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159A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81159A KR20200081159A KR1020180171345A KR20180171345A KR20200081159A KR 20200081159 A KR20200081159 A KR 20200081159A KR 1020180171345 A KR1020180171345 A KR 1020180171345A KR 20180171345 A KR20180171345 A KR 20180171345A KR 20200081159 A KR20200081159 A KR 202000811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hermoplastic resin
- resin composition
- weight
- parts
- rub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6—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surface area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0.1 내지 7 중량부;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포스페이트 0.01 내지 2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0.01 내지 2 중량부;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아연은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이며, X선 회절 분석 시, 피크 위치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 값이 1,000 내지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및 난연제 등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난연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열이 많이 발생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 기타 사무용 기기의 내/외장재 등으로 유용하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제품 등은 사용 시간이 흐름에 따라, 황변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표면에 각종 균이 번식하게 될 우려가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항균제, 내후안정제 등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상용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사출 성형 시 수지의 분해로 인한 가스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99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0.1 내지 7 중량부;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포스페이트 0.01 내지 2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0.01 내지 2 중량부;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아연은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이며,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하기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01 내지 1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옥텐 고무(MAH-g-EOR),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부텐 고무(MAH-g-EBR),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MAH-g-EPDM),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AH-g-SEBS),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프로필렌(MAH-g-PP) 및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에틸렌(MAH-g-P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비스(2,6-디-tert-부틸-4-메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에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알킬 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5 : 1 내지 35 : 1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중량비는 5 : 1 내지 25 : 1일 수 있다.
9. 상기 1 내지 8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2.5 내지 7일 수 있다.
10. 상기 1 내지 9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색차계로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상기 사출 시편을 ASTM D4459에 의거하여, Xenon Arc 광원에 300시간 노출한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색상 변화(ΔE)가 1 이하일 수 있다:
[식 2]
상기 식 2에서, ΔL*는 노출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노출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노출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11. 상기 1 내지 10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3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2.2 이하일 수 있다:
[식 3]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33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12. 상기 1 내지 11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50 내지 100 kgf·cm/cm일 수 있다.
13. 상기 1 내지 12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306/B50에 의거하여, 50 N 하중, 승온 속도 120℃/hr 조건에서 측정한 Vicat 연화온도가 135 내지 150℃일 수 있다.
14.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C) 산화아연; (D) 알킬 포스페이트; (E)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및 (F)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컨대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5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유동성(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단독, 또는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B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단량체 혼합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켜 그라프트 중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고무질 중합체)-쉘(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고무, 이소프렌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엔계 고무,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타디엔계 고무,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는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6 ㎛, 예를 들면 0.15 내지 4 ㎛, 구체적으로 0.25 내지 3.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z-평균)는 라텍스(latex) 상태에서 광 산란(light sca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메쉬(mesh)에 걸러서, 고무질 중합체 중합 중 발생하는 응고물 제거하고, 라텍스 0.5 g 및 증류수 30 ml를 혼합한 용액을 1,000 ml 플라스크에 따르고 증류수를 채워 시료를 제조한 다음, 시료 10 ml를 석영 셀(cell)로 옮기고, 이에 대하여, 광 산란 입도 측정기(malvern社, nano-zs)로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70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6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포함)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 중 3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7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외관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40 내지 9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와 공중합 가능한 것으로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화학성, 기계적 특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 중 15 중량%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ABS),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MBS), 부틸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g-MB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B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통상적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사용되는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혼합한 후, 이를 중합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90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또는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 구체적으로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및/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 및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혼합물일 경우, 상기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100 중량% 중 1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2 내지 35 중량%일 수 있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100 중량% 중 60 내지 99 중량%, 예를 들면 65 내지 98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내열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100 중량% 중, 1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3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15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 성형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를 포함할 경우,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체 100 중량% 중 20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25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전체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 중, 50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55 내지 7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유동성(성형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강성(굴곡탄성율 등), 내열성(사출 체류 시 열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C) 산화아연
