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294A - 베이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베이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294A
KR20200085294A KR1020207015885A KR20207015885A KR20200085294A KR 20200085294 A KR20200085294 A KR 20200085294A KR 1020207015885 A KR1020207015885 A KR 1020207015885A KR 20207015885 A KR20207015885 A KR 20207015885A KR 20200085294 A KR20200085294 A KR 2020008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witch cabinet
bay
connector
ba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282B1 (ko
Inventor
볼프강 로이테르
티모 쉰들러
미햐엘 호프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20008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8Mounting of cabinet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 커넥터(1)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100)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캐비닛 랙(100) 각각은 프로파일 웹(101)을 가지며, 프로파일 웹은 제1 공통 평면에 놓이고 스위치 캐비닛 랙(100)이 인접하게 배치되게 하며, 스위치 캐비닛 랙(100)은, 제2 공통 평면에 배치되고 상호 연결된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내부 공간 각각과 대면하는 장착 측면(102)을 각각 가지며, 제1 및 제2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베이 커넥터(1)는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 완전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이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
본 발명은 베이 커넥터(baying connector)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캐비닛 랙은 프로파일 웹을 각각 가지며, 프로파일 웹은 제1 공통 평면에 놓이고 스위치 캐비닛 랙은 프로파일 웹에 의해 서로 맞닿는다. 스위치 캐비닛 랙은, 제2 공통 평면에 놓이고 상호 연결된 스위치 캐비닛 랙의 내부 공간과 각각 대면하는 장착 측면을 각각 가지며, 제1 및 제2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는 DE 10 2014 101 401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는, 베이 커넥터가 베이 스위치 캐비닛 랙의 밀봉 영역 외부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외부로부터 접근 가능하여 방해 행위에 대해 보호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스위치 캐비닛 랙의 내부로부터 장착된 베이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지만, 이 베이 커넥터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의 설치 클리어런스로 연장되어 스위치 캐비닛 랙 내부의 소중한 설치 공간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방해 행위가 방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간 절약되는 방식으로 전술한 종류의 장치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각각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베이 커넥터는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 완전히 배치된다는 점이 제공된다. 이는 베이 커넥터가 스위치 캐비닛 랙의 내부와 대면하고, 스위치 캐비닛 랙의 장착 측면의 제2 공통 평면에 놓이는 스위치 캐비닛 랙의 최후방 장착 평면의 후방에 다른 방식으로 여전히 배치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스위치 캐비닛 랙 내부의 설치 공간을 제한하지 않는다.
베이 커넥터는 대향하는 접촉 측면을 갖는 본체를 가질 수 있고, 접촉 측면에 의해 베이 커넥터는,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서 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추가 프로파일 측면에 각각 안착된다. 특히, 추가 프로파일 측면이 장착 측면을 프로파일 웹과 연결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장착 측면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으로부터 90°벤딩된 에지를 통해 벤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파일 웹은 90°벤딩된 에지를 통해 다른 프로파일 측면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특히, 장착 측면 및 프로파일 웹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프로파일 웹과 장착 측면은 프로파일 웹 및 장착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추가 프로파일 측면의 치수에 의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프로파일의 다른 측면은 규칙적으로 이격된 체결 구멍으로 구성된 시스템 천공부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스위치 캐비닛 랙은 원주 방향의 동일한 프로파일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스위치 캐비닛 랙은 DE 10 2015 121 192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가 접촉 측면들 사이에서 그리고 접촉 측면들을 통해 베이 커넥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스크류 볼트의 정확한 안내를 달성하기 위해, 스크류 채널이 접촉 측면들 사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즉 중단 없이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베이 커넥터는 또한 접촉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접촉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터링 핀을 가질 수 있다. 센터링 핀은, 특히 그 외주에, 스위치 캐비닛 랙의 추가 프로파일 측면을 통한 개구 또는 체결 구멍의 윤곽에 대응하는 윤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센터링 핀은 개구 또는 체결 구멍에 형태 끼워맞춤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센터링 핀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의 추가 개구에 대한 베이 커넥터의 스크류 통로의 정해진 정렬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와 관련하여 위치 설정될 수 있어, 스크류 통로가 스크류 볼트의 삽입을 위한 개구와 정렬된다.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는 접촉 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가 프로파일 측면 중 하나의 체결 구멍을 통해 연장되고, 베이 커넥터를 추가 프로파일 측면에 고정, 특히 래칭시킬 수 있다. 체결 구멍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의 시스템 천공부의 일부일 수 있다. 시스템 천공부는 고정 그리드 치수를 갖는 직선을 따라 연장되는 체결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래칭 돌출부는 접촉 측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래칭 돌출부는 그리드 치수의 정수배에 대응하는 서로로부터의 거리를 갖는다. 적절한 시스템 천공부가 DE 10 2015 121 192 A1호에 설명되어 있다.
