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999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999A
KR20200086999A KR1020190003467A KR20190003467A KR20200086999A KR 20200086999 A KR20200086999 A KR 20200086999A KR 1020190003467 A KR1020190003467 A KR 1020190003467A KR 20190003467 A KR20190003467 A KR 20190003467A KR 20200086999 A KR20200086999 A KR 2020008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wer
motor
fitt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원정
이양수
신호준
김경환
박경재
안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999A/ko
Priority to US16/736,062 priority patent/US11462966B2/en
Publication of KR2020008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와 터미널이 직접 연결되게 함으로써, 외부구동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연결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터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터미널의 연결구조를 간소화시킨 모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주행용 구동원으로서 엔진 외에 모터를 구비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차량은 그 연비가 우수하기 때문에 미래형 차량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차량에 구비되는 모터는,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모터의 내부에는 스테이터와 로터가 구비되고, 스테이터와 로어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의 회전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터와 관련하여, 도 1에는 종래의 모터의 커넥터와 터미널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터(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12)와, 스테이터(12)에 끼워지는 헤어핀 코일(미도시)과, 헤어핀 코일과 연결되는 터미널(13)과, 터미널(13)에 통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버스바(14) 및 버스바(14)에 연결되어 외부 구동전원을 모터(10)측에 인가하는 커넥터(15)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모터(10)는, 외부구동전원을 커넥터(15)로부터 모터(10)측으로 인가받기 위해, 다수개의 버스바(14)가 헤어핀 코일이 결합된 터미널(13)과, 커넥터(1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터(10)는, 외부구동전원으로부터 모터(10)측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별도로 다수개의 버스바(14)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터(10)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 전체 구조가 복잡해지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각 구성부품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버스바(14)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 모터(10)의 제조공정이 길어지고,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절연거리에 대한 IEC 국제표준규격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많아, 외부 구동전원의 인가시에 도체내에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인 동손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이러한 동손으로 인해 버스바(14) 등에서 발열현상이 일어나 주변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버스바(14)와 커넥터(15) 및 터미널(13) 부근의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각 구성부품이 가열되어 모터(10)의 오동작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넥터와 터미널의 연결구조를 간소화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터미널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게 하여 커넥터와 터미널의 통전을 위한 연결구조가 간소화된 모터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단자가 구비된 커넥터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모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원단자가 관통되게 위치하는 터미널 블럭; 상기 터미널 블럭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헤어핀 코일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하여 구동전원이 상기 전원단자를 지나 상기 헤어핀 코일로 인가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에 기 체결된 체결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헤어핀 코일이 끼워지는 끼움판;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판에 끼워진 상기 각 헤어핀 코일의 일단에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헤어핀 코일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통홀 하부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가 상기 관통홀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에는 상기 터미널이 구획되어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구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터미널 블럭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끼워져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블럭의 하부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판은 상기 헤어핀 코일 측으로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원단자에는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헤어핀 코일을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모듈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전원단자에 고정되는 제1 터미널; 일단이 상기 제1 터미널에 끼워지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형성되어 제2 터미널에 끼워지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 제1 끼움부와, 상기 헤어핀 코일이 끼워지도록 상하가 개방되게 형성된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모터는,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와 터미널이 직접 연결되게 함으로써, 외부구동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연결구조가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터를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적어져 구조가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적어져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구동전원의 인가시에 발생하는 동손의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손의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동손으로 인한 발열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터미널 블럭과, 커넥터를 이용하여 터미널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연결구조를 간소화시키면서 동시에 절연규격을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에서 터미널이 버스바를 통해 커넥터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에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에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에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터미널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로부터 터미널 블럭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터미널 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터미널과 엔드턴 사이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하우징과 엔드코일 사이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각 구성부품간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하우징 커버와 엔드코일 사이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에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에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스테이터에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는, U상, V상, W상의 3상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단자(310, 330, 350)가 구비된 커넥터(300)가 연결되어, 외부의 3상 구동전원을 상기 커넥터(300)의 상기 전원단자(310, 330, 350)를 통해 인가받는다.
