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935A -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935A
KR20200081935A KR1020180171973A KR20180171973A KR20200081935A KR 20200081935 A KR20200081935 A KR 20200081935A KR 1020180171973 A KR1020180171973 A KR 1020180171973A KR 20180171973 A KR20180171973 A KR 20180171973A KR 20200081935 A KR20200081935 A KR 2020008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specimen
jig
test piec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4490B1 (ko
Inventor
조재동
임정식
서종덕
강언욱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주식회사 진소프트
(주)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주식회사 진소프트, (주)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18017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4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 G01N2203/046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with provisions for testing more than one specimen at the ti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쌍의 지그 베이스들은 받침대 상에 XY 수평면의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용접 공간을 형성하며, 2매의 시편용 판재들을 상하로 겹친 상태로 상면에 안착시킨다. 제1 클램프 유닛들은 시편용 판재들의 상부에서 상하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을 지그 베이스들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 클램프와, 제1 클램프를 피벗 동작시키는 제1 클램프 조작기구를 각각 구비하여, 용접 공간의 양쪽에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지지 블록은 용접 공간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지그 베이스들의 한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시편용 판재들의 한쪽 단을 지지한다. 제2 클램프 유닛은 용접 공간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Y축 방향을 따라 선형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의 반대쪽 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선형 동작시키는 제2 클램프 조작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Ji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est piece for testing performance of nondestructive weld zon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를 위해 사용되는 시편의 겹치기 점용접시 시편을 고정하기 위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 부품의 용접 품질을 검사하는 방법에는, 용접점 사이에 정을 넣어 망치로 치는 방식의 드라이버 체크 등과 같은 물리적인 파괴 검사와,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여 반향되는 파형을 분석하는 비파괴 검사가 있다. 파괴 검사는 전수 검사가 어려우며, 검사 후 부품의 재활용이 어려워 제조사의 부담으로 작용되고 있다. 비파괴 검사는 기존 파괴 검사 대비, 검사 시간의 단축 및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는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므로, 실제 사용 전에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에 대한 성능 테스트가 이루어져야 한다.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서는 다양한 용접 조건을 갖는 시료 제조가 필요한데, 시편 제조 효율성을 위해 하나의 시편에 다양한 용접 조건의 용접점을 만들 수 있는 지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시편에 다양한 용접 조건의 용접점을 만들 수 있게 하여 시편 제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는 받침대와, 한 쌍의 지그 베이스들과, 제1 클램프 유닛들과, 지지 블록, 및 제2 클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그 베이스들은 받침대 상에 XY 수평면의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용접 공간을 형성하며, 2매의 시편용 판재들을 상하로 겹친 상태로 상면에 안착시킨다. 제1 클램프 유닛들은 시편용 판재들의 상부에서 상하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을 지그 베이스들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 클램프와, 제1 클램프를 피벗 동작시키는 제1 클램프 조작기구를 각각 구비하여, 용접 공간의 양쪽에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지지 블록은 용접 공간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지그 베이스들의 한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시편용 판재들의 한쪽 단을 지지한다. 제2 클램프 유닛은 용접 공간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Y축 방향을 따라 선형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의 반대쪽 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 클램프와, 제2 클램프를 선형 동작시키는 제2 클램프 조작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편용 판재들이 견고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점용접기의 용접 건을 이동시켜가며 다양한 용접 조건으로 점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하나의 시편에 다양한 용접 조건의 용접점을 만들 수 있게 되므로, 시편 제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그장치의 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그장치의 하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클램프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제2 클램프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그장치의 상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그장치의 하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제1 클램프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제2 클램프 유닛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100)는 받침대(110)와, 한 쌍의 지그 베이스(120)들과, 제1 클램프 유닛(130)들과, 지지 블록(140), 및 제2 클램프 유닛(150)을 포함한다.
