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116A -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116A
KR20200084116A KR1020190000111A KR20190000111A KR20200084116A KR 20200084116 A KR20200084116 A KR 20200084116A KR 1020190000111 A KR1020190000111 A KR 1020190000111A KR 20190000111 A KR20190000111 A KR 20190000111A KR 20200084116 A KR20200084116 A KR 20200084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ntioxidant
inflammatory
flower extract
hibiscus syria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곽연길
박정현
장우혁
장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씨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씨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씨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0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116A/ko
Publication of KR20200084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1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소재 조성물 및 제조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 항산화, 항곰팡이, 항균활성 등의 건강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로 항염증 및 항산화에 높은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을 가지며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농도는 50-100 ppm인 경우 세포 독성은 나타내지 않으면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어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Hibiscus syriacus (Althaea frutex) flower extraction method and food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Hibiscus syriacus flower extract for the health}
본 발명은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소재 조성물 및 제조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증, 항산화, 항곰팡이, 항균활성 등의 건강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로 항염증 및 항산화에 높은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산화 활성이란 생체 내 활성산소의 생성을 방지하고 세포에 회복 불가능한 손상을 야기하는 산화현상을 방지하는 활성을 말하며, 인체의 산화를 방지시켜 노화를 억제시키는 것이 항산화 활성 중 한 가지에 속한다. 안정한 분자 상태인 산소가 환원대사, 공해물질, 광화학 반응, 효소계 등의 반응에 의해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과산화수소와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로 전환되어 생체 내에서 치명적인 독성을 일으킨다. 이들 활성산소는 세포구성인 지질, 단백질, 당,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독성을 나타내므로서 노화 뿐만 아니라 암을 비롯하여 뇌졸중, 파킨슨병 등의 뇌질환과 허혈, 심장질환, 동맥경화, 피부질환, 소화기질환, 염증, 자가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소량의 활성산소가 생성되나 세포 자체의 방어기구인 수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 카탈라아제 등의 항산화성 효소와 비타민C, E, 글루타티온 등의 항산화 물질의 작용에 의하여 세포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생체 방어력에 이상이 생기거나 과도한 활성산소에 노출될 경우, 이 균형이 깨어져 활성산소가 지질, 단백질,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하게 되며 노화, 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들은 노화 및 각종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므로 건강기능성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항산화물질에 대한 연구는 1969년 라디칼 소거 효소인 슈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를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지금까지 개발된 합성 항산화물질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이 있으며 천연 항산화제로는 수퍼옥사이드디스뮤타제, 카탈라아제,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 등의 항산화효소와 토코페롤, 비타민 C, 카로티노이드 등의 비효소적 항산화물질이 있다. 합성 항산화제는 생체 내 독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으나 천연 항산화물질에 비해 효과가 강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최근 항산화물질 연구는 식품, 발효, 의약 및 농업 분야 등 다방면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알려진 항산화물질의 약한 활성, 독성 및 사용 한계로 의약활성물질로 사용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항산화제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천연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강한 활성을 지닌 신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무궁화(Hibiscus syriacus)는 아욱과 무궁화 속에 속하는 쌍떡잎 식물로 내한성이고 번식력이 강하며, 인도,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무궁화는 현재 세계적으로 약 200여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50여종이 육성되고 있다. 또한, 무궁화는 예로부터 고구마넝쿨, 질경이, 무잎, 솔잎, 칡, 야생 과실과 함께 구황식물로 알려져 있다. 무궁화의 꽃, 잎, 씨앗과 껍질 등 모든 부위는 식용 가능하며 “동의보감”에는 줄기와 꽃을 차로 다려 마시면 사혈과 장풍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줄기의 껍질은 피부, 이뇨에 효과가 있으며, 종자는 두통약, 뿌리는 위장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궁화에는 인삼에 다량 함유된 것으로 알려진 사포나린(Saponarin), 말발산(Malvalic acid), 스테르쿨산(Sterculic acid), 탄닌산(Tannic acid), 점액질, 디하이드로스테로쿨산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높은 생리활성 물질인 사포나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높은 항산화력이 기대된다. 