이때, 상기 모터(100)는, 하우징(101),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테이터(110),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1)은, 상기 스테이터(110)와, 상기 로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에는 하우징 커버(10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103)는, 하면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1)의 개구된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110)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자계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110)는, 스테이터 코어(111)와 헤어핀 코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는,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H"자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 "H"자 형상의 철편들이 복수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고, 원형의 고리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는 다수개의 슬롯(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112)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어핀 코일(113)이 교차되게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헤어핀 코일(113)이 상기 슬롯(112)에 끼워지면,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양측은 상기 스테이터 코어(111)의 외부로 돌출되어 엔드코일(117)과 엔드턴(115)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헤어핀 코일(113)은 상기 슬롯(112)에 복수개가 체결되어 권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헤어핀 코일(113)은, 전체적으로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어핀 코일(113)은, 상기 슬롯(112)에 끼워지는 한 쌍의 끼움부(113b)와, 상기 끼움부(113b) 사이에 밴딩(Bending) 성형을 통해 굴곡지게 형성된 밴딩부(113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끼움부(113b)는, 각각 상기 슬롯(112)에 삽입되어 체결된 다음 상기 스테이터(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엔드턴(115)을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할 터미널 블럭(120)과 터미널(130)은 상기 엔드턴(115)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밴딩부(113a)는,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상기 끼움부(113b)가 상기 슬롯(112)에 끼워졌을 때, 상기 스테이터(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엔드코일(11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1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테이터(110)에 형성된 자계와 상호작용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부분 확대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터미널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되는 터미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구비된 터미널과 터미널 모듈이 커넥터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00)는, 상기 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상기 전원단자(310, 330, 350)가 끼워지는 터미널 블럭(120)과,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V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10)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블럭(120)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고정되고, U상, V상 및 W상의 3상 전원을 인가하는 상기 전원단자(310, 330, 350)가 관통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는 상기 전원단자(310, 330, 350)가 관통되어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21) 하부에는 V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1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310)가 상기 관통홀(121) 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홈(1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단자(310)가 상기 이동홈(1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300)가 상기 관통홀(12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끼움부(113b)가 이미 끼워진 상태에 있는 상기 터미널(130)에, 상기 전원단자(310)에 기 결합된 체결부재(320)가 끼워져, 상기 터미널(130)이 상기 전원단자(310)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320)에 고정되면서, 상기 커넥터(300)와 상기 터미널(130)이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홈(123)이 하나의 상기 관통홀(121)의 하측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지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홈(123)은 상기 각 관통홀(121)의 하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는, 상기 터미널(130)이 구획되어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구획부(12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125)는, 상기 터미널 블럭(120)이 다수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21)은, 상기 구획부(125)를 통해 나누어진 상기 터미널 블럭(120)의 각 면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터미널(130)은 상기 구획부(125)를 통해 나누어진 상기 터미널 블럭(120)의 각 면에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미널(130)은 상기 구획부(125)를 통해 상기 터미널(130) 상호간의 절연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30)은,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상기 끼움부(113b)가 끼워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300)는 외부 구동전원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130) 측으로 U 상, V 상 및 W 상을 갖는 3상 구동신호를 인가하게 되는데, 상기 끼움부(113b)는 상기 슬롯(112)에 각 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된 다음 상기 터미널(130)에 각 상별로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130)은, 상기 전원단자(310, 330, 350) 중 V상의 전원을 인가하는 상기 전원단자(31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310)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310)에 기 결합된 체결부재(320)가 끼워져 상기 전원단자(3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320)에 고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의 경우 상기 터미널(130)을 상기 커넥터(300)의 상기 전원단자(310)에 연결하고자 할 때, 별도의 버스바를 이용하여 연결하였지만, 별도의 부스바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모터(100)의 전체 구조가 복잡해지고, 교류전원의 동손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버스바를 통해 상기 터미널(130)을 상기 전원단자(310)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터미널(130)이 상기 커넥터(30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전원단자(31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130)에 각 상에 대응하는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상기 끼움부(113b)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럭(120)을 상기 하우징(101)에 고정시키고, 상기 