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551A -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551A
KR20200085551A KR1020190001809A KR20190001809A KR20200085551A KR 20200085551 A KR20200085551 A KR 20200085551A KR 1020190001809 A KR1020190001809 A KR 1020190001809A KR 20190001809 A KR20190001809 A KR 20190001809A KR 20200085551 A KR20200085551 A KR 20200085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fork
food
push button
spaghet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3288B1 (en
Inventor
박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진
Priority to KR102019000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288B1/en
Publication of KR20200085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6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 A47G2400/067Articles adapted for a particular kind of foodstuff for pasta or nood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ulti-functional fork with a tongs-function for spaghetti, which can simultaneously realize a general fork function, and a tongs-function for picking and lifting spaghetti. To this end, the multi-functional fork with a tongs-function for spaghetti comprises: a first stick for providing a handle space in which a user can grip; a second stick having one end to be axial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ck; a first food part provided at an end of the first stick,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ork rib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ick a food; and a second food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ork ribs overlapping the first fork ribs of the first food part. Accordingly, the multi-functional f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ick and lift noodles and solid ingredients when taking spaghetti, thereby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alternately using a fork and chopsticks.

Description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Multifunctional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본 발명은 스파게티를 집어 들어 올릴 수 있는 집게 기능이 포함된 다기능 포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포크 기능과 스파게티를 집어 들어 올릴 수 있는 집게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fork that includes a tongs function that can lift and lift spaghetti, and more specifically, a multifunction with a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that can simultaneously implement a general fork function and a tongs function that can lift and lift spaghetti It's about forks.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때 사용되는 도구로,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는 젓가락과 숟가락과 젓가락이 대표적으로 들지만, 서양에서는 나이프와 포크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특히 포크는 서양권 뿐만 아니라 동양권에서도 젓가락질이 미숙한 아동이나 스파게티 등과 같은 면 종류의 음식물을 먹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다.As a tool commonly used to eat food, chopsticks, spoons and chopsticks are typical i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but knife and fork are typical examples in the West. In particular, forks are used not only in the western region, but also in the eastern region, when eating foods of noodles such as spaghetti or children with inexperienced chopsticks.

이와 같은 포크는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는 손잡이부의 하단에 다수의 포크 살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결합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사람이 포크의 뾰족한 포크 살로 음식물을 찍어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Such a fork is formed so that a person can easily take food by taking food with a pointed fork flesh of a fork as a plurality of fork flesh is integrally formed or combined at a lower end of a handle part that a person holds by hand.

일반적으로 포크의 종류는 식탁용과 서비스용으로 구분된다. 특히 식탁용 포크는 나이프나 스푼과 짝을 지어 사용하는 것으로, 테이블 포크(고기요리용 : 대형), 디저트 포크(일반요리용 : 중형), 샐러드 포크, 케이크 포크(한쪽이 칼날같이 되어 있음), 오이스터 포크(생굴요리용), 피시 포크(생선요리용 : 나이프에 맞추어 조각되어 있음), 프루츠 포크(과일용), 특수 포크로서 게 포크(게, 새우 등 갑각류의 살을 발라낼 때 사용함), 필링 포크(과일껍질을 벗기는 데 사용함) 등이 있다.In general, the type of fork is divided into table use and service use. In particular, table forks are used in pairs with knives or spoons, table forks (for meat dishes: large), dessert forks (for general dishes: medium), salad forks, cake forks (one with a blade), Oyster fork (for oyster dishes), fish fork (for fish dishes: engraved according to the knife), fruit fork (for fruits), crab fork (used to apply crustaceans such as crabs, shrimps) as a special fork, And peeling forks (used to peel the peel).

종래의 포크의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13-0002429호(2013.04.24 공개)에는 음식물을 찍어 올리거나 얹어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로, 손잡이부와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적어도 2 이상의 포크 날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크 날에는 소정된 형상과 크기 및 배열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미끄럼방지용 홈이 구비된다.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ork,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3-0002429 (published on April 24, 2013) is a fork that allows food to be eaten by placing or placing food, including a handle and a head, and the head The part is made of at least two fork blades. At this time, the fork blad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n-slip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size and arrangement.

