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630A -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 Google Patents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630A
KR20200082630A KR1020180173392A KR20180173392A KR20200082630A KR 20200082630 A KR20200082630 A KR 20200082630A KR 1020180173392 A KR1020180173392 A KR 1020180173392A KR 20180173392 A KR20180173392 A KR 20180173392A KR 20200082630 A KR20200082630 A KR 2020008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tigmatism
cylinder
movable
inspection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5432B1 (ko
Inventor
차정원
정세훈
Original Assignee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4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for testing astigmatis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자의 난시축 측정이 가능함과 더불어 피검자의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할 때 측정 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측정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오차범위를 줄여 보다 정확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도출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Eye-sight indicator for measuring cylinder axis and cylinder refracting power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자의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동시에 검안할 수 있는 난시 검사시표에 관한 것이다.
눈의 망막보다 앞쪽에 초점이 맺으면 이를 근시, 눈의 망막보다 뒤쪽에 초점이 맺으면 이를 원시라고 하며, 한 점에서 초점을 맺지 못하면 이를 난시라고 한다. 난시는 각막의 중심부에 가상의 수평선을 긋고 이를 0°라 하였을 때 각막으로 들어간 빛이 눈의 경선별 굴절력 차이로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해 흐리게 보이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난시의 검안을 위해서는 통상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방사선시표를 사용하고 있으며 피검자가 방사선시표에서 진하게 보이는 것을 구분, 선택하여 본인의 난시축을 결정짓는다.
예컨대, 피검자가 방사선시표에서 1시 방향의 농도가 진하게 보인다면, 피검자의 난시축은 대략 T.A.B.O.각 30° 방향의 각도로 측정되고 실린더 굴절력의 검사시에 있어서는 난시축이 결정된 후 전체적인 방사선시표의 농도가 같도록 난시 교정렌즈를 착용 내지 추가해가면서 난시 교정용 실린더 굴절력을 도출하게 된다.
그런데, 피검자의 최초 난시축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방사선시표의 농도가 1시 방향에서부터 2시 방향까지 진하게 보인다면, 기본적으로 ±15°의 오차를 가지게 되며 이는 허용오차인 5°를 훨씬 상회하게 되어 측정된 난시축의 값을 신뢰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난시 교정용 실린더 굴절력을 도출하기 위해 교정렌즈를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난시축의 오차를 가진 상태에서 실린더 굴절력의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린더 굴절력의 과교정 혹은 미교정이 발생되어 정확한 시력을 검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방사선시표를 이용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결정방법은 선들의 상대적 진하기를 구분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검사의 객관성과 정확성이 떨어지며 검사 과정에서 혼돈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렇게,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정확하게 도출해내지 못한 상태로 처방된 안경을 착용할 경우 편두통, 눈 통증, 눈 불편함 등을 호소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공개특허 10-2009-011172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검자의 난시축 측정이 가능함과 더불어 피검자의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할 때 측정 과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측정된 실린더굴절력의 오차범위를 줄여 보다 정확한 실린더굴절력의 도출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슬롯이 관통 형성된 전면판, 상기 복수 개의 슬롯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마킹되는 복수 개의 고정선, 상기 복수 개의 슬롯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고정선과 평행한 가동선이 마킹된 복수 개의 가동편, 상기 고정선에서 가동선이 이격되도록 상기 슬롯 상에서 가동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가동편을 슬롯에서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슬롯 각각에 설치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권취공간이 마련된 드럼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가동편 각각을 상기 드럼부재에 연동시키도록 일단은 권취공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동편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각각의 일단은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권취공간 각각에 부착되어 지정된 권취공간에서 권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각각의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가동편 각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각각을 개별적으로 감싸는 복수 개의 중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원부재는 슬롯의 벽면과 가동편 사이에 탄지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검사선으로 이루어진 지표부재가 전면판에 방사상으로 회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 개의 검사선은 가상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의 원주에 접선 방향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방된 전면에 상기 전면판이 결합되는 배면케이스; 및 상기 배면케이스가 상대회전되는 배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면판에는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걸림단턱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피검자의 난시축 검사시 피검자로 하여금 보다 객관적인 난시축의 선택이 가능하고 난시축 선택에 혼돈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난시축 도출이 가능하며, 난시축 측정 외에도 실린더굴절력의 측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피검자의 대략적인 실린더굴절력을 얻어낸 뒤, 고정선과 가동선 사이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검안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실린더굴절력을 찾아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난시 검사시표의 분해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슬롯과 가동편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스크린부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난시 검사시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드럼부재, 와이어, 가동편 간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드럼부재, 와이어, 가동편 간의 결합관계의 개념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복원부재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를 이용해 피검자를 검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5는 하나의 슬롯에 복수 개의 가동편이 일렬로 적용된 예를 보인 도면.