받침대(110)는 지그 베이스(120)들을 상부에 고정해서 지지한다. 받침대(110)는 수평 프레임(111)들과 수직 프레임(112)들이 입방형을 이루도록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받침대(110)는 상측의 수평 프레임(111)이 일부 절개되어 절개 홀을 가질 수 있다. 절개 홀은 용접 공간(120a)과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받침대(110)는 하부에 고정 부재(113)를 구비하며, 고정 부재(113)를 매개로 정반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받침대(110)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지그 베이스(120)들은 받침대(110) 상에 XY 수평면의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용접 공간(120a)을 형성한다. 용접 공간(120a)은 점용접기의 용접 건이 통과해서 지그 베이스(120)들 상의 시편용 판재들(11, 12)을 점용접할 수 있게 한다. 지그 베이스(120)들은 각각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공간(120a)은 육면체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지그 베이스(120)들은 Y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구성된다. 지그 베이스(120)들은 2매의 시편용 판재들(11, 12)을 상하로 겹친 상태로 상면에 안착시킨다. 시편용 판재들(11, 12)은 각각 사각 형태로 이루어지고, 서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편용 판재들(11, 12)은 가장자리끼리 일치한 상태로 상하로 겹쳐져 지그 베이스(120)들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지그 베이스(120)들은 각 상면이 편평하게 이루어져, 하측의 시편용 판재(12)를 전체적으로 면접촉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지그 베이스(120)들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클램프 유닛(130)들은 제1 클램프(131)와 제1 클램프 조작기구(136)를 각각 구비한다. 제1 클램프 유닛(130)들은 용접 공간(120a)의 양쪽에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제1 클램프 유닛(130)들은 용접 공간(12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클램프(131)는 시편용 판재들(11, 12)의 상부에서 상하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을 지그 베이스(120)들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한다. 제1 클램프(131)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클램프(131)는 피벗 동작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탄성 재질의 가압 블록(132)을 구비할 수 있다.
가압 블록(132)은 시편용 판재들(11, 12)의 가압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가압 블록(132)은 피벗 동작에 따른 가압력에 탄성력을 더해 시편용 판재들(11, 12)을 구속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상측 시편용 판재(11)의 상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블록(132)은 상측 시편용 판재(11)와 맞닿는 부위가 반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블록(132)은 수직으로 배치된 기준으로 상측 부위에 고정봉(133)과 연결되며, 고정봉(133)을 매개로 제1 클램프(131)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봉(133)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클램프(131)는 수평으로 배치된 기준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관통된 위치조절 홀(131a)을 가질 수 있다. 위치조절 홀(131a)은 고정봉(133)을 통과시키는 좌우 폭을 갖고 제1 클램프(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위치조절 홀(131a)은 제1 클램프(131)의 길이 방향에 따른 고정봉(13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가압 블록(132)은 시편용 판재들(11, 12)을 가압하고자 하는 위치에 맞게 조절될 수 있다.
고정봉(133)은 위치 조절된 상태에서 제1 클램프(131)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고정봉(133)은 상측 부위에 나사 탭을 가질 수 있다. 고정봉(133)은 나사 탭에 하나의 너트를 체결한 상태로 위치조절 홀(131a)을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너트가 제1 클램프(131)의 상측에서 고정봉(133)의 나사 탭에 체결된 후, 너트들이 제1 클램프(131)에 죄어짐으로써, 고정봉(133)을 제1 클램프(131)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봉(133)은 제1 클램프(131)에 대한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너트들에 의해 제1 클램프(13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블록(132)의 높이가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두께에 따라 조절됨으로써, 시편용 판재들(11, 12)을 설정 압력으로 가압해서 안정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조작기구(136)는 제1 클램프(131)를 피벗 동작시킨다. 제1 클램프 조작기구(136)는 클램프 지지체(137)와, 제1,2 링크 부재(138a, 138b), 및 핸들(139)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지지체(137)는 해당 지그 베이스(120) 상에 고정된다. 클램프 지지체(137)는 장착 플레이트를 매개로 지그 베이스(120)의 상면에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 지지체(137)에는 제1 클램프(131)의 한쪽 단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제1 링크 부재(138a)는 한쪽 단부가 클램프 지지체(137)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반대쪽 단부가 핸들(139)에 고정된다. 제2 링크 부재(138b)는 한쪽 단부가 제1 링크 부재(138a)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반대쪽 단부가 제1 클램프(131)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핸들(139)은 작업자가 손으로 쥐고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가 핸들(139)을 하강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링크 부재(138a, 138b)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제1 클램프(131)가 상방으로 피벗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핸들(139)을 상승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링크 부재(138a, 138b)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제1 클램프(131)가 하방으로 피벗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클램프(131)는 제1 클램프 조작기구(136)에 의해 상하 피벗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을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조작기구(136)는 제1 클램프(131)가 시편용 판재들(11, 12)을 고정하는 위치에서 잠금 처리되도록 잠금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잠금 수단은 제1 링크 부재(138a)와 클램프 지지체(137)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잠금 돌기와 다른 쪽에 형성되어 잠금 돌기를 삽입시켜 고정하는 잠금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조작기구(136)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클램프 조작기구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제1 클램프(131)를 자동으로 피벗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린더는 실린더 몸체가 클램프 지지체(137)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가 제1 클램프(131)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로드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 몸체에 대해 인입 동작 또는 인출 동작할 수 있다.
