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989A -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 Google Patents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989A
KR20200080989A KR1020180171040A KR20180171040A KR20200080989A KR 20200080989 A KR20200080989 A KR 20200080989A KR 1020180171040 A KR1020180171040 A KR 1020180171040A KR 20180171040 A KR20180171040 A KR 20180171040A KR 20200080989 A KR20200080989 A KR 2020008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ating groove
angle
torsion spr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273B1 (ko
Inventor
정재영
장동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츠텍
Priority to KR102018017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2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하는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가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될 수 있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은, 외력에 의해 회전된 후 일정구간에서 프리스탑 방식으로 회전되고, 프리스탑 회전 후 역회전하는 구간에서는 자동으로 역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 HINGE MODULE FOR ROTATING DOOR }
본 발명은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하는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가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될 수 있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본체대상물에 도어가 힌지 결합되어, 본체대상물의 내부를 열거나 닫일 수 있는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일예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보관하는 본체와, 이를 개폐하는 도어로 이루어진다.
크거나 무거운 물건 또는 많은 수의 물건을 냉장고 내부에 넣거나 뺄 경우, 냉장고 도어를 장시간 열어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냉장고는 냉장고 내부에 많은 물건을 넣거나 뺄 때,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잡은 상태에서 냉장고 내부에 물건을 넣거나 빼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6-0119459호 공개특허 제10-2006-009935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대상물(냉장고 등)로부터 회전하여 개방된 도어가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여, 본체대상물의 내부에 물건을 넣거나 뺄 때 사용자가 도어에 간섭됨이 없이 편리하게 물건을 넣거나 뺄 수 있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은,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구동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모듈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력에 의한 상기 구동모듈의 정방향 회전시 초기정지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인 제1각도까지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구동모듈이 회전되고,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하면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킴없이 상기 구동모듈이 자유롭게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듈이 정회전하여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상기 구동모듈의 역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 없이 상기 구동모듈이 자유롭게 역회전되고, 상기 제1각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압축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듈이 자동으로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듈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제1안착홈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제1안착홈에 삽입배치되는 구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감싸고, 타단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일단에는 상기 구동부재가 삽입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구동부재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홈의 깊이, 상기 제2안착홈의 깊이 및 상기 관통공의 깊이는 각각 상기 구동부재의 직경보다 작되,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제1안착홈 및 관통공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의 중심점은 상기 제1안착홈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제2안착홈 및 관통공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의 중심점은 상기 제2안착홈의 외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모듈의 초기정지위치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1안착홈 및 관통공에 삽입배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샤프트와 클러치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각도를 지나게 되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1안착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관통공과 제2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클러치 및 구동부재의 회전없이 상기 샤프트만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킴없이 자유회전하며, 상기 샤프트가 정회전하여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역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 없이 상기 샤프트가 자유회전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각도를 지나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클러치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2안착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관통공 및 제1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클러치, 구동부재 및 샤프트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역회전한다.
상기 제1안착홈은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제1각도에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정지홈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정지홈에 삽입되는 정지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정지홈에 삽입된 상기 정지돌기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체대상물(냉장고 등)로부터 회전하여 개방된 도어가 열린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여, 본체대상물의 내부에 물건을 넣거나 뺄 때 사용자가 도어에 간섭됨이 없이 편리하게 물건을 넣거나 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각도를 초과한 구간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경우 회전되지 않는 프리스탑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제1각도 미만에서는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도어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편리하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이 냉장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샤프트와 클러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회전시 각도별 동작을 설명하기 설명도,
도 9는 도 7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샤프트가 정회전하는 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샤프트가 역회전하는 과정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구동모듈(20)과, 지지부재(50)와, 토션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과 구동모듈(20)는 그 장착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가 나머지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은 회전하는 도어(81)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듈(20)이 상기 도어(81)가 힌지결합된 본체대상물(82, 냉장고 등)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81)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구동모듈(20)에 대하여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구동모듈(20)이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물론, 상기 구동모듈(20)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구동모듈(20)에 대하여 회전되게 설치할 수도 있으며, 그 작동과정 및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구성 및 특징은 동일하다.