그리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74810호(2005.02.03 공고)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다수의 포크 날들이 분할 설치된 포크에 있어서, 포크 날 각각에 물결형태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류의 파지가 용이한 굴곡형 포크가 게시되어 있다.An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74810 (announced on Feb. 3, 2005), the handle portion that the user can grip, and a fork in which a plurality of fork blades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re installed, each of the fork blades has a wave shape A curved fork for easy gripping of noodles, which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 bent portion, is post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포크는 다수의 포크 날의 하단이 일직선 상에 좁은 간격으로 배열될 수밖에 없으므로, 스파게티를 감지 않은 상태로 들어올리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즉시 섭취할 분량 이상의 스파게티를 한 번에 옮기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fork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ower ends of the plurality of fork blades must be arranged in a narrow gap on a straight line, it is difficult to lift the spaghetti without detecting it, and immediately move the spaghetti over the amount to be consumed at once.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9563호(2011.12.02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29563 (2011.12.02 publish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1443호(2014.01.17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351443 (announced on January 17, 201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9337호(2012.02.01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09337 (2012.02.01 publish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25685호(2017.11.15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25685 (released on November 15, 20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식사 시 포크의 기본적인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스파게티의 면발을 섭취하는 경우 집게와 같이 면발을 집어서 들어 올릴 수 있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that can be freely used as a basic use of a fork during a general meal, and can pick up and lift the noodle like tongs when ingesting spaghetti noodles. .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스틱과, 상기 제1 스틱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스틱과, 상기 제1 스틱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음식물을 찍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포크 살이 형성된 제1 음식물부, 및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음식물부의 복수개의 살과 겹쳐질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포크 살이 형성된 제2 음식물부를 포함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ick providing a handle space for a user to grip, and one end coupled around the first stick so as to be axially rotated A second stick,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tick, a first food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ork flesh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food,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the first It provides a multi-functional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including a second food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ork flesh that can overlap with a plurality of flesh portions of the food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스틱과, 상기 제1 스틱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스틱과, 상기 제1,2 스틱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2 스틱이 축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는 덮개판과, 상기 제1 스틱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음식물을 찍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포크 살이 형성된 제1 음식물부와,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음식물부의 복수개의 살과 겹쳐질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포크 살이 형성된 제2 음식물부와, 상기 덮개판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가 제1 스틱의 타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제2 스틱을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단부에 대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2 스틱에 결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ick providing a handle space for a user to grip, and one end of the first stick are coupled to be axially rotated. A second stick, a connecting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ticks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second stick can be axially rotated,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and the other stick of the first stick It is provided at the end, the first food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fork fles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you can take a food, and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the first food portion of the plurality of flesh can overlap with A second food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ork flesh, and an upper end portion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is moved away from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ver plate. Provided is a multifunctional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which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and has a lower end opposite to the upper end coupled to the second stick.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게티를 먹는 경우 면발을 집어서 들어 올릴 수 있으며, 건더기를 찍어서 들어 올릴 수 있으므로, 포크와 젓가락을 번갈아가며 사용해야 되는 불편함이 해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ating spaghetti, the noodle can be picked up and lifted, and since it can be picked up and lifted, the inconvenience of using forks and chopsticks alternately is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인 포크 기능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스파게티를 제외한 음식을 먹는 경우에도 포크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basic fork function, it can be used as a fork even when eating food except spaghetti.

아울러, 본 발명은 일정량의 음식물을 찔러서 들어 올리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간단히 버튼을 눌러서 집게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국인 등 젓가락질이 어려운 사람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stabbing and lifting a certain amount of food, it can be used as a forceps by simply pressing a button, so even a person with difficulty in chopsticks, such as a foreigner, can easily use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front view for explaining a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이하, '다기능 포크'이라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functional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bbreviated as'multifunctional f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스틱(100)과, 상기 제1 스틱(1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스틱(100)을 중심으로 축 회전하는 제2 스틱(200)과, 상기 제1 스틱(10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포크의 기본 기능을 제공하는 제1 음식물부(300), 및 상기 제2 스틱(20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제1 음식물부(300)와 함께 집게 기능을 제공하는 제2 음식물부(4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tick 100 and the first stick 100 to provide a handle space for a user to grip. A second stick 200 that is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food portion 30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tick 100 to provide a basic function of the fork , And a second food part 40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stick 200 and providing a forceps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food part 30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을 포함한다. 1 and 2,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ick 100 and a second stick 200.

상기 제1 스틱(100)은 일반적인 포크의 손잡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된 것으로, 일단부에 손으로 잡게 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The first stick 100 is formed in a size and length capable of serving as a handle of a general fork, and a handle part to be held by a hand is formed at one end.

그리고 제1 스틱(100)은 음식물을 찍어서 들어 올리는 제1 음식물부(300)가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서부터 제1 음식물부(300)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vIn addition, the first stick 100 is preferably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from one end to the first food part 300 so that the first food part 300 that picks up and lifts food is formed at the other end. .v

또한, 제1 스틱(100)은 제2 스틱(200)이 축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은 제2 스틱(2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스틱(200)의 너비(좌우 길이)보다 긴 너비를 갖거나 동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ick 100 has a fitting groove formed therein so that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tick 200 can be rotated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fitting groove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second stick 200 so that the second stick 200 can pass therethrough.

아울러, 제1 스틱(100)은 제2 스틱(200)이 제1 스틱(100)을 중심으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끼움홈에 내삽된 제2 스틱(200)의 일단부를 끼움홈에 축 결합시키는 회전지지축(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축(120)은 제1 스틱(100)과 제1 스틱(100)의 끼움홈에 내삽된 제2 스틱(200)을 좌우 방향으로 결합시키며, 제2 스틱(20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first stick 100 is axial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interleaved in the fitting groove so that the second stick 200 can be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100. The rotation support shaft 120 may be provided. The rotation support shaft 120 couples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interpolat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first stick 100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stick 200 can be rotated Provide a space.

상기 제2 스틱(200)은 상기 제1 스틱(100)과 길이 방향을 따라 밀착되고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일단부가 제1 스틱(100)을 중심으로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스틱(100)에 결합된 것으로, 제1 스틱(100)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stick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tick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 the external force acts,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is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100. Combined, it is formed to have a smaller length than the first stick (100).

