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596A - 폴딩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폴딩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596A
KR20200078596A KR1020207015297A KR20207015297A KR20200078596A KR 20200078596 A KR20200078596 A KR 20200078596A KR 1020207015297 A KR1020207015297 A KR 1020207015297A KR 20207015297 A KR20207015297 A KR 20207015297A KR 20200078596 A KR20200078596 A KR 20200078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handle portion
rotation
axis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챠이니크
Original Assignee
챠이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챠이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챠이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7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brakes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on one side of the work
    • B21D5/042With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ben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6Folding; Pl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5/00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 E04D15/04Apparatus or tools for roof working for roof coverings comprising slabs, sheets or flexi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금(8)을 절곡하기 위한 폴딩 플라이어(1)로, 제1 클램핑 영역(2), 제2 클램핑 영역(3), 제1 파지 부분(6) 및 제2 파지 부분(7)을 포함하며, 클램핑 영역들(2, 3)은 제1 회전축선(4)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파지 부분(6)은 제1 클램핑 영역(2)에 연결되고, 제2 파지 부분(7)은 제1 파지 부분(6)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폴딩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튼튼하고 동시에 다루기 쉬운 공구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2 파지 부분(7)이 제2 클램핑 영역(3)에 제2 회전축선(5)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파지 부분(6)이 운반 위치 밖으로 제2 파지 부분(7)에 대해 선회될 때,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배열된 판금(8)이 클램핑 영역들(2, 3)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제1 클램핑 영역(2)이 제2 클램핑 영역(3)에 대해 이동되고, 그 후 제1 파지 부분(6)이 제2 파지 부분(7)에 대해 더 선회 이동하면, 클램핑된 판금(8)을 벤딩하기 위하여, 제1 클램핑 영역(2)이 제2 클램핑 영역(3)과 함께 제2 회전축선 둘레(5)로 제2 파지 부분(7)에 대해 회전 이동하게 된다.

Description

폴딩 플라이어
제1 클램핑 영역, 제2 클램핑 영역, 제1 손잡이 부분 및 제2 손잡이 부분을 포함하며, 클램핑 영역들은 제1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제1 손잡이 부분은 제1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제2 손잡이 부분은 제1 손잡이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판금을 벤딩하기 위한 폴딩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 판금을 폴딩하거나 혹은 판금을 벤딩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공구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공구들은 다루기가 불편하고 무거우며,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공구들은 예를 들어 판금을 외벽(facade)에서 간단하게 폴딩하거나 벤딩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다루기 쉬우며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서두에서 언급한 유형의 공구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유형의 폴딩 플라이어로, 제2 손잡이 부분은 제2 손잡이 부분이 제2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2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손잡이 부분이 운반 위치로부터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선회되고, 제1 클램핑 영역은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 위치된 판금 조각이 클램핑 영역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해 이동되고, 그 후 제1 손잡이 부분이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더 선회 이동하면, 클램핑된 판금을 벤딩하기 위하여, 제1 클램핑 영역이 제2 클램핑 영역과 함께 제2 회전축선 둘레로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회전 이동하게 되는 폴딩 플라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라 폴딩 플라이어가 실시되고, 손잡이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이동 시 우선 판금 조각이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 클램핑되고, 손잡이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더 이동하면 클램핑 영역들이 판금과 함께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이동함으로 인해 판금이 후속해서 제2 회전축선 둘레로 벤딩되면, 판금을 벤딩하기 위한 컴팩트하고 경량인 장치가 간단하게 얻어질 수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유형의 폴딩 플라이어는 예를 들어 외벽 작업을 위해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경량이며 컴팩트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동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판금은 클램핑 영역들이 제1 회전축선 둘레로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결과로 클램핑되고, 판금은 손잡이 부분들의 연속적인 이동으로 클램핑 영역들이 판금의 클램핑된 섹션과 함께 제2 회전축선 둘레로 이동하는 결과로 벤딩된다.
판금의 폴딩이 완료된 조각을 폴딩 플라이어로부터 도로 풀기 위해, 단순히 제1 손잡이 부분이 판금의 클램핑 및 폴딩을 위한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폴딩된 판금이 폴딩 플라이어로부터 풀릴 수 있다.
