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288A -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288A
KR20200085288A KR1020207015660A KR20207015660A KR20200085288A KR 20200085288 A KR20200085288 A KR 20200085288A KR 1020207015660 A KR1020207015660 A KR 1020207015660A KR 20207015660 A KR20207015660 A KR 20207015660A KR 20200085288 A KR20200085288 A KR 20200085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late
contact device
cut
contac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필렛
Original Assignee
에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씨 filed Critical 에이엠씨
Publication of KR20200085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7/00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 B22F7/002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 B22F7/004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comprising at least one non-porous part
    • B22F7/006Manufacture of composite layers, workpieces, or articles, comprising metallic powder, by sintering the powder, with or without compacting wherein at least one part is obtained by sintering or compression of porous nature comprising at least one non-porous part the porous part being obtained by foam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improving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볼트(37, 38, 39)가 제공된 전기 연결부의 2개의 전도체(32 및 34)의 2개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50)로서, 디바이스는 연결부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금속 폼 플레이트(11)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 금속 폼 플레이트의 표면은 2개의 전도체와 접촉하는 표면과 적어도 같고, 이의 두께는 대략 1 내지 2㎜이고; - 금속 폼 플레이트는 볼트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원형 개구(12) 및 개구와 접촉 디바이스의 외부 에지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전-절삭부(18, 28)를 포함하고, 사전-절삭부는 폼 플레이트가 사전-절삭부를 따라 쉽게 부서질 수 있도록 폼 플레이트의 두께의 부분을 절삭함으로써 생산되고, 사전-절삭부는 접촉 디바이스의 설치 동안 볼트의 통과를 허용한다.

Description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
본 발명은 전기 연결부 및 이 연결부를 통해 전기 전도도를 개선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공학의 분야에서, 전기 연결부는 높은 전류 및 고온을 겪는다. 접촉면이 부식 또는 산화에 기인하여 악화될 때, 전기 접촉부가 가열되고 전기적 손실이 시간에 걸쳐 증가된다. 이들의 개선은 필수적이다. 일반 규칙으로서, 유지보수는 또한 많은 전류가 흐르는 연결부만이 아닌 금속 부분이 접촉하는 모든 전기 연결부에 대해 필수적이다. 출원 제WO2004049515호 및 출원 제WO2012007701호에 설명된 접촉 디바이스는 전기 연결부의 전기 전도도를 개선시키고 접촉면의 열화를 느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능한 한 효율적이도록, 접촉 디바이스의 접촉면은 전기 연결부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여야 한다.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경우에, 접촉 디바이스는 접촉 디바이스를 통해 볼트를 지나가도록 원형 개구를 갖는다. 따라서 접촉 디바이스의 설치는 볼트 결합된 연결부의 완전한 분해를 필요로 한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일상적인 유지보수 작동, 예컨대, 접촉면의 재기계가공의 경우에, 접촉부는 완전히 분해되어야 한다.
이 연결부가 변압기 유출구에서 또는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에서, 아주 높은 곳에 배치될 때, 너트, 와셔 또는 볼트를 손실할 위험이 증가된다. 또한, 의무적인 안전 장비, 예컨대, 장갑 및 안전벨트의 착용은 조작자의 손 능력을 제한한다. 드롭된 클램핑 소자의 위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장의 비율은 10 내지 20%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전기 시스템에서 드롭된 클램핑 소자는 단락을 유발할 수 있어서, 단락을 수색하고 색출하기 위해서 설치가 중단될 것을 요구한다. 시간의 손실 및 결과적으로 발생된 생산 중단은 매우 상당할 수 있고 매우 비용이 들 수 있다. 또한, 대안적인 현재의 적용에서 과열을 제한하는, 비자성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강 볼트의 광범위한 용도는 이들이 자석을 사용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로부터 색출되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고, 이는 색출 작동을 더 복잡하게 한다. 이 드롭 위험이 너무 커서 일상적인 유지보수 작용은 100℃ 및 그 이상으로 가열되고, 다른 것을 위해 연기되는 전기 연결부에 대해 다뤄진다. 결과적으로, 회로의 평균 온도가 높고, 이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의 저항이 100℃에 대해 40%만큼 증가되기 때문에 전기 효율을 감소시킨다. 회로의 고온은 전기 접촉부의 열화에 기여하고, 안전을 크게 감소시키고 자기-열화 시스템에 기여한다.
