)와 결합부(1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1410)는, 버튼(1400)의 최전방에 배치된다. 누름부(1410)는, 샤프트(1100)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름부(1410)가 샤프트(1100)와 수직을 이루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누름부(1410)는, 버튼(1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사용자가 버튼(1400)을 누르는데 필요한 누름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결합부(1420)는, 누름부(14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420)는, 누름부(14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420)는, 후술할 축연결부재(1500)를 축연결부재(1500)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축연결부재(15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1420)는, 버튼(1400)과 축연결부재(1500) 간의 연결을 위해 축연결부재(1500)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축연결부재(1500)는, 샤프트(1100)와 버튼(1400) 사이, 또는 노브(1300)와 버튼(1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연결부재(1500)에 의해, 버튼(1400)은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노브(1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노브(1300)가 회전되어도 버튼(1400)은 노브(1300)를 따라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소켓부재(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재(1600)는, 노브(1300)를 도어(3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소켓부재(16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설치된 엔코더(12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수용할 수 있게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와 연결된 샤프트(1100)는, 소켓부재(1600)의 직경방향 대략 중심을 통과하여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재(1600)는, 엔코더(12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엔코더(1200)를 보호하는 역할, 샤프트(1100)와 결합된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지지하는 역할, 노브(1300)가 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지 않도록 후방에서 노브(1300)를 지지하는 역할, 후술할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를 정의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발광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제1제어기판(500)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부재(1600)에는,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는 소켓부재(1600)에 의해 정의되고, 이 빛은 조작장치(1000)의 조작 상태, 조작장치(100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소켓부재의 구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8를 참조하면,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지지부(16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지지부(161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외측지지부(161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노브(1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지지부(161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브(1300)는, 그 후방측 단부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과 접하는 형태로 외측지지부(1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노브(1300)는, 소켓부재(16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 즉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와 인접한 외측지지부(1610)의 내측면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이러한 삽입홈(1611)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브(13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내측지지부(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지지부(162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엔코더(1200)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는, 내측지지부(162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부에서 엔코더(1200)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서로 연결시키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또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서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되,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될 때 제1제어기판(500)과 맞닿는 결합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를 연결한다.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는,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된 리브형상부(1633)는, 소켓부재(1600) 전체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소켓부재(1600) 전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를 후방에서 지지함으로써, 노브(1300)의 과도한 이동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샤프트(1100) 및 엔코더(120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제1연결지지부(1630)에 의해 지지되되,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내측지지부(1620) 및 제1연결지지부(1630)가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지지부(1630)의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 사이는, 스커트형상부(16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커트형상부(1635)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는 "┐"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30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눌렀을 때,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노브(1300)의 과도한 이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노브(13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힘을 노브(1300)에 가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소켓부재(1600)에는, 광통과홀(1640)이 마련될 수 있다. 광통과홀(1640)은,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통과홀(1640)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된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배치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외측지지부(16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에는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발광부재(1700)가 하나의 광통과홀(164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형태로, 발광부재(1700)와 광통과홀(1640)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된 각 광통과홀(1640)을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이동 경로는, 그 전방에 배치된 각각의 광통과홀(164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 중에서 어느 발광부재(1700)가 점등되었는지가 조작장치(1000)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1결합부(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420)는, 제1돌출돌기부(1651)와 제1결합돌기부(16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돌기부(165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돌출돌기부(16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 상에서의 제1결합부(1420)의 위치는,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발광부재(170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는, 제1결합돌기부(1653)가 제1제어기판(500)의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42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소켓부재(1600)가 설치될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를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소켓부재(1600)의 설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제2결합부(1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660)는, 제2돌출돌기부(1661)와 제2결합돌기부(16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돌기부(1663)는, 제2돌출돌기부(166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660)는, 후술할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부재(1600)에 2개의 제1결합부(1420)와 4개의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3결합부(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연결지지부(16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167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체결홀(520)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됨으로써,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브의 구조]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노브와 버튼 등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4에 도시된 노브와 버튼 등을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과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으로서, 축결합부(1310)를 통해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스커트부(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1320)는, 축결합부(131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트부(13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커트부(1320)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를 포함하는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가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노브(1300)는, 제2연결지지부(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원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스커트부(1320)가 구심방향으로 함몰되지 않게 스커트부(1320)를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지지부(1330)는, 소켓부재(1600)에 구비된 내측지지부(1620)의 전방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노브(1300)가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누르는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노브커버(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13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21)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결합홈(1321)에 삽입된 상태로 스커트부(13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노브(1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노브커버(1350)는, 노브커버(1350)과 인접한 스커트부(1320)의 원심방향 최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스커트부(1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커버(1350)는, 전면부(1360)와 측면부(1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교차하는 면, 즉 버튼(1400)의 누름부(1410)와 나란한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의 전면은, 버튼(1400)의 누름부(1410)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360)의 배면은, 노브커버(1350)가 노브(1300)에 설치되었을 때 외측지지부(161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전면부(1360)의 배면이 외측지지부(161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음으로써, 노브(1300)에 설치되는 노브커버(1350)의 전후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전면부(1360)에는, 관통부(1361)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361)는, 전면부(136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부(1361)는 누름부(1410)의 직경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되, 버튼(1400)의 평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부(1360)는, 직경방향 중앙에 버튼(14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있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관통부(1361)를 통해, 버튼(1400)의 누름부(1410)는 전면부(13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면부(1360)의 내부에 삽입된 누름부(1410)의 전면은, 전면부(136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관통부(1361) 및 그에 삽입되는 누름부(1410)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부(1360)의 내주면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보다 구심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1410)는, 전면부(1360)보다 좀 더 긴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누름부(1410)의 후방측 단부는, 전면부(1360)의 배면보다 후방으로 좀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1410)의 후방측 단부에는, 지지돌기(141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돌기(1411)는, 누름부(141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1411)는, 누름부(1410)가 관통부(1361)에 삽입되었을 때, 지지돌기(141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부(1361)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1411)는, 전면부(1360)의 후방에서 전면부(1360)의 배면과 간섭됨으로써, 전방을 향한 버튼(1400)의 이동을 저지하고, 이로써 버튼(1400)이 노브커버(1350)의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1411)는, 전면부(1360)의 배면과 간섭되었을 때 전면부(1360)의 전면과 누름부(1410)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노브커버(1350)를 상대로 한 버튼(1400)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는 기능 또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노브커버(1350)는, 사용자가 노브(1300)를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면서, 노브(1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아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커버(135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1370)의 외주면이 노브커버(135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커버(13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360)의 전면이 버튼(1400)의 누름부(14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그 자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패여 들어간 곳 없이 심플하고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게 됨으로써, 미관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누름부(1410)는, 누름본체(1410a)와 버튼커버(14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본체(1410a)는 누름부(1410)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며, 결합부(1420)와 체결보스부(1430)는 이러한 누름본체(1410a)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커버(1410b)는, 누름본체(1410a)의 전방에 배치되어 버튼(14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커버(1410b)는 누름본체(1410a)와 결합되며, 일례로서 누름본체(1410a)와 버튼커버(1410b)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튼커버(1410b)가 누름본체(1410a)와 별물로 마련되면, 필요에 따라 