지지 블록(140)은 용접 공간(120a)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지그 베이스(120)들의 한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시편용 판재들(11, 12)의 한쪽 단을 지지한다. 지지 블록(140)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 블록(140)은 용접 공간(120a)을 향한 안쪽 측면이 시편용 판재들(11, 12)의 한쪽 단을 전체적으로 면접촉시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지지 블록(140)은 지그 베이스(120)들의 상면에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블록(140)은 제2 클램프(151)와 함께 시편용 판재들(11, 12)의 양쪽 단을 구속할 수 있게 한다.
제2 클램프 유닛(150)은 제2 클램프(151)와 제2 클램프 조작기구(156)를 구비한다. 제2 클램프(151)는 용접 공간(120a)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Y축 방향을 따라 선형 동작함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반대쪽 단을 고정 또는 해제한다. 제2 클램프(151)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클램프(151)는 용접 공간(120a)을 향한 안쪽 측면이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반대쪽 단을 전체적으로 면접촉시켜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용 판재(11, 12)들의 한쪽 단이 지지 블록(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 클램프(151)는 Y축 방향에 따른 시편용 판재들(11, 12)의 폭에 따라 위치 변경되어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반대쪽 단을 지지함으로써, 지지 블록(140)과 함께 시편용 판재들(11, 12)의 양쪽 단을 구속할 수 있게 한다.
제2 클램프 조작기구(156)는 제2 클램프(151)를 선형 동작시킨다. 제2 클램프 조작기구(156)는 선형 가이드(157)와, 조작봉(158), 및 잠금 기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선형 가이드(157)는 제2 클램프(151)를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선형 가이드(157)는 가이드 홀(157a)들과, 가이드 봉(157b)들, 및 가동체(157c)를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홀(157a)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홀(157a)들은 지그 베이스(120)들에 각각 상하로 관통된 형태로 일정 폭을 갖고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가이드 봉(157b)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봉(157b)들은 지그 베이스(120)들의 각 하측에서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가이드 봉(157b)들은 브래킷들을 매개로 지그 베이스(120)들의 각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그 베이스(120)들에 고정된다.
가동체(157c)는 지그 베이스(120)들의 하측에서 가이드 봉(157b)들을 관통시킨 상태로 상측 연결편들이 가이드 홀(157a)들을 각각 통과해서 제2 클램프(151)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동체(157c)가 가이드 봉(157b)들의 안내를 받아서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함에 따라 제2 클램프(151)가 Y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가이드 봉(157b)들 및 가동체(157c)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봉(158)은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한쪽 단이 제2 클램프(151)에 고정될 수 있다. 조작봉(158)은 제2 클램프(151)의 바깥쪽 측면에 브래킷을 매개로 볼팅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조작봉(158)은 작업자가 손으로 쥐고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가 조작봉(158)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 클램프(15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봉(158)은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기구(159)는 제2 클램프(151)가 시편용 판재들(11, 12)을 고정시키는 위치에서 잠금 처리되도록 한다. 잠금 기구(159)는 잠금 블록(159a)과, 레버(159b)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블록(159a)은 받침대(1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잠금 블록(159a)은 조작봉(158)의 외주를 감싸서 양단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잠금 블록(159a)은 양단이 상호 조여지거나 풀림에 따라 조작봉(158)을 잠금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잠금 블록(159a)은 한쪽 단에 레버(159b)를 끼우는 체결홀을 갖고, 다른 쪽 단에 레버(159b)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홀을 가질 수 있다.
레버(159b)는 잠금 블록(159a)의 체결홀을 통과해서 나사홀에 나사 결합된다. 작업자가 레버(159b)를 조작해서 잠금 블록(159a)의 양단을 죄거나 풀어냄에 따라 조작봉(158)을 잠금 블록(159a)에 대해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클램프(151)가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잠금 기구(159)는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클램프 조작기구는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제2 클램프를 자동으로 선형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지그장치(100)의 작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매의 시편용 판재들(11, 12)을 상하로 겹친 상태로 지그 베이스(120)들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시편용 판재들(11, 12)은 가장자리끼리 일치한 상태로 상하로 겹쳐져 지그 베이스(120)들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어서, 시편용 판재들(11, 12)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편용 판재들(11, 12)의 한쪽 단을 지지 블록(140)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조작봉(158)을 조작해서 제2 클램프(151)를 Y축 방향을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반대쪽 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2 클램프(151)는 선형 가이드(157)의 안내를 받아서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반대쪽 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시편용 판재들(11, 12)의 한쪽 단이 지지 블록(1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 클램프(151)를 시편용 판재들(11, 12)의 반대쪽 단에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잠금 기구(159)에 의해 조작봉(158)을 잠금 처리해서 제2 클램프(151)를 잠금 처리한다. 