본 발명의 산화아연은 알킬 포스페이트,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과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입도분석기(Beckman Coulter社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LS I3 320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한 단일 입자(입자가 뭉쳐서 2차 입자를 형성하지 않음)의 평균 입자 크기(D50)가 0.5 내지 3 ㎛, 예를 들면 0.8 내지 3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 아연은 질소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BET 분석 장비(Micromeritics社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장비)로 측정한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 예를 들면 1 내지 7 m2/g일 수 있으며, 순도가 99%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내광성, 내변색성), 항균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측정된 FWHM 값(회절 피크(peak)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준으로 Scherrer's equation(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연산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 예를 들면 1,200 내지 1,800 Å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내광성, 내변색성), 항균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식 1]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 아연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구형, 플레이트형, 막대(rod)형, 이들의 조합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 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01 내지 1, 예를 들면 0.1 내지 1, 구체적으로 0.1 내지 0.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 항균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금속형태의 아연을 녹인 후, 850 내지 1,000℃, 예를 들면 900 내지 950℃로 가열하여 증기화시킨 후, 산소 가스를 주입하고 20 내지 30℃로 냉각한 다음, 400 내지 900℃, 예를 들면 500 내지 800℃에서 30 내지 150분, 예를 들면 60 내지 120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7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 2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아연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내광성, 내변색성), 항균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내열성(사출 체류 시 열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D) 알킬 포스페이트
본 발명의 알킬 포스페이트는 상기 산화 아연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과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후성, 항균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포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 포스페이트로는 도데실 포스페이트, 테트라데실 포스페이트, 헥사데실 포스페이트, 옥타데실 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옥타데실 포스페이트(octadecyl phosph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알킬 포스페이트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 예를 들면 0.05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킬 포스페이트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사출 체류 시 열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알킬 포스페이트의 중량비(산화아연:알킬포스페이트)는 5 : 1 내지 35 : 1, 예를 들면 10 : 1 내지 30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E)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고무질 중합체(올레핀 및/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에 말레산 무수물(MAH, maleic anhydride)을 그라프트 중합시킨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옥텐 고무(MAH-g-EOR),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부텐 고무(MAH-g-EBR),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MAH-g-EPDM),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AH-g-SEBS),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프로필렌(MAH-g-PP) 및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에틸렌(MAH-g-P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공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100 중량% 중, 상기 말레산 무수물의 함량은 0.1 내지 5 중량%일 수 있고,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95 내지 99.9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예에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열성(사출 체류 시 열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강성(굴곡탄성율, 인장강도 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F)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본 발명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상기 산화 아연 및 알킬 포스페이트 등과 함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후성, 항균성,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적용되는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비스(2,6-디-tert-부틸-4-메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에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스(2,6-디-tert-부틸-4-메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2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1 중량부, 구체적으로 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후성(내변색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2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내충격성, 내열성(사출 체류 시 열안정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중량비(산화아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5 : 1 내지 25 : 1, 예를 들면 10 : 1 내지 20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적하 방지제, 활제, 핵제, 안정제, 이형제, 안료, 염료, 이들의 혼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첨가제 사용 시, 그 함량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내지 40 중량부, 예를 들면 0.0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40 내지 300℃, 예를 들면 260 내지 28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2.5 내지 7, 예를 들면 2.6 내지 6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색차계로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상기 사출 시편을 ASTM D4459에 의거하여, Xenon Arc 광원에 300시간 노출한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색상 변화(ΔE)가 1 이하, 예를 들면 0.1 내지 0.4일 수 있다.
[식 2]
상기 식 2에서, ΔL*는 노출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노출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노출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3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2.2 이하, 예를 들면 1.2 내지 2.2일 수 있다.
[식 3]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33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50 내지 100 kgf·cm/cm, 예를 들면 60 내지 9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306/B50에 의거하여, 50 N 하중, 승온 속도 120℃/hr 조건에서 측정한 Vicat 연화온도가 135 내지 150℃, 예를 들면 137 내지 147℃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전자 제품의 내/외장재, 예를 들면 전기 스위치 부품 등으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분자량(Mw)이 25,000g/mol인 비스페놀-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MBS(제조사: LG화학, 제품명: EM520)를 사용하였다.