상기 하우징(10)은 중공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중공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원통 기둥 및 그 이외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듈(20)의 구동부재(24)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2안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듈(20)은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구동모듈(20)은 구체적인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의 타단에 장착된다.
상기 토션스프링(6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모듈(20)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50)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토션스프링(60)은 상기 구동모듈(20)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가하고 있다.
외력에 의한 상기 구동모듈(20)의 정방향 회전시, 초기정지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인 제1각도까지는 상기 토션스프링(60)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구동모듈(20)이 회전되고,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하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을 압축시킴없이 상기 구동모듈(20)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듈(20)이 정회전하여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상기 구동모듈(20)의 역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는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 없이 상기 구동모듈(20)이 자유롭게 역회전되고, 상기 제1각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압축된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듈(20)이 자동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즉, 초기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제1각도까지는 상기 토션스프링(60)을 압축시키거나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듈(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각도에서는 상기 구동모듈(20)이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힘의 작용없이 자유롭게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상기 구동모듈(20)은, 샤프트(21)와, 구동부재(24)와, 클러치(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샤프트(21)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제1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제1안착홈(22)에 삽입배치된다.
상기 클러치(25)는 일단이 상기 샤프트(21)의 타단을 감싸고, 타단에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일단이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1)를 감싸는 상기 클러치(25)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부재(24)가 삽입배치되는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21)와 클러치(25)는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1안착홈(22)과 관통공(26)이 선택적으로 상호 연통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2안착홈(11)은 상기 제1각도에 대응되는 위치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21)의 회전시 상기 관통공(26)에 삽입된 상기 구동부재(24)가 선택적으로 안착되거나 분리 이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맨 안쪽에 상기 샤프트(21)가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1)를 상기 클러치(25)가 감싸고, 상기 클러치(25)의 외부를 상기 하우징(10)이 감싸고 있기 때문에, 안쪽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제1안착홈(22), 관통공(26), 제2안착홈(11)이 형성되어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제1각도는 45도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안착홈(11)은 상기 구동모듈(20)의 초기정지위치로부터 45도의 각도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착홈(22)의 깊이, 상기 제2안착홈(11)의 깊이 및 상기 관통공(26)의 깊이는 각각 상기 구동부재(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24)가 상기 제1안착홈(22) 및 관통공(26)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24)의 중심점은 상기 제1안착홈(22)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24)가 상기 제2안착홈(11) 및 관통공(26)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24)의 중심점은 상기 제2안착홈(11)의 외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24)가 상기 제1안착홈(22) 및 관통공(26)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1)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샤프트(21)에 의해 밀려 상기 제1안착홈(22)에서 상기 제2안착홈(11)이 형성된 바깥쪽으로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24)가 상기 제2안착홈(11) 및 관통공(26)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2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클러치(25)에 의해 밀려 상기 제2안착홈(11)에서 상기 제1안착홈(22)이 형성된 안쪽으로 이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안착홈(22)은 2개가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24)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안착홈(11)은 2개가 상기 제1각도에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24)는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재(24)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22)은 상기 샤프트(21)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원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홈(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원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21)의 외주면에는 정지홈(23)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정지홈(23)에 삽입되는 정지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지홈(23)에 삽입된 상기 정지돌기(12)에 의해 상기 샤프트(21)의 회전각도가 제한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의 회전시 각도별 동작을 설명하기 설명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프트(21)는 45도까지 외력에 의해 정회전되고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역회전되며, 45도를 초과한 구간에서는 외력이 제거되더라도 회전되지 않는 프리스탑(free stop) 방식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이루어지며, 역회전하여 45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21)가 회전되지 않은 초기정지위치에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관통공(26) 및 제1안착홈(22)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60)은 상기 구동모듈(20)을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을 발생시키고 있다.
상기 샤프트(21)는 상기 정지홈(23)에 상기 정지돌기(12)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역회전 방향의 탄성복원력이 상기 클러치(25), 구동부재(24)를 통해 상기 샤프트(21)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샤프트(21)는 역회전이 됨이 없이 초지정지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외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21)가 정회전하게 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의 제1안착홈(22)에 삽입된 상기 구동부재(24)에 의해 상기 클러치(25)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25)에 결합된 상기 토션스프링(60)은 상기 클러치(25)가 회전됨에 따라 점점 더 압축되게 된다.