또한, 고장난 전기 연결부의 2개의 접촉면 사이에 금속성 폼 전도성 소자를 배치할 때, 조작자는 또한 접촉 소자를 손실할 위험과 함께 볼트를 느슨하게 해야하고 볼트를 제거해야 한다. 또한, 연결부가 가진 케이블 및 바는 무거울 수 있고, 완전한 분해 동안 이들을 유지하는 것은 상당한 노력과 종종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대규모의 처리 장비를 필요로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를 개선시키고 이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접촉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고, 접촉 디바이스의 설치는 접촉부의 완전한 분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볼트가 제공된 전기 연결부의 2개의 전도체의 2개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이고, 디바이스는 연결부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매우 다공성이고 변형 가능한 금속 폼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에 따르면:
- 금속 폼 플레이트의 표면적은 2개의 전도체의 접촉 표면적과 적어도 같고,
- 금속 폼 플레이트는 볼트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원형 개구 및 개구와 접촉 디바이스의 외부 에지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전-절삭부를 포함하고, 사전-절삭부는 폼 플레이트를 약하게 하고 폼 플레이트가 사전-절삭부를 따라 쉽게 부서지게 하도록 폼 플레이트의 두께의 부분에 걸쳐 폼 플레이트를 절삭함으로써 제작되고, 사전-절삭부는 2개의 전도체의 2개의 접촉면 사이의 접촉 디바이스의 설치 동안 볼트가 사전-절삭부를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목표 및 특성은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질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에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설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구비한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변형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3개의 볼트가 제공된 전기 연결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설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에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설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원형 형상인 명칭 에코접촉부(ECOCONTACT)(등록 상표)로 알려진 금속 폼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진 접촉 디바이스(10)이다. 금속 폼 플레이트(11)는 개구(12) 및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전-절삭부(18)를 포함한다. 사전-절삭부(18)는 곧은 부분을 형성하고,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폼 플레이트(11)의 하부 외부 에지에 위치된다. 원형 표면의 외부에 그리고 폼 플레이트(11)의 외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 파지 수단(21)은 소자(10)를 손에 쥐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2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인 금속 폼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진 접촉 디바이스(20)이다. 금속 폼 플레이트(11)는 원형 개구(12), 제1 사전-절삭부(28) 및 제2 사전-절삭부(29)를 포함한다. 2개의 사전-절삭부(28 및 29)는 2개의 부분을 형성하고,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폼 플레이트(11)의 하부 외부 에지에 위치된다. 또한, 사전-절삭부(28 및 29)는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개구(12)의 직경과 같은 거리만큼 분리된다. 직사각형 표면의 외부에 그리고 폼 플레이트(11)의 상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 파지 수단(21)은 소자(20)를 손에 쥐게 한다.
위에서 그리고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된 2개의 실시형태에서, 사전-절삭부를 제작하는 것은 폼을 약하게 하고 폼을 사전-절삭부를 따라 쉽게 부서지게 하도록 폼을 폼의 두께의 일부에 걸쳐 절삭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사전-절삭부는 레이저, 프레싱, 펀칭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제작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 2개의 사전-절삭부(28 및 29)에 의해 획정된 폼 플레이트의 부분은 개구(12)의 에지의 부분에 의해 그리고 폼 플레이트의 하부 에지의 부분에 의해 폼(23)의 탈착 가능한 부분을 형성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디바이스(20)는 개구(12)를 통해 2개의 전도체뿐만 아니라 폼 플레이트(11)를 통과하는 조임 수단, 예컨대, 조임 볼트(37)에 의한 긴밀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2개의 전도체(32 및 34)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폼 플레이트의 형상은 2개의 전도체의 접촉면의 형상에 대응한다. 따라서, 각각의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에 대해, 폼 플레이트의 크기 및 형상은 전기 연결부의 접촉면에 대해 조정된다. 파지 수단(21)은 접촉 디바이스가 전기 연결부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될 때 파지 수단이 전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다면 임의의 형상이다. 그래서, 설명된 모든 실시형태에 대해, 파지 수단은 전기 연결부의 2개의 전도체의 접촉면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폼 플레이트(11)의 표면의 외부에 위치된다.
