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358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358A
KR20200087358A KR1020190000445A KR20190000445A KR20200087358A KR 20200087358 A KR20200087358 A KR 20200087358A KR 1020190000445 A KR1020190000445 A KR 1020190000445A KR 20190000445 A KR20190000445 A KR 20190000445A KR 20200087358 A KR20200087358 A KR 20200087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function
displa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164B1 (ko
Inventor
이영석
엄태원
김재훈
김혜원
신승우
전유현
최용진
황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164B1/ko
Priority to CN201980087776.2A priority patent/CN113272183A/zh
Priority to US16/728,406 priority patent/US11623525B2/en
Priority to PCT/KR2019/018652 priority patent/WO2020141820A1/en
Priority to EP19907151.5A priority patent/EP3887212A4/en
Publication of KR20200087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358A/ko
Priority to US18/132,406 priority patent/US202303029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occupant comfort, e.g.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ppliances according to personal settings, e.g. seats, mirrors,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2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displaying on manual operation elements, e.g. on a kno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3Scrolling through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5Selection of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2Instrument input devices with reconfigurable control functions, e.g. reconfigurable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6Rotat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28Axially displaceable input devices f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39Clusters of instrument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8Instrument input by vo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31Instruments adaptations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by comprising user programmabl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41Instruments adapted for user detection
    • B60K2370/11
    • B60K2370/12
    • B60K237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차량에 배치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본 전자 장치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ELECTRONIC APPARATUS}
본 개시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배치된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차량(vehicle) 내에 배치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들은 다양한 기능 또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배치된 전자 기기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의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입력들이 요구되는데, 특히, 운전자가 차량을 운전하는 동안 다양한 종류의 입력들을 야기하는 것은 사고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은 차량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차량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기능 제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배치된 전자 장치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body part)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의 기능은,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In 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별로 기설정된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별 프로파일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새롭게 선택되면, 상기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능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가 푸시 조작되면,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command)를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푸시 조작에 따라 실행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차량에 배치된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기본 UI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를 상기 기본 UI로 재 변경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기본 UI를 상기 제 2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제 3 UI로 변경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기본 UI를 상기 실행된 하나의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VI 시스템에서 실행된 상기 하나의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상기 기본 UI로 재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목적지 중 하나의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 상에서 목적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콜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연락처 중 하나의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 상에서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VI 시스템에서 실행된 네비게이션 기능에서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선택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 상에서 IoT 기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UI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사용자가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기본 UI 및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한 제 1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한 제 2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command)을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IVI 시스템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배치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를 표시하는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를 표시하는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자 장치 각각은,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각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각각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사용자는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차량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기능 제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사용자는 시선 이탈을 최소화하면서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빠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경의 예시도,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의 블럭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럭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들의 예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시동이 걸린 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의 예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별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상황(context)에 기초하여 연관된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상황에 따라 연관된 UI를 표시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 실행 시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의 예시도,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콜 기능의 실행 시 표시되는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의 예시도,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콜 기능 실행 시 콜 수신 UI의 예시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의 예시도,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시간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작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알람을 설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모바일 기기가 연동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가 차량에 배치된 예시도,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및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차량 내 환경(10)은 차량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 Vehicle Infotainment, IVI) 시스템(200) 및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은 차량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은,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조향 기능,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기능, 좌석 위치(seat position) 조절 기능, 좌석 온도 조절 기능, 백미러 조절 기능, 윈도우 및 선루프 제어 기능, 주유구 개폐 기능, 음량 조절 기능, 시계 기능, 운전 모드(driving mode) 설정 기능, 음성 에이전트(voice agent) 기능, HUD(Head Up Display)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차량 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될 수 있는 기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 Vehicle Infotainment, IVI) 시스템(이하, IVI 시스템이라 한다.)(200)은 사용자가 차량 안에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및 정보 시스템을 총칭하는 말로, 차량 내에서 사용자에게 각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VI 시스템(200)은 콜, 메시지, 알람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와 연동된 다양한 기능, 영화, 게임, 음악, TV, 라디오 등과 같은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차량 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될 수 있는 기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이 제공하는 기능과 IVI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기능이 위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이 제공하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될 수 있고, 상술한 IVI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는 차량 내 환경(10)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 또는 IVI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된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차량의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 및 IVI 시스템(200)과 각종 유,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 방식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자 장치(100-1, 100-2, 100-3)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112)와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의 전자 장치를 차량용 노브(Knob)라고 부를 수 있으나, 명칭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몸체부(112)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 또는 푸시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시 디스플레이(111)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 정보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제어 정보)를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 또는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UI는 상술한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 중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에 기본적으로 할당된 차량의 기능을 나타내는 UI로서, 후술할 바와 같이 특정한 경우에 초기 UI가 표시되거나 특정 상황에서 다른 UI가 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차량 시동 후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에 항상 표시되는 UI를 말한다.
즉, 사용자는 기본 UI로 표시될 차량의 기능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이와 같이 설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은, 상술한 차량 제어 시스템(미도시) 및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음성 에이전트 기능, 시계 기능 및 HVAC 온도 조절 기능이 전자 장치(100-1), 전자 장치(100-2) 및 전자 장치(100-3)에 대해 기본 UI로 각각 설정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에이전트 기능, 시계 기능 및 HVAC 온도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1)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전자 장치(100-1)에 디스플레이된 음성 에이전트 기능을 실행시켜 차량에서 제공되는 음성 에이전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 제어를 제공하므로, 차량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 사용자는 자신에게 최적화된 환경에서 보다 편리하게 차량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는 대쉬보드(dashboard)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전석(또는 조수석)에 앉은 상태에서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3개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가 대쉬보드 내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영역 또는 센터페시아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의 개수나 전자 장치가 차량 내 환경(10)에 배치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 따라, 2 개 또는 4개 이상의 전자 장치가 차량의 대쉬보드 영역이나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뒷좌석 영역에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얼마든지 더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사용자의 상황(context)에 따라 기본 UI를 다른 UI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이와 같은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차량용 입력 시스템(20)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IVI 시스템(200) 및 차량 제어 시스템(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차량용 입력 시스템(20)은 도 1의 차량 내 환경(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전자 장치 1(100-1), 전자 장치 2(100-2) 및 전자 장치 3(100-3) 각각은, IVI 시스템(200) 및 차량 제어 시스템(300)과 통신 연결되며, 전자 장치들(100-1 내지 100-3)끼리 서로 통신 연결되어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 2의 각 구성들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방식으로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을 제어 하기 위한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사용자의 상황(context)에 따라 기본 UI를 다른 UI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황은,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거나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실행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기본 UI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로 각각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1(100-1)에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자 장치 2(100-2)에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자 장치 3(100-3)에 차량의 제 3 기능에 대응되는 제 3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전자 장치 3(100-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 1(100-1) 및 전자 장치 2(100-2)는 제 1 기본 UI 및 제 2 기본 UI를, 차량의 제 3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할 수 있다.
