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624A -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624A
KR20200082624A KR1020180173372A KR20180173372A KR20200082624A KR 20200082624 A KR20200082624 A KR 20200082624A KR 1020180173372 A KR1020180173372 A KR 1020180173372A KR 20180173372 A KR20180173372 A KR 20180173372A KR 20200082624 A KR20200082624 A KR 20200082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abric
yarn
knit fabric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홍모
윤미정
권오덕
송준용
조현대
전홍찬
윤형준
전현정
이경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2624A/ko
Priority to US16/667,384 priority patent/US20200208309A1/en
Publication of KR20200082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10Fabrics woven face-to-face, e.g. double velv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2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24Devices for cutting the pile on the loo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34Devices for cutt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06C13/08Cutting pile loo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3/00Shearing, clipping or cropping surfaces of textile fabrics; Pile cutting; Trimming seamed edges
    • D06C13/10Splitting double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15Brushing or beating of fabrics for finishing but not for clea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원사가 직조되어 있고, 다른 일면은 파일원사로 이루어져 있어 원사간의 물리적 결합력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터치감을 가지는 동시에 내마모성, 내크스크래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PILE KNIT FABRIC FOR INTERIOR MATERIAL OF AUTOMOBI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ACHINE OF PILE KNIT FABRIC}
본 발명은 원사간의 물리적 결합력이 우수하며, 부드러운 터치감을 가지면서도 내마모성, 내크스크래치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트렁크 내부에 노출되는 차체 및 와이어하네스, 스페어 타이어 등의 은폐와 화물 적재 공간 확보를 위해 장착되는 러기지 트림 부품의 표피재로 부직포 또는 BCF(Bulked Continuous Filament) 원단이 적용된다. 기존 부직포는 섬유를 카딩 및 니들펀칭 공정으로 물리적 교략을 통해 제조하기 때문에 원가는 저렴하나 섬유간 결합력이 부족하여 마모 또는 스크래치 성능(섬유 분리)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단 표면에 니들펀칭 자국이 보여 상품성이 떨어지고, 파일 형태가 루프(Loop) 형태의 짧은 파일만 가능하여 터치감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포지에 섬유를 3~10 mm의 길이로 심은 후 후면에 라텍스 또는 코팅층을 도입하여 섬유가 빠지는 문제점을 개선한 BCF 원단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기포지에 섬유를 심는 제조 공법은 원단의 신율이 낮아 형상이 복잡한 제품 성형에 불리하다. 또한 여러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BCF 원단은 기존 부직포 대비 원가가 높아 국내에서는 플로어 카펫(Floor Carpet)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BCF 원단은 러기지 트림(luggage trim) 부품에 적용하는 사례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해외의 경우에는 고급차에만 일부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면서 부품 형상에 제약이 없고,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새로운 소재에 대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87959
상기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원사 간의 물리적 결합력이 우수하며 부드러은 표면 터치감을 갖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조공정이 단축된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고리 형태로 엮여 횡렬과 종렬로 직조된 니트(knit)층; 및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복수의 파일원사가 직조된 파일(pile)층;을 포함하고, 상기 니트층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좌우 양쪽이 고리형태로 엮이거나, 한쪽만 고리형태로 엮인 것이고, 상기 파일층은 상기 니트층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복수의 파일원사가 엮여 직조된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을 제공한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 또는 파일원사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양모(wo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는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1 m 당 250 ~ 950개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는 섬도가 50~200 데니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트층은 두께가 0.1~2 mm이고, 면중량이 40~200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원사는 원사 1 가닥 당 10~140 가닥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라멘트는 섬도가 3~25 데니어(Denier)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원사는 길이가 2~10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층은 두께가 1~9 mm이고, 면중량이 100~600 g/m2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은 면중량이 200~700 g/m2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 및 복수의 파일원사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고리 형태로 엮어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고리에 상기 파일원사를 엮어 더블라셀 방식으로 이중 직조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를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를 브러싱(Brushing)하는 단계; 및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2~10 mm가 되도록 하여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러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절단된 파일 니트 원단을 400~800 rpm의 회전수 및 4~10 m/min의 속도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브러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열처리는 110~200 ℃의 온도에서 2~1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여 직조하되 고리형태로 얽히도록 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 파일원사로 연결된 이중 직조 원단을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로부터 제조된 이중 직조 원단을 이송하는 원단 이송룰러; 상기 원단 이송룰러로부터 이송된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를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형성하는 절단부;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 표면을 브러싱하는 브러싱부; 및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을 절단하는 밴드나이프; 