(C) 산화아연
(C1) 금속형태의 아연을 녹인 후, 900℃로 가열하여 증기화시킨 후, 산소 가스를 주입하고 상온(25℃)으로 냉각하여, 1차 중간물을 얻었다. 다음으로, 해당 1차 중간물을 700℃에서 90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한 후, 상온(25℃)으로 냉각하여 제조한 산화아연을 사용하였다.
(C2) 산화아연(제조사: 리즈텍비즈, 제품명: RZ-950)을 사용하였다.
(C3) 산화아연(제조사: 한일화학, 제품명: TE30)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1에 산화아연(C1, C2 및 C3)의 평균 입자 크기, BET 표면적, 순도,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 및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을 나타내었다.
(D) 포스페이트
(D1) 알킬 포스페이트로써, 옥타데실 포스페이트(제조사: ADEKA, 제품명: ADK STAB AX-71)를 사용하였다.
(D2)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제조사: DAIHACHI, 제품명: PHOSFLEX TPP)를 사용하였다.
(E)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부텐 고무(MAH-g-EBR, 제조사: Mitsui chemical, 제품명: TAFMER M)를 사용하였다.
(F) 산화방지제
(F1)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로써, 비스(2,6-디-tert-부틸-4-메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를 사용하였다.
(F2) 힌더드페놀 산화방지제로써, 옥타데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제조사: BASF, 제품명: Irganox 1076)를 사용하였다.
(C1) | (C2) | (C3) | |
평균 입자 크기 (㎛) | 1.2 | 0.890 | 3.7 |
BET 표면적 (m2/g) | 4 | 15 | 14 |
순도 (%) | 99 | 97 | 97 |
PL 크기비(B/A) | 0.28 | 9.8 | 9.5 |
미소결정 크기 (Å) | 1417 | 503 | 489 |
물성 측정 방법
(1) 평균 입자 크기(단위: ㎛): 입도분석기(Beckman Coulter社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 LS I3 320 장비)를 사용하여, 평균 입자 크기(부피 평균)를 측정하였다.
(2) BET 표면적(단위: m2/g): 질소가스 흡착법을 사용하여, BET 분석 장비(Micromeritics社 Surface Area and Porosity Analyzer ASAP 2020 장비)로 BET 표면적을 측정하였다.
(3) 순도 (단위: %): TGA 열분석법을 사용하여, 800℃ 온도에서 잔류하는 무게를 가지고 순도를 측정하였다.
(4) PL 크기비(B/A):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법에 따라, 실온에서 325 nm 파장의 He-Cd laser (KIMMON사, 30mW)를 시편에 입사해서 발광되는 스펙트럼을 CCD detector를 이용하여 검출하였으며, 이때 CCD detector의 온도는 -70℃ 를 유지하였다.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사출 시편은 별도의 처리 없이 레이저(laser)를 시편에 입사시켜 PL 분석을 진행하였고, 산화아연 파우더는 6 mm 직경의 펠렛타이저(pelletizer)에 넣고 압착하여 편평하게 시편을 제작한 뒤 측정하였다.
(5) 미소결정 크기(crystallite size, 단위: Å): 고분해능 X-선 회절분석기(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제조사: X'pert사, 장치명: PRO-MRD)을 사용하였으며,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측정된 FWHM 값(회절 피크(peak)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기준으로 Scherrer's equation(하기 식 1)에 적용하여 연산하였다. 여기서, 파우더 형태 및 사출 시편 모두 측정이 가능하며, 더욱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사출 시편의 경우, 600℃, 에어(air) 상태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고분자 수지를 제거한 후, XRD 분석을 진행하였다.
[식 1]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12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첨가한 후, 260℃에서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압출은 L/D=36, 직경 45 mm인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2시간 이상 건조 후, 140톤 사출기(성형 온도 280℃, 금형 온도: 80℃)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항균 활성치: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사출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상대 습도)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하였다.