만일, 위 상황에서 전자 장치 2(100-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 1(100-1) 및 전자 장치 3(100-3)은 디스플레이되던 제 1 기본 UI 및 제 3 기본 UI를, 차량의 제 2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위 상황에서 전자 장치 1(100-1)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전자 장치 2(100-2) 및 전자 장치 3(100-3)은 제 2 기본 UI 및 제 3 기본 UI를, 차량의 제 1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은,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변경된 UI가 디스플레이된 후 별다른 사용자 조작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변경된 UI를, 원래 디스플레이되던 기본 UI로 재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되는 기본 UI를 상기 실행된 하나의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각각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1(100-1)에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자 장치 2(100-2)에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전자 장치 3(100-3)에 차량의 제 3 기능에 대응되는 제 3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IVI 시스템(200)이 제공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인 제 4 기능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 1 내지 3(100-1 내지 100-3) 각각은 디스플레이되던 제 1 내지 제 3 기본 UI를, IVI 시스템(200)에서 실행된 제 4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각각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 4 기능은,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실행될 수도 있고, IVI 시스템(200)에 구비된 별도의 입력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IVI 시스템(200)에서 실행되는 제 4 기능은, 제 1 내지 제 3 기능과는 다른 기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일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은, 위와 같이 제 4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각각 디스플레이한 후 IVI 시스템(200)에서 제 4 기능이 종료되면, 제 4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원래 디스플레이되던 기본 UI로 각각 재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연관된 UI를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시선 이탈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차량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의 차량용 입력 시스템(20)에서는 3개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가 차량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실시 예에 따라, 2개의 전자 장치 또는 4개 이상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20)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의 예에서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20)이, 차량 제어 시스템(300) 및 IVI 시스템(200)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IVI 시스템(200)없이 차량 제어 시스템(300) 및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만으로 구성된 차량용 입력 시스템(20)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IVI 시스템(200)과 관련된 실시 예를 제외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다른 모든 실시 예가 구현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 장치(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의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특히, 입력 장치(110)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예를 들어, 도 2의 112)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1)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가공된 신호를 출력하여 각종 컨텐츠, 그래픽 오브젝트, 인디케이션,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111)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각종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1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또는 무기 LED(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 등으로 구성 내지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111)는 터치 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구성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 또는 회전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푸시 또는 회전 조작을 검출하고, 검출된 조작에 따른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10)의 몸체부의 일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icro-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마이컴 중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리얼 타임 처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하고, 입력 장치(110)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는, 기본 UI에 관한 설정 정보, 즉, 상술한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 중 어떤 기능을,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떤 전자 장치에 기본 UI로 표시할 것인지에 관한 사용자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기본 UI로 표시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에는, 전술한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각종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에 표시될 기본 기능으로 음성 에이전트 기능을 설정하고, 전자 장치 2(100-2)에 표시될 기본 기능으로 시계 기능을 설정하며, 전자 장치 3(100-3)에 표시될 기본 기능으로 HVAC 온도 조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1(100-1)에는 음성 에이전트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전자 장치 2(100-2)에는 시계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전자 장치 3(100-3)에는 HVAC 온도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기본 UI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기본 UI로 표시될 차량의 기능이 설정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기본 UI로 표시될 차량의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메모리(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고, 외부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포함된 기본 UI에 관한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하고,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에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기본 UI에 대한 설정 및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 제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즉, 스타트(START) 모드가 온되면, 초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스타트 모드는 후술할 액세서리(Accessory, ACC) 모드나 온(ON) 모드와 달리, 차량의 엔진에 시동이 걸리는 단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술한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UI는 차량에 시동이 걸린 후 상술한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디스플레이(111)에 먼저 디스플레이되는 UI로, 후술할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 및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초기 UI에 포함될 수 있다.
즉, 기본 UI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므로, 복수의 사용자 중 누구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할 지 먼저 결정될 필요가 있고, 또한, 차량 시동 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다른 기능에 우선하여 먼저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으므로, 프로세서(120)는 차량 시동 후 기본 UI를 표시하기 전에 초기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초기 UI 역시 사용자에 의한 설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는 초기 UI에 관한 사용자의 설정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는,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 중 어떤 기능을,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떤 전자 장치에 초기 UI로 표시할 것인지에 대해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초기 UI로 표시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에는, 프로파일 데이터 선택을 위한 사용자 선택 기능 및 전술한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 중 사용자가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한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에는 사용자 선택 기능을, 전자 장치 2(100-2)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전자 장치 3(100-3)에는 멀티미디어 기능을 각각 초기 UI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기본 UI가 표시되기 전에, 전자 장치 1(100-1)에는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전자 장치 2(100-2)에는 네비게이션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전자 장치 3(100-3)에는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설정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초기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에 대한 조작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초기 UI를 통해 실행된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종료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 UI가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하고,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기본 UI가 표시되고 차량의 운행이 종료된 경우, 이후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프로세서(120)는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인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차량 시동시 전자 장치(100)에 표시될 기능으로 사용자 선택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초기 UI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실시 예에 따라 차량 시동시 디폴트로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표시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디스플레이(111)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A에 대해 설정된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시간은, 가령 10초 또는 20초 정도의 시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른 시간으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조작되어 사용자가 새롭게 선택되면,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1)에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가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사용자 B를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B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B에 대해 설정된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초기 UI 중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통해 사용자를 변경함으로써 프로파일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초기 UI가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들 중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command)를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차량 시동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실행되도록 IVI 시스템(200)이나 차량 제어 시스템(300)을 제어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시간은, 가령 10초 또는 20초 정도의 시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른 시간으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에서, 초기 UI로 표시될 기능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일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위와 같이 실행된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종료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본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기 전에, 사용자가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초기 UI를 먼저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원하는 차량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초기 UI를 표시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에 등록되어있는 3명의 사용자를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각각 표시하고,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하나에 대한 푸시 조작을 통해 표시된 3명 중 한명이 선택되면,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등록된 사용자 3명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없이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이 경과되면, 상술한 초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실시 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면, 초기 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배터리 전원만으로 차량 내의 일부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액세서리(Accessory, ACC) 모드가 온 되면, 상술한 초기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엔진에 시동이 걸리지는 않았으나 차량 내의 모든 전자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온(ON) 모드가 온되면, 상술한 초기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기본 UI를, 다른 UI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상황은,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1) 차량 내에 배치된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도 2에서 설명한 전자 장치 2(100-2)인 경우, 다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 1(100-1) 및 전자 장치 3(100-3)이 될 수 있다.)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상황, 및 (2)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는 상황 중 어느 하나의 상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1)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차량에 배치된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기본 UI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1)에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가 표시되고, 차량 내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제 1 기본 UI를, 제 2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제 3 UI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 1(100-1)에는 음성 에이전트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가 , 전자 장치 2(100-2)에는 시계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가, 전자 장치 3(100-3)에는 HVAC 온도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가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중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 3(100-3)을 조작하면, 전자 장치 1(100-1)은 음성 에이전트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HVAC 온도 조절 기능과 연관된 기능인 HVAC 풍량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하고, 전자 장치 2(100-2)는 시계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HVAC 온도 조절 기능과 연관된 기능인 HVAC 모드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할 수 있다. 