무궁화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추출 방법들이 알려져 있으나 그 방법들은 대부분 안전하지 않고 식품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방법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안전하면서 높은 항산화력을 갖는 무궁화 추출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소재 조성물 및 제조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삼천리 무궁화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으로 안전하고 건전하면서 합성 항산화제와 유사한 높은 항산화력을 갖는 무궁화 추출물의 제조법을 개발하여 항산화력 및 항염증, 항곰팡이, 항균활성 등의 건강 효과를 가지는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농도는 50-1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도 범위는 항산화력이 적정수준 이상으로 건강기능식품 또는 화장품에 사용 시 항산화력이 기대되는 수준을 범위로 정한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삼천리 무궁화꽃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건조 삼천리 무궁화꽃에 물 또는 10-30% 알코올을 3-6배수 부피비로 첨가하고 추출하는 단계; 추출물을 여과한 후 농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농축액 또는 분말로 사용이 가능하며 식품이나 화장품에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의 단점을 극복하여 합성 항산화제와 유사한 항산화력을 갖추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식품이나 화장품 사용될 수 있다. 식품이나 화장품 사용 시 피부 미용에 효과적이며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식품 또는 화장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농도가 50-1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건강기능성 조성물
  3. 상기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4. 상기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삼천리 무궁화꽃을 세척하고 이를 건조하는 1단계;
    상기 건조 삼천리 무궁화꽃에 용매를 3-6배 부피비로 첨가하고 추출하는 2단계;
    추출물을 여과한 후 농축하여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3단계;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상기 용매는 물 및 C1-C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추출은 70℃에서 1-3시간 동안 1회 이상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농축은 70℃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00111A 2019-01-02 2019-01-02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KR20200084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111A KR20200084116A (ko) 2019-01-02 2019-01-02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111A KR20200084116A (ko) 2019-01-02 2019-01-02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16A true KR20200084116A (ko) 2020-07-10

Family

ID=71603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111A KR20200084116A (ko) 2019-01-02 2019-01-02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41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932B1 (ko) * 2021-03-17 2022-02-25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연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처 재생용 조성물
KR20220037809A (ko) * 2020-09-18 2022-03-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809A (ko) * 2020-09-18 2022-03-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궁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366932B1 (ko) * 2021-03-17 2022-02-25 (주)에스디생명공학 무궁화 연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처 재생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rhan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screening and extraction of polyphenol from stems and leaves of a Lebanese plant Malva parviflora L
Rocha et al. Biochemical profile and in vitro neuroprotective properties of Carpobrotus edulis L., a medicinal and edible halophyte native to the coast of South Africa
US8668944B2 (en) Topical oil for treating physical ailments and method for making and applying the same
KR101402550B1 (ko) 황칠 추출/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품
KR20130074983A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7466B1 (ko)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2225A (ko) 서방성 천연물질이 함침된 화장학적 노화방지 양말,타이즈 및 그 제조 방법
CN108991471B (zh) 一种具有强效抗氧化活性的天然食品添加剂
KR20200084116A (ko) 삼천리 무궁화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무궁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소재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0478136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식물유래 추출물
KR101050613B1 (ko) 항산화 효과와 항주름 및 보습 효과를 가지는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9482B1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opova et al. Comparative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culinary plants growing in Bulgaria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0782517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210073558A (ko) 안티-에이징 및 피부 재생 특성을 가지는 피츠로야 쿠프레소이데스(알레르세)의 세포로부터의 수용 추출물(aqueous extract from cells of fitzroya cupressoides (alerce) with anti-aging and skin regeneration properties)
KR100870110B1 (ko) 머루씨 추출물이 포함된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3071A (ko) 부들(Typha orientalis)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수 제조 방법
Chen et al. Antioxidant research of persimmon extraction in ionizing radiatio mice
KR20180006824A (ko) 로즈마리와 카모마일을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향균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ankanayaka et al.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food waste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a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