도 16 내지 도 17은 배면케이스가 회전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종래 방사선시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를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검사선(2)으로 이루어진 지표부재가 전면판(1)에 방사상으로 회전 배열된 구성으로서, 피검자의 난시축과 더불어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하는데 활용된다.
이때, 각각의 지표부재는 가상의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180도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배열되며 이때, 지표부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검사선(2)은 선의 두께, 선의 개수, 인접한 선과의 간격 등을 특별히 특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인접한 검사선(2) 사이 간격은 0.5 내지 3mm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검사선(2) 사이의 간격은 검안실의 여건에 따라 달라지며 피검자와 전면판(1) 사이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는 검안실일 경우엔 검사선(2) 사이의 간격을 넓게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검사선(2) 사이 공간을 좁게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두 개의 검사선(2)으로 이루어진 지표부재를 예시하며, 검사선(2)의 개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검사선(2)의 길이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지표부재의 개수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일례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지표부재의 개수가 증가하면 한정된 공간에서 검사선(2)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길이가 짧아지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지표부재의 개수가 감소하면 그만큼 여유공간이 발생되므로 검사선(2)의 길이를 길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검사선(2)의 길이는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전면판(1)은 검안시 벽에 쉽게 걸어두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말거나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종이, 직물 등과 같은 재질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면판(1)의 전면에 검사선(2)이 잉크 등으로 인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검사선(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회전중심(C)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CR)의 원주에 접선 방향으로 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피검자의 난시축 검안시 지표부재를 육안으로 살펴보고 자의에 의해 난시축을 결정지을 때 진하게 보이는 검사선(2)을 선택하기가 수월해진다.
도 18에 도시된 종래의 방사선시표의 경우 검사선들이 가상의 중심점에서부터 원주방향으로 퍼져나가는 방사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검사선이 진하게 보이더라도 그 인접한 부분까지 함께 진하게 보여질 수 있어 피검자의 자의에 의한 난시축 선택시 혼돈을 줄 우려가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지표부재의 검사선(2)은 접선 방향을 따라 특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방사상으로 회전 배열되며 인접한 2개 이상의 평행한 선들이 배치되므로 각도별로 지표부재의 구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며 피검자의 선택시에 선의 진하기가 더 진한 것으로 구분하는 방법보다 인접한 2개 이상으로 배치된 선들이 잘 구분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이 더 수월하므로 특별히 진하게 보이는 검사선(2)을 선택하기가 수월해진다.
도 2는 4개의 검사선(2)으로 이루어진 지표부재를 도시하며, 이러한 지표부재는 그 일례로, 가상의 수평선(H)과 평행한 검사선(2)을 가지는 제1 지표부재(3a), 제1 지표부재(3a)의 검사선(2)보다 15도 기울어진 검사선(2)을 가지는 제2 지표부재(3b), 제1 지표부재(3a)의 검사선(2)보다 30도 기울어진 검사선(2)을 가지는 제3 지표부재(3c), 제1 지표부재(3a)의 검사선(2)보다 45도 기울어진 검사선(2)을 가지는 제4 지표부재(3d), 제1 지표부재(3a)의 검사선(2)보다 60도 기울어진 검사선(2)을 가지는 제5 지표부재(3e), 제1 지표부재(3a)의 검사선(2)보다 75도 기울어진 검사선(2)을 가지는 제6 지표부재(3f), 제1 지표부재(3a)의 검사선(2)보다 90도 기울어진 검사선(2)을 가지는 제7 지표부재(3g)로 구성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내지 7 지표부재(3b 3c, 3d, 3e, 3f, 3g)는 가상의 수직선(V)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 형성된다.
즉, 인접한 지표부재의 검사선(2)은 서로 15도의 각도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러한 각도 차이를 더 세분화하거나 또는, 각도 범위를 넓게 형성하여 지표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난시 검사시표를 이용해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먼저 피검자가 전면판(1)에 배열된 지표부재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그 중 검사선(2)이 가장 진하게 보이면서 동시에 인접한 2개이상의 선들의 간격이 가장 잘 분리되어 보이는 지표부재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지표부재의 검사선(2)이 이루는 각도가 피검자의 난시축으로 특정된다.