위 예에서는 전자 장치 1(100-1) 또는 전자 장치 2(100-2)가 도 3의 전자 장치(100)가 되고, 전자 장치 3(100-3)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변경된 UI를 통해 변경된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즉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기능이 각각 표시되는 동안 하나의 기본 기능을 조작함으로써, 조작된 기본 기능과 연관된 차량의 기능들을 즉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경된 UI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사용자 조작이 더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11)는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를 기본 UI로 재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시간은, 가령 10초 또는 20초 정도의 시간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른 시간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1)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면, 표시 중인 기본 UI를, 상기 실행된 하나의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한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를 통해 상기 하나의 기능이 실행된 경우 뿐만아니라, IVI 시스템(200)에 별도로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하나의 기능이 실행된 경우에도, 표시 중인 기본 UI를, 상기 실행된 하나의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상기 IVI 시스템(200)에서 실행된 하나의 기능이 종료되면, 표시 중인 상기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이전에 표시하던 기본 UI로 재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표시 중인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에 대한 사용자 조작 후, 후속 조작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이전에 표시하던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상황을 반영하여 차량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표시되는 기능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쉽고 편리하게 자신이 원하는 차량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사용자가 즐겨 찾는 곳으로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에 관한 정보는, 목적지의 위치 정보 또는 목적지의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목적지 중 하나의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 상에서 목적지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IVI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다른 전자 장치에는 네비게이션 기능과 연관된 기능(예를 들어, 줌 인/줌 아웃 기능 등)을 나타내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연락하는 연락처로 미리 설정된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락처에 관한 정보는, 지인의 이름 정보 또는 지인의 전화 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콜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연락처 중 하나의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 상에서 연락처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위 예에서는, IVI 시스템(200)이 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내 콜 기능을 갖는 다른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 폰, PDA, 태블릿 등)에서 콜 기능이 실행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20)는 콜 기능이 종료되면, 원래 표시하던 기본 UI로 복귀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원격 제어를 위한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로 미리 설정된 기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기에 관한 정보는 기기의 명칭, 위치, 기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IVI 시스템(200)에서 실행된 네비게이션 기능에서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이 위치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의 목적지가 "집"으로 설정된 경우, 차량이 "집"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프로세서(120)는 "집"에 있는 IoT 기기들 중 사용자가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IoT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거리는 가령 5 킬로미터 또는 10 킬로미터 정도의 거리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른 범위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 상에서 IoT 기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통해 원하는 IoT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집안의 온도를 원격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로봇 청소기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IoT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UI나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표시되고, 아무 조작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있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원래 표시하던 기본 UI로 복귀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사용자가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 중 사용자가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1)에 기본 UI 및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입력 장치(110)에 대한 제 1 조작이 입력되면,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고, 입력 장치(110)에 대한 제 2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command)을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11)에 기본 UI 및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10)에 대한 회전 조작 또는 1회 푸시 조작이 입력되면,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입력 장치(110)에 대해 기설정된 시간 내에 2회 푸시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가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능들이, 전술한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 및 상기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각각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사용자에게 선호 기능들이 제공되게 되어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모바일 기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와 외부 모바일 기기는 근거리 통신 방식,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이나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모바일 기기에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외부 모바일 기기가 태깅되면, 전자 장치(100)는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0)는 외부 모바일 기기로 부터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술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전자 장치(100)가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의 UI 테마나 즐겨 찾는 목적지, 연락처 정보 등을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UI 엘리먼트들의 테마를 모바일 기기의 UI 테마에 동기화시켜 표시하거나, 즐겨 찾는 목적지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을 IVI 시스템(200)으로 제공함으로써, 차량 내 시스템이 모바일 기기와 동기화되는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VI 시스템(20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A 채널의 TV 방송을 시청하다가 차량에 탑승하여 모바일 기기를 전자 장치(100)에 태깅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는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VI 시스템(20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이던 A 채널의 TV 방송을, IVI 시스템(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전자 장치(100)는 전술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하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40)(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차량 제어 시스템(300), IVI 시스템(200), 다른 전자 장치(노브), 모바일 기기 등)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통신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기법,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법,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기법, Wi-Fi(Wireless Fidelity) 통신 기법, 셀룰러(Cellular 또는 모바일(Mobile)) 통신 기법,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법, 또는 유선(Wired) 통신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와 같은 연결 단자와 연동되는(in association with)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메모리(130)(또는 스토리지(13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는 명령어, 제어 명령어 코드, 제어 데이터,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130)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operating system), 미들웨어(middleware), 디바이스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30)는 사용자 별 프로파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는, 사용자 별로 차량의 각종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는, 차량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는 기본 UI에 대한 설정 정보, 차량 시동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디스플레이되는 초기 UI에 대한 설정 정보, 사용자가 즐겨 찾는 곳으로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 사용자가 자주 연락하는 연락처로 미리 설정된 연락처에 관한 정보, 원격 제어를 위한 IoT 기기로 미리 설정된 기기에 관한 정보, 사용자가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한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는, 좌석의 위치나 미러들의 위치에 대해 각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30)는, 전술한 각종 UI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사용자 상황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서로 관련된 UI를 표시할 때, 관련 UI 세트에 관한 매핑 테이블(예를 들어, 아래 표 1)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 또는 비휘발성(non-volatile memory)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SDRAM(synchronous DRAM),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레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비휘발성 매체(medium)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110)(또는 입력 인터페이스(110))는 전자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입력 장치(110)는 사용자의 푸시 조작 및 회전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장치(110)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10)는, 원형의 디스플레이(111)를 일면에 포함하며 푸시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하우징, 및 상기 원형의 디스플레이(111)를 감싸도록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회전 가능한 구조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및 회전 가능한 구조체가 몸체부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입력 장치(110)의 구성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입력 장치(110)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11)는, 몸체부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정한 자세로 고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11)는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한 구조체가 회전되더라도 같이 회전하지 않고 일정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상술한 각종 UI는 입력 장치(1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된 캐시 메모리(cache mem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명령을 해석할 수 있으며, 해석된 명령에 따라 계산을 수행하거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되거나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메모리(130)에게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명령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메모리(130)에 기록(또는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입력 장치(110), 디스플레이(111), 메모리(130), 통신부(14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고, 가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에 기반하여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공되거나 생성된 메시지, 데이터, 명령어, 또는 신호를 입력 장치(110), 디스플레이(111), 메모리(130), 통신부(140)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자 장치(100) 내의 다른 구성 요소(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 디스플레이(111), 메모리(130), 통신부(140)와 전기적으로(electrically) 또는 기능적으로(operably) 결합(coupled with)되거나 연결될(connected to)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는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상위 계층의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는, 실시 예에 따라, 햅틱 엑추에이터, 스피커, 카메라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햅틱 엑추에이터는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의도된 입력을 야기할 수 있도록, 햅틱 효과를 입력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IVI 시스템(200) 및 차량 제어 시스템(300)은, 도 1a에서 전술한 차량의 각종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VI 시스템(200)과 차량 제어 시스템(300)의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개시의 요지와 무관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세서(120) 또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7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별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들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내 배치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참조부호 50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한 기본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본 UI는, 차량의 다양한 기능들 중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 각각에 할당된 차량의 기능을 나타내는 UI로서, 특정 상황에서 초기 UI나 다른 UI가 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차량 시동 후 복수의 전자 장치(100-1, 100-2, 100-3)에 항상 표시되는 UI를 말한다.