제1 회전축선 및 제2 회전축선이 대체로 평행한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회전축선들 간의 거리는 전형적으로 20cm 미만, 특히 10cm 미만이고, 원하는 폴딩 길이 또는 벤딩될 판금 섹션의 길이에 상응한다. 판금에 균일하게 부하를 주고 이에 따라 깔끔한 가장자리를 얻기 위하여, 판금 조각이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축선과 제2 회전축선 사이의 구역에서 완전히 클램핑될 수 있도록 클램핑 영역들은 전형적으로 제1 회전축선으로부터 제2 회전축선까지 연장한다.
판금이 기본적으로 제1 회전축선과 제2 회전축선 사이의 전체 영역에 걸쳐 클램핑 영역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으면 유리하다. 따라서 클램핑이 회전축선들 사이의 구역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클림핑된 판금 또는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서 강제 맞춤으로 고정된 판금이 매끄러운 벤딩 가장자리들을 가지고 깔끔하게 벤딩된다.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 그리고/또는 제2 클램핑 영역과 제2 손잡이 부분 사이에 회전 가능한 연결이 힌지, 특히 피아노 힌지에 의해 형성되면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동시에 튼튼한 디자인이 달성된다. 이에 따라 폴딩 길이 전체에 걸쳐 힘이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이 또한 보장된다.
제1 손잡이 부분이 판형 중간 요소를 통해 제1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제1 손잡이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위치들을 통해 판형 중간 요소에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폴딩의 길이 전체에 걸쳐 힘이 균일하게 인가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특히 매끄럽고 고품질의 벤딩 가장자리가 얻어질 수 있다.
비슷하게, 제2 손잡이 부분이 판형 중간 요소를 통해 제2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제2 손잡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위치들을 통해 판형 중간 요소에 연결되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컴팩트한 운반이 가능하도록, 제1 클램핑 영역이 제1 손잡이 부분에 바람직하게는 100° 미만, 특히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의 각도로 견고하게 연결되면 유리하다. 그러면 손잡이 부분들이 판금 조각의 클램핑 및 폴딩이 바로 가능한 운반 위치에서 서로 지탱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제1 클램핑 영역과 제1 손잡이 부분은 제1 회전축선의 구역에서 연결된다.
제1 클램핑 영역이 제1 손잡이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손잡이 부분들이 서로 지탱하는 운반 위치에서, 판금 조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클램핑 영역들이 서로 10° 내지 90°, 특히 1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대략 20°의 개방각으로 배열되고 개방되면 유리하다.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휴대가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폴딩 플라이어가 운반 위치에서부터 바로 판금을 폴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하기로는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 클램핑된 판금 조각을 통해 제1 클램핑 영역이 제2 클램핑 영역에 형상-맞춤으로 연결될 때까지는 제2 회전축선 둘레로의 회전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운반 위치에서, 제2 손잡이 부분을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해 제2 회전축선 둘레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가 제1 손잡이 부분을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해 제1 회전축선 둘레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보다 크고, 이에 따라 제1 손잡이 부분의 운반 위치 밖으로의 이동이 제1 손잡이 부분의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한 이동을 먼저 일으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적으로, 이는 특히 각기 다른 정도의 용이성으로 이동하는, 회전축선들을 형성하는 조인트들을 통해 가장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각기 다른 정도의 용이성으로 이동하는 튼튼한 디자인의 회전축선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제2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조인트 위에, 특히 제2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피아노 힌지 위에 구비되면 쉽게 달성될 수 있는데, 조인트의 이동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토크를 규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스프링을 이용하여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조인트의 부분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이 조인트에 인가될 수 있고, 스프링력은 설정 스크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토크 또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제2 회전축선의 부분들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극복할 때에만 힌지의 이동 또는 제2 클램핑 영역의 제2 회전축선 둘레로의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제2 회전축선의 부분들에 작용하는 스프링 장전 압력 부분들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힌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마찰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스프링은 예를 들어 제2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조인트의 제1 부분으로 상기 조인트의 제2 부분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제1 부분에 직접 작용하여 그 스프링력으로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해 가압하고, 이에 따라 제1 부분을 제2 부분에 대해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프링력과 마찰계수에 의해 정해지는 마찰력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피처들, 장점들 및 효과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대표 실시예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도면들은 다음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를 각기 다른 작동 상태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를 판금 조각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를 판금 조각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의 추가 세트를 판금 조각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1)를 각기 다른 작동 상태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들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폴딩 플라이어(1)는 제1 손잡이 부분(6) 및 제2 손잡이 부분(7)을 포함하며, 제1 손잡이 부분(6)은 제1 클램핑 영역(2)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제1 손잡이 부분(6)과 제1 클램핑 영역(2)은 도시된 것처럼 제2 클램핑 영역(3)에 제1 회전축선(4) 둘레로 회전될 수 있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판금 조각(8)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섹션이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서 클램핑될 수 있다.