또한, 제2 스틱(200)은 음식물을 제1 음식물부(300)와 함께 집게 기능을 제공하는 제2 음식물부(400)가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서부터 제2 음식물부(400)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stick 200 is the second food portion 400 from one end so that the second food portion 400 that provides a tong function with the first food portion 300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as it goes to.

아울러, 제2 스틱(200)은 사용자에 의한 제1 스틱(100)의 파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제1 스틱(100)보다 짧은 너비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stick 20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horter width than the first stick 1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gripping of the first stick 100 by the us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제1 음식물부(30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food portion (300).

상기 제1 음식물부(300)는 상기 제1 스틱(10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찍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포크 살(310)이 형성된다.The first food portion 300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first stick 100, and a plurality of first fork meats 31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food.

상기 제1 음식물부(300)는 일반적인 포크에서 음식물을 찌르는 부분인 복수개의 포크 살(tine)이 형성되고, 포크 살과 포크 살 사이에는 스파게티 면과 같은 국수가 끼워지는 구멍(slot)이 형성되며, 포크 살과 포크 살은 골(root)로 연결된다.The first food portion 30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ork flesh (tine), which is a portion for staking food in a general fork, and a slot in which noodles such as spaghetti noodles are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ork flesh and the fork flesh. , Fork flesh and fork flesh are connected by a roo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제2 음식물부(40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food portion 400.

상기 제2 음식물부(400)는 상기 제2 스틱(20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음식물부(300)의 제1 포크 살(310)들과 겹쳐질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포크 살(410)이 형성된다.The second food part 40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200, and a plurality of second forks that can overlap with the first fork meats 310 of the first food part 300 The flesh 410 is formed.

상기 제2 음식물부(400)는 일반적인 포크에서 음식물을 찌르는 부분인 복수개의 포크 살(tine)이 형성되고, 포크 살과 포크 살 사이에는 스파게티 면과 같은 국수가 끼워지는 구멍(slot)이 형성되며, 포크 살과 포크 살은 골(root)로 연결된다. 이때, 제2 음식물부(400)에 형성된 구멍은 제1 음식물부(300)에 형성된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제1 음식물부(300)에 형성된 구멍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는, 제1 스틱(100) 및 제1 음식물부(300)를 일반적인 포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2 음식물부(400)가 제1 음식물부(300)에 겹쳐지더라도 제2 음식물부(400)에 의해 제1 음식물부(300)의 구멍이 폐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The second food portion 4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ork flesh (tine), which is a portion for staking food in a general fork, and a slot in which noodles such as spaghetti noodles are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ork flesh and the fork flesh. , Fork flesh and fork flesh are connected by a root. At this time, the hole formed in the second food portion 40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food portion 300 so that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food portion 300 is not blocked. This is, even if the second food portion 400 overlaps the first food portion 300 so that the first stick 100 and the first food portion 300 can be used as a general fork, the second food portion 400 is This is to prevent the opening of the first food portion 300 by being closed.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음식물부(400)는 제1 음식물부(300)과 함께 집어서 들어 올릴 수 있는 음식물의 양이 증가되도록 제1 음식물부(300)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음식물부(400)는 제1 음식물부(300)와 마주보는 표면이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food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food part 300 so as to increase the amount of food that can be picked up and lifted together with the first food part 300. Can be formed. In other words, the second food part 400 may form a space in which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food part 300 is recessed.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음식물부(400)는 집게 용도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포크 용도로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제1 음식물부(300)의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형성되거나,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음식물부(400)는 제2 스틱(200)이 초기 위치로 배치된 경우 제1 음식물부(30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1 음식물부(300)와 상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음식물부(300)가 제2 음식물부(400)에 마주보는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경우, 제2 음식물부(400)는 제1 음식물부(300)에 마주보는 표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food par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ood part 300 so as to be smoothly used for fork purposes when not used for the use of forceps, or is formed flat Can be. In other words, the second food part 4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first food part 30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ood part 300 when the second stick 200 is disposed in the initial position. Can. For example, when the surface of the first food portion 300 facing the second food portion 400 is concave, the second food portion 400 is convexly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food portion 300. Can b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스파게티의 건더기를 사용자가 섭취할 수 있는 포크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으며, 스파게티의 면발을 개인용 그릇에 이동시키거나 말아서 들어 올리는 집게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function of a fork that allows a user to ingest the spaghetti ingredients, and can also provide the function of a tong to move or roll the spaghetti's noodles into a personal bowl. .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손가락걸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ger hanger (not shown).

상기 손가락걸이는 제2 스틱(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스틱(200)에 손가락의 외력을 전달하여 제2 스틱(20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손가락걸이는 제2 스틱(20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nger hanger is coupled to the second stick 200, and serves to rotate the second stick 200 by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of the finger to the second stick 200. At this time, the finger hanger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econd stick 200.