참조부호 510은,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들의 예로, HVAC 온도 조절 기능(511), HVAC 풍량 조절 기능(512), 음량 조절 기능(513), 시계 기능(514), 운전 모드 설정 기능(515) 및 음성 에이전트 기능(516)을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520은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의 확장 예로, 실시 예에 따라, 윈도우 및 선루프 제어 기능(521), 좌석 위치 조절 기능(522) 및 좌석 온도 조절 기능(523)과 같은 기능도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참조부호 510 및 520에 도시된 복수의 기능들 중 어떤 기능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떤 전자 장치에 기본 UI로 표시될지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기본 UI의 설정 및 등록은, 전자 장치(100)나 IVI 시스템(2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를 통해 기본 UI가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 장치(110)를 약속된 방법으로 조작하여 기본 UI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10)가 일정 시간 이상 푸시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기본 UI 설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기본 UI 설정 모드에서 입력 장치(110)가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회전 조작에 따라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들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기능이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기본 UI 설정 모드에서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될 때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던 기능을 해당 전자 장치(100)에 표시될 기본 UI로 설정할 수 있다.
IVI 시스템(200)을 통해 기본 UI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IVI 시스템(200)을 조작하여 기본 UI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VI 시스템(200)의 화면에 표시된 기본 UI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IVI 시스템(200)은 기본 UI 설정을 위한 UI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기본 UI 설정을 위한 UI 화면에는, 참조부호 510이나 520과 같은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는 차량의 기능들의 리스트 및 차량의 기능이 할당될 전자 장치들에 대응되는 UI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본 UI 설정을 위한 UI 화면에 포함된 특정 기능을 특정 전자 장치에 할당(예를 들어, 드래그 앤 드랍)함으로써 기본 UI를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포함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포함된 기본 UI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포함된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본 UI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을 제어함으로써, 표시된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참조부호 500의 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의 입력 장치(110)를 푸시 조작하여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음성 에이전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자 장치 3(100-3)의 입력 장치(110)를 회전 조작하여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HVAC 온도 조절 기능을 통해 차량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참조부호 510 및 520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기능들도 기본 UI로 설정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에 시동이 걸린 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의 IVI 시스템(200)은 차량에 시동이 걸리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UI를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초기 UI는 차량에 시동이 걸린 후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UI로,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 및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화살표 좌측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표시된 초기 UI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따르면, 전자 장치 1(100-1)은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전자 장치 2(100-2)는 네비게이션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전자 장치 3(100-3)은 멀티미디어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각각 초기 UI로 표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차량 시동 시 초기 UI로 표시될 차량의 기능을 설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등록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UI를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하게 되므로, 도 6의 예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에는 프로파일 선택을 위한 사용자 선택 기능, 전자 장치 2(100-2)에는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전자 장치 3(100-3)에는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각각 초기 UI로 표시될 기능으로 설정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초기 UI의 설정 및 등록은, 상술한 기본 UI의 설정 및 등록과 유사하게 전자 장치(100)나 IVI 시스템(20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를 통해 초기 UI가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 장치(110)를 약속된 방법으로 조작하여 초기 UI 설정 모드를 통해 UI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IVI 시스템(200)을 통해 초기 UI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IVI 시스템(200)에 디스플레이된 초기 UI 설정을 위한 UI 화면을 통해 초기 UI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초기 UI가 표시되는 실시 예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하나에 디폴트로 할당되고, 나머지 전자 장치에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할당되는 실시 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사용자는 초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초기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초기 UI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의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프로파일 선택을 위한 사용자 선택 기능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고, 전자 장치 2(100-2)의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차량의 네비게이션 기능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3(100-3)의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멀티미디어 기능을 실행 및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네비게이션 기능 및 멀티미디어 기능과 같이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기 실행 및 제어하기 위해서 프로세서(120)가 사용자 조작에 따른 제어 명령을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디스플레이(111)에 초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에 대한 조작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초기 UI를 통해 실행된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종료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의 화살표 우측은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에 디스플레이된 기본 UI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초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6의 화살표 우측과 같이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초기 UI를 표시하는데 이용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되었던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디폴트로 설정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도 6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초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 1(100-1)에 표시된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통해 사용자 선택이 완료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의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6의 화살표 우측과 같이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에 대한 아무런 조작없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디폴트로 설정된 사용자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되었던 사용자가 사용자로 선택되고,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조작되어 사용자가 새롭게 선택되면,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가 사용자로 선택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초기 UI가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 2(100-2) 또는 전자 장치 3(100-3)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실행된,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멀티미디어 기능이 종료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6의 화살표 우측과 같이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초기 UI를 표시하는데 이용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 또는 가장 최근에 선택되었던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디폴트로 설정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기본 UI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를 각각 조작하여 각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표시된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의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초기 UI로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의 표시를 포함한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전자 장치 1(100-1)에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71, 72, 73)가 표시되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사용자 James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는, 전자 장치(100-1)를 조작하여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UI(71) 및 사용자를 나타내는 UI(72, 7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전자 장치(100-1)를 통해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전자 장치(100-1)를 조작하여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1)를 조작하여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UI(71)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복수의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110)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를 나타내는 UI(72, 73)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10)가 좌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James에 대응되는 UI(72)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110)가 우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사용자 Jane에 대응되는 UI(73)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UI가 사진 또는 캐릭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사용자를 나타내는 UI는 실시 예에 따라 "James", "Jane"과 같은 텍스트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자 James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되면, 복수의 사용자 중 James가 선택되며,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사용자 James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James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James가 미리 설정한 운전석 위치, 사이드 미러 & 리어 뷰 미러 위치 등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 상에서 James가 선택되면, James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시스템(300)을 통해 차량의 운전석 위치와 사이드 미러/리어 뷰 미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별 프로파일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전자 장치 1 내지 3(100-1 내지 100-3)에 각각 할당된 차량의 기능이 사용자 별로 상이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전자 장치 1 내지 3(100-1 내지 100-3) 각각에 기본 UI로 표시될 기능으로, 사용자 피터는 A 기능, B 기능 및 C 기능을 설정하여 프로파일 데이터로 등록하고, 줄리는 D 기능, E 기능 및 F 기능을 설정하여 프로파일 데이터로 등록하며, 제인은 X 기능, Y 기능 및 Z 기능을 설정하여 프로파일 데이터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차량의 기능에 대한 자신의 개인 설정을 프로파일 데이터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된 사용자들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한편, 기본 UI뿐만 아니라,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초기 UI도 도 8과 같이 사용자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황(context)과 연관된 UI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상황에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서로 연관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차량의 특정 기능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실행된 기능 또는 앱과 관련된 UI가 화살표 우측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IVI 시스템(2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또는 네비게이션 앱)이 실행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참조부호 910과 같이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목적지 설정 기능, 시계 기능 및 줌인/줌아웃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IVI 시스템(200)에서 멀티미디어 기능이 실행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참조부호 920과 같이 멀티미디어 기능과 관련된 재생 조절 기능, 재생 목록선택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라디오 기능이 실행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참조부호 930과 같이 라디오 기능과 관련된 채널 선택 기능, AM/FM 전환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HVAC 기능이 제어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참조부호 940과 같이 HVAC 기능과 관련된 풍량 조절 기능, 온도 조절 기능 및 팬 모드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운전 모드 관련 기능이 제어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참조부호 950과 같이 운전 모드 선택 기능, 오일 압력 표시 기능 및 파워 게이지 표시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IVI 시스템(200)이나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실행 내지 제어되는 기능(또는 앱)은, 전자 장치(100)에 대한 조작을 통해 실행 내지 제어된 것일 수도 있고, IVI 시스템(200)이나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 구비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행 내지 제어된 것일 수도 있다.
