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726A -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 Google Patents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726A
KR20200079726A KR1020180169172A KR20180169172A KR20200079726A KR 20200079726 A KR20200079726 A KR 20200079726A KR 1020180169172 A KR1020180169172 A KR 1020180169172A KR 20180169172 A KR20180169172 A KR 20180169172A KR 20200079726 A KR20200079726 A KR 20200079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resin
nanotechnology
culture
cell incub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진
김장호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바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바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바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169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726A/ko
Publication of KR20200079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5/00Means for supporting, enclosing or fixing the microorganisms, e.g. immunocoatings
    • C12M25/06Plates; Walls; Drawers; Multilaye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패턴의 패턴층이 포함되어 세포 배양에 있어서 실제 세포환경과 유사한 배양 조건을 구축할 수 있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는 소정의 배양공간을 제공하는 컬쳐디쉬(culture dish)와, 상기 컬쳐디쉬에 마련되며 나노사이즈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지지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Biomimetic cell incubator using nanotechnology}
본 발명은 세포배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 패턴의 패턴층이 포함되어 세포 배양에 있어서 실제 세포환경과 유사한 배양 조건을 구축할 수 있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약이나 백신의 제조, 신약 개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 및 연구와 같이 의학, 약학, 생명공학 등 매우 넓은 분야에서 세포의 배양이 행해지고 있다.
세포를 배양하는 데에 사용되는 세포배양기는 생물의 체내에서 이루어지는 물질의 분해, 합성, 화학적인 변환 등의 생화학적 반응 과정을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시스템인 바이오리액터(bioreactor)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세포의 배양이 실제로 발생되는 세포배양기의 배양조 내에는 적합한 영양분, 온도, 수소이온농도지수(pH),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 등의 다양한 조건이 소정의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최근에는 세포 배양이 생명과학, 공학 그리고 의과학을 통합 응용하는 생체 조직공학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체의 조직재생 능력은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조직구조 때문에 자체적으로 재생하는 능력은 매우 한정적이다. 인체는 줄기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세포 및 구성 환경 덕분에 조직 손상시 재생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사고, 질병, 노화 등의 이유로 인해 재생 기능의 한계를 벗어나는 일이 생기게 된다. 최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다양한 질병 및 사고의 증가로 인해 생체의 장기 조직은 재생력의 한계에 부딪히게 되면서 장기 조직의 재생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생체조직을 효과적으로 대체하거나 이식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점점 요구되고 있으며 인체 조직과 기관을 복원하려는 노력은 오랫동안 크게 주목을 받아 왔다. 초기에는 인공적인 대용품에서 생체적합재료의 개발, 장기이식 등로 시도되었으나, 상술한 생체 조직공학으로 발전하고 있다.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은 세포에서부터 인공장기에 이르는 재생의료의 영역으로, 조직이나 기관의 복원을 도울 수 있는 생체물질부터 재료에 이르는 생물학적, 공학적인 기술을 다루는 학문을 기반으로 미래의 생명과학과 의료분야의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생체 조직의 구조와 기능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나아가서 생체 대용품을 만들어 이식함으로써 우리 몸의 기능을 복원, 유지, 향상시키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조직공학의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세포가 붙어 자랄 수 있도록 지지역할을 하는 지주(support) 또는 지지체(scaffold)를 만들어내는 일이다. 2차원 막이나 캡슐과 달리 지지체는 3차원 형으로, 3차원 구조를 가진 모든 체내 세포가 부착되어 분화 및 증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일컫는다.