구체적으로, 손가락걸이는 스틱결합용 밀착판, 및 엄지나 검지 등의 손가락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판을 감싸도록 형성된 손가락삽입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밀착판은 제2 스틱(2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이용 돌기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finger hanger may be composed of a stick-to-stick contact plate, and a finger insert formed to surround the contact plate so that a finger such as a thumb or index finger is fitted. At this time, the contact plate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that can be fitted to the protrusion for the hook formed protruding from the second stick 20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00.

상기 구동부(5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제1 스틱(100)과 제2 스틱(2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1 스틱(100)의 끼움홈에 설치되며 제2 스틱(200)의 일단부에 밀착된다.The driving unit 500 is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is installed in the fitting groove of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

이러한 구동부(500)는 외부로부터 압력이 인가되면 제2 스틱(200)의 타단부가 제1 스틱(1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스틱(200)의 일단부에 압력을 전달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외력의 작용이 해소되면 축 회전하는 제2 스틱(200)의 일단부가 초기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제2 스틱(200)의 일단부에 복원력을 제공한다.When th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driving unit 500 transmits pressure to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200 moves away from the first stick 100 and is applied from the outside. When the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is resolved, a restoring forc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that is axially rotated can be rotated to an initial position.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500)는 외력을 인가받는 누름버튼(510)과, 상기 누름버튼(51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520)와, 상기 누름버튼(510)과 케이스(520) 사이에 설치되어 누름버튼(5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30)을 포함한다. As a specific aspect, the driv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button 510 receiving external force, a case 520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ush button 510 is installed, and the push button 510 It is installed between the case 520 includes a spring 53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push button 510.

상기 누름버튼(510)은 제1 스틱(100)의 끼움홈을 커버하도록 제1 스틱(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이 제2 스틱(20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누름버튼(510)의 하단은 제2 스틱(200) 일단부의 상면에 안착된다.The push button 51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ick 100 to cover the fitting groove of the first stick 100, and the lower e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ick 200.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push button 5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보다 구체적으로, 누름버튼(510)은 하단에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에 연통된 중공이 형성된 박스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누름버튼(510)의 저면에는 제2 스틱(20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봉(5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봉(512)은 누름버튼(510)이 하강함에 따라 연동하면서 제2 스틱(200)이 회전할 수 있는 힘을 전달한다.More specifically, the push button 510 is formed in a box-like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 hollow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is formed, and a bottom surface of the push button 5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ick 200. A close contact rod 512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The contact rod 512 transmits the force that the second stick 200 can rotate while interlocking as the push button 510 descends.

상기 케이스(520)는 상기 누름버튼(51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51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530)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케이스(520)는 끼움홈에 설치되며 상기 끼움홈에 투입된 제2 스틱(200)의 일단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된다.The case 520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push button 510 so that the push button 510 can move up and down, and provides space for the spring 530 to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case 520 is installed in the fitting groove and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surface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can be interpolated.

상기 스프링(530)은 케이스(520)와 제2 스틱(200)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력의 작용이 없어지면 누름버튼(510)과 제2 스틱(200)이 초기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510)과 제2 스틱(20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The spring 530 is installed between the case 520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and when the action of external force disappears, the push button 510 and the second stick 200 can rotate to the initial position.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push button 510 and the second stick 200.

본 발명의 다기능 포크는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을 누르지 않는 경우 제1 음식물부(300)와 제2 음식물부(400)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포크의 기본적인 용도로 사용된다.The multi-functional for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basic use of the fork because the first food portion 300 and the second food portion 400 are kept in close contact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push button 510.

그리고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을 누른 경우 누름버튼(510)은 스프링(530)을 압축시키면서 케이스(520)의 저면을 향하여 하강하고, 제2 스틱(2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 스틱(200)의 회전에 따라 제2 음식물부(400)도 제1 음식물부(30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510, the push button 510 desc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case 520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530, rotates the second stick 200 clockwise, and the second The second food part 400 also moves away from the first food part 3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ick 200.

또한,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에 가하는 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510)은 초기 위치로 상승하고, 제2 스틱(2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제2 스틱(20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스틱(200)의 이동에 따라 제2 음식물부(400)도 제1 음식물부(300)에 근접하도록 이동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ush button 510, the push button 510 rises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530, and the second stick 200 rotates counterclockwi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stick 20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second food part 400 also moves close to the first food part 3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cond stick 2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면발을 집어서 들어올리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파지한 상태에서 누름버튼(510)에 압력을 제공했다가 압력을 해제하는 것만으로도 집게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essure to the push button 510 in the gripped state even when the finger is not moved to lift the cotton feet and lift the tongs by simply releasing the pressure. You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its features.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front view for explaining a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스틱(100)과, 상기 제1 스틱(10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스틱(100)을 중심으로 축 회전하는 제2 스틱(200)과, 상기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연결판(600)과, 상기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판(700)과, 상기 연결판(600) 및 덮개판(700)의 외부에 노출된 제1 스틱(100)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음식물을 찍을 수 있는 제1 포크 살(310)이 형성된 제1 음식물부(300), 및 상기 연결판(600) 및 덮개판(700)의 외부에 노출된 제2 스틱(200)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음식물을 직을 수 있는 제2 포크 살(410)이 형성된 제2 음식물부(400)를 포함한다.3 to 5,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irst stick 100 and the first stick 100 to provide a handle space for a user to grip, and the user The second stick 200 and the connecting plate 60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and the second stick 200 that is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10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e cover plate 700 coupled to the top of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and the first stick 1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 first food portion 300 provided with a distal end portion and formed with a first fork flesh 310 capable of taking food, and a second stick 2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It includes a second food portion 400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fork flesh 410 to be able to weave foo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을 포함한다. 3 to 5,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ick 100 and a second stick 200.