아래의 표 1은 상술한 서로 연관된 차량의 기능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아래 표 1과 같은 연관된 기능에 관한 매핑 테이블은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관된 차량의 기능에 관한 실시 예가 아래 표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전자 장치(100) 개발자나 차량 제조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비게이션 Destination Clock Zoom In/Zoom out
멀티미디어 Pause/Stop
Pre/Next/Seek
Play List
Pre/Next
Volume
라디오 Channel AM/FM Switch Volume
HVAC Fan Speed Temperature Fan Mode
운전 모드 Drive mode Oil Pressure Power Gauge
한편, 도 9의 화살표 우측과 같이 서로 연관된 기능에 대한 UI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각각 표시된 이후, 기설정된 시간동안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대해 아무런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거나, 서로 연관된 기능 표시의 원인이 되었던 차량의 기능(또는 앱)의 실행이 종료되거나, 표시된 서로 연관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후 추가적인 후속 조작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화살표 좌측의 기본 UI로 복귀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조작된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과 관련된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나머지 전자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전자 장치 1(100-1)에 음성 에이전트 기능이, 전자 장치 2(100-2)에 시계 기능이, 전자 장치 3(100-3)에 HVAC 팬 모드 조절 기능이 기본 UI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 3(100-3)을 조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 1(100-1) 및 전자 장치 2(100-2)에는 HVAC 기능과 관련된 기능인 풍량 조절 기능과 온도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도 9의 화살표 좌측과 같이, 기본 UI가 표시되는 중에 전자 장치 1(100-1)이 조작되면, 음성 에이전트 기능과 관련된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전자 장치 2 및 3(100-2, 100-3)에 표시되게 될 것이다.
도 10은 특정 앱의 실행과 관련하여 연관된 UI가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9의 화살표 좌측과 같은 기본 UI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IVI 시스템(200) 상에서 음악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표 1과 같은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재생 조절 기능, 재생 목록선택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각각 표시하도록 각각의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 실행 시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100-2)의 프로세서(120)는 기본 UI를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하는 중에 IVI 시스템(200)에서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복수의 목적지 중 하나의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는,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등록된 목적지에 대응되는 UI(1110, 1120, 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2)의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간단하게 네비게이션 목적지를 설정하고 길찾기를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2)의 입력 장치(110)를 회전 조작하여 집(1110), 회사(1120), 주유소(1130)과 같은 기등록된 목적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면, 입력 장치(111)를 푸시 조작함으로써 네비게이션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적지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IVI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네비게이션 앱 상에서 목적지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 2(100-2)에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100-1) 또는 전자 장치 3(100-3)에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콜 기능의 실행 시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100-2)의 프로세서(120)는, 기본 UI를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하는 중에, IVI 시스템(200) 또는 차량 내 콜 기능을 갖는 다른 외부 장치(예를 들어, IVI 시스템(200)이나 전자 장치(100-2)와 통신 연결된 사용자의 스마트 폰, PDA, 태블릿 등)에서 콜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정된 복수의 연락처 중 하나의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콜 기능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실행될 수도 있고(예를 들어, 콜 기능이 전자 장치(100-2)에 기본 UI로 할당되고, 전자 장치(100-2)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콜 기능이 실행됨), IVI 시스템(200)이나 상기 다른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통해 실행될 수도 있다.