지지체는 생체조직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체는 다공성 구조 내에 파종된 세포와 조직 주변으로부터 이동되는 세포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거의 대부분의 인체내 세포는 부착되어 성장되는 부착세포로써 만일 부착할 곳이 없으면 세포는 성장되지 못하고 사멸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체는 세포의 부착, 분화, 성장 및 세포 이동에 대한 적합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지지체는 다양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는데, 현재, 천연재료, 합성 고분자, 생체 세라믹스 및 고분자-세라믹 복합소재를 사용하여 조직재생용 지지체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배양 대상의 세포는 신체 내부에서 나노 구조 등 매우 복잡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세포배양기의 지지체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 실제 세포의 환경과 유사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7069호 : 세포배양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나노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층을 포함함으로써 실제 세포환경과 유사한 배양조건을 구축함으로써 생체모사형의 세포배양구조를 갖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는 소정의 배양공간을 제공하는 컬쳐디쉬(culture dish)와, 상기 컬쳐디쉬에 마련되며 나노사이즈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지지체는 상기 컬쳐디쉬의 상면에 접착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층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폴리(L-락타드-co-글리콜라이드) 수지,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지, 폴리라틱애시드(poly lactic acid, PLA) 수지, 폴리글리코릭애시드(poly glycolic acid, PGA) 수지,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층은 상기 패턴의 폭과 간격이 서로 독립적으로 300 내지 800nm 이고, 상기 패턴의 폭과 간격이 그 길이비가 1:0.5 내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층은 상기 패턴이 소정 직경의 도트(dot) 형태로 상호 조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는 나노 사이즈의 패턴 형상이 형성된 패턴층을 통해 당야한 국소 밀도(local density)를 형성함으로써 실제 세포환경과 유사한 배양 조건을 구축하여 세포의 배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패턴지지체의 개념도,
도 4는 패턴지지체의 나노패턴 배열을 생성하는 가공 공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PUA 수지를 사용한 패턴지지체의 합성된 나노패턴의 SEM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나노패턴이 다양한 비율로 배치된 실시예의 SEM 이미지,
도 7은 도트(dot) 형태의 나노패턴을 갖는 패턴지지체의 SEM 이미지,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와 기존 세포배양기의 세포 증식 결과를 보여주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베포배양기(1, 이하 '세포배양기'라 함)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세포배양기(1)는 컬쳐디쉬(10; culture dish)와, 상기 컬쳐디쉬(10)에 마련되며 나노사이즈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지지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컬쳐디쉬(10)는 세포가 배양될 수 있는 배양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배양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컬쳐디쉬(10)의 상부에는 배양공간을 폐쇄할 수 있는 별도의 덮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컬쳐디쉬(10)는 유리나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금속재 등이 적용될 수 있는데, 배양하는 세포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적절한 재질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컬쳐디쉬(10)에 하나의 배양공간이 구비되고, 그 하나의 배양공간에 하나의 패턴지지체(20)가 구비되어 있으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나의 컬쳐디쉬(10)에 복수개의 배양홈(11)들이 구비되고, 각각의 배양홈(11)들에 독립적으로 패턴지지체(20)가 마련되어 하나의 컬쳐디쉬(10)에서 복수의 세포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는 2×3으로 패턴지지체(20)들이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배치방식으로 복수의 패턴지지체(20)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턴지지체(20)는 컬쳐디쉬(10)의 상면에 안착되는데, 접착층(21)과 패턴(23)이 형성되어 있는 패턴층(22)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21)은 컬쳐디쉬(10)와 패턴층(22)을 접합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패턴층(22)과 컬쳐디쉬(10)를 접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의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인산아크릴레이트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조합한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패턴층(22)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폴리(L-락타드-co-글리콜라이드) 수지,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지, 폴리라틱애시드(poly lactic acid, PLA) 수지, 폴리글리코릭애시드(poly glycolic acid, PGA) 수지,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등이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생체 적합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수지,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지, 폴리(L-락타드-co-글리콜라이드) 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조직 재생의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패턴층(22)은 접착층(21) 없이 바로 컬쳐디쉬(10)의 상면에 형성될수도 있는데, 이 경우 컬쳐디쉬(10) 상에 패턴층(22) 소재를 도포함 다음 가공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몰드(30)로 가압하여 패턴층(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패턴층(22)의 패턴(23)은 모세관력 리소그래피(capillary force lithography; CFL)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모세관력 리소그래피는 모세관 작용이라는 자연적인 힘을 이용하여 고분자를 몰드(30)의 빈 공간으로 끌어올려 패턴(23)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미세하고 정교하게 나노 패턴(2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몰드(30)는 예를 들면 PUA(PolyUrethane Acrylate) 몰드 또는 PDMS(polydimethyl siloxane) 몰드를 사용할 수 있다. PUA(Young’s modulus: 100-400 MPa) 몰드와 PDMS(polydimethyl siloxane)(Young's modulus: 2 MPa) 몰드는 영율(Young’s modulus)이 달라서 모세관력 리소그래피를 이용한 나노 사이즈의 패턴(23)을 제조할 재료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수지,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지, 폴리(L-락타드-co-글리콜라이드) 수지를 이용하여 나노 패턴(23)을 이용할 때는 PUA(PolyUrethane Acrylate) 몰드를 사용할 때 더욱 섬세한 패턴(23)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의 조직 재생을 위한 세포 배양 지지체는 PUA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포배양기(1)를 제조하는 제조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PolyUrethane Acrylate, PUA) 몰드(30)를 제조한다.