래칭 돌출부는, 접촉 측면 중 하나로부터 접촉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래칭 돌출부의 후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활주 표면을 갖고, 활주 표면은 래칭 돌출부가 연장되는 체결 구멍의 에지에 대해 형태-끼워맞춤식으로 지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는 접촉 측면들 사이에서 접촉 측면들을 통해 베이 커넥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와 정렬되고 래칭 돌출부를 통해 계속된다.
스크류 볼트는, 추가 프로파일 측면에 평행하고 추가 프로파일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캐비닛 랙의 외부 프로파일 측면으로부터 스위치 캐비닛 랙의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을 통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 캐비닛 랙은 DE 10 2015 121 192 A1호로부터 공지된 기하형상을 다시 가질 수 있다.
스크류 볼트는 외부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으로 들어가고, 추가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에서 빠져나와 베이 커넥터의 2개의 대향하는 접촉 측면 중 하나를 통해 베이 커넥터에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크류 볼트는 적어도 스크류 볼트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 섹션에 외부 나사부를 가지며, 스크류 볼트는 내부 나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에 나사 결합된다.
스크류 볼트는 그 스크류 볼트 헤드로 외부 프로파일 측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베이 커넥터는 장착 측면의 제2 공통 평면에 놓이거나 제2 공통 평면을 통해 연장되는 등거리 이격 체결 구멍의 구멍 열을 갖는 장착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체결 구멍은 스위치 캐비닛 랙의 시스템 천공부의 그리드 치수에 대응하는, 서로에 대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베이 커넥터의 체결 구멍은 선형 열의 구멍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시스템 천공부의 체결 구멍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 커넥터의 체결 구멍과 시스템 천공부의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체결 구멍은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베이 커넥터의 각각의 체결 구멍과 시스템 천공부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 사이의 거리는 그리드 치수의 정수배이다.
프로파일 웹은 밀봉 간극의 형성 하에서 서로 맞닿을 수 있고 자유 단부를 향해 넓어지는 동일한 밀봉 웹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시-온 시일은 밀봉 웹 중 하나로 푸시되고, 푸시-온 시일은 밀봉 간극을 유체 밀폐하게 밀봉한다.
베이 커넥터의 접촉 측면은 프로파일 웹의 길이의 합보다 약간 큰 간격을 가질 수 있고, 푸시-온 시일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이 베이 커넥터의 대향하는 접촉 측면과 맞닿을 때 정해진 압축을 갖는다.
랙을 서로 고정할 때, 센터링 핀은, 예를 들어 랙의 제1 수직 프로파일 상에 서로 연결될 2개의 랙 중 제1 랙에 베이 커넥터를 위치 설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외부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삽입되고 샤프트 스크류로서 형성된 2개의 나사 볼트가 베이 커넥터의 스크류 통로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 커넥터는 2개의 랙 중 제1 랙에 고정된다
이어서, 2개의 랙 중 제2 랙은 베이 커넥터의 2개의 래칭 돌출부를 각각 체결 구멍 내로 밀어서 제1 랙과 정렬될 수 있다.