이동홈(123)을 통해 상기 체결부재(320)를 V상의 전원을 인가하는 상기 전원단자(310)에 결합시킨 다음, 상기 커넥터(300)를 상기 터미널(13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체결부재(320)가 상기 터미널(130)의 하부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상기 터미널(130)이 상기 커넥터(300)에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연결되게 되고, 이를 통해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 구동전원이 상기 커넥터(300)를 지나 상기 터미널(130)과 상기 헤어핀 코일(113)을 거쳐 각 상별로 상기 모터(100)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130)이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 위치하는 V상의 전원을 인가하는 상기 전원단자(310)에 하나가 구비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130)은, 상기 구획부(125)를 통해 나누어진 U상, V상, W상의 각 상별로 상기 전원단자(310, 330, 350)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130)은, 몸체부(131), 끼움판(133) 및 고정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31)는,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중심부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판(133)은, 상기 몸체부(131)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상기 끼움부(113b)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고정홈(135)은, 상기 몸체부(13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310)에 기 체결된 상기 체결부재(32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31)의 상단에는 접촉 방지부(1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방지부(137)는, 상기 끼움판(133)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끼움판(133)에 끼워진 상기 끼움부(113b)의 일단에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끼움부(113b)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로부터 터미널 블럭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터미널 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블럭(120)의 상부 양측에는 가이드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7)는, 상기 터미널 블럭(12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블럭(120)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가이드 슬롯(10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101a)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부(127)에 대응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부(127)가 끼워진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터미널 블럭(120)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27)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슬롯(101a)의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27)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슬롯(101a)의 내주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부(127)가 상기 가이드 슬롯(101a)에 끼워져 이동할 때 맞닿은 면이 마찰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터미널 블럭(120)에는 체결판(12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129)은, 상기 터미널 블럭(12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블럭(120)이 상기 하우징(101)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판(129)에는 체결홀(129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29a)은, 상기 체결판(129)을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150)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체결홈(10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01b)은, 상기 체결홀(129a)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체결부재(150)가 상기 체결홀(129a)을 관통하여 체결된 다음 다시 상기 체결부재(150)가 체결되어, 상기 터미널 블럭(120)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판(129)은 상기 헤어핀 코일(113) 측으로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판(129)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상기 체결판(129)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판(129)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지고, 다른 구성부품과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상과 W상의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전원단자(330, 350)에는, 상기 전원단자(330, 350)와 상기 헤어핀 코일(113)을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140)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 모듈(140)이 U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30)와 W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50)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지만, 이는 일 예시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 모듈(140)이 U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단자(330)에만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130)이 V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10)와, W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5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모듈(140)이 W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50)에만 연결되고, 상기 터미널(130)이 U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10)와, V상의 전원이 인가되는 상기 전원단자(350)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 모듈(140)은, 제1 터미널(141), 터미널 연결부재(143) 및 제2 터미널(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141)은, 상기 전원단자(330, 350)에 맞닿은 상태에서 체결부재(320)를 통해 상기 전원단자(330, 35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터미널(141)에는 제1 터미널 체결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 체결홀(141a)은, 상기 제1 터미널(141)을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단자(330, 350)와 상기 제1 터미널(141)의 일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볼트 등의 상기 체결부재(320)가 상기 제1 터미널 체결홀(141a)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터미널(141)이 상기 전원단자(330, 350)에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터미널(141)에는 후술할 제1 연결부(143a)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141b-1)이 형성된 꺽임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꺽임부(141b)는, 상기 제1 연결부(143a)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간(141b-1)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143a)는, 상기 꺽임부(141b)를 통해 형성된 상기 끼움공간(141b-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터미널(141)이 상기 터미널 연결부재(143)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터미널 