접촉 디바이스(20)를 2개의 전도체(32 및 34)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 볼트는 전도체를 폼의 두께와 적어도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게 이동시키도록 느슨해지고, 폼(23)의 탈착 가능한 부분은 폼 플레이트(11)로부터 제거된다. 접촉 디바이스(20)를 2개의 전도체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 조작자는 접촉 디바이스를 이의 파지 디바이스(21)로 쥐고 볼트가 개구(12)에 배치될 때까지 볼트(37)의 양쪽에 접촉 디바이스(20)를 삽입한다. 조작자는 또한 사전-절삭부(28 및 29) 사이의 좌측 자유 공간에 부분(23)을 삽입할 수 있고 볼트(37)를 조일 수 있다. 일단 이 작동이 실행된다면, 접촉 디바이스(20)의 파지 디바이스(21)만이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다.
도 5는 수개의 볼트와 함께 전기 연결부의 접촉면을 위해 의도된 제1 실시형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인 금속 폼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진 접촉 디바이스(30)이다. 금속 폼 플레이트(11)는 3개의 개구(12) 및 개구당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전-절삭부(18)를 포함한다. 각각의 사전-절삭부(18)는 곧은 부분이고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개구(12) 중 하나의 개구의 에지에 위치되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폼 플레이트(11)의 외부 에지에 위치된다. 사전-절삭부(18)는 각각의 개구에 연결된다. 폼 플레이트(11)의 직사각형 표면의 외부에 위치된 파지 수단(21)은 소자(30)를 손에 쥐게 한다. 사전-절삭부(18)를 따라 그리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의 측면에서, 폼 플레이트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라운드 각(rounded angle)을 가질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6은 수개의 볼트와 함께 전기 연결부의 접촉면을 위해 의도된 제2 실시형태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직사각형 형상인 금속 폼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진 접촉 디바이스(40)이다. 금속 폼 플레이트(11)는 3개의 원형 개구(12) 및 개구(12)당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전-절삭부(28) 및 제2 사전-절삭부(29)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12)에 대해, 2개의 사전-절삭부(28 및 29)는 곧은 부분이고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폼 플레이트(11)의 하부 에지에 위치된다. 사전-절삭부(28 및 29)는 평행하고 바람직하게는 개구(12)의 직경과 같은 거리만큼 분리된다. 접촉 디바이스(40)는 또한 파지 소자(21)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3개의 볼트가 제공된 전기 연결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설치를 도시한다. 도 7에 따르면, 접촉 디바이스(30)는 2개의 전도체(32 및 34) 사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볼트(37, 38 및 39)는 전도체를 적어도 폼의 두께와 같은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느슨해졌고, 폼 플레이트는 각각의 사전-절삭부(18)를 따라 전체 두께에 걸쳐 절삭되었다. 접촉 디바이스(30)를 2개의 전도체 사이에 설치하기 위해, 조작자가 각각의 오래된 사전-절삭부(18)의 양측의 폼의 2개의 부분을 분리시키고 약간 구부려서 이들의 에지를 분리시켜서 볼트가 이들 사이를 지나갈 수 있다. 조작자가 접촉 디바이스(30)를 이의 파지 디바이스(21)에 의해 쥐고 접촉 디바이스를 2개의 전도성 소자(32 및 34) 사이에 삽입하고, 각각의 개구(12)는 볼트(37, 38 및 39)에 걸친다. 접촉 디바이스는 각각의 볼트가 개구(12)에 배치될 때 설치된다. 이어서 조작자가 볼트를 조이고, 전도체(32 및 34)의 2개의 접촉면이 더 가까워지는 동안, 폼 플레이트(11)가 평평해지고 각각의 오래된 사전-절삭부(18)의 양측의 부분의 약간 구부러진 에지가 또한 평평해지고 연결부의 전체 접촉면을 덮는다. 일단 이 작동이 실행된다면, 접촉 디바이스(30)의 파지 디바이스(21)만이 전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8에 따르면, 접촉 디바이스(50)는 직사각형 형상인 금속 폼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진다. 금속 폼 플레이트(11)는 개구(12), 제1 사전-절삭부(18) 및 적어도 제2 사전-절삭부(19)를 포함한다. 사전-절삭부(18)는 곧은 부분이고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폼 플레이트(11)의 하부 외부 에지에 위치된다. 사전-절삭부(19)는 사전-절삭부(18)의 연장부에 위치된다. 사전-절삭부(19)는 곧은 부분이고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폼 플레이트(11)의 상부 외부 에지에 위치된다. 