래칭 돌출부가 스크류 통로를 연장시킬 때, 래칭 돌출부는 제2 랙의 외부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삽입되는 추가 스크류 볼트를 위한 삽입 보조 기능을 갖는다. 래칭 돌출부는 이 목적을 위해 치수 만큼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치수는 스크류 볼트의 충분한 안내가 제2 랙을 베이 커넥터에 용이하게 체결시키기 위해 보장되는 방식으로 외부 프로파일 측면과 추가 프로파일 측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센터링 핀은 이 센터링 핀이 연장되는 접촉 측면에 수직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접촉 측면은, 랙이 베이 상황에서 서로 가까이 있을 때 베이 커넥터가 또한 개장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되고,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베이 커넥터는 스크류 볼트를 통해 사전 조립되지만, 이들 볼트는 아직 조여지지 않아서 밀봉 요소는 아직 압축되지 않고 이에 따라 서로 대면하는 추가 프로파일 측면 사이에 베이 커넥터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
이는 단지 1차원으로 체결 구멍에 형태 끼워맞춤식으로 수용되는 래칭 돌출부에 의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체결 구멍에 평행한 치수에서, 래칭 돌출부는 체결 구멍보다 작을 수 있으므로, 래칭 돌출부는 체결 구멍의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회전 운동을 통해 체결 구멍 내로 회전될 수 있다.
볼트 헤드에 인접하여, 체결 볼트의 샤프트는 체결 볼트가 랙에 삽입되는 외부 프로파일 측면에서 체결 구멍의 대향 측면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넓어진 샤프트 섹션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으로 연장되지 않고, 외부 프로파일 측면에서 직사각형 구멍일 수 있는 체결 구멍 내에 체결 볼트의 용이한 위치 설정을 위한 지지부로서만 기능한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 사항은 다음의 도면과 함께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베이 커넥터의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100)은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내부와 대면하는 측면에서, 즉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설치 공간을 향해 베이 커넥터(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스위치 캐비닛 랙(100)은 제1 공통 평면에 배치되는 대향 프로파일 웹(101)을 통해 서로 맞닿는다. 프로파일 웹(101)은, 제1 공통 평면이 장치의 밀봉 평면을 형성하도록, 그들 사이에 배치된 밀봉 요소(8)를 갖는 밀봉 웹으로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베이 커넥터(1)는 외부 환경 영향 및 밀봉 평면을 통한 접근으로부터 보호된다.
베이 커넥터(1)는 특히 전술한 밀봉 평면과 스위치 캐비닛 랙의 장착 측면(102)의 제2 공통 평면 사이에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치된다. 장착 측면(102)에 의해 정의되는 제2 공통 평면은, 정확하게는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최후방 장착 평면이다. 베이 커넥터(1)는 제2 공통 평면에 의해 형성된 장착 평면 후방에 완전히 위치되거나 그 전방 측면이 각각 제2 공통 평면에 정확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베이 커넥터(1)는 공간 절약 방식으로 배치되고, 특히 베이 커넥터(1)와 중첩되는 구성요소가 베이 커넥터(1)와 충돌하는 일 없이 또한 중첩될 수 있다.
스위치 캐비닛 랙(100)은 DE 10 2015 121 192 A1호로부터 공지된 스위치 캐비닛 랙에 따라 형성된다. 상호 연결된 스위치 캐비닛 랙(100) 각각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을 가지며, 추가 프로파일 측면은 각각의 장착 측면(102)을 90° 벤딩된 에지를 통해 각각의 프로파일 웹(101)과 연결시킨다.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의 반대쪽에서,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은 장착 측면(102)으로부터의 추가 90° 벤딩된 에지를 통해 장착 측면(102)으로부터 벤딩된다.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을 통해, 스크류 볼트(200)는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106)을 통해 볼트(200)가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을 통해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106)을 떠나는 곳까지 통과되고, 자유 단부가 베이 커넥터(1)의 스크류 통로(4) 중 하나로 들어간다. 스크류 통로(4)는 내부 나사부를 가지므로, 스위치 캐비닛 랙(100)과 베이 커넥터(1) 사이에 힘-끼워맞춤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온 시일(108)의 정해진 압축은 스크류 연결에 의해 달성되므로, 베이 커넥터(1)의 길이, 즉 베이 커넥터(1)의 접촉 측면(3) 사이의 거리는, 베이 커넥터(1)가 대향하는 접촉 측면(3)을 통해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에 대해 안착될 때 정해진 밀봉 간극(107)이 밀봉 웹(103)의 자유 단부들 사이에 형성되도록 치수 설정된다.