(2) 내후성 평가(색상 변화(ΔE)):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색차계(KONICA MINOLTA CM-3700A)로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상기 사출 시편을 ASTM D4459에 의거하여, Xenon Arc 광원에 300시간 노출한 후, 상기 색차계로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색상 변화(ΔE)를 산출하였다.
[식 2]
상기 식 2에서, ΔL*는 노출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노출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노출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3) 내후성(내변색성) 평가(황색 지수 차이(ΔYI)): 하기 식 3에 따라 황색 지수 차이(ΔYI)를 산출하였다.
[식 3]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33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4)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5) Vicat 연화온도(VST, 단위: ℃): ISO 306/B50에 의거하여, 50 N 하중, 승온 속도 120℃/hr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3 | 4 | |
(A) (중량부)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B) (중량부) | 1 | 1 | 1 | 1 | 1 | 1 | 1 | 1 | 1 |
(C1) (중량부) | 2 | 3 | 4 | 3 | 3 | 0.05 | 8 | - | |
(C2) (중량부) | - | - | - | - | - | - | - | 3 | - |
(C3) (중량부) | - | - | - | - | - | - | - | - | 3 |
(D1) (중량부) | 0.2 | 0.2 | 0.2 | 0.1 | 0.3 | 0.2 | 0.2 | 0.2 | 0.2 |
(D2) (중량부) | - | - | - | - | - | - | - | - | - |
(E) (중량부)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F1) (중량부)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F2) (중량부) | - | - | - | - | - | - | - | - | - |
항균활성치 (포도상구균) | 3.4 | 4.0 | 4.5 | 4.0 | 4.1 | 0.3 | 6.2 | 1.7 | 2.1 |
항균활성치 (대장균) | 4.0 | 4.2 | 4.6 | 4.1 | 4.1 | 0.1 | 5.8 | 1.8 | 1.6 |
색상 변화(ΔE) | 0.32 | 0.25 | 0.15 | 0.26 | 0.24 | 2.1 | 0.12 | 2.3 | 1.9 |
황색 지수 차이(ΔYI) | 1.7 | 1.9 | 2.1 | 2.0 | 1.9 | 1.8 | 4.2 | 3.4 | 3.1 |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 71 | 68 | 65 | 69 | 70 | 71 | 12 | 8 | 9 |
VST | 142 | 142 | 141 | 142 | 141 | 142 | 138 | 141 | 141 |
비교예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A) (중량부)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B) (중량부) | 1 | 1 | 1 | 1 | 1 | 1 | 1 | 1 |
(C1) (중량부) | 3 | 3 | 3 | 3 | 3 | 3 | 3 | 3 |
(C2) (중량부) | - | - | - | - | - | - | - | - |
(C3) (중량부) | - | - | - | - | - | - | - | - |
(D1) (중량부) | - | 3 | - | 0.2 | 0.2 | 0.2 | 0.2 | 0.2 |
(D2) (중량부) | - | - | 0.2 | - | - | - | - | - |
(E) (중량부) | 0.2 | 0.2 | 0.2 | - | 3 | 0.2 | 0.2 | 0.2 |
(F1) (중량부) | 0.2 | 0.2 | 0.2 | 0.2 | 0.2 | - | 3 | - |
(F2) (중량부) | - | - | - | - | - | - | - | 0.2 |
항균활성치 (포도상구균) | 3.9 | 3.8 | 4.1 | 3.7 | 3.8 | 4.0 | 3.5 | 3.7 |
항균활성치 (대장균) | 3.8 | 4.0 | 3.4 | 4.0 | 3.5 | 4.1 | 4.0 | 3.9 |
색상 변화(ΔE) | 0.32 | 1.4 | 0.35 | 0.34 | 4.5 | 0.25 | 2.1 | 0.24 |
황색 지수 차이(ΔYI) | 4.2 | 10.2 | 1.6 | 3.8 | 14.7 | 4.1 | 7.8 | 3.5 |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 42 | 7 | 11 | 38 | 15 | 47 | 3 | 55 |
VST | 142 | 124 | 141 | 142 | 129 | 142 | 123 | 142 |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항균성(항균활성치), 내후성(색상 변화(ΔE), 황색 지수 차이(ΔYI)), 내충격성(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 내열성(VST), 이들의 물성 발란스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산화아연을 소량 적용한 비교예 1의 경우, 항균성, 내후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산화아연을 과량 적용한 비교예 2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되고, 내열성 등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산화아연 (C1) 대신에, 산화아연 (C2)를 적용한 비교예 3의 경우,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산화아연 (C3)를 적용한 비교예 4의 경우, 항균성,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알킬 포스페이트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알킬 포스페이트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6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알킬 포스페이트 (D1) 대신에,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D2)를 적용한 비교예 7의 경우,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8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9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10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고,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를 과량 적용한 비교예 11의 경우, 내후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F1) 대신에, 힌더드 페놀계 산화방지제 (F2)를 적용한 비교예 12의 경우, 내후성 등이 저하되고, 내충격성 등이 상대적으로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1 내지 5 중량부;
