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6824A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6824A
KR20200086824A KR1020190003082A KR20190003082A KR20200086824A KR 20200086824 A KR20200086824 A KR 20200086824A KR 1020190003082 A KR1020190003082 A KR 1020190003082A KR 20190003082 A KR20190003082 A KR 20190003082A KR 20200086824 A KR20200086824 A KR 20200086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heat exchang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성
최인호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6824A/ko
Publication of KR20200086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6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진동 전달장치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 전달장치에는, 상기 압축기의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연장되는 전달 바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기 설치되는 실외기 및 실내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실내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매 사이클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로 전환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가 냉방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기능한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난방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 조화기에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유동조절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상대적으로 큰 용적을 가지고 있으며, 실외 열교환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열교환 과정에서 냉매의 건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 때,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는 기상 냉매와 액 냉매가 잘 혼합된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다. 만약, 기상 냉매와 액 냉매가 층 분리되어 유동하게 되면,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의 혼합을 가능하게 하는 해결수단이 요구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하는 경우, 실외 열교환기는 저온의 실외측에 배치되어 착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착상이 발생된 영역의 실외 열교환기에서는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조화기는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상 운전과정에서 발생된 제상수는 실외 열교환기의 하부에 모여지게 된다. 이렇게 모여진 제상수는 건조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으며, 만약 제상수가 제거되지 않으면 다시 착상되어 실외 열교환기의 성능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상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해결수단이 요구될 수 있다.
1. 등록특허 번호 (등록일자) : 10-1394892 (2014.5.15일) 2. 발명의 명칭 : 미세 진동파를 이용하여 적상방지 및 제상하는 히트펌프 증발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하여 냉매의 혼합을 유도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열전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압축기로부터 실외 열교환기로 연장되는 진동 전달장치를 마련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 전달장치를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장치를 압축기의 상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압축기의 상부를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장치를 실외 열교환기의 하부측에 위치시킴으로 실외 열교화기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수분(제상수)에 진동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댐퍼를 구비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진동이 실외기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압축기 주변의 냉매 배관에 플렉서블 관을 마련하여, 압축기의 진동이 주변 냉매 배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진동 전달장치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진동 전달장치에는, 상기 압축기의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연장되는 전달 바아가 포함된다.
상기 전달 바아는 상기 열교환기의 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프레임에는 2개의 프레임 측면부가 포함되며, 상기 전달 바아는 상기 2개의 프레임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상기 전달 바아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 및 열교환기의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의 프레임의 상면 및 하부에는 프레임 댐퍼가 구비된다.
상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에는 주름진 플렉서블 관이 포함된다.
상기 전달 바아는 압축기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실외 열교환기로 전달하여 냉매의 혼합을 유도함으로써, 실외 열교환기를 유동하는 냉매의 열전달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압축기로부터 실외 열교환기로 연장되는 진동 전달장치를 마련하여,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진동 전달장치를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장치를 압축기의 상부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대적으로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압축기의 상부를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전달장치를 실외 열교환기의 하부측에 위치시킴으로 실외 열교화기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수분(제상수)에 진동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실외 열교환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댐퍼를 구비하여, 실외 열교환기의 진동이 실외기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외기 전체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주변의 냉매 배관에 플렉서블 관을 마련하여, 압축기의 진동이 주변 냉매 배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장치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와, 실외 열교환기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0)와, 상기 압축기(100)의 주변에 배치되는 실외 열교환기(200)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100)의 흡입측에는 기액 분리기(150)가 구비되며, 상기 기액 분리기(150)와 상기 압축기(100)는 배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의 하부에는 지지 레그(110)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 레그(110)의 하측에는 압축기 댐퍼(11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댐퍼(115)는 베이스(20, 도 3 참조)에 놓여지며, 상기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상기 압축기 댐퍼(115)를 통하여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에는, 상기 압축기(100) 및 실외 열교환기(200)에 연결되는 냉매 배관(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냉매 배관(50)에는,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냉매의 토출을 가이드 하는 토출배관(5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51)은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유로 전환밸브(60)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전환밸브(60)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시, 상기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냉매를 실외 열교환기(200) 또는 실내기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작동 가능한 밸브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로 전환밸브(60)에는, 4방변(four-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50)에는, 상기 토출배관(51)에 연결되는 유로 전환밸브(60)로부터 실외 열교환기(200)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53)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압축기(100)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 1 연결관(53)을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2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에는, 유입헤더(270)가 포함된다. 