상기 밴드나이프를 연마하는 연마석; 상기 밴드나이프를 위치시키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밴드나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마석은 45~55 °의 연마각에서 상기 밴드나이프를 연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러싱부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라운드 원사가 직조된 니트층과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파일원사가 엮여 직조된 파일층을 포함한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그라운드 원사와 파일원사 간의 물리적 결합력이 우수하며, 파일원사의 섬유 배향성이 양호하여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니트 원단은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동시에 성형성이 향상되어 다양한 형상의 제품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은 이중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한 후 원단의 파일원사 중앙을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후면에 BCF 원단이나 부직포 원단처럼 별도의 라텍스 처리가 필요 없어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의 좌우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가 좌우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 사진이다.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가 단면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가 단면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니트 원단의 단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a) 및 실시예 2(b)에서 제조된 원단의 마모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 2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단의 오염도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의 오염도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2(a)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교예 1, 2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러기지 트림을 성형한 사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직포 원단은 PET 섬유 또는 PA 섬유를 계량하고, 카딩, 적층 및 니들펀칭 공정을 통해 물리적인 교략을 형성하여 원단을 제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 원단은 생산 속도가 다른 원단 보다 빨라 원가가 유리하며, 단순한 섬유의 물리적 교략으로 원단이 형성되어 양방향 신율이 좋아 제품 성형 시 다양한 형상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물리적 교략으로 인해 섬유 간 결합력이 부족하여 마모나 스크래치에 불리하고, 니들펀치 공정 중 단섬유가 다수 발생되어 분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표면에 니들펀치 자국이 남아 제품에 전사되는 문제도 있다.
한편, BCF 원단은 원사를 기포지에 심은 후 후면에 라텍스를 코팅하여 만든 원단으로 기포지에 심은 섬유가 라텍스와 접착되기 때문에 마모나 스크래치에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또한 섬유가 기포지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되어 섬유 질감이 좋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기포지에 원사를 심고 후면 코팅을 하기 때문에 성형 시 연신이 불리하여 제품의 형상에 제약이 있다. 또한, 원단의 제조 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원가가 높아 적용 분야가 카페트로 극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라운드 원사가 직조된 니트층과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파일원사가 엮여 직조된 파일층을 포함한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그라운드 원사와 파일원사 간의 물리적 결합력이 우수하며, 파일원사의 섬유 배향성이 양호하여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성형성이 우수하여 제품 성형 시 다양한 형상의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 중앙을 절단하여 두 개의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후면에 BCF 원단이나 부직포 원단처럼 별도의 라텍스 처리가 필요 없어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에서 밴드나이프를 특정 각도범위로 연마하는 연마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파일원사를 절단하면서 동시에 밴드나이프를 연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원사의 섬도에 따라 상기 연마부의 연마석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밴드나이프를 날카롭게 연마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고리 형태로 엮여 횡렬과 종렬로 직조된 니트(knit)층; 및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복수의 파일원사가 직조된 파일(pile)층;을 포함하고, 상기 니트층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좌우 양쪽이 고리형태로 엮이거나, 한쪽만 고리형태로 엮인 것이고, 상기 파일층은 상기 니트층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복수의 파일원사가 엮여 직조된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의 좌우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가 좌우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 사진이다. 이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 원사를 좌우 고리구조로 엮으면 상기 니트층이 견고하게 직조되고 상기 파일원사는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고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원단 표면의 부드러운 터치감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a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가 단면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원사가 단면 고리구조로 엮인 니트층 사진이다. 이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 원사를 단면 고리구조로 엮으면 상기 니트층의 신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부드러운 원단 쿠션감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 또는 파일원사는 직물을 직조하기 위한 실이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는 파일 니트 원단의 직조된 바닥면을 이루는 실을 의미한다. 상기 파일원사는 직조된 니트층의 표면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실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니트 원단의 단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 3의 (a)는 상기 파일원사가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고리에 엮여 직조된 파일층을 보여주고 있고, (b)는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직조된 니트층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상기 니트층 및 파일층이 촘촘하게 직조되어 물리적 결합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 또는 파일원사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양모(wo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는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1 m 당 250 ~ 950개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라운드 원사 고리가 1 m 당 250개 미만이면 파일층의 파일원사 간격이 너무 넓어 원단 구조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한다. 반대로, 1 m 당 950개 초과이면 파일층의 파일원사 간격이 너무 조밀하여 직조가 불가능하다.
