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510A -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510A
KR20200078510A KR1020207012147A KR20207012147A KR20200078510A KR 20200078510 A KR20200078510 A KR 20200078510A KR 1020207012147 A KR1020207012147 A KR 1020207012147A KR 20207012147 A KR20207012147 A KR 20207012147A KR 20200078510 A KR20200078510 A KR 20200078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optionally substituted
group
compound
ha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리
메이유 젱
양 후앙
지안 딩
퀴옹 장
민 후앙
수아이 탕
닝 센
위 첸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하이헤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마테리아 메디카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싸이언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하이헤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인스티튜트 오브 마테리아 메디카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싸이언시즈 filed Critical 상하이 하이헤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I)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173
(I)
여기서 변수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화합물은 ERK 키나제, 예컨대, ERK1 및/또는 ERK2의 억제제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합물의 용도, 제조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용도
본 발명은 약제 화학 분야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세포외 신호조절 키나제(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경로의 조절제, 특히 ERK1 및/또는 ERK2 키나제 같은 ERK 키나제의 억제제로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상기 화합물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Ras-Raf-MEK-ERK 경로는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아폽토시스(세포자살) 등의 여러 기능들을 조절하는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신호 전달 경로이다. 이 경로의 돌연변이는 모든 인간 암의 1/3 이상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이 경로의 결절성 단백질이 항암 표적 약물 개발을 위한 핫스팟이 되었다. 특정 B-Raf 억제제인 베무라페닙 및 다브라페닙은 흑색종 치료용으로 2011년 및 2013년에 각각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MEK1/2 억제제 트라메티닙(trametinib)은 흑색종 치료용으로 2013년에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베무라페닙과 MEK 억제제인 코비메티닙의 조합체는 B-Raf V600E 또는 V600K 돌연변이의 치료용으로 2015년에 미국 FDA에 의해 승인되었다. 또한, 미국 FDA는 2017년에 B-Raf V600E 돌연변이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용으로 다브라페닙과 트리메티닙의 조합체를 승인했다. 그러나 이들 상류 경로 결절(노드)의 억제에는 한계가 있다. 종양은 B-Raf 및 MEK 억제제에 대한 내성을 빠르게 발달시킬 수 있다. 약물 내성의 메커니즘은 점 돌연변이, 단백질의 다형성 변화, 및 단백질의 펩티드 사슬 길이 변화 등의 다양한 방식을 포함한다. 이는 Raf 및 MEK에 대한 차세대 약물 개발에 있어서 큰 도전과제이다. 한편, MAPK의 말단 키 노드로서, 활성화된 ERK는 세포외 신호를 세포 핵으로 전달하고, 세포질 표적 단백질의 인산화를 촉진시하거나, 다른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항종양제 개발에 있어서 그 중요성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특히, 현재의 MAPK 상류 표적화 요법의 대부분이 결국 약물 내성을 보이는 경우, ERK 억제제는 약물 내성을 생성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치료 수단이 된다. ERK는 1990년대에 발견된 이래 그에 대한 광범위하고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지금까지 ERK 억제제는 약제로서 판매승인을 받지 못했다. 현재 2상 임상 시험에서 고선택성의 ERK 억제제 BVD-523 (울릭세르티닙)은 전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위치에 있다. 2017년초, 하루 2회 600 mg 용량의 BVD-523은 환자에게 있어서 허용되는 안전성을 보였으며, NRAS 돌연변이가 있는 흑색종과 BRAF V600 돌연변이 및 비-V600 돌연변이가 있는 고형암종(흑색종, 다형성 교아종, 뇌전이암, 담낭선암 및 두경부 종양 포함)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오래 지속되는 효능을 보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들 데이터는 ERK 억제제의 임상 개발을 추가로 지원한다.
결론적으로, ERK 억제제는 단독 또는 조합 약물로서 항종양 분야에서 광범위한 전망을 가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는 새로운 ERK 억제제의 개발이 긴급하게 필요하다. 특허출원 WO2017/114510A1은 일련의 ERK 억제제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원의 발명자들은 상기 특허출원에서 일부 화합물, 특히
Figure pct00001
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은 화학적 안정성이 불량하며, 특히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불순물을 쉽게 생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 화합물의 이러한 특성은 약물 개발에 특정한 어려움을 가져온다. 또한,
Figure pct00002
의 구조 (여기서 R은 아미노, 카르복실 또는 아미드기)를 갖는 일부 화합물은 예비 시험관내 시험에서 활성을 갖지만, 약동학적 파마리터가 만족스럽지 않으며, 이는 약물 개발에 특정한 어려움을 가져온다. 요컨대, 포괄적인 평가 (예를 들어, 화학적 안정성 및/또는 약동학적 특성 등의 관점에서)에서 특허출원 WO2017/114510A1에 개시된 일부 화합물이 약물 개발에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포괄적인 평가를 통해 약물 개발에 보다 적합한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고선택성 화합물을 찾을 필요가 있다.
많은 실험 연구를 통해서, 본 발명자들은 궁극적으로,
Figure pct00003
의 코어 구조를 갖고 여기서 R3 이 할로겐,비치환 알킬, 할로알킬, 중수소화 알킬 등인 화합물은 우수한 용해성 및 투과성뿐만 아니라, 양호한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며, 모두 효소 및 세포 분석에서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보였고, 양호한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가짐으로써, 이들 화합물이 약물 개발에 특히 적합한 것을 발견하였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신규의 ERK 키나제 억제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현예들을 제공한다.
구현예 1.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04
여기서,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2는 CR9b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3은 CR9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X1, X2 및 X3 중 최대한 하나는 N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9'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 임의로 치환된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는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 임의로 치환된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은 H 및 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X1이 함께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3은 할로 및 임의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4는 H, D,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 -CO(CR10R11)mR12, -SO2(CR10R11)mR12, -CONR13(CR10R11)mR12, -COO(CR10R11)mR12, -CR13R13'(CR10R11)mR12 및 C1-8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임의로 치환된 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0 및 R11이 함께 결합되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임의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3 및 R13'은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아미노,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시, -(CH2)0-3CONRaRb, -(CH2)0-3COOH,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5, R6, R7 및 R8 중 어느 2개는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임의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임의의 치환체는 독립적으로, 중수소(D), 할로, -OH, 머캅토, 시아노, -CD3,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3-8원 시클로알킬, 아릴, 3-8원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 알킬, 헤테로아릴-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2-C6 알케닐, -OC1-C6 알킬페닐, -C1-C6 알킬-OH, -C1-C6 알킬-SH, -C1-C6 알킬-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NH2, -C1-C6 알킬-NH2, -N(C1-C6 알킬)2, -NH(C1-C6 알킬), -N(C1-C6 알킬)(C1-C6 알킬페닐), -NH(C1-C6 알킬페닐), 니트로, -C(O)-OH, -C(O)OC1-C6 알킬, -CONRiRii (여기서 Ri 및 Rii는 H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NHC(O)(C1-C6 알킬), -NHC(O)(페닐), -N(C1-C6 알킬)C(O)(C1-C6 알킬), -N(C1-C6 알킬)C(O)(페닐), -C(O)C1-C6 알킬, -C(O)-5-7원 헤테로아릴, -C(O)C1-C6 알킬페닐, -C(O)C1-C6 할로알킬, -OC(O)C1-C6 알킬, -S(O)2-C1-C6 알킬,  -S(O)-C1-C6 알킬, -S(O)2-페닐, -S(O)2-C1-C6 할로알킬, -S(O)2NH2, -S(O)2NH(C1-C6 알킬), -S(O)2NH(페닐), -NHS(O)2(C1-C6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페닐, 아릴,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아릴 각각은 추가적으로 할로, -OH, -NH2, 시클로알킬, 3-8원 헤테로시클릴, 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OC1-C4 알킬, -C1-C4 알킬-OH, -C1-C4 알킬-O-C1-C4 알킬, -OC1-C4 할로알킬, 시아노, 니트로, -C(O)-OH, -C(O)OC1-C6 알킬, -CON(C1-C6 알킬)2, -CONH(C1-C6 알킬), -CONH2, -NHC(O)(C1-C6 알킬), -NH(C1-C6 알킬)C(O)(C1-C6 알킬), -SO2(C1-C6 알킬), -SO2(페닐), -SO2(C1-C6 할로알킬), -SO2NH2, -SO2NH(C1-C6 알킬), -SO2NH(페닐), -NHSO2(C1-C6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단, 상기 화합물은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5-(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이 아니다.
구현예 2. 구현예 1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2는 CR9b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3은 CR9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X1, X2 및 X3 중 최대한 하나는 N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9'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C1-3 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는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C1-3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은 H 및 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6-12원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12원 헤테로아릴로서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와 X1이 함께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3는 할로 및, D 및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4는 H, D,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8 알콕실, -CO(CR10R11)mR12, -SO2(CR10R11)mR12, -CONR13(CR10R11)mR12, -COO(CR10R11)mR12, -CR13R13'(CR10R11)mR12 및 C1-8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C1-8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0 및 R11이 함께 결합하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6-12원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3 및 R13'이 함께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C4-8 시클로알케닐 및 C5-8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아미노,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 -(CH2)0-3CONRaRb, -(CH2)0-3COOH,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5, R6, R7 및 R8이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3. 구현예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Ia), (Ib), (Ic) 또는 (Id)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5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C1-3 알킬, C1-3 할로알킬, C1-3 알콕실, -OH, 시아노, 할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3 알킬)아미노, C1-3 알킬카르보닐, C1-3 알콕실카르보닐 및 C3-8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또한 다른 변수들은 모두 구현예 1 또는 2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현예 4. 구현예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Y1은 CR9'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할로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1은 CR9'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F 또는 메틸이거나;
Y1은 CR9'이고 Y2는 N이며, 여기서 R9'는 H, D, 할로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1은 CR9'이고 Y2는 N이며, 여기서 R9'는 H, D, F 또는 메틸이거나;
Y1은 N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할로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1은 N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F 또는 메틸이거나; 또는
Y1은 N이고 또한 Y2도 N이다.
구현예 5. 구현예 1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이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Ie)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6
상기 변수들은 구현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현예 6. 구현예 1, 2 및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R9a는 H, D, 할로, -OH, 시아노, C1-3 알킬, C1-3 할로알킬, C1-3 알콕시, C1-3 알킬카르보닐, C1-3 알콕시카르보닐, C3-8 시클로알킬, 아미노, 및 모노- 또는 디-(C1-3 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R9a는 H, D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X1은 CH, CD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7. 구현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 및 임의로 치환된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D, 할로, 히드록실, -CD3, C1-6 알킬 및 히드록실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바람직하게는, D, 할로, 히드록실, -CD3, -CH3 및 -CH2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거나;
R2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3-8원 헤테로시클릴, 및 -CD3, C1-6 알킬 및 히드록실 C1-6 알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5-7원 헤테로아릴 같은 5-12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는 C1-4 알킬,
Figure pct00007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D, 할로, 히드록실, C1-4 알킬, -CD3 및 히드록실 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D, 할로, 히드록실, -CH3, -CD3 및 CH2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2는 이소프로필,
Figure pct0000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2
Figure pct00009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
Figure pct00010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8. 구현예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3은 할로, 및 D와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할로, 및 D와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할로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이오도, -CH3, -CH2CH3, -CH(CH3)2, -CH2CH2CH3, -CF3, -CHF2, CF3CH2- 및 CD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플루오로, 클로로 및 -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3은 플루오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9.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4는 -CO(CR10R11)mR12 및 -CR13R13'(CR10R11)m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며,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히드록실로 임의 치환되는 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6-12원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되는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또한
R13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3 알킬 및 C1-3 알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10. 구현예 9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6-12원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되는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D, 할로, C1-4 알킬, 시아노, 및 C3-8 헤테로시클릴-(CH2)0-4-(예를 들어, 모르폴리노와 같은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피란-4-일과 같은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모르폴리노메틸과 같은 모르폴리닐메틸, 또는 피페라지닐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거나;
R12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및 피리디닐-3-일 같은 임의로 치환된 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D, 할로, C1-4 알킬 (예를 들어, 메틸이나 에틸), 시아노 및 C3-8 헤테로시클릴-(CH2)0-4-(예를 들어, 모르폴리노 같은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피란-4-일 같은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모르폴리노메틸 같은 모르폴리닐메틸, 또는 피페라지닐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거나; 또는
R12는:
Figure pct00011
(여기서 Rc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 같은 할로, 메틸 같은 C1-4 알킬,
Figure pct0001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13
(여기서 Rd는 H, 메틸이나 에틸 같은 C1-4 알킬, 및
Figure pct00014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015
(여기서 Re는 플루오로 및 클로로 같은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p는 1 또는 2 이다), 및
Figure pct00016
(여기서 Rf
Figure pct00017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11. 구현예 1 내지 8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4는 -CO(CR10R11)m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12
Figure pct0001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12. 구현예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4는 -CO(CR10R11)m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12는 2-시아노페닐, 5-클로로-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3-플루오로페닐,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 2-클로로-5-플루오로페닐, 2,5-디플루오로페닐, 3-클로로피리딘-2-일, 6-클로로피리딘-2-일, 3-클로로피리딘-4-일 또는 4-클로로피리딘-3-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13. 구현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서:
R5, R5,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아미노,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6 알콕실, -(CH2)0-3CONRaRb, -(CH2)0-3COOH,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D, -OH, -OC1-C6 알킬 및 NH2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R5,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이나 -O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또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이나 -O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H3 및 -CH2O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5, R6 및 R7은 H이고, R8은 H, -CH3 또는 -CH2OH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현예 14. 실시예 P1 내지 P20, P23 내지 P25, P28 내지 P51, P53 내지 P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그 신규 화합물의 용도 및 상기 신규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15.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구현예 16.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또한 임의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구현예 17. ERK 키나제 관련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또는 ERK 키나제 억제제인 산물로서 사용하는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구현예 18. 구현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으로 ERK 키나제와 접촉시킴으로써 ERK 키나제를 억제하는, ERK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비치료적 방법.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체 (예를 들어, 본원에 개시된 중간체 1 내지 82, 특히 중간체 25) 및 제조 방법 (예를 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방법, 특히 도 3에 도시된 방법)을 제공한다.
구현예 19.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는 t-부틸 (4-(7-플루오르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029
구현예 20. 구현예 1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이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C3)의 화합물이고:
Figure pct00030
여기서 X1, R2, R3, R10, R11, R12 및 m은 구현예 1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상기 방법은:
(a) 화학식(C1)의 화합물
Figure pct00031
과 화합물
Figure pct00032
이 아미드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다음의 화학식(C2)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Figure pct00033
(b) 화학식(C2)의 화합물이 Boc-보호되면, 이를 탈보호시켜 화학식(C3)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34
구현예 21. 구현예 20에 따른 방법으로서,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축합제 및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수행된다
구현예 22. 구현예 20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탈보호는 불활성 용매내 산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구현예 23. 구현예 21 또는 22에 따른 방법으로서, 불활성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N-메틸-2-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구현예 24. 구현예 21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축합제는 1-히드록실벤조트리아졸(HOBT), 1-히드록실-7-아조벤조트리아졸(HOAT),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T3P),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HCI),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틸 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및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구현예 25. 구현예 21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염기는 트라에틸아민, DIPEA, 피리딘, 2,4-디메틸피리딘, NaOH, KOH, LiOH, Na2CO3, K2CO3, NaHCO3, Cs2CO3, Na3PO4 또는 K3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구현예 26. 구현예 20에 따른 방법으로서,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실온 내지 환류 온도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한다.
구현예 27. 구현예 22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기 산은 염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구현예 28. 구현예 20에 따른 방법으로서, 탈보호는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된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와 부호는 별도로 특정하지 않는 한 하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두 글자 또는 부호 사이에 있지 않은 대쉬 ("-")는 치환기의 부착점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O(C1-3 알킬)은 C1-3 알킬이 산소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지칭한다. 그러나 치환기의 부착점이 당업자에게 명백한 경우 예컨대 할로겐 치환기의 경우 상기 대쉬 "-"는 생략할 수 있다.
