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409A -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 Google Patents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409A
KR20200078409A KR1020190172593A KR20190172593A KR20200078409A KR 20200078409 A KR20200078409 A KR 20200078409A KR 1020190172593 A KR1020190172593 A KR 1020190172593A KR 20190172593 A KR20190172593 A KR 20190172593A KR 20200078409 A KR20200078409 A KR 20200078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projector
hologram
air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filed Critical 이정용
Publication of KR2020007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443Digital holography, i.e. recording holograms with digital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02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by two-colour separation records, e.g. red-aspect and white complete records; using Land eff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10Spectral composition
    • G03H2222/12Single or narrow bandwidth source, e.g. laser, 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lo Graphy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출원자는 녹색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레이저로 재생하여 허공에 녹색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성공하였고
이를 기초로 생각해 보면
R G B 로 돌출된 사각형 이미지를 같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만약에
Green 레이저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을 만들 때에
Green 레이저 앞에 별모양의 像을 필름으로 앞에 두면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맺힐 때
사각형의 상에서 별모양의 像 부분은 레이저 빛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부분은 빠지고 나머지 부분에서 간섭무늬에 의해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면 만약에 레이저광이 비추게 되고
그 전면에 홀로그램을 비추게 될 때에
그 사이에 흑백 필름을 두게 되면
회색 부분에서는 희미해 지기는 하는데 이것이 진폭만 바뀌는 것이냐
아니면 진동수도 바뀌는 것이냐를 생각해 보면
진폭 즉 주파수는 동일하고 진폭 즉 빛의 세기만 바뀌는 것이면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간섭무늬를 형성했던 R G B 각 각의 레이저와 동일 주파수의 레이저로 형성된
레이저 프로젝터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비추면
그래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되면
형성되는 사각형 像은 레이저 프로젝터로 비춰지는 동영상이 사각형 상에 결상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레이저 프로젝터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비추면 허공에 일정 위치에 동영상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Description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The projector that is displayed in the air}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홀로그램과 레이저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자가 특허출원하였으며 대한민국의 홀로그래피 전문회사인
(주)한교홀로그램에 의뢰하여 실제로 제작에 성공한
홀로그램으로 4각형 상을 허공에 실상으로 구현하는 홀로그래피기술이 적용된 홀로그래피가 기술분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홀로그램과 홀로그래피와 레이저와 레이저 프로젝터가 배경이 되는 기술이 된다.
Beam Splitter에 입사한 Laser는 기준광과 물체광으로 나누어 지고 물체광은 입력된 Data에 따라서 픽셀들이 이루는 명암의 2진 Data의 한 Page 단위로 공간 광변조기( SLM: Spatial Light Modulator)에 의해서 변조되고, 이때 각각의 Page에는 회전 거울( Rotating Mirror) 의 각도를 조금씩 달리하는 기준광이 상응하게 작성된다. 이후 물체광과 기준광은 홀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저장 매체 내부에서 간섭을 일으키고 이때 발생하는 간섭무늬의 강도에 따라서 저장 매체 내부의 운동전하( Mobile Charge)의 광유도 현상이 발생 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간섭무늬가 기록된다. 저장 매체에 기록된 Data를 읽어 내기 위해서는 기준광만을 저장 매체에 조사하면 간섭무늬는 기준광을 회절시켜 원래의 픽셀의 명암으로 구성되는 바둑판 무늬로 복원되고 이후 읽어진 상을 CCD(Charge Coupled Device) 위에 비추어 원래의 Data로 복원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기준광은 기록시와 동일하도록 회전 거울에 의해서 각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재생시 기준광은 기록시 사용된 기준광과 반드시 정확히 일치하도록 해야 하므로 회전 거울을 회동시키는 기구의 각도 분해능에는 엄격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러한 정밀도는 저장 물질인 Crystal의 두께에 크게 의존하는데 Crystal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더욱 정확한 정밀도가 요구된다. 