산화아연 0.1 내지 7 중량부;
탄소수 10 내지 20의 알킬 포스페이트 0.01 내지 2 중량부;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 0.01 내지 2 중량부; 및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0.01 내지 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아연은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3 ㎛이고, 비표면적 BET가 1 내지 10 m2/g이며,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시, 피크 위치(peak position) 2θ 값이 35 내지 37° 범위이고, 하기 식 1에 의한 미소결정의 크기(crystallite size) 값이 1,000 내지 2,000 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1]
미소결정 크기(D) =
상기 식 1에서, K는 형상 계수(shape factor)이고, λ는 X선 파장(X-ray wavelength)이고, β는 X선 회절 피크(peak)의 FWHM 값(degree)이며, θ는 피크 위치 값(peak position degree)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시안화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은 광 발광(Photo Luminescence) 측정 시, 370 내지 390 nm 영역의 피크 A와 450 내지 600 nm 영역의 피크 B의 크기비(B/A)가 0.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고무질 중합체는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옥텐 고무(MAH-g-EOR),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부텐 고무(MAH-g-EBR),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MAH-g-EPDM),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MAH-g-SEBS),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프로필렌(MAH-g-PP) 및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 중합된 폴리에틸렌(MAH-g-P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는 비스(2,6-디-tert-부틸-4-메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ert-부틸-4-에틸 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알킬 포스페이트의 중량비는 5 : 1 내지 3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아연 및 상기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의 중량비는 5 : 1 내지 25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JIS Z 2801 항균 평가법에 의거하여, 5 cm × 5 cm 크기 시편에 황색포도상구균 및 대장균을 접종하고, 35℃, RH 90%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측정한 항균 활성치가 각각 2.5 내지 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50 mm × 90 mm × 3 mm 크기 사출 시편에 대해 색차계로 초기 색상(L0 *, a0 *, b0 *)을 측정하고, 상기 사출 시편을 ASTM D4459에 의거하여, Xenon Arc 광원에 300시간 노출한 후 색상(L1 *, a1 *, b1 *)을 측정한 다음, 하기 식 2에 따라 산출한 색상 변화(ΔE)가 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2]
색상 변화(ΔE) =
상기 식 2에서, ΔL*는 노출 전후의 L* 값의 차이(L1 *-L0 *)이고, Δa*는 노출 전후의 a* 값의 차이(a1 *- a0 *) 이며, Δb*는 노출 전후의 b* 값의 차이(b1 *- b0 *)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식 3에 따른 황색 지수 차이(ΔYI)가 2.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식 3]
황색 지수 차이(ΔYI) = YI1 - YI0
상기 식 1에서, YI0은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편의 초기 황색 지수(YI) 값이고, YI1은 상기 시편을 330℃에서 5분간 체류시킨 후 ASTM D1925에 따라 측정한 황색 지수(YI) 값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1/8" 두께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50 내지 10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306/B50에 의거하여, 50 N 하중, 승온 속도 120℃/hr 조건에서 측정한 Vicat 연화온도가 135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1345A KR102183732B1 (ko) | 2018-12-27 | 2018-12-27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US17/281,004 US11708489B2 (en) | 2018-12-27 | 2019-12-13 | Thermoplas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formed therefrom |
EP19904704.4A EP3904456A4 (en) | 2018-12-27 | 2019-12-13 | METHOD FOR SCREENING AN AUTOPHAGY REGULATOR TARGETING ULK1 PROTEIN GLYCOSYLATION |
PCT/KR2019/017675 WO2020138785A1 (ko) | 2018-12-27 | 2019-12-13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1345A KR102183732B1 (ko) | 2018-12-27 | 2018-12-27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1159A true KR20200081159A (ko) | 2020-07-07 |
KR102183732B1 KR102183732B1 (ko) | 2020-11-27 |
Family