다음으로, 난시축이 특정되면 검사자는 모든 지표부재의 검사선(2)이 선명하게 보여 모든 검사선(2)을 구분할 수 있도록 피검자에게 실린더굴절력 렌즈를 부가 착용시키면서 실린더굴절력을 찾아낸다. 즉, 실린더굴절력 렌즈를 착용하고 모든 검사선(2)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실린더굴절력 렌즈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피검자의 실린더굴절력 값을 얻어낸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난시 검사시표는 크게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슬롯(11)이 관통 형성된 전면판(10), 상기 복수 개의 슬롯(11)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마킹되는 복수 개의 고정선(20), 상기 복수 개의 슬롯(11)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고정선(20)과 평행한 가동선(31)이 마킹된 복수 개의 가동편(30), 상기 고정선(20)에서 가동선(31)이 이격되도록 상기 슬롯(11) 상에서 가동편(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40) 및 상기 가동편(30)을 슬롯(11)에서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슬롯(11)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복원부재(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판(10)은 피검자에게 노출되는 부분으로 전면판(10)으로 노출된 고정선(20)과 가동선(31)을 이용해 피검자의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한다. 고정선(20)과 가동선(31)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복수 개의 검사선(2)과 동일한 개념이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검사선(2)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없었던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선(20)과 가동선(31) 사이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고정선(20)과 가동선(31)은 전술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지표부재의 배열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고정선(20)은 전면판(10)에 마킹되어 있으며, 가동선(31)은 가동편(30)의 위치 조절에 따라 고정선(20)에서부터 상대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동편(3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에 관통 형성된 각각의 슬롯(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슬롯(11)의 벽면에는 슬라이딩홈(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동편(30)의 양단에는 상기 슬라이딩홈(12)에 접속하는 슬라이딩돌기(32)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편(30)을 슬롯(11)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조절부(40)가 활용되며 조절부(40)는 각각의 슬롯(11)에 장착된 복수 개의 가동편(30)을 동시에 동일한 이동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부(40)는 검사자가 임의로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권취공간(41a)이 마련된 드럼부재(41) 및 상기 복수 개의 가동편(30) 각각을 상기 드럼부재(41)에 연동시키도록 일단은 권취공간(41a)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동편(30)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드럼부재(41)는 와이어(42)가 권취되는 원통형의 부재로 외주면에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격판(41b)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격판(41b)에 의해 와이어(42)가 권취되는 권취공간(41a)이 구획 형성된다.
드럼부재(41)의 전방으로는 레버부재(43)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재(43)는 전면판(10)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검사자가 드럼부재(41)를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수단으로 활용된다.
검사자가 레버부재(43)를 돌려 드럼부재(41)를 회전시키면 와이어(42)가 권취공간(41a)에 권취되면서 와이어(42)의 타단에 부착된 가동편(30)들이 드럼부재(41) 측으로 견인된다.
이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42) 각각의 일단은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권취공간(41a) 각각에 부착되어 지정된 권취공간(41a)에서 권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42) 각각의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가동편(30) 각각에 부착되기 때문에 드럼부재(41)가 회전하여 복수 개의 와이어(42)를 동시에 권취하면 복수 개의 가동편(30) 각각은 슬롯(11) 내에서 고정선(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와이어(42)들이 지정된 권취공간(41a)에 권취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의 전면으로 고정선(20)과 가동선(31) 외에 복원부재(50), 와이어(42) 등을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롯(11)에는 스크린부재(13)가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부재(13)는 와이어(42)에 의해 슬롯(11)에서 견인되는 가동편(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전개 또는 말릴 수 있는 롤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롤스크린 형태의 스크린부재(13)는 가동편(30)을 기준으로 가동편(30)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각각 배치되며 전면으로 가동선(31)을 제외한 것들은 노출되지 않도록 가동편(30)과 연동하여 동작한다.
스크린부재(13)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크린부재(13)에 의해 고정선(20)과 가동선(31)을 제외한 구성들이 가려지게 되면 피검자는 보다 객관적인 환경에서 검안에 임할 수 있다.
한편, 권취공간(41a)이 개별적으로 구획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 개의 와이어(42)가 동시에 드럼부재(41)의 외주면에 권취되거나 권출될 경우 서로 간섭이 발생하여 와이어(42)끼리 엉겨붙을 우려가 발생한다.
한편, 조절부(40)는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42) 각각을 개별적으로 감싸는 복수 개의 중공관(44)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드럼부재(41)가 와이어(42)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와이어(42)끼리 접촉되면 반복적인 마찰에 의한 내구성 저하로 인해 와이어(42)가 단선될 수 있다. 반면, 본원은 와이어(42)의 외측을 중공관(44)으로 감싸 보호함으로써 와이어(42)끼리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공관(44)은 드럼부재(41)와 가동편(30) 사이에서 작동되는 와이어(42)의 경로를 항상 일정하게 제공함으로써 와이어(42)가 지정된 권취공간(41a)에서만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도록 와이어(42)를 안내하는 작용도 담당한다.