상기 샤프트(21)가 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안착홈(22), 관통공(26) 및 제2안착홈(11)이 서로 연통되는 구간 즉 제1각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는 본 실시예에서 45도이다.
즉, 상기 샤프트(21)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샤프트(21)와 클러치(25)는 상기 구동부재(24)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6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21)가 더 정회전하게 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24)는 밀려 상기 제1안착홈(22)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관통공(26)을 가로질러 상기 제2안착홈(11)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24)가 상기 제2안착홈(1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25)는 상기 구동부재(24)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9(c)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가 제1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제1안착홈(22)에서 완전 이탈되어 상기 관통공(26) 및 제2안착홈(11)에 삽입 배치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샤프트(21)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샤프트(21)의 회전력은 상기 클러치(25)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 이후에는 도 9(e)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가 180도까지 회전하더라도, 상기 샤프트(21)의 회전력은 상기 클러치(25) 및 구동부재(24)에 전달되지 않아, 상기 클러치(25) 및 구동부재(24)의 회전없이 상기 샤프트(21)만 회전하게 되고 상기 토션스프링(60)에도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25)에는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역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는바, 상기 클러치(25)는 상기 구동부재(24)를 상기 하우징(10)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역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클러치(25)는 제1각도까지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24)는 중심점이 상기 제2안착홈(11)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상기 클러치(25)의 역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24)에 상기 제2안착홈(11)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걸려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관통공(26)과 제2안착홈(11)에 삽입 배치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샤프트(21)는 상기 제2안착홈(11)이 형성된 제1각도 이후부터는 프리스탑 방식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21)가 정회전하여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21)를 역회전시킬 경우에는, 도 10(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 없이 상기 샤프트(21)만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그러다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21)가 더 역회전하여 상기 제1안착홈(22)이 상기 관통공(26)과 연통되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상기 클러치(25)의 역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제2안착홈(11)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21)가 제1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구동부재(24)는 상기 제2안착홈(11)에서 점점 이탈되어 상기 관통공(26) 및 제1안착홈(22)에 점점 삽입 안착되게 된다.
이때부터는 상기 구동부재(24)가 상기 제2안착홈(11)에서 이탈되어 상기 클러치(25)에 작용하는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역회전력에 의해, 상기 클러치(25)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의한 상기 클러치(25)에 역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함에 따라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25)는 상기 구동부재(24)를 통해 상기 샤프트(21)와 함께 자동으로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21)는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정치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81) 등에 장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체대상물(82)(냉장고 본체)에 하우징(10)이 장착되고, 회전하는 도어(81)에 상기 샤프트(21)가 연결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81)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1각도까지 상기 샤프트(21)가 사용자가 외력에 의해 강제로 회전시키고, 제1각도를 초과한 나머지 각도 구간에서는 자동으로 회전되지 않는 프리스탑방식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며, 냉장고 도어(81)를 닫고자 할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제1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토션스프링(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샤프트(21) 및 냉장고 도어(81)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닫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제1각도를 초과한 구간에서 프리스탑 방식으로 샤프트(21)의 회전 및 냉장고 도어(81)가 회전하기 때문에,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81)를 잡지 않아도 냉장고 도어(8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냉장고 도어(81)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무겁고 큰 물건을 두손으로 잡거나 많은 물건을 냉장고 내부에 용이하게 넣거나 뺄 수 있으며, 역회전에 회전에 의해 제1각도에 도달하게 되면 냉장고 도어(81)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본체대상물(82)에 상기 샤프트(21)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81)에 상기 하우징(10)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하우징(10)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은 냉장고 뿐만 아니라, 도어가 회전하도록 장착된 세탁기, 스타일러, 유리문, 방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제2안착홈, 12 : 정지돌기,
20 : 구동모듈, 21 : 샤프트, 22 : 제1안착홈, 23 ; 정지홈, 24 : 구동부재, 25 : 클러치, 26 : 관통공,
50 : 지지부재,
60 : 토션스프링,
81 : 도어, 82 : 본체대상물.