상기 니트층은 그라운드 원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그라운드 원사는 섬도가 50~200 데니어(Denier, D)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섬도가 50 데니어 미만이면 상기 그라운드 원사가 약해서 원단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섬도가 200 데니어 초과이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제직장치의 니들(Needle) 간격 보다 그라운드 원사가 굵어서 원활하게 제직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라운드 원사는 섬도가 100~150 데니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트층은 두께가 0.1~2 mm이고, 면중량이 40~200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니트층은 두께가 0.1 mm 미만이면 상기 니트층이 너무 약하여 원단 강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2 mm 초과이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원단 조직이 너무 경화되어 제품 성형 시에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트층의 면중량이 40 g/m2 미만이면 직조된 원단 형태가 엉성하여 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니트층의 면중량이 200 g/m2 초과이면 원단을 촘촘하게 직조하여 강성은 향상될 수 있으나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원단 중량이 증가하며 원단 조직 경화에 의한 신율 저하로 제품 성형 시에 불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니트층의 면중량은 70~100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원사는 원사 1 가닥 당 10~140 가닥의 필라멘트(Filament)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라멘트는 섬도가 3~25 데니어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사 1 가닥 당 필라멘트의 수가 10 가닥 미만이면 원단의 표면이 거칠어 부드러운 터치감을 구현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원사 1 가닥 당 필라멘트의 수가 140 가닥 초과이면 원사의 섬도가 너무 낮아서 원단 표면의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사 1 가닥 당 필라멘트의 수가 10~50 가닥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30 가닥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가 3 데니어 미만이면 원사의 섬도가 너무 낮아서 원단 표면의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가 25 데니어 초과이면 원단의 표면이 거칠어 부드러운 터치감을 구현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라멘트의 섬도가 5~17 데니어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10 데니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층은 부드러운 쿠션감 및 터치감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파일원사는 길이가 2~10 mm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2 mm 미만이면 섬유 길이가 너무 짧아 표면이 거칠어져 터치감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10 mm 초과이면 마모가 불리하고 터치 자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원단의 중량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원사 길이는 3~5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층은 두께가 1~9 mm이고, 면중량이 100~600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층은 두께가 1 mm 미만이면 원단의 쿠션감이 부드럽지 않을 수 있고, 반대로 두께가 9 mm 초과이면 원단의 중량이 증가하여 부품 전체 중량이 증가하며 제조 원가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층의 면중량이 100 g/m2 미만이면 원단 쿠션감이 구현되지 못하며 원단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파일층의 면중량이 600 g/m2 초과이면 부품 전체 중량이 증가로 인하여 연비 저하가 우려되고 제조 원가가 지나치게 상승될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은 면중량이 200~700 g/m2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면중량이 200 g/m2 미만이면 원단 표면층이 충분히 구성되지 않아 표면 내마모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면중량이 700 g/m2 초과이면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부품 전체 중량 과다로 인한 연비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은 면중량이 260~370 g/m2인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20~360 g/m2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 및 복수의 파일원사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고리 형태로 엮어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고리에 상기 파일원사를 엮어 더블라셀 방식으로 이중 직조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를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를 브러싱(Brushing)하는 단계; 및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 및 복수의 파일원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원사 또는 파일원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및 양모(wo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직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도 1a, 1b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 원사를 좌우 고리구조로 엮어 직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a, 2b와 같이 상기 그라운드 원사를 단면 고리구조로 엮어 직조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더블라셀 방식으로 그라운드 원사가 직조된 2개의 니트층과 상기 니트층 사이는 파일원사로 연결된 이중 직조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원사는 상하로 교차하여 상기 니트층의 각 그라운드 