제2 클램핑 영역(3)은 제2 손잡이 부분(7)에 제1 회전축선(4)과 평행한 제2 회전축선(5)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에 따라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클램핑된 판금 조각(8)은 클램핑된 판금 조각을 통해 연결된 클램핑 영역들(2, 3)이 제2 회전축선(5) 둘레로 회전 이동하는 결과 벤딩되거나 혹은 폴딩될 수 있다.
제1 클램핑 영역(2)의 제2 클램핑 영역(3)에 대한 제1 회전축선(4) 둘레로의 이동 및 두 클램핑 영역들(2, 3)의 제2 회전축선(5) 둘레로의 벤딩 이동 둘 다 제1 손잡이 부분(6)의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한 이동에 의해 시작되고, 이에 따라 판금(8)의 클램핑 및 벤딩이 제1 손잡이 부분(6)의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한 연속적인 움직임과 함께 일어날 수 있다.
도 1에서, 폴딩 플라이어(1)는 폴딩 플라이어(1)가 최소 공간 요구를 가지며 손잡이 부분들(6, 7)이 본질적으로 서로 지탱하고 있는 운반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판금 조각(8)의 클램핑 및 폴딩은 이 운반 위치에서 바로 가능하다. 이를 위해, 폴딩될 판금(8) 조각이 폴딩 플라이어(1)의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위치되는데, 이 영역들은 이 운반 위치에서 대략 10° 내지 35°의 개방각(β)으로 개방된다.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위치된 판금(8) 조각을 클램핑하거나 혹은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있는 상기 판금을 강제 맞춤(force-fit)으로 고정하기 위해, 폴딩 플라이어(1)의 제1 손잡이 부분(6)이 폴딩 플라이어(1)의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동 방향(13)으로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1 클램핑 영역(2)이 제1 손잡이 부분(6)에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손잡이 부분(6)의 회전 이동은 제2 클램핑 영역(3)에 대한 제1 클램핑 영역(2)의 회전 이동을 또한 일으키고, 이에 의해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위치된 판금(8) 조각은 제1 손잡이 부분(6)이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움직일 때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서 클램핑된다. 클램핑 영역들(2, 3)이 폐쇄된, 즉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의 개방각(β)이 0°인 이러한 유형의 위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1 손잡이 부분(6)의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한 이동 방향(13)으로의 추가 이동에서, 특히 클램핑 영역들(2, 3)이 이미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손잡이 부분(6)의 제2 클램핑 영역(3)에 대한 제1 회전축선(4) 둘레의 추가 이동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분(6)이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해 도 2에 도시된 클램핑 위치로부터 이동 방향(13)으로 추가적으로 시계 방향 이동하면 클램핑 영역들(2, 3)과 제1 손잡이 부분(6)이 판금(8)과 함께 제2 회전축선(5) 둘레로 시계 방향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시,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클램핑된 판금(8) 조각이 벤딩된다. 클램핑 영역들(2, 3)이 폐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해 선회하는 벤딩 위치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클램핑 영역(2)이 중간 요소(10)에 대략 50°의 각(α)으로 연결되고, 이 중간 요소(10)를 통해 제1 클램핑 영역(2)이 제1 손잡이 부분(6)에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을 또한 볼 수 있다.