만약 Crystal의 두께가 1 Centimeter인 경우 재생시 회전 거울에 의한 기준광의 조사 각도가 기록시 기준광의 조사 각도에 비해서 1/1000 도만 편향되어도 재생 Image는 완전히 사라지고 말게 된다. 기록시 Data의 첫Page를 Crystal에 기록한 후, 기준광의 각도를 첫번째 홀로그램의 재생 복원상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증가시키고 이때 다시 새로운 Data Page를 입력시켜 Crystal에 기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Angle Multiplexing이라고 하며 이 과정의 반복을 통하여 Data를 Crystal 내부에 중첩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동일 저장 매체에 많은 홀로그램을 중첩 기록하는 경우, 저장 매체에 기록 되는 간섭무늬 들이 저장 매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유한한 동적 특성 범위( Finite Dynamic Range)를 나누어 가지게 되므로 홀로그램이 점점 어둡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홀로그램의 중첩도가 증가하게 되면 재생 홀로그래램 상(Image)이 점점 어둡게 되고 결과적으로 재생 잡음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각 홀로그램에 의해서 회절되는 빛의 비율( = electro-optical detector에 감지되는 빛의 비율)은 중첩된 홀로그램의 갯수의 제곱에 반비례 한다. 따라서 만약 한 Crystal내부에 저장된 10개의 홀로그램이 1 %라는 회절 효율( Diffraction Efficiency)를 나타낸다면, 1000개의홀로그램을 저장하는 경우 회절 효율은 0.0001%로 급격히 저하된다. 이러한 회절 효율의 저하는 궁극적으로 재생상( Reconstruction Image)을 미약하게 하고, 이러한 미약한 신호는 Laser 밝기의 변동( Laser Brightness Fluctuation), Crystal로 부터의 빛의 산란 및 CCD Detector내의 열에 의해서 발생하는 전자 등에 의해서 System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잡음의 영향을 쉽게 받게 되므로 Bit-Error Ratio가 증가하여 신뢰성있는 Data의 검출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회절 효율의 저하 효과가 저장 매체를 이루는 물질의 저장 능력 ( Storage Capacity)의 한계를 결정하게 된다.
미국의 소규모 데이터 저장 장치 제조업체인 홀로플렉스는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를 개발하고 있는 업체이다. 이 회사는 현재 설탕 입자 크기의 리튬 니오베이트계 크리스탈을 사용, 1기가바이트의 저장 용량을 갖도록 한 저장 매체 기술을 확보한 상태이며, 1천개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이 기술에 기반을 둔 지문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일본의 하마마쓰 포토닉스와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도 알려지고 있다. 이 회사는 이같은 기술 개발 성과에 힘입어 향후 2년내 컴팩트디스크 정도의 크기이면서 이보다 저장 용량이 1백배 많은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를 개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갖고 있다.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를 개발하고 있는 또다른 업체인 미국의 템플렉스 테크놀로지라는 회사도 유러퓸,가돌리늄 등 란타나이트계 결정을 사용, 크리스탈 하나에 6천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으며 조만간 10만비트가 가능할 것이라며 홀로플렉스와 경쟁 할 수 있는 대용량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를 개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회사는 향후 1년내 선보일 자사 개발 시제품은 초당 1기가비트의 데이터를 다운로딩 받을 수 있으며 멀티 레이저를 사용할 경우 그 속도가 더욱 빨라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 회사들이 이처럼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 연구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엄청난 저장 능력과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 등 차세대 저장 매체로서 충분한 매력을 주고 있으며 따라서 머지 않아 상업화가 이루어질 것이라는 판단때문이다. 특히 컴팩트디스크를 포함한 광디스크가 저장 용량 확대에 필요한 저장 밀도의 개선이 연평균 6% 정도에 그치고 있는데다 데이터 저장용 홈도 가시 광선 파장 이하로 쪼갤 수 없어 그 자체 저장 용량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매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홀로그래픽 저장 매체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다.
그건 주기억장치 인지 보조기억 장치인지
하나당 용량이 어느정도이고 속도는 빠른지
별도의 드라이브가 필요한지
등등의 여러 가지요
레이저 프로젝터에 대해서 더 설명하면
레이저 프로젝터에서 레이저 유닛은 왜 Blue Laser 밖에 없는 것인가요?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파란색 레이저를 만들기 가장 어려웠는데, 일본과학자가 물질을 발견하면서, 가능해졌는데, 파란색 빛이 구현되면서 여러 문제가 해결 된 겁니다. 즉, 보다 정확한 색상 구현이 가능해진 거죠. 그런 의미에서 파란색이 중요한 역할을 하죠.
영상을 구현하려면, 소위 RGB의 광원이 필요하죠. RGB가 잘 조합되면, 제대로된 흰색을 구현할 수 있죠. 기술적으로 완벽한 흰색과 우리가 느끼는 흰색은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고품질의 파란 빛이 가능함므로써, 다른 빛에 있어서 여유폭이 생겼다고 보면 됩니다. 특히, 그린... 붉은 색은 오래전에 개발 된 부분이고..