베이 커넥터(1)는 또한 그리드 치수로 이격된 원형 체결 구멍(9)의 시스템 천공부를 갖는 장착 평면(E)을 갖는다. 베이 커넥터(1)의 체결 구멍(9)은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동일한 직선 상에 놓이고 그리드 치수의 정수배에 대응하는,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장착 측면(102)의 추가의 동일한 체결 구멍(104)까지의 거리를 갖는다. 편의상, 베이 커넥터(1)의 체결 구멍(9)의 그리드 치수는 정확하게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체결 구멍(104)의 그리드 치수에 대응하는 값을 가지므로,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그리드 치수가 또한 베이 커넥터(1)의 장착 평면(E)을 가로질러 이에 따라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 랙(100)을 가로질러 유지된다. 이는 체결 수단이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시스템 천공부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설치 구성요소가 또한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 랙(100)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스위치 캐비닛 라이트는 장치의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 랙(10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스위치 캐비닛 랙(100) 중 제1 스위치 캐비닛 랙에서 그 대향 단부들 중 제1 단부와 그리고 제1 스위치 캐비닛 랙(100)에 인접한 제2 스위치 캐비닛 랙(100)에서 대향 단부들 중 제2 단부와 체결되고 베이 커넥터(1)에 의해 고정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 커넥터(1)는 본질적으로 대향하는 접촉 측면(3)을 갖는 본체(2)로 구성된다. 스크류 통로(4)는 접촉 측면(3) 사이의 전체 거리에 걸쳐 접촉 측면(3)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접촉 측면(3) 사이의 스크류 볼트(200)(도 1 참조)의 지속적인 안내가 보장된다. 래칭 돌출부(6)는 접촉 측면(3)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크류 통로(4)와 정렬되어, 스크류 통로(4)는 래칭 돌출부(6)를 통해 계속된다. 각각의 접촉 측면(3)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향 측면에서, 래칭 돌출부(6)는 활주 표면(7) 및 이 활주 표면에 대향하는 후크(8)를 갖는다. 후크(8)는 베이 커넥터(1)의 장착된 상태에서 에지 영역에서 체결 구멍(104)(도 1 참조) 후방에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베이 커넥터(1)의 장착을 단순화시킨다.
래칭 돌출부(6)와 접촉 측면(3)에 대향하여 배치된 추가 접촉 측면(3)에는, 추가 접촉 측면(3)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도 1 참조)의 체결 구멍(104)의 내부 윤곽에 대응하는 윤곽을 그 외주에 갖는 센터링 핀(5)이 형성된다. 센터링 핀(5)은 특히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에서 추가 체결 구멍(104)과 관련하여 스크류 통로(4)를 사전 정렬하기 위해 사용된다.
랙(100)을 서로 고정할 때, 센터링 핀(5)은, 예를 들어 랙(100)의 제1 수직 프로파일 상에 서로 연결될 2개의 랙(100) 중 제1 랙에 베이 커넥터(1)를 위치 설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을 통해 삽입되고 샤프트 스크류로서 형성된 2개의 나사 볼트(200)가 베이 커넥터(1)의 스크류 통로(4)에 나사 결합될 수 있어, 베이 커넥터(1)는 2개의 랙(100) 중 제1 랙에 고정된다.
이어서, 2개의 랙(100) 중 제2 랙은 베이 커넥터(1)의 2개의 래칭 돌출부(6)를 각각 체결 구멍(104) 내로 밀어서 제1 랙(100)과 정렬될 수 있다. 래칭 돌출부(6)는 스크류 통로(4)를 연장시키므로, 제2 랙(100)의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을 통해 삽입되는 추가 스크류 볼트를 위한 삽입 보조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래칭 돌출부는 치수 만큼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으로 연장되고, 이 치수는 스크류 볼트의 충분한 안내가 제2 랙(100)을 베이 커넥터(1)에 용이하게 체결시키기 위해 보장되는 방식으로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과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절된다.