연결부재(143)는, 상기 제1 터미널(141)과 상기 제2 터미널(145)이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연결부재(143)는, 제1 연결부(143a)와, 제2 연결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43a)는, 일단이 상기 제1 터미널(141)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제2 연결부(143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43b)는, 상기 제1 연결부(143a)에 절곡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고, 후술할 끼움홀(145a-1)에 끼워져 상기 제2 터미널(14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터미널(145)은, 상기 터미널 연결부재(143)에 의해 상기 제1 터미널(141)과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터미널(145)은 제1 끼움부(145a)와 제2 끼움부(14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끼움부(145a)에는,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상기 끼움부(113b)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끼움홀(145a-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연결부(143a)가 상기 끼움홀(145a-1)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끼움부(145b)는, 상기 제1 끼움부(145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어핀 코일(113)의 상기 끼움부(113b)가 끼워지도록 상하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터미널과 엔드턴 사이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하우징과 엔드코일 사이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각 구성부품간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서 하우징 커버와 엔드코일 사이의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는,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터미널 블럭(120)이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300)를 이동시켜 상기 전원단자(310)에 상기 터미널(130)을 연결시키기 때문에,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공간거리와 연면거리가 IEC 국제 표준 규격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IEC 국제 표준 규격에는, 800V의 고전압 모터 시스템에서, 배선 단자부와 관련된 구성, 예를 들어, 각 터미널(130) 사이 또는 상기 터미널(130)과 상기 하우징(101) 사이의 공간거리가 9.1mm 이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고, 연면거리는 12mm 이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배선 단자부 외의 구성, 예를 들어, 상기 엔드코일(117)과 상기 하우징(101)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엔드코일(117)과 상기 하우징 커버(103) 사이의 거리는, 공간거리가 5.6mm 이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고, 연면거리는 8.0mm 이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130)과 상기 엔드턴(115) 사이의 공간거리(d1)가 9.211m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터미널(145)과 상기 엔드턴(115) 사이의 공간거리(d2)가 9.133m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어핀 코일(113)과 상기 하우징(101) 사이의 공간거리(d3)가 9.575mm 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커버(103)와 상기 엔드코일(117) 사이의 공간거리(d4)가 10.573mm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IEC 국제 표준 규격에 따른 공간거리와 연면거리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터미널(130)과 상기 엔드턴(115) 사이의 공간거리(d1), 상기 제2 터미널(145)과 상기 엔드턴(115) 사이의 공간거리(d2), 상기 헤어핀 코일(113)과 상기 하우징(101) 사이의 공간거리(d3) 및 상기 하우징 커버(103)와 상기 엔드코일(117) 사이의 공간거리(d4)가 각각, 9.211mm, 9.133mm, 9.575mm, 10.573mm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터미널(130)과 상기 엔드턴(115) 사이의 공간거리(d1)는, 상기 터미널(130)의 크기 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IEC 국제 표준 규격을 만족한 상태에서 본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300)의 전원단자(310, 330, 350)와, 터미널(130)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외부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를 간소화시킨다.
또한,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300)의 전원단자(310, 330, 350)와 터미널(130)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모터(100)의 전체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커넥터(300)의 전원단자(310, 330, 350)와 터미널(130)이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적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또한,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아 커넥터(300)와 터미널(130)의 연결에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구동전원 인가시에 발생하는 동손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전원 인가시에 발생하는 동손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손에 의해 발생하는 발열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미널(130)에 한 쌍의 끼움판(133)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헤어핀 코일(113)의 끼움부(113b)가 좁은 공간에서도 터미널(130)에 용이하게 연결되게 된다.
또한, 커넥터(300)에 형성되는 관통홀(121) 중 적어도 하나에 이동홈(123)을 형성시키고, 이동홈(123)을 통해 체결부재(320)가 이동하면서 터미널(130)에 끼워져 커넥터(300)와 터미널(130)이 전기적으로 통전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버스바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통해 커넥터(300)와 모터(100)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미널(130)의 하부에 고정홈(135)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커넥터(300)의 전원단자(310)에 결합된 체결부재(320)가 커넥터(300)의 이동에 따라 용이하게 터미널(130)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터미널 블럭(120)이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밀착된 상태에서 커넥터(300)의 이동에 따라 터미널(130)이 전원단자(310, 330, 350)에 접촉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외부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가 간단하여, 각 구성부품 사이에 요구되는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미널 블럭(120)에 각 상별로 구획되도록 다수개의 구획부(125)가 형성되기 때문에, 각 상별로 구비되는 터미널(130) 사이의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모터 11: 하우징
12: 스테이터 13: 터미널
14: 버스바 15: 커넥터
100: 모터 101: 하우징
101a: 가이드 슬롯 101b: 체결홈
103: 하우징 커버 110: 스테이터
111: 스테이터 코어 112: 슬롯
113: 헤어핀 코일 113a: 밴딩부
113b: 끼움부 115: 엔드턴
117: 엔드코일 120: 터미널 블럭
121: 관통홀 123: 이동홈
125: 구획부 127: 가이드부
129: 체결판 129a: 체결홀
130: 터미널 131: 몸체부
133: 끼움판 135: 고정홈
137: 접촉 방지부 140: 터미널 모듈
141: 제1 터미널 141a: 제1 터미널 체결홀
141b: 꺽임부 141b-1: 끼움공간
143: 터미널 연결부재 143a: 제1 연결부
143b: 제2 연결부 145: 제2 터미널
145a: 제1 끼움부 145a-1: 끼움홀
145b: 제2 끼움부 150: 체결부재
300: 커넥터 310: V상 전원단자
330: U상 전원단자 350: W상 전원단자
320: 체결부재 d1: 터미널과 엔드턴 사이의 거리