원사의 고리에 엮여서 직조될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2~10 mm가 되도록 하여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원단의 쿠션감 및 터치감을 고려하여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2~10 mm가 되도록 하여 절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2~10 mm일 때, 요구되는 물성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러운 원단의 쿠션감 및 터치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를 통해 제조된 이중 직조 원단의 양면 사이에 위치하는 파일원사를 절단함으로써 2장의 파일 니트 원단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단순히 단면을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약 1.7배 이상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브러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절단된 파일 니트 원단을 400~800 rpm의 회전수 및 4~10 m/min의 속도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브러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브러싱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를 브러쉬로 정돈하여 섬유의 배향성을 고르게 함으로써 파일원사의 터치감 및 쿠션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열처리는 110~200 ℃의 온도에서 2~1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처리 온도가 110 ℃ 미만이면 상기 파일층 표면의 열 세팅(setting) 균일성이 저하되어 원단 표면 내 외관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열처리 온도가 200 ℃ 초과이면 상기 파일층의 파일원사가 열에 의해 일부 손상되어 터치감이 저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이용한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을 포함한다. 상기 내장재용 성형품은 러기지 트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성형품은 기재를 예열한 후 냉각 금형에 상기 예열된 기재와 파일 니트 원단을 적층 후 프레스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재만 예열되어 압착되므로 파일 니트 원단의 파일원사가 성형 중에 손상이 적어 터치감이나 외관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여 직조하되 고리형태로 얽히도록 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 파일원사로 연결된 이중 직조 원단(11)을 직조하는 직조부(10); 상기 직조부(10)로부터 제조된 이중 직조 원단(11)을 이송하는 원단 이송룰러(20, 30, 70); 상기 원단 이송룰러(20, 30, 70)로부터 이송된 이중 직조 원단(11)의 파일원사를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60)을 형성하는 절단부(50); 상기 파일 니트 원단(60)의 절단된 파일원사 표면을 브러싱하는 브러싱부(80); 및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60)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60)의 제조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 니트 원단(60)의 제조장치(100) 구조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직조부(10)를 통해 제조된 이중 직조 원단(11)을 원단 이송룰러(20, 30)에 의해 절단부(50)로 이송된다. 상기 절단부(50)에서는 상기 이중 직조 원단(11)의 파일원사를 밴드나이프(40)로 절단하고, 절단된 파일 니트 원단(60)은 양쪽의 원단 이송룰러들(7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60)은 파일원사 표면을 브러싱하기 위해 브러싱부(80)로 이송된다.
상기 절단부(50)는, 상기 이중 직조 원단(11)을 절단하는 밴드나이프(40); 상기 밴드나이프(40)를 연마하는 연마석(53); 상기 밴드나이프(40)를 위치시키는 구동풀리(51); 상기 구동풀리(51)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52); 및 상기 밴드나이프(40)를 고정시키는 고정축(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나이프(40)는 위치를 조절하여 절단되는 파일원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파일원사의 길이가 동일한 원단 2장 또는 파일원사의 길이가 서로 다른 원단 2장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드나이프(40)는 상기 이중 직조 원단(11)을 절단한 후 동시에 상기 밴드나이프(40)를 연마하는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마라 함은 원단을 절단하는 밴드나이프(40)의 끝부분을 연마하여 원단을 장시간 균일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연마석(53)은 연속 공정에 의해 원단을 절단하면서 무뎌지는 밴드나이프(40)를 연마하기 위해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석(53)은 45~55 °의 연마각에서 상기 밴드나이프(40)를 연마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연마각은 상기 파일원사의 필라멘트 섬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마각은 연마석(53) 아래 수평선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도(α)이며, 3~25 데니어의 섬도를 갖는 필라멘트를 절단하고 연마하는데 적합한 각도일 수 있다. 상기 밴드나이프(40)의 연마각이 45 °미만이면 연마가 약하여 원단의 파일층 표면이 불규칙하게 형성되고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밴드나이프(40)의 연마각이 55 °초과이면 연마가 과도하게 이루어져 마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연마로 나이프 교체가 자주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품질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상기 연마각은 상기 밴드나이프(40)의 연마 위치에 대해 두 개의 연마석(53)이 수직으로 접하도록 조절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50)는 상기 구동폴리 및 구동벨트(52)에 의해 상기 밴드나이프(40)가 회전하면서 원단의 투입속도 및 나이프의 연마각도에 따라 원단의 품질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브러싱부(80)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싱부(80)에서는 상기 절단부(50)를 통해 절단된 파일 니트 원단(60)의 파일원사 표면을 브러쉬로 브러싱하여 파일원사를 고르게 정돈할 수 있다.