상기 유입헤더(27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입헤더(270)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냉매 배관(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관(53)을 통하여 상기 유입헤더(270)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00)의 열교환 배관(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관(50)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로부터 팽창장치(70)로 연장되는 제 2 연결관(55)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 2 연결관(55)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팽창장치(7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팽창장치(70)에는 냉매를 감압하기 위한 밸브가 포함되며, 일례로 전자 팽창밸브(Electronic expansion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에는, 상기 냉매 배관(50)에 구비되는 플렉서블 관(8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플렉서블 관(80)은 주름진 배관을 포함하며, 변형(인장 또는 압축)가능하게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관(80)에 진동이 전달되면, 진동에 따른 힘은 상기 플렉서블 관(80)의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0)에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진동은 상기 플렉서블 관(80)에서 저감되어 상기 플렉서블 관(80)을 제외한 다른 냉매 배관(50)으로 전달되는 것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관(80)에는, 상기 토출배관(51)에 구비되는 제 1 플렉서블관(81)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플렉서블관(81)은 상기 토출배관(51)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관(80)에는, 상기 제 1 연결관(53)에 구비되는 제 2 플렉서블관(83)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플렉서블관(83)은 상기 제 1 연결관(53)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관(80)에는, 상기 제 2 연결관(55)에 구비되는 제 3 플렉서블관(8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3 플렉서블관(85)은 상기 제 2 연결관(55)의 적어도 일부의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 배관(210) 및 상기 열교환 배관(210)에 결합되는 핀(220)이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 배관(210)은 상하 방향으로 다단 배열되며, 상기 핀(2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핀(220)은 4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220)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핀(220)은 측방, 즉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에는, 상기 핀(220)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프레임(23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230)에는 상기 열교환 배관(21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배관(210)에는, 상기 프레임(230)의 측방으로 돌출되며 벤딩된 형상을 가지는 벤딩관(215)이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 배관(210)은 상기 프레임(23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30)에는, 상기 벤딩관(215)이 결합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지지부(231)가 포함된다. 상기 배관지지부(231)는 일례로,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벤딩관(215)은 상기 배관지지부(23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30)에는, 상기 배관지지부(231)의 하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하부(232) 및 상기 배관지지부(231)의 상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상부(23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30)에는, 상기 배관지지부(231)의 전방부 및 후방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프레임측면부(235)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프레임측면부(235)에는, 상기 압축기(10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제 1 측면부(235a) 및 상기 제 1 측면부(235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 2 측면부(235b)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측면부(235b)로부터 상기 압축기(100)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측면부(235a)로부터 상기 압축기(100)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배관지지부(231), 프레임하부(232), 프레임상부(233) 및 프레임측면부(235)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230)은 측방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230)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진동이 실외기 케이스(30, 도 3 참조) 또는 베이스(2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 댐퍼(250,2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댐퍼(250,260)에는, 상기 프레임상부(233)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기 케이스(30)에 접촉하는 상부 댐퍼(250) 및 상기 프레임하부(232)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20)에 접촉하는 하부 댐퍼(26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 케이스(30)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100)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250)는 상기 실외기 케이스(30)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250)는 상기 프레임상부(233)의 상면에 구비되며 댐퍼 체결부재(254)에 의하여 프레임상부(23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댐퍼 체결부재(254)는 상기 프레임상부(233)의 저면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상부(233)의 상측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댐퍼(250)는 상기 댐퍼 체결부재(25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250)에는, 상기 프레임상부(233)에 전후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상부댐퍼(251) 및 제 2 상부댐퍼(25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상부댐퍼(251,253)는 상기 실외기 케이스(30)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댐퍼(260)는 상기 프레임하부(232)의 중앙부에 1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댐퍼(250)는 