파란색이 파장이 가장 짧아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갖게 됩니다. 약 430 nm 반면 붉은 색은 670 nm 그 중간에 Green
그림에서도 나오듯이 붉은 색은 LED로 충분히 가능하니, 우측에서 LED를 이용해서 Red를 제공하죠.
그린(G)도 역시, 만들기 어려운데, 몇가지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림에서는 에너지가 높은 Blue 레이지 빛을 이용해서 녹색 발광물질에 조사하여 Green 빛을 얻어내는 방식으로 RGB를 얻는 거죠.
모두 레이지로 할 수는 있지만, 모두 레이져로 하면 비용이 높아질 수 있으니, Blue만 한다고 할 수 있겠죠. LED로 할 수 있다면, 즉 50원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는 500원 혹은 5000원 소자로 할 이유가 없는 것과 같죠.
공학은 과학과 비즈니스가 함께 하는 겁니다. 저런 디스플레이가 판매되려면, 단가를 낮추어야 하겠죠.
레이저는 우리 눈과같은 조직에는 위험하죠. 레이저 디스플레이라든가, 프로젝트의 경우, 이런 혹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제거해야 하겠죠. LED와 LD의 빛은 전혀 다른 수준입니다. 따라서 품질(화질)은 물론, 안정성, 현재 기술 수준, 공정, 단가등등을 모두 고려되는 거죠.
또 하나는‘가상공간 터치기술로서 가상공간 터치기술은 손가락이 리모컨이 된다. 내비게이션이나 오디오를 따로 눌러 조작할 필요가 없다. 예를들어 영화를 감상하다가, 손가락을 허공에 ‘톡’하고 눌러 다른 영화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 하나는
입체 영상 [ stereo-scopic image ]
3차원 공간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영상. 실제로 3차원 영상을 재현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지만, 널리 연구되는 방법은 좌우의 눈에 각기 좌우 방향에서 본 것과 동일한 영상을 제시하여 두 눈에 시차를 주고 이것을 합성하여 하나의 입체 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다. 좌우 양방향의 영상을 분리하여 좌우 각각의 눈에 보이게 하는 방법 으로 편광 안경, 색 필터 안경 또는 스크린 등이 이용된다.
두 대의 영사기가 필요 한 반면에 영상이 한 개의 렌즈를 통해 1초에 144번 편광 방향이 번갈아 바뀌어 영사되는 Real D 방식은 한 대의 영사기로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편광 안경이 아닌 액정 셔터 안경으로도 3D 영화를 즐길 수 있다. 액정에 일정 전압이 걸리면 불투명해지는 성질을 이용한다. 시점의 차이가 있는 영상을 컴퓨터가 교대로 보여주고 이와 동조해 좌우 안경이 꺼졌다 켜졌다 하여 두 눈이 다른 영상을 보게 하여 입체로 지각할 수 있다.
컴퓨터 생성 홀로그래피 ( CGH )는 홀로그램 간섭 패턴 을 디지털 방식으로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 홀로그램 이미지는 예를 들어 홀로그램 간섭 ??패턴을 디지털 방식으로 계산하고이를 적합한 코 히어 런트 광원에 의한 후속 조명을 위해 마스크 또는 필름에 인쇄함으로써 생성 될 수있다.
대안 적으로, 홀로그램 이미지는 홀로그램 간섭 ??패턴의 "하드 카피"를 매번 제조 할 필요 없이 홀로그램 3D 디스플레이 (코 히어 런트 광의 간섭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생생하게 될 수있다 . 결과적으로, 최근에 "컴퓨터 생성 홀로그래피"라는 용어는 관찰에 적합한 홀로 그래픽 광 파면을 합성 적으로 제조하는 전체 프로세스 체인을 나타내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있다. [1] [2]
컴퓨터로 생성 된 홀로그램은 보여주고 싶은 물체가 물리적 인 현실을 전혀 가질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완전 합성 홀로그램 생성). 한편, 기존의 물체의 홀로 그래픽 데이터가 광학적으로 생성되지만 디지털로 기록되고 처리되어 이후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이를 CGH라고도한다. 궁극적으로 컴퓨터 생성 홀로그래피는 현재 컴퓨터 생성 이미지의 모든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습니다. CAD 에서 게임, 홀로그램 비디오 및 TV 프로그램, 자동차 및 통신 응용 프로그램 (휴대폰 디스플레이) 및 기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위한 홀로그램 컴퓨터 디스플레이 .