버튼(1410)의 색상이나 버튼(1410)에 표시되는 기호나 문자 등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버튼(1400) 전체 구성 중에서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부분은 버튼커버(1410b) 뿐이므로, 버튼커버(1410b)만을 손쉽게 변경하여 버튼(1410) 전체를 변경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의 구조]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전면커버부재(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도어(3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전면부(13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노브(1300)를 그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서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전방에서 바라본 외측지지부(16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에 결합되어 외측지지부(1610)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지지부(1610)에 형성된 광통과홀(1640)의 전방은 전면커버부재(1800)에 의해 차폐되고, 이로써 광통과홀(1640) 및 그 후방의 발광부재(1700)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가려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전면커버부재(1800)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금속 질감을 갖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와 그에 형성된 구멍인 광통과홀(1640), 그리고 발광부재(17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발광부재(17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면커버부재(1800)는, 불필요하게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해칠 수 있는 부분을 보이지 않게 덮는 마감재로 이용될 수 있고, 금속 질감을 통해 해당 마감 부분이 더욱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부분을 통해 비치는 불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를 통해, 조작장치(1000) 및 그 주변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를 통해 제공되는 표시등 또한 은은하고 더욱 아름다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점등은, 샤프트(1100)의 회전과 샤프트(1100)의 축방향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1300)의 회전 조작에 의한 샤프트(1100)의 회전과 버튼(1400)의 누름 조작에 의한 샤프트(1100)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발광부재(1700)의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샤프트(110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고, 샤프트(1100)의 회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0)의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광부재(1700)가 점등 가능한 상태가 될 수도 있고, 샤프트(1100)의 축방향 이동이 다시 한 번 이루어짐에 따라 발광부재(1700)가 점등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때 샤프트(1100)의 회전 및 이동은,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처럼엔 코더(1200)에 의해 취득된 샤프트(1100)의 회전 및 이동에 관한 정보는 조작신호로 생성되고,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는 이를 수신하여 발광부재(170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결합보스(181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보스(1810)는, 전면커버부재(18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1810)에는, 소켓부재(1600)의 제2결합부(16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돌기부(166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보스(1810)와 제2결합부(1660) 간의 결합에 의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복수개의 결합보스(18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보스(181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제2결합부(1660)의 배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면커버부재(1800)와 결합되는 소켓부재(1600)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노브(1300)에는, 돌기부(1340)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부(1340)는, 스커트부(132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홈(1611)은, 소켓부재(1600)의 내부 및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과 전면커버부재(1800)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측을 통해 돌기부(1340)가 삽입홈(16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노브(1300)가 소켓부재(16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브(1300)가 설치된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전면커버부재(1800)가 설치됨으로써, 전방을 향한 노브(130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노브(1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버튼의 회전 방지 구조]
도 13과 도 19 및 도 20를 참조하면, 버튼(1400)은 축연결부재(1500)를 통해 노브(1300)와 연결될 수 있다. 축연결부재(1500)는, 샤프트(1100)와 버튼(1400) 사이, 또는 노브(1300)와 버튼(1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연결부재(1500)는, 버튼(1400)을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샤프트(1100) 또는 노브(13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연결부재(1500)가 노브(1300)와 버튼(140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축연결부재(1500)는, 버튼(1400)을 샤프트(1100)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노브(13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축연결부재(1500)가 베어링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축연결부재(1500)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버튼(1400)의 결합부(14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축연결부재(1500)의 내측은 축결합부(1310)의 외주면과 결합되며, 축연결부재(1500)의 외측은 결합부(1420)의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형태로 마련되는 상기 축연결부재(1500)는, 제1연결부(1510)와 제2연결부(1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1510)는, 축연결부재(1500)의 직경방향 중앙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연결부(1510)는, 축결합부(13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축결합부(1310)와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부(1520)는, 제1연결부(151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제2연결부(1520)는, 버튼(1400)과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연결부(1520)는 결합부(1420)의 내주면과 결합됨으로써 버튼(14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연결부(1520)는, 제1연결부(1510)를 상대로 회전될 수 있게 제1연결부(15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부(1520)는, 제1연결부(15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제1연결부(15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축연결부재(1500)에 의해, 버튼(1400)은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노브(1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노브(1300)가 회전되어도 버튼(1400)은 노브(1300)를 따라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중량부재(1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부재(1550)는, 버튼(1400)에 설치되되, 축연결부재(15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버튼(1400)에는, 체결보스부(1430)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보스부(1430)는, 축연결부재(1500)가 설치되는 결합부(14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보스부(1430)는, 샤프트(1100) 및 축연결부재(1500)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보스부(1430)는, 누름부(14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량부재(1550)는, 이와 같이 마련된 체결보스부(1430)에 결합됨으로써, 버튼(14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보스부(1430)는, 버튼(1400)의 결합부(1420)와 노브(1300)의 스커트부(1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보스부(1430)에 결합되는 중량부재(1550)도, 축연결부재(1500)보다는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스커트부(1320)보다는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재(1550)는, 버튼(1400)의 무게중심이 축연결부재(1500)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버튼(1400)에 중량부재(1550)가 설치됨에 따라, 버튼(1400)의 무게중심은 중량부재(1550)가 위치한 곳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중량부재(1550)는 그 자중으로 인해 하부로 쳐진 위치를 유지하되, 중량부재(1550)의 가동 범위 중 가장 하부로 쳐진 위치(이하, "최저위치"라 한다)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1400)은, 중량부재(1550)가 최저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방에서 봤을 때의 버튼(1400)의 회전방향 위치는, 중량부재(1550)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즉 버튼(1400)의 회전방향 위치는 중량부재(1550)가 최저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노브(1300)가 회전되더라도 버튼(1400)은 상기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량부재(1550)는 스크류부재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중량부재(155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체결보스부(1430)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량부재(1550)는, 체결보스부(1430)의 내부에 결합되되, 체결보스부(143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버튼(14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자성부재(1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성부재(1680)는, 중량부재(1550) 주변에 고정되며, 자성체를 흡인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부재(1680)가 영구자석인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상기 자성부재(1680)는, 소켓부재(16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성부재(1680)는, 버튼(1400)과 마주보는 소켓부재(160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부재(1680)가 노브(1300)의 제2연결지지부(1330)와 마주보는 내측지지부(16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자성부재(1680)는, 중량부재(1550)의 후방에 배치되되, 중량부재(155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응하여, 중량부재(1550)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량부재(1550)는 자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스크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중량부재(1550)는, 버튼(1400)의 회전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가지고, 나사 결합을 이용하여 버튼(140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면서도, 자성부재(1680)에 흡인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1550)는, 자성부재(1680)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중량부재는, 버튼(140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제2연결지지부(1330)의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성부재(1680)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는 위치까지 돌출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중량부재(1550)는, 일시적으로 최저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더라도, 자성부재(1680)에 의해 흡인되어 원위치, 즉 최저위치로 쉽게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1400)이 샤프트(1100) 및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노브(13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조작장치(1000)에 여러 구성이 마련된다.
그 중 하나가 축연결부재(1500)이다. 축연결부재(1500)는, 버튼(1400)을 노브(1300)에 연결시키되, 노브(1300)의 회전이 버튼(1400)에 전달되지 않도록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1400)은, 노브(13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노브(1300)와 회전되지 않고,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하나는, 중량부재(1550)이다. 중량부재(1550)는, 버튼(1400)의 무게중심이 중량부재(1550)가 설치된 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버튼(1400)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1550)는, 버튼(1400)이 회전하여 버튼(1400)의 회전방향 위치가 변화되더라도, 설정된 원래 위치로 버튼(1400)이 복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자성부재(1680)이다. 자성부재(1680)는, 상기 중량부재(1550)를 흡인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버튼(1400)이 회전하여 버튼(1400)의 회전방향 위치가 변화될 경우, 버튼(1400)과 함께 위치가 변화된 중량부재(1550)를 끌어 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자성부재(1680)는 설정된 원래 위치로 버튼(1400)이 복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성부재(1680)는, 중량부재(1550)가 최저위치에 있을 때에도 중량부재(1550)를 흡인함으로써, 중량부재(1550)가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버튼(1400)은 어느 정도 작은 흔들림에는 효과적으로 저항하면서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가 자력을 통해 결합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결합된다면, 버튼(1400)의 회전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제2연결지지부(1330)에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의 결합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구조의 강도가 필연적으로 약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처럼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구조의 강도가 약해지면, 노브(1300)의 회전이 샤프트(1100)에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게 되고, 심한 경우 노브(1300)의 회전 조작 과정에서 노브(1300)가 파손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노브(1300)의 회전 범위가 클수록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의 결합을 위한 통로가 길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구조의 강도는 더 약해질 수밖에 없다. 더구나 노브(1300)의 회전 범위가 360° 이상이라면,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할 방법이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연결지지부(1330)에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의 결합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지 않아도 되도록,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가 자력을 통해 결합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로써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 구조의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버튼(1400)의 회전 억제 및 원위치 복귀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조작장치의 작용, 효과]
이하,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10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에서 주목할 점은, 서로 조작 방식을 달리하는 버튼(1400)과 노브(1300)가 하나의 조작장치(1000)에 구비되고 이를 통해 여러 기능의 제어가 하나의 조작장치(100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누름 조작을 위해 마련되는 버튼(1400)이 노브(1300)의 회전에 자유롭게 구비된다는 점이다.