폼 플레이트(11)의 직사각형 표면의 외부에 위치된 파지 수단(31)은 소자(50)를 손에 쥐게 한다. 또한, 파지 수단(31)은 접촉 디바이스(50)의 상부 외부 에지에 위치되고 폼 플레이트가 사전-절삭부(18 및 19)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절삭될 때에도 폼 플레이트를 쥔다. 폼 플레이트는 또한 파지 수단(31)을 갖고 파지 수단과 가까운 에지와 평행한 부가적인 사전-절삭부(1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사전-절삭부(16)는 바람직하게는 사전-절삭부(19)에 대해 수직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촉 디바이스(50)는 2개의 전도체(32 및 34) 사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볼트(37)는 전도체를 적어도 폼의 두께와 같은 거리만큼 이동시키도록 느슨해졌다. 폼 플레이트(11)는 사전-절삭부(18 및 19)를 따라 폼 플레이트의 전체 두께에 걸쳐 절삭되었고 파지 수단(31)에 의해 함께 쥐어진 폼(111 및 112)의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파지 수단(31)은 또한 폼(111 및 112)의 2개의 부분을 서로에 대해 관절식으로 연결하고 이들 부분을 서로 분리시켜서 이들 부분을 볼트(37)의 양쪽에서 전도체 사이에 삽입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실시형태는 전기 연결부의 2개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너트를 푸는 위험 없이 폼의 두께보다 더 크게 제작될 수 없을 때 특히 적합하고 유리하다. 파지 수단은 힌지의 역할을 하고 탄성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재료,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진다. 필요하다면, 폼 시트는 또한 2개의 전도체의 2개의 접촉면 사이의 폼 플레이트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하도록 부가적인 사전-절삭부(16)를 따라 절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떤 실시형태이든, 파지 수단(21 및 31)은 접촉 디바이스가 전기 연결부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될 때 전기 연결부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파지 수단(21 및 31)은 금속 폼을 구비한 전기 연결부를 시각적으로 식별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파지 수단(21 및 31)은 많은 수, 날짜 또는 참조를 또 다른 데이터에 입력함으로써 기준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파지 수단(21, 31)은 또한 전기 연결부에서 도달된 온도의 표시(indication) 그리고 특히 최대 허용 온도가 전기 연결부에서 도달될 때를 제공하도록 온도 표시기(temperature indicator)를 구비할 수 있다. 온도 표시기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스트립일 수 있다.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및 50)의 금속 폼은 적어도 금속성 코팅, 예컨대, 주석, 인듐 또는 이들의 합금 중 하나로 직접적으로 코팅된, 철, 코발트, 니켈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폼 뼈대로 이루어진 개방 셀 폼이다. 폼은 출원 제WO2012007701호에 설명된 생산 방법에 따라 획득된다. 따라서 획득된 폼(10)의 구조는 셀룰러이고 이의 물리적 특성은 주로 높은 다공성 및 변형성이고, 이는 연결부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약 400g/㎡의 저밀도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금속 폼 플레이트의 두께는 약 1 내지 2㎜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이점 중 하나의 이점은 디바이스가 전기 연결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낮춘다는 것이다. 결과는 개선된 전기 효율, 전기 회로의 더 느린 열화 및 증가된 안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접촉 디바이스의 용도의 선택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접촉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3개의 대안 사이에서 선택하기 때문에 하나에 3개의 기능을 가진 폼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 폼 플레이트를 사전-절삭부를 따라 절삭하고 따라서 볼트 결합된 연결부를 완전히 나사결합 해제하는 일 없이 디바이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적합한 절삭부를 가진 폼 플레이트를 획득,
- 폼 플레이트를 수개의 사전-절삭부를 따라 절삭하고 따라서 완전히 나사결합 해제되지 않은 볼트 연결부로의 디바이스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합한 절삭부를 가진 폼 플레이트를 획득,
- 폼 플레이트를 사전-절삭부를 따라 절삭하지 않고 따라서 전기 전도도가 절삭부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폼 플레이트로부터 이익을 얻으면서 전체 폼 플레이트를 사용.