기존의 원단 제조장치는 제직 속도가 시간 당 약 15 m인데 반해, 본 발명의 제조장치(100)는 시간 당 약 90 m의 원단을 제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 니트 원단(60)을 대략 1000 m를 생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67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중 직조 원단(11)을 39 시간 동안 제직하고, 이를 6 시간 동안 절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총 45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를 통해 단순히 단면을 직조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약 1.7 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운드 원사로는 섬도가 100 D인 PET 원사를 제조하였고, 파일원사로는 원사 1 가닥 당 10~20 가닥의 필라멘트를 사용하고, 상기 필라멘트는 섬도가 10 D인 PET 원사를 제조하였다. 원단 제직 장치의 직조부에 PET 원사를 끼워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여 고리형태를 만들어 직조하였다. 이때, 상기 고리형태에 얽힌 PET 파일원사를 4 mm 간격으로 상하로 왕복하여 니팅(Knitting) 방법에 의해 양면이 직조된 이중 직조 원단을 제작하였다. 그 다음 원단 이송룰러에 의해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을 절단부로 이동시켰다. 그런 다음 절단부의 밴드나이프로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 중앙을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였다. 상기 밴드나이프를 연마하는 연마석은 50 °의 연마각으로 조절하였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니트층은 두께가 1 mm이고, 면중량이 100 g/m2 이고, 상기 파일층은 두께가 3 mm이고, 면중량이 150 g/m2 였다.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를 브러쉬로 브러싱하였다. 이때, 상기 브러싱은 600 rpm의 회전수 및 6 m/min의 속도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브러싱하였다. 그 다음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170 ℃의 온도에서 4 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실시예 2~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되, 파일원사 및 그라운드 원사의 섬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섬도가 10 D 인 PET 원사로 이루어진 부직포 원단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PET 기포지에 섬도가 10 D인 PA6 원사가 직조된 BCF(Bulked Continuous Filament)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PET 기포지에 섬도가 10 D인 PET 원사가 직조된 BCF(Bulked Continuous Filament) 원단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원단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각 원단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평가방법]
1. 원단 기본 물성 평가
(1) 면중량 : 원단의 폭 및 길이 방향이 250㎜인 시험편을 3매 취하여, 0.01g의 단위까지 중량을 측정하여, 3개의 평균치를 구하여 g/㎡으로 표기
(2) 인장강도 : 폭 50 ㎜, 길이 250㎜인 시험편을 인장시험기(UTM)을 활용하여 200 ㎜/분 속도로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표기
(3) 신율 : 폭 50 ㎜, 길이 250㎜인 시험편을 인장시험기(UTM)을 활용하여 200 ㎜/분 속도로 인장하여 원단이 파단시 신율을 표기
2. 감성 품질 평가
(1) 마모 : TABER社 마모시험기를 활용하여 회전 횟수 100회, 하중 1kg, 마모륜 H-18로 하여 원단 마모시험 후 원단의 상태를 아래 기준으로 판단
1등급 : Pile 잘라짐, 마모가 심하고 마모면에서 심하게 파임이 있는것
2등급 : Pile 잘라짐, 빠짐 및 마모가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
3등급 : Pile 잘라짐, 마모가 약간 발생하지만, 눈에 띄지 않을 것
4등급 : Pile 잘라짐이 약간 발생된 것
5등급 : 전혀 마모가 확인되지 않을 것
(2) 터치감 : 손으로 원단 표면을 만저서 느껴지는 질감을 부드러움 및 거칠음으로 구분하여 하기 기준으로 판단함 (양호 5 ↔ 1 불리, 양호 : 부드러움, 불리 : 거칠음)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5의 경우 상기 비교예 1~3에 비해 면중량은 전체적으로 낮으면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수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신율이 80%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마모 및 터치감에서도 향상된 물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상기 실시예 4 및 5의 경우 파일원사의 길이가 길거나 PA6 및 PET 원사를 혼용하여 사용하게 되면 원가가 다소 상승하였으나, 상기 비교예 2에 비해 그 상승폭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상기 비교예 1의 경우, 기존의 PET 부직포 원단으로 원가는 저렴하였으나, 면중량은 높고 인장강도는 낮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낮은 인강강도로 인해 제품 성형 후 굴곡부에 니들펀치 자국이 노출되어 품질이 저하되었다. 이 밖에도 신율, 마모 및 터치감도 전체적으로 낮은 물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비교예 2, 3의 경우, 기포지 사용으로 면중량이 높아 경량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인장강도는 대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상기 실시예 1~5에 비해서는 좋치 않았다. 한편, 상기 비교예 2, 3은 제조원가가 가장 높게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5는 상기 비교예 1(a) 및 실시예 2(b)에서 제조된 원단의 마모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 5의 (a)는 마모시험 후 보플이 발생하고 파일원사가 잘라지는 현상이 다수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b)에서는 마모시험 후 별도의 보플이 생기거나 파일원사가 잘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부드러운 표면 질감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원단 타입에 따른 성형품의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 2의 원단을 이용하여 러기지 트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성형품에 대한 외관 및 오염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6~10에 나타내었다.