센터링 핀(5)은 이 센터링 핀이 연장되는 접촉 측면(3)에 수직인 길이를 가지며, 접촉 측면은, 랙(100)이 베이 상황에서 서로 가까이 있을 때 베이 커넥터(1)가 또한 개장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되고, 존재할 수 있는 다른 베이 커넥터(1)는 볼트(200)를 통해 사전 조립되지만, 이들 볼트는 아직 조여지지 않아서 밀봉 요소(108)는 아직 압축되지 않고 이에 따라 서로 대면하는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 사이에 베이 커넥터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 이는 단지 1차원으로 체결 구멍(104)에 형태 끼워맞춤식으로 수용되는 래칭 돌출부(6)에 의해 더욱 용이해진다. 체결 구멍(104)에 평행한 치수에서, 래칭 돌출부(6)는 체결 구멍(104)보다 작으므로, 래칭 돌출부(6)는 체결 구멍(104)의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회전 운동을 통해 체결 구멍(104) 내로 회전될 수 있다.
볼트 헤드에 인접하여, 체결 볼트(200)의 샤프트는 체결 볼트(200)가 랙에 삽입되는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에서 체결 구멍(104)의 대향 측면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 넓어진 샤프트 섹션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으로 연장되지 않고, 체결 볼트(200)의 보다 용이한 위치설정을 위해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의 직사각형 구멍에서 지지부로서만 기능한다.
위의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을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
1 베이 커넥터
2 본체
3 접촉 측면
4 스크류 통로
5 센터링 핀
6 래칭 돌출부
7 활주 표면
8 후크
9 체결 구멍
100 스위치 캐비닛 랙
101 프로파일 웹/밀봉 웹
102 장착 측면
103 추가 프로파일 측면
104 체결 구멍
105 외부 프로파일 측면
106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
107 밀봉 간극
108 푸시-온 시일
200 스크류 볼트
E 장착 평면

Claims (16)

  1. 베이 커넥터(1)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100)을 포함하는 장치이며, 스위치 캐비닛 랙(100) 각각은 프로파일 웹(101)을 가지며, 프로파일 웹은 제1 공통 평면에 놓이고 스위치 캐비닛 랙(100)은 프로파일 웹에 의해 서로 맞닿고, 스위치 캐비닛 랙(100) 각각은, 제2 공통 평면에 놓이고 상호 연결된 스위치 캐비닛 랙(100) 각각의 내부 공간과 대면하는 장착 측면(102)을 가지며, 제1 및 제2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 커넥터(1)가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 완전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 커넥터(1)는 대향하는 접촉 측면(3)을 갖는 본체(2)를 가지며, 베이 커넥터(1)는 접촉 측면(3)에 의해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 각각에 대해 안착되고, 추가 프로파일 측면은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에서 이들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4)가 접촉 측면(3)들 사이에서 그리고 접촉 측면(3)들을 통해 베이 커넥터(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센터링 핀(5)이 접촉 측면(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접촉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6)가 접촉 측면(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 중 하나의 체결 구멍(104)을 통해 연장되고 베이 커넥터(1)를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에 래칭시키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돌출부(6)는 활주 표면(7)을 갖고, 활주 표면은 접촉 측면(3) 중 하나로부터 접촉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래칭 돌출부(6)의 후크(8)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활주 표면(7)은 래칭 돌출부(6)가 이를 통해 연장되는 체결 구멍(104)의 에지에 대해 형태-끼워맞춤식으로 지지되는,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4)는 접촉 측면(3)들 사이에서 접촉 측면(3)들을 통해 베이 커넥터(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4)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돌출부(6)와 정렬되고 래칭 돌출부(6)를 통해 계속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 볼트(200)는,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에 평행하고 추가 프로파일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으로부터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106)을 통과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스크류 볼트(200)는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을 통해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106)으로 들어가고,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을 통해 폐쇄된 프로파일 섹션(105)에서 빠져나와 베이 커넥터(1)의 2개의 대향하는 접촉 측면(3) 중 하나를 통해 베이 커넥터(1)에 들어가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스크류 볼트(200)는 적어도 스크류 볼트 헤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단부 섹션에 외부 나사부를 가지며, 스크류 볼트는 내부 