작용기에 물결선 "
Figure pct00035
"이 존재하는 경우, 이 물결선은 해당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작용기의 부착점을 가리킨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킬"은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예컨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예컨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 예컨대 1, 2 또는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C1-8 알킬"은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를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 C1-4 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을 지칭하고; "C1-3 알킬"은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을 지칭한다. 알킬의 예로는 메틸 ("Me"), 에틸 ("Et"), n-프로필 ("n-Pr"), 이소프로필 ("i-Pr"), n-부틸 ("n-Bu"), 이소부틸 ("i-Bu"), sec- 부틸 ("s-Bu"), tert-부틸 ("t-Bu") 등이 있다. 이 정의는, 용어 "알킬"이 단독으로 사용되는지 또는 할로알킬, 알콕시 등의 다른 기의 일부로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케닐"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예컨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예를 들어, 2, 3 또는 4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예를 들어 1, 2 또는 3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 (C = C)을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C2-6 알케닐"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 또는 2개, 바람직하게는 1개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케닐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C2-3 알케닐"은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케닐을 지칭한다. 알케닐의 예로는 에테닐, 2-프로페닐 및 2-부테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키닐"은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예컨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이상, 예를 들어 1, 2 또는 3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 (C≡C)을 함유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C2-6 알키닐"은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1 또는 2개, 바람직하게는 1개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키닐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C2-3 알키닐"은 2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키닐을 지칭한다. 알키닐의 예로는 에티닐, 2-프로피닐 및 2-부티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콕실"은 -O-알킬을 지칭하며, 여기서 알킬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C1-8 알콕실"은 -O-C1-8 알킬, 즉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실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C1-3 알콕실"은 -O-C1-3 알킬, 즉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실을 지칭한다. 알콕실의 예로는 메톡시,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이소부톡시, tert-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정의는 "알콕실"이라는 용어가 단독으로 사용되는지 또는 다른 그룹의 일부로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적용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불소(F), 염소(Cl), 브롬(Br) 및 요오드(I), 바람직하게는 불소 및 염소, 가장 바람직하게는 불소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할로알킬"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알킬을 지칭하며,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 예를 들어 1, 2, 3, 4 또는 5개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으로 대체되고, 하나 초과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대체되는 경우, 상기 할로겐 원자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할로알킬의 예로는 -CF3, -CHF2, -CH2CF3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히드록실"은 -OH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메르캅토"는 -SH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시아노"는 -CN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카르복실"은 -C(O)-OH기를 지칭하며, 이는 -COOH로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카르보닐"은 -C(O)-기를 지칭하며, 이는 -CO-로도 나타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수소"는 -H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부호 "D"는 중수소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아미노"는 -NH2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킬아미노" 또는 "모노알킬아미노"는 알킬 -NH-기를 지칭하고,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디-알킬아미노"는 (알킬)2-N-기를 지칭하고,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킬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 즉 알킬 -C(O)-를 통해 또 다른 기에 부착된 알킬을 지칭하고,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알콕실카르보닐"은 카르보닐기, 즉 알콕실-C(O)-를 통해 또 다른 기에 부착된 알콕실을 지칭하고,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옥소"는 =O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니트로"는 -NO2기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시클로알킬"은 3 내지 12개의 고리 탄소 원자, 예컨대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 예컨대 3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1가 단환식 또는 이환식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C3-8 시클로알킬"은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C3-6 시클로알킬"은 3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킬을 지칭한다. 시클로알킬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시클로옥틸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시클로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예컨대 1, 2, 3 또는 4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고, 그 고리가 비방향족인 시클로알킬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C3-8 시클로알케닐"은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케닐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C3-6 시클로알케닐"은 3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로알케닐을 지칭한다. 시클로알케닐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페닐,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테닐 및 시클로옥테닐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은 3 내지 20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3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3 내지 8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3 내지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것으로, O, S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4개, 예컨대 1 내지 3개, 예컨대 1 또는 2개, 예컨대 1개의 헤테로원자 이외에 적어도 1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단환식, 이환식 또는 삼환식 포화 및 부분 불포화 비 방향족 고리를 지칭한다. 일례로서, 상기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은 단환식이고 3 내지 8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3, 4,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것으로, O, S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내지 4개, 예컨대 1 내지 3개, 예컨대 1 또는 2개, 예컨대 1개의 헤테로원자 이외에 적어도 1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일례로서, 상기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사이클"은 0, 1, 2 또는 3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한다. 어떤 질소 또는 황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산화될 수 있으며 (가령, NO, SO, SO2), 어떤 질소 헤테로원자는 임의로 4급화될 수 있다 (가령, [NR4]+Cl-, [NR4]+OH-). 3 내지 8개의 고리 원자를 갖는 헤테로시클릴은 또한 간단히 3-8원 헤테로시클릴이라고도 칭하며, 또한 탄소 원자의 개수가 다른 헤테로시클릴도 마찬가지로 약어로 표시할 수 있다. 헤테로시클릴의 예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옥시라닐, 아지리디닐, 티라닐, 아제티디닐, 옥세타닐, 티에타닐, 1,2-디티에타닐, 1,3-디티에타닐, 피롤리디닐 (피롤리딘-1-일, 피롤리딘-2-일, 피롤리딘-3-일), 디히드로-1H-피롤릴, 디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가령, 테트라히드로푸란-2-일, 테트라히드로푸란-3-일, 테트라히드로푸란-4-일), 디히드로티에닐, 테트라히드로티에닐, 이미다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가령, 피페라진-1-일, 피페라진-2-일, 피페라진-3-일, 피페라진-4-일), 이소퀴놀리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 모르폴리닐 (가령, 모르폴리노 (즉, 모르폴린-1-일), 모르폴린-2-일, 모르폴린-3-일), 티오모르폴리닐, 1,1-디옥소-티오모르폴리닐, 디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가령, 테트라히드로피란-2-일, 테트라히드로피란-3-일, 테트라히드로피란-4-일), 헥사히드로티오피라닐, 헥사히드로피리미딜, 옥사지타닐, 티아지나닐, 티옥산틸, 호모피페라지닐, 호모피페리디닐, 아제파닐, 옥세파닐, 티에파닐, 아제피닐, 옥사제파닐, 디아제파닐, 1,4-디아제파닐, 디아제피닐, 티아제피닐, 티아제파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옥사졸리디닐, 티아졸리디닐, 이소티아졸리디닐, 1,1-디옥소이소티아졸리도닐, 옥사졸리디노닐, 이미다졸리디노닐, 4,5,6,7-테트라히드로[2H]인다졸릴, 테트라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 4,5,6,7-테트라히드로벤조[d]이미다졸릴, 1,6-디히드로이미다조[4,5-d]피롤로[2,3-b]피리디닐, 티아지닐, 옥사지닐, 티아디아지닐, 옥사디아지닐, 디티아지닐, 디옥사지닐, 옥사티아지닐, 티아트리아지닐, 옥사트라지닐, 디티아디아지닐, 이미다졸리닐, 디히드로피리미딜,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1-피롤리닐, 2-피롤리닐, 3-피롤리닐, 인돌리닐, 티오피라닐, 2H-피라닐, 4H-피라닐, 디옥사닐, 1,3-디옥솔라닐, 피라졸리닐, 피라졸리디닐, 디티아닐, 디티올라닐, 피리미디노닐, 피리미딘디오닐, 피리미딘-2,4-디오닐, 피페라지노닐, 피페라진디오닐, 피라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3-아자비시클로[3.1.0]헥사닐, 3,6-디아자비시클로[3.1.1]헵타닐, 6-아자비시클로[3.1.1]헵타닐, 3-아자비시클로[3.1.1]헵타닐, 3-아자비시클로[4.1.0]헵타닐, 아자비시클로[2.2.2]헥사닐, 2-아자비시클로[3.2.1]옥타닐, 8-아자비시클로[3.2.1]옥타닐, 2-아자비시클로[2.2.2]옥타닐, 8-아자비시클로[2.2.2]옥타닐, 7-옥사비시클로[2.2.1]헵타닐, 아자스피로[3.5]노나닐, 아자스피로[2.5]옥타닐, 아자스피로[4.5]데카닐, 1-아자스피로[4.5]데칸-2-오닐, 아자스피로[5.5]운데카닐, 테트라히드로인돌릴, 옥타히드로인돌릴, 테트라히드로이소인돌릴, 테트라히드로인다졸릴, 1,1-디옥소헥사 히드로티오피라닐을 포함한다. 황 또는 산소 원자 및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5원 헤테로시클릴의 예로는: 티아졸-2-일 및 티아졸-2-일 N 옥사이드를 포함한 티아졸릴; 1,3,4-티아디아졸-5-일 및 1,2,4-티아디아졸-5-일을 포함한 티아디아졸릴; 옥사졸-2-일 등의 옥사졸릴; 및 1,3,4-옥사디아졸-5-일 및 1,2,4-옥사디아졸-5-일 등의 옥사디아졸릴이 있다. 2 내지 4개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 5원 헤테로시클릴의 예로는: 이미다졸-2-일 같은 이미다졸릴; 1,3,4-트리아졸-5-일, 1,2,3-트리아졸-5-일, 1,2,4-트리아졸-5-일 같은 트리아졸릴; 및 1H-테트라졸-5-일 같은 테트라졸릴을 포함한다. 벤조-융합 5원 헤테로시클릴의 예로는: 벤족사졸-2-일, 벤조티아졸-2-일 및 벤즈이미다졸-2-일을 포함한다. 1 내지 3개의 질소 원자 및 임의로 황 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6원 헤테로시클릴의 예로는: 피리딘-2-일, 피리딘-3-일 및 피리딘-4-일 등의 피리디닐; 피리미딘-2-일 및 피리미딘-4-일 같은 피리미디닐; 1,3,4-트리아진-2-일 및 1,3,5-트리아진-4-일 같은 트리아지닐; 피리다지닐, 특히 피리다진-3-일; 및 피라지닐을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의 추가 예로는 피리딘 N-옥사이드 및 피리다진 N-옥사이드를 비롯해, 피리디닐, 피리미딘-2-일, 피리미딘-4-일, 피리다지닐 및 1,3,4-트리아진-2-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히드록실알킬"은 히드록실, 즉, -알킬-OH로 치환된 알킬을 말하며, 알킬은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기의 예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히드록실메틸, 히드록실에틸 (예컨대 2-히드록실에틸, 1-히드록실에틸), 히드록실프로필 (예컨대 1-히드록실프로프-2-일, 1-히드록실프로프-3-일, 히드록실프로프-1-일 등), 히드록실부틸 (예컨대 4-히드록실부트-2-일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아릴"은 하나 이상의 고리에 또는 융합 고리로 이루어진 카르보시클릭 탄화수소 라디칼을 말하며, 여기서 적어도 1개의 고리는 방향족이고, 또한 6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 예컨대 6 내지 12개의 고리 탄소 원자, 예컨대 6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는다. 아릴의 예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페닐, 나프틸,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틸, 인데닐, 바람직하게는 페닐과 나프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헤테로아릴"은:
5, 6 또는 7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6개의 고리 원자를 갖고 또한 고리내의 N, O 및 S (가령,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 예컨대 1, 2 또는 3, 예컨대 1 또는 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한편,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인 단환식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 및
8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 예컨대 9 또는 10개의 고리 원자를 갖고 또한 고리내의 N, O 및 S (가령,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 예컨대 1, 2, 3 또는 4, 예컨대 1 또는 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한편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 원자이고 고리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족인, 이환식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기내 S 및 O 원자의 총수가 1을 초과하는 경우, 이들 헤테로원자는 서로 인접하지 않는다.
헤테로아릴기는 또한 N 헤테로원자가 N-옥사이드 형태, 예컨대 피리미디닐 N-옥사이드로서 생성된 헤테로아릴기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헤테로아릴 중에서 고리(들)내 헤테로원자(들)이 N 원자인 경우, 이는 "질소-함유 헤테로아릴"로 정의한다. 질소-함유 헤테로아릴은 또한 N 헤테로원자가 N-옥사이드 형태, 예컨대 피리딜 N-옥사이드로서생성된 헤테로아릴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질소-함유 헤테로아릴은 5개의 고리 원자 및 고리내 1 또는 2 N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원자인 단환식 헤테로아릴이다. 또 다른 예로는, 질소-함유 헤테로아릴은 6개의 고리 원자 및 고리내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는 탄소원자인 단환식 헤테로아릴이 있다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피리딜 (예컨대, 피리딘-2-일, 피리딘-3-일, 피리딘-4-일, 피리딘-5-일, 피리딘-6-일), 피리딜 N-옥사이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라졸릴 (예컨대, 피라졸-5-일, 피라졸-1-일, 피라졸-2-일, 피라졸-3-일, 피라졸-4-일);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트리아졸릴; 티에닐; 푸릴; 피라닐; 피롤릴; 피리다지닐; 벤조[d]티아졸릴; 벤조디옥솔릴, 예컨대 벤조[d][1,3]디옥솔릴; 벤족사졸릴, 예컨대 벤조[d]옥사졸릴; 이미다조피리딜, 예컨대 이미다조[1,2,a]피리딜; 트리아졸로피리딜, 예컨대 [1,2,4]트리아졸로[4,3-a]피리딜 및 [1,2,4]트리아졸로[1,5-a]피리딜; 인다졸릴, 2H-인다졸릴; 피롤로피리미디닐, 예컨대 피롤로[3,4-d]피리미디닐, 7H-피롤로[2,3-d]피리미디닐; 피라졸로피리미디닐, 예컨대 피라졸로[1,5-a]피리미디닐; 테트라졸로피리딜, 예컨대 테트라졸로[1,5-a]피리딜; 벤조티에닐; 벤조푸릴; 벤조이미다졸리닐; 인돌릴; 인돌리닐; 푸리닐, 예컨대 9H-푸리닐 및 7H-푸리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1,2,3,4-테트라히드로퀴놀리닐; 및 5,6,7,8-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리닐을 포함한다.
질소-함유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제한되지 않으나,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미디닐 N-옥사이드; 피리다지닐; 피롤로피리미디닐, 예컨대 피롤로[3,4-d]피리미디닐, 7H-피롤로[2,3-d]피리미디닐; 푸리닐, 예컨대 9H-푸리닐 및 7H-푸리닐; 퀴놀리닐; 인돌릴; 및 인다졸릴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아릴" 또는 "방향족"은 휴켈(Huckel)의 법칙을 따르며, π-전자의 개수는 4n+2와 같고, n은 0 또는 최대 6까지의 양의 정수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임의" 또는 "임의로"는 후술하는 치환 패턴, 이벤트, 또는 상황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며,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치환 패턴이 일어나는 경우 및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임의로 치환된 알킬"은 "비치환 알킬" 및 "치환된 알킬"을 모두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임의의 기에 있어서, 이러한 기는 치환 반응 또는, 공간적으로 비실행적이고, 화학적으로 부정확하며, 합성방식으로 실행할 수 없고 및/또는 고유적으로 불안정한 치환 패턴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치환" 또는 "...로 치환된"은 지정된 원자 또는 기 상의 하나 이상의 원자를 열거된 치환기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대체하는 것을 의미하며, 단 지정된 원자의 정상 원자가는 초과하지 않는다. 치환기가 옥소 (즉, =O)인 경우, 단일 원자 상의 2개의 수소를 옥소로 대체한다. 치환기 및/또는 변수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화학적으로 정확한 및 안정한 화합물을 결과로서 생성한다. 화학적으로 정확한 및 안정한 화합물은 화합물의 화학적 구조를 동정하기 위한 반응 혼합물로부터 분리시 잔존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실용성을 갖는 제형으로 후속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치환기가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상황하에서,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치환" 또는 "...로 치환된"은 주어진 원자 또는 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하나 이상, 예컨대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에 의해 독립적으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치환기는 중소(D), 할로, -OH, 머캅토, 시아노, -CD3, -C1-C6 알킬 (바람직하게는 -C1-3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시클로알킬 (바람직하게는 3-8원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시클릴 (바람직하게는 3-8원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 알킬-, 헤테로아릴-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바람직하게 -OC1-C3 알킬), -OC2-C6 알케닐, -OC1-C6 알킬페닐, -C1-C6 알킬-OH (바람직하게 -C1-C4 알킬-OH), -C1-C6 알킬-SH, -C1-C6 알킬-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NH2, -C1-C6 알킬-NH2 (바람직하게 -C1-C3 알킬-NH2), -N(C1-C6 알킬)2 (바람직하게 -N(C1-C3 알킬)2), -NH(C1-C6 알킬) (바람직하게 -NH(C1-C3 알킬)), -N(C1-C6 알킬)(C1-C6 알킬페닐), -NH(C1-C6 알킬페닐), 니트로, -C(O)-OH, -C(O)OC1-C6 알킬 (바람직하게 -C(O)OC1-C3 알킬), CONRiRii (여기서 Ri 및 Rii는 H, D 및 C1-6 알킬, 바람직하게는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NHC(O)(C1-6 알킬), -NHC(O) (페닐), -N(C1-6 알킬)C(O)(C1-6 알킬), -N(C1-6 알킬)C(O)(페닐), -COC1-6 알킬, -C(O)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C(O)-5-7원 헤테로아릴), -C(O)C1-C6 알킬페닐, -C(O)C1-C6 할로알킬, -OC(O)C1-C6 알킬 (바람직하게는 -OC(O)C1-C3 알킬), -S(O)2-C1-C6 알킬, -S(O)-C1-C6 알킬, -S(O)2-페닐, -S(O)2-C1-C6 할로알킬, -S(O)2NH2, -S(O)2NH(C1-C6 알킬), -S(O)2NH(페닐)-, -NHS(O)2(C1-C6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페닐, 아릴,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아릴은 각각 추가적으로 할로, -OH, -NH2, 시클로알킬, 3-8원 헤테로시클릴, 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OC1-C4 알킬, C1-C4 알킬-OH, -C1-C4 알킬-OC1-C4 알킬, -OC1 -C4 할로알킬, 시아노, 니트로, -C(O)-OH, -C(O)OC1-C6 알킬, -CON(C1-C6 알킬)2, -CONH(C1-C6 알킬), -CONH2, -NHC(O)(C1-C6 알킬), -NH(C1-C6 알킬)C(O)(C1-C6 알킬), -SO2(C1-C6 알킬), -SO2(페닐), -SO2(C1-C6 할로알킬), -SO2NH2, -SO2NH(C1-C6 알킬), -SO2NH(페닐), -NHSO2(C1-C6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하나의 원자 또는 기가 하나 초과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비독성이고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며 개인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대상체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한 화학식(I)의 화합물의 비독성 및 생물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또는 산 부가염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제한되지 않으나, 무기산 예컨대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카보네이트, 중탄산염, 포스페이트, 설페이트, 아황산염, 질산염 등을 비롯해, 유기산 예컨대 포름산염, 아세테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메탄 설포네이트, p-톨루엔 설포네이트, 2-하이드록시에탄 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살리실레이트 등과 화학식(I)의 화합물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 또한 상기 화합물과 식 HOOC-(CH2)n-COOH (여기서 n은 0 내지 4)의 알칸 디카르복실산에 의해 형성된 염류를 포함한다.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산성 부분을 담지하는 (I)의 화합물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양이온 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알루미늄, 리튬 및 암모늄 등에 의해 형성되는 염기 부가염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이 산 부가염의 형태로 수득되는 경우, 그의 유리 염기 형태는 산 부가염의 용액을 알칼리화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반대로, 산물이 유리 염기의 형태인 경우, 산 부가염 특히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염기성 화합물로부터 산 부가염을 제조하기 위한 통상의 절차에 따라, 적절한 용매에 유리 염기를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과도한 실험없이 무독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합성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매화물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 첨가 형태를 지칭한다. 용매가 물이면, 형성된 용매화물은 수화물이고, 용매가 에탄올인 경우, 형성된 용매화물은 에탄올레이트이다. 수화물은 하나 이상의 물 분자 및 상기 물질의 하나의 분자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물은 H2O의 분자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조합은 하나 이상의 수화물, 예를 들어 반수화물, 일수화물 및 이수화물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전구약물"은 대상체에게 투여시 생리학적 작용, 예컨대 가수분해, 대사 등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형되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활성 또는 비활성 화합물을 지칭한다. 전구약물의 제조 및 사용에 있어서의 적합성 및 관련기술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예시적인 전구약물은, 예를 들어 유리 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및 티올의 S-아실 유도체 및 알코올 또는 페놀의 O-아실 유도체이다. 적합한 전구약물로는 일반적으로, 모(parent) 카르복실산으로 전환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유도체로서, 생리학적 조건하에서 가용매분해(solvolysis)에 의해, 저급 알킬에스테르, 시클로알킬에스테르, 저급 알케닐에스테르, 벤질에스테르, 일치환 또는 이치환되는 저급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당업계에서 통상적인 ω-(아미노, 모노-또는 디-저급 알킬 아미노, 카르복시,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저급 알킬에스테르, α-(저급 알카노일옥시, 저급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디-저급 알킬아미노카르보닐)-저급 알킬에스테르, 예를 들어 피발로일옥시 메틸에스테르 등이 있다.
당업자는 화학식(I)의 화합물 중 일부가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을 함유할 수 있고, 따라서 둘 이상의 입체 이성질체가 존재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각의 입체 이성질체 (예를 들어,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라세미체로 존재할 수 있으며, 적절하게는, 호변 이성질체 및 기하 이성질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입체 이성질체"는 화학 조성은 동일하지만, 원자 또는 기의 공간 배열이 상이한 화합물을 지칭한다. 입체 이성질체는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입체 형태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거울상 이성질체"는 서로 중첩될 수 없는 거울상인 화합물의 2개의 입체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둘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갖고 분자가 서로 거울상이 아닌 입체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가령 융점, 비점, 스펙트럼 특성 또는 생물학적 활성 같은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부분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전기영동 같은 고해상도 분석방법 및 HPLC 같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입체화학적 정의 및 관례는 S. P. Parker, Ed., McGraw-Hill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984)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및 Eliel, E. 및 WileNn, ., "유기 화합물의 입체화학" (John Wiley & Sons, Inc., ew York, 1994년)에 따른다. 다수의 유기 화합물은 광학 활성 형태로 존재한다. 즉, 이들은 평면-편광 광의 평면을 회전시키는 능력이 있다. 광학 활성 화합물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접두사 D 및 L, 또는 R 및 S는 그의 키랄 중심(들)에 대한 분자의 절대 배열(absolute configuration)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접두사 d l 또는 (+) 및 (-)는 화합물의 평면 편광의 부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여기서 (-) 또는 l은 화합물이 좌방향 회전형임을 나타낸다. 접두사가 (+) 또는 d인 화합물은 우방향 회전형이다. 주어진 화학 구조에 대해, 이들 입체 이성질체는 서로 거울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특정의 입체 이성질체는 거울상 이성질체로 지칭할 수도 있고, 이러한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종종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이라고 부른다. 거울상 이성질체의 50:50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라고 지칭하며, 이는 화학 반응 또는 공정에서 입체 선택성 또는 입체 특이성이 없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용어 "라세미 혼합물" 및 "라세미체"는 광학적 활성이 없는 2개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등몰 혼합물을 지칭한다.