[물성평가 방법]
외관 및 오염도 : 원단(200 x 200㎜) 위에 모래 20 g 을 뿌린후 투입한 다음 자동차 用 핸드 청소기를 사용하여 왕복 1회 청소한 다음 모래 잔여량 육안 확인하였다. 평가결과는 ◎ : 매우 양호, ○: 양호, △: 불량, X: 매우 불량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의 결과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2의 경우 러기지 트림의 굴곡부가 노출되지 않아 성형외관이 매우 양호하였으며, 터치감도 전반적으로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었다. 또한 오염도 평가에서는 오염물이 대체로 쉽게 제거되었고, 면중량은 350 g/㎡으로 상기 비교예 1, 2에 비해 경량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상기 비교예 1은 굴곡부의 조밀도가 떨어져 외관이 좋지 않았으며, 터치감, 오염도 및 면중량에서 모두 수치가 낮거나 불량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러기지 트림의 일부에서 직조 패튼이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않았으며 터치감, 오염도 및 면중량에서도 상기 실시예 2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은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도 6에서는 상기 비교예 1 및 2에 비해 파일 니트 원단인 실시예 2의 파일원사가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는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원단의 오염도를 평가한 사진이다. 상기 도 7에서는 낮은 밀도의 부직포 표면에 존재하는 불규칙한 파일원사 사이에 모래 이물질이 파고들어 제거가 어려운 것을 보여준다.
도 8는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의 오염도를 평가한 사진이다.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비교예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로 직조되어 모래 이물질이 파일원사의 표면에만 잔류하여 이물질이 쉽게 제거된 것을 보여준다.
도 9은 상기 비교예 2(a)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비교예 2의 원단에 비해 상기 실시예 2의 원단이 상대적으로 터치감이 부드러우며 외관이 고급스러운 것을 확인하였다.
도 10은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러기지 트림을 성형한 사진이다. 상기 도 10의 비교예 1의 경우 러기지 트림의 굴곡부에서 부직포가 벌어지면서 기재 노출로 인해 품질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2의 경우 기포지에 직조한 패튼이 일부 노출되어 외관 상 좋지 않을 것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예 2의 경우 전체적으로 부품의 외관이 양호하며 육안으로 볼 때 고급스러움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표면 터치감이 우수하여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00: 파일 니트 원단 제조장치
10: 직조부
11: 이중 직조 원단
20, 30, 70: 원단 이송롤러
40: 밴드나이프
50: 절단부
51: 구동풀리
52: 구동벨트
53: 연마석
54: 고정축
60: 파일 니트 원단
80: 브러싱부

Claims (17)

  1.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고리 형태로 엮여 횡렬과 종렬로 직조된 니트(knit)층; 및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복수의 파일원사가 직조된 파일(pile)층;
    을 포함하고,
    상기 니트층은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가 좌우 양쪽이 고리형태로 엮이거나, 한쪽만 고리형태로 엮인 것이고,
    상기 파일층은 상기 니트층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에 복수의 파일원사가 엮여 직조된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원사 또는 파일원사는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양모(wo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층의 그라운드 원사 고리는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1 m당 250 ~ 950개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원사는 섬도가 50~200 데니어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트층은 두께가 0.1~2 mm이고, 면중량이 40~200 g/m2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사는 원사 1 가닥 당 10~140 가닥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라멘트는 섬도가 3~25 데니어(Denier)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원사는 길이가 2~10 mm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은 두께가 1~9 mm이고, 면중량이 100~600 g/m2 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은 면중량이 200~700 g/m2인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10.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 및 복수의 파일원사를 각각 준비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고리 형태로 엮어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도록 직조하는 단계;
    상기 그라운드 원사의 고리에 상기 파일원사를 엮어 더블라셀 방식으로 이중 직조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를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를 브러싱(Brushing)하는 단계; 및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파일원사의 길이가 2~10 mm가 되도록 하여 절단하는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절단된 파일 니트 원단을 400~800 rpm의 회전수 및 4~10 m/min의 속도로 브러쉬를 회전시켜 브러싱하는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단계에서 열처리는 110~200 ℃의 온도에서 2~10 분 동안 수행하는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방법.
