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501A -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501A
KR20200082501A KR1020180173137A KR20180173137A KR20200082501A KR 20200082501 A KR20200082501 A KR 20200082501A KR 1020180173137 A KR1020180173137 A KR 1020180173137A KR 20180173137 A KR20180173137 A KR 20180173137A KR 20200082501 A KR20200082501 A KR 20200082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emitting
disposed
emitting device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704B1 (ko
Inventor
박준원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7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009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01L27/3293
    • H01L51/523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8Tiled displays
    • H01L2251/5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발광장치 및 제1 발광장치의 일 측과 접하고, 제2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제1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1 기판 및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제2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3 기판 및 제3 기판과 마주보는 제4 기판을 포함하며, 제1 기판과 제3 기판은 서로 인접하되, 제1 기판과 제3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고, 제2 기판과 제4 기판은 서로 인접하되 제2 기판과 제4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표시영역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대면적의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까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고, 스마트폰, 노트북, TV,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명 장치로는 LED를 이용한 조명 장치,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대면적의 전자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거나, 조명 장치를 연결하여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조명 장치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서로 다른 패널 사이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넓고, 조명 장치의 경우, 서로 다른 조명 장치 사이에서 발광되지 않는 영역이 넓어, 사용자가 서로 다른 패널 사이와 서로 다른 조명 장치 사이의 경계를 인식하게 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완전한 영상 또는 완전한 조명으로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자연스러운 표시영역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대면적의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표시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수분 및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전자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비 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제1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된 제1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발광장치 및 제1 발광장치의 일 측과 접하고,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 및 제2 표시영역 주변부에 배치된 제2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제1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1 기판 및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제2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3 기판 및 제3 기판과 마주보는 제4 기판을 포함하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에서 연장되되,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3 기판 및 제4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3 두께를 갖는 제3 부분과, 제3 부분에서 연장되되, 제3 두께보다 얇은 제4 두께를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의 제2 부분 상에 제3 기판의 제4 부분이 배치되고, 제2 기판의 제2 부분 상에 제4 기판의 제4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판의 제4 부분은, 제1 기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되고, 제4 기판의 제4 부분은, 제2 기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1 비 표시영역에 구비되고, 제3 및 제4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2 비 표시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판 각각의 제1 부분은 제1 표시영역으로 연장되고, 제3 및 제4 기판 각각의 제3 부분은 제2 표시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기판의 제2 부분과 제3 기판의 제4 부분 사이와, 제2 기판의 제2 부분과 제4 기판의 제4 부분 사이에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고, 다수의 입자는 제1 내지 제4 기판의 물질과 대응되는 물질일 수 있다.
제1 기판의 제2 부분과 제3 기판의 제4 부분이 중첩된 영역과, 제2 기판의 제2 부분과 제4 기판의 제4 부분이 중첩된 영역에서, 제1 및 제3 기판과 제2 및 제4 기판 사이에 충진층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부분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상에 배치된 캐핑층, 캐핑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봉지층 및 제1 및 상기 제3 기판 각각에 배치되되, 봉지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접착층의 적어도 일 측면은 비 평탄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발광장치는 제1 비 발광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부를 포함하고, 제2 발광장치는 제2 비 발광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제1 발광장치 및 제2 발광장치가 미 중첩된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발광장치의 타 측과 접하는 제3 발광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1 발광장치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타 단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제3 발광장치의 제5 기판과 제6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5 두께를 갖는 제5 부분과 제5 부분에서 연장되되, 제5 두께보다 얇은 제6 두께를 갖는 제6 부분을 포함하며, 제1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 상에 제5 기판의 제6 부분이 배치되고, 제2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 상에 제6 기판의 제6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제1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된 제1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발광장치 및 제1 발광장치의 일 측과 접하고,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 및 제2 표시영역 주변부에 배치된 