상기 제1 스틱(100)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단부에 연결판(600) 및 덮개판(700)이 설치된 공간을 제공한다.The first stick 100 provides a handle space that a user can grip,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re installed at one end.

상기 제2 스틱(200)은 제1 스틱(100)과 길이 방향을 따라 밀착되고 외력이 작용함에 따라 일단부가 제1 스틱(100)을 중심으로 축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스틱(100)에 결합된 것으로, 제1 스틱(100)과 함께 연결판(600) 및 덮개판(700)이 설치된 공간을 제공한다.The second stick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stick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tick 100 so that one end can be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100 as an external force acts. It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r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first stick 100.

이러한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은 작은 음식물을 들어 올리거나 음식물을 찔러서 들어 올리는 제1 음식물부(300)와 제2 음식물부(400)가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일단부에서부터 음식물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food part 300 and the second food part 400 for lifting small food or stabbing food are formed at the other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part to the food par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틱(100)은 연결판(600)과 마주보는 위치에 체결홀(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110)은 다각기둥(61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적이 다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체결홀(110)은 단면적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stick 100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10 at a position facing the connecting plate 600.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110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structure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polygonal column 610 can be fitted. For example, the fastening hole 110 may be formed to have a triangular, square, or pentagonal cross-section.

또한, 제1 스틱(100)은 연결판(600)과 덮개판(700) 사이로 내삽되는 일단부 중 제2 스틱(200)과 마주보는 측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틱(200)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스틱(100)에 연결판(600)과 덮개판(700)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스틱(200)이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stick 100 has a side facing the second stick 200 of the one end interpolat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stick 200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is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tick 200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on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in the first stick 100 can be rotated.

아울러, 제1 스틱(100)은 연결판(600)과 덮개판(700) 사이로 내삽되는 일단부 중 제2 스틱(200)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측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틱(20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체결홀(11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스틱(100)의 일단부의 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하여 연결판(600)과 덮개판(700)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first stick 100 has a second stick (as shown in FIG. 2), the side of which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stick 200 among the ends interpolat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20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This is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re fitted to each other by forming the area of one end of the first stick 100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ing hole 110 to gradually decrease.

상기 제2 스틱(200)은 연결판(600)과 마주보는 위치에 회전홀(2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홀(210)은 원기둥 형태의 회전축(54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단면적이 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축(540)의 말단에는 제2 스틱(200)에 결합되는 구동기어(54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stick 200 is formed with a rotating hole 210 at a position facing the connecting plate 600. At this time, the rotating hole 210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al area so that the rotating shaft 540 of a cylindrical shape can be fitted. If necessary, a driving gear 544 coupled to the second stick 200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540.

또한, 제2 스틱(200)은 연결판(600)과 덮개판(700) 사이로 내삽되는 일단부 중 제1 스틱(100)과 마주보는 측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틱(100)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스틱(200)이 회전될 수 있는 회전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econd stick 200 has a side facing the first stick 100 of the one end interpolat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tick 100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is to ensure a maximum rotation angle at which the second stick 200 can be rotated.

아울러, 제2 스틱(200)은 연결판(600)과 덮개판(700) 사이로 내삽되는 일단부 중 제1 스틱(100)과 반대 방향에 위치한 측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틱(100)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회전홀(210)의 상부에 위치한 제2 스틱(200)의 일단부의 면적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하여 연결판(600)과 덮개판(700)이 서로 끼움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stick 200 is a first stick (as shown in FIG. 3 ), the side of which is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stick 100 among the ends interpolated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I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100). This is to secure a space in which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cover plate 700 are fitted to each other by forming the area of one end of the second stick 200 located at the top of the rotating hole 210 to gradually decrease.

한편, 상기 제1 음식물부(300)와 제2 음식물부(4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포크에 동일한 구성이 설명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since the same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ood 300 and the second food 400 are omitted.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연결판(600)을 포함한다. 3 to 5,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ng plate 600.

상기 연결판(600)은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2 스틱(200)이 축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onnecting plate 6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tick 200 can be axially rotated, and is gripped by a user's hand. Space.

상기 연결판(600)은 제1 스틱(1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110)에 마주보는 표면에 체결홀(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다각기둥(610)이 구비되며, 제2 스틱(200)이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홀(210)에 마주보는 표면에 회전홀(2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원기둥(620)이 구비된다. 이때, 다각기둥(610)은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late 600 is provided with a polygonal column 610 that can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0 on a surface facing the fastening hole 110 so that the first stick 100 can be fixed. A cylinder 620 that can be fitted to the rotating hole 210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rotating hole 210 so that the two sticks 200 can be axially rotated. At this time, the polygonal column 610 may be formed of a triangular prism, a quadrangular prism, a pentagonal prism, or the like.