2개가 구비되어 상기 실외기 케이스(30)에 밀착되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상부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많이 감쇄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부 댐퍼(260)는 1개만 구비됨으로써,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하부측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하부에 존재하는 제상수에 진동 에너지가 많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에는, 상기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로 전달하기 위한 진동 전달장치(3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진동 전달장치(300)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 바아(31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전달 바아(310)는 원형 파이프 또는 각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외기(1)에는, 상기 압축기(100) 및 상기 전달 바아(310)에 결합되는 브라켓(12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120)은 링 형상을 가지며, 압축기(10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압축기(10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120)에는, 링 형상의 브라켓 본체(121)이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121)는 양 단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양 단부는 브라켓 체결부재(123)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에는, 상기 브라켓 본체(121)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전달 바아(310)가 체결되는 바아 결합부(125)가 포함된다. 상기 바아 결합부(125)는 압축기(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브라켓 체결부재(123)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아 결합부(125)와 상기 압축기(100)의 외주면 사이 공간에는, 상기 전달 바아(310)를 체결하기 위한 제 1 바아체결부재(3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달 바아(310)는 상기 프레임측면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달 바아(310)는 제 2 바아체결부재(335)에 의하여 상기 제 1 측면부(235a)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 바아(3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 1 바아체결부재(330)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120)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제 2 바아체결부재(335)를 통하여 상기 제 1 측면부(235a)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 바아(310)의 양측 단부의 높이는 동일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은 수평한 전달 바아(310)를 통하여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측으로 용이하게 전달되며, 상기 전달 바아(310)의 불필요한 떨림 또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장치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전달장치(300)는 압축기(100)와 실외 열교환기(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장치(300)에는,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를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달 바아(310)가 포함된다.
상기 전달 바아(310)는 상기 압축기(10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120)에 결합되어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로 연장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프레임(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바아(310)는 제 1 바아체결부재(330)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120)의 바아 결합부(125)에 체결되며, 제 2 바아체결부재(335)를 통하여 상기 프레임(230)의 제 1 측면부(235a)에 체결될 수 있다.
압축기(110)의 구동시, 상기 압축기(110)에는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진동의 크기는, 상기 압축기(110)의 상부에서 하부보다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압축기(110)의 하부는 압축기 댐퍼(115)를 통하여 베이스(20)에 지지되므로 진동이 감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진동 전달장치(300)는 상대적으로 진동이 크게 발생되는 압축기(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압축기(100)의 높이가 H1이라 할 때, 상기 진동 전달장치(300)의 설치 높이는 1/2*H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1은 베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압축기(100)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압축기(100)의 상하방향 중심(C1)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압축기(10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전달 바아(310)는 상기 브라켓(120)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의 진동은 상기 전달 바아(310)를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에 따른 힘(에너지)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열교환 배관(210)에 작용하여, 상기 열교환 배관(210)을 유동하는 기상 냉매 및 액 냉매를 고르게 혼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외 열교환기(200)에서의 냉매 열교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장치(300)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왜냐하면, 제상수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하부에 모여 있으므로, 상기 제상수에 진동 에너지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세히,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높이가 H2라 할 때, 상기 진동 전달장치(300)의 설치 높이는 1/2*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H2는 베이스(20)의 상면으로부터 실외 열교환기(200)의 상단부까지의 거리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 바아(31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 1 측면부(235a)의 일 지점의 높이는 1/2*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달 바아(310)의 단부가 체결되는 제 1 측면부(235a)의 일 지점은 열교환기(200)의 상하방향 중심(C2)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의 진동은 상기 전달 바아(310)를 통하여 실외 열교환기(2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에 따른 힘(에너지)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의 하부에 모여진 제상수에 작용하여, 제상수의 증발을 도와줄 수 있다.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에는 제 1,2 상부댐퍼(251,253)가 설치되며, 실외기 케이스(30)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30)의 하측에는 하부댐퍼(260)가 설치되며, 베이스(20)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230)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댐퍼가 구비되므로 상기 프레임(230)의 하부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부보다 진동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200)에 하부에 모여진 제상수에 진동 에너지의 전달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30)에는, 벤딩관(215)이 결합되는 배관지지부(231)가 포함된다. 상기 벤딩관(215)은 상기 배관지지부(23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230)의 제 1 측면부(235a)에는 전달 바아(310)가 체결되며, 상기 제 1 측면부(235a)의 내측면에는 제 2 바아체결부재(335)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아체결부재(335)와 벤딩관(215)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측면부(235a)와 상기 벤딩관(215)의 사이 거리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측면부(235a)와 상기 벤딩관(215)까지의 최단거리(W2)는 상기 제 2 측면부(235b)와 상기 벤딩관(215)까지의 최단거리(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 바아(310)가 상기 프레임(230)에 체결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1 : 실외기 20 : 베이스