제2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제1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1 기판 및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제2 발광장치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3 기판 및 제3 기판과 마주보는 제4 기판을 포함하며, 제1 기판과 제3 기판은 서로 인접하되, 제1 기판과 제3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고, 제2 기판과 제4 기판은 서로 인접하되 제2 기판과 제4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표시영역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대면적의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수분 및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전자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비 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조명장치일 경우,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조명장치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는 도 1의 전자장치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Y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는 도 12에 도시된 전자장치를 형성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성 요소들을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일 뿐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구성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또는 분리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는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제1 발광장치(LD1) 및 제1 발광장치(LD1)와 연결된 제2 발광장치(LD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발광장치(LD2)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또는 조명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장치(ED)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들이 배치된 하부 기판(SUBB) 및 하부 기판(SUBB)과 대향하는 상부 기판(SUBT)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부 기판(SUBB)은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기판(SUB1)과 제2 발광장치(LD2)의 제3 기판(SUB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기판(SUBT)은 제1 발광장치(LD1)의 제2 기판(SUB2)과 제2 발광장치(LD2)의 제4 기판(SUB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기판(SUB1)의 적어도 일단은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에서 연장되되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장치(LD2)의 제3 기판(SUB3)의 적어도 일 단은 제3 두께(T3)를 갖는 제3 부분과, 제3 부분(P3)에서 연장되되 제3 두께(T3)보다 얇은 제4 두께를(T4)를 갖는 제4 부분(P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 상에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은 제1 기판(SUB1)의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이 중첩된 영역에서,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의 제2 두께(T2)와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의 제4 두께((T4)의 합은 제1 기판(SUB1)의 제1 두께(T1) 및 제2 기판(SUB2)의 제3 두께(T3)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에 따라 제2 두께(T2)와 제4 두께의 합은 제1 두께(T1) 또는 제3 두께(T3)보다 크거나 작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발광장치(LD1)의 제2 기판(SUB1)의 적어도 일단은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에서 연장되되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부분(P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장치(LD2)의 제4 기판(SUB3)의 적어도 일 단은 제3 두께(T3)를 갖는 제3 부분과, 제3 부분(P3)에서 연장되되 제3 두께(T3)보다 얇은 제4 두께를(T4)를 갖는 제4 부분(P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장치(LD1)의 제2 기판(SUB1)의 제2 부분(P2) 상에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은 제1 기판(SUB1)의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기판(SUB1)과 제4 기판(SUB3)이 중첩된 영역에서, 제2 기판(SUB1)의 제2 부분(P2)의 제2 두께(T2)와 제4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의 제4 두께((T4)의 합은 제2 기판(SUB1)의 제1 두께(T1) 및 제4 기판(SUB2)의 제3 두께(T3)와 각각 대응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제1 발광장치(LD1)는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의 제2 전극(E21) 상에 배치된 제1 캐핑층(CPL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핑층(CPL1)은 제1 유기발광소자(OLED1)의 제2 전극(E21)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캐핑층(CPL1)은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캐핑층(CPL1) 상에는 제1 봉지층(ENCAP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봉지층(ENCAP1)은 제1 캐핑층(CPL1) 및 제2 전극(E21)을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봉지층(ENCAP1)은 SiOx나 SiNx 등의 무기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봉지층(ENCAP1)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봉지층(ENCAP1) 상에는 제1 접착층(AF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F1)은 제1 봉지층(ENCAP1)을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착층(AF1)은, 제1 접착층(AF1)에 배치된 제2 기판(SUB2)을 제1 봉지층(ENCAP1)이 배치된 제1 기판(SUB1) 상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에 수분 또는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층(AF1) 뿐만 아니라, 제1 캐핑층(CPL1), 제1 봉지층(ENCAP1) 및 제2 기판(SUB1)은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에 수분 또는 이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장치(LD2) 역시 제1 발광장치(LD1)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발광장치(LD2)는 다수의 제2 유기발광소자(OLED2)의 제2 전극(E22) 상에 배치된 제2 캐핑층(CPL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핑층(CPL2) 상에는 제2 봉지층(ENCAP2)이 배치되되, 제2 캐핑층(CPL2) 및 제2 유기발광소자(OLED2)의 제2 전극(E22)을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봉지층(ENCAP2) 상에는 제2 접착층(AF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착층(AF2)은 제2 봉지층(ENCAP2)을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제2 봉지층(ENCAP2) 상에는 제4 기판(SUB2)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이 중첩되고, 제2 기판(SUB1)과 제4 기판(SUB3)이 중첩된 영역에서, 전자장치(ED)의 하부 기판(SUBB)과 상부 기판(SUBT) 사이에는 충진층(FIL)이 배치될 수 있다.
