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1123A -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1123A
KR20200081123A KR1020180171284A KR20180171284A KR20200081123A KR 20200081123 A KR20200081123 A KR 20200081123A KR 1020180171284 A KR1020180171284 A KR 1020180171284A KR 20180171284 A KR20180171284 A KR 20180171284A KR 20200081123 A KR20200081123 A KR 20200081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braille
key
unit
exter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혁
Original Assignee
(주)건융아이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융아이비씨 filed Critical (주)건융아이비씨
Priority to KR102018017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1123A/ko
Publication of KR2020008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11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들이 간편하게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매우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점자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점자를 문자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입력변환부; 및 상기 입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문자코드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장애인들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언제든지 서로 용이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BRAILLE INPUT DEVICE CONNECTED WITH OUTSIDE TERMINAL}
본 발명은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간편하게 몸에 지니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매우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들이 문자입력을 통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점자가 아니라 직접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쿼티(qwerty) 키보드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시각장애인들은 문자입력장치를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든 입력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쿼티 키보드는 휴대하기가 어렵고 휴대성을 강조하려면 입력키가 너무 작아져 사용하는데 불편하다.
다른 방안으로 입력키의 개수가 쿼티 키보드보다 적은 점자입력 키보드를 생각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등록특허 제10-0567134호에 의한 점자 입출력기는 점자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6점자 입력키(40), 6점자 입력키(40)와 조합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펑션키(42), 키입력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페이스키(44), 커서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4개의 방향키, 출력되는 파일에 대한 점자데이터를 표시하는 점자표시부(28)를 포함한다.
상기 특허에 의한 점자 입출력기는 컴퓨터에 연결하여 점자를 쉽게 입력하고 출력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일정 공간에서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가지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자를 입력하여 점자표시부로 출력되는 점자를 읽을 수는 있으나, 시청각장애인들이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편하게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 어디서나 쉽게 문자입력을 통해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청각장애인들이 편리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점자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점자를 문자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입력변환부; 및 상기 입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문자코드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는 점자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입력키 사이에 네비게이션키가 구비되고,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상하좌우의 이동키 및 선택을 하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T'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수평으로 점자입력을 위한 점자입력키가 구비되고, 수직으로 특수기능키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특정 점자를 포함하는 변환점자가 저장되고, 상기 입력변환부는 특정 점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점자를 검색하여 상기 특정 점자를 포함하는 변환점자를 표시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특정 점자가 입력된 채 점자입력키가 일정시간 이상 눌려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점자를 검색하여 상기 특정 점자를 포함하는 변환점자를 표시하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각장애인들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언제든지 서로 용이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성을 살리면서 동시에 비교적 큰 입력키를 제공하여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점자입력장치를 나타내는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본 발명에 의한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외형도;
도 4는 도 3에서 네비게이션키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페어링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는 입력부(100), 입력변환부(200), 통신부(300), 페어링스위치(미도시), 배터리부(400), 음성출력부(500), 저장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0)는 복수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입력키는 'T'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본체부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력부 중 상부에는 점자입력을 위한 점자입력키(101~108)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방향으로는 특수기능키가 배열된다.
상기 점자입력키는 6개의 점자를 입력하기 위한 6개의 점자입력키(101~106) 및 한글입력시 종성입력없이 다음 글자로 넘어가기 위한 점자입력키(107,108)를 포함한다. 즉, 초성과 중성을 입력하고 점자입력키(107,108)를 누르면 입력부는 받침없는 글자로 인식하고 다음 글자의 입력으로 넘어가게 된다.
본 문자입력장치에서 점자입력키는 가로로 배열되고 특수기능키는 세로로 배열되어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으로 점자입력키를 조작하고, 엄지손가락으로 특수기능키를 사용함으로써 손 구조상 매우 편리하게 입력을 할 수 있다.
상기 특수기능키 중 "MODE"키는 단독 또는 다른 키와 조합하여 누를 때 마다 한글모드, 영문모드, 문장완성모드를 포함하는 모드로 변경되거나 기기의 리셋과 같은 여러가지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글모드 및 영문모드는 각각 한글입력과 영문입력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문장완성모드는 상대방에게 전송할 문장을 완성한 후 간편하게 전송하기 위한 상태이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SPACE"키는 입력시 한칸을 띄우거나 점자키를 같이 조합하여 단축키로 이용되며, "SHIFT"키는 영문입력 중 대문자와 소문자를 전환시키거나 다른 키와 조합하여 연결장치에 지원하는 특수 기능들을 지원한다. 또한, "CTRL"키는 다른 키와 함께 사용하여 사용자 정의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RL"키와 점자입력키(107)를 동시에 누르면 문장의 처음으로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ALT"키와 점자입력키(108)를 동시에 누르면 문장의 마지막으로 커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점자입력키의 사이에는 가운데에 네비게이션키(110)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상하좌우에 각각 이동키(111~114)가 구비되고, 가운데에 선택키(115)가 구비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이동키는 커서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SHIFT, CTRL과 같은 키와 조합할 경우 빠르게 글자, 단어, 줄을 선택하여 편집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면 점자입력키(107,108)와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초성과 중성을 입력하고 네비게이션키의 오른쪽 이동키(112)를 누르면 입력부는 받침없는 글자로 인식하고 다음 글자의 입력으로 넘어가게 되고, 가운데 선택키를 누를 경우 엔터키로 사용되어 다음 줄로 이동한다.
상기 입력변환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점자를 쿼티(qwerty) 문자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후 상대방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입력변환부(200)에서는 입력된 점자를 대응하는 문자코드를 변환시켜 준다. 상기 문자코드는 아스키코드 또는 유니코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300)는 블루투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페어링된 외부단말기로 변환된 문자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단말기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무선 연결을 위해 전원을 켜면 가까이에 있는 무선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단말기와 페어링 된다. 페어링 후에 통신부에서는 입력변환부에서 변환된 문자코드를 페어링된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점자입력은 별도의 송신 키를 눌러 전송하지 않고 점자가 입력되면 입력변환부(200)에 의해 문자코드로 변환되고, 통신부(300)에 의해 변환된 문자코드가 페어링된 외부 단말기로 전송된다. 그리고, 외부단말기는 수신된 QWERTY 키보드의 문자코드를 변환하여 출력한다. 별도의 키를 누르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만 입력하게 되어 빠르게 문장을 완성할 수 있다. 문장완성모드는 입력되는 점자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약자 또는 약어로 입력된 문자를 하나의 단어 또는 글자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사를 빠르고 쉽게 상대방에게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배터리부(400)는 2차전지로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주며, 음성출력부(50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키를 누를 때, 또는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또는 소리로 내용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부(600)에는 사용자가 과거 지정한 단축키 또는 지정된 키 값을 변경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600)에는 단축키로서,
Figure pat00001
(안녕하세요?)가
Figure pat00002
(안녕)으로 단축키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 입력변환부에서는
Figure pat00003
를 포함하는 변환점자를 저장부에서 검색하고 "안녕하세요?"로 변환하여 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장치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키는 자주 사용되는 단축키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변경,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SHIFT/CTRL/MODE/SPACE의 키의 위치를 사용자에 맞게 변환할 수 있도록 지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입력변환부(200)에서는 입력부로부터 특정 점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특정 점자를 포함하는 변환점자를 검색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조화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입력부 110 : 네비게이션키
200 : 입력변환부 300 : 통신부
400 : 배터리부 500 : 음성출력부
600 : 저장부