즉 누름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버튼(1400)과 회전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노브(1300)가 하나의 조작장치(1000)에서 적절히 조합되고, 노브(1300)가 회전되더라도 버튼(1400)은 노브(1300)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본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누름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버튼(1400)과 회전 조작을 위해 구비되는 노브(1300)가 하나의 조작장치(1000)에서 적절히 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조작장치(1000)로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하나의 조작장치(1000)로 조리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쉽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리기기의 도어(300)에 배치되는 조작장치(1000)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300)의 외관이 심플한 형태로 유지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이 모두 가능하면서도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1400)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즉 회전 조작을 위해 구비된 노브(1300)가 회전되더라도 누름 조작을 위해 구비된 버튼(1400)은 노브(1300)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본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1400)의 전면에는 버튼(1400)의 조작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버튼(1400)의 누름 조작시 어떠한 기능이 활성화되는지에 대한 내용이 버튼(1400)의 전면에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0)의 전면에 "START/STOP"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면, 이는 버튼(1400)을 눌렀을 때에는 이와 관련된 기능이 시작되고 이 상태에서 버튼(1400)을 다시 누르면 해당 기능이 정지된다는 내용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버튼(1400)의 전면에 "Frozen"이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면, 이는 버튼(1400)을 눌렀을 때 "Frozen"과 관련된 기능이 선택된다는 내용이 표시된 것일 수 있다.
만약 노브(1300)가 회전될 때 이를 따라 버튼(1400)도 함께 회전된다면, 버튼(1400)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도 함께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버튼(1400)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기울어지게 보이거나 뒤집힌 상태로 보이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미감이 저하될 뿐 아니라, 사용자가 문자의 내용을 제대로 식별하게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조작을 위해 구비된 노브(1300)가 회전되더라도 누름 조작을 위해 구비된 버튼(1400)은 노브(1300)와 함께 회전되지 않고 본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작장치(1000)가 제공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조작장치(1000)에는 축연결부재(1500)와 중량부재(1550) 및 자성부재(1680)와 같은 구성이 마련된다.
축연결부재(1500)는, 버튼(1400)을 노브(1300)에 연결시키되, 노브(1300)의 회전이 버튼(1400)에 전달되지 않도록 연결시킨다. 이에 따라 버튼(1400)은, 노브(1300)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노브(1300)와 회전되지 않고, 설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중량부재(1550)는, 버튼(1400)의 무게중심이 중량부재(1550)가 설치된 측으로 치우치게 함으로써, 버튼(1400)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고, 혹시 버튼(1400)의 회전방향 위치가 어느 정도 변화되더라도 설정된 원래 위치로 버튼(1400)이 복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자성부재(1680)는, 버튼(1400)의 회전방향 위치가 변화된 경우 중량부재(1550)를 끌어 당겨 버튼(1400)이 설정된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한편, 버튼(1400)이 흔들림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면서 설정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작용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누름 조작과 회전 조작이 모두 가능하면서도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1400)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미감과 사용 편의성 모두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에 따르면,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1400)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버튼(1400)을 누르는 힘이 노브(1300)와 연결된 샤프트(11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1400)과 샤프트(1100) 간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버튼(1400)은 축연결부재(1500)를 통해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와 결합되고,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를 통해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중심측에 배치되며, 버튼(1400) 또한 그 직경방향 중심측이 축결합부(13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버튼(1400)의 직경방향 중심측이 샤프트(1100)와 연결되므로, 버튼(1400)의 직경방향 중심측과 샤프트(1100)가 동일축 상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튼(1400)을 누르는 힘이 샤프트(1100)와 동일축을 이루는 지점에서 작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버튼(1400)을 누르는 힘이 노브(1300)와 연결된 샤프트(11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필요 이상으로 큰 힘을 들여 버튼(1400)을 누르지 않아도 버튼(1400)의 누름 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버튼(1400)과 샤프트(1100) 간의 연결 부분의 파손 우려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넷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에 따르면, 누름 조작을 위한 버튼(1400)이 회전 조작 여부와 관계 없이 설정된 각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노브(1300)를 회전시키는 힘이 노브(1300)와 연결된 샤프트(11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노브(1300)와 샤프트(1100) 간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를 통해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축결합부(131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중심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노브(1300)의 회전 중심은 샤프트(1100)와 동일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1400)이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도록 노브(1300)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버튼(1400)이 회전되지 않게 버튼(1400)을 구속하는 다른 구성이 조작장치(1000)에 별도로 추가될 필요가 없다.
만약 버튼(1400)이 회전되지 않게 버튼(1400)을 지지하는 다른 구성이 조작장치(1000)에 별도로 추가되어야 한다면, 노브(1300) 회전시에 버튼(1400)을 지지하는 다른 구성과 노브(1300) 간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노브(1300)가 샤프트(1100)에 직결되기는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운동전달부재(51; 도 1 참조)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통해 노브(1300)와 샤프트(11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경우, 노브(1300)는 샤프트(1100)에 편심되게 연결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노브(130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지점이 샤프트(110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지점으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된다.
이 경우, 노브(1300)의 회전 조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기울어진 노브(1300)로 인해 샤프트(1100)가 틀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 아니라, 노브(1300)의 회전 조작이 반복될 경우 운동전달부재(51)의 파손이 발생될 우려도 있게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1400)이 회전되지 않게 버튼(1400)을 구속하는 다른 구성이 조작장치(1000)에 별도로 추가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노브(1300)의 회전 중심이 샤프트(1100)와 동일축 상에 배치되도록 노브(1300)가 샤프트(1100)에 직결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노브(1300)를 회전시키는 힘이 노브(1300)와 연결된 샤프트(1100)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노브(1300)의 회전 조작이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샤프트(1100)의 틀어짐이나 파손의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노브(1300)와 샤프트(1100)의 연결을 위해 운동전달부재(51)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게 되므로, 부품 수가 감소되고 장치의 구성이 단순해질 뿐 아니라, 조립 공차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 또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조리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구성의 전반적인 구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5 내지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제1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29 및 도 30은 제1다이얼에 의해 조리대상물의 종류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제2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1 및 도 32는 제1다이얼에 의해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제2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3은 도 24에 도시된 제1푸시버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4 및 도 35는 제1푸시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의 제1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6 및 도 37은 제1푸시버튼이 눌려진 상태에서의 제2다이얼의 조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3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조작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조리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과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제1조작장치(1000a) 및 제2조작장치(1000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2개의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리기기에 1개의 조작장치가 구비되거나 3개 이상의 조작장치가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조작장치(1000a)와 제2조작장치(1000b)는 각각 도 12 내지 도 22를 통해 예시된 조작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조작장치(1000a)와 제2조작장치(1000b)는, 각각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브(1300)와 누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14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1400)은, 노브(1300)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노브(1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조작장치(1000a)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조작장치(1000a)는, 제1다이얼(1300a)과 제1푸시버튼(140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이얼(1300a)은, 두 가지 이상의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제1다이얼(1300a)의 조작에 의해, 복수개의 작동모드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다이얼(1300a)은, 두 가지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세 가지 이상의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제1다이얼(1300a)은 회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다이얼(1300a)은, 노브(1300)와 노브커버(1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노브(1300)와 노브커버(1350)의 결합체가 제1다이얼(1300a)을 구성할 수 있다. 노브커버(1350)가 생략된 경우, 노브(1300)만으로 제1다이얼(1300a)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다이얼(1300a)은, 샤프트(1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샤프트(1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제1조작장치(1000a)에 구비되는 샤프트(1100)를 제1샤프트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1푸시버튼(1400a)은, 두 가지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제1푸시버튼(1400a)의 조작에 의해, 두 가지 작동모드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제1푸시버튼(1400a)은 누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푸시버튼(1400a)은, 버튼(1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1400)은 축연결부재(1500)를 통해 노브(1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푸시버튼(1400a)은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에 자유롭게 제1다이얼(1300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1550)의 작용, 그리고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1푸시버튼(1400a)은 제1다이얼(1300a)과 함께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조작장치(1000b)는, 제1조작장치(1000a)와 함께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조작장치(1000b)는, 제1조작장치(1000a)가 배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제1조작장치(1000a)와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조작장치(1000a)는, 제2다이얼(1300b)과 제2푸시버튼(1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다이얼(1300b)은, 제1다이얼(1300a)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이상의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제2다이얼(1300b)은, 제1다이얼(1300a)과 마찬가지로 회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다이얼(1300b)은, 제1다이얼(1300a)과 마찬가지로 노브(1300)와 노브커버(1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노브(1300)와 노브커버(1350)의 결합체가 제2다이얼(1300b)을 구성할 수 있다. 노브커버(1350)가 생략된 경우, 노브(1300)만으로 제2다이얼(1300b)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다이얼(1300b)은, 샤프트(1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샤프트(1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제2조작장치(1000b)에 구비되는 샤프트(1100)를 제2샤프트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2푸시버튼(1400b)은, 제1푸시버튼(1400a)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제2푸시버튼(1400b)은, 제1푸시버튼(1400a)과 마찬가지로 누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푸시버튼(1400b)은, 버튼(1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푸시버튼(1400b)은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에 자유롭게 제2다이얼(1300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량부재(1550)의 작용, 그리고 중량부재(1550)와 자성부재(1680)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제2푸시버튼(1400b)은 제2다이얼(1300b)과 함께 회전되지 않는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장치(1000a)와 제2조작장치(1000b)는, 서로 동일한 형상의 다이얼과 푸시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다이얼(1300a)과 제2다이얼(1300b)이 동일한 형상의 노브(1300)와 노브커버(1350)를 구비하고, 제1푸시버튼(1400a)과 제2푸시버튼(1400b)이 동일한 형상의 버튼(1400)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조작장치(1000a)와 제2조작장치(1000b)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조리기기 전면의 외관이 좀 더 심플하고 깔끔하면서도 통일성 있는 외관으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제1다이얼 및 제1점등표시부의 구성]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조작장치(1000a)는 제1다이얼(1300a)과 제1푸시버튼(1400a)이 하나의 장치로 합쳐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중 제1다이얼(1300a)은, 제1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며, 이를 통해 세 가지 이상의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푸시버튼(1400a)은, 제1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며, 이를 통해 두 가지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조작될 수 있다.