  14. 복수의 그라운드 원사를 횡렬 및 종렬로 교차하여 직조하되 고리형태로 얽히도록 하여 상하로 왕복 운동하여 파일원사로 연결된 이중 직조 원단을 직조하는 직조부;
    상기 직조부로부터 제조된 이중 직조 원단을 이송하는 원단 이송룰러;
    상기 원단 이송룰러로부터 이송된 이중 직조 원단의 파일원사를 절단하여 파일 니트 원단을 형성하는 절단부;
    상기 파일 니트 원단의 절단된 파일원사 표면을 브러싱하는 브러싱부; 및
    상기 브러싱된 파일 니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열처리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이중 직조 원단을 절단하는 밴드나이프;
    상기 밴드나이프를 연마하는 연마석;
    상기 밴드나이프를 위치시키는 구동풀리;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구동벨트; 및
    상기 밴드나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축;
    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은 45~55 °의 연마각에서 상기 밴드나이프를 연마하는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싱부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KR1020180173372A 2018-12-31 2018-12-31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KR202000826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372A KR20200082624A (ko) 2018-12-31 2018-12-31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US16/667,384 US20200208309A1 (en) 2018-12-31 2019-10-29 Pile knit fabric for interior materials of vehicle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achine of pile knit fabr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372A KR20200082624A (ko) 2018-12-31 2018-12-31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70529A Division KR20240082319A (ko) 2024-05-30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624A true KR20200082624A (ko) 2020-07-08

Family

ID=7112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372A KR20200082624A (ko) 2018-12-31 2018-12-31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208309A1 (ko)
KR (1) KR202000826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59A (ko) 2010-01-28 2011-08-03 주식회사 엔티포리머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68435B2 (en) * 2001-01-09 2003-12-30 Milliken & Company Loop pile fabric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WO2013011643A1 (ja) * 2011-07-18 2013-01-24 株式会社大和 マット
CN104903086A (zh) * 2012-09-10 2015-09-09 Mmi-Ipco有限责任公司 隔热复合织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59A (ko) 2010-01-28 2011-08-03 주식회사 엔티포리머 자동차 내장재용 부직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08309A1 (en)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3394B2 (ja) 多成分スパンボンド不織布、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
CN104074005A (zh) 用于汽车应用的簇绒地毯
US6063473A (en) Abrasion-resistant composite sheet
JPH08260303A (ja) 二次成形しうる熱安定性化可能な編織布パイル材料
JP6691913B2 (ja) エンボス加工用複合材およびエンボス加工品
US20240123573A1 (en) Abrasive belt grinding product
CN1754996B (zh) 具有突出绒毛的三维织物、保养和/或清洁工具及制造方法
KR20160137579A (ko) 인공 피혁과 그의 제조 방법
TWI735716B (zh) 絨毛狀人工皮革、聚酯纖維、及不織布
US6423393B1 (en) Abraded stitchbonded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same
KR20200082624A (ko)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및 파일 니트 원단의 제조장치
KR20240082319A (ko) 자동차의 내장재용 파일 니트 원단, 그 제조방법
US20110003536A1 (en) Polishing Pa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10385653B (zh) 圆盘形砂盘磨削制品
TW202016386A (zh) 片狀物及其製造方法
US672027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spun-bonded nonwoven web with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TWI765851B (zh) 磨擦帶研磨產品
JP7405310B1 (ja) 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乗物用内装材、座席
JP2008127705A (ja) ポリプロピレンマルチフィラメント繊維を用いた繊維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4029215A1 (ja) 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乗物用内装材、座席
US20230249317A1 (en) Abrasive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brasive product
KR101366799B1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00282631A1 (en) Embossing Die, Embossing Apparatus And Embossing Method
JP5363057B2 (ja) 研磨用布帛およびその製法
US2003017613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pun-bonded nonwoven web with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