라세미 혼합물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이들의 개별 이성질체로 분해될 수 있다. 입체화학적으로 순수한 화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분해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키랄 흡착제를 사용한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물리적 방법을 포함하여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다 (cf. Allinger NL 및 Eliel EL, "Topics in Stereochemistry", Vol. 6, Wiley Interscience, 1971 참조). 개별 이성질체는 키랄 전구체로부터 키랄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별 이성질체는 키랄산 (예컨대, 10-캄포술폰산, 캄포산, 알파-브로모캄포산, 타르타르산, 디아세틸 타르타르산, 말산, 피롤리돈-5-카르복실산 등)을 갖는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을 형성하고, 이 염을 부분적으로 결정화한 다음, 분해된 염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유리시키고 임의로 공정을 반복해서 혼합물로부터 화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다른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즉 예를 들어, 원하는 입체 이성질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99.5% 이상의 광학 순도를 갖는 형태로 하나 또는 두개의 이성질체를 수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라세미체는 키랄 화합물 (보조제)에 공유 결합되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분별 결정화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그 후 키랄 보조제를 화학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컨포머(conformer)"는 공유결합 화합물 분자내 단일 결합 주변의 원자나 기의 상이한 공간적 위치로 인해 형성되는 이성질체로서, 예컨대 시클로펜탄의 반의자(half-chair) 컨포머 및 엔벨로프 컨포머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호변 이성질체" 또는 "호변 이성질체 형태"는 저에너지 장벽을 통해 상호전환 가능한 상이한 에너지의 구조적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양성자 호변 이성질체 (양성자 이동성 호변 이성질체로도 공지됨)는 케토-에놀 및 이민-에나민 이성질화 같은 양성자의 이동을 통한 상호전환을 포함한다. 원자가 호변 이성질체는 결합 전자들 중 일부의 재구성에 의한 상호전환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기하 이성질체"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는 이중 결합 또는 고리 탄소원자의 단일 결합에 의해 야기되는 이성질체이며, 시스- 및 트랜스-이성질체로도 공지되어 있다. 시스-이성질체는 치환기들이 평면의 동일한 쪽에 위치되는 경우에 생기며, 트랜스-이성질체는 치환기들이 평면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는 경우에 생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치료하는", "치료하다" 또는 "치료"는 질병 또는 질병의 증상을 갖는 대상체에게, 질병 또는 질병의 증상을 치유, 완화, 경감, 변경, 치료, 개선, 개량 또는 영향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1종 이상의 약학적 물질, 특히, 본원에 개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암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예방하는", "예방하다" 또는 "예방"은 질병에 걸리기 쉬운 구성을 갖는 대상체에게, 질병의 전개를 방지할 목적으로, 1종 이상의 약학적 물질, 특히, 본원에 개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지칭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ERK 키나제, 예컨대 ERK1 및/또는 ERK2 키나제에 관련된 질환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고발현 또는 고활성 ERK 키나제, 예컨대 ERK1 및/또는 ERK2 키나제에 관련된 질환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상기 질병은 암이나 종양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암", "칼시노마" 및 "종양"은 포유 동물에서 조절되지 않는 세포 증식을 전형적인 특징으로 하는 생리학적 상태를 지칭한다. 이러한 암의 예로는, 모세포종, 신경아교종, 육종, 준모세포종, 교모세포종, 흑색종, 백혈병 및 골수암 또는 악성 림프종을 포함한다. 이들 암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폐 선암종 및 폐 편평 세포 암종을 비롯한 편평 세포 암종 (가령, 상피 편평 세포 암종) 및 폐암을 포함한다. 다른 암으로는, 피부암, 각질극 세포종, 여포성 암종, 모세포 백혈병, 구강 전정암, 인두암, 순(입술)암, 혀암, 구강암, 타액선암, 식도암, 후두암, 간세포암, 위암, 위장관암, 소장 암, 대장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간세포암,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결장 직장암, 비뇨생식계 암, 담도암, 담낭 선암, 갑상선암, 유두암, 자궁내막암, 자궁암, 타액선암, 신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외음부암, 복막암, 항문암, 음경암, 골암, 다골수종양, B 세포 림프종, 중추신경계 암, 뇌암, 두경부암, 호지킨 림프종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예로는, 골수증식성 장애, 예컨대 다낭성 혈증, 필수혈소판 혈증, 골수섬유증, 예컨대 1차 골수섬유증,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도 포함한다.
화학 반응을 언급할 때, "처리하는", "접촉하는" 및 "반응하는"이라는 용어는 적절한 조건하에서 2종 이상의 작용제를 첨가 또는 혼합하여 지시된 및/또는 원하는 산물을 제조하는 것을 지칭한다. 지시된 및/또는 원하는 산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은 초기에 첨가한 2가지 작용제의 조합에 따른 직접적인 결과가 아닐 수도 있으며, 즉, 혼합물에서 생성되는 것으로서, 지시된 및/또는 원하는 산물의 형성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유효량"은 대상체에게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기에 일반적으로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통상의 방법 (예컨대, 모델링, 용량증가 연구 또는 임상시험)에 따라서 또한 통상의 영향 요인 (예컨대, 투여 방식, 화합물의 약동학, 질병의 중증도와 과정, 대상체의 병력, 대상체의 건강상태 및 약물 반응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억제", "억제적" 또는 "억제하는" 이라는 용어는 생물학적 활성이나 과정의 기저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가리킨다. "ERK 활성 억제" 또는 "ERK 활성을 억제하는"이란 용어는 본원에 개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부재시에 ERK 활성과 비교하여, 화학식(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존재시에 직접 또는 간접 반응으로서 ERK의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지칭한다. 활성 감소는 본원에 개시된 화학식(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ERK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 또는 화학식(I)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결과적으로 ERK 활성에 영향을 주는 하나 이상의 다른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용어 "대상체"는 포유동물 및 비포유동물을 지칭한다. 포유동물은 제한되지 않으나, 인간; 침팬지 및 다른 유인원 및 원숭이종 등의 비인간 영장류; 소, 말, 양, 염소 및 돼지 등의 농장 동물; 토끼,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 쥐, 생쥐 및 기니피그 등의 설치류를 포함하는 실험실 동물 등을 포함한다. 비포유동물의 예로는 조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대상체"라는 용어는 특정 연령 또는 성별을 나타내지 않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일반적으로, 용어 "약"은 주어진 값의 전후 수치값을 20%의 분산비로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정의하지 않은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합성 방법
본 발명의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기에 나타낸 방법, 실시예에 예시된 방법 또는 그의 유사한 방법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적절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을 하기에 개시한다. 각 반응 단계에 대한 적절한 반응 조건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출발 물질은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거나 하기에 나타낸 방법, 이와 유사한 방법 또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식의 각 변수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방법은 도 1 내지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A)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B)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C)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D)을 나타낸다
이들 반응식에서, 필요시,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원리나 화학에 따라 민감성 또는 반응성 기 (가령, 아미노, 히드록실 및 카르복실기)를 위한 보호기가 사용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보호기는 유기 합성의 표준 방법 (T. W. Greenee 및 P. G. M. Wuts, "유기 합성에서의 보호기", 제 5 판, Wiley, New York 2014)에 따라 처리된다. 이들 기는 당업자에게 주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합성의 적절한 단계에서 제거된다. 공정, 반응조건 및 수행 순서의 선택은 구조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과 일치해야 한다.
아미노 보호기의 예로는, 카르바메이트, 아미드, 알킬 및 아릴기, 이민을 비롯해서, 제거되어 원하는 아민기를 재생할 수 있는 다수의 N-헤테로원자 유도체를 포함한다. 특정의 아미노 보호기는 Pmb (p-메톡시벤질), Boc (tert-부톡시 카르보닐), Fmoc (9-플루오레닐 메톡시카르보닐) 및 Cbz (카르보벤질옥시)이다. 이들 기의 추가적인 예는 T. W. Greene 및 P. G. M. Wuts, ("유기 합성에서의 보호기", 제 3 판, John Wiley & Sons, Inc., 1999)에서 찾아볼 수 있다.
히드록실 보호기의 예로는 테트라히드로파라닐옥시, 벤조일, 아세톡시, 카르바모일옥시, 벤질 및 실릴에테르 (가령, TBS, TBDPS)기를 포함한다. 이들 그룹의 추가적인 예는 T. W. Greene 및 P. G. M. Wuts, ("유기 합성에서의 보호기", 제 3 판, John Wiley & Sons, Inc., 1999)에서 찾아볼 수 있다.
카르복시 보호기의 예로는 에스테르기 및 복소환기를 포함한다. 카르복실산기의 에스테르 유도체는 화합물의 다른 작용기에서 반응을 수행하면서 카르복실산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에스테르기의 예로는 치환된 벤질, 예컨대 4-니트로벤질, 4-메톡시벤질, 3,4-디메톡시벤질, 2,4-디메톡시벤질, 2,4,6-트리메톡시벤질, 2,4,6-트리메틸벤질, 펜타메틸벤질, 3,4-메틸렌디옥시벤질을 포함한 치환된 아릴알킬; 메틸, 에틸, tert-부틸알릴 또는 tert-아밀, 트리페닐메틸 (트리틸), 4-메톡시트리틸, 4,4'-디메톡시트리틸, 4,4',4"-트리메톡시트리틸, 2-페닐프로판 -2-일 등의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 에스테르; tert-부틸티오에스테르 등의 티오에스테르; 트리메틸실릴 에스테르, tert-부틸디메틸실릴 에스테르(TBSO) 등의 실릴 에스테르 등을 포함한다. 이들 기의 추가적인 예는 T. W. Greene 및 P. G. M. Wuts, ("유기 합성에서의 보호기", 제 3 판, John Wiley & Sons, Inc., 1999)에서 찾아볼 수 있다.
당업자는 입체 중심이 구조식(I)의 화합물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로서 화합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이는 입체특이적 합성 또는 최종 산물이나 임의의 적절한 중간체의 분해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최종 산물, 중간체 또는 출발물질의 분해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 L. Eliel, S. H. Wilen 및 L. N. Mander, "유기 화합물의 입체 화학" (Wiley-Interscience, 1994)을 참조한다.
도 3 및 구현예 20의 방법에서, 화합물 C1과 카르복실산
Figure pct00036
의 아미드 커플링 반응에 의해 화합물 C2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불활성 용매에서 수행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축합제 및 염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에서 수행된다.
불활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설폭사이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N-메틸-2-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축합제는, 바람직하게는 1-히드록실벤조트리아졸(HOBT), 1-히드록실-7-아조벤조트리아졸(HOAT),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T3P),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EDC-HC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틸 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및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T3P이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아민, DIPEA, 피리딘, 2,4-디메틸피리딘, aOH, KOH, LiOH, Na2CO3, K2CO3, NaHCO3, Cs2CO3, Na3PO4 또는 K3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DIPEA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실온 내지 환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0.5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된다.
도 3 및 20의 방법에서, 화학식 C2의 화합물이 Boc-보호된 경우, 화합물 C2를 탈보호함으로써 화합물 C3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탈보호는 불활성 용매에서 수행된다. 불활성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설폭사이드, N,N-디메틸 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N-메틸-2-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탈보호는 산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산은,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탈보호는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탈보호는 0.5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된다.
효능 및 투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ERK1 및/또는 ERK2 키나제 같은 ERK 키나제와 관련된 질병, 예컨대 종양 및 암과 같이, ERK1 및/또는 ERK2 키나제 같은 ERK 키나제의 높은 발현 또는 높은 활성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종양 및 암은 예를 들어, 모세포종, 신경교종, 육종, 반종(seminoma), 교모세포종, 흑색종, 백혈병 및 골수 또는 악성 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암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편평 세포 암 (가령, 상피성 편평 세포 암),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NSCLC), 폐 선암종 및 폐 편평 세포 암을 포함한 폐암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암으로는, 피부암, 각질극 세포종, 여포성 암종, 모세포 백혈병, 구강 전정암, 인두암, 순(입술)암, 혀암, 구강암, 타액선암, 식도암, 후두암, 간세포암, 위암, 위장관암, 소장 암, 대장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간세포암, 유방암, 결장암, 직장암, 결장 직장암, 비뇨생식계 암, 담도암, 담낭 선암, 갑상선암, 유두암, 자궁내막암, 자궁암, 타액선암, 신장암, 전립선암, 고환암, 외음부암, 복막암, 항문암, 음경암, 골암, 다골수종양, B 세포 림프종, 중추신경계 암, 뇌암, 두경부암, 호지킨 림프종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예로는, 골수증식성 장애, 예컨대 다낭성 혈증, 필수혈소판 혈증, 골수섬유증, 예컨대 1차 골수섬유증,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CML)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로 1종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직장내, 위내, 두개내 및 비경구 투여, 가령, 정맥내, 근육내, 비강내, 피내, 피하 및 유사한 투여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공지된 경로를 통해서 투여할 수 있다. 경구, 비강내 및 비경구 투여가 특히 바람직하다. 투여 경로에 따라 상이한 약학적 제형이 필요하며, 이들 중 일부는 예를 들어 소화관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 코팅을 약학적 제형에 도포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럽, 주입 또는 주사 용액, 스프레이, 정제, 캡슐, 로젠지, 리포좀, 좌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에 특히 바람직한 약학적 형태는 주사용으로 적합한 형태로서,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멸균 주사용 용액이나 분산액의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모든 경우에, 최종 용액 또는 분산액 형태는 멸균 및 유체이어야 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용액 또는 분산액은, 가령 생체 적합성 완충제, 에탄올, 글리세롤 같은 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그의 적합한 혼합물을 포함한 수성 완충 용액, 계면활성제 또는 식물성 오일 등을 함유하는 용매나 분산형 매질을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리포좀, 특히 경구형 투여를 위한 리포좀으로 제형화할 수도 있다. 리포좀은 순환시 유리약물과 비교할 경우 반감기의 증가 및 캡슐화된 약물의 보다 균일한 방출의 연장이라는 이점을 제공한다.
주입 및 주사 용액의 멸균은 제한되지 않으나, 방부제, 예컨대 항균제나 항진균제, 가령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이나 티메로살 등의 첨가를 포함해, 당업계에 인지된 임의의 기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등장제, 예컨대, 당류나 염, 특히 염화나트륨이 주입 또는 주사 용액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멸균 주사용 용액의 제조는 소요량의 각 화합물을 필요에 따라 상기 열거된 다양한 성분들과 함께 적절한 용매에 혼입한 후, 멸균함으로써 달성된다. 멸균 분말을 수득하기 위해, 상기 용액을 필요에 따라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희석제는 물,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제,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 식염수 용액 또는 염 용액이다. 바람직한 담체는 코코아 버터 및 바이테베솔이다.
각종 약학적 형태의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부형제는 다음의 비제한적인 리스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a) 락토스, 만니톨, 결정형 소르비톨, 이염기성 인산염, 당류, 미세결정형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결합제;
b)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활석,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수소첨가 식물성 오일, 류신, 글리세라이드 및 푸마르산 스테아릴 나트륨 등의 윤활제;
c) 전분, 크로스카르멜로스, 메틸 나트륨 셀룰로오스, 한천, 벤토나이트, 알긴산,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의 붕해제.
일 구현예에서, 제형은 경구 투여용이며, 이 제형은 다음과 같은 성분들, 즉: 사전젤라틴화 전분, 활석, 포비돈 K30,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푸마르산 스테아릴 나트륨, 젤라틴, 이산화티타늄, 소르비톨, 시트르산 모노나트륨, 잔탄검, 이산화 티타늄, 향제, 벤토산 나트륨 및 사카린 나트륨 중 1종 이상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내 투여되며, 이는 적절한 추진제, 가령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HFA 134ATM)이나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 (HFA 227EATM) 같은 히드로플루오로-알칸, 이산화탄소, 또는 또 다른 적절한 기체를 사용하는 것과 아울러, 가압 용기, 펌프, 스프레이 또는 분무기로부터 건조 분말 흡입제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가압 용기, 펌프, 스프레이나 분무기는, 가령 에탄올과 용매로서 추진제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액이나 현탁액을 함유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윤활제, 가령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형적인 투여량은 0.001 내지 1000 mg/kg 체중/일의 범위가 된다. 1일 투여량은 단일 용량 또는 수회 분할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적절한 투여량은 치료할 질병의 유형과 중증도, 개인의 건강 상태와 과거 병력, 함께 사용하는 약물, 투여할 특정 화합물 및 투여 경로 등에 따라 주치의가 결정한다. 필요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상술한 투여량의 범위를 벗어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개별 기술적 해결방안에서 정의한 기술적 특징 및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기술적 특징 (예를 들어, 실시예)을 조합하여 새로운 또는 더 바람직한 기술적 해결방안을 구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기술적 해결방안은 출원서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본원에서는 반복 기재하지 않는다.
본원에서의 화학식은, 그 화학식이 명확하게 잘못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임의의 화합물의 화학명과 그의 화학식 간에 불일치가 존재하는 경우, 화학식이 우선한다.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간략화를 위해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의 구조식에서 모든 수소 원자가 명백하게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내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가 공백(제로) 원자가를 갖는 경우, 명백하게 표시되지 않은 수소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 P12의 화합물은 아래의화학식,
Figure pct00037
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1개의 수소 원자는 피리미딘 고리와 피라졸 고리 사이의 질소 원자 상에서 누락되어 있다. 당업자는 상기 화학식이 다음의 화학식과 동일한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Figure pct00038
도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A)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B)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C)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D)을 나타낸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조건을 명시하지 않은 하기 실시예의 실험 방법은 이러한 반응의 통상적인 조건하에서 또는 제조자가 권장하는 조건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백분율 및 부는 중량 백분율 및 중량부이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물질 및 시약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1H-NMR 스펙트럼은 Bluker AVHD 400 MHz 또는 Bluker AVHD 500 MHz의 핵자기공명 분광기를 이용하여 기록했다; 13C-NMR 스펙트럼은 Bluker AVHD 500 MHz 또는 Bluker AVHD 600 MHz의 핵자기공명 분광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그의 화학적 변위는 δ(ppm)로 나타냈다; 질량 스펙트럼은 Waters UPLC H-Class+QDa (ESI) 및 Agilent 1260_6120 (ESI) 질량분광기를 이용하여 기록하였고; 역상 조제용 HPLC 분리는 Waters UV 유도형 완전 자동화 정제시스템 (XBridge Prep C185 μm OBD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했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약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iPrOH 이소프로판올
EtOH 에탄올
DCM 디클로로 메탄
TFA 또는 CF3COOH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MeOH 메탄올
NaOH 수산화 나트륨
HCl 염화수소 또는 염산
TEA 트리에틸아민
레이니 Ni 레이니 니켈
디옥산 디옥사시클로헥산
NaOH 수소화 나트륨
H2O 물
Pd/C 팔라듐/차콜
H2 수소 기체
N2 질소 기체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DMF N,N-디메틸 포름아미드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Boc2O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Boc tert-부톡시카르보닐
NBS N-브로모숙신이미드
NCS N-클로로숙신이미드
NIS N-이오도숙신이미드
MeCN 또는 CH3CN 아세토니트릴
DIPEA 또는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aBH4 4 수소화붕소나트륨
AcOH 아세트산
Ac2O 아세트산 무수물
AcCl 아세틸 클로라이드
NaBH3CN 또는 NaBH3(CN)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K2CO3 탄산칼륨
Cs2CO3 탄산세슘
NaHCO3 중탄산나트륨
nBuLi n-부틸리튬
LiAlH4 리튬 알루미늄 수화물
Pd(dppf)Cl2 또는 PdCl2(dppf) 1,1'-비스(디페닐포스포)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PdCl2(PPh3)2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KOAc 아세트산 칼륨
푸마로니트릴 푸마르산 니트릴
P(nBu)3 트리-n-부틸포스핀
LDA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
LiOH 수산화 리튬
MeI 이오도메탄
EtI 이오도에탄
(CH2O)n 파라포름
HCO2H 또는 FA 포름산
CH3COCl 아세틸 클로라이드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CH3COOK 또는 AcOK 아세트산 칼륨
t-BuONa 소듐 t- 부톡사이드
DMSO 디메틸 설폭사이드
h 시간
min 분
DMAP 4-디메틸 아미노피리딘
RT 또는 RT 실온
T3P 1-프로필인산 무수물
DMEA N,N-디메틸에탄올아민
POCl3 옥시염화인
℃ 섭씨온도
EA 에틸 아세테이트
Bu4NBr3 테트라-n-부틸암모늄 트리브로마이드
CuI 구리 요오드화물
Mg 마그네슘
Py 피리딘
TLC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
TBS tert-부틸디메틸실란
TBSCl tert-부틸디메틸클로로 실란
BPin2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PE 석유 에테르
MW 마이크로파
DEA 디에틸아민
HEP n-헵탄
IPA 이소프로판올
HEX n-헥산
중간체의 합성
중간체 4 : 7-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4)의 합성
Figure pct00039
단계 1: 7-플루오르인돌린(2)의 합성
Figure pct00040
건조된 50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1) (5000 mg, 37 mmol) 및 AcOH (30mL)를 첨가한 다음, NaBH3CN (5813 mg, 92.49 mmol)을 0℃에서 조금씩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 플레이트로 검출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하고, 0℃에서 2 mol/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9로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건조후 여과했다. 여액을 증발하여 건조시켰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0 내지 1/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 즉 7-플루오로인돌린 (4.0 g, 회백색 고체)을 얻었다. 수율: 78.4%. LCMS: m/z 138.1 (M+H).
단계 2: 5-브로모-7-플루오로인돌린(3)의 합성
Figure pct00041
방법 (I):
건조된 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담긴 아세토니트릴 (100 mL)에 녹인 중간체(2) (4.0 g, 29.19 mmol)의 용액에 0℃에서 NBS (5.2 g, 29.19 mmol)를 천천히 첨가했다. 다음에,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중탄산 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 (100 mL×1)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8)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3) (5.0 g, 연자색 고체)을 얻었다. 수율: 80.6%. LCMS: m/z 215.9 (M+H).