제1다이얼(1300a)은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다이얼(1300a)이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제1샤프트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샤프트의 회전 각도는,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는, 설정회전각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회전각이 30° 라고 할 때, 제1샤프트는 30°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설정회전각은, 선택 대상이되는 조리대상물의 종류, 또는 선택 대상이 되는 가열 온도 등의 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제1다이얼(1300a)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조리대상물 중에서 조리하고자 하는 조리대상물이 어떤 것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조리기기에 준비된 작동모드가 베이글, 조각피자, 햄 토스트, 토스트, 총 4가지라면,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몇 단위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4가지 중 하나의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만약 베이글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한 단위만큼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조각피자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도 25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두 단위만큼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더 이루어지면, 토스트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도 26 참조).
상기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별 조리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별로 그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에 대한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900)는, 이처럼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0)는, 제1다이얼(1300a)을 통해 선택된 작동모드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종류별로 그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으로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제1다이얼(1300a)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가 어떤 수준으로 이루어지는지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를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조리기기에 준비된 작동모드가 고온(Hihg), 중온(Mid), 저온(Low), 총 3가지라면,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몇 단위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3가지 중 하나의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만약, 토스트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한 단위만큼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토스트 관련 작동모드 대신 고온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도 27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두 단위만큼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더 이루어지면, 저온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도 28 참조).
이때 상기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미리 설정된 가열 온도에 대한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1다이얼(1300a)을 통해 선택된 가열 온도 관련 작동모드에 따라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과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모두가 하나의 제1다이얼(1300a)에 의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범위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회전영역(R1)과 제2회전영역(R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다이얼(1300a)은, 제1회전영역(R1)에서 조리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하고, 제2회전영역(R2)에서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토스트 조리 관련 작동모드, 즉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작동모드와 무관한 다른 작동모드, 즉 고온 조리 관련 작동모드만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가 각 작동모드의 종류를 쉽게 식별하고 좀 더 쉽게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같은 종류의 작동모드끼리 한 회전범위에 모이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제1다이얼(1300a)의 조작을 통해 선택한 작동모드가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작동모드인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와 관련된 작동모드인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조리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는 회전 범위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회전 조작이 서로 다른 회전범위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작동모드의 종류에 따라 해당 회전범위로 빠르게 제1다이얼(1300a)을 회전시킨 후 필요한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좀 더 쉽고 빠르게 제1다이얼(1300a)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조작장치(1000a)는, 제1점등표시부(18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점등표시부(1800a)는, 제1다이얼(1300a)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표시등(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표시등(L)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된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된 각 광통과홀(1640)을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이동 경로는, 그 전방에 배치된 각각의 광통과홀(164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 중에서 어느 발광부재(1700)가 점등되었는지가 조작장치(1000)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통과홀(1640)의 전방에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배치될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는, 금속 질감을 갖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와 그에 형성된 구멍인 광통과홀(1640), 그리고 발광부재(17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발광부재(17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등(L)은, 상기와 같은 발광부재(1700)와 광통과홀(1640) 및 전면커버부재(1800)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1점등표시부(1800a)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표시등(L)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점등표시부(1800a)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1점등표시부(1800a)에는, 제1다이얼(1300a)의 설정회전각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표시등(L)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다이얼(1300a)은 설정회전각 단위, 예를 들면 30°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점등표시부(1800a)에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범위의 시작점으로부터 설정회전각만큼 회전한 위치인 설정위치마다 표시등(L)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점등표시부(1800a)에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범위의 시작점으로부터 30°만큼 회전된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표시등(L)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등(L)이 배치된 제1점등표시부(1800a)에서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각도가 설정회전각의 배수만큼 달라질 때마다, 즉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작동모드가 변화될 때마다 서로 다른 표시등(L)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제1조작장치(1000a) 및 제1점등표시부(1800a)의 주변에는, 제1안내표시부(1850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안내표시부(1850a)는, 제1조작장치(1000a) 및 제1점등표시부(1800a)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안내표시부(1850a)는, 제1점등표시부(1800a)에 배치되는 각각의 표시등(L)이 어떠한 작동모드와 관련된 표시등(L)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안내표시부(1850a)에는, 작동모드와 관련된 기호나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기호나 문자 등은, 그와 관련된 표시등(L)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그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회전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범위의 시작점에 배치된 표시등(L)의 외측에는 베이글을 표시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고, 그 주변의 다른 지점에 배치된 표시등(L)의 외측에는, 조각피자를 표시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범위의 종료점에 배치된 표시등(L)의 외측에는 저온(Low)이라고 표시한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글을 표시한 기호에 인접한 표시등(L)이 점등되면, 사용자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조작을 통해 베이글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저온(Low)이라고 표시한 문자에 인접한 표시등(L)이 점등되면, 사용자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조작을 통해 저온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점등표시부(1800a)에는, 조리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계 없는 다른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통신 기능과 관련된 구성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제1점등표시부(1800a)에 추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안내표시부(1850a)에도, 그 구성과 관련된 문자나 기호 등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무드조명부(180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무드조명부(1800c)는, 제1다이얼(1300a)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무드조명부(1800c)는, 제1다이얼(1300a)의 후방에서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무드조명부(1800c)를 구성하는 각각의 발광부재(17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소켓부재(1600)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노브(1300)의 후방, 즉 제1다이얼(1300a)의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로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로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 사이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무드조명부(1800c)는,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직접 조사되지 않고 제1다이얼(1300a)의 후방을 비추는 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무드조명부(1800c)는, 조리기기의 동작 대기 상태에서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웰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무드조명부(1800c)는, 조작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2다이얼 및 제2점등표시부의 구성]
제2조작장치(1000b)는 제2다이얼(1300b)과 제2푸시버튼(1400b)이 하나의 장치로 합쳐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중 제2다이얼(1300b)은, 제2샤프트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며, 이를 통해 세 가지 이상의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조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푸시버튼(1400b)은, 제1샤프트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며, 이를 통해 두 가지 작동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조작될 수 있다.
제2다이얼(1300b)은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2다이얼(1300b)이 회전되면, 이와 연결된 제2샤프트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샤프트의 회전 각도는,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는, 설정회전각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회전각이 10° 라고 할 때, 제2샤프트는 10°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설정회전각은, 선택 대상이 되는 가열 수준이나 가열 시간의 종류 등의 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 또는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제2다이얼(1300b)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가열 수준 관련 작동모드 또는 가열 시간 관련 작동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을 선택하는 것과 관련하여 조리기기에 준비된 작동모드가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 제4단계, 제5단계, 총 5가지라면,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몇 단위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5가지 중 하나의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단계에서 제5단계로 갈수록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이 높아지는, 즉 조리대상물을 바짝 익히는 작동모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만약 제1단계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두 단위만큼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제3단계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도 29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두 단위만큼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더 이루어지면, 제5단계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도 30 참조).
상기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과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별 조리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상기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별로 그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에 대한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900)는, 이처럼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0)는, 제2다이얼(1300b)을 통해 선택된 작동모드에 따라 조리대상물의 종류별로 그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으로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제2다이얼(1300b)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이 직접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단계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한 단위만큼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도 31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더 이루어지면, 제2다이얼(1300b)은 이전보다 더 증가된 가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도 32 참조).