Claims (5)

  1. 점자 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점자를 문자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입력변환부; 및
    상기 입력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문자코드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점자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입력키 사이에 네비게이션키가 구비되고,
    상기 네비게이션키는 상하좌우의 이동키 및 선택을 하는 선택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T'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수평으로 점자입력을 위한 점자입력키가 구비되고, 수직으로 특수기능키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는 특정 점자를 포함하는 변환점자가 저장되고,
    상기 입력변환부는 특정 점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특정 점자를 검색하여 상기 특정 점자를 포함하는 변환점자를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장치는 기 지정된 키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키의 값 또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KR1020180171284A 2018-12-27 2018-12-27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KR202000811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284A KR20200081123A (ko) 2018-12-27 2018-12-27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284A KR20200081123A (ko) 2018-12-27 2018-12-27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1123A true KR20200081123A (ko) 2020-07-07

Family

ID=71603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284A KR20200081123A (ko) 2018-12-27 2018-12-27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11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7880A (ko) 데이터 입력 장치
EP3518091A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US20160048217A1 (en) Mobile Keyboard
KR20030038499A (ko)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KR20200081123A (ko)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KR102201811B1 (ko)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KR101491039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KR100605929B1 (ko)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의 영문자 인식방법
KR20200143314A (ko)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CN114489352A (zh) 一种拼音键盘输入法及一种便携键盘
KR200300055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자 입력방법
KR100436286B1 (ko) 점자입력이 가능한 시각장애인용 무선 단말기
US9696766B1 (en) Double-jointed hinge for computer keyboard
KR101118530B1 (ko)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입력 시스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335436B1 (ko) 한글 입력 검색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검색방법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CN107995374A (zh) 可适用于多语种语言相互通讯的翻译手机
KR20180120875A (ko)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KR100829782B1 (ko)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KR100446552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101988604B1 (ko) 여섯 키를 이용한 입력장치
KR102103065B1 (ko) 점자 음성 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100365017B1 (ko) 단축한글조합방법 및 장치
KR20160033958A (ko) 빠른 입력이 가능한 웨어러블용 소형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