폴딩 플라이어(1)로부터 판금(8)의 폴딩되거나 혹은 벤딩된 조각을 풀기 위해, 제1 손잡이 부분(6)은 클램핑 및 벤딩을 위한 이동 방향(13)의 반대 방향으로, 즉 이 경우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간단히 이동되고, 이에 따라 클램핑 영역들(2, 3)이 개방되어 판금(8)이 풀린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작동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1)를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클램핑된 판금(8) 조각과 함께 나타낸다. 도면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판금(8)은 제2 회전축선(5)의 영역에서 벤딩되어 있다. 이는 위에서 설명한 이동 시퀀스의 결과로 일어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부분들(6, 7)은 클램핑 영역들(2, 3)에 판형 중간 요소들(1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판금(8)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고 인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손잡이 부분들(6, 7)은 판형 중간 요소들(10)의 단부 영역들에 배열되어 있거나, 혹은 단부에 배열된 연결 위치들(11)에서 손잡이 부분들(6, 7)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 6에서, 이 경우에 특히 균일하게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1 회전축선(4)과 제2 회전축선(5)이 피아노 힌지들(9)에 의해 구조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판형 중간 요소들(10) 및 회전축선들(4, 5)의 길이는 폴딩되거나 혹은 벤딩될 판금(8) 조각에 따라 선택되고,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비슷하게, 손잡이 부분들(6, 7)의 길이와 이들의 회전 축선들(4, 5)로부터의 거리는 특정 용도에 맞춰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폴딩 플라이어(1)의 간단한 작동 및 판금(8)의 간단한 폴딩이 상응하는 레버 길이들을 통해 각각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1)의 다른 대표 실시예를 판금(8) 조각과 함께 도시하는데, 폴딩 플라이어(1)는 기본적으로 도 6에 도시된 폴딩 플라이어(1)와 비슷하게 구현되지만, 제2 회전축선(5)의 영역에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이 스프링은 설정 스크루(12)에 의해 부착된다. 이에 의해 제2 회전축선(5)을 형성하는 피아노 힌지(9)의,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부분들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스프링을 통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제2 클램핑 영역(3)이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해 제2 회전축선(5) 둘레로 이동될 수 있기 전에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토크가 극복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스프링은 제1 회전축선(4)에는 구비되지 않으며, 이러한 이유로 제2 클램핑 영역(3)을 제2 손잡이 부분(7)에 대해 제2 회전축선(5)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가 제1 손잡이 부분(6)을 제2 클램핑 영역(3)에 대해 제2 회전축선(4)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보다 크다. 따라서, 제1 손잡이 부분(6)이 도 1에 도시된 운반 위치로부터 이동 방향(13)으로 선회 이동할 시, 제1 손잡이 부분(6)이 제1 클램핑 영역(2)과 함께 제2 클램핑 영역(3)에 대해 제1 회전축선(4) 둘레로 회전 이동하는 것이 처음에 일어나고, 제1 클램핑 영역(2)이 제2 클램핑 영역(3)과 함께 제2 회전축선(5) 둘레로 회전 이동하는 것은 클램핑 영역들(2, 3) 사이에 클램핑된 판금(8) 조각 또는 이와 비슷한 것을 통해 제1 클램핑 영역(2)이 제2 클램핑 영역(3)에 형상-맞춤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제2 클램핑 영역에 지탱될 때까지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이에 의해 홀딩 플라이어(1)의 개방 도중의 이동 시퀀스가 유사하게 규정된다. 이는 공구를 간단하게 다룰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 이에 의해, 극복되어야 할 마찰 토크의 양이 설정 스크루(12)를 통해 조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프링의 사전 장력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1)는 공간 절약적이고, 경량이고, 다루기 쉬우며, 이러한 이유로 예를 들어 판금(8) 조각들을 정면에서 벤딩하는 것 등을 위해 휴대용으로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딩 플라이어(1)는 튼튼하게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특히 건설 현장의 거친 사용 조건에도 또한 적합하다.