이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은 양쪽 단이 지지 블록(140)과 제2 클램프(151)에 의해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이어서, 핸들(139)을 상승시켜 각각의 제1 클램프(131)를 시편용 판재들(11, 12)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피벗 동작시킴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을 지그 베이스(120)들에 고정시킨다. 이때, 제1 클램프(131)는 제1,2 링크 부재(138a, 138b) 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하방으로 피벗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시편용 판재들(11, 12)은 제1 클램프(131)들에 의해 지그 베이스(120)들 상에 견고하게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편용 판재들(11, 12)이 견고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점용접기의 용접 건을 이동시켜가며 다양한 용접 조건으로 점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하나의 시편에 다양한 용접 조건의 용접점을 만들 수 있게 되므로, 시편 제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12..시편용 판재
110..받침대
120..지그 베이스
130..제1 클램프 유닛
131..제1 클램프
136..제1 클램프 조작기구
140..지지 블록
150..제2 클램프 유닛
151..제2 클램프
156..제2 클램프 조작기구

Claims (2)

  1.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에 XY 수평면의 X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용접 공간을 형성하며, 2매의 시편용 판재들을 상하로 겹친 상태로 상면에 안착시키는 한 쌍의 지그 베이스들;
    상기 시편용 판재들의 상부에서 상하로 피벗 동작함에 따라 상기 시편용 판재들을 상기 지그 베이스들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 클램프와, 상기 제1 클램프를 피벗 동작시키는 제1 클램프 조작기구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용접 공간의 양쪽에서 Y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클램프 유닛들;
    상기 용접 공간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그 베이스들의 한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시편용 판재들의 한쪽 단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 및
    상기 용접 공간을 X축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로 Y축 방향을 따라 선형 동작함에 따라 상기 시편용 판재들의 반대쪽 단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를 선형 동작시키는 제2 클램프 조작기구를 구비하는 제2 클램프 유닛;
    을 포함하는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피벗 동작에 따라 상기 시편용 판재들을 가압 또는 해제하는 탄성 재질의 가압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KR1020180171973A 2018-12-28 2018-12-28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KR10217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73A KR102174490B1 (ko) 2018-12-28 2018-12-28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973A KR102174490B1 (ko) 2018-12-28 2018-12-28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935A true KR20200081935A (ko) 2020-07-08
KR102174490B1 KR102174490B1 (ko) 2020-11-04

Family

ID=7160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973A KR102174490B1 (ko) 2018-12-28 2018-12-28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4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428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점용접 시편 제작용 거치대
KR20130119780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신영 이종소재 용접용 지그
KR101431101B1 (ko) * 2013-04-29 2014-08-18 주식회사 신영 마찰교반점용접 성능 평가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KR20140125715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신영 1차원 twb 공법에 적용 가능한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428A (ko) * 2009-06-26 2011-01-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점용접 시편 제작용 거치대
KR20130119780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신영 이종소재 용접용 지그
KR20140125715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신영 1차원 twb 공법에 적용 가능한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장치
KR101431101B1 (ko) * 2013-04-29 2014-08-18 주식회사 신영 마찰교반점용접 성능 평가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490B1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558B1 (ko) 금속부품의 측정용 용접시편을 정밀 길이 및 위치를 동시 제어하는 지그 장치
US10281379B2 (en) Nano material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material using the same
JPH06315782A (ja) 薄板ブランクを溶接する装置
KR101891747B1 (ko) 항공부품의 측정용 용접시편을 정밀 길이 및 위치를 동시 제어하는 지그 장치
KR102263706B1 (ko) 통합 자동 비파괴 검사 스캐너
JPS60131444A (ja) 試験片のせん断強さ試験装置
KR102088704B1 (ko) 분기관 용접부 초음파 검사용 반자동 스캐너
KR101859357B1 (ko) 항공부품의 측정용 용접시편을 정밀 위치 고정하는 지그 장치
US6525294B1 (en) Device for clamping and welding pieces of sheet metal
KR101545340B1 (ko) 시험체 절단용 지그
KR101995416B1 (ko) 점용접 비파괴 검사기의 탐촉자 가압 기구
KR20060074300A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KR20200081935A (ko) 비파괴 용접점 검사기 성능 테스트용 시편 제조를 위한 지그장치
KR102025915B1 (ko) 용접강도 시험평가용 시편 고정지그
CN104175005B (zh) 薄板保持装置
CN220018451U (zh) 一种复合网版测量仪
CN216349969U (zh) 一种万能试验机
KR102359947B1 (ko) 레이저 용접 품질 유지용 복합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277941B1 (ko) 시편 처리장치
CN113155657B (zh) 一种用于复合材料曲梁静压痕的试验装置
CN212858353U (zh) 一种侧门组焊定位工作台
JP5489829B2 (ja) レーザ加工機および保持装置
JP7180572B2 (ja) 材料試験機
CN112798406A (zh) 复合材料剪切性能测试的夹具
KR101449121B1 (ko) 시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