실리콘 웨이퍼를 감광액 (Shipley, Marlborough, MA)으로 스핀 코팅한 다음 전자빔 리소그래피 (JBX-9300FS, JEOL)를 통해 패터닝한다. 감광액 현상(MF320, Shipley) 후, 노출된 실리콘은 deep reactive ion 에칭 (STS ICP Q34 Etcher) 공정을 통해 어레이를 형성한다. 실리콘 웨이퍼 상에 남아있는 감광액은 애싱 공정 (BMR ICP PR Asher)을 통해 제거한 다음, 실리콘 마스터로 다이싱(dicing)하여 후속 복제 몰딩한다.
PUA는 토포그라픽 나노패턴 어레이(topographic nanopattern arrays)를 제작하기 위한 실리콘 마스터의 소재로 사용한다. 즉, UV 경화성 PUA 전구체 (Minuta Tech, South Korea)를 마스터에 떨어뜨려 100 μm 두께의 PET 필름 (SKC Inc, 대한민국)을 지지면으로 하여 접촉시키고 UV를 수십 초 동안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PET 필름에서 음성 PUA 복제물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몰드(30)를 통해 다양한 국소 밀도(local density)의 나노 패턴(23)을 포함하는 패턴지지체(20)를 제조한다.
패턴지지체(20)의 형성을 위해 예를 들어 25×25㎟ 면적의 조립식 마스터 PUA 몰드(30)로부터 다양한(300, 400, 500, 600, 700 및 800 nm) 폭과 간격(ridge/groove)을 포함하는 나노 매트릭스(패턴지지체)를 제조한다.
도 4에 도시된 패턴지지체(20)의 제조과정에 대한 개념도를 참고로 패턴지지체(20)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패턴지지체(20)를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로 만드는 경우에는 먼저 유리로 된 컬쳐디쉬(10)를 이소프로필 알콜로 세정하고, 증류수로 완전히 세정한 후, 질소 기류 중에서 건조한다. 그 후, 접착제 (인산아크릴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 1:10, 부피비)를 3000rpm으로 30초 동안 50 ~ 100 nm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스핀 코팅한다. 소량의 동일한 PUA 전구체를 컬쳐디쉬(10) 상에 떨어뜨리고, PUA 몰드(30)를 표면상에 직접 접촉한다. 이때, PUA 전구체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자발적으로 몰드(30)의 공동(cavity)을 채우고, 투명한 백플레인(dose = 100mJcm-2)을 통해 ~30 초 동안 UV광 (λ = 250~400 nm)에 노출시켜 경화한다. 경화 후, 날카로운 집게를 사용하여 컬쳐디쉬(10)로부터 몰드(30)를 분리한다.
상기 패턴지지체(20)는 폴리카프로락톤(PCL)으로 제조될 수도 있는데, PCL 패턴지지체(20)는 PUA 전구체 대신 PCL 전구체를 사용한다는 것과, UV광 대신 60 내지 120℃의 열을 이용하여 경화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PUA 패턴지지체(20)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패턴지지체(20)의 형성 과정에서 패턴층(22)을 컬쳐디쉬(10) 상에 바로 형성하면서 접착층(21)의 코팅을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 패턴층(22)의 형성과정에서 형성되는 패턴(23)의 폭과 간격은 300 내지 800 nm 사이즈이며, 각각의 패턴(23)이 상호 독립적으로 폭과 간격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패턴층(22)의 패턴(23)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250 ~ 700 nm의 다양한 폭과 간격(ridges/grooves), 400 nm의 높이를 갖는 평행한 선형 토포그라피 패턴(topographic pattern)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패턴(23)의 폭과 간격은 증식되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기존의 편평한 세포지지체와 대비할 때, 본 발명의 나노지지체에 형성된 패턴은 산과 골이 교호적으로 형성된 선형의 나노패턴을 가지며, 산과 골의 길이비는 1:1, 1:3, 1:5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패턴(23)은 선형 패턴 뿐 아니라 도 7에 표시되어 있는 것처럼 도트(dot)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원형 뿐 아니라 삼각형이나 사각형 형상의 도트 형태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 형성될 수 있고, 선형의 패턴도 모두 나란하지 않고,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나노 사이즈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지지체(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세포배양기(1)는 세포배양에 대한 생체 세포 환경과 유사한 배양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배양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세포배양기(1)와 기존의 일반적인 세포배양기를 통해 세포 증식이 이루어진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섬유아세포의 증식실험 데이터로, 실험을 위해 70 % 알코올에 10분 동안 두 번 담근 후 1x PBS을 이용하여 세 번 워싱한 다음 배지를 넣어 실험 전 준비를 하였다.