상기 연결판(600)은 상기 덮개판(700)과 마주보는 표면의 테두리를 따라 제1 끼움결합판(630)이 형성된다.The connecting plate 600 is formed with a first fitting plate 630 along the edge of the surface facing the cover plate 700.

상기 연결판(600)은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의 일단부에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면 어떤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나, 사용자의 원활한 파지를 위해 전체적으로 타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plate 600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provides a space to be seated at one end of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tructur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덮개판(700)을 포함한다. 3 to 5, the multifunctional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plate 700.

상기 덮개판(700)은 상기 연결판(6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연결판(600)과 함께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cover plate 7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late 600, and provides a space to be gripped by a user's han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late 600.

상기 덮개판(700)은 상기 제1 끼움결합판(63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끼움 결합되는 제2 끼움결합판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끼움결합판은 연결판(600)의 제1 끼움결합판(630)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덮개판(700)이 연결판(6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작용한다.The cover plate 700 is formed on a second fitting coupling plate tha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tting coupling plate 630. The second fitting plate generates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onnecting plate 600 and the first fitting plate 630 so that the cover plate 70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plate 600.

상기 덮개판(700)은 제1 스틱(100) 및 제2 스틱(200)이 안착된 연결판(600)의 상면이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연결판(60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무방하나, 사용자의 원활한 파지를 위해 전체적으로 타원형 또는 사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cover plate 700 can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600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600 on which the first stick 100 and the second stick 200 are seated is not exposed from the outside, in any form Although it may be formed of,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n oval or square structure as a whole for smooth gripping of the us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00.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덮개판(700)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스틱(200)의 타단부가 제1 스틱(1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제2 스틱(200)을 축 회전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덮개판(70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제2 스틱(200)에 결합된다. The driving unit 500 is to rotate the second stick 200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200 is away from the first stick 100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ver plate 700, One e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700, the other end facing the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stick (200).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500)는 상기 덮개판(70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버튼(510)과, 상기 누름버튼(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51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30)과, 케이스(520)와, 회전축(540)과, 축회전링(550)을 포함한다.As a specific aspect, the driving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sh button 510 which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700, and is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push button 510 to the push button 510. It includes a spring 530 providing a restoring force, a case 520, a rotating shaft 540, and an axial rotating ring 550.

상기 케이스(520)는 상기 누름버튼(510)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510)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530)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덮개판(700)과 제2 스틱(200)의 사이에 설치된다.The case 520 guides the movement path of the push button 510 so that the push button 510 can move up and down, and provides space for the spring 530 to be installed, and the cover plate 700 and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sticks 200.

상기 회전축(540)은 상기 케이스(520)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542)이 형성되며, 하단에 구동기어(54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otating shaft 540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case 520, a spiral groove 542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driving gear 544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이러한 회전축(540)은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축 구성이며, 나선홈(542)은 회전축(540)의 외주면에 비틀림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나선홈(542)은 축회전링(550)이 하강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축회전링(550)이 상승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The rotating shaft 540 is a kind of axial configuration that converts linear motion into rotating motion, and the spiral groove 542 is formed in a torsional structur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540. At this time, the spiral groove 542 is formed to rotat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hen the axial rotating ring 550 descends, and to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axial rotating ring 550 rises.

상기 축회전링(550)은 케이스(52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40)을 지지하며, 케이스(5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나선홈(542)을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540)을 회전시키는 이동 돌기(552)가 구비된다.The shaft rotation ring 550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520, supports the rotation shaft 540, and moves the spiral groove 542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se 520 while rotating the rotation shaft ( A moving projection 552 for rotating 540 is provided.

이러한 축회전링(550)은 회전축(540)과 누름버튼(51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축(540)이 그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축(540)을 지지하며, 회전축(540)에 마주보는 표면에 회전축(540)의 나선홈(542)에 내삽된 구형의 이동 돌기(552)가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복수개의 이동 돌기(552)는 축회전링(55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나선홈(542)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회전축(540)을 회전시킨다. The shaft rotation ring 550 is installed between the rotation shaft 540 and the push button 510 to support the rotation shaft 540 so that the rotation shaft 540 can be rotated while maintaining its position, and the rotation shaft 540 A plurality of spherical movement protrusions 552 interpolated into the helical grooves 542 of the rotation shaft 540 ar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moving protrusions 552 rotates the rotating shaft 540 while moving inside the spiral groove 542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haft rotating ring 550.

본 발명의 다기능 포크는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을 누르지 않는 경우 제1 음식물부(300)와 제2 음식물부(400)가 밀착되거나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음식물을 찔러서 들어 올리는 포크의 기본적인 용도로 사용된다.Since the multifunctional fork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close or adjacent state between the first food part 300 and the second food part 400 when the user does not press the push button 510, the basic use of the fork for stabbing and lifting food Is used as

그리고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을 누른 경우 누름버튼(510)은 스프링(530)을 압축시키면서 케이스(520)의 저면을 향하여 하강하고, 상기 누름버튼(510)의 내부에 설치된 축회전링(550)이 누름버튼(510)을 따라 하강하면서 회전축(5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축(5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540)의 하단에 구비된 구동기어(544)가 제2 스틱(20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 스틱(200)의 이동에 따라 제2 음식물부(400)도 도 5와 같이 제1 음식물부(30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510, the push button 510 descends toward the bottom of the case 520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530, and the shaft rotating ring 550 installed inside the push button 510 ) While rotating along the push button 510, rotate the rotating shaft 540 counterclockwi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ng shaft 54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driving gear 544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shaft 540 rotates the second stick 200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s the movement, the second food portion 400 moves away from the first food portion 300 as shown in FIG. 5.