사전-절삭부 대신에 단순한 절삭부는 이 대안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의 실시형태의 사전-절삭부가 절삭부로 대체되었다면, 결과는 더 이상 일체형 접촉 디바이스가 아니라 결과적으로 발생된 단점, 즉, 연결부의 전체 표면을 덮지 않는 불완전한 접촉 디바이스 및 손실의 위험을 가진 수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접촉 디바이스이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볼트(37, 38, 39)가 제공된 전기 연결부의 2개의 전도체(32 및 34)의 2개의 접촉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50)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연결부의 전기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높은 다공성 및 변형성을 가진 금속 폼 플레이트(11)로 이루어지되,
    - 상기 금속 폼 플레이트의 표면적은 상기 2개의 전도체의 상기 접촉 표면적과 적어도 같고,
    - 상기 금속 폼 플레이트는 상기 볼트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적어도 하나의 원형 개구(12) 및 상기 개구와 상기 접촉 디바이스의 외부 에지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전-절삭부(18, 28)를 포함하고, 상기 사전-절삭부는 상기 폼 플레이트를 약하게 하고 상기 폼 플레이트를 상기 사전-절삭부를 따라 쉽게 부서지게 하도록 두께의 일부에 걸쳐 상기 폼 플레이트를 절삭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기 사전-절삭부는 상기 2개의 전도체의 2개의 접촉면 사이의 상기 접촉 디바이스의 설치 동안 상기 볼트가 상기 사전-절삭부를 통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5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전도체의 상기 접촉면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상기 폼 플레이트(11)의 상기 표면의 외부에 위치된 파지 수단(21, 31)을 포함하는,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5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 곧은 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사전-절삭부(28, 29)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상기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상기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상기 폼 플레이트의 외부 에지에 위치되고, 상기 사전-절삭부(28, 29)는 상기 개구의 직경과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폼 플레이트의 부분은 상기 2개의 사전-절삭부(28, 29)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개구(12)의 상기 에지의 부분 및 상기 폼 플레이트의 상기 에지의 부분은 탈착 가능한 폼(23)의 부분을 형성하고, 사전-절삭부의 각각은 폼 시트를 약하게 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사전-절삭부를 따라 쉽게 부서지게 하도록 두께의 일부에 걸쳐 상기 폼 시트를 절삭함으로써 제작되는, 접촉 디바이스(20, 4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전-절삭부(18)의 연장부에 위치된 제2 사전-절삭부(19)를 포함하되, 상기 사전-절삭부(19)는 곧은 부분이고 상기 사전-절삭부의 제1 단부는 상기 개구(12)의 에지에 위치되고 상기 사전-절삭부의 제2 단부는 상기 폼 플레이트(11)의 상부 외부 에지에 위치되고, 상기 사전-절삭부(19)는 폼 시트를 약하게 하고 상기 폼 시트를 상기 사전-절삭부(19)를 따라 쉽게 부서지게 하도록 두께의 일부에 걸쳐 상기 폼 시트를 절삭함으로써 제작되는, 접촉 디바이스(50).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폼 플레이트(11)가 상기 2개의 사전-절삭부(18 및 19)를 따라 절삭된 후 상기 파지 수단(31)에 의해 함께 쥐어진 폼(111 및 112)의 2개의 부분을 포함하는, 접촉 디바이스(5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31)은 탄성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비전도성 재료, 예컨대,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촉 디바이스(50).
  7.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 플레이트는 상기 2개의 전도체의 상기 2개의 접촉면 사이의 상기 폼 플레이트의 삽입을 더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파지 수단(31)을 가진 에지와 평행하고 상기 에지와 가까운 부가적인 사전-절삭부(16)를 포함하는, 접촉 디바이스(50).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21, 31)은 상기 접촉 디바이스를 구비한 상기 전기 연결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인,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5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21, 31)은 상기 전기 연결부에서 도달된 온도의 표시(indication)를 제공하도록 온도 표시기(temperature indicator)를 구비한, 접촉 디바이스(10, 20, 30, 40, 50).