상기 가열 시간과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가열 시간에 대한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900)는, 이처럼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0)는, 제2다이얼(1300b)을 통해 선택된 가열 시간동안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과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모두가 하나의 제2다이얼(1300b)에 의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범위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3회전영역(R3)과 제4회전영역(R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다이얼(1300b)은, 제3회전영역(R3)에서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을 선택하고, 제4회전영역(R4)에서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과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5단계 관련 작동모드, 즉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과 관련된 작동모드가 선택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과 관련된 작동모드와 무관한 다른 작동모드, 즉 약 5분간의 가열 시간에 대응되는 작동모드만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2다이얼(1300b)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사용자가 각 작동모드의 종류를 쉽게 식별하고 좀 더 쉽게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조작장치(1000b)는 제2점등표시부(18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점등표시부(1800b)는, 제2다이얼(1300b)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제1다이얼(1300a)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표시등(L)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등(L)들의 구성은 제1점등표시부(1800a)의 표시등(L)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점등표시부(1800b)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제2점등표시부(1800b)에는, 제2다이얼(1300b)의 설정회전각 단위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표시등(L)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다이얼(1300b)은 설정회전각 단위, 예를 들면 10° 단위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점등표시부(1800b)에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범위의 시작점으로부터 설정회전각만큼 회전한 위치인 설정위치마다 표시등(L)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점등표시부(1800b)에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범위의 시작점으로부터 10°만큼 회전된 위치마다 적어도 하나씩의 표시등(L)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등(L)이 배치된 제2점등표시부(1800b)에서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 각도가 설정회전각의 배수만큼 달라질 때마다, 즉 회전에 따라 선택되는 작동모드가 변화될 때마다 서로 다른 표시등(L)이 점등될 수 있다.
또한 제2조작장치(1000b) 및 제2점등표시부(1800b)의 주변에는, 제2안내표시부(185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안내표시부(1850b)는, 제2조작장치(1000b) 및 제2점등표시부(1800b)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안내표시부(1850b)는, 제2점등표시부(1800b)에 배치되는 각각의 표시등(L)이 어떠한 작동모드와 관련된 표시등(L)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안내표시부(1850b)에는, 작동모드와 관련된 기호나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기호나 문자 등은, 그와 관련된 표시등(L)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그와 동일 또는 유사한 회전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범위의 시작점에 배치된 표시등(L)의 외측에는 제1단계의 가열 수준을 표시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고, 그 주변의 다른 지점에 배치된 표시등(L)의 외측에는, 다른 단계의 가열 수준을 표시한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범위의 종료점에 배치된 표시등(L)의 외측에는 시간을 표시한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계의 가열 수준을 표시한 기호에 인접한 표시등(L)이 점등되면, 사용자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 조작을 통해 제1단계의 가열 수준이 선택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5라고 표시한 숫자에 인접한 표시등(L)이 점등되면, 사용자는 제2다이얼(1300b)의 회전 조작을 통해 가열 시간이 5분으로 선택되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2푸시버튼(1400b)은, 조리기기의 동작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푸시버튼(1400b)이 가열부(400,600)의 동작 여부를 선택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를 들어 제2푸시버튼(1400b)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다이얼(1300a), 제1푸시버튼(1400a), 제2다이얼(1300b)이 조작 가능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푸시버튼(1400b)이 눌려지면, 가열부(400,600) 및 그와 관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제2푸시버튼(1400b)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제1다이얼(1300a), 제1푸시버튼(1400a), 제2다이얼(1300b)의 조작이 이루어지더라도 그와 관련된 작동모드의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오직 제2푸시버튼(1400b)의 조작을 통한 조리기기의 동작 중단만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2무드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무드조명부()는, 제2다이얼(1300b)의 주변을 밝히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무드조명부()는, 제2다이얼(1300b)의 후방에서 제2다이얼(1300b)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무드조명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무드조명부(1800c)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다이얼과 제1버튼의 상호 작용]
제1푸시버튼(1400a)은 누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리면 이와 연결된 제1샤프트가 축방향,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샤프트의 이동은,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제1푸시버튼(1400a)은, 조리대상물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푸시버튼(1400a)은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경우,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가 아닌 경우에 비해 조리를 위해 더 많은 열량이 소비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경우에는, 가열 온도가 더 높아지거나 조리 시간이 더 길게 소요되어야 할 것이다. 제1푸시버튼(1400a)은, 이를 위해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푸시버튼(1400a)은 조리대상물이 건조 상태인지 아닌지를 선택할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여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푸시버튼(1400a)은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푸시버튼(1400a)에 대한 조작에 의해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것으로 선택되면,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만을 선택할 수 있고, 가열 온도는 선택할 수 없다.
즉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려지면, 제1다이얼(1300a)은 제1회전영역(R1)을 넘어 제2회전영역(R2)으로 회전되어도 가열 온도와 관련된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없다.
제2회전영역(R2)에서 선택될 수 있는 작동모드, 즉 가열 온도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이 어떤 상태이냐와 무관한 내용들만이 설정된다. 즉 가열 온도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이 어떤 상태인지 어떤 종류의 음식인지와 무관하게 가열 온도만이 설정될 뿐이다.
이에 비해,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 조리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베이글 조리와 관련된 작동모드가 선택되면, 조리기기에서는 베이글 조리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으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에 대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이 어떤 상태이냐에 따라 그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글 조리와 관련된 작동모드에는 냉동 상태인 베이글 조리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과 냉동 상태가 아닌 베이글 조리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푸시버튼(1400a)에 대한 조작에 의해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것으로 선택되고, 제1다이얼(1300a)에 대한 조작에 의해 베이글 조리와 관련된 작동모드가 선택되면(도 33 참조), 조리기기에서는 냉동 상태인 베이글 조리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으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에 대한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회전영역(R1)에서 선택될 수 있는 각각의 작동모드들, 즉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다르게 설정된 두 가지 설정정보가 포함되고, 제1푸시버튼(1400a)은 이 두 가지 설정정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푸시버튼(14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작동모드들과만 관련이 있고, 가열 온도와 관련된 작동모드들과는 관련이 적다 할 것이므로, 제1푸시버튼(1400a)에 대한 조작에 의해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것으로 선택되었을 때에는 가열 온도와 관련된 작동모드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려지면, 제1다이얼(1300a)은 제1회전영역(R1)을 넘어 제2회전영역(R2)으로 회전되어도 가열 온도와 관련된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제1점등표시부(1800a)에서도,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려지는 경우 제1다이얼(1300a)이 제1회전영역(R1)을 넘어 제2회전영역(R2)으로 회전되어도 제2회전영역(R2)에 배치된 표시등(L)이 점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경우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이 계속되어도 제1점등표시부(1800a)에서는 제1회전영역(R1)의 종료점에 배치된 표시등(L)이 점등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불필요한 조작이나 오조작으로 인해 조리기기가 오동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영역(R1)에서 각각의 설정위치 당 배치되는 표시등(L)의 개수와 제2회전영역(R2)에서 각각의 설정위치 당 배치되는 표시등(L)의 개수가 상이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설정위치 별로 배치되는 표시등(L)의 개수는 회전영역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회전영역(R1)에서의 각 설정위치 별 표시등(L)의 개수가 제2회전영역(R2)에서의 각 설정위치 별 표시등(L)의 개수보다 많은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회전영역(R1)에서는 각 설정위치 별로 3개씩의 표시등(L)이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비해 제2회전영역(R2)에서는 각 설정위치 별로 1개씩의 표시등(L)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영역(R1)에서는, 제1푸시버튼(1400a)의 선택 상태에 따라 각각의 설정위치에서 점등되는 표시등(L)의 개수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리지 않았을 때에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각각 1개씩의 표시등(L)이 점등될 수 있다(도 25 내지 도 28 참조). 이에 비해,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려진 상태에서는,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각각 3개씩의 표시등(L)이 점등될 수 있다(도 34 내지 도 35 참조).
즉 제1다이얼(1300a)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한 번에 몇 개의 표시등(L)이 점등되는지에 따라 제1푸시버튼(1400a)의 선택 상태가 명확하게 식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조작장치와 제2조작장치의 상호 작용]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조작장치(1000a)에서 어떤 작동모드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제2조작장치(1000b)에서 선택될 수 있는 작동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제1다이얼(1300a)에서 조리대상물의 종류가 선택되면,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만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제1다이얼(1300a)에서 조각피자 조리 관련 작동모드나 햄 토스트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도 25 및 도 26 참조),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만을 선택할 수 있고,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직접 선택할 수는 없다.