또한, 사용자가 누름버튼(510)에 가하는 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530)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510)은 초기 위치로 회동하도록 상승하고, 상기 누름버튼(510)의 내부에 설치된 축회전링(550)이 누름버튼(510)을 따라 상승하면서 회전축(54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회전축(5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540)의 하단에 구비된 구동기어(544)가 제2 스틱(20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제2 스틱(200)의 이동에 따라 제2 음식물부(400)도 제1 음식물부(300)와 밀착되도록 이동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ush button 510, the push button 510 rises to rotate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530, and the shaft rotation ring installed inside the push button 510 As the 550 rises along the push button 510, the rotating shaft 540 is rotated clockwis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on shaft 5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riving gear 544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on shaft 540 rotates the second stick 200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moves the second stick 200. Accordingly, the second food part 400 also move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food part 30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포크는 면발을 집어서 들어올리기 위해 손가락을 움직이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파지한 상태에서 누름버튼(510)에 압력을 제공했다가 압력을 해제하는 것만으로도 집게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function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essure to the push button 510 in the gripped state even when the finger is not moved to lift the cotton feet and lift the tongs by simply releasing the pressure. You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its featur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0 : 제1 스틱 110 : 체결홀
120 : 회전지지축 200 : 제2 스틱
210 : 회전홀 300 : 제1 음식물부
310 : 제1 포크 살 400 : 제2 음식물부
410 : 제2 포크 살 500 : 구동부
510 : 누름버튼 512 : 밀착봉
520 : 케이스 530 : 스프링
540 : 회전축 542 : 나선홈
544 : 구동기어 550 : 축회전링
552 : 이동 돌기 600 : 연결판
610 : 다각기둥 620 : 원기둥
630 : 제1 끼움결합판 700 : 덮개판

100: first stick 110: fastening hole
120: rotating support shaft 200: second stick
210: rotating hole 300: first food and drink department
310: first fork flesh 400: second food and drink department
410: second fork flesh 500: driving unit
510: push button 512: stick
520: Case 530: Spring
540: rotating shaft 542: spiral groove
544: Drive gear 550: Shaft rotating ring
552: moving projection 600: connecting plate
610: polygonal column 620: cylindrical
630: first fitting plate 700: cover plate

Claims (7)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스틱;
상기 제1 스틱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스틱;
상기 제1 스틱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음식물을 찍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포크 살이 형성된 제1 음식물부; 및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음식물부의 복수개의 살과 겹쳐질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포크 살이 형성된 제2 음식물부를 포함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A first stick providing a handle space that a user can grip;
A second stick coupled such that one end is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A first food portion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first stick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ork flesh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food; And
A multifunctional fork having a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and includes a second food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fork flesh that can overlap with a plurality of flesh portions of the first food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틱에 결합되는 손가락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According to claim 1,
Multifunctional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ger hanger coupled to the second stick.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은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틱이 제1 스틱을 중심으로 축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에 내삽된 제2 스틱의 일단부를 끼움홈에 축 결합시키는 회전지지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ick
A fitting groove is formed inside, and a rotating support shaft is provided to axially engage one end of the second stick interpolated into the fitting groove so that the second stick is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Multifunctional fork with tongs for spaghetti.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틱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축 회전하는 제2 스틱의 타단부가 외력의 작용이 해소됨에 따라 초기 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홈에 설치되어 제2 스틱의 일단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According to claim 3,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that is axially rotated away from the first stick is installed in the fitting groove so as to rotate to the initial position as the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is resolved. Multifunctional fork with tongs for spaghetti, further comprising.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을 커버하도록 제1 스틱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단이 상기 제2 스틱의 상면에 안착되는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고, 상기 끼움홈에 설치되며, 끼움홈으로 투입된 제2 스틱의 일단부가 내삽될 수 있도록 전면에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제2 스틱의 일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누름버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According to claim 4,
A push button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ick to cover the fitting groove and having a lower end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ick;
A case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at the front side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push button so that the push button can move up and down, and installed in the fitting groove,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stick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can be interpolated; And
Multi-function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case and one end of the second stick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push button.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공간을 제공하는 제1 스틱;
상기 제1 스틱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축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스틱;
상기 제1,2 스틱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제2 스틱이 축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에 결합되는 덮개판;
상기 제1 스틱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음식물을 찍을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포크 살이 형성된 제1 음식물부;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음식물부의 복수개의 살과 겹쳐질 수 있는 복수개의 제2 포크 살이 형성된 제2 음식물부;
상기 덮개판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2 스틱의 타단부가 제1 스틱의 타단부로부터 멀어지게 제2 스틱을 축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단부가 상기 덮개판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단부에 대향되는 하단부가 상기 제2 스틱에 결합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A first stick providing a handle space that a user can grip;
A second stick coupled such that one end is axially rotated around the first stick;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ticks to provide a space for the second stick to be axially rotated;
A cover plate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A first food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stick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ork flesh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food;
A second food portion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tick and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fork meats that can overlap with a plurality of meats of the first food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over plate, the upper end portion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so th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second stick can rotate the second stick away from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irst stick. A multi-functional fork with a forceps function for spaghetti, which includes a driv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stick at a lower en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덮개판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덮개판에 설치되는 누름버튼;
상기 누름버튼의 하부에 설치되어 누름버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누름버튼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누름버튼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고, 상기 스프링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덮개판과 제2 스틱 사이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외주면을 따라 나선홈이 형성되며, 하단이 제2 스틱에 고정된 회전축;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며, 케이스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나선홈을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이동 돌기가 구비된 축회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iving unit
A push button installed on the cover plate to be ex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plate;
A spring installed under the push button to provide restoring force to the push button;
A case install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second stick to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push button so that the push button can move up and down,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pring is installed;
It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case, a spiral groove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fixed to the second stick; And
It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and supports the rotating shaft, and includes a shaft rotating ring having a moving project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while moving the spiral groove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se. Multifunctional fork with teeth.
KR1020190001809A 2019-01-07 2019-01-07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KR102193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09A KR102193288B1 (en) 2019-01-07 2019-01-07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809A KR102193288B1 (en) 2019-01-07 2019-01-07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551A true KR20200085551A (en) 2020-07-15
KR102193288B1 KR102193288B1 (en) 2020-12-22