충진층(FIL)을 통해, 제1 발광장치(LD1)와 제2 발광장치(LD2)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 공간을 메우는 동시에, 이격 공간을 통해 침투될 수 있는 수분 등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ED)는 다수의 표시영역(AA1, AA2) 및 다수의 비 표시영역(NA1, NA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장치(LD1)는 제1 표시영역(AA1) 및 제1 표시영역(AA1) 주변부에 배치된 제1 비 표시영역(NA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장치(LD2)는 제2 표시영역(AA2) 및 제2 표시영역(AA2) 주변부에 배치된 제2 비 표시영역(N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표시영역(AA1)은 다수의 제1 발광부(E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장치(LD2)의 제2 표시영역(AA2)은 다수의 제2 발광부(E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AA1)은 제1 전극(E11), 유기층(EL11) 및 제2 전극(E21)을 포함하는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영역(AA2)은 제1 전극(E12), 유기층(EL12) 및 제2 전극(E22)을 포함하는 다수의 제2 유기발광소자(OLE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영역(AA1)에 포함된 다수의 제1 발광부(EA1)는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의 구성 중 제1 전극(E11)과 유기층(EL11)이 접촉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영역(AA2)에 포함된 다수의 제2 발광부(EA2)는 다수의 제2 유기발광소자(OLED2)의 구성 중 제1 전극(E12)과 유기층(EL12)이 접촉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표시영역(AA1)의 주변에는 제1 비 표시영역(NA1)이 배치되고, 제2 표시영역(AA2)의 주변에는 제2 비 표시영역(NA2)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제1 비 표시영역(NA1)과 제2 비 표시영역(NA2)이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 표시영역(NA1)과 제2 비 표시영역(NA2)이 중첩된 영역은 제1 기판(SUB1) 및 제3 기판(SUB3)이 중첩되고, 제2 기판(SUB2)과 제4 기판(SUB4)이 중첩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과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이 중첩된 영역은 제1 및 제2 비 표시영역(NA1, NA2)이 중첩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SUB2)의 제2 부분(P2)과 제4 기판(SUB4)의 제4 부분(P4)이 중첩된 영역 역시, 제1 및 제2 비 표시영역(NA1, NA2)이 중첩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제2 부분(P2)에서 연장된 제1 부분(P1)은 제1 비 표시영역(NA1)에서 제1 표시영역(AA1)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장치(LD2) 의 제3 및 제4 기판(SUB3, SUB4)의 제4 부분(P4)에서 연장된 제3 부분(P3)은 제2 비 표시영역(NA2)에서 제2 표시영역(AA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제1 발광장치(LD1)과 제2 발광장치(LD2) 각각의 비 표시영역이 중첩되는 구조이므로, 제1 발광장치(LD1)와 제2 발광장치(LD2)가 중첩된 영역을 포함하는 비 표시영역의 폭은 제1 발광장치(LD1)와 제2 발광장치(LD2) 각각의 비 표시영역의 폭의 합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다수의 발광장치(LD1, LD2)가 연결된 구조에서, 비 표시영역의 폭이 매우 좁아, 다수의 발광장치(LD1, LD2)가 연결된 부분에서도 자연스러운 표시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다수의 유기발광소자(OLED1, OLED2)들을 보호하는 캐핑층(CPL1, CPL2), 봉지층(ENCAP1, ENCAP2) 및 접착층(AF1, AF2)들을 구성을 삭제하지 않더라도, 비 표시영역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제1 기판(SUB1) 상에 제1 유기발광소자(OLED1)가 배치되고, 제3 기판(SUB3) 상에 제2 유기발광소자(OLED2)가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유기발광소자(OLED1, OLED2)와 연결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 상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에서,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이 중첩에서,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CP)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CP)에는 다수의 입자(GP)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 각각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CP)에 포함된 다수의 입자(GP)는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의 물질과 대응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연결부(CP)에 포함된 다수의 입자(GP)는 유리 입자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을 연결해주는 연결부(CP)에 다수의 입자(GP)가 포함됨으로써,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이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의 적어도 일 측의 모서리는 라운드(Round)진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 및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의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 사이의 구조만을 도시하였으나, 제2 및 제4 기판(SUB1, SUB2) 사이의 구조 역시 도 2에 도시된 구조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제1 및 제2 접착층(AF1, AF2)의 측면이 편평하게 이루어진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착층(AF1, AF2)의 적어도 일 측면은 비 평탄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층(AF1, AF2)의 측면이 비 평탄한 부분은 충진층(FIL)이 메울 수 있다. 이에,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사이에 이격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에 포함된 다수의 제1 및 제2 유기발광소자(OLED1, OLED2)에 수분 등이 침투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패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도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의 평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구성, 효과 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적어도 2개의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ED)는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장치(LD1)는 제1 표시영역(AA1)과, 제1 표시영역(AA1)을 둘러싸는 제1 비 발광영역(NA1)을 포함하고, 제2 발광장치(LD2)는 제2 표시영역(AA2)과, 제2 표시영역(AA2)을 둘러싸는 제2 비 발광영역(NA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패드부(PAD1, PAD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패드부(PAD1)는 제1 비 발광영역(NA1)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발광장치(LD2)의 제2 패드부(PAD2)는 제2 비 발광영역(NA2)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드부(PAD1)에는 다수의 제1 집적회로(IC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1 