한편,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는, 전자 장치(100-2)를 조작하여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UI(1210) 및 기등록된 연락처를 나타내는 UI(1220, 1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전자 장치(100-2)를 통해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전자 장치(100-2)를 조작하여 전화를 걸고자 하는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UI(1210)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프로파일 데이터에 포함된 기등록된 연락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110)의 회전에 따라 연락처를 나타내는 UI(1220, 1230)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10)가 좌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연락처 James에 대응되는 UI(1220)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110)가 우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연락처 Jane에 대응되는 UI(12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연락처를 나타내는 UI가, 연락처에 대응되는 사진 또는 캐릭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James", "Jane"과 같은 연락처의 이름 또는 연락처의 전화 번호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연락처 Jane에 대응되는 UI(1230)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되면, 복수의 연락처 중 Jane이 전화를 걸 대상으로 선택되며, 프로세서(120)는, Jane의 연락처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Jane의 이름이나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식별 정보가 Jane의 연락처에 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를, 콜 기능이 실행된 IVI 시스템(200) 또는 콜 기능을 갖는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2)의 입력 장치(110)에 대한 간단한 회전 조작 및 푸시 조작을 통해 원하는 연락처에 전화를 걸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Jane과의 통화 연결이 되면, 통화 음량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Jane과의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프로세서(120)는 콜 기능 실행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콜 기능이 실행되면, 전자 장치 2(100-2)에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100-1) 또는 전자 장치 3(100-3)에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콜 기능 실행 시 콜 수신 UI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100-2)의 프로세서(120)는, 기본 UI를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하는 중에, 전화가 수신되면(예를 들어, 통신부(140)를 통해, 콜 기능을 갖는 IVI 시스템(2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전화가 수신 중임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UI(131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전화가 수신되면, 입력 장치(1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전화를 수락하거나 거절하기 위한 신호를, 콜 기능을 갖는 IVI 시스템(2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Jarnet으로부터 전화가 수신 중에 입력 장치(110)가 좌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전화를 수락하기 위한 신호를, IVI 시스템(2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Jarnet으로부터 전화가 수신 중에 입력 장치(110)가 우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전화를 거절하기 위한 신호를 IVI 시스템(2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전화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UI(1310)를 표시하는 중에, 전화 수신이 거절되거나 또는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기저장된 간단한 회신 메시지들 중 어느 하나(1320)를 선택하기 위한 UI(미도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On driving, I will call you"(1320)와 같은 메시지가 선택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메시지를 IVI 시스템(2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2)로부터 간단한 메시지를 수신한 IVI 시스템(200) 또는 다른 외부 장치는, 수신된 메시지를 Jarnet의 전화 번호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전화가 거절되거나, 거절 메시지가 수신된 전화 번호로 송신되면, 전화 수신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20)는 Jarnet과의 통화 연결이 되면, 통화 음량 제어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Jarnet과의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프로세서(120)는 전화 수신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는, 전화가 수신되면, 전자 장치 2(100-2)에 전화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UI가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100-1) 또는 전자 장치 3(100-3)에 전화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UI가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의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100-2)의 프로세서(120)는, 기본 UI를 디스플레이(111)에 표시하는 중에, IVI 시스템(200)에서 실행된 네비게이션 기능에서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이 위치하면,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14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IVI 시스템(200)은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하여,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과 같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IVI 시스템(200)은 네비게이션 목적지로부터 차량이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지 판단할 수 있고,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네비게이션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1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부(140)를 통해, 차량이 네비게이션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하였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141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는, 전자 장치(100-2)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를 위한 IoT 기기를 선택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UI(1410) 및 기등록된 IoT 기기를 나타내는 UI(1420, 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UI(1420, 1430)로 표시되는 IoT 기기들은, 해당 목적지에 존재하며,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 대상으로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등록된 IoT 기기들일 수 있다. 즉, 네비게이션 목적지가 "집"으로 설정된 경우, "집"에 존재하는 IoT 기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 대상 기기로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등록된 IoT 기기들만 UI(1420, 1430)로 표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전자 장치(100-2)를 통해 IoT 기기를 선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전자 장치(100-2)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IoT 기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1410)가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프로파일 데이터에 포함된 기등록된 IoT 기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장치(110)의 회전에 따라 IoT 기기를 나타내는 UI(1420, 1430)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장치(110)가 좌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프로세서(120)는 에어컨에 대응되는 UI(1420)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110)가 우측으로 회전 조작되면 로봇 청소기에 대응되는 UI(1430)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IoT 기기를 나타내는 UI가, IoT 기기에 대응되는 사진 또는 캐릭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에어컨", "로봇 청소기"와 같은 텍스트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에어컨(1420)을 나타내는 UI(1420)가 디스플레이(111)에 표시되는 동안,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되면, 원격 제어 대상으로 에어컨(1420)이 선택되며, 프로세서(120)는, 에어컨(1420)을 제어하기 위한 UI(미도시)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에어컨(1420)를 제어하기 위한 UI는 IVI 시스템(200)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2)를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또는 직접 IVI 시스템(200)을 통해 입력된 제어 명령)은, IVI 시스템(200)을 통해, 대상 IoT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목적지에 존재하는 IoT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IoT 기기에 대한 제어가 완료되거나 제어 명령 입력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120)는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를 다시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네비게이션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차량이 위치하면, 전자 장치 2(100-2)에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가 표시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100-1) 또는 전자 장치 3(100-3)에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가 표시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각각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1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 내지 3(100-1 내지 100-3)에 표시될 기본 UI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음성 에이전트 기능, 시계 기능 및 볼륨 조정 기능이 각각 설정되고, 이에 더하여, 전자 장치 1(100-1) 및 전자 장치 3(100-3)에 표시될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으로 동영상 재생 기능 및 음악 재생 기능이 각각 설정된 경우,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 내지 3(100-1 내지 100-3)에는 음성 에이전트 기능, 시계 기능 및 볼륨 조정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가 각각 표시되고, 또한, 전자 장치 1(100-1)의 화면의 일 영역에는 동영상 재생 기능에 대응되는 UI(1510)가, 전자 장치 3(100-3)의 화면의 일 영역에는 음악 재생 기능에 대응되는 UI(1520)가 각각 함께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에 표시되는 두 가지 차량의 기능 즉, 음성 에이전트 기능 및 동영상 재생 기능을, 입력 장치에 대한 다른 조작을 통해 각각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의 입력 장치(110)를 1회 푸시 조작하여 기본 기능인 음성 에이전트 기능을 이용하고, 전자 장치 1(100-1)의 입력 장치(110)를 2회 푸시 조작(또는 더블 푸시 조작)하여 동영상 재생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 3(100-3)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즉, 사용자는 전자 장치 3(100-3)의 입력 장치(110)를 회전 조작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고, 전자 장치 3(100-3)의 입력 장치(110)를 2회 푸시 조작하여 음악 재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5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3(100-3)의 입력 장치(110)를 더블 푸시 조작하여 IVI 시스템(200)에서 음악 재생 기능(1530)이 실행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운전 중 자주 사용하는 차량의 기능의 종류나 그 기능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전자 장치에 할당될 지 여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실시 예가 도 15에 개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운전 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 역시 입력 장치(110)의 2회 푸시 조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발자에 의해 얼마든지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6a 내지 16d는 복수의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설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2(100-2)의 디스플레이(111)에 기본 UI로 시계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 2(100-2)의 입력 장치(110)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 길게 푸시 조작하면(시간 설정 모드로 진입하는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00-1)에는 시간 설정을 위한 UI가, 전자 장치 2(100-2)에는 분 설정을 위한 UI가, 그리고, 전자 장치 3(100-3)에는 초 설정을 위한 UI가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의 입력 장치(110)를 회전 및 푸시 조작하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는 도 16b와 같이 주행 거리 표시 및 리셋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연료의 잔량이 기설정된 양 미만인 것으로 감지되면(주행 거리 표시 및 리셋 모드로 진입하는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00-1)에는 전체 주행 거리를 나타내는 UI가, 전자 장치 2(100-2)에는 현재 남은 연료로 주행 가능한 거리를 나타내는 UI가, 그리고, 전자 장치 3(100-3)에는 연료 효율을 나타내는 UI가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연료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 1(100-1)의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여 전체 주행 거리를 리셋할 수도 있다.