방법 (II):
빙수조에 담긴 100 mL의 플라스크에 화합물(2) (9.8 g, 0.072 mol) 및 디크로메탄 (100 mL)을 첨가한 다음, 테트라-n-부틸암모늄 트리브로마이드 (34.5 g, 0.072 mol)을 조금씩 첨가했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자연적으로 가온하고 이를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4)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15)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브로모-7-플루오로인돌린(3)을 얻었다 (9.5 g, 회백색 고체). LCMS: m/z 215.9 (M+H).
단계 3: 7-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4)의 합성
Figure pct00042
건조된 50 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 중간체(3)(600 mg, 2.777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1410 mg, 5.554 mmol), Pd(dppf)Cl2 (243 mg, 0.333 mmol), 아세트산칼륨 (545 mg, 5.554 mmol) 및 1,4-디옥산 (4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질소 기체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110℃로 가열했다. LCMS로 검출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EA/PE = 2% 내지 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4), 즉, 7-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2,3-디히드로-1H-인돌을 얻었다 (600 mg, 황색 고체). 수율: 82.1%. 순도: 약 90%. LCMS: m/z 264.1 (M+H).
중간체 7 : 4-브로모-N-(1-메틸-1H-피라졸-5-일) 피리딘-2-아민(7)의 합성
Figure pct00043
건조된 25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6) (4.2 g, 23.86 mmol), 화합물(5) (2.8 g, 28.83 mmol), 소듐 t-부톡시드 (4.6 g, 47.8 mmol) 및 DMSO (60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125℃에서 환류하에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EA (50 mL×3)으로 추출하고, 포화 염수 (30 mL)로 세척한 다음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PE:EA = 3:7)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7)을 얻었다 (2.1 g, 연황색 고체). 수율: 40%. LCMS: m/z 253.0/255.0 (M+H).
중간체 8 : t-부틸 (4-브로모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8)의 합성
Figure pct00044
건조된 100 mL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7) (500 mg, 1.976 mmol), DMAP (67 mg, 0.593 mmol), DIPEA (766 mg, 5.928 mmol) 및 DMF (5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실온에서 교반하면서 용해한 후, Boc2O (1299 mg, 5.928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EA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85 내지 70/3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8)을 얻었다 (626 mg, 연황색 고체). 수율: 88%. LCMS: m/z 352.9 (M+H).
중간체 13 : 1-(5-(2-브로모피리미딘-4-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13)의 합성
Figure pct00045
단계 1: 1-(5-브로모-7-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 (10)의 합성
Figure pct00046
건조된 2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간체(3) (1.7 g, 0.0079 mol), 화합물(9) (1.23 g, 0.007 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69 g, 0.028 mo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50℃까지 점차 가온했다.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56 mL,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50% 용액)을 첨가하고 0.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LC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얼음물에 부어 침전시켰다. 고체를 여과하여 중간체(10)를 얻었다 (2.7 g, 연황색 고체). 수율: 93%. LCMS: m/z 368.8/370.8 (M+H).
단계 2: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11)의 합성
Figure pct00047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10) (2 g, 0.0054 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2.0 g, 0.0079 mol), 아세트산칼륨 (1.59 g, 0.016 mol) 및 1,4-디옥산 (36 mL)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1회 퍼지한 후, Pd(dppf)Cl2 (442 mg, 0.0005 mol)를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90℃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11)을 얻었다 (1.5 g, 연황색 고체). 수율: 68%. LCMS: m/z 417.1 (M+H).
단계 3: 1-(5-(2-브로모피리미딘-4-일)-7-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13)의 합성
Figure pct00048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11) (200 mg, 0.48 mmol), 2,4-디브로모피리미딘 (126 mg, 0.53 mmol), 탄산칼륨 (200 mg, 1.44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라이드 (70 mg, 0.096 mmol) 및 1.4-디옥산과 물의 혼합 용매 (4:1, 10.0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6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이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1)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산물(13)을 얻었다 (140 mg, 연황색 고체). 수율: 65;0%. LCMS: m/z 446.8 (M+H).
중간체 17 : 4 - 클로로 -N-(1- 메틸 -1H- 피라졸 -5-일)피리미딘-2- 아민(17)의 합성
Figure pct00049
단계 1: 2 -(1- 메틸 -1H- 피라졸 -5-일)아미노-피리미딘-4(3H)-온(16)의 합성
Figure pct00050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14) (7.8 g, 80 mmol), 화합물(15) (5.72 g, 40 mmol) 및 트리메틸아세트산 (28.6 g)을 첨가했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50℃까지 천천히 가열하고 40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실온으로 낮추고 30 mL의 디클로로메탄 및 5 mL 메탄올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완전히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을 첨가했다. 용출계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3:2)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16)을 얻었다 (5 g, 황색 고체). 수율: 65.8%. LCMS: m/z 191.9 (M+H).
단계 2: 4-클로로-N-(1-메틸-1H-피라졸-5-일)피리미딘-2-아민(17)의 합성
Figure pct00051
건조된 2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16) (5 g, 26.1 mmol), 옥시염화인 (10 mL, 109.2 mmol) 및 아세토니트릴 (100.0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100℃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하여 냉각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했다 (60 mL×3).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40 mL×2),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3:2)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17)를 얻었다 (2.9 g, 연황색 고체). 수율: 53.7%. LCMS: m/z 209.9 (M+H).
1 H-NMR (CDCl3, 400 MHz): 8.27 (d, J = 5.2Hz, 1H), 7.53 (br, 1H), 7.48 (d, J = 5.2Hz, 1H), 6.80 (d, J = 5.6Hz, 1H), 6.28 (d, J = 5.6Hz, 1H), 3.77 (s, 3H).
중간체 23: 1-(7-클로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23)의 합성
Figure pct00052
단계 1: 1-(5-브로모-인돌린-1-일)에탄-1-온(19)의 합성
Figure pct00053
건조된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18) (1500 mg, 7.57 mmol), DCM (20 mL), Et3N (1915 mg, 18.93 mmol) 및 DMAP (30 mg)을 실온에서 첨가한 다음, 아세틸 클로라이드 (1188 mg, 15.14 mmol)를 0℃에서 조금씩 첨가했다. 첨가 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고, 0℃에서 물에 붓고 1기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물을 DCM으로 추출하고,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증발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중간체(19)를 얻었다 (1.75 g, 황색 고체). 수율: 96.3%. LCMS: m/z 240.0/242.0 (M+H).
단계 2: 1-(5-브로모-7-클로로-인돌-1-일)에탄-1-온(20)
Figure pct00054
건조된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19) (1600 mg, 14.58 mmol), 아세토니트릴 (30 mL) 및 NCS (979 mg, 7.3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첨가 후, 반응물을 7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물 (20 mL)에 붓고 EA로 추출한 뒤,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증발하여 건조시켰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0 내지 1/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0)을 얻었다 (1.2 g, 황색 고체). 수율: 65.6%. LCMS: m/z 274.0/276.0 (M+H).
단계 3: 5-브로모-7-클로로-인돌린(21)의 합성
Figure pct00055
건조된 50 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 중간체(20) (1200 mg, 4.37 mmol),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550 mg, 13.11 mmol)을 비롯해, 메탄올 (15 mL) 및 물 (8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0℃으로 가열하고 1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EA로 추출하고, 세척,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EA/PE = 2 내지 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1)을 얻었다 (700 mg, 황색 고체). 수율: 68.9%. 순도: 약 80%. LCMS: m/z 232.0 (M+H).
단계 4: 7-클로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22)의 합성
Figure pct00056
건조된 50 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 중간체(21) (600 mg, 2.581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852 mg, 3.354 mmol), Pd(dppf)Cl2 (188 mg, 0.2581 mmol), 아세트산칼륨 (329 mg, 3.354 mmol) 및 1,4-디옥산 (5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교반하면서 100℃으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EA/PE = 2 내지 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2)를 얻었다 (480 mg, 황색 고체). 수율: 66.67%. 순도: 약 80%. LCMS: m/z 280.1 (M+H).
단계 5: 중간체 1-(7-클로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23)의 합성
Figure pct00057
건조된 25 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 중간체(22) (440 mg, 1.574 mmol), 화합물(9) (540 mg, 3.147 mmol), Et3N (318 mg, 3.147 mmol), HATU (1193 mg, 3.147 mmol) 및 THF (8 m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32℃에서 18시간 동안 질소 기체하에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EA로 추출하고, 물로 세척한 뒤, 건조 및 증발하여 건조시켰다. 조(crude) 산물을 용출계 (EA/PE = 10 내지 4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3)를 얻었다 (290 mg, 황색 고체). 수율: 42.58%. LCMS: m/z 434.1 (M+H).
중간체 31 : 2-(2-클로로피리딘-3-일)-1-(7-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31)의 합성
Figure pct00058
단계 1: 7-메틸인돌린(28)의 합성
Figure pct00059
건조된 2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27)인 7-메틸-1H-인돌 (2.0 g, 15.27 mmol),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2.9 g, 45.81 mmol) 및 빙초산 (40 mL)을 0℃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 플레이트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이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한 후 2 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까지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시켰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를 이용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8)인 7-메틸인돌린을 얻었다 (1.5 g, 회백색 고체). 수율: 75.3%. LCMS: m/z 134.1 (M+H).
단계 2: 5-브로모-7-메틸인돌린(29)의 합성
Figure pct00060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27)인 7-메틸인돌린 (120 mg, 0.902 mmol), tetra-n-부틸암모늄 트리브로마이드 (464 mg, 0.902 mmol) 및 디클로로메탄 (10.0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30분간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9)인 5-브로모-7-메틸인돌린을 얻었다 (200 mg, 연자색 고체). 수율:80.6%, LCMS: m/z 211.9 (M+H).
단계 3: 1-(5-브로모-7-메틸인돌린-1-일)-2-(2-크로로피리딘-3-일)에탄-1-온(30)의 합성
Figure pct00061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29) (80 mg, 0.38 mmol), 화합물(29)인 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트산 (67 mg, 0.38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25 mL, 1.52 mmol), 에틸 아세테이트 (1.9 mmol)에 녹인 T3P (1.208g, 50% (wt%)) 용액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 mL)를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100 mL의 물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100 mL×6),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를 이용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30)인 1-(5-브로모-7-메틸인돌린-1-yl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을 얻었다 (50 mg, 회백색 고체). 수율: 36.3%. LCMS: m/z 364.8 (M+H).
단계 4: 2-(2-클로로피리딘-3-일)-1-(7-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31)의 합성
Figure pct00062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30)인 1-(5-브로모-7-메틸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 (400 mg, 1.09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1.38 g, 5.43 mmol), 아세트산칼륨 (233 mg, 3.27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70 mg, 0.11 mmol) 및 1,4-디옥산 (20.0 m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질소 기체로 5회 퍼지한 후, 90℃로 가온 및 하룻밤 동안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31)인 2-(2-클로로피리딘-3-일)-1-(7-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산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을 얻었다 (200 mg, 백색 고체). 수율: 44.0%. LCMS: m/z 413.0 (M+H).
중간체 53: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2-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의 합성
Figure pct00063
단계 1: 에틸 2-(3-플루오로-2-니트로페닐)-3-옥소부티레이트(47)의 합성
Figure pct00064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틸 아세토아세테이트(46) (6.1 g, 0.047 mol), 탄산칼륨 (8.7 g, 0.063 mol), 1,3-디플루오로-2-니트로벤젠 (5 g, 0.031 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20 mL)를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하고, 50℃로 가온한 뒤 2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100 mL)을 첨가해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8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300 mL×3)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00)로 정제하여 에틸 2-(3-플루오로-2-니트로페닐)-3-옥소부티레이트(47)를 얻었다 (2.8 g, 연황색 오일). 수율: 33%. 1H NMR (CDCl3, 300 MHz): 13.07 (s, 1H), 7.58-7.40 (m, 1H), 7.30-7.19 (m, 1H), 7.16-7.01 (m, 1H), 4.31-4.00 (m, 2H), 1.87 (s, 3H).1.18 (t, J = 7.2 Hz, 3H).
단계 2: 1-(3-플루오로-2-니트로페닐)프로판-2-온(48)의 합성
Figure pct00065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에틸 2-(3-플루오로-2-니트로페닐)-3-옥소부티레이트 (2.8 g, 0.01mol), 아세트산 (20 mL) 및 50% 황산 (20 m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하고, 100℃로 가온한 뒤 4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8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200 mL×2)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5)로 정제를 수행하여 1-(3-플루오로-2-니트로페닐)프로판-2-온(48)을 얻었다 (1.86 g, 연황색 오일). 수율: 91%. 1H NMR (DMSO-d 6, 300 MHz): 7.73-7.63 (m, 1H), 7.57-7.48 (m, 1H), 7.31 (d, J = 7.5 Hz, 1H), 4.13 (s, 3H), 2.51 (s, 2H).
단계 3: 7-플루오로-2-메틸-1H-인돌(49)의 합성
Figure pct00066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증류수 (32 mL) 및 아황화수소 나트륨 (13.2 g, 0.076 mol)을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다시 1,4-디옥산 (3.4 mL)에 녹인 1-(3-플루오로-2-니트로페닐)프로판-2-온 (1.5 g, 0.0076 mmol) 용액을 점적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8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6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순수 석유 에테르)로 정제를 수행하여 7-플루오로-2-메틸-1H-인돌(49)를 얻었다 (250 mg, 백색 고체). 수율: 22%. 1H NMR (DMSO-d 6, 300 MHz): 11.34 (s, 1H), 7.21 (d, J = 6.9 Hz, 1H), 6.93-6.72 (m, 2H), 6.19 (s, 1H), 2.39 (s, 3H).
단계 4: 7-플루오로-2-메틸인돌린(50)의 합성
Figure pct00067
얼음조내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7-플로오로-2-메틸-1H-인돌(49) (1.8 g, 12.08 mmol), 아세트산 (20 mL) 및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2.28 g, 36.19 mmol)를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 및 2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를 잔사에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 (80 mL×3)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70)로 정제하여 7-플루오로-2-메틸인돌린(50)을 얻었다 (1.4 g, 무색 오일). 수율: 77%. LCMS: m/z 152.1 (M+H).
단계 5: 5-브로모-7-플루오로-2-메틸인돌린(51)의 합성
Figure pct00068
얼음조내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7-플루오로-2-메틸인돌린(50) (1.4 g, 9.27 mmol), 아세토니트릴 (20 mL) 및 N-브로모숙신이미드 (1.65 g, 9.27 mmol)를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점차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70)로 정제하여 산물인 5-브로모-7-플루오로-2-메틸인돌린(51)을 얻었다 (1.5 g, 연황색 오일). 수율: 71%. LCMS: m/z 229.9/231.9 (M+H).
단계 6: 1-(5-브로모-7-플루오로-2-메틸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52)의 합성
Figure pct00069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5-브로모-7-플루오로-2-메틸인돌린(7) (1.0 g, 4.35 mmol), 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트산 (748 mg, 4.35 mmo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24 g, 17.36 mmo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하고,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50℃로 가온하고,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26 mL,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50% 용액)을 첨가하고, 0.5 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잔사를 빙수에 붓고 침전된 고체를 여과했다. 여과 케이크를 건조하여 1-(5-브로모-7-플루오로-2-메틸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52)을 얻었다 (1.5 g, 연갈색 고체). 수율: 90%. LCMS: m/z 382.8/384.8(M+H).
단계 7: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2-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53)의 합성
Figure pct00070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1-(5-브로모-7-플루오로-2-메틸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52) (500 mg, 1.3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496 mg, 1.95 mmol), 아세트산칼륨 (383 mg, 3.9 mmol) 및 1,4-디옥산 (20 m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하고, 질소 기체로 1회 퍼지한 후,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 (II)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착염 (10.6 mg, 0.013 mol)를 첨가하고,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90℃로 가열하고 3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로 정제하여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2-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53)을 얻었다 (450 mg, 무색 오일). 수율: 80%. LCMS: m/z 430.9 (M+H).
중간체 70 : 2-(2-클로로피리딘-3-일)-1-(4,7-디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70)의 합성
Figure pct00071
단계 1: 5-브로모-4,7-디플루오로-1H-인돌린(67)의 합성
Figure pct00072
비닐마그네슘 브로마이드 (45.6 mL, 45.6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하에 -78℃로 냉각하고 여기에 화합물(66) (3.9 g, 15.2 mmol, 50 mL의 테타르히드로푸란에 용해)을 점적 첨가했다. 첨가 완료 후, 반응액을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 (20 mL)을 천천히 점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8)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브로모-4,7-디플루오로-1H-인돌(67)을 얻었다 (1.47 g, 연황색 오일). 수율: 38.7%. 1H NMR (CD3OD, 300 MHz):7.29 (d, J = 3.0 Hz, 1H), 7.01-6.97(m, 1H), 6.60-6.54 (m, 1H).
단계 2: 5-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68)의 합성
Figure pct00073
빙수욕내의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67) (1.45 g, 6.28 mmol) 및 빙초산 (20 mL)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다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0.87 g, 12.6 mol)를 약 30분 동안 점적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빙수욕에서 냉각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3)로 추출했다. 여액을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6)를 이용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68)을 얻었다 (0.43 g, 연황색 오일). 수율: 30.0%. LCMS: m/z 234.0/236.0 (M+H).
단계 3: 1-(5-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69)의 합성
Figure pct00074
100 mL의 플라스크에 화합물(68) (0.43 mg, 0.185 mol),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화합물(9) (0.35 g, 2.04 mmol), T3P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50% 용액, W/W, 2.83 g, 3.7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8 g, 3.71 mmo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4)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브로모-4,7-디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69)을 얻었다 (0.56 g, 황색 오일). 수율: 78.2%. LCMS: m/z 386.9/388.9 (M+H).
단계 4: 2-(2-클로로피리딘-3-일)-1-(4,7-디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70)의 합성
Figure pct00075
화합물(69) (0.27 g, 0.69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0.23 g, 0.89 mol), 아세트산 칼륨 (0.10 g, 1.02 mmol) 및 (1,1'-비스(디페닐 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0.028 g, 0.89 mmol)를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담긴 1,4-디옥산 (10 mL)에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9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조(crude) 산물인 2-(2-클로로피리딘-3-일)-1-(4,7-디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70)을 얻었다 (0.18 g, 연황색 고체). LCMS: m/z 434.7/436.8 (M+H).
중간체 77: 2-(2-클로로피리딘-3-일)-1-(6,7-디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77)의 합성
Figure pct00076
단계 1: 4-브로모-2,3-디플루오로-6-이오도페닐아민(72)의 합성
Figure pct00077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71) (0.85 g, 4.1 mmol), 빙초산 (15 mL) 및 N-이오도숙신이미드 (0.97 g, 4.31 mmol)을 순서대로 첨가했다. 첨가 완료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에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브로모-2,3-디플루오로-6-이오도페닐아민(72)을 얻었다 (1.30 g, 연황색 고체). 수율: 95%. LCMS: m/z 333.9/335.8 (M+H).
단계 2: 4-브로모-2,3-디플루오로-6-((트리메틸실릴)에티닐)페닐아민(73)의 합성
Figure pct00078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72) (1.30 g, 3.91 mmol), 트리에틸아민 (20 mL), 요오드화구리 (37.2 mg, 0.20 mol), 에티닐트리메틸실란 (460 mg, 4.69 mmol)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137 mg, 0.20 mmol)을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산물을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브로모-2,3-디플루오로-6-((트리메틸실릴)에티닐)페닐아민(73)을 얻었다 (1.02 g, 연황색 오일). 수율: 86.2%. 1H NMR (DMSO-d 6, 400 MHz): δ 7.32 (d, J = 7.2, 1H), 5.86 (s, 2H), 0.25 (s, 9H).
단계 3: 5-브로모-6,7-디플루오로-1H-인돌(74)의 합성
Figure pct00079
50 mL의 가지형 플라스크에 화합물(73) (0.85 g, 2.80 mmo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및 요오드화구리 (1.07 g, 5.61 mmol)를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하에 100℃로 가열 및 4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20 mL)을 첨가해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6)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브로모-6,7-디플루오로-1H-인돌(74)을 얻었다 (560 mg, 연황색 오일). 수율: 86%. 1H NMR (DMSO-d 6, 400 MHz): δ 12.46 (s, 1H), 7.74-7.70 (m, 1H), 7.51 (s, 1H), 3.36(d, J = 5.6 Hz, 1H).