복원부재(50)는 슬롯(11)의 벽면과 가동편(30) 사이에 탄지되는 스프링으로 구현하여 가동선(31)이 고정선(20)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슬롯(11) 내에서 가동편(30)을 탄성 지지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가 레버부재(43)를 회전시켜 드럼부재(41)가 와이어(42)를 권취하면 와이어(42)의 타단에 부착된 가동편(30)이 슬롯(11)에서 슬라이딩하여 고정선(20)과 가동선(31)의 거리가 이격된다. 가동편(30)이 슬라이딩되면 이에 따라 복원부재(50)가 신장되었다가 검사자가 레버부재(43)를 손에서 떼면 복원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11b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편(30)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드럼부재(41)가 권취하고 있던 와이어(42)가 자연스럽게 드럼부재(41)에서 권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난시 검사시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배면케이스(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면케이스(60)의 개방된 전면에 전면판(10)이 결합되어 함체를 이루고, 이 함체의 내부에 조절부(40)의 구성요소가 적소에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난시 검사시표는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60)가 상대회전되는 배면판(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배면판(70)은 검안실의 벽면 등에 부설될 수 있고, 이 배면판(70)에서 배면케이스(60)가 상대회전함으로써 고정선(20)이 마킹된 전면판(10), 가동편(30) 등이 배면케이스(60)의 회전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배면판(70)에는 회전축(71)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71)에 대응되는 배면케이스(60)의 지점에는 회전축(71)과 축결합되는 부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회전축(71)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걸림단턱(72)이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턱(72)에 대응되는 배면케이스(60)의 지점에는 상기 걸림단턱(72)에 단계적으로 걸림되는 걸림부재(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면판(70)에서 배면케이스(60)를 회전시키면 걸림부재가 걸림단턱(72)에 단계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배면케이스(60)의 회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면케이스(60)의 회전은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측정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검사자로 하여금 행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난시 검사시표를 이용해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검자가 전면판(10)에 배열된 복수 개의 고정선(20) 또는 가동선(31) 중 가장 진하면서 동시에 인접한 2개이상의 선들의 간격이 가장 잘 분리되어 보이는 고정선(20) 또는 가동선(31)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피검자에 의해 선택된 고정선(20) 또는 가동선(31)이 이루는 각도가 피검자의 난시축으로 특정된다.
다음으로, 난시축이 특정되면 검사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고정선(20) 또는 가동선(31)이 선명하게 보이면서 동시에 서로 인접한 고정선과 가동선들의 간격이 가장 잘 분리되어 모든 선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피검자에게 도 12에 도시된 상태의 전면판(10)을 노출시킨 뒤 실린더굴절력 렌즈를 부가 착용시키면서 대략적인 실린더굴절력을 찾아낸다. 이때, 검사자는 레버부재(43)를 돌려 고정선(20)에서 가동편(30) 까지의 이격거리를 환자의 현재시력에 맞게 조절한다. 환자의 현재시력이 나쁠 때는 이격거리를 크게하고, 환자의 현재시력이 양호할 수록 이격거리가 짧아지게 조절한다.
대략적인 실린더굴절력이 도출되었으면 검사자는 레버부재(43)를 조작해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선(20)과 가동선(31)이 근접되도록 가동편(3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과 동시에 배면케이스(6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5도~10도 회전하여 본 후 이렇게 조절된 상태의 난시 검사시표에 전체에서 고정선(20)과 가동선(31)이 선명하게 보이면서 동시에 서로 인접한 고정선과 가동선들의 간격이 가장 잘 분리되어 보이는 난시축을 미세하게 다시 도출한 다음 피검자에게 실런더굴절력 렌즈를 미세 첨가 또는 삭제해나가면서 피검자의 최종 실린더굴절력을 찾아낸다.