즉 제1다이얼(1300a)에서 조리대상물의 종류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제2다이얼(1300b)은 제3회전영역(R3)을 넘어 제4회전영역(R4)으로 회전되어도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과 관련된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없다.
제4회전영역(R4)에서 선택될 수 있는 작동모드, 즉 가열 시간과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이 어떤 종류냐와 무관한 내용들만이 설정된다. 즉 가열 시간과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가 무엇인지와 무관하게 단순히 가열 시간만이 설정될 뿐이다.
이에 비해,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 조리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즉 조리대상물의 종류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모드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그 조리에 적합한 가열 시간이 이미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3회전영역(R3)에서 선택될 수 있는 작동모드, 즉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 관련 작동모드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익힘 수준 별로 그에 적합한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다이얼(1300a)에서 조리대상물의 종류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에는 가열 시간을 별도로 다시 선택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제2다이얼(1300b)을 통해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 즉 어느 정도의 익힘 상태로 조리할 것인지만 선택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다이얼(1300a)에서 조리대상물의 종류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되면, 제2다이얼(1300b)은 제3회전영역(R3)을 넘어 제4회전영역(R4)으로 회전되어도 가열 시간과 관련된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제2점등표시부(1800b)에서도, 제1다이얼(1300a)에서 조리대상물의 종류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2다이얼(1300b)이 제3회전영역(R3)을 넘어 제4회전영역(R4)으로 회전되어도 제4회전영역(R4)에 배치된 표시등(L)이 점등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은 경우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계속되어도 제2점등표시부(1800b)에서는 제3회전영역(R3)의 종료점에 배치된 표시등(L)이 점등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다이얼(1300a)에서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온도가 선택되면, 제2다이얼(1300b)은 가열 시간만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제1다이얼(1300a)에서 고온 조리 또는 저온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시간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도 27 및 도 28 참조).
이와 함께 제2점등표시부(1800b)에서는, 제1다이얼(1300a)에서 가열 온도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제3회전영역(R3)에 배치된 표시등(L)은 점등되지 않고, 제4회전영역(R4)에 배치된 표시등(L)만이 점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다이얼(1300a)에서 고온 조리 또는 저온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될 경우, 이에 연동되어 제2점등표시부(1800b)의 표시등(L)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다이얼(1300a)을 통해 가열 온도를 선택했을 때, 제2다이얼(1300b)을 통해 가열 시간을 선택할 수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3회전영역(R3)을 향한 방향으로 제2다이얼(1300b)의 회전이 이루어져도 제2점등표시부(1800b)에서는 제3회전영역(R3)에 배치된 표시등(L)의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4회전영역(R4)의 시작점에 배치된 표시등(L)이 점등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려진 경우, 즉 제1푸시버튼(1400a)에서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것으로 선택되는 경우,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만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영역(R1)에서만 표시등(L)의 점등이 이루어지며, 제1다이얼(1300a)의 회전시 동시에 점등되는 표시등(L)의 개수를 통해 제1푸시버튼(1400a)이 눌러졌음이, 즉 조리대상물이 냉동 상태인 것으로 선택되었음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제1다이얼(1300a)은 조리대상물의 종류만을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2다이얼(1300b)은 조리대상물에 대한 가열 수준만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상태의 햄 토스트 조리 관련 작동모드가 선택된 경우, 제2다이얼(1300b)은 이러한 냉동 상태의 토스트를 어떤 가열 수준으로 조리할 것인지만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에서는, 제2다이얼(1300b)은,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 상태의 토스트를 살짝 익힐 것인지 적당한 수준으로 익힐 것인지 바짝 익힐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고, 냉동 상태의 토스트에 대한 가열 시간을 직접 선택할 수는 없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불필요한 조작이나 오조작으로 인해 조리기기가 오동작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조리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이의 인출 구조]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 도 38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트레이본체(205)와 거치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본체(205)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본체(205)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본체(205)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트레이본체(205)의 네 측면 중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면과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거치부(210)가 각각 마련된다. 거치부(210)는, 트레이본체(205)의 측면 상단부에서 트레이본체(205)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1)와, 제1돌출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210)는, 제1돌출부(211)와 제2돌출부(213)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개방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폐쇄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힌지 결합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힌지부(810)의 연결부재 중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에는, 트레이(200)가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의 측부에 형성된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짐에 의해 거치돌기(82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20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거치부(210)에는 거치홈(215)이 각각 형성된다. 거치홈(215)은,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가 하단으로부터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5)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의 절개된 하부를 통해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면(21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면(214)은,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접촉되는 거치돌기(8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면(21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215)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로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조리된 음식물을 꺼내거나 트레이(200)를 세척하기 위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수도 있다.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트레이(200)를 상부로 살짝 들어준 뒤 꺼내면 된다.
그리고 꺼냈던 트레이(200)를 다시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
그러나 거치홈(215)이 트레이(200)의 하부에 위치해 있고 거치돌기(820)가 트레이(20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거치홈(215) 및 거치돌기(8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슬라이딩면(214)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면(214)은 거치홈(215)과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처음부터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일단 슬라이딩면(214)이 거치돌기(820)에 얹혀지도록 트레이(200)를 밀어 넣은 후, 전후방향으로 트레이(200)를 이동시켜주면 된다.
이 과정에서 거치돌기(8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200)로 인해 슬라이딩면(820) 상을 슬라이딩하다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즉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단순히 트레이(200)를 거치돌기(820) 위에 얹어놓은 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거치돌기(820)와 거치홈(215) 간의 끼움 결합 및 이를 통한 거치돌기(820)와 트레이(200) 간의 끼움 결합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여러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40은 도 39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2는 도 39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하나로서,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는 경사면(215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5a)은,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214)과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삽입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거치돌기(8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좀 더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면(215a)은,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는 트레이(200)를 덜 깊숙하게 넣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 트레이(200)가 덜 깊숙하게 넣어진 상태에서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 상에 거치되었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로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3)에는 끼움홈(215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홈(215b)은, 제2돌출부(213)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과 연결되게 형성되되, 거치홈(215)의 상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를 향해 후방측으로 더 밀어 넣으면, 거치홈(215)에 끼워져 있던 거치돌기(820)는 거치홈(215)의 전방으로 연장된 끼움홈(215b)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돌기(820)와 끼움홈(215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트레이(20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거치돌기(820)는, 힌지부(810)의 상태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돌기(820)는,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의 "ⅩⅩⅩⅩⅤ-ⅩⅩⅩⅩ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6은 도 44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7은 도 4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ⅩⅩⅩⅩⅧ-ⅩⅩⅩ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9는 도 47의 "ⅩⅩⅩⅩⅨ-ⅩⅩ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트레이(20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레이(200)가 거치된 거치돌기(820)는 조리실(105)의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200)의 후방측은 한 쌍의 거치돌기(8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전방측은 한 쌍의 지지롤러(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는, 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치돌기(820)와 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롤러(2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리실(10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20,130)에 각각 배치되되, 도어(300)와 인접한 하우징(100)의 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에는, 트레이(200)의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면(214; 도 38 참조)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115)는, 트레이(200) 이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트레이(200)가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게 트레이(2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105)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
도 44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케이스(830)와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의 일부분, 그리고 변환출력부(840)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에는,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궤도를 따라 회동될 수 있게 힌지케이스(8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810)의 상단은 도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와 결합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그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300)는, 힌지부(810)에 의해 그 회동 궤도 및 범위가 안내될 수 있다.
일례로서, 힌지부(810)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되,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따라 휘어진 형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케이스(830)에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831)은, 힌지케이스(830) 상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은, 힌지부(830)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힌지케이스(83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이드홀(831)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810)에는, 스토퍼(8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811)는, 힌지부(810) 상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에 삽입되어 가이드홀(831)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부(810)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의 전방 및 상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고, 가이드홀(831)의 후방 및 하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힌지부(810)의 이동 범위를 가이드홀(831)의 형성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를 이루는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의해 입력되는 힘을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환출력부(840)는, 이동부재와 변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재는,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변환부재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 즉 힌지부(8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일례로서, 변환출력부(840)는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및 랙기어(8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는 변환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랙기어(846)는 이동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벨트(841)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기어가 형성된 오픈형 타이밍벨트(Timing belt) 형태로 마련된다. 벨트(841)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1가이드리브(832)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벨트(841)의 후방측 단부는, 힌지부(8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841)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벨트(841)에 형성된 기어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와 맞물릴 수 있다.