집적회로(IC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인쇄회로기판(PCB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PCB1)을 통해 다수의 제1 집적회로(IC1)로 신호가 인가될 수 있고, 다수의 제1 집적회로(IC1)를 통해 제1 발광장치(LD1)에 신호가 인가되면, 제1 표시영역(AA1)에 포함된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가 발광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드부(PAD2)에는 다수의 제2 집적회로(IC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수의 제2 집적회로(IC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인쇄회로기판(PCB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PCB2)을 통해 다수의 제2 집적회로(IC2)로 신호가 인가될 수 있고, 다수의 제2 집적회로(IC2)를 통해 제2 발광장치(LD2)에 신호가 인가되면, 제2 표시영역(AA2)에 포함된 다수의 제2 유기발광소자(OLED2)가 발광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각각은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가 연결된 일 측과 반대 측에 제1 및 제2 패드부(PAD1, PAD2)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가 연결된 영역에서,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는 패드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각각은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가 연결된 일 측과 반대 측에 제1 및 제2 패드부(PAD1, PAD2)를 구비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의 제1 및 제2 패드부(PAD1, PAD2)는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가 연결된 일 측이 아닌 다른 측면에 구비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ED)가 표시장치일 경우, 제1 발광장치(LD1)는 제2 발광장치(LD2)와 연결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에서 다수의 패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장치(LD2)는 제1 발광장치(LD1)와 연결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에서 다수의 패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의 적어도 하나의 패드부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패드부는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의 적어도 일 측에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ED)가 2개의 발광장치(LD1, LD2)를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가 조명장치일 경우, 조명장치의 표시영역의 개략적인 평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표시영역(AA)에는 다수의 보조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보조 전극(AE)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보조 전극(AE1)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2 보조 전극(AE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제1 보조 전극(AE1)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보조 전극(AE2)들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전극(EA)은 표시영역(AA) 전체에 걸쳐 얇은 폭의 매트릭스 형상, 메쉬(Mesh) 형상, 육각형이나 팔각형 형상, 또는 원 형상 등으로 배치되어 표시영역(AA) 전체의 유기발광소자의 제1 전극(EA1)에 균일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조명 장치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조 전극(AE)이 메쉬 형상으로 배치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조 전극(AE)은 적어도 2개의 제1 보조 전극(AE1)과 적어도 2개의 제2 보조 전극(AE2)이 배열되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OPN)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의 기판 상에는 이러한 보조 전극(AE)의 일부와 중첩되는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E1)의 일부는 보조 전극(AE)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보조 전극(AE)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부분(EP1)부분과, 제1 부분(EP1)과 연결되되 제1 부분(EP1)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부분(EP2) 및 제2 부분(EP2)과 연결되되 플레이트 형상인 제3 부분(EP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분(EP2)은 제3 부분(EP3)과 연결되되, 제3 부분(EP3)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1 부분(EP1)은 제2 부분(EP2)과 연장되되 제2 부분(EP2)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전극(AE)과 중첩하고, 제1 전극(E1)의 일부와 중첩되는 절연막(INS)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막(INS)은 SiOx나 SiNx 등의 무기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물질 및 유기물질의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절연막(INS)은 보조 전극(AE)과 중첩하면서, 보조 전극(AE)에 의해 마련된 개구부(OPN)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막(INS)은 제1 전극(E1)의 제1 부분(EP1) 및 제2 부분(EP2)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절연막(INS)은 제1 전극(E1)의 제3 부분(EP3)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절연막(INS)은 제3 부분(EP3)의 일부와 미 중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영역(AA)에 배치된 절연막(INS)은 보조 전극(AE) 및 보조 전극(AE) 상부에 배치된 제1 전극(E1)을 덮도록 구성되나, 유기발광소자(OLED)의 광이 발광하는 발광부(EA)에는 절연막(INS)이 배치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표시영역(NA)의 비 발광부(NEA)에는 절연막(INS)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절연막(INS)은 표시영역(AA) 내의 발광부(EA)와 비 발광부(NEA)를 구분하는 구성일 수 있다.
특히, 표시영역(AA)의 절연막(INS)은 보조 전극(AE)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보조 전극(AE)에 의한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이후 형성되는 구성들이 단선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막(INS)이 배치된 기판 상에는 유기발광소자(OLED)의 유기층(EL) 및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전극(E2) 상에는 캐핑층(CPL), 봉지층(ENCAP), 접착층(AF) 및 금속 필름(MF)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캐핑층(CPL), 봉지층(ENCAP), 접착층(AF) 및 금속 필름(MF)은 유기발광소자(OLED)에 수분 또는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표시영역(AA)의 외곽에 배치된 비 표시영역(NA)에서 패드부(PAD)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부(PAD)에는, 기판(SUB) 상에 배치된 제1 패드 전극(CA1)은 표시영역(A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CA1)은 표시영역(AA)의 보조 전극(AE)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일 수 있다.