나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통로(4)에 나사 결합되는,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 볼트(200)는 그 스크류 볼트 헤드로 외부 프로파일 측면(105)에 대해 지지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 커넥터(1)는 장착 측면(109)의 제2 공통 평면에 놓인 등거리 이격 체결 구멍(9)의 구멍 열을 갖는 장착 평면(E)을 갖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체결 구멍(9)은 스위치 캐비닛 랙(100)의 시스템 천공부의 그리드 치수에 대응하는, 서로에 대한 거리를 갖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베이 커넥터(1)의 체결 구멍(9)은 선형 열의 구멍을 따라 배치되고 시스템 천공부의 체결 구멍(104)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베이 커넥터(1)의 체결 구멍(9)과 시스템 천공부의 적어도 하나의 동일한 체결 구멍(104)은 직선을 따라 배치되고, 베이 커넥터(1)의 각각의 체결 구멍(9)과 시스템 천공부의 적어도 하나의 체결 구멍(104) 사이의 거리는 그리드 치수의 정수배인,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웹(101)은 밀봉 간극(107)의 형성 하에서 서로 맞닿고 자유 단부를 향해 넓어지는 동일한 밀봉 웹으로서 형성되며, 푸시-온 시일(108)은 밀봉 웹 중 하나로 푸시되고, 푸시-온 시일은 밀봉 간극을 유체 밀폐하게 밀봉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베이 커넥터(1)의 접촉 측면(3)은 프로파일 웹(101)의 길이의 합보다 약간 큰 간격을 가지며, 푸시-온 시일(108)은 추가 프로파일 측면(103)이 베이 커넥터(1)의 대향하는 접촉 측면(3)과 맞닿을 때 정해진 압축을 갖는, 장치.
KR1020207015885A 2018-02-05 2018-12-17 베이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 KR102448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0613.4 2018-02-05
DE202018100613.4U DE202018100613U1 (de) 2018-02-05 2018-02-05 Anordnung mit zwei über einen Anreihverbinder miteinander verbundenen Schaltschrankrahmengestellen
PCT/DE2018/101026 WO2019149300A1 (de) 2018-02-05 2018-12-17 Anordnung mit zwei über einen anreihverbinder miteinander verbundenen schaltschrankrahmengestel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294A true KR20200085294A (ko) 2020-07-14
KR102448282B1 KR102448282B1 (ko) 2022-09-29

Family

ID=6130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85A KR102448282B1 (ko) 2018-02-05 2018-12-17 베이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462890B2 (ko)
EP (1) EP3659222B1 (ko)
JP (1) JP6957757B2 (ko)
KR (1) KR102448282B1 (ko)
CN (1) CN111742456B (ko)
BR (1) BR112020004018A2 (ko)
CA (1) CA3078854C (ko)
DE (1) DE202018100613U1 (ko)
ES (1) ES2837527T3 (ko)
HU (1) HUE053141T2 (ko)
MX (1) MX2020002748A (ko)
PL (1) PL3659222T3 (ko)
RU (1) RU2751170C1 (ko)
UA (1) UA125129C2 (ko)
WO (1) WO201914930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7507A (ja) * 1997-08-14 1999-05-11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並置可能な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を結合するための装置
KR20000057146A (ko) * 1996-11-19 2000-09-15 뮬러 노베르트 스위칭 캐비닛
EP1601074A1 (fr) * 2004-05-28 2005-11-30 Hispano Mecano Electrica S.A. Armoire électrique à profilés d'ossature
KR20160117474A (ko) * 2014-02-05 2016-10-10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모듈식 스위치기어 캐비닛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02710C2 (de) * 1978-01-23 1986-05-1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Aus mehreren Gestellen bestehende Gestellanordnung
DE8335383U1 (de) 1983-12-09 1984-04-05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6348 Herborn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DE8501810U1 (de) * 1985-01-24 1985-04-25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6348 Herborn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anreihbaren Schaltschränken
DE8703695U1 (ko) * 1987-03-12 1987-12-17 Fischbach Gmbh & Co Kg Verwaltungsgesellschaft, 5908 Neunkirchen, De
US5039177A (en) * 1990-07-02 1991-08-13 Haworth, Inc. Cabinet with panel-attachment corner detail
JPH06339204A (ja) * 1993-05-25 1994-12-06 Fuji Electric Co Ltd 配電盤の設置間隔調整装置
FR2708391B1 (fr) * 1993-07-27 1995-08-25 Gec Alsthom Equip Basse Tens Profilé de construction pour chassis d'armoire électrique.