단계 4: 5-브로모-6,7-디플루오로-인돌린(75)의 합성
Figure pct00080
빙수욕내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74) (0.56 g, 2.42 mmol) 및 빙초산 (10 mL)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다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0.35 g, 4.85 mmol)를 30분에 걸쳐 조금씩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빙수욕에 담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1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6)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조(crude) 산물인 5-브로모-6,7-디플루오로-인돌린(75)을 얻었다 (0.23 g, 연황색 오일). LCMS: m/z 233.9/235.9 (M+H); RT = 1.470 분 (2.5 분).
단계 5: 1-(5-브로모-6,7-디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76)의 합성
Figure pct00081
100 mL의 플라스크에 화합물(75) (0.23 mg, 0.99 mmol),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화합물(9) (0.20 g, 1.18 mmol), T3P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50% 용액, W/W, 1.26 g, 1.98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38 g, 2.96 mmo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4)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브로모-6,7-디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76)을 얻었다 (0.10 g, 연황핵 오일). 수율: 26.2%. LCMS: m/z 386.9/388.9 (M+H); RT = 1.427분 (2.5분).
단계 6. 2-(2-클로로피리딘-3-일)-1-(6,7-디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77)의 합성
Figure pct00082
화합물(76) (0.10 g, 0.26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0.079 g, 0.31 mmol), 아세트산칼륨 (0.038 g, 0.39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0.011 g, 0.013 mmol)를, 건조된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내의 1,4-디옥산 (10 ml)에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90℃로 가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 종료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조(crude) 산물인 2-(2-클로로피리딘-3-일)-1-(6,7-디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77)을 얻었다 (0.065 g, 연황색 고체). LCMS: m/z 435.1/437.1 (M+H).
중간체 89 :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3-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89)의 합성
Figure pct00083
단계 1: 7-플루오로-3-메틸-1H-인돌(85)의 합성
Figure pct00084
화합물(84) (200.0 mg, 1.23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0℃로 냉각한 뒤, 리튬 알루미늄 수화물 (140.0 mg, 3.69 mmol)을 첨가했다. 첨가 완료후, 반응물을 실온까지 자연적으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20 mL)을 점적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8)를 이용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플루오로-3-메틸-1H-인돌(85)를 얻었다 (130.0 mg, 연황색 오일). 수율: 71.0%. 1H NMR (DMSO-d 6 , 400 MHz): δ11.21 (s,1H), 7.29 (d, J = 7.6 Hz, 1H), 7.17 (s,1H), 6.97-6.87 (m, 2H).
단계 2: 7-플루오로-3-메틸-인돌린(86)의 합성
Figure pct00085
빙수욕내의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85) (819.0 mg, 5.49 mmol) 및 빙초산 (20 mL)을 순서대로 첨가하고,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라이드 (691.0 mg, 10.99 mol)를 약 30분에 걸쳐 조금씩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빙수욕에서 냉각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6)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플루오로-3-메틸-인돌린(86)을 얻었다 (49.0 mg, 연황색 오일). LCMS: m/z 152.0 (M+H).
단계 3: 5-브로모-7-플루오로-3-메틸-인돌린(87)의 합성
Figure pct00086
빙수욕내 50 mL의 플라스크에 화합물(86) (49.0 mg, 0.324 mmol) 및 디클로로메탄 (5 mL)을 첨가하고, N-브로모숙신이미드 (63 mg, 0.356 mmol)를 조금씩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실온에서 농축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해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4)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5)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브로모-7-플루오로-3-메틸-인돌린(87)을 얻었다 (61.0 mg, 연황색 오일). 수율: 82.0%. LCMS: m/z 229.8/231.8 (M+H).
단계 4: 1-(5-브로모-7-플루오로-3-메틸-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88)의 합성
Figure pct00087
50 mL의 플라스크에 화합물(87) (61.0 mg, 0.266 mol), 에틸 아세테이트 (5 mL), T3P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50% 용액, W/W, 406.0 mg, 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3.0 mg, 0.80 mmo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여 pH 6 내지 7로 조정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4)로 추출했다. 감압하에 복합 유기상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브로모-7-플루오로-3-메틸-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88)을 얻었다 (79.0 mg, 연황색 오일). 수율: 78.0%. LCMS: m/z 382.5/384.6 (M+H).
단계 5: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3-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89)의 합성
Figure pct00088
화합물(88) (45.0 mg, 0.12 mmol),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36.0 mg, 0.14 mmol), 아세트산 칼륨 (17.3 mg, 0.18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핀)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4.8 mg, 0.0058 mmol)을 건조된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내 1.4 -디옥산 (10 ml)에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9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3-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1-일)에탄-1-온(89)을 얻었다 (36.0 mg, 연갈색 고체). 수율: 76.0%. LCMS: m/z 430.8/432.8 (M+H).
중간체 57 : 2-(2-클로로-4-플루오로-피리딘-3-일)아세트산(57)의 합성
Figure pct00089
단계 1: 에틸 2-(2-클로로-4-플루오로피리딘-3-일)아세테이트(56)의 합성
Figure pct00090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54) (1.0 g, 5.71 mmol), 디클로로메탄 (25 m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를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염화옥살릴 (0.90 g, 7.14 mmol) 용액을 점적 첨가했다. 첨가 완료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 농축했다. 15 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잔사에 첨가했다. 혼합물을 빙수욕에서 화합물(55) (n-헥산에 녹인 2M 용액, 5.2 mL, 10.3 mmol) 및 아세토니트릴과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 20 mL)에 녹인 트리에틸아민 (1.04 g, 10.3 mmol)의 용액에 점적 첨가했다. 다음에, 반응물을 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냉장고의 냉동실에 16시간 동안 두고, 여기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을 첨가하여 희석하고, 물로 세척했다. 유기상은 0.5 mmol/L 염산으로 pH 4 내지 5로 조정하고,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한 다음 1 mol/L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해 pH 8 내지 8로 조정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20 mL 에탄올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 (692 mg, 6.85 mmol)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벤조산은 (197 mg, 0.86 mmol)을 첨가하고, 10분간 교반한 뒤, 80℃로 가열하고, 10분간 교반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했다. 흡입 여과후, 여액을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7)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에틸 2-(2-클로로-4-플루오로피리딘-3-일)아세테이트(56)를 얻었다 (250 mg, 무색 오일). 수율: 20.0%. LCMS: m/z 217.8/219.8 (M+H).
단계 2: 2-(2-클로로-4-플루오로-피리딘-3-일)아세트산(57)의 합성
Figure pct00091
실온에서, 화합물(56) (250 mg, 1.15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에 용해하고 여기에 수산화리튬 수용액 (10 mL, 0.5 mol/L)을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를 첨가했다. 수성상에 0.5 mol/L의 묽은 황산을 첨가해 pH 3 내지 3로 조정했다. 흡입 여과후, 여과 케이크를 물로 세척 및 건조하여 2-(2-클로로-4-플루오로-피리딘-3-일)아세트산(57)을 얻었다 (220 mg, 조(crude) 산물, 연황색 오일). LCMS: m/z 189.9/191.9 (M+H).
중간체(65) 및 (83)는 중간체(57)를 제조하는 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아래의 표에 열거한 상응하는 출발물질로부터 얻었다:
Figure pct00092
중간체 82 : 3-(2-클로로피리딘-3-일)프로피온산(82)의 합성
Figure pct00093
단계 1; 에틸 (E)-3-(2-클로로피리딘-3-일)아크릴레이트(80)의 합성
Figure pct00094
빙수욕내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79) (634 mg, 4.46 mmol),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및 나트륨 수화물 (357 mg, 8.93 mmol)을 첨가했다. 반응물을 얼음조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화합물(78) (1000 mg, 4.46 mmol)을 첨가한 후, 실온으로 점차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은 LCMS로 모니터링하면서 수행하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으로 냉각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했다. 유기상을 건조 및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 : 에틸 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에틸 (E)-3-(2-클로로피리딘-3-일)아크릴레이트(80)를 얻었다 (300 mg, 백색 고체). 수율: 20%. LCMS: m/z 212.0(M+H).
단계 2: 에틸 3-(2-클로로피리딘-3-일)프로피오네이트(81)의 합성
Figure pct00095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80) (300 mg, 1.4 mmol), 메탄올 (12 mL), 물 (3 mL), 염화구리 (140 mg, 1.4 mmol) 및 소듐 보로히드라이드 (54 mg, 1.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소듐 보로히드라이드 (54 mg, 1.4 mmol)를 추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까지 점차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얼음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했다. 유기상을 건조 및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 에테르 : 에틸 아세테이트 = 5:1)로 정제하여 에틸 3-(2-클로로피리딘-3-일)프로피오네이트(81)를 얻었다 (260 mg, 백색 고체). 수율: 86%. LCMS: m/z 214.0(M+H).
단계 3: 3-(2-클로로피리딘-3-일)프로피온산(82)의 합성
Figure pct00096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81) (260 mg, 1.21 mmol),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153 mg, 3.64 mmol),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메탄올 (4 mL) 및 물 (4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했다. TLC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3-(2-클로로피리딘-3-일)프로피온산(82)을 얻었으며 (300mg, 백색 고체), 이를 별도의 정제없이 후속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했다. LCMS: m/z 185.9(M+H).
실시예:
실시예 P1 : 화합물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히드록시프로프-2-일)아미노)피리미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1)의 합성
Figure pct00097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13) (100 mg, 0.22 mmol), DL-아미노프로파놀 (84 mg, 1.10 mmol) 및 DMSO (0.5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90℃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00 mL의 물을 첨가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산물(P1)을 얻었다 (10 mg, 백색 고체). 수율: 10.0%. LCMS: m/z 441.9 (M+H).
1H-NMR (DMSO -d6, 400 MHz): δ 8.334 (s, 1H), 8.333 (d, J = 10.4 Hz,1H), 7.91(s,1H), 7.76 (m, 3H), 7.84 (m, 1H), 7.83 (d, J = 10.4 Hz,1H), 7.43 (dd, J = 7.6 Hz, 5.2 Hz, 1H), 7.14 (d, J = 5.2 Hz, 1H), 6.85 (d, J = 8.0 Hz, 1H), 4.71 (t, J = 5.6 Hz, 1H), 4.29 (t, J = 8.0 Hz, 2H), 4.08 (s, 2H), 3.50 (m, 1H), 3.31 (m, 2H), 3.23 (t, J = 8.4 Hz, 2H), 1.16 (d, J = 6.4 Hz, 2H).
실시예 P2 내지 P7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 반응식 (A)에 따른 실시예 P1의 제조방식과 유사하게 중간체(13) 및 이에 상응하는 아민류로부터 얻었다.
Figure pct00098
실시예 P8 :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히드록시프로프-2-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8)의 합성
Figure pct00099
단계 1: 2-((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프로판-1-올(24)의 합성
Figure pct00100
건조된 20 mL의 전자파 바이알(유리병)에, 디메틸 술폭시드 (8 mL), 화합물 4-브로모-2-플루오로피리딘 (1 g, 0.0057 mol), 화합물 2-아미노프로파놀 (0.65g, 0.0085 mo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1 g, 0.0085 mol)을 첨가했다. 반응물을 140℃로 가온하고 0.5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물 (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10 mL×3)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를 이용한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24)인 2-((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프로판-1-올을 얻었다 (0.8g, 황색 고체). 수율: 61%. LCMS: m/z 230.8/232.8 (M+H).
단계 2: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히드록실프로프-2-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8)의 합성
Figure pct00101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24) (0.05 g, 0.00021 mol), K2CO3 (0.058 g, 0.00042 mol), 중간체(11) (0.108 g, 0.00026 mol), Pd(dppf)Cl2 (15 mg, 0.000021 mol), 1,4-디옥산 (20 mL) 및 증류수 (2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80℃까지 가온하고 질소 기체하에 5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조(crude) 산물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화합물(P8)을 얻었다 (0.04 g, 백색 고체). 수율: 43%. LCMS: m/z 440.7 (M+H).
1H-NMR (DMSO-d 6 , 400 MHz): δ 8.34 (d, J = 3.6 Hz, 1H), 7.98 (d, J = 5.8 Hz, 1H), 7.89 (d, J = 6.8 Hz, 1H), 7.51 (s, 1H), 7.45 - 7.40 (m, 2H), 6.96 (br s, 1H), 6.88 (br s, 1H), 4.91 (br s, 1H), 4.28 (t, J = 7.8 Hz, 2H), 4.08 (s, 2H), 4.05-3.96 (m, 1H), 3.52-3.44 (m, 1H), 3.37 (s, 1H), 3.22 (t, J = 7.8 Hz, 2H), 1.15 (d, J = 6.5 Hz, 3H).
실시예 P10 내지 P16, P32, P34, P36, P44, P47 내지 51, P53 및 P58 내지 5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 반응식(B)에 따른 실시예 P8의 제조방식과 유사하게 중간체(11), (53) 또는 중간체(11)과 유사한 붕산염 중간체로부터 얻었다.
Figure pct00102
Figure pct00103
Figure pct00104
실시예 P9 :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 H -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9)의 합성
Figure pct00105
단계 1: t-부틸 (4-(7-플루오로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25)의 합성
Figure pct00106
방법 I: 건조된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4) (600 mg, 2.279 mmol), 1,4-디옥산 (4 mL) 및 물 (0.8 mL), 중간체(8) (563 mg, 1.595 mmol), Pd(dppf)Cl2 (167 mg, 0.2279 mmol) 및 중탄산나트륨 (383 mg, 4.56 mmo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75℃로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고온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조(crude) 산물을 얻었고 이는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5 내지 3/1)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5)인 t-부틸(4-(7-플루오로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를 얻었다 (620 mg, 고체). 수율: 60.45%. 1H NMR (400 MHz, DMSO) δ 8.27 (d, J = 5.2 Hz, 1H), 7.85 (d, J = 1.2 Hz, 1H), 7.49 (dd, J = 5.2, 1.6 Hz, 1H), 7.43 (s, 1H), 7.41 - 7.36 (m, 2H), 6.18 (d, J = 2.0 Hz, 1H), 6.14 (s, 1H), 3.70 (s, 3H), 3.57 (t, J = 8.8 Hz, 2H), 3.08 (t, J = 8.8 Hz, 2H), 1.41 (s, 9H).LCMS: m/z 410.2(M+H).
방법 II: 건조된 2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중간체(8) (0.984 g, 2.80 mmol), 중간체(4) (0.88 g, 2.90 mol), 트리에틸아민 (1.19 g, 12 mmol), 1,4-디옥산 (15 mL) 및 증류수 (3 mL)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Pd(dppf)Cl2 (240 mg, 0.3 mol)를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70℃로 가온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 내지 1:5)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5)인 t-부틸(4-(7-플루오로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를 얻었다 (1.0 g, 고체). 수율: 88%. LCMS: m/z 410.1 (M+H).
방법 III: 둥근바닥 플라스크(50 mL)에, 중간체(8) (1.80 g), 중간체(4) (2.15 g),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트리에틸아민 (2.06 g), 순수 (3.6 g) 및 Pd(ddpf)Cl2 (1.25g)을 순서대로 첨가했다. 혼합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65 내지 75℃의 온도를 유지하고 약 15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했다. HPLC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잔사에 MTBE와 수돗물을 첨가해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규조토에 흡입시켜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세척했다. 혼합 여액을 계층화시켰다. 유기층을 수돗물로 2회 세척했다. 복합 유기층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잔사에 n-헵탄을 점적 첨가하고 저온에서 교반했다. 감압하에 흡입 여과한 후, 여과 케이크를 메틸 t-부틸 에스테르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오븐 건조하여 중간체(25)인 t-부틸 (4-(7-플루오로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를 얻었다. 1.72 g. LCMS: m/z 410.1 (M+H).
단계 2: t-부틸 (4-(1-(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틸)-7-플루오로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 H -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26)의 합성
Figure pct00107
방법 I: 건조된 25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인 2-클로로피리딘-3-아세트산 (493 mg, 2.876 mmol), Ac2O (285 mg, 2.80 mmol) 및 THF (3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을 75℃에서 1시간 동안 수행하고 중간체(25) (620 mg, 1.514 mmol), THF (2 mL), DMF (1 mL) 및 피리딘 (240 mg, 3.028 mmol)을 더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7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메탄올(2 mL)을 첨가하고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석유 에테르 = 1/4 내지 DCM:MeOH = 30/1)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26)을 얻었다 (400 mg, 연황색 고체). 수율: 46.9%. LCMS: m/z 564.2(M+H).
방법 II: 10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25) (1.682 g, 4.1 mmol),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121 g, 16.4 mmol), 화합물(9) (0.843 g, 4.9 mol),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및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50% 용액, 6.54 g, 10 mmo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했다. 첨가 완료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 7 내지 8로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흡입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t-부틸 (4-(1-(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틸)-7-플루오로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26)를 얻었다 (2.033 g, 연황색 오일 조(crude) 산물). LCMS: m/z 562.5/564.5(M+H).
단계 3: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 H -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9)의 합성
Figure pct00108
방법 I: 건조된 25 mL의 단일목 플라스크에 중간체(26) (350 mg, 0.622 mmol), TFA (709 mg, 6.22 mmol), 아세토니트릴 (5 mL) 및 H2O (0.5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하에 4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검출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조(crude) 산물을 조제 액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산물(P9)인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을 얻었다 (135 mg, 황색 고체). 수율: 46.9%. LCMS: m/z 463.1(M+H).
1H-NMR (400 MHz, DMSO-d 6 ) δ 8.82 (s, 1H), 8.35 (dd, J = 4.8, 1.6 Hz, 1H), 8.17 (d, J = 5.6 Hz, 1H), 7.88 (dd, J = 7.2, 1.2 Hz, 1H), 7.50 (s, 1H), 7.45 - 7.41 (m, 2H), 7.34 (d, J = 1.2 Hz, 1H), 7.10 (d, J = 5.2 Hz, 1H), 7.02 (s, 1H), 6.28 (d, J = 1.2 Hz, 1H), 4.28 (t, J = 8.0 Hz, 2H), 4.08 (s, 2H), 3.69 (s, 3H), 3.21 (t, J = 8.0 Hz, 2H).
방법 II: 건조된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디클로로메탄 (15 mL) 및 중간체(26) (2.033 g, 3.6 mmol)를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 ml)을 천천히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점적 첨가하여 pH 7 내지 8로 조정했다. 반응물을 층분리하고 디클로로메탄 (50 mL×3)으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현탁액에 교반하에 물 (20 mL)을 첨가하고, 얼음조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했다. 흡입 여과후, 여과 케이크를 물 (10 mL)로 1회 세척하고 감압하에 오븐 건조하여 화합물(P9)인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yl)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을 얻었다. 1.63g. LCMS: m/z 463.1(M+H).
실시예 P45 내지 46 및 P6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 반응식(C)에 따른 실시예 P9의 제조방식과 유사하게 중간체(25) 또는 유사한 중간체를 이용하여 얻었다.
Figure pct00109
실시예 P17 : 1-(7-플루오로-5-(2-((1-메틸-1 H -피라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인돌린-1-일)-2-(2-플루오로페닐)에탄-1-온(P17)의 합성
Figure pct00110
단계 1: N-4-(7-플루오로인돌린-5-일)-N-(1-메틸-1 H -피라졸-5-일)피리미딘-2-일아민(32)의 합성
Figure pct00111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4)인 7-플루오로-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인돌린 (900 mg, 3.80 mmol), 화합물(17)인 4-클로로-N-(1-메틸-1H-피라졸-5-일)피리미딘-2-아민 (800 mg, 3.80 mmol), 탄산칼륨 (1.1 g, 7.60 m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 디클로라이드 (278 mg, 0.38 mmol) 및 1,4-디옥산 (20.0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5회 퍼지한 후 80℃로 가온하고 하룻밤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여기에 100 mL의 물을 첨가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0)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32)인 N-4-(7-플루오로인돌린-5-일)-N-(1-메틸-1H-피라졸-5-일)피리미딘-2-일아민을 얻었다 (150 mg, 백색 고체). 수율: 12.0%. LCMS: m/z 311.0 (M+H).