패드부(PAD)에 배치된 제1 패드 전극(CA1) 상에는 제2 패드 전극(CA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CA1)과 제2 패드 전극(CA2)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패드 전극(CA2)은 표시영역(AA)으로 연장되어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1 전극(E1)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표시영역(AA)에 배치된 유기층(EL), 캐핑층(CPL), 봉지층(ENCAP), 접착층(AF) 및 금속 필름(MF)은 패드부(PAD)에 미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패드부(PAD)에 배치된 패드 전극들(CA1, CA2)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패드부(PAD)에 절연막(INS) 및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전극(E2)이 배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2 패드 전극(CA2) 상에 절연막(INS)이 배치되고, 절연막(INS) 상에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전극(E2)으로부터 연장된 다른 패드 전극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제2 패드 전극(CA2)과 제2 전극(E2)으로부터 연장된 제3 패드 전극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제2 패드 전극(CA2)은 표시영역(AA)에 배치된 제1 전극(E1)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이 아닌 제2 전극(E2)으로부터 연장된 구성일 수도 있다.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구성, 효과 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도 1의 전자장치(ED)와 비교하였을 때, 제1 발광장치(LD1)의 타 측에 제3 발광장치(LD3)가 더 연결된 것에 차이가 있다.
제3 발광장치(LD3)는 다수의 제3 유기발광소자(OLED3)가 배치된 제5 기판(SUB5) 및 제5 기판(SUB5)과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6 기판(SUB6)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발광장치(LD3)는 제5 기판(SUB5) 상에 배치된 다수의 제3 유기발광소자(OLED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3 유기발광소자 상에는 제3 캐핑층(CPL3), 제3 봉지층(ENCAP3) 및 제6 기판(SUB6)이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 각각의 타 단은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부분(P1) 및 제1 부분(P1)에서 연장되는 제2 부분(P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3 발광장치(LD3)의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 각각의 일 단은 제5 두께(T5)를 갖는 제5 부분(P5)과 제5 부분(P5)에서 연장되되, 제5 두께보다 얇은 제6 두께(T6)를 갖는 제6 부분(P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SUB1)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P2) 상에는 제5 기판(SUB5)의 일 단에 구비된 제6 부분(P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판(SUB2)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P2) 상에는 제6 기판(SUB6)의 제6 부분(P6)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5 기판(SUB5)의 제6 부분(P6)은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 상에 배치되되,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6 기판(SUB6)의 제6 부분(P6)은 제2 기판(SUB1)의 제2 부분(P2) 상에 배치되되,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타 단이 'ㄴ'자 형상이고,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의 일 단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기판(SUB1)의 타 단과 인접한 제5 기판(SUB5)이 서로 맞물리고, 제2 기판(SUB2)의 타 단과 제6 기판(SUB6)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일 단 역시 'ㄴ'자 형상이고, 제3 및 제4 기판(SUB3, SUB4)의 일 단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 기판(SUB1)의 일 단과 인접한 제3 기판(SUB3)이 서로 맞물리고, 제2 기판(SUB2)의 일 단과 인접한 제4 기판(SUB4)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일 단과 타 단이 'ㄴ'자 형상이고,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의 일 단이 'ㄱ'자 형상이며 제3 및 제4 기판(SUB3, SUB4)의 일 단이 'ㄱ'자 형상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일 단과 타 단이 'ㄱ'자 형상이고,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과 체결되는 제3 및 제4 기판(SUB3, SUB4)의 일 단과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의 일 단이'ㄴ'자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기판(SUB1)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P2)과 제5 기판(SUB5)의 제6 부분(P6)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SUB2)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P2)과 제6 기판(SUB6)의 제6 부분(P6)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할 수 있다.
각 기판들 사이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자는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과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의 물질과 대응되는 물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SUB1)과 제5 기판(SUB5) 사이 및 제2 기판(SUB2)과 제6 기판(SUB6) 사이에는 연결부가 배치되고, 연결부에 다수의 입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과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는 유기 기판일 수 있다. 이에, 다수의 입자는 다수의 유리 입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의 모서리와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의 일 단에 구비된 제6 부분(P6)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타 단에 구비된 제2 부분의 모서리와 제5 및 제6 기판(SUB5, SUB6)의 일 단에 구비된 제6 부분(P6)의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어 각 기판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과 제5 기판(SUB5)의 제6 부분(P6)이 중첩된 영역과, 제2 기판(SUB2)의 제2 부분(P2)과 제6 기판(SUB6)의 제6 부분(P6)이 중첩된 영역에서, 제1 및 제5 기판(SUB1, SUB5)과 제2 및 제6 기판(SUB2, SUB6) 사이에 충진층(FIL)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다수의 발광장치(LD1, LD2, LD3)가 연결된 구조에서, 비 표시영역의 폭이 매우 좁아, 다수의 발광장치(LD1, LD2, LD3)가 연결된 부분에서도 자연스러운 표시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및 제3 발광장치(LD2, LD3)의 적어도 하나의 패드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장치(LD1)의 적어도 하나의 패드부는 제1 발광장치(LD1)가 제2 및 제3 발광장치(LD2, DL3)와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일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장치(ED)를 형성하는 공정들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내지 도 12은 도 1의 전자장치를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기판(SUB1)의 일 단은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에서 연장되되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부분(P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SUB1) 상에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 제1 캐핑층(CPL1), 제1 봉지층(ENCAP1) 및 제1 접착층(AF1)이 차례로 형성된다.