Family

ID=7160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809A KR102193288B1 (en) 2019-01-07 2019-01-07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2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1728U1 (en) * 2021-12-28 2022-06-21 Дмитрий Борисович Бронский Combination cutlery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102Y1 (en)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Tweezers Type Chopsticks
KR200387900Y1 (en) * 2005-02-01 2005-06-27 정수영 The One Body Of Fork And Spoon Or Fork
JP3163608U (en) * 2010-08-10 2010-10-21 洋豐股▲ふん▼有限公司 Manual juicer
KR20110002910U (en) * 2009-09-16 2011-03-23 김도균 Chopsticks
KR20110129563A (en) 2010-05-26 2011-12-02 허승환 Alternatively usable spoon-fork
KR20120009337A (en) 2010-07-23 2012-02-01 장복성 Fork Transferred to Nippers
KR101351443B1 (en) 2012-07-25 2014-01-17 엄소연 Pincers type trident chopstick
KR20170125685A (en) 2016-05-04 2017-11-15 은 호 박 fork clamp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608B2 (en) * 1993-04-23 2001-05-08 株式会社ニッショー Blood separ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102Y1 (en)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Tweezers Type Chopsticks
KR200387900Y1 (en) * 2005-02-01 2005-06-27 정수영 The One Body Of Fork And Spoon Or Fork
KR20110002910U (en) * 2009-09-16 2011-03-23 김도균 Chopsticks
KR20110129563A (en) 2010-05-26 2011-12-02 허승환 Alternatively usable spoon-fork
KR20120009337A (en) 2010-07-23 2012-02-01 장복성 Fork Transferred to Nippers
JP3163608U (en) * 2010-08-10 2010-10-21 洋豐股▲ふん▼有限公司 Manual juicer
KR101351443B1 (en) 2012-07-25 2014-01-17 엄소연 Pincers type trident chopstick
KR20170125685A (en) 2016-05-04 2017-11-15 은 호 박 fork clamp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1728U1 (en) * 2021-12-28 2022-06-21 Дмитрий Борисович Бронский Combination cutlery
RU217932U1 (en) * 2023-02-16 2023-04-25 Дмитрий Борисович Бронский Combination cutl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3288B1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3640A (en) Tweezer fork
JP6723620B1 (en) kitchenware
USD981802S1 (en) Cutlery set
EP1123028A1 (en) Candystraw
KR102193288B1 (en) Multi-function fork with tongs function for spaghetti
JP2007301312A (en) Chopsticks with function of spoon
USD939288S1 (en) Cutlery set
USD915835S1 (en) Cutlery set
KR102181150B1 (en) Multi-function chopsticks having winding module for pasta noodles
KR102193287B1 (en) Multi-function spoon with tongs function for noodle
US5119563A (en) Spaghetti fork
KR101876760B1 (en) Ladle assembly
JPH09252910A (en) Fork-shaped chopsticks
GB2350778A (en) Dual purpose disposable cutlery
JP4676023B1 (en) Noodle chopsticks
US5699618A (en) Pasta tools
US10098507B1 (en) Spatula fork
KR100647478B1 (en) Skewer For Food
JP4824872B2 (en) Western tableware
USD915834S1 (en) Cutlery set
US20180125304A1 (en) Spatula fork
CN210989536U (en) Multifunctional tableware
JP4031212B2 (en) Noodle fork
JP3186648U (en) kitchenware
KR970005292Y1 (en) Chopsticks and spo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