제1회전기어(842)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중 벨트(841)와 가장 인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기어(842)는 타이밍 기어(Timing ge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회전기어(841)는, 벨트(842)와 맞물려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기어(843) 및 제3회전기어(844)는, 제1회전기어(842)와 제4회전기어(845)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기어(842)의 회전을 제4회전기어(845)로 전달한다.
즉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벨트(841)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결국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가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을 유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제4회전기어(845)는, 그 하부에 배치된 랙기어(846)와 맞물릴 수 있다. 랙기어(846)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이드리브(833)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랙기어(846)는,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49 참조).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48 참조).
상기 랙기어(846)에는, 거치돌기(82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는 랙기어(846)의 이동에 연동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기어(846)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랙기어(84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이루는 구성들, 즉 힌지부(810) 및 변환출력부(840)의 상태가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변화되고 이처럼 상태가 변화된 구성들이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방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이러한 도어(300)의 회동에 의한 회전력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치돌기(8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고 안전하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트레이(200)에 놓거나 조리가 완료되어 트레이(200)에 놓여진 음식물을 트레이(200)에서 꺼낼 수도 있고, 전방으로 인출된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에서 손쉽게 꺼내어 옮길 수도 있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만을 개방하거나 상면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확장된 통로를 통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기만 하면 도어(300) 폐쇄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조리실(105) 내부로 삽입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도중 트레이(200)를 꺼냈다가 다시 조리실(105)에 넣고자 할 때, 열기가 가득한 조리실(105) 내부에 손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300)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방되므로, 도어(300)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다. 오히려, 도어(300) 개방시에는 도어(300) 폐쇄시보다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0) 개방시에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에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한데,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는 구조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고온 조리 성능이 향상되고 오랫동안 온기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므로,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거워질수록 그만큼 향상된 조리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200)는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제2가열부(600)가 유도가열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트레이(200)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억제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고온 조리 성능 및 온기 유지 성능의 향상을 위해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가 인출된 만큼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0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7 내지 도 50을 참조하면,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30) 측에 배치되되,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인접한 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와 결합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이하 "개방상태"라 한다)일 때,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폐쇄한 상태(이하 "폐쇄상태"라 한다)일 때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는,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첫 번째 구성은, 도어(300)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며, 이로써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G1→G1').
한편 도어(300) 자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300)는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어(300)가 폐쇄상태일 때,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는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어(300)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 따라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전후방향 중심보다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G2→G2').
도어(300)가 개방되기 위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0) 상에서, 도어전면부(350)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10)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리기기 전체의 무게 중심도 더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두 번째 구성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도어(30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어(300)에는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마련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도 11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라스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글라스로 형성된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즉 두 겹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더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투시창(W)을 형성하는 글라스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중 하나의 제1가열부(400)는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1가열부(400)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에 의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세 번째 구성은,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300)는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고,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도어(300) 자체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도어(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 전도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힌지부(810)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힌지부(810)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자체의 위치 변화와 도어(300) 자체의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하여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네 번째 구성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도어(300)와 힌지부(810) 간의 결합점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조리기기에 모멘트(Moment)가 가해지는데, 이 모멘트는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모멘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커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처럼 인출된 트레이(200)로 인해 발생되는 모멘트가 조리기기에 더해지게 되는데, 이 모멘트 또한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와 트레이(2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를 합한 힘이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을 더욱 높이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도어(300)에 작용하는 힘, 그리고 이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회전축(도어와 힌지부의 결합 부분)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3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할 것인데, 중력은 도어(300)의 전체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300)의 무게 중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멘트는,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M1),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고(M2)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조리실(105) 개방을 위해 후방으로 회동할수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M1→M2).
즉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의 전방 인출로 인해 트레이(200) 측에서의 모멘트가 증가되지만, 도어(300) 측에서의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되는 트레이(200)로 인한 조리기기의 전도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섯 번째 구성은,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거치돌기(8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와 연결된 거치돌기(820)가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거치돌기(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되, 거치돌기(820)의 두께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폭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일 수 있다.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길이는,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와 관련된다. 즉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한 만큼 인출될 수 있고, 거치돌기(820)의 전방 이동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제한되므로, 결국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가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이면, 트레이(200)의 이동 가능 거리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후방 단부에 위치할 때 트레이(200)가 조리실(105)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고 하면,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전방 단부에 위치할 경우, 트레이(200)는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는,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트레이(200)가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면 그만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짐을 고려하여,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 그만큼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 자체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트레이(200) 및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은 낮추는 효과를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어가 조리실의 전방만을 개방하는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면,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가 조리실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가 어렵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실(105)의 전면뿐 아니라 상면도 함께 개방되므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 전체의 조리 상태를 확인하기가 용이하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 것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여섯 번째 구성은,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어 구성 부품들의 배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50)에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임의로 선택된 배치 구조가 아니라, 조리기기의 편의성, 안전성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의 결과로 도출된 배치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이 배치되는데, 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마땅한 공간이 마련되기 어렵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여 있음을 감안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부분이 마련되기 어렵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외에도 제1가열부(400)가 설치된다. 제1가열부(400)는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이며, 도어상면부(310)는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외측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그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인 형태로 제공된다.
도어(30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에 비해 글라스(330)의 열전도성이 낮으므로, 도어상면부(310)의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을 글라스(330)로 덮음으로써, 제1가열부(40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도어상면부(310)의 외측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한 것이다.
만약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이 글라스(330)로 덮여있지 않고 투시창(W) 부분에만 글라스(330)가 덮인다고 하더라도,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가능한 영역은 투시창(W)의 평면방향 외측 영역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 영역은 제1가열부(400)의 바로 위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조작장치(1000)가 고온의 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조작장치(1000)가 이러한 환경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조작 스위치, 그리고 각 조작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각종 전자부품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상승하는 열의 특성 상 도어전면부(350)보다는 도어상면부(310)가 좀 더 고온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더욱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됨을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의 온도는 대부분 도어전면부(350)보다 고온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도어상면부(31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 자체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게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와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도 커지게 된다.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은,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의 상부에 배치되어야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물을 위에서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또한 투시창(W)이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투시창(W)도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은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에 의해 점유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하며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인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장치(1000) 조작도 좀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즉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400)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무겁고 크기가 큰 부품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공간적 여유가 있다.
이러한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조작장치(1000)와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매우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은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므로,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면, 설치 공간이 마땅치 않은 도어상면부(310)를 피해 상대적으로 공간 여유가 있는 부분에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어 조작 스위치의 크기, 개수, 위치 등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고, 고온의 영향을 덜 받아 조리기기의 동작 안정성 및 사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고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상대적으로 중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가 이루어지므로, 도어상면부(310)가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무거워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좀 더 쏠리게 된다.
더욱이 도어(300)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확연하게 쏠리게 된다.