이후, 제1 접착층(AF1) 상에 일 단은 제1 두께(T1)를 갖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에서 연장되되 제1 두께(T1)보다 얇은 제2 두께(T2)를 갖는 제2 부분(P2)을 구비하는 제2 기판(SUB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공정을 통해, 제2 발광장치(LD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발광장치(LD2)의 제3 및 제4 기판(SUB3, SUB4)의 일 단은 제3 두께(T3)를 갖는 제3 부분(P3)과, 제3 부분(P3)에서 연장되되 제3 두께(T3)보다 얇은 제4 두께(T4)를 갖는 제4 부분(P4)을 구비할 수 있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기판(SUB1, SUB2)의 제2 부분(P2) 상에 추후 연결부가 되는 접착 물질(CPM)이 도포될 수 있다.
접착 물질(CPM)이 도포된 제1 기판(SUB1)의 제2 부분(P2) 상에 제3 기판(SUB3)의 제4 부분(P4)이 배치되고, 접착 물질(CPM)이 도포된 제2 기판(SUB1)의 제2 부분(P2) 상에 제4 기판(SUB4)의 제4 부분(P4)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이 중첩된 영역에 레이저 웰딩(Laser Welding) 공정이 적용되고, 제2 및 제4 기판(SUB2, SUB4)이 중첩된 영역에 레이저 웰딩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레이저 웰딩 공정 후, 접착 물질(CPM)은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연결부(CP)가 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SUB1)의 일 단과 제3 기판(SUB3)의 일 단이 연결되고, 제2 기판(SUB2)의 일 단과 제4 기판(SUB4)의 일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장치(LD1) 또는 제2 발광장치(LD2)의 일 측면으로 미세 관(MT)이 삽입될 수 있다.
미세 관(MT)에는 충진층을 구성하는 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광장치(LD2)의 일 측면에서 제2 접착층(AF2)으로 미세 관(MT)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관(MT)을 통해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사이의 공간에 충진층 물질(FILM)이 채워질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제2 접착층(AF2)의 일 측면으로 하나의 미세 관(MT)이 삽입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두 개 이상의 미세 관(MT)을 삽입하여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사이에 충진층 물질(FILM)을 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미세 관(MT)을 이용할 경우,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사이에 발생된 공간에
두 개의 미세 관(MT) 각각을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의 제1 및 제2 접착층(AF1, AF2)의 일 측면의 중앙부에 삽입하여 충진층 물질(FILM)을 각 발광장치(LD1, LD2)들의 기판 방향으로 도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발광장치(LD2)의 일 측면에서 제2 접착층(AF2)으로 미세 관(MT)이 삽입되고, 미세 관(MT)이 삽입된 전자장치(ED)의 반대 측에서 진공 흡입하면, 미세 관(MT)에 존재하던 충진층 물질(FILM)이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과 제2 및 제4 기판(SUB2, SUB4)의 사이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될 수 있다.