포인트 소스 홀로그램
두 번째 계산 전략은 객체가 자체 발광 지점으로 분류되는 포인트 소스 개념을 기반으로합니다. 모든 포인트 소스에 대해 기본 홀로그램이 계산되고 모든 기본 홀로그램을 겹쳐서 최종 홀로그램이 합성됩니다. 이 개념은 Waters [12]에 의해 처음보고되었으며 Fresnel 존 플레이트가 Gabor가 제안한 홀로그램의 특수한 사례로 간주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 Rogers [13 ] 의 주요 가정이 시작되었습니다 . 그러나 대부분의 객체 포인트가 0이 아닌 한 포인트 소스 개념의 계산 복잡도는 푸리에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변환 개념. 일부 연구자들은 특수 데이터 저장 기술을 사용하여 가능한 모든 기본 홀로그램을 사전 정의하고 저장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려고 시도했다 [14] .이 경우에는 필요한 다른 대용량, 특수 하드웨어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홀로그램 이 필요하다. [15]
포인트 소스 개념에서 피해야 할 주요 문제는 데이터 저장 용량과 계산 속도 간의 상충 관계입니다. 특히, 연산 속도를 높이기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데이터 저장 용량을 필요로 [14] 높은 계산 복잡성에 데이터 저장 요구 리드를 낮추는 한편 알고리즘 중에도 [16] [17] [18] 몇몇 최적화하지만 달성 될 수있었습니다. [19] 포인트 소스 CGH로 이어지는 또 다른 개념은 Ray tracing 방법입니다. 광선 추적은 컴퓨터 생성 홀로그래피를 시각화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일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가상 "기준 빔"과 가상 "객체 빔"이 이동해야하는 거리 사이의 경로 길이 차이가 계산된다; 이것은 산란 된 물체 빔의 상대적인 위상을 제공합니다.
지난 30 년 동안 두 개념 모두 계산 속도와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계산 및 저장 용량과 같은 일부 기술적 제약은 여전히 ??디지털 홀로그래피에 부담이되어 현재 표준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잠재적 인 실시간 응용 프로그램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간섭 패턴 인코딩
물체의 산란 된 파면이 어떻게 보이는지 또는 어떻게 계산 될 수 있는지 알면, LCD ( Spatial Light Modulator) 에 고정하여 LCD 디스플레이 나 유사한 장치뿐만 아니라 필름 및 마스크.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SLM 유형에는 순수 위상 변조기 (조명 파 지연), 순수한 진폭 변조기 (조명 광 차단), 편광 변조기 (광의 편광 상태에 영향을 미침) 및 [20] SLM 기능이 있습니다. 결합 된 위상 / 진폭 변조. [21]
순수한 위상 또는 진폭 변조의 경우 품질 손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 초기 진폭 홀로그램의 초기 형태는 단순히 흑백으로 인쇄되었으므로 진폭은 1 비트 깊이로만 인코딩되어야했습니다. [3] 유사하게, 키노 폼 은 CGH 초기 에 IBM 에서 발명 된 순수한 단계 인코딩 입니다. [22]
완전히 복잡한 위상 / 진폭 변조가 이상적 일지라도 기술적으로 구현하기가 훨씬 쉬우므로 순수한 위상 또는 순수한 진폭 솔루션이 일반적으로 선호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광 분배를 위해서는 진폭과 위상의 동시 변조가 합리적입니다. 지금까지 진폭 위상 변조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 방식이 구현되었습니다. 하나의 위상 한정 또는 진폭 만, 연속 변조 및 공간 필터링에 기초한다 [23] , 다른 하나는 로컬 변수 배향 복굴절의 크기를 갖는 편광 홀로그램에 기초한다. [24]
재건
세 번째 (기술적 인) 문제는 빔 변조와 실제 파면 재구성입니다. 대부분의 프린터는 점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마스크가 인쇄 될 수 있습니다 (매우 작은 점임). 필름은 레이저 노출에 의해 현상 될 수 있습니다 . 성공적인 프로토 타입이 만들어 졌음에도 불구 하고 홀로 그래픽 디스플레이는 현재 도전이되고 있습니다 (2008 년 기준 ).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에 이상적인 디스플레이는 위상과 밝기를 조절할 수있는 빛의 파장보다 작은 픽셀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위상 배열 광학 이라고 합니다. [25] 에서 또한 진행 나노 기술 을 구축하는 데 필요합니다.
렌더링[ rendering]
요약 : 2차원의 화상에 광원·위치·색상 등 외부의 정보를 고려하여 사실감을 불어넣어, 3차원 화상을 만드는 과정을 뜻하는 컴퓨터