DE9406307U1 (de) * 1994-04-18 1994-06-09 Hensel Kg Gustav Niederspannungs-Schaltanlage
DE19536926C2 (de) * 1995-10-04 1999-02-04 Loh Kg Rittal Werk Rahmenschenkel für einen Schaltschrank
FR2756111B1 (fr) * 1996-11-21 1998-12-24 Schneider Electric Sa Ensemble d'enveloppes destine a loger des appareillages electriques
DE29723544U1 (de) * 1997-01-09 1999-01-07 Loh Kg Rittal Werk Anreihverbindung für Schaltschränke
EP0874434A3 (de) * 1997-04-24 1999-02-17 WISAR, Wyser + Anliker AG Einrichtung zum gegeneinander Verspannen von Rahmenprofilen
DE19737667C1 (de) * 1997-08-29 1999-06-02 Loh Kg Rittal Werk Reihe von aneinandergereihten Schaltschränken
DE19801185C1 (de) * 1998-01-15 1999-08-12 Loh Kg Rittal Werk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anreihbaren Schaltschränken
DE19801720C1 (de) 1998-01-19 1999-07-15 Loh Kg Rittal Werk Verbindungselement
DE19814268C1 (de) 1998-03-31 1999-11-25 Loh Kg Rittal Werk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Anbauelementen an einem Rahmenschenkel eines Schaltschrank-Rahmengestelles
US20010050516A1 (en) * 2000-03-09 2001-12-13 Nitto Electric Works, Ltd Frame construction of a cabinet or cabinets for containing electronic and electric equipments
DE10113924C1 (de) * 2001-03-21 2002-07-18 Rittal Rcs Comm Systems Gmbh & Co Kg Beschlagteile zum Befestigen an Rahmenschenkeln eines Schaltschrank-Rahmengestelles
DE10116896C1 (de) * 2001-04-04 2002-08-29 Felten & Guilleaume Ag Kupplung für elektrische Schaltanlagen
DE10157979C1 (de) * 2001-11-27 2003-04-24 Rittal Gmbh & Co Kg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zwei Schaltschränken, die mit ihren Rückseiten aneinandergereiht sind
DE10328403A1 (de) * 2003-06-25 2005-01-13 Abb Patent Gmbh Befestigungsbock
DE102006015316A1 (de) * 2006-03-30 2007-10-04 Siemens Ag Schaltschranktrennwand
FR2919763B1 (fr) * 2007-08-01 2009-10-30 Legrand France Dispositif pour relier deux armoires pour appareils electriques
DE102010044761A1 (de) * 2010-09-08 2012-03-08 Abb Ag Elektrischer Schaltschrank
DE102014101404B4 (de) 2014-02-05 2017-11-16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 oder Verteilerschrank
DE102014101405A1 (de) 2014-02-05 2015-08-06 Rittal Gmbh & Co. Kg Bodenbaugruppe für das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s
DE102014102464B4 (de) 2014-02-25 2018-12-13 Rittal Gmbh & Co. Kg Eckverbinder zum Verbinden mindestens zweier senkrecht zueinander angeordneter Rahmenprofile eines Rahmengestells
EP3070796B1 (en) * 2015-03-17 2017-11-08 ABB S.p.A. Joining-element for mechanically joining switchgear frames
DE102015120255A1 (de) * 2015-11-23 2017-05-24 Abb Ag Schrankanordnung und Schrankverbindungssystem
DE102015121192B4 (de) 2015-12-04 2019-09-19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ES2891538T3 (es) 2016-06-27 2022-01-28 Rittal Gmbh & Co Kg Un soporte de parte plana para sujetar una parte plana al bastidor de un armario eléctrico y el armario eléctrico correspondiente
DE102016117393A1 (de) 2016-09-15 2018-03-15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und einer Innenausbaukomponente und eine entsprechende Schaltschrankanordnung sowie eine entsprechende Innenausbaukomponente