KR1020207015660A 2017-11-13 2018-11-13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 KR202000852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71210 2017-11-13
FR1771210A FR3073677B1 (fr) 2017-11-13 2017-11-13 Dispositif de contact adapte pour faciliter la reparation des connexions electriques boulonnees
PCT/FR2018/000249 WO2019092330A1 (fr) 2017-11-13 2018-11-13 Dispositif de contact adapte pour faciliter la reparation des connexions electriques boulonne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288A true KR20200085288A (ko) 2020-07-14

Family

ID=61873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660A KR20200085288A (ko) 2017-11-13 2018-11-13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75485B2 (ko)
EP (1) EP3711116B1 (ko)
JP (1) JP7330991B2 (ko)
KR (1) KR20200085288A (ko)
CN (1) CN111448714B (ko)
AU (1) AU2018363235B2 (ko)
CA (1) CA3081396A1 (ko)
FR (1) FR3073677B1 (ko)
WO (1) WO20190923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6211A3 (fr) * 1983-08-04 1985-07-24 Jean-Paul Begouen Rondelles antifriction pour charnières d'ouvrants et dispositif de pose de celles-ci
JPS62104371U (ko) * 1985-12-23 1987-07-03
DE59206955D1 (de) * 1992-05-08 1996-09-26 Multi Contact Ag Kontaktvorrichtung
JP2910663B2 (ja) * 1996-03-22 1999-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先端丸形圧着端子
JP3892672B2 (ja) * 2001-01-26 2007-03-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アース端子構造
JP3875547B2 (ja) * 2001-12-11 2007-01-3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アース端子
FR2847391A1 (fr) 2002-11-20 2004-05-21 A M C Dispositif de contact pour ameliorer la duree de vie des connexions electriques
JP4537321B2 (ja) * 2006-01-10 2010-09-01 矢崎総業株式会社 ボルト締め用端子
US7547228B1 (en) * 2008-07-10 2009-06-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Joining means for device components
FR2962856B1 (fr) 2010-07-16 2012-08-17 Amc Holding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a conductance amelioree
FR2996348B1 (fr) 2012-10-03 2015-05-15 Amc Holding Poudre et pate pour ameliorer la conductance des connexions electriques
FR2997788B1 (fr) 2012-11-05 2016-01-22 Amc Etec Dispositif de sectionnement d'une ligne d'alimentation electrique a courant de haute intensite
CN204130709U (zh) * 2014-08-27 2015-01-28 成都福凌云科技有限公司 用于改善电路连接的导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50727A1 (en) 2020-11-05
EP3711116B1 (fr) 2023-12-20
CN111448714A (zh) 2020-07-24
CA3081396A1 (fr) 2019-05-16
EP3711116A1 (fr) 2020-09-23
CN111448714B (zh) 2022-07-29
US11075485B2 (en) 2021-07-27
FR3073677B1 (fr) 2019-10-11
AU2018363235B2 (en) 2024-01-18
AU2018363235A1 (en) 2020-05-21
EP3711116C0 (fr) 2023-12-20
WO2019092330A1 (fr) 2019-05-16
FR3073677A1 (fr) 2019-05-17
JP7330991B2 (ja) 2023-08-22
JP2021502686A (ja)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4496B1 (en) Busbar assembly
US8870609B2 (en) Attachment apparatus usable in circuit interrupter environment and structured to connect a ring terminal to the circuit interrupter
US6012357A (en) Insulation stripping tool
CA3090250C (en) Meter box with insulation-piercing wire termination connectors
WO2008118344A1 (en) Universal two-hole electrical bond washer
KR20200085288A (ko) 볼트 결합된 전기 연결부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접촉 디바이스
CN204289343U (zh) 熔断器
CN107735906B (zh) 导体连接装置
AU2018264092B2 (en) Device for reducing fault arcs in an electric distribution unit
US2164021A (en) Ground-wire clamp
EP3678265B1 (en) High amperage component electrical mechanical installation
CN207426405U (zh) 用于开关柜的均压装置和开关柜
CN203760362U (zh) 隔离开关
CN103418894B (zh) 电焊钳导电体
CN204011799U (zh) 一种变配电系统二次电流回路快速短接装置
RU2334330C1 (ru) Аппаратный зажим
EP2645484B1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for coupling the electrical connectors to busbars
EP3121832A1 (en) Circuit protection assembly
CN204289344U (zh) 熔断器
CN201868364U (zh) 密闭管式熔断器
CN103985985A (zh) 一种变配电系统二次电流回路快速短接装置
CN208923809U (zh) 短路保护器
CN219658186U (zh) 一种线缆破损预警的保护装置
US10593503B1 (en) Network protector fuse
CN218038984U (zh) 隔离开关的改进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