또한 힌지부(810)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어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하우징(100)이 아닌 도어(30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상부측에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전방측에 배치되는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던 구성인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므로,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W)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구성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조작장치(1000)와 근접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인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기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도어(30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는 효율적인 조작장치(1000)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300)에 설치됨으로써, 도어(30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짐은 물론, 이를 위한 배선 길이도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간결하고 깔끔한 배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배선 처리가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하우징(100)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 없이, 오로지 조리실(105)의 크기와 도어(300)의 크기만을 고려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삭제한 만큼 감소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도어(300)의 크기도 하우징(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큰 크기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우징(100)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200)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
도 5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2는 도 51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53은 도 51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4는 도 51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5는 도 51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와 도 51 및 도 52를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
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도 53 및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613)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코일설치베이스(621)와 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코일(62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도 51과 도 52 및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연결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7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 PCB(710)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720)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72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725)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
IGBT(725)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2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은, IGBT(725)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725)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726)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710)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700)는, 도 51 내지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조작장치,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
도 4와 도 51 내지 도 5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인출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 힌지 어셈블리(800)가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트레이(2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즉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200)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게다가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조작장치(100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조작장치(100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조작장치(10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조작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100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5 : 조리실
110 : 저면
120,130 : 측면
125 : 제2슬롯
140 : 배면
150 : 배면케이스
160 : 절연판
170 : 캐비닛
180 : 베이스
200 : 트레이
205 : 트레이본체
210 : 거치부
211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14 : 슬라이딩면
215 : 거치홈
220 : 물받이홈
230 : 스팀커버
300 : 도어
301 : 흡기구
303 : 배기구
305 : 손잡이
310 : 도어상면부
320 : 도어프레임
330,335 : 글라스
340,345 : 케이블장착부
341 : 연결부재
350 : 도어전면부
360 : 조작장치
370 : 제1냉각팬
400 : 제1가열부
500 : 제1제어기판
600 : 제2가열부
610 : 워킹코일
611 : 코일설치베이스
613 : 코일
615 : 코일연결배선
620 : 수신코일
621 : 코일설치베이스
623 : 코일
630 : 전자기차폐판
640 : 온도측정부
700 : 제2제어기판
710 : 노이즈필터 PCB
720 : 코일제어 PCB
725 : IGBT
726 : 히트싱크
730 : 제2냉각팬
800 : 힌지 어셈블리
810 : 힌지부
820 : 거치돌기
830 : 힌지케이스
835 : 제1슬롯
1000 : 조작장치
1100 : 샤프트
1200 : 엔코더
1300 : 노브
1310 : 축결합부
1311 : 축결합공
1320 : 스커트부
1321 : 결합홈
1330 : 제2연결지지부
1340 : 돌기부
1350 : 노브커버
1360 : 전면부
1361 : 관통부
1370 : 측면부
1400 : 버튼
1410 : 누름부
1411 : 지지돌기
1420 : 결합부
1430 : 체결보스부
1500 : 축연결부재
1510 : 제1연결부
1520 : 제2연결부
1550 : 중량부재
1600 : 소켓부재
1610 : 외측지지부
1611 : 삽입홈
1620 : 내측지지부
1630 : 제1연결지지부
1631 : 플랜지형상부
1633 : 리브형상부
1635 : 스커트형상부
1640 : 광통과홀
1650 : 제1결합부
1651 : 제1돌출돌기부
1653 : 제1결합돌기부
1660 : 제2결합부
1661 : 제2돌출돌기부
1663 : 제2결합돌기부
1670 : 제3결합부
1680 : 자성부재
1700 : 발광부재
1800 : 전면커버부재
1810 : 결합보스
W : 투시창

Claims (31)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노브;
    상기 샤프트와 함께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와 상기 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버튼; 및
    상기 샤프트와 상기 버튼 사이 또는 상기 노브와 상기 버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을 상기 샤프트 및 상기 노브의 회전으로부터 자유롭게 상기 샤프트 또는 상기 노브에 연결시키는 축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조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연결부재는,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조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부재는,
    상기 축결합부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축결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버튼과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부를 상대로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조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연결부재를 상기 축연결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며 상기 제2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에 설치되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랑부재는, 상기 버튼의 무게중심이 상기 축연결부재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로 구비되는 조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로부터 돌출되는 체결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체결보스부에 결합되는 조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체결보스부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부재를 포함하는 조작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 주변에 고정되어 자성체를 흡인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재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조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를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소켓부재에 설치되는 조작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결합축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스커트부; 및
    상기 결합축부 및 상기 스커트부를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조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노브커버를 더 포함하는 조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노브커버는,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커트부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상기 노브에 설치되는 조작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커버는,
    상기 샤프트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전면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스커트부와 나란한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조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전면부와 나란한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는 조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누름부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지지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관통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게 형성되는 조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상기 스커트부보다 구심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전면부의 배면에 간섭되어 전방을 향한 상기 버튼의 이동을 저지하고,
    상기 누름부는, 전방을 향한 상기 버튼의 이동이 저지되었을 때 상기 누름부의 전면과 상기 전면부의 전면이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조작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를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소켓부재; 및
    상기 노브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소켓부재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소켓부재의 전방측을 차폐하는 전면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작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노브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노브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브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전면커버부재와 상기 노브 사이에 삽입되는 조작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외측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지부는, 상기 노브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커버부재와 결합되는 조작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의 내주면에는, 삽입홈이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스커트부의 상기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조작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소켓부재의 내부 및 상기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재는, 상기 삽입홈의 개방된 상기 전방측을 차폐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삽입홈과 상기 전면커버부재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조작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측지지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재와 상기 전면커버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광통과홀이 마련되는 조작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부재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조작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발광부재가 상기 노브의 회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발광부재의 점등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과 상기 샤프트의 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동되어 이루어지는 조작장치.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는, 상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내측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결합축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의 상기 후방측에 배치되는 조작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축연결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에 설치되는 중량부재, 및 상기 내측지지부에 고정되어 자성체를 흡인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부재의 흡인력이 작용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는 조작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버튼으로부터 상기 내측지지부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자성부재는, 상기 버튼과 마주보는 상기 내측지지부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조작장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작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조리실 내부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상기 조리실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조리기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장치는, 상기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190121098A 2019-01-11 2019-09-30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00087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631A KR20200087681A (ko) 2019-01-11 2019-12-27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190177048A KR20200087685A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KR1020190177046A KR20200087683A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KR1020190177047A KR20200087684A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PCT/KR2020/000535 WO2020145760A1 (ko) 2019-01-11 2020-01-10 조리기기
PCT/KR2020/000533 WO2020145758A1 (ko) 2019-01-11 2020-01-10 조리기기
PCT/KR2020/000542 WO2020145764A1 (ko) 2019-01-11 2020-01-10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CT/KR2020/000531 WO2020145756A1 (ko) 2019-01-11 2020-01-1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69 2019-01-11
KR1020190004169 2019-01-11
KR20190038037 2019-04-01
KR1020190038037 2019-04-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617A Division KR102703305B1 (ko) 2019-01-11 2019-12-30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662A true KR20200087662A (ko) 2020-07-21

Family

ID=7183251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78A KR102678070B1 (ko) 2019-01-11 2019-04-05 조리기기
KR1020190041621A KR102691057B1 (ko) 2019-01-11 2019-04-09 조리기기
KR1020190121098A KR20200087662A (ko) 2019-01-11 2019-09-30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190177048A KR20200087685A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78A KR102678070B1 (ko) 2019-01-11 2019-04-05 조리기기
KR1020190041621A KR102691057B1 (ko) 2019-01-11 2019-04-09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048A KR20200087685A (ko) 2019-01-11 2019-12-2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6780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649B2 (ja) 1976-06-10 1985-07-11 ピルキントン・ブラザ−ス・リミテツド 物品処理用流動作動方法および装置
US6271502B1 (en) 2000-02-18 2001-08-07 Wen-Ching Lee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US6289602B1 (en) 1999-01-28 2001-09-18 Cts Corporation Strain gage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sensor
KR20110001565U (ko)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US9593855B2 (en) 2012-05-25 2017-03-14 Eltek S.P.A. Control device for gas tap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5999A (en) * 1968-07-01 1970-10-27 Scovill Manufacturing Co Convertible cooking device with sloping spit
JPS6289602U (ko) 1985-11-27 1987-06-08
KR940025187U (ko) * 1993-04-19 1994-11-17 전자렌지 캐비티 본체의 조립구조
KR960005773B1 (ko) * 1993-12-28 1996-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및 트레이 자동개폐구조
JP3363239B2 (ja) * 1994-03-23 2003-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誘導加熱装置
WO2010078238A1 (en) * 2008-12-31 2010-07-08 Conair Corporation Oven and method for cooking with dry heat and steam hea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649B2 (ja) 1976-06-10 1985-07-11 ピルキントン・ブラザ−ス・リミテツド 物品処理用流動作動方法および装置
US6289602B1 (en) 1999-01-28 2001-09-18 Cts Corporation Strain gage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sensor
US6271502B1 (en) 2000-02-18 2001-08-07 Wen-Ching Lee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KR20110001565U (ko)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US9593855B2 (en) 2012-05-25 2017-03-14 Eltek S.P.A. Control device for gas t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8070B1 (ko) 2024-06-25
KR20200087652A (ko) 2020-07-21
KR20200087685A (ko) 2020-07-21
KR102691057B1 (ko) 2024-08-01
KR20200087650A (ko) 2020-07-21
KR20200087687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414B1 (ko) 조리기기
KR102575310B1 (ko) 조리기기
EP3940299B1 (en) Cooking appliance
US12082329B2 (en) Cooking appliance
KR102572684B1 (ko) 조리기기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20220168100A (ko) 조리기기
KR20200087684A (ko) 조리기기
KR20200087653A (ko) 조리기기
KR102213630B1 (ko) 조리기기
KR20200087662A (ko)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703305B1 (ko)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10014726A (ko) 조리기기
KR20220168097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