DE102016123230B3 (de) 2016-12-01 2017-11-16 Rittal Gmbh & Co. Kg Scharnieranordnung für ein Schaltschrankgehäuse und ein entsprechendes Schaltschrankgehäuse
DE102016124078B3 (de) 2016-12-12 2018-05-09 Rittal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für die Verbindung von zwei Schaltschrankrahmengestellen
DE102016015791B4 (de) * 2016-12-12 2019-01-03 Rittal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für die Verbindung von zwei Schaltschrankrahmengestellen
CN109066370A (zh) * 2018-09-21 2018-12-21 常州博瑞电力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并柜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146A (ko) * 1996-11-19 2000-09-15 뮬러 노베르트 스위칭 캐비닛
JPH11127507A (ja) * 1997-08-14 1999-05-11 Rittal Werk Rudolf Loh Gmbh & Co Kg 並置可能な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を結合するための装置
EP1601074A1 (fr) * 2004-05-28 2005-11-30 Hispano Mecano Electrica S.A. Armoire électrique à profilés d'ossature
KR20160117474A (ko) * 2014-02-05 2016-10-10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모듈식 스위치기어 캐비닛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9222B1 (de) 2020-12-02
JP6957757B2 (ja) 2021-11-02
JP2021506211A (ja) 2021-02-18
US11462890B2 (en) 2022-10-04
HUE053141T2 (hu) 2021-06-28
ES2837527T3 (es) 2021-06-30
MX2020002748A (es) 2020-08-03
BR112020004018A2 (pt) 2020-09-08
EP3659222A1 (de) 2020-06-03
CN111742456B (zh) 2022-05-17
PL3659222T3 (pl) 2021-06-14
KR102448282B1 (ko) 2022-09-29
CA3078854A1 (en) 2019-08-08
US20200366069A1 (en) 2020-11-19
CA3078854C (en) 2022-05-10
RU2751170C1 (ru) 2021-07-09
UA125129C2 (uk) 2022-01-12
CN111742456A (zh) 2020-10-02
DE202018100613U1 (de) 2018-02-14
WO2019149300A1 (de)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56058B (zh) 用于开关柜或配电箱的机架的框架异形件
US8319106B2 (en) Carrying device for busbars
US6238028B1 (en) Rack with several assembly levels
US9496689B2 (en) Frame profile for a rack of a switchgear cabinet, and fastening clip for the frame profile
US7893365B2 (en) Weather resistant variable enclosure frame
UA124767C2 (uk) Тримач панелі для кріплення панелі до каркаса розподільної шафи і розподільна шафа
KR102448282B1 (ko) 베이 커넥터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스위치 캐비닛 랙을 포함하는 장치
JP6495203B2 (ja) 接続金具、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のユニット
US20100193214A1 (en)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CN111226097B (zh) 双干湿组合安装
CN117397136A (zh) 控制柜壳体的内部装配的安装配置
KR100375062B1 (ko) 벽 장착형 설비 하우징
US8646854B2 (en) Attachment part for a cabinet, in particular an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for an electrical service distribution panel and an electrical switchgear cabinet
US20160146382A1 (en) Subassembly having a flange and a test apparatus
US20240063592A1 (en) Panel Adapter for Mounting an Electric Connector to a Panel as well as Adapter Assembly and Connection Set with such a Panel Adapter
TWI836738B (zh) 遮蔽裝置及機殼
US11777236B2 (en) Distribution block
CN110915080A (zh) 开关柜底座和其上安装的开关柜机架的布置以及相应的开关柜列
CN216648865U (zh) 一种连接构件、母排连接结构及配电柜
KR200473363Y1 (ko) 그로멧
KR20080006691U (ko) 거치용 브라켓을 구비한 통신장비수납함
KR100606374B1 (ko) 통신기기용 모듈 커넥터 연결장치
US20160103470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JP2007503537A (ja) フロアスプ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