또한,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는 도 16c와 같이 간단한 메시지를 작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화 기능을 갖는 IVI 시스템(200) 또는 전화 기능을 갖는 다른 외부 장치를 통해 전화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가 전화 수신을 거절하거나 또는 전화가 수신 중임을 나타내는 UI(1310)가 표시되는 전자 장치(100)의 입력 장치(110)가 푸시 조작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간단한 메시지 작성을 위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00-1)에는 메시지 전송 대상을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되고, 전자 장치 2(100-2)에는 간단한 메시지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되며, 전자 장치 3(100-3)에는 메시지 전송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 장치 1(100-1)의 입력 장치(110)를 회전 조작하여 메시지 전송 대상을 선택하고, 전자 장치 2(100-2)의 입력 장치(110)를 회전 조작하여 메시지 내용을 선택한 후, 전자 장치 3(100-3)을 푸시 조작하면,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대상으로 선택된 내용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명령(command)을 생성하여, 전화 기능을 갖는 IVI 시스템(200)이나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으로 선택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간단한 메시지 작성을 위한 UI가 표시되는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화가 수신된 경우가 아니더라도, 사용자가 간단한 메시지를 지인에게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기정의된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나 IVI 시스템(200)을 조작하여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을 통한 간단한 메시지 작성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는 도 16d와 같이 알람 또는 노티피케이션을 설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 1(100-1)에는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UI가, 전자 장치 2(100-2)에는 내용을 선택하기 위한 UI가, 전자 장치 3(100-3)에는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 1(100-1)을 회전 조작하여 장소를 선택하고, 전자 장치 2(100-2)를 회전 조작하여 내용을 선택하며, 전자 장치 3(100-3)을 회전 조작하여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된 장소, 내용, 시간은 알람으로 설정되며, 설정된 시간에 근접하면,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는 설정된 알람에 대응되는 장소, 내용,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실시 예에 따라, 장소가 표시되는 전자 장치 1(100-1)가 푸시 조작되면, 해당 장소가 네비게이션 기능의 목적지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모바일 기기가 연동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100)와 외부 모바일 기기(1700)는 NFC 방식이나 블루투스 방식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외부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7은 외부 모바일 기기(1700)와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어느 하나의 전자 장치(100)가 NFC 방식으로 통신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모바일 기기(1700)가 전자 장치(100)에 태깅되면,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에 추가되거나, 실시 예에 따라 메모리(130)에 저장된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보다 우선하여 프로세서(1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별 프로파일 데이터에 추가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외부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획득된 프로파일 데이터는, 전술한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통해 선택되어 프로세서(120)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획득된 프로파일 데이터가 우선적으로 이용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전자 장치(100)가 현재 사용자 A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 중이더라도, 외부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사용자 B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때부터 사용자 B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하게 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모바일 기기(1700)로부터 알람 정보가 수신되면, 도 16d에서와 같이, 수신된 알람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에 알람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외부 모바일 기기(17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정보를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VI 시스템(200)은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모바일 기기(1700)에서 재생 중이던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전자 장치가 차량에 배치된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1 내지 100-6)는 앞좌석 영역(1810)뿐만 아니라 뒷좌석 영역(1830)에도 배치될 수 있고, 기어 박스 영역(1820)에도 배치될 수 있다.
앞좌석 영역(1810)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의 경우, 그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뒷좌석 영역(1830)에 배치된 전자 장치(100-4, 100-5) 역시 앞 좌석 영역(1810)에 배치된 전자 장치들(100-1 내지 100-3)과 유사한 동작이 가능하다.
다만, 뒷좌석 영역(1830)에 배치된 전자 장치들(100-4, 100-5)의 경우 전술한 차량의 기능 제어보다는 멀티미디어 재생에 특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X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컨텐츠 C를 시청하다가 뒷좌석에 탑승하여 모바일 기기를 전자 장치(100-4)에 태깅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4)는 컨텐츠 C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X의 모바일 기기로부터 획득하여 IVI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IVI 시스템(200)은 뒷좌석에 배치된 디스플레이(200-2)를 통해 컨텐츠 C를 이어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 X에게 심리스한 컨텐츠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기어 박스 영역(1820)에 배치된 전자 장치(100-6)의 경우, 입력 장치(110)의 회전 조작에 따라 차량의 기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때, 전자 장치(100)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body part) 및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910). 이때,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는 전자 장치(100)에 구비된 메모리(130)에서 획득될 수도 있고,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차량의 기능은 차량 제어 시스템(300)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200)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고(S1920),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초기 UI관련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20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S2000),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초기 UI를 표시할 수 있다(S2010). 이때, 초기 UI는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 및 차량 시동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 UI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2020, Y),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초기 UI를 통한 조작이 완료되면(S2030),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할 수 있다(S2050).
한편, 초기 UI가 표시된 후 사용자의 아무런 조작없이(S2020, N)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2040, Y),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본 UI를 표시할 수 있다(S20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100)를 조작하여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S2060).
도 2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사용자의 상황은, 기본 UI를 표시하는 중에 복수의 전자 장치(100-1 내지 100-3) 중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거나 기본 UI를 표시하는 중에 IVI 시스템(200)에서 차량의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을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가 기본 UI를 표시하는 중에(S2110) 복수의 전자 장치 중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거나 IVI 시스템(200)에서 특정 앱이 실행되면(S2120, Y), 전자 장치(100)는 다른 전자 장치에 입력된 조작과 연관된 차량의 기능 또는 IVI 시스템(200)에서 실행된 앱과 연관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한다(S2130).
이에 따라, 연관된 기능에 대한 조작이 입력되고(S2140, Y), 연관된 기능에 대한 조작이 완료되면(S2150), 전자 장치(100)는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표시 중인 연관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지 않고(S2140, N),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S2160, Y), 이전에 표시되던 기본 UI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S2170).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사용자는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 사용자에 따라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차량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기능 제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사용자는 시선 이탈을 최소화하면서 차량 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빠른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 100-1 내지 10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입력 장치
111: 디스플레이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통신부
200: IVI 시스템 300: 차량 제어 시스템

Claims (20)

  1. 차량에 배치된 전자 장치에 있어서,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body part)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능은,
    상기 차량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In 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별로 기설정된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별 프로파일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이전에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선택을 위한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새롭게 선택되면, 상기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새롭게 선택된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시동이 걸리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능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설정된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입력 장치가 푸시 조작되면,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커맨드(command)를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푸시 조작에 따라 실행된 상기 사용자의 차량 시동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차량에 배치된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기본 UI를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 및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가 조작되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 조작과 관련된 UI를 상기 기본 UI로 재 변경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기본 UI를 상기 제 2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제 3 UI로 변경하도록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기본 UI가 표시되는 동안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하나의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기본 UI를 상기 실행된 하나의 기능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VI 시스템에서 실행된 상기 하나의 기능이 종료되면, 상기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상기 기본 UI로 재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목적지 중 하나의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목적지를 선택하기 위한 UI 상에서 목적지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콜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복수의 연락처 중 하나의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연락처를 선택하기 위한 UI 상에서 연락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VI 시스템에서 실행된 네비게이션 기능에서 설정된 목적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상기 차량이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선택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력 장치의 조작을 통해 상기 IoT 기기 선택을 위한 UI 상에서 IoT 기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UI가 표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기능 중 상기 사용자가 운전 중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기본 UI 및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한 제 1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 장치에 대한 제 2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의 운전중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command)을 상기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본 UI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회로(circuitry)를 포함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에 배치된 IVI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IVI 시스템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를 재생하는, 전자 장치.