Claims (9)

  1. 판금을 벤딩하기 위한 폴딩 플라이어로, 제1 클램핑 영역, 제2 클램핑 영역, 제1 손잡이 부분 및 제2 손잡이 부분을 포함하며, 클램핑 영역들은 제1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제1 손잡이 부분은 제1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제2 손잡이 부분은 제1 손잡이 부분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판금을 벤딩하기 위한 폴딩 플라이어에 있어서,
    제2 손잡이 부분은 제2 손잡이 부분이 제2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2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1 손잡이 부분이 운반 위치로부터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선회되고, 제1 클램핑 영역은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 위치된 판금 조각이 클램핑 영역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도록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해 이동되고, 그 후 제1 손잡이 부분이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더 선회 이동하면, 클램핑된 판금을 벤딩하기 위하여, 제1 클램핑 영역이 제2 클램핑 영역과 함께 제2 회전축선 둘레로 제2 손잡이 부분에 대해 회전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회전축선 및 제2 회전축선이 대체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판금이 기본적으로 제1 회전축선과 제2 회전축선 사이의 전체 영역에 걸쳐 클램핑 영역들에 의해 클램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클램핑 영역들 사이에 그리고/또는 제2 클램핑 영역과 제2 손잡이 부분 사이에 회전 가능한 연결이 힌지, 특히 피아노 힌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1 손잡이 부분이 판형 중간 요소를 통해 제1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제1 손잡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위치들을 통해 판형 중간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2 손잡이 부분이 판형 중간 요소를 통해 제2 클램핑 영역에 연결되고, 제2 손잡이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단부에 배열된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위치들을 통해 판형 중간 요소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영역이 제1 손잡이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손잡이 부분들이 서로 지탱하는 운반 위치에서, 판금 조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클램핑 영역들이 서로 10° 내지 90°, 특히 15° 내지 35°바람직하게는 대략 20°의 개방각으로 배열되고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운반 위치에서, 제2 손잡이 부분을 제2 회전축선 둘레로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해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가 제1 손잡이 부분을 제1 회전축선 둘레로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해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토크보다 크고, 이에 따라 제1 손잡이 부분의 운반 위치 바깥으로의 이동이 제1 손잡이 부분의 제2 클램핑 영역에 대한 이동을 우선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제2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조인트, 특히 제2 회전축선을 형성하는 피아노 힌지에 구비되고, 조인트의 이동을 개시하기 위해 필요한 토크를 규정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조인트의 부분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이 이 스프링을 이용하여 조인트에 인가될 수 있고, 스프링력은 특히 설정 스크루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플라이어.
KR1020207015297A 2017-10-29 2018-08-01 폴딩 플라이어 KR20200078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60118/2017 2017-10-29
AT601182017 2017-10-29
PCT/AT2018/060173 WO2019079833A1 (de) 2017-10-29 2018-08-01 Falzz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596A true KR20200078596A (ko) 2020-07-01

Family

ID=6316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97A KR20200078596A (ko) 2017-10-29 2018-08-01 폴딩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00324331A1 (ko)
EP (1) EP3700691A1 (ko)
JP (1) JP7070948B2 (ko)
KR (1) KR20200078596A (ko)
CN (1) CN111601669A (ko)
AU (1) AU2018354710B2 (ko)
BR (1) BR112020008470A2 (ko)
CA (1) CA3080635A1 (ko)
IL (1) IL274339A (ko)
RU (1) RU2756054C1 (ko)
WO (1) WO20190798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1675B1 (en) * 2018-12-22 2021-09-07 David Smith Flashing tool
US20220349616A1 (en) * 2021-04-30 2022-11-03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Housing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hvac) unit
RU209579U1 (ru) * 2021-08-06 2022-03-17 Игорь Сергеевич Виноград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двойного стоячего фальц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20786A1 (ru) * 1930-04-25 1931-05-31 И.Я. Алавердов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загибани кровельных листов на карнизах товарных вагонов
US2131821A (en) * 1936-12-09 1938-10-04 Carl R Schlicht Sheet metal seaming tool
DE6937564U (de) * 1969-09-25 1970-05-14 Ramser Willy Falzzange.