단계 2: 1-(7-플루오로-5-(2-((1-메틸-1 H -피라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인돌린-1-일)-2-(2-플루오로페닐)에탄-1-온(P17)의 합성
Figure pct00112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32)인 N-4-(7-플루오로인돌린-5-일)-N-(1-메틸-1H-피라졸-5-일)피리미딘-2-일아민 (50 mg, 0.16 mmol), 화합물(33)인 2-(2-플루오로페닐)아세트산 (25 mg, 0.16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 mL, 0.64 mmol),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407 mg, 에틸 아세테이트(0.64 mmol)에 녹인 50% (wt%) 용액)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30분간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여기에 100 mL의 물을 첨가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50 mL×5)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를 이용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산물(P17)인 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미딘-4-일)인돌린-1-일)-2-(2-플루오로페닐)에탄-1-온 (16.7 mg, 연황색 고체)을 얻었다. 수율: 20.0%. LCMS: m/z 447.0 (M+H).
1H NMR (DMSO-d6, 400 MHz): δ 9.48 (s, 1H), 8.51 (d, J = 5.2 Hz, 1H), 7.91 (s, 1H), 7.83 (d, J = 12.4 Hz, 1H), 7.46 (d, J = 5.2 Hz, 1H), 7.41-7.31 (m, 3H), 7.19 (q, J = 7.6 Hz, 2H), 6.29 (s, 1H), 4.26 (t, J = 8.0 Hz, 2H), 3.98 (s, 2H), 3.70 (s, 3H), 3.23 (t, J = 8.0 Hz, 2H).
실시예 P18 내지 P20, P23 내지 P25, P28 내지 P31, P33, P37 내지 P39 및 P54 내지 P57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 반응식(C)에 따라 중간체(32) 또는 유사한 중간체를 이용하여 얻었다.
Figure pct00113
Figure pct00114
Figure pct00115
실시예 P35 :
Figure pct00116
단계 1: 메틸 1-메틸-5-니트로-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59)의 합성
Figure pct00117
빙수욕내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58) (5.0 g, 12.74 mmol), 탄산칼륨 (1.94 g, 14.0 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50 mL)를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에 녹인 이오도메탄 용액 (3.80 g, 26.75 mmol)을 점적 첨가했다. 점적 첨가 완료후, 반응액을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물 (150 mL)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30 mL×3)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20)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메틸 1-메틸-5-니트로-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59)를 얻었다.(1.0 g, 백색 고체). 수율: 17.0%. LCMS: m/z 185.9 (M+H)
단계 2: 메틸 5-아미노-1-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60)의 합성
Figure pct00118
실온에서, 화합물(59) (200 mg, 1.081 mmol)을 메탄올 (10 mL)에 용해하고 여기에 Pd/C (10%, 90 mg)를 첨가했다. 반응물을 1기압의 수소 기체하에 4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흡입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메틸 5-아미노-1-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60)를 얻었다 (145 mg, 연황색 오일). 수율: 87.0%. LCMS: m/z 156 (M+H).
단계 3: 메틸 5-((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1-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61)의 합성
Figure pct00119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60) (650 mg, 4.19 mmol)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를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나트륨 수화물 (335 mg, 8.38 mmol)을 조금씩 첨가했다. 반응물을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기에 2-브로모-4-플루오로피리딘 (1.47 g, 8.387 mmol)을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LCMS로 모니터링한 바와 같이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30 mL)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5)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포화 염수 (20 mL×3)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4)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메틸 5-((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1-메틸-1H-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61)를 얻었다 (130 mg, 연황색 고체). 수율: 10%. LCMS: m/z 310.9/312.9 (M+H).
단계 4: (5-((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1-메틸-1H-피라졸-3-일)메탄올(62)의 합성
Figure pct00120
실온에서, 화합물(61) (130 mg, 0.418 mmol)을 무수 메탄올 (25 mL)에 용해하고 여기에 소듐 보로히드라이드 (156 mg, 4.18 mmol)를 조금씩 첨가했다. 첨가 완료후,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4:1)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5-((4-브로모피리딘-2-일)아미노)-1-메틸-1H-피라졸-3-일)메탄올(62)을 얻었다 (100 mg, 백색 검). 수율: 85%. LCMS: m/z 282.9/284.9 (M+H).
단계 5: N-(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H-피라졸-5-일)-N-(4-브로모피리딘-2-일)-아민(63)의 합성
Figure pct00121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62) (100 mg, 0.355 mmol),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532 mg, 3.55 mmol), 트리에틸아민 (358 mg, 3.55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33 mg, 0.036 mmol) 및 디클로로메탄 (10 m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물 (30 mL)을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5)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N-(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H-피라졸-5-일)-N-(4-브로모피리딘-2-일)-아민(63)을 얻었다 (50 mg, 연황색 오일). 수율: 33.0%. LCMS: m/z 396.9/398.9 (M+H).
단계 6: 1-(5-(2-((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7-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64)의 합성
Figure pct00122
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63) (50 mg, 0.126 mmol), 1,4-디옥산 (10 mL), PdCl2(dppf) (9.2 mg, 0.0126 mmol), 탄산칼륨 (26.1 mg, 0.189 mmol) 및 화합물(11) (52.5 mg, 0.126 mmo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80℃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용출계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5:1)를 이용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1-(5-(2-((3-(((t-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7-플루오로인돌린-1-일)-2-(2-클로로피리딘-3-일)에탄-1-온(64)을 얻었다 (60 mg, 연황색 오일). 수율: 78.5%. LCMS: m/z 606.5/608.5, (M+H).
단계 7: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3-(히드록실메틸)-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35)의 합성
Figure pct00123
50 mL의 플라스크에 화합물(64) (60 mg, 0.099 mmol),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 및 디클로로메탄 (10 mL)을 실온에서 순서대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15 mL)을 천천히 첨가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10 mL×5)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조제 액상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Gemini-C18 150×21.2 mm, 5um; 이동상: ACN -H2O (0.1%FA), 구배:10-60)로 정제하여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3-(히드록실메틸)-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P35)을 얻었다 (12 mg, 연황색 고체). 수율: 25%.
1H-NMR (CD3OD, 400 MHz): 8.33 (d, J = 3.2 Hz, 1H), 8.15 (d, J = 5.6 Hz, 1H), 7.90 (d, J = 7.6 Hz, 1H), 7.51 (s, 1H), 7.44-7.38 (m, 2H), 7.12 (d, J = 5.6 Hz, 1H), 6.99 (s, 1H), 6.31 (s, 1H), 4.56 (s, 2H), 4.37 (t, J = 7.6 Hz, 2H), 4.14 (s, 2H), 3.73(s, 3H), 3.28(t, J = 7.2 Hz, 2H). LCMS: m/z 492.9/494.9 (M+H).
실시예 P60: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2-히드록실에탄-1-온(P60)의 합성
Figure pct00124
단계 1: 에틸 2-(2-클로로피리딘-3-일)-2-히드록실아세테이트(91)의 합성
Figure pct00125
건조된 25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0) (6.0 g, 0.031 mol), 테트라히드로푸란 (100 mL) 및 염화 이소프로필마그네슘-염화리튬 착염 (31 mL, 40.3 mol)을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실온까지 자연적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물을 빙수욕에서 냉각하고 화합물(2) (3.2 g, 0.031 mol)을 첨가하여 실온까지 천천히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 뒤 포화 염화암모늄 (100 mL)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8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10)로 정제하여 에틸 2-(2-클로로피리딘-3-일)-2-히드록실아세테이트(91)를 얻었다 (1.4 g, 연황색 오일). 수율: 21%. LCMS: m/z 216.0 (M+H).
단계 2: 에틸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테이트(92)의 합성
Figure pct00126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1) (800 mg, 3.7 mmol), 디클로로메탄 (50 mL), t-부틸디메틸실릴 클로라이드 (2796 mg, 18.5 mmo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52 mg, 3.7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740 mg, 37.0 mmo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질소 기체로 3회 퍼지한 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물에 얼음물 (100 mL)을 첨가해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60 mL×3)으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들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석유 에테르 = 1:20)로 정제하여 에틸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테이트(92)를 얻었다 (640 mg, 무색 오일). 수율: 52%. LCMS: m/z 330.0 (M+H).
단계 3: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트산(93)의 합성
Figure pct00127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2) (640 mg, 1.94 mmol),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244 mg, 5.81 mmol),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및 물 (4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1N 염산 수용액으로 pH 7이 되도록 조정했다. 고체를 침전, 여과 및 건조하여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트산(93)을 얻었다 (180 mg, 백색 고체). 수율: 31%. LCMS: m/z 302.0 (M+H).
단계 4: t-부틸 N-(4-(1-(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틸)-7-플루오로인돌-5-일)피리딘-2-일)-N-(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94)의 합성
Figure pct00128
얼음조내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3) (243 mg, 0.6 mmol), 화합물(25) (180 mg, 0.6 mmol), 옥시염화인 (273 mg, 1.8 mmol) 및 피리딘(20 mL)을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점차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얼음물 (50 mL)을 첨가해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조제형 TLC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3)로 정제하여 t-부틸 N-(4-(1-(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아세틸)-7-플루오로인돌-5-일)피리딘-2-일)-N-(1-메틸-1H-피라졸-5-일) 카르바메이트(94)를 얻었다 (250 mg). 수율: 61%. LCMS: m/z 692.5 (M+H).
단계 5: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95)의 합성
Figure pct00129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4) (250 mg, 0.36 mmol), 디클로로메탄 (2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mL)을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얼음조에서 냉각한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50 mL)으로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0 mL×3)으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2-((t-부틸디메틸실릴)옥시)-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96)을 얻었다 (200 mg, 무색 오일). 수율: 93%. LCMS: m/z 593.1 (M+H)
단계 6: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2-히드록실에탄-1-온(P60)의 합성
Figure pct00130
건조된 100 mL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화합물(95) (200 mg, 0.34 mmol), 테트라히드로푸란 (4 mL) 및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로라이드 (THF에 녹인 1N 용액, 4 mL)를 실온에서 첨가했다. 반응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0 mL)로 희석한 뒤, 에틸 아세테이트 (30 mL×3)로 추출했다. 복합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 위에서 건조 및 여과했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했다. 결과로 나온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석유 에테르 = 1:20)로 정제하여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2-히드록실에탄-1-온(P60)을 얻었으며 (120 mg, 백색 고체),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 n-헥산 = 1:2 로부터 재결정화하여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5-(2-((1-메틸-1H-피라졸-5-일)아미노)피리딘-4-일)인돌린-1-일)-2-히드록시에탄-1-온(P60)을 얻었다 (55 mg, 백색 고체). 수율: 34%.
1H NMR (400 MHz, DMSO-d 6) δ 8.82 (s, 1H), 8.38 (dd, J = 2.0, 4.8 Hz, 1H), 8.16 (d, J = 5.6 Hz, 1H), 8.02 (dd, J = 2.0, 7.6 Hz, 1H), 7.55-7.47 (m, 2H), 7.41 (d, J = 12 Hz, 1H), 7.34 (d, J = 1.6 Hz, 1H), 7.09 (dd, J = 1.2, 5.2 Hz, 1H), 7.01 (s, 1H), 6.63 (d, J = 6.8 Hz, 1H), 6.27 (d, J = 2.0 Hz, 1H), 5.77 (d, J = 6.4 Hz, 1H), 4.42-4.33 (m, 1H), 4.24-4.14 (m, 1H), 3.68 (s, 3H), 3.27-3.20 (m, 1H).
LCMS: m/z 479.0 (M+H).
실시예 P64는 실시예 60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중간체(25)와 유사한 중간체를 사용하여 얻었다.
Figure pct00131
단계 7: 화합물(P60)의 분해에 의한 화합물(P62) 및 (P63)의 제조
Figure pct00132
분해 조건:
키랄 컬럼 : AD-H, 0.46 cm ID×15cm L
이동상 : HEP : IPA (0.1 % DEA) = 60 : 40
유량 : 0.5 mL
검출 파장 : UV 254 nm
컬럼 온도 : 25℃
용출된 제1 피크 화합물 (Peak 1)의 번호는 P62 이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8.81 (s, 1H), 8.38 (dd, J = 4.8, 1.8 Hz, 1H), 8.16 (d, J = 5.4 Hz, 1H), 8.02 (dd, J = 7.6, 1.6 Hz, 1H), 7.52 (dd, J = 7.6, 4.8 Hz, 1H), 7.48 (s, 1H), 7.40 (d, J = 12.0 Hz, 1H), 7.34 (d, J = 1.8 Hz, 1H), 7.09 (d, J = 4.2 Hz, 1H), 7.00 (s, 1H), 6.61 (s, 1H), 6.27 (d, J = 1.6 Hz, 1H), 5.77 (d, J = 6.6 Hz, 1H), 4.37-4.41 (m, 1H), 4.26 - 4.14 (m, 1H), 3.68 (s, 3H), 3.22 (dd, J = 13.4, 7.2 Hz, 2H).
.LCMS: m/z 479.0 (M+H).
용출된 제2 피크 화합물 (Peak 2)의 번호는 P63 이었다.
1H NMR (400 MHz, DMSO) δ 8.81 (s, 1H), 8.38 (dd, J = 4.8, 1.8 Hz, 1H), 8.16 (d, J = 5.4 Hz, 1H), 8.02 (dd, J = 7.6, 1.8 Hz, 1H), 7.52 (dd, J = 7.6, 4.8 Hz, 1H), 7.48 (s, 1H), 7.40 (d, J = 12.0 Hz, 1H), 7.34 (d, J = 1.8 Hz, 1H), 7.09 (dd, J = 5.4, 1.6 Hz, 1H), 7.00 (s, 1H), 6.61 (d, J = 6.8 Hz, 1H), 6.27 (d, J = 1.8 Hz, 1H), 5.77 (d, J = 6.8 Hz, 1H), 4.43 - 4.35 (m, 1H), 4.25-4.15 (m, 1H), 3.68 (s, 3H), 3.22 (dd, J = 13.4, 7.2 Hz, 2H).
LCMS: m/z 479.0 (M+H).
실시예 P40 및 P41 : 화합물(P53)의 분해에 의한 화합물(P40) 및 (P41)의 제조
Figure pct00133
분해 조건:
키랄 컬럼 : 키랄팩-OJ, 0.46 cm ID×15cm L
이동상 : HEX-EtOH (0.1 % DEA) = 50 : 50
유량 : 0.8 mL
검출 파장 : UV 214/254 nm
컬럼 온도 : 40℃
용출된 제1 피크 화합물 (Peak 1)의 번호는 P40 이었다.
1H NMR (CD3OD, 400 MHz): 8.34 (d, J = 4.8 Hz, 1H), 7.98 (d, J = 5.6 Hz, 1H), 7.90 (d, J = 7.6 Hz, 1H), 7.51 (s, 1H), 7.44-7.38 (m, 2H), 6.94-6.92(m, 1H), 6.79 (s, 1H), 4.51-4.48 (m, 1H), 4.37 (t, J = 8 Hz, 2H), 4.30-4.27 (m, 1H), 4.14 (s, 2H), 3.28 (t, J = 7.6 Hz, 2H), 2.41-2.38 (m, 2H), 2.35-2.31 (m, 2H).
LCMS: m/z 452.8/454.9 (M+H)
용출된 제2 피크 화합물 (Peak 2)의 번호는 P41 이었다.
1H NMR (CD3OD, 400 MHz): 8.33 (d, J = 4.8 Hz, 1H), 7.97(d, J = 6 Hz, 1H), 7.90 (d, J = 7.6 Hz, 1H), 7.53 (s, 1H), 7.43-7.40 (m, 2H), 6.96(d, J = 5.6 Hz, 1H), 6.84 (s, 1H), 4.37 (t, J = 7.6 Hz, 2H), 4.14 (s, 2H), 4.10-4.03 (m, 1H), 3.85-3.77 (m, 1H), 3.29 (t, J = 8 Hz, 2H), 2.91-2.85 (m, 2H), 1.92-1.85 (m, 2H).
LCMS: m/z 452.8/454.9 (M+H)
실시예 P42 및 P43 : 화합물(P16)의 분해에 의한 화합물(P42) 및 (P43)의 제조
Figure pct00134
분해 조건:
키랄 컬럼 : OJ, 0.46 cm I.D.*25cm L
이동상 : n-헥산:에탄올 (0.2 % 디에틸아민) = 50 : 50
유량 : 0.8 mL
검출 파장 : UV 214/254 nm
컬럼 온도 : 40℃
용출된 제1 피크 화합물 (Peak 1)의 번호는 P42 이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8.82 (s, 1H), 8.34 (d, J = 3.2 Hz, 1H), 8.16 (d, J = 5.2 Hz, 1H), 7.89 (d, J = 7.6 Hz, 1H), 7.52 (s, 1H), 7.49-7.41 (m, 2H), 7.34 (d, J = 1.4 Hz, 1H), 7.10 (d, J = 5.4 Hz, 1H), 7.01 (s, 1H), 6.28 (s, 1H), 4.97-4.89 (m, 1H), 4.18 (d, J = 16.8 Hz, 1H), 3.96 (d, J = 16.8 Hz, 1H), 3.68 (s, 3H), 3.57-3.51 (m, 1H), 2.72 (d, J = 16.0 Hz, 1H), 1.27 (d, J = 6.4 Hz, 3H). LCMS: m/z 476.9 (M+H).
용출된 제2 피크 화합물 (Peak 2)의 번호는 P43 이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82 (s, 1H), 8.34 (d, J = 3.6 Hz, 1H), 8.16 (d, J = 5.4 Hz, 1H), 7.89 (d, J = 6.8 Hz, 1H), 7.52 (s, 1H), 7.48-7.41 (m, 2H), 7.34 (s, 1H), 7.10 (d, J = 5.4 Hz, 1H), 7.01 (s, 1H), 6.27 (s, 1H), 4.98-4.89 (m, 1H), 4.18 (d, J = 16.8 Hz, 1H), 3.96 (d, J = 16.8 Hz, 1H), 3.68 (s, 3H), 3.57-3.51 (m, 1H), 2.72 (d, J = 16.0 Hz, 1H), 1.27 (d, J = 6.4 Hz, 3H).
LCMS: m/z 476.9 (M+H).
효과 실시예 I: 화학 안정성 분석
1. 화학 안정성 분석에 사용된 검출 수단 및 조건
검출 방법: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
장비: 펌프, 자동 시료 주입기, 검출기 및 컬럼식 오븐을 포함한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컬럼: 워터스 어퀴티 UPLC BEH C18 (2.1*50 mm,1.7 μm)
검출기: PDA 검출기
검출 파장: 225 nm
이동상: A: 물에 녹인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용액
B: 아세토니트릴
구배:
Figure pct00135
유량: 0.4 ml/분
컬럼온도: 40℃
주입량: 2 μl
2. 본 발명의 화합물의 화학 안정성 연구
(1) 시험 화합물(P9)의 용액 제형화
공용매로 PEG400을 사용하여 0.2 mg/ml의 농도를 갖는 다양한 완충계에 녹인 용액 형태로 화합물(P9)를 제형화했다. 이들 용액을 화학 안정성 연구에 사용했다. 다양한 pH 값을 갖는 용액들을 다음과 같이 제형화했다:
Figure pct00136
화학 안정성의 분석 조건: 다양한 pH 값을 갖는 화합물(P9)의 용액을 37℃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했다. 화합물(P9)의 함량은 0, 4, 8, 12, 14 및 24시간에 HPLC로 측정했다.
(2) 다양한 pH 값을 갖는 용액내 시험 화합물(P9)의 화학 안정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137
(3) 결론
상기 연구 결과는 37℃에서 24시간 동안 pH 2.0, pH 6.8 및 pH 7.4의 용액내 화합물(P9)의 보관후 불순물이 유의할 수준으로 증가하지 않았으며, 이 화합물(P9)이 우수한 화학 안정성을 갖는 것을 나타냈다.
3. 참조 화합물의 화학 안정성 연구
마찬가지로, pH 1.2, pH 6.8 및 pH 7.4의 용액내 WO2017/114510A1에 따른 화합물(A107)의 화학 안정성을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했다.