즉, 피검자의 대략적인 실린더굴절력을 얻어낸 뒤, 고정선(20)과 가동선(31) 사이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고 배면케이스(60)를 미세하게 회전시키면서 검안을 단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실린더굴절력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개의 슬롯(11) 내에서 한 개의 가동편(30)이 슬라이딩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슬롯(11) 내에서 복수 개의 가동편(30)이 일렬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고정선(20)은 생략된 상태이고 인접한 가동편(30) 사이사이에는 복원부재(50)가 개재될 수 있으며 드럼부재(41)에 가장 가까이에 배치된 가동편(30)에 와이어(42)의 타단이 부착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가 레버부재(43)를 돌려 드럼부재(41)에 와이어(42)를 권취시키면 각각의 가동편(30)이 멀어지면서 등간격으로 이격되었다가, 검사자가 레버부재(43)에서 손을 떼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각각의 가동편(30)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10: 전면판 2: 검사선
20: 고정선 30: 가동편
40: 조절부 50: 복원부재
60: 배면케이스

Claims (7)

  1.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검사선으로 이루어진 지표부재가 전면판에 방사상으로 회전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검사선은 가상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의 원주에 접선 방향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3.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슬롯이 관통 형성된 전면판;
    상기 복수 개의 슬롯의 배열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 마킹되는 복수 개의 고정선;
    상기 복수 개의 슬롯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며 상기 고정선과 평행한 가동선이 마킹된 복수 개의 가동편;
    상기 고정선에서 가동선이 이격되도록 상기 슬롯 상에서 가동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 및
    상기 가동편을 슬롯에서 원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슬롯 각각에 설치되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권취공간이 마련된 드럼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가동편 각각을 상기 드럼부재에 연동시키도록 일단은 권취공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가동편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각각의 일단은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권취공간 각각에 부착되어 지정된 권취공간에서 권취되고,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각각의 타단은 상기 복수 개의 가동편 각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복수 개의 와이어 각각을 개별적으로 감싸는 복수 개의 중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7. 청구항 3에 있어서,
    개방된 전면에 상기 전면판이 결합되는 배면케이스; 및
    상기 배면케이스가 상대회전되는 배면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면판에는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의 주변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걸림단턱이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KR1020180173392A 2018-12-31 2018-12-31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KR10215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392A KR102155432B1 (ko) 2018-12-31 2018-12-31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392A KR102155432B1 (ko) 2018-12-31 2018-12-31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630A true KR20200082630A (ko) 2020-07-08
KR102155432B1 KR102155432B1 (ko) 2020-09-11

Family

ID=71600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392A KR102155432B1 (ko) 2018-12-31 2018-12-31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0459A (zh) * 2022-10-25 2023-01-13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Cn) 一种高精度的散光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219A (ja) * 1985-08-22 1987-02-26 氏家商事株式会社 乱視眼検査装置
KR20090111727A (ko) 2008-04-22 2009-10-27 (주)행성디지털 시력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력검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4219A (ja) * 1985-08-22 1987-02-26 氏家商事株式会社 乱視眼検査装置
KR20090111727A (ko) 2008-04-22 2009-10-27 (주)행성디지털 시력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시력검사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0459A (zh) * 2022-10-25 2023-01-13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Cn) 一种高精度的散光板
CN115590459B (zh) * 2022-10-25 2023-07-07 江苏鸿晨集团有限公司 一种高精度的散光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432B1 (ko)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8282C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the shape and location of an object
EP2026693B1 (en) Subjective refraction device for correcting low and higher order aberrations
JP2006521157A (ja) モアレ収差測定器
US3841760A (en) Zonal focus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astigmatic correction for an optical system
Applegate et al. Changes in the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induced by contact lens wear
US3879113A (en) Photo-refractometer and methods for ophthalmic testing of young children
KR102155432B1 (ko) 난시축과 실린더굴절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한 난시 검사시표
Kanamori et al. Agreement among three types of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t tomography instruments in measuring parapapillary retinal nerve fibre layer thickness
US7559651B2 (en) Ophthalmic measurement apparatus
WO2015044364A1 (de)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hornhaut-astigmatismus mittels optischer kohärenztomographie
Chen et al. Comparison of visual acuity estimates using three different letter charts under two ambient room illuminations
US20160095512A1 (en) Method of evaluating quality of vision in examinee's eye and storage medium
WO1992019929A1 (en) Adaptation of lensmeter optics for minimizing contact lens spherical aberration
Wallach et al. The constancy of the orientation of the visual field
US3639042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acuity of low-vision patients
JP2020103743A (ja) 屈折特性測定装置、測定治具、及び屈折特性測定方法
JP7352198B2 (ja) 眼屈折力測定装置
US20150238075A1 (en) Autofluorescence imaging of macular pigment: image quality criteria and corrections
BRADLEY et al. Modeling off-axis vision I: the optical effects of decentering visual targets or the eye's entrance pupil
US9675242B2 (en) Method and device for screening a state of ophthalmic fatigue of an individual
WO2020226023A1 (ja) 検眼装置
JP2018143554A5 (ko)
DE102011102176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imultanen Erfassung von Aberrationen und Streulichtkenngrößen eines optischen Systems
JP2018051224A (ja) 眼科測定装置
US20210015356A1 (en) Optometer for Home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