JPS5366855A (en) * 1976-11-26 1978-06-14 Yoshimitsu Seisakushiyo Kk Speedy folding machine and steel plate bending device
JPS54146737U (ko) * 1978-04-03 1979-10-12
JPS59165719U (ja) * 1983-04-25 1984-11-0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板材端部の折り曲げ装置
DE3824451A1 (de) * 1988-07-19 1990-01-25 Gustav Weissenfeld Nachf Falzzange mit verstellbaren backen zum falzen von hand
JPH02175024A (ja) * 1988-12-27 1990-07-06 Aoi Koki Satsushiyu Kk 板材の折り曲げ装置
US5065608A (en) * 1990-08-20 1991-11-19 Skelton Stuart P Hand-operated batten seamer tool
US5222388A (en) * 1991-03-19 1993-06-29 University Of California Patent, Trademark & Copyright Office Nitrogen dioxide detection
JP3168640B2 (ja) * 1991-04-17 2001-05-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プレスブレーキシステムにおけるワーク取扱装置
CA2082759A1 (en) * 1991-11-26 1993-05-27 Arthur B. Chubb Heavy duty sheet bending brake
US5222386A (en) * 1992-03-05 1993-06-29 Jones Jr Robert L Hand brake
JPH06154867A (ja) * 1992-11-13 1994-06-03 Hayami Yoshioka 板金のハゼ起し具
RU2212967C1 (ru) * 2002-04-05 2003-09-27 Кульбацкий Евгений Борисович Ручное гиб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45946U1 (ru) * 2005-02-07 2005-06-10 Бухарев Никола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Ручной листогибочный станок
US8028560B2 (en) * 2008-04-14 2011-10-04 Custom Spec Engineering, Inc. Handheld brake
UA42667U (en) * 2009-03-24 2009-07-10 Александр Петрович Данилов Sheet bending machine
CN203356277U (zh) * 2013-07-17 2013-12-25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钢梯花纹踏步板的折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1057A (ja) 2021-01-14
AU2018354710A1 (en) 2020-06-11
JP7070948B2 (ja) 2022-05-18
CA3080635A1 (en) 2019-05-02
WO2019079833A1 (de) 2019-05-02
AU2018354710B2 (en) 2024-05-02
IL274339A (en) 2020-06-30
CN111601669A (zh) 2020-08-28
BR112020008470A2 (pt) 2020-10-20
US20200324331A1 (en) 2020-10-15
RU2756054C1 (ru) 2021-09-24
EP3700691A1 (de)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8596A (ko) 폴딩 플라이어
US7249542B2 (en) Self-adjusting variable grip locking plier for gripping a workpiece
TWI386294B (zh) 切管器
US8028560B2 (en) Handheld brake
US8286461B2 (en) Hand-operated pliers
JP2008543464A (ja) 外科用曲げ加工ペンチおよび曲げ加工ペンチシステム
US20060279033A1 (en) Clamp tool
US20100058895A1 (en) Hose Clamp Pliers
JP2006130550A (ja) 電線ベンダー
US20090255315A1 (en) Sheet metal bending brake with improved hinge
CA2975299C (en) Clamp
JP2018526061A5 (ko)
JP2012237323A (ja) ヒンジ機構
PT2640533E (pt) Dispositivo de retenção para uma ferramenta rebordeadora bem como ferramenta rebordeadora para rebordear extremidades de tubos
TW202027927A (zh) 折臂式扭力扳手
US5660069A (en) Hands-free duct assembly tool
US2819507A (en) Sheet holding clamp
CN114888730B (zh) 组合式多功能大力钳
FR2713965A3 (fr) Petite plieuse pour plaques métalliques ou plastiques.
JP7032245B2 (ja) せん断工具
WO2024103099A1 (en) This invention relates to a tool handle and its functions
JP5687307B2 (ja) ヘミング仕上げ用プライヤ
US2907366A (en) Plate bending and seam sealing machine having work engaging roller pivoted to swing across portion of work to be bent
JP4465601B2 (ja) ナット
JP6682359B2 (ja) 線材曲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