(1) 화합물(A107) 용액의 제형화
(1.1) 화합물(A107) 용액 (pH 1.2)의 제형화:
용액의 조성: 10% PEG400 + 5% 솔루톨 HS-15 + 85% pH 1.2 묽은 염산
농도: 0.2 mg/ml
제형화 방법: 화합물(A107)을 칭량하고, 여기에 상기 소정량의 PEG400 및 솔루톨 HS-15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에 다시 상기 소정량의 묽은 염산 (pH 1.2)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1.2) 화합물(A107) 용액 (pH 6.8)의 제형화
용액의 조성: 10% PEG400 + 5% 솔루톨 HS-15 + 85% pH 6.8 인산염 완충액
농도: 0.2 mg/ml
제형화 방법: 화합물(A107)을 칭량하고, 여기에 상기 소정량의 PEG400 및 솔루톨 HS-15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에 다시 상기 소정량의 인산염 완충액 (pH 6.8)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1.3) 화합물(A107) 용액 (pH 7.4)의 제형화
용액의 조성: 10% PEG400 + 5% 솔루톨 HS-15 + 85% pH 7.4 인산염 완충액
농도: 0.2 mg/ml
제형화 방법: 화합물(A107)을 칭량하고, 여기에 상기 소정량의 PEG400 및 솔루톨 HS-15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투명한 용액을 제조했다. 이 용액에 다시 상기 소정량의 인산염 완충액 (pH 7.4)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했다.
(2) 다양한 pH 값에서 화합물(A107)의 화학 안정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138
상기 표에서와 같은 결과는 37℃에서 24시간 동안 pH 1.2, pH 6.8 및 pH 7.4의 용액내 WO2017/114510A1에 따른 화합물(A107)의 보관후 불순물이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며, 이 화합물(A107)이 산성, 중성 및 약알칼리성 조건에서 낮은 화학 안정성을 갖는 것을 나타냈다.
효과 실시예 II: 시험관내 효소 활성 분석
ERK2 키나제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1/2 억제활성 (IC50 값)을 본 실시에에서 측정했다.
(1) 재료와 기기:
효소: 세포외 신호-조절된 키나제 ERK2 키나제 (PV3595, Invitrogen)
키트: Z'-LYTE® 단백질 키나제 분석 키트 - Ser/Thr 3 펩티드 (PV3176, Invitrogen)
키트 구성요소: 기질 Z'-LYTETM Ser/Thr 3 펩티드 (PV3200)
포스포릴화 기질 Z'-LYTETM Ser/Thr 3 포스포-펩티드 (PV3215)
5X 키나제 완충액: 250 mM HEPES (pH 7.5), 50 mM MgCl2,
5 mM EGTA, 0.05% BRIJ-35 (PV3189, Invitrogen)
ATP (PV3227, Invitrogen)
전개 시약 A (PV3295, Invitrogen)
전개 완충액 (P3127, Invitrogen)
중지 시약 (P3094, Invitrogen)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다중모드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PerkinElmer EnVision®
마이크로플레이트: 블랙 쉘로우 384-웰 마이크로플레이트 (6008269, PerkinElmer)
(2) 분석 프로토콜:
기질 Z'-LYTETM Ser/Thr 3 펩티드, 포스포릴화 기질 Z'-LYTETM Ser/Thr 3 포스포-펩티드, 1X 키나제 완충액 (5X 키나제 완충액은 5배의 초순수로 희석한 것이었다), ATP, 전개 시약 A, 전개 완충액 및 중지 시약은 모두 사용을 위해 실온으로 평형화한 것이다. ERK 키나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검출하기 위한 스크리닝 농도는 4% DMSO를 공용매로 사용하여 1 μM (양성 약물 대조군의 경우 0.2 μM)로부터 출발한 7개의 3배 희석 농도이며, 5 μL의 효소계(50 mM HEPES pH 7.5, 1 mM EGTA, 10 mM MgCl2, 0.01% Brij-35, 4 uM 기질, 0.8 ng/μL 효소), 2.5 μL의 화합물 및 2.5 uL의 400 μM ATP를 384-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첨가한 후 암실에서 60분간 실온에서 배양했다. 반응이 종료된 후, 전개용 완충제 (전개 완충액)로 희석한 5 μl의 전개제 (전개 시약 A)를 모든 반응 웰에 첨가한 후 암실에서 60분간 실온에서 배양했다. 5 μL의 종결제를 각 웰에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다중모드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PerkinElmer EnVision® (여기 파장 400 nm, 방출 파장 460 nm 및 528 nm)를 사용하여 형광도를 측정했다.
하기의 데이터 분석법에 따라 각 웰의 억제율을 100% 포스포릴화 기질 웰 및 0% 포스포릴화 기질 웰로부터 계산했다:
포스포릴화율(%)= 1-{(방출율×F100%-C100%)/[C0%-C100%+방출율×(F100%-F0%)]}×100
억제율(%) = 100×(1-시험 화합물 웰의 포스포릴화율(%)/0% 억제율을 갖는 대조군의 0% 포스포릴화율(%))
여기서:
방출율 = 445 nm에서 시료의 형광 방출량/520 nm에서 시료의 형광 방출량
F100% = 520 nm에서 100% 포스포릴화 기질을 포함하는 대조군 웰의 평균 형광 방출량
F 0% = 520 nm에서 0% 포스포릴화 기질을 포함하는 대조군 웰의 평균 형광 방출량
C100% = 445 nm에서 100% 포스포릴화 기질을 포함하는 대조군 웰의 평균 형광 방출량
C0% = 445 nm에서 0% 포스포릴화 기질을 포함하는 대조군 웰의 평균 형광 방출량
시험을 중복 실시했다. 상이한 농도 범위의 시험 화합물을 이용하여 키나제 억제율로부터 IC50 값을 계산했다.
(3) 결과
ERK2 키나제 활성 (IC50)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억제활성 데이터를 하기의 표에 열거했다, 여기서:
A: 화합물의 IC50이 10 nM 이하인 경우를 나타내며;
B: 화합물의 IC50이 10 nM 초과 및 100 nM 미만인 경우를 나타내며;
C: 화합물의 IC50이 100 mM 이상 및 1 μM 미만인 경우를 나타낸다.
ERK2 키나제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억제활성 데이터
Figure pct00139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화합물 P5, P9, P10, P18, P42, P59 P60의 IC50 값은 각각 8.2 nM, 3.3 nM, 6.1 nM, 3.0 nM, 2.7nM, 4.8nM 및 10nM 이었다.
효과 실시예 III: 시험관내 세포 연구
본 발명의 화합물(P9) 및 WO2017/114510A1의 대표적인 화합물이 인간 흑색종 세포주 A375의 증식 (IC50 값)에 주는 억제 활성을 본 실시예에서 측정했다.
(1) 재료와 기기:
세포: 인간 흑색종 세포주 A375 (CRL-1619TM, ATCC)
검출 시약: 술포호다민 B SRB (S9012, Sigma)
마이크로플레이트: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 (3599, Corning)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전-파장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SpectraMax 190, 분자 장치)
(2) 분석 프로토콜:
로그 성장 단계의 세포를 적정 밀도 (3500/웰)로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90 μL/웰의 부피로 시드했다. 37℃의 CO2 배양기에서 하룻밤 배양한 후, 상이한 농도의 10 μL의 화합물 또는 배지 대조군으로서 염수를 3회 중복 첨가한 후 72시간 동안 배양하고, 공백 상태의 웰을 셋팅했다. 반응 종결후, 배양액을 세포에서 제거하고, 이를 4℃에서 1시간 동안 고정시키기 위해 10% (w/v) 삼염화아세트산 (100 μL/웰)을 첨가한 다음 증류수로 5회 세척했다. 오븐에서 건조시킨 후, 100 μL의 SRB 용액 (4 mg/mL, 1% 빙초산에 용해시킴)을 각 웰에 첨가했다. 실온에서 15분간 염색을 위해 배양한 후, 1% 빙초산으로 5회 세척하여 결합되지 않은 SRB를 제거했다.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오븐 건조하고, 150 μL의 10 mM 트리스 용액을 각 웰에 첨가했다. 560 nm 파장에서 광학밀도 (OD 값)를 전-파장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SpectraMax 190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약물의 종양 세포 성장 억제율은 하기의 식에 따라 계산했다.
억제율(%) = [1 -(화합물 웰의 OD 값/음성대조군의 OD 값)]×100%
IC50 값은 마이크로플레이터 판독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4-변수 회귀법에 따라 구했다. 분석은 2회 반복했다.
분석 결과를 하기의 표에 열거했다:
WO2017/114510A1의 대표 화합물과 본 발명의 화합물(P9) 간의 세포기준 활성 데이터의 비교
Figure pct00140
상기 분석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P9)이 WO2017/114510A1의 대표적인 화합물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활성을 갖는 것을 나타냈다.
효과 실시예 IV: 삼투성 연구
본 발명의 화합물(P9)과 WO2017/114510A1의 화합물(A107)의 삼투성을 본 실시예에서 시험관내 약물 흡수모델에서의 Caco-2 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1) 재료와 기기:
세포: 인간 대장암 Caco2 (HTB-37, ATCC)
페트리 접시: 10cm 페트리 접시 (430167, Corning)
밀리셀-24 마이크로플레이트 (PSHT010R5, Millipore)
완충액: PBS (14190, Invitrogen)
HEPES (H0887, Sigma)
HBSS (H8264, Sigma)
세포 배양에 관련된 물질:
고 글루코스 함량 DMEM 배지 (L0103-500, Biowest)
태아소 혈청 (S1810-500, Biowest)
트립신 (255200-056, Invitrogen)
비-필수 아미노산 (M7145, Sigma)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B-13234, GIBCO)
피루브산 나트륨 (11360-070, Invitrogen)
L-글루타민 (25030-081, Invitrogen)
관련 시약: 플루오레신 (L0144, Sigma)
프로프라놀롤 (P831800, Sigma)
콜키신 (C9754, Sigma)
아테놀롤 (A7655, Sigma)
기기: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워터스 아퀴티 UPLC I-등급, Waters)
질량 분석기 (Waters xevo TQ-S MS/MS, Waters)
저항계 (Millicell-ERS, Thermo)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 (Infinite Pro, Tecan)
(2) 분석 프로토콜:
Caco-2 세포 단일층 모델의 확립
1) Caco-2 세포를 소생시켜 37℃의 5 내지 6% CO2 및 95% RH 배양기내 10 cm 페트리접시에서 배양했다. 배지는 10% 태아소 혈청, 1% 글루타민, 1% 비-필수 아미노산, 100 U/mL의 페니실린 및 100 μg/ mL의 스트렙토마이신을 보충한 고 글루코스 함량 DMEM 배지로 했다.
2) 세포가 80 내지 90%의 컨플루언시(confluency)까지 성장하면, 이 세포들을 트립신으로 소화시키고 원심분리했다. 상청액을 제거했다. 세포는 6 ml의 완전 배지에 재현탁하고 세포수를 3회 계수했다.
3) 1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확하고 이를 현탁액에 희석시켰다. 세포를 밀리셀-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400 μL의 부피로 2×105/mL의 농도로 시드하고, 37℃의 5% CO2 배양기에 담긴 배양을 위한 기질측에 800 μL의 배양액을 첨가했다.
4) 세포 시드 72시간 후 및 이후 격일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했다. 세포는 21일간 배양했다.
Caco-2 단일층 세포의 평가
1) 배양 21일 후, 각 웰에서 세포 성장 동안 막에 대한 전기저항을 측정하여 Caco-2 단일층 세포의 완전성을 평가했다.
2) 표지자 누출 검사
형광 표지자 루시퍼 옐로우(Lucifer Yellow)로 Caco-2 세포 단일층의 완전성을 확인했다. 세포 단일층 성장 21일에, 200 μL의 루시퍼 옐로우 (100 μg/ml)를 세포층 상면 (정점측, AP 측)에 첨가하고 800 μL의 HBSS 용액을 저면 (기저측, BL 측)에 첨가했다. 37℃의 5% CO2 배양기에서 1.5시간 동안 배양한 후, 시료를 수거하고 485 내지 53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했다. 누출량을 계산하였으며 대체로 0.4%를 넘지 않았다. 공백 HBSS 용액을 공백 대조군으로 사용했다.
양방향 전달 실험
동일한 조건에서, Caco-2 세포층의 상면 (정점측, AP 측)에서→저면 (기저측, BL 측)으로 및 BL 측에서→AP 측으로의 약물 전달을 동시에 측정했다.
1) 10 mM 농도의 DMSO으로 화합물의 모액을 제조했다.
2) 상기 모액을 HBSS 용액으로 희석하여 20 μm의 사용 농도로 만들었다.
3) 세포를 HBSS로 3회 세척하고, 세포 전위차계로 TEER 값을 측정했다.
4) 참조 화합물 또는 시험 화합물과 HBSS를 각각 AP 측에서는 400 μL/웰의 농도로 및 BL 측에서는 800 μL/웰의 농도로 양쪽에 첨가했다.
5) 37℃의 5% CO2 배양기에서 1.5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AP 측과 BL 측으로부터 각각 수거했다.
(3) 데이터 분석:
Caco-2 세포 모델에 걸친 약물의 겉보기 삼투 계수 P app 를 다음의 화학식(1)에 따라 계산했다:
Papp = (VA/(면적×시간))×([약물]수용체/[약물]최초 공여체) (1)
여기서 VA는 수용체측의 부피이고, 면적은 필름 면적(cm2)이며, 시간은 반응 시간, [약물]수용체는 수용체측의 약물 농도 및 [약물]초기 공여체는 공여체측의 약물 농도이다.
분석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냈다.
Figure pct00141
삼투성 변수의 분석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P9)이 Caco-2 삼투성 분석에서 WO2017/114510A1의 화합물(A107)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겉보기 삼투 계수 (Papp, 정점에서 기저부까지)를 갖는 것을 확인했다. Papp > 2×10-6 인 경우, 약물이 우수한 삼투성을 갖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음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Journal of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Methods 44 (2000) 235-249 참조). 화합물(P9)의 겉보기 삼투 계수는 상기 수치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화합물(A107)은 상기 수치보다 낮은 값을 갖는다. 또한, 화합물(A107)은 높은 유출비를 나타내는 반면, 화합물(P9)의 유출비는 이보다 훨씬 낮았다. 따라서, 화합물(P9)이 더 우수한 삼투성을 갖기 때문에 체내에서 보다 우수한 장 흡수력 및 경구 흡수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효과 실시예 V: 용해도 분석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열역학적 용해도를 본 실시예에서 측정했다.
(1) 시약과 물질:
Figure pct00142
(2) 기기와 장비:
Figure pct00143
(3) 분석 프로토콜:
상이한 pH 값을 갖는 공백 비히클:
PH7.4: DPBS
PH6.8: 9900μL HBSS + 100μL HEPS + 5μL 2N NaOH
PH7.4: 2N HCl을 이용하여 pH 2.0으로 조정된 DPBS
배양:
약 3 mg의 화합물을 칭량하고, 여기에 500 μL의 공백 비히클을 첨가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했다.
시료 처리:
배양후, 시료를 3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새로운 EP관에 옮긴 다음, 다시 30분간 추가로 원심분리했다.
원심분리후, ACN/H2O (V/V, 1:1)를 첨가하여 시료를 100배로 희석했다.
ACN/H2O (V/V, 1:1)를 이용하여 12.5 nM에서 1 mM까지의 선형 농도범위를 구성했다.
생물학적 분석:
모든 시료를 물과 1: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4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LC-MS/MS로 분석했다.
분석 방법:
크로마토그래피 조건:
분석 컬럼: 아퀴티 BEH C18 (1.7 μm; 2.1×50 mm, 워터스)
이동상 A: H2O에 녹인 0.1% FA
이동상 B: CAN/MEOH (9:1,V/V)에 녹인 0.1% FA
구배: 하기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144
MS/MS 시스템
다중 반응 모니터링(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방식을 이용했다:
Figure pct00145
(4) 결과:
Figure pct00146
상기 결과는 실험한 3개의 pH 값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P9)이 WO2017/114510A1의 화합물들보다 훨씬 높은 용해도를 가지며, 약제로 제형화하는데있어서 유리한 것을 나타냈다.
효과 실시예 VI: 동물 모델에서의 약동학 연구
생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P9) 및 WO2017/114510A1의 대표 화합물의 약동학적 파라미터들을 본 실시예에서 측정했다.
(1) ICR 생쥐에 대한 단일 정맥내(IV) 및 경구(PO) 투여를 위한 체내 약동학 프로토콜.
(1.1) 시험물질의 제형화
시험물질을 제형화하는 동안의 농도를 순수 유리염기를 기초로 계산했다.
정맥주사 (IV)
시험물질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여기에 소정량의 부형제 (5% DMSO + 5% 솔루톨 + 90% 염수)를 첨가했다. 완전히 용해한 후, 정맥주사를 위한 투약 용액을 0.2 mg/mL의 농도로 얻었다.
위관 영양식 경구 투여 (PO)
시험 화합물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여기에 소정량의 부형제 (0.4% 메틸셀룰로오스 (점도: 400 cps))를 첨가했다. 충분히 혼합한 후, 경구 투여를 위한 투약 용액을 1 mg/mL의 농도로 얻었다.
(1.2) 동물 수용 및 적응
40마리의 수컷 SPF 등급 ICR 생쥐를 상하이 Xipuer-Bikai 래버라토리 애니멀사로부터 구입하여, 신체검사를 통과한 30마리의 건강한 정상 ICR 생쥐를 본 연구에 사용했다. 동물의 체중: 20.12 내지 25.56 g.
(1.3) 동물에게 투여
하기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30마리의 수컷 ICR 생쥐에게서 실험을 수행했다.
Figure pct00147
* 모든 동물은 투여전 10 내지 14시간 동안 금식하고, 투여 2시간 후부터 먹이를 공급했다.
(1.4) 시료 수집 및 처리
이산화탄소(CO2)로 안락사시킨 후, 안와부 또는 심장 천자로 채혈했다. 항응고제로서 헤파린 나트륨을 함유한 각 시료당 0.20 밀리리터(mL)의 혈액을 수집했다. 시료들은 수집후 얼음 위에 두었다.
정맥주사군 및 경구 투여군에서의 채혈 시점: 하기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여전 및 투여후 5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및 24시간
Figure pct00148
혈액시료를 채혈시 얼음 위에 두었다. 원심분리로 혈장을 분리했다 (원심분리 조건: 8000 rpm, 6분, 2 내지 8℃), 수집한 혈장은 분석을 위해 -80℃에서 보관했다.
시험물질의 생물학적 시료는 LC-MS/MS로 분석했다. 여기서 사용한 분석법은 하기의 소단원 (1.7)에서 기술했다. 시료 검출을 위한 LLOQ은 1 ng/mL이었다. 또한 표준곡선과 품질 관리를 위한 시료 분석도 시험물질의 검출 과정에서 수행했다.
(1.5) 동물 폐기
실험 종료후 동물은 연구 SOP에 따라 모두 안락사시켰다.
(1.6) 약동학 연구
WinNonlin 7.0을 이용하여 혈중 약물 농도 데이터로부터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함으로써, AUC0-t, AUC0-∞, MRT0-∞, Cmax, Tmax, 및 T1/2, 등의 변수들 및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정량 하한보다 낮은 농도를 갖는 시료의 경우, 약동학적 파라미터를 계산할 때, Cmax 전에 수집한 시료는 제로(0)로 계산하는 한편, Cmax 이후의 시점에 수집한 시료는 정량분석 한계 아래 (below the limit of qualitification, BLQ)로 계산한다.
(1.7) 분석 방법
a. 기기와 장비
LC-MS/MS
이성분계 용매 매니저 (ACQUITY UPLC Binary Solvent Manager), 시료 매니저 (ACQUITY UPLC Autosampler Mod.), 고효율 시료 구성기 (ACQUTIY UPLC Sample Organizer), 고온 컬럼 오븐 (ACQUITY UPLC Column Heater HT)을 탑재한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Waters, ACQUITY UPLC).
질랑 분석기 (API 4000, Applied Biosystems), 전기분무식 이온화 공급원(ESI) 및 탠덤식 사극자 질량분석기.
데이터 처리장치는 애널리스트 소프트웨어이다 (Applied Biosystems, software version no. 1.5.1).
마이크로-분석 저울 (XP26, METTLER TOLEDO Instruments (Shanghai) Co., Ltd.); 소용돌이 진동자 (SI-A256, Scientific Industries, Inc.); 소형 데스크탑고속 냉장 원심분리기 (5417R, Eppendorf); 초순수 장치 (Millipore); 피펫 (Eppendorf).