  19. 차량에 배치된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본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복수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능에 대해 기설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제 1 기능에 대응되는 제 1 기본 UI를 표시하는 제 1 전자 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제 2 기능에 대응되는 제 2 기본 UI를 표시하는 제 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자 장치 각각은,
    회전 및 푸시 가능하게 구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각 입력 장치에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또는 제 2 기본 UI에 대응되는 차량의 기능을 각각 제어하는, 차량용 입력 시스템.
KR1020190000445A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64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45A KR102641164B1 (ko)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201980087776.2A CN113272183A (zh) 2019-01-02 2019-12-27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6/728,406 US11623525B2 (en) 2019-01-02 2019-12-27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CT/KR2019/018652 WO2020141820A1 (en) 2019-01-02 2019-12-27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9907151.5A EP3887212A4 (en) 2019-01-02 2019-12-27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8/132,406 US20230302907A1 (en) 2019-01-02 2023-04-09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445A KR102641164B1 (ko)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358A true KR20200087358A (ko) 2020-07-21
KR102641164B1 KR102641164B1 (ko) 2024-02-28

Family

ID=7112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445A KR102641164B1 (ko) 2019-01-02 2019-01-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23525B2 (ko)
EP (1) EP3887212A4 (ko)
KR (1) KR102641164B1 (ko)
CN (1) CN113272183A (ko)
WO (1) WO2020141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201B1 (ko) * 2021-03-04 2022-07-05 주식회사 알씨엔 유무인 전동 지게차를 위한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7255B2 (en) * 2021-11-10 2023-1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grammable input device for a veh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739A (ko) * 2010-11-22 201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식을 통한 차량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US20150133164A1 (en) * 2012-06-11 2015-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user profile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rvice providing device
KR20160021509A (ko) * 2014-08-18 2016-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9467515B1 (en) * 2011-04-22 2016-10-11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sending contextual content to connected vehicles and configurable interaction modes for vehicle interfaces
US20160353305A1 (en) * 2015-06-01 2016-12-01 Kiban Labs, Inc. Internet of things (iot) automo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343084B1 (ko) * 2017-03-27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4317A (en) 1979-07-05 1983-02-15 Reliability, Inc. Burn-in chamber
US20060092130A1 (en) * 2004-10-20 2006-05-0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Human machine interface for a vehicle including touch sensor
JP5071753B2 (ja) 2005-02-18 2012-11-14 株式会社デンソー 機器操作装置
JP5393680B2 (ja) 2007-09-10 2014-01-22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ゲー・エム・ベー・ハー 特注可能な表示機器
US10502271B2 (en) 2010-09-15 2019-12-10 Inventus Engineering Gmbh Haptic operating device with a rotating el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haptic operating device
KR20120118915A (ko) * 2011-04-20 2012-10-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스위치 구성방법
WO2013123375A2 (en) 2012-02-16 2013-08-22 Kostal Of America Rotary selector switch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14002571A (ja) 2012-06-19 2014-01-09 Nissan Motor Co Ltd ユーザ識別装置及びユーザ識別方法
US20160077601A1 (en) 2013-04-25 2016-03-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magement Co., Ltd. Input system for on-board use
DE102013009603A1 (de) * 2013-06-06 2014-12-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beiführung einer gewünschten Komforteinstell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6136627B2 (ja) 2013-06-24 2017-05-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FR3016978B1 (fr) * 2014-01-10 2017-09-15 Dav Interface homme machine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16452B1 (fr) * 2014-01-10 2017-04-21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Interface homme machine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638543B1 (ko) 2014-10-16 2016-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55280A1 (en) * 2016-03-03 2017-09-07 Methode Electronics, Inc. SmartKnob
US10150471B2 (en) * 2016-12-23 2018-12-1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mart vehicl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419242B1 (ko) 2017-11-29 202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내에서 입력과 관련된 인디케이션을 적응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4739A (ko) * 2010-11-22 2012-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식을 통한 차량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US9467515B1 (en) * 2011-04-22 2016-10-11 Angel A. Penilla Methods and systems for sending contextual content to connected vehicles and configurable interaction modes for vehicle interfaces
US20150133164A1 (en) * 2012-06-11 2015-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ice providing device,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user profile server,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rvice providing device
KR20160021509A (ko) * 2014-08-18 2016-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60353305A1 (en) * 2015-06-01 2016-12-01 Kiban Labs, Inc. Internet of things (iot) automotive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2343084B1 (ko) * 2017-03-27 2021-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201B1 (ko) * 2021-03-04 2022-07-05 주식회사 알씨엔 유무인 전동 지게차를 위한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1820A1 (en) 2020-07-09
EP3887212A1 (en) 2021-10-06
CN113272183A (zh) 2021-08-17
US20230302907A1 (en) 2023-09-28
EP3887212A4 (en) 2021-12-29
US20200207208A1 (en) 2020-07-02
KR102641164B1 (ko) 2024-02-28
US11623525B2 (en)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5585B2 (en) Vehicle infotainment apparatus using widge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314389B2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EP2091784B1 (en) Remote display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US2023030290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534909B2 (en) User terminal device providing service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nd methods thereof
US9626198B2 (en) User interface for a vehicle system
US20160034238A1 (en) Mirroring deeplinks
US10083003B2 (en) Audio video navigation (AVN) apparatus,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AVN apparatus
US9613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vehicle interaction
KR20170112556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873115B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nternal system of vehicle by using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d and operating method of the electronic device
US10369943B2 (en) In-vehicle infotainment control systems and methods
TW201741628A (zh) 電子地圖索引方法、裝置、終端設備和用戶介面系統
TW201741860A (zh) 媒體處理方法、裝置、設備和系統
KR10212419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인포테인먼트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334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applications in a display-limited environment
CN114764318A (zh) 交互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GB2502595A (en) Touch sensitive input device compatibility notification when a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an In-Vehicle device
US20200249823A1 (en) System and method of reordering apps on a user interface
US11941316B2 (en) Vehic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119609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ggesting an enhanced multimodal interaction
WO2018179771A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20130176209A1 (en) Integ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and other environments
CN115629700A (zh) 模拟触屏的方法和系统
KR20160065287A (ko) 전자 제어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