이후, 지속적으로 진공 흡입 공정을 진행하면, 제1 발광장치(LD1)와 제2 발광장치(LD2)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의 표면장력으로 인해 제2 및 제4 기판(SUB2, SUB4)의 일면까지 충진층 물질(FILM)이 빨려올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1 발광장치(LD1)와 제2 발광장치(LD2) 사이에 충진층 물질(FILM)이 채워지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UV)을 이용하여 충진층 물질(FILM)을 경화시켜, 충진층(FIL)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구조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Y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구성, 효과 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ED)는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장치(LD1)는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가 배치된 제1 기판(SUB1) 및 제1 기판(SUB1)과 마주보는 제2 기판(SUB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장치(LD2)는 다수의 제2 유기발광소자(OLED2)가 배치된 제3 기판(SUB3) 및 제3 기판(SUB3)과 마주보는 제4 기판(SUB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기판(SUB1)과 제2 발광장치(LD2)의 제3 기판(SUB3)은 서로 인접하고, 제1 발광장치(LD1)의 제2 기판(SUB2)과 제2 발광장치(LD2)의 제4 기판(SUB4)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 사이에는 적어도 한 층의 연결부(CP)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CP)는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CP)는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과 대응되는 물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입자(GP)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은 유리 기판일 수 있다. 즉, 연결부(CP)에 포함되는 다수의 입자(GP)는 다수의 유리 입자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기판(SUB2)과 제4 기판(SUB4) 사이에도 적어도 한 층의 연결부(CP)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CP)는 다수의 입자(GP)를 포함할 수 있다. 도한, 제2 기판(SUB2)과 제4 기판(SUB4)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제1 및 제3 기판(SUB1, SUB3)과 제2 및 제4 기판(SUB2, SUB4)이 인접하는 영역에서, 제1 및 제2 봉지층(ENCAP1, ENCAP2) 및 제1 및 제2 접착층(AF1, AF2)을 훼손하지 않는 정도에서 1 및 제3 기판(SUB1, SUB3)과 제2 및 제4 기판(SUB2, SUB4)의 폭을 짧게 할 경우,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의 경계 영역의 폭을 짧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장치(ED)는 다수의 발광장치(LD1, DL2)를 연결할 수 있으므로, 초대형 전자장치(ED)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ED)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는 도 12에 도시된 전자장치를 형성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발광장치(LD1)의 제1 기판(SUB1) 상에 다수의 제1 유기발광소자(OLED1), 제1 캐핑층(CPL1), 제1 봉지층(ENCAP1), 제1 접착층(AF1) 및 제2 기판(SUB2)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장치(LD2)의 제3 기판(SUB3) 상에 다수의 제2 유기발광소자(OLED2), 제2 캐핑층(CPL2), 제2 봉지층(ENCAP2), 제2 접착층(AF2) 및 제4 기판(SUB4)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 사이에 추후 연결부가 되는 접착 물질(CPM)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SUB2)과 제4 기판(SUB4) 사이에도 접착 물질(CPM)이 도포될 수 있다.
이후, 레이저 웰딩 공정을 통해, 제1 기판(SUB1)과 제3 기판(SUB3)이 연결되고, 제2 기판(SUB2)과 제4 기판(SUB4)이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발광장치(LD1) 또는 제2 발광장치(LD2)의 측면으로 미세 관(MT)이 삽입될 수 있다.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광장치(LD2)의 일 측면에서 제2 접착층(AF2)으로 미세 관(MT)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 관(MT)을 통해 제1 및 제2 발광장치(LD1, LD2) 사이의 공간에 충진층 물질(FILM)이 채워질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제2 접착층(AF2)의 일 측면으로 하나의 미세 관(MT)이 삽입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1 발광장치(LD1)와 제2 발광장치(LD2) 사이에 충진층 물질(FILM)이 채워지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외선(UV)을 이용하여 충진층 물질(FILM)을 경화시켜, 충진층(FIL)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연스러운 표시영역의 구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대면적의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영역에 배치된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들에 수분 및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서로 다른 전자장치 사이에 존재하는 비 표시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A1: 제1 표시영역
AA2; 제2 표시영역
NA1: 제1 비 표시영역
NA2: 제2 비 표시영역
SUB1: 제1 기판
SUB2: 제2 기판
SUB3: 제3 기판
SUB4: 제 4기판

Claims (20)

  1.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된 제1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발광장치; 및
    상기 제1 발광장치의 일 측과 접하고,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주변부에 배치된 제2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3 기판 및 상기 제3 기판과 마주보는 제4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기판 및 상기 제4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3 두께를 갖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3 두께보다 얇은 제4 두께를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의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3 기판의 제4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4 기판의 제4 부분이 배치된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의 제4 부분은, 상기 제1 기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기판의 제4 부분은, 상기 제2 기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된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 각각의 상기 일 단은 상기 제1 비 표시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제3 및 제4 기판 각각의 상기 일 단은 상기 제2 비 표시영역에 구비된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판 각각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표시영역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 및 제4 기판 각각의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2 표시영역으로 연장된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기판의 상기 제4 부분 사이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4 기판의 상기 제4 부분 사이에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다수의 입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판의 물질과 대응되는 물질인 전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제2 부분과 상기 제3 기판의 제4 부분이 중첩된 영역과, 상기 제2 기판의 제2 부분과 상기 제4 기판의 제4 부분이 중첩된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3 기판과 상기 제2 및 제4 기판 사이에 충진층이 배치된 전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부분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인 전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상에 배치된 캐핑층;