세포는 1×104/well 당 seeding 후 한시간동안 세포 부착을 한 다음 배지를 넣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패턴의 사이즈가 400 nm, 800 nm 인 본 발명의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와, 기존의 세포배양기(TCPS)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의 생제포사형 세포배양기를 통한 세포 증식이 훨씬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골아세포의 증식실험 데이터이며, 이 역시 섬유아세포와 마찬가지로 실험준비과정을 거친 다음 세포 증식실험을 실시하였으며, 5일차의 증식량을 비교해 보면 나노사이즈의 패턴을 갖는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가 기존의 세포배양기에서 증식된 세포량보다 월등히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줄기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실험 데이터이고, 이 역시 본 발명의 나노사이즈 패턴을 갖는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가 기존의 세포배양기보다 우수한 세포증식 성능을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10: 컬쳐디쉬
11: 배양홈
20: 패턴지지체
21: 접착층
22: 패턴층
23: 패턴
30: 몰드

Claims (6)

  1. 소정의 배양공간을 제공하는 컬쳐디쉬(culture dish)와;
    상기 컬쳐디쉬에 마련되며 나노사이즈의 패턴이 형성된 패턴지지체;를 포함하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지지체는 상기 컬쳐디쉬의 상면에 접착되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패턴이 형성되는 패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PUA)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지, 폴리(L-락타드-co-글리콜라이드) 수지, 폴리카프로락톤(PCL) 수지, 폴리라틱애시드(poly lactic acid, PLA) 수지, 폴리글리코릭애시드(poly glycolic acid, PGA) 수지,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상기 패턴의 폭과 간격이 서로 독립적으로 300 내지 8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상기 패턴의 폭과 간격이 그 길이비가 1:0.5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층은 상기 패턴이 소정 직경의 도트(dot) 형태로 상호 조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KR1020180169172A 2018-12-26 2018-12-26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KR202000797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172A KR20200079726A (ko) 2018-12-26 2018-12-26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172A KR20200079726A (ko) 2018-12-26 2018-12-26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726A true KR20200079726A (ko) 2020-07-06

Family

ID=71571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172A KR20200079726A (ko) 2018-12-26 2018-12-26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7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069A (ko) 2018-09-21 2018-10-01 김두현 세포배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069A (ko) 2018-09-21 2018-10-01 김두현 세포배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ao et al. A material odyssey for 3D nano/microstructures: two photon polymerization based nanolithography in bioapplications
Mirbagheri et al. Advanced cell culture platforms: a growing quest for emulating natural tissues
Ventre et al. Engineering cell instructive materials to control cell fate and functions through material cues and surface patterning
Bhatia et al. Tissue engineering at the micro-scale
TWI445820B (zh) 細胞培養容器及細胞培養方法
CN104039951B (zh) 用于引导细胞迁移的装置和实施这种装置的引导方法
EP2231858B1 (en) Patterned cell sheets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Kavand et al. Cell-imprint surface modification by contact photolithography-based approaches: direct-cell photolithography and optical soft lithography using PDMS cell imprints
Malinauskas et al. 3D artificial polymeric scaffolds for stem cell growth fabricated by femtosecond laser
JP6744008B2 (ja) 構造化セルロースパッチ又は要素の製造方法、及びそのような方法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デバイス
JP2010516273A (ja) 培養細胞を処理する方法
JP4238972B2 (ja) 細胞培養チャンバー
Carthew et al. The bumpy road to stem cell therapies: Rational design of surface topographies to dictate stem cell mechanotransduction and fate
Ramos-Rodriguez et al. The use of microfabrication techniques for the design and manufacture of artificial stem cell microenvironments for tissue regeneration
Ventre et al. Nanotechnologies for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on
Kim et al. Eggshell membrane as a bioactive agent in polymeric nanotopographic scaffolds for enhanced bone regeneration
Wang et al. Hierarchical micro-and nanopatterning of metallic glass to engineer cellular responses
KR20200079726A (ko) 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체모사형 세포배양기
JP2777392B2 (ja) 細胞培養基板およびその製法
Snyder et al. Fabrication of multiple microscale features on polymer surfaces for applications in tissue engineering
KR102499287B1 (ko) 조직재생을 위한 기능성 플라즈마 멀티스케일 패치 개발
TWI363800B (en) Biomedical device having crosslinked biopolymer micro pattern and preparation thereof
KR20190012786A (ko) 조직 재생용 세포 배양 지지체 및 조직 재생용 키트
CN107227297A (zh) 一种快速无掩模的细胞二维图形化制作方法
Alcocer et al. Advances in the Development of Tissue Engineering Applied to the Skin Using 3D Bio-Printers for the Treatment of Burn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