Claims (7)

  1. 중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는 구동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구동모듈의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력에 의한 상기 구동모듈의 정방향 회전시 초기정지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각도인 제1각도까지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구동모듈이 회전되고,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하면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킴없이 상기 구동모듈이 자유롭게 회전하며,
    상기 구동모듈이 정회전하여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상기 구동모듈의 역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 없이 상기 구동모듈이 자유롭게 역회전되고, 상기 제1각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압축된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구동모듈이 자동으로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의 외주면에 제1안착홈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제1안착홈에 삽입배치되는 구동부재와;
    일단이 상기 샤프트의 타단을 감싸고, 타단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를 감싸는 일단에는 상기 구동부재가 삽입배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클러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각도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상기 구동부재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홈의 깊이, 상기 제2안착홈의 깊이 및 상기 관통공의 깊이는 각각 상기 구동부재의 직경보다 작되,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제1안착홈 및 관통공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의 중심점은 상기 제1안착홈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제2안착홈 및 관통공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의 중심점은 상기 제2안착홈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의 초기정지위치에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1안착홈 및 관통공에 삽입배치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샤프트와 클러치는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각도를 지나게 되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1안착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관통공과 제2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면서 상기 클러치 및 구동부재의 회전없이 상기 샤프트만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킴없이 자유회전하며,
    상기 샤프트가 정회전하여 상기 제1각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상기 샤프트의 역회전시 상기 제1각도까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 없이 상기 샤프트가 자유회전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1각도를 지나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클러치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2안착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관통공 및 제1안착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클러치, 구동부재 및 샤프트가 상기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5.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홈은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제1각도에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6.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안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7.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정지홈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정지홈에 삽입되는 정지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정지홈에 삽입된 상기 정지돌기에 의해 상기 샤프트의 회전각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1020180171040A 2018-12-27 2018-12-27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10218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040A KR102180273B1 (ko) 2018-12-27 2018-12-27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1040A KR102180273B1 (ko) 2018-12-27 2018-12-27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989A true KR20200080989A (ko) 2020-07-07
KR102180273B1 KR102180273B1 (ko) 2020-11-18

Family

ID=7160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1040A KR102180273B1 (ko) 2018-12-27 2018-12-27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2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55A (ko) 2005-03-12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60119459A (ko) 2005-05-20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915101B1 (ko) * 2009-01-19 2009-09-03 주식회사 에이오텍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KR101064632B1 (ko) * 2008-12-26 2011-09-15 동우정밀(주) 자동닫힘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55A (ko) 2005-03-12 200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60119459A (ko) 2005-05-20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064632B1 (ko) * 2008-12-26 2011-09-15 동우정밀(주) 자동닫힘힌지
KR100915101B1 (ko) * 2009-01-19 2009-09-03 주식회사 에이오텍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273B1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961B1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GB2531900A (en) Lock cylinder mechanism capable of preventing violent damage
JP4627162B2 (ja) 容器
JP4820316B2 (ja) 回動体の回動制御装置
KR20200080989A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EP3798399A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US10920476B1 (en) Hinge device for rotating door
KR102126768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20200080991A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102073633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JP2021055526A (ja) 回転扉用ヒンジ装置
KR100251855B1 (ko) 서양식 변기의 변좌와 덮개의 개폐장치
KR20210038215A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CN114278665A (zh) 转轴组件及电子设备
KR102225392B1 (ko) 회전도어용 힌지장치
KR102091472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20200129654A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JP6359291B2 (ja) ヒンジ装置
KR10051403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536861B1 (ko) 밤껍질 벗기기 장치
CN210819640U (zh) 舱盖、过渡舱以及手套箱
KR102504981B1 (ko) 비데 덮개 구동용 댐퍼 장치
CN109253577B (zh) 铰链装置及冰箱
KR102091471B1 (ko) 회전 도어용 힌지모듈
KR102515746B1 (ko) 비데 덮개 구동용 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