ID=7112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1345A KR102183732B1 (ko) | 2018-12-27 | 2018-12-27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708489B2 (ko) |
EP (1) | EP3904456A4 (ko) |
KR (1) | KR102183732B1 (ko) |
WO (1) | WO202013878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2797A1 (ko) * | 2020-10-30 | 2022-05-05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3732B1 (ko) | 2018-12-27 | 2020-11-27 | 롯데첨단소재(주)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5658A (ja) * | 2003-06-26 | 2005-01-20 |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線反射板 |
JP2009538375A (ja) * | 2006-05-23 | 2009-11-05 |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 高弾性率の熱可塑性組成物 |
KR20150002355A (ko) * | 2013-06-28 | 2015-01-07 | 제일모직주식회사 | 저수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KR20180045777A (ko) * | 2016-10-25 | 2018-05-04 | 롯데첨단소재(주)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79658B1 (ko) | 2000-12-27 | 2003-04-11 | 제일모직주식회사 | 광안정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난연성 수지 조성물 |
KR100988999B1 (ko) | 2007-10-19 | 2010-10-2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WO2018080013A1 (ko) | 2016-10-25 | 2018-05-03 | 롯데첨단소재(주)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JP6695644B2 (ja) | 2016-12-19 | 2020-05-20 |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
KR102183732B1 (ko) | 2018-12-27 | 2020-11-27 | 롯데첨단소재(주)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2018
- 2018-12-27 KR KR1020180171345A patent/KR1021837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12-13 US US17/281,004 patent/US11708489B2/en active Active
- 2019-12-13 WO PCT/KR2019/017675 patent/WO2020138785A1/ko unknown
- 2019-12-13 EP EP19904704.4A patent/EP3904456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5658A (ja) * | 2003-06-26 | 2005-01-20 |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光線反射板 |
JP2009538375A (ja) * | 2006-05-23 | 2009-11-05 |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 高弾性率の熱可塑性組成物 |
KR20150002355A (ko) * | 2013-06-28 | 2015-01-07 | 제일모직주식회사 | 저수축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KR20180045777A (ko) * | 2016-10-25 | 2018-05-04 | 롯데첨단소재(주)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92797A1 (ko) * | 2020-10-30 | 2022-05-05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CN116368193A (zh) * | 2020-10-30 | 2023-06-30 | 乐天化学株式会社 |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该热塑性树脂组合物制造的制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708489B2 (en) | 2023-07-25 |
KR102183732B1 (ko) | 2020-11-27 |
US20210340373A1 (en) | 2021-11-04 |
WO2020138785A1 (ko) | 2020-07-02 |
EP3904456A1 (en) | 2021-11-03 |
EP3904456A4 (en) | 2022-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72510B2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 |
CN111886291B (zh) | 热塑性树脂组合物和由其形成的模塑产品 | |
EP3733770A1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formed therefrom | |
KR102183732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KR101961994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1994558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1945603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2171420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2310406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
KR101980018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2223203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2106695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US11492487B2 (en) |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 |
US11987697B2 (en) | Thermoplas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roduced therefrom | |
KR102705483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
KR101968014B1 (ko)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
JP2021500421A (ja) |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