d2:제2 터미널과 엔드턴 사이의 거리
d3: 헤어핀 코일과 하우징 사이의 거리
d4: 하우징 커버와 엔드코일 사이의 거리

Claims (12)

  1. 전원단자가 구비된 커넥터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는 모터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원단자가 관통되게 위치하는 터미널 블럭;
    상기 터미널 블럭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헤어핀 코일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하여 구동전원이 상기 전원단자를 지나 상기 헤어핀 코일로 인가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을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에 기 체결된 체결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한 쌍이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어 상기 헤어핀 코일이 끼워지는 끼움판;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는 상기 끼움판에 끼워진 상기 각 헤어핀 코일의 일단에 마주보도록 위치하여 상기 헤어핀 코일간의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 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관통홀 하부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전원단자가 상기 관통홀 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에는 상기 터미널이 구획되어 위치하도록 다수개의 구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터미널 블럭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끼워져 이동하도록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외주면과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주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의 하부 양측에는 체결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판은 상기 헤어핀 코일 측으로 일부가 제거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원단자에는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헤어핀 코일을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모듈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전원단자에 고정되는 제1 터미널;
    일단이 상기 제1 터미널에 끼워지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형성되어 제2 터미널에 끼워지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 제1 끼움부와, 상기 헤어핀 코일이 끼워지도록 상하가 개방되게 형성된 제2 끼움부를 포함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190003467A 2019-01-10 2019-01-10 모터 KR2020008699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67A KR20200086999A (ko) 2019-01-10 2019-01-10 모터
US16/736,062 US11462966B2 (en) 2019-01-10 2020-01-07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67A KR20200086999A (ko) 2019-01-10 2019-01-10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999A true KR20200086999A (ko) 2020-07-20

Family

ID=71518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467A KR20200086999A (ko) 2019-01-10 2019-01-10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462966B2 (ko)
KR (1) KR202000869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999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0829A (en) * 1979-06-22 1982-07-20 Sheller Globe Corporation Molded end coil insulator
US5175458A (en) * 1991-09-04 1992-12-29 Onan Corporation Insulator for terminating electrodynamic stator coils
US6825586B2 (en) * 2002-10-29 2004-11-30 Remy, Inc. One piece stator lead and terminal insulator
US7633198B2 (en) * 2005-03-16 2009-12-15 Robert Ernest Kirkman 50 DN alternator stator terminal insulator apparatus
US20130252479A1 (en) * 2012-03-20 2013-09-26 Cary Ramey Terminal block holder
US9067546B2 (en) * 2012-06-22 2015-06-30 Remy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protection interlock system for serviceability
KR102353916B1 (ko) * 2015-04-15 2022-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1152833B2 (en) * 2018-07-23 2021-10-19 Borgwarner Inc. Electrical device having compact connector assembly suited for high power applications
KR20200086999A (ko) * 2019-01-10 2020-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KR102060478B1 (ko) * 2019-03-25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압축기
US10965056B2 (en) * 2019-05-16 2021-03-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ase terminal interface
US11171429B2 (en) * 2020-01-07 2021-11-0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Terminal block assembl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27971A1 (en) 2020-07-16
US11462966B2 (en)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936B2 (en) Bus bar unit and motor including the same
CN113615047B (zh) 定子及电动机
US11444510B2 (en)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US20130020891A1 (en) Stator for electric rotary machin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US10636556B2 (en) Bus b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134470A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조립 방법
WO2015087567A1 (ja) 機電一体型回転電機
US20230098103A1 (en) Controller and motor assembly comprising same
KR102504424B1 (ko) 모터용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KR20200086999A (ko) 모터
RU2661907C1 (ru) Блок контактных выводов вращающейс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JP3902219B1 (ja) 集中配電部品
US11031839B2 (e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or
JP2008086080A (ja) 集中配電部品
KR102466611B1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JP7258201B2 (ja) 3相コネクタ一体型ステータ及びこれを含む電動圧縮機
KR20190117924A (ko) 버스바 커넥터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모터
KR102421880B1 (ko)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조립체
KR102350229B1 (ko) 구동 모터용 터미널 어셈블리
US20240106294A1 (en) Connection device for a stator, stator arrangement for an electric machine, method for producing a stator arrangement and electric machine for driving a vehicle
CN113285554B (zh) 马达单元
CN116724477A (zh) 马达
CN112968568A (zh) 线缆连接器、壳体和电机
KR20220150760A (ko) 변형 방지 구조가 구비된 모터용 전기 터미널 및 그 전기 터미널을 포함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KR20230038009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