30 : 실외기 케이스 50 : 냉매 배관
60 : 유로전환 밸브 70 : 팽창장치
80 : 플렉서블 관 100 : 압축기
120 : 브라켓 123 : 브라켓 체결부재
125 : 바아 결합부 200 : 열교환기
230 : 프레임 235 : 프레임측면부
300 : 진동 전달장치 310 : 전달 바아
330 : 제 1 바아체결부재 335 : 제 2 바아체결부재

Claims (15)

  1. 압축기;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압축기의 일측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열교환 배관 및 상기 열교환 배관에 결합되는 프레임이 포함되는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상기 열교환기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진동 전달장치에는,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달 바아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바아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링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압축기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브라켓 본체; 및
    상기 브라켓 본체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전달 바아의 단부가 결합되는 바아 결합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결합부는 상기 압축기의 상하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측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과 상기 전달 바아의 단부를 체결하는 제 1 바아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열교환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지지부; 및
    상기 배관지지부의 양측에서 연장하는 2개의 프레임측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2개의 프레임측면부에는,
    제 1 측면부; 및
    상기 제 1 측면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측면부보다 상기 압축기까지의 거리가 더 먼 제 2 측면부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바아는 상기 제 1 측면부에 결합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바아가 결합되는 제 1 측면부의 일 지점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하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측에 위치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면부와 상기 전달 바아의 단부를 체결하는 제 2 바아체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실외기 케이스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실외기 케이스에 접촉하는 상부 댐퍼; 및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하부 댐퍼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댐퍼의 수는 상기 하부 댐퍼의 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또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 연결되며,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냉매 배관이 더 포함되며,
    상기 냉매 배관에는, 주름진 플렉서블 관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관에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토출배관에 구비되는 제 1 플렉서블관;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되는 유로 전환밸브로부터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연장되는 제 1 연결관에 구비되는 제 2 플렉서블 관; 및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부터 팽창장치로 연장되는 제 2 연결관에 구비되는 제 3 플렉서블관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90003082A 2019-01-10 2019-01-10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200086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82A KR20200086824A (ko) 2019-01-10 2019-01-10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82A KR20200086824A (ko) 2019-01-10 2019-01-10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6824A true KR20200086824A (ko) 2020-07-20

Family

ID=7183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082A KR20200086824A (ko) 2019-01-10 2019-01-10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68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3517A (zh) * 2020-12-14 2022-06-1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外机及其应用的管组总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92B1 (ko) 2012-10-08 2014-05-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진동파를 이용하여 적상방지 및 제상하는 히트펌프 증발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892B1 (ko) 2012-10-08 2014-05-1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진동파를 이용하여 적상방지 및 제상하는 히트펌프 증발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발명의 명칭 : 미세 진동파를 이용하여 적상방지 및 제상하는 히트펌프 증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23517A (zh) * 2020-12-14 2022-06-14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空调室外机及其应用的管组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968B2 (en) Outdoor unit
KR2010004638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EP1953480B1 (en) Heat exchanger for outdoor unit
US20170328585A1 (en) Outdoor unit
EP3742081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ing device
US11175053B2 (en) Heat exchanger,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20008682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EP3502576A1 (en) Compressor unit and outdoor unit provided therewith
EP2623875A2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050024880A (ko) 저진동 에어컨 배관 구조
AU2018380495A1 (en) Air conditioner
JP2012132641A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2266827B1 (ko) 공기 조화기
CN213630712U (zh) 移动式空调
CN217685818U (zh) 制冷装置
KR100413072B1 (ko) 에어컨 실내기용 배플의 응축수 안내구조
KR100768165B1 (ko) 천정형 에어컨의 드레인패널
KR20070077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30031638A (ko) 공기조화기
CN220707524U (zh) 管道式空调室内机
WO2024071383A1 (ja)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及び、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装置
JP74126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215175513U (zh) 室内机及空调器
WO2022158574A1 (ja) 熱交換器
JP2006002949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