    상기 캐핑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봉지층;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3 기판 각각에 배치되되, 상기 봉지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일 측면은 비 평탄한 형상인 전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장치는 제1 비 발광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장치는 제2 비 발광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패드부 각각은 상기 제1 발광장치 및 상기 제2 발광장치가 미 중첩된 영역에 마련된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장치의 타 측과 접하는 제3 발광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장치의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각각의 타 단은 제1 두께를 갖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발광장치의 제5 기판과 제6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5 두께를 갖는 제5 부분과 상기 제5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5 두께보다 얇은 제6 두께를 갖는 제6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상기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5 기판의 제6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상기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6 기판의 제6 부분이 배치된 전자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기판의 제6 부분은, 상기 제1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6 기판의 제6 부분은, 상기 제2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된 전자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5 기판의 상기 제6 부분 사이와,
    상기 제2 기판의 타 단에 구비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6 기판의 상기 제6 부분 사이에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다수의 입자는 상기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5 및 제6 기판의 물질과 대응되는 물질인 전자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제2 부분과 상기 제5 기판의 제6 부분이 중첩된 영역과, 상기 제2 기판의 제2 부분과 상기 제6 기판의 제6 부분이 중첩된 영역에서,
    상기 제1 및 제5 기판과 상기 제2 및 제6 기판 사이에 충진층이 배치된 전자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타 단에 구비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5 및 제6 기판의 일 단에 구비된 상기 제6 부분의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상인 전자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3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상에 배치된 캐핑층;
    상기 캐핑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봉지층; 및
    상기 제5 기판에 배치되되, 상기 봉지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일 측면은 비 평탄한 형상인 전자장치.
  16.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1 표시영역 및 상기 제1 표시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된 제1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 발광장치; 및
    상기 제1 발광장치의 일 측과 접하고, 다수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제2 표시영역 및 상기 제2 표시영역 주변부에 배치된 제2 비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2 발광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1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마주보는 제2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가 배치된 제3 기판 및 상기 제3 기판과 마주보는 제4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3 기판은 서로 인접하되,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3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고,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4 기판은 서로 인접하되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4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입자가 존재하는 전자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부분은 라운드 진 형상인 전자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장치는,
    상기 다수의 유기발광소자 상에 배치된 캐핑층;
    상기 캐핑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봉지층;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3 기판 각각에 배치되되, 상기 봉지층을 덮으면서 배치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의 적어도 일 측면은 비 평탄한 형상인 전자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1 두께를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1 두께보다 얇은 제2 두께를 갖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기판 및 상기 제4 기판 각각의 일 단은 제3 두께를 갖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3 두께보다 얇은 제4 두께를 갖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기판의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3 기판의 제4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제2 기판의 제2 부분 상에 상기 제4 기판의 제4 부분이 배치된 전자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판의 제4 부분은, 상기 제1 기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4 기판의 제4 부분은, 상기 제2 기판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높이 차이로 인해 발생된 공간에 배치된 전자장치.
KR1020180173137A 2018-12-28 2018-12-28 전자장치 KR102598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37A KR102598704B1 (ko) 2018-12-28 2018-12-28 전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37A KR102598704B1 (ko) 2018-12-28 2018-12-28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501A true KR20200082501A (ko) 2020-07-08
KR102598704B1 KR102598704B1 (ko) 2023-11-06

Family

ID=7160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137A KR102598704B1 (ko) 2018-12-28 2018-12-28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7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909B1 (ko) * 1999-12-20 2002-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8649A (ko) * 2007-06-11 2008-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33472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4481A (ko) *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4930A (ko) * 2016-02-12 2017-08-22 광주과학기술원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기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9909B1 (ko) * 1999-12-20 2002-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8649A (ko) * 2007-06-11 2008-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33472A (ko) * 2009-09-25 2011-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94481A (ko) * 2015-01-30 2016-08-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4930A (ko) * 2016-02-12 2017-08-22 광주과학기술원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용 기판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704B1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7446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detection electrodes applicable for a touch sensor
KR10223075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60387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98609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9461095B2 (en)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50020446A (ko)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5195094A (ja) 有機el表示装置
JP2021149088A (ja) 表示装置
KR201600735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279497B1 (ko) 대면적 고 휘도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230276654A1 (en) Display device
KR102401089B1 (ko) 표시 장치
US11094718B2 (en) TFT array substrate
KR20200082501A (ko) 전자장치
KR20140144963A (ko) 표시 장치
US20210043526A1 (en) Display device
JP2015219654A (ja) 表示装置
JP2003248441A (ja) 表示装置
KR101294846B1 (ko) 역 테이퍼 패턴 박막을 갖는 평판표시소자
JP2011086578A (ja) 有機el装置
KR100634111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26994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6051527A (ja) 有機el表示装置
JP2011034932A (ja) 有機elパネル
KR20160010114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