시약
메탄올 (Burdick&Jackson,Hn, C), 아세토니트릴 (Burdick&Jackson,Hn, C), 포름산 (J&K), 초순수.
b. LC-MS/MS 조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ACQUITY UPLC HSS T3 1.8 μm (50 mm×2.10 mm)
이동상:
Figure pct00149
A: 0.1% 포름산 수용액 B: 메탄올에 녹인 0.1% 포름산 용액
컬럼 온도: 40℃ 자동시료 채취기 온도: 4℃
유량: 500 μL/분 주사 용량: 1 μL
질량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스캔 모드: 양이온 다중 반응 모니터링 모드
이온 공급원: ESI 공급원 분무 모드: 전기분무
Q1 해상도: 유닛(Unit) Q3 해상도: 유닛(Unit)
분무 기체 (기체 1): 65 psi 가열 기체 (기체 2): 65 psi
커튼 기체 (CUR): 35 psi 충돌 기체 (CAD): 10
이온 공급원 전압 (IS): 5500 v 이온 공급원 온도 (TEM): 550℃
c. 표준곡선용 시료 및 품질 관리용 시료의 제형화
시험물질의 양을 칭량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메탄올을 첨가하여 569,000 ng/mL 농도의 원액을 제조했다. 원액의 일부를 취해 메탄올로 희석하여 200,000 ng/mL 농도의 표준 용액을 제조했다. 200,000 ng/mL의 표준 용액을 공백 혈장에 1:39의 상대비로 첨가하여 5000 ng/mL의 농도를 갖는 표준곡선용 시료를 제조했다. 5000 ng/mL의 표준곡선 시료를 공백 혈장으로 희석하여 순서대로 1000, 500, 100, 50, 10, 5 및 1 ng/mL의 표준곡선 시료 및, 800, 200 및 2.5 ng/mL의 품질관리 시료를 각각 제조했다. 특정한 제형화 공정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I: 표준곡선 및 QC용 시료의 제형화
Figure pct00150
내부표준 용액: 767,000 ng/mL 농도의 톨부타미드 원액을 용량 플라스크에 소정량 피펫 주입하고, 메탄올을 첨가해 상응하는 부피로 만든 다음, 잘 혼합하여 내부표준 용액을 얻는다.
d. 혈장 시료의 처리
50 μL의 시료 (표준곡선용 시료/품질관리용 시료/생물학적 시료)를 1.5 mL의 원심분리관에 넣고, 250 μL의 내부표준 용액을 첨가하고 (공백 대조군의 경우 내부표준 용액 대신 동일한 부피의 메탄올을 첨가하고), 소용돌이 방식으로 잘 혼합했다. 혼합물을 14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LC-MS/MS 분석을 위해 200 μL의 상청액을 취해 96-웰 시료 플레이트에 첨가했다.
(2) 결과
WO2017/114510A1의 대표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P9)의 약동학적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비교했다.
Figure pct00151
상기 생쥐들의 체내 약동학적 파라미터에 관하여 측정한 결과로부터, WO2017/114510A1의 화합물과 비교시, 본 발명의 화합물(P9)은 생쥐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더 큰 곡선아래 면적(area under curve, AUC), 더 낮은 체내 제거율(CLz) 및 더 우수한 생체이용율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화합물은 경구 투여후 흡수율 및 약물성(druggability)이 더욱 우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형화 실시예 I
화합물(P9)의 양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5% DMSO + 5% 솔루톨 + 90% 염수 등을 첨가하고 완전히 용해하여, 0.2 mg/mL의 농도를 갖는 투여 용액을 준비하고, 이를 정맥주사 투여용으로 멸균여과했다.
제형화 실시예 II
화합물(P9)의 양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0.4% 메틸셀룰로오스 (점도: 400 cps)를 첨가하여 최종 부피로 만들었다. 충분히 혼합한 후, 경구투여를 위한 1 mg/mL 농도의 투여 용액을 얻었다.
본원에 언급된 모둔 문헌은 각각 개별적으로 열거한 바와 같이, 그 전반의 내용을 본원에 참조로서 수록한다. 당해분야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원을 기초로 다양한 변화나 수정이 가능한 것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며, 이러한 균등물 형태 역시 본원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8)

  1. 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52

    여기서,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2는 CR9b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3은 CR9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X1, X2 및 X3 중 최대한 하나는 N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9'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 임의로 치환된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는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 임의로 치환된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은 H 및 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 및 X1이 함께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3은 할로 및 임의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4는 H, D,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 -CO(CR10R11)mR12, -SO2(CR10R11)mR12, -CONR13(CR10R11)mR12, -COO(CR10R11)mR12, -CR13R13'(CR10R11)mR12 및 C1-8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임의로 치환된 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0 및 R11이 함께 결합되어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임의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3 및 R13'은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아미노,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알킬, 임의로 치환된 알콕실, -(CH2)0-3CONRaRb, -(CH2)0-3COOH,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5, R6, R7 및 R8 중 어느 2개는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임의로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임의의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중수소(D), 할로, -OH, 머캅토, 시아노, -CD3,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3-8원 시클로알킬, 아릴, 3-8원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아릴, 아릴-C1-C6 알킬-, 헤테로아릴-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OC2-C6 알케닐, -OC1-C6 알킬페닐, -C1-C6 알킬-OH, -C1-C6 알킬-SH, -C1-C6 알킬-O-C1-C6 알킬, -OC1-C6 할로알킬, -NH2, -C1-C6 알킬-NH2, -N(C1-C6 알킬)2, -NH(C1-C6 알킬), -N(C1-C6 알킬)(C1-C6 알킬페닐), -NH(C1-C6 알킬페닐), 니트로, -C(O)-OH, -C(O)OC1-C6 알킬, -CONRiRii (여기서 Ri 및 Rii는 H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NHC(O)(C1-C6 알킬), -NHC(O)(페닐), -N(C1-C6 알킬)C(O)(C1-C6 알킬), -N(C1-C6 알킬)C(O)(페닐), -C(O)C1-C6 알킬, -C(O)-5-7원 헤테로아릴, -C(O)C1-C6 알킬페닐, -C(O)C1-C6 할로알킬, -OC(O)C1-C6 알킬, -S(O)2-C1-C6 알킬,  -S(O)-C1-C6 알킬, -S(O)2-페닐, -S(O)2-C1-C6 할로알킬, -S(O)2NH2, -S(O)2NH(C1-C6 알킬), -S(O)2NH(페닐), -NHS(O)2(C1-C6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알킬, 시클로알킬, 페닐, 아릴, 헤테로시클릴 및 헤테로아릴 각각은 추가적으로 할로, -OH, -NH2, 시클로알킬, 3-8원 헤테로시클릴, C1-C4 알킬, C1-C4 할로알킬-, -OC1-C4 알킬, -C1-C4 알킬-OH, -C1-C4 알킬-O-C1-C4 알킬, -OC1-C4 할로알킬, 시아노, 니트로, -C(O)-OH, -C(O)OC1-C6 알킬, -CON(C1-C6 알킬)2, -CONH(C1-C6 알킬), -CONH2, -NHC(O)(C1-C6 알킬), -NH(C1-C6 알킬)C(O)(C1-C6 알킬), -SO2(C1-C6 알킬), -SO2(페닐), -SO2(C1-C6 할로알킬), -SO2NH2, -SO2NH(C1-C6 알킬), -SO2NH(페닐), -NHSO2(C1-C6 알킬) -NHSO2(페닐) 및 -NHSO2(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며,
    , 상기 화합물은 2-(2-클로로피리딘-3-일)-1-(7-플루오로-2-(히드록시메틸)-5-(2-(이소프로필아미노)피리미딘-4-일)인돌린-1-일)에탄-1-온이 아니다.
  2. 제 1항에 있어서,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2는 CR9b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X3은 CR9c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X1, X2 및 X3 중 최대한 하나는 N이고;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CR9'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C1-3 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9'는 H, D, 할로, -OH,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카르보닐,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아미노, 임의로 치환된 모노- 또는 디-(C1-3알킬)아미노 및 CONRaR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은 H 및 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2는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6-12원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와 X1이 함께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3는 할로 및, D 및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4는 H, D,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8 알콕실, -CO(CR10R11)mR12, -SO2(CR10R11)mR12, -CONR13(CR10R11)mR12, -COO(CR10R11)mR12, -CR13R13'(CR10R11)mR12 및 C1-8 알킬카르보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임의로 치환된 C1-8 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C1-8 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0 및 R11이 함께 결합하여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 임의로 치환된 6-12원 아릴, 및 임의로 치환된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3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13 및 R13'이 함께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C4-8 시클로알케닐 및 C5-8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아미노,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3 알콕실, -(CH2)0-3CONRaRb, -(CH2)0-3COOH,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5, R6, R7 및 R8이 인접한 탄소와 함께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Ia), (Ib), (Ic) 또는 (Id)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Figure pct00153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C1-3 알킬, C1-3 할로알킬, C1-3 알콕실, -OH, 시아노, 할로,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3 알킬)아미노, C1-3 알킬카르보닐, C1-3 알콕실카르보닐 및 C3-8 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9a, R9b 및 R9c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또한 다른 변수들은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1은 CR9'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할로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1은 CR9'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F 또는 메틸이거나;
    Y1은 CR9'이고 Y2는 N이며, 여기서 R9'는 H, D, 할로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1은 CR9'이고 Y2는 N이며, 여기서 R9'는 H, D, F 또는 메틸이거나;
    Y1은 N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할로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1은 N이고 Y2는 CR9'이며, 여기서 R9'는 H, D, F 또는 메틸이거나; 또는
    Y1은 N이고 또한 Y2는 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Ie)로 표현되고:
    Figure pct00154

    상기 변수들은 제 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6. 제 1항, 제 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R9a는 H, D, 할로, -OH, 시아노, C1-3 알킬, C1-3 할로알킬, C1-3 알콕시, C1-3 알킬카르보닐, C1-3 알콕시카르보닐, C3-8 시클로알킬, 아미노, 및 모노- 또는 디-(C1-3 알킬)아미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X1은 CR9a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R9a는 H, D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X1은 CH, CD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7. 제 1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 및 임의로 치환된 5-12원 헤테로아릴, 예컨대 5-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D, 할로, 히드록실, -CD3, C1-6 알킬 및 히드록실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바람직하게는, D, 할로, 히드록실, -CD3, -CH3 및 -CH2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거나;
    R2는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로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3-8원 헤테로시클릴, 및 -CD3, C1-6 알킬 및 히드록실 C1-6 알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5-7원 헤테로아릴과 같은 5-12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는 C1-4 알킬,
    Figure pct0015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이들은 D, 할로, 히드록실, C1-4 알킬, -CD3 및 히드록실 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D, 할로, 히드록실, -CH3, -CD3 및 CH2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거나;
    R2는 이소프로필,
    Figure pct00156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2
    Figure pct00157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2
    Figure pct00158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은 할로, 및 D와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할로, 및 D와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할로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이오도, -CH3, -CH2CH3, -CH(CH3)2, -CH2CH2CH3, -CF3, -CHF2, CF3CH2- 및 CD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3은 플루오로, 클로로 및 -CH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3은 플루오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CO(CR10R11)mR12 및 -CR13R13'(CR10R11)m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며,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히드록실로 임의 치환되는 C1-4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6-12원 아릴, 및 5-7원 헤테로아릴과 같은 임의로 치환되는 5-12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또한
    R13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1-3 알킬 및 C1-3 알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0. 제 9항에 있어서,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6-12원 아릴, 및 5-7원 헤테로아릴가 같은 임의로 치환되는 5-12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D, 할로, C1-4 알킬, 시아노, 및 C3-8 헤테로시클릴-(CH2)0-4- (예를 들어, 모르폴리노와 같은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피란-4-일과 같은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모르폴리노메틸과 같은 모르폴리닐메틸, 또는 피페라지닐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거나;
    R12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및 피리디닐-3-일과 같은 임의로 치환된 피리디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D, 할로, C1-4 알킬, 시아노 및 C3-8 헤테로시클릴-(CH2)0-4-(예를 들어, 모르폴리노와 같은 모르폴리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피란-4-일과 같은 테트라히드로피라닐, 모르폴리노메틸과 같은 모르폴리닐메틸, 또는 피페라지닐메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거나; 또는
    R12는:
    Figure pct00159
    (여기서 Rc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와 같은 할로, 메틸과 같은 C1-4 알킬,
    Figure pct00160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161
    (여기서 Rd는 H, 메틸이나 에틸과 같은 C1-4 알킬, 및
    Figure pct0016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Figure pct00163
    (여기서 Re는 플루오로 및 클로로와 같은 할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p는 1 또는 2 이다), 및
    Figure pct00164
    (여기서 Rf
    Figure pct00165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1.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CO(CR10R11)m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및
    R12
    Figure pct00166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2.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CO(CR10R11)mR1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m은 0, 1, 2 또는 3이고, 또한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R12는 2-시아노페닐, 5-클로로-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3-플루오로페닐, 2-클로로-4-플루오로페닐, 2-클로로-5-플루오로페닐, 2,5-디플루오로페닐, 3-클로로피리딘-2-일, 6-클로로피리딘-2-일, 3-클로로피리딘-4-일 또는 4-클로로피리딘-3-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 R5,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D, 할로, -OH, 아미노, 시아노,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 임의로 치환된 C1-6 알콕실, -(CH2)0-3CONRaRb, -(CH2)0-3COOH, 임의로 치환된 C3-8 시클로알킬 및 임의로 치환된 3-8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상기 임의의 치환기는 D, -OH, -OC1-C6 알킬 및 NH2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이고, 또한 Ra 및 Rb는 각각 독립적으로 H, D 및 C1-3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R5,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이나 -O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또한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OC1-C6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1-6 알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R5, R6, R7 및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H, -CH3 및 -CH2O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R5, R6 및 R7은 H이고, R8은 H, -CH3 또는 -CH2O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전구약물,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4. 실시예 P1 내지 P20, P23 내지 P25, P28 내지 P51, P53 내지 P6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16.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과, 임의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7. ERK 키나제 관련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또는 ERK 키나제 억제제인 산물로서 사용하는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
  18.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량으로 ERK 키나제와 접촉시킴으로써 ERK 키나제를 억제하는, ERK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비치료적 방법.
  19. 다음의 식으로 표현되는 t-부틸 (4-(7-플루오르인돌린-5-일)피리딘-2-일)(1-메틸-1H-피라졸-5-일)카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167
  20. 제 1항에 따른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이의 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수화물,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화학식(I)의 화합물은 다음의 화학식(C3)의 화합물이고:
    Figure pct00168

    여기서, X1, R2, R3, R10, R11, R12 및 m은 제 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상기 방법은:
    (a) 화학식(C1)의 화합물
    Figure pct00169
    과 화합물
    Figure pct00170
    이 아미드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다음의 화학식(C2)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Figure pct00171

    (b) 화학식(C2)의 화합물이 Boc-보호되면, 이를 탈보호시켜 화학식(C3)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
    Figure pct00172
  21. 제 20항에 있어서,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축합제 및 불활성 용매내 염기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탈보호는 불활성 용매내 산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방법.
  23. 제 21항 또는 제 22항에 있어서,
    불활성 용매는 에틸 아세테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토니트릴, 디메틸 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N-메틸-2-피롤리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제는 1-히드록실벤조트리아졸(HOBT), 1-히드록실-7-아조벤조트리아졸(HOAT),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PyBOP),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BOP),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CDI), 1-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T3P),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 (EDC-HCl),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 아세트산 무수물, 아세틸 클로라이드, 옥살릴 클로라이드,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 및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BT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법.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는 트라에틸아민, DIPEA, 피리딘, 2,4-디메틸피리딘, NaOH, KOH, LiOH, Na2CO3, K2CO3, NaHCO3, Cs2CO3, Na3PO4 또는 K3P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법.
  26. 제 20항에 있어서,
    아미드 커플링 반응은 실온 내지 환류 온도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하는 방법.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산은 염산, 황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아세트산, 포름산 및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방법.
  28. 제 20항에 있어서,
    탈보호는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0.5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방법.
KR1020207012147A 2017-09-30 2018-09-29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용도 KR20200078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15493.5 2017-09-30
CN201710915493 2017-09-30
PCT/CN2018/108762 WO2019062949A1 (zh) 2017-09-30 2018-09-29 具有erk激酶抑制活性的化合物及其用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510A true KR20200078510A (ko) 2020-07-01

Family

ID=6590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147A KR20200078510A (ko) 2017-09-30 2018-09-29 Erk 키나제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1465984B2 (ko)
EP (1) EP3702354B1 (ko)
JP (1) JP7216105B2 (ko)
KR (1) KR20200078510A (ko)
CN (1) CN109863147A (ko)
AU (1) AU2018339722B2 (ko)
BR (1) BR112020006294A2 (ko)
CA (1) CA3080623C (ko)
EA (1) EA202090888A1 (ko)
IL (1) IL273655B2 (ko)
MX (1) MX2020003240A (ko)
NZ (1) NZ763197A (ko)
SG (1) SG11202002968UA (ko)
WO (1) WO2019062949A1 (ko)
ZA (1) ZA2020018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193A1 (ja) * 2021-11-04 2023-05-11 日産化学株式会社 インド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8216A (zh) * 2015-12-31 2017-07-07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具有erk激酶抑制活性的化合物、其制备方法和用途
AU2017209935B2 (en) 2016-01-22 2021-04-01 Janssen Pharmaceutica Nv New substituted cyanoindoline derivatives as NIK inhibitors
WO2017125534A1 (en) * 2016-01-22 2017-07-27 Janssen Pharmaceutica Nv New 6-membered heteroaromatic substituted cyanoindoline derivatives as nik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36120A (ja) 2020-12-10
AU2018339722A1 (en) 2020-04-23
NZ763197A (en) 2024-03-22
CA3080623C (en) 2023-10-10
JP7216105B2 (ja) 2023-01-31
BR112020006294A2 (pt) 2020-10-06
IL273655B2 (en) 2023-09-01
US11465984B2 (en) 2022-10-11
IL273655B1 (en) 2023-05-01
ZA202001823B (en) 2022-10-26
EA202090888A1 (ru) 2021-01-27
MX2020003240A (es) 2020-11-24
EP3702354A1 (en) 2020-09-02
IL273655A (en) 2020-05-31
AU2018339722B2 (en) 2022-06-30
SG11202002968UA (en) 2020-04-29
EP3702354B1 (en) 2024-05-22
US20200247781A1 (en) 2020-08-06
EP3702354A4 (en) 2021-02-24
CA3080623A1 (en) 2019-04-04
WO2019062949A1 (zh) 2019-04-04
CN109863147A (zh)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830B1 (ko) 친전자성 작용기를 갖는 헤테로아릴 피리돈 및 아자-피리돈 화합물
US20210214361A1 (en) Aurora kinase inhibitors for inhibiting mitotic progression
KR102292811B1 (ko) 아릴퀴나졸린
KR20200115549A (ko) 융합 고리 화합물
JP6035423B2 (ja) 新規な縮合ピリミジン化合物又はその塩
WO2021088945A1 (zh) 作为shp2抑制剂的化合物及其应用
HUE028723T2 (en) Piperidin-4-yl azetidine derivatives as JAK-1 inhibitors
KR20180083421A (ko)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의학적 용도
CN113135910A (zh) 嘧啶-4(3h)-酮类杂环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学上的应用
EP3878852A1 (en) Substituted pyrazolo[1,5-a]pyridine compou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US20210332041A1 (en) Tetrahydropyridopyrimidine derivatives as ahr modulators
WO2015058661A1 (zh) Bcr-abl激酶抑制剂及其应用
US20150306070A1 (en) Use of maleimide derivative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leukemia
US10519110B2 (en) Heterocyclic compound
CN112912142A (zh) 作为腺苷受体拮抗剂的5-氮杂吲唑衍生物
JP7216105B2 (ja) Erkキナ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化合物及びその使用
CN114369097B (zh) 杂芳环类AhR抑制剂
KR20200138306A (ko)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EA042926B1 (ru) Соединение, обладающее активностью по ингибированию erk киназы,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11217816B (zh) 一类flt3激酶抑制剂及其制备和应用
WO2022227987A1 (zh) 杂环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23196930A2 (en) Nicotinamide- and benzamide-based compounds, conjugates, and compositions as inhibitors of translational- and transcriptional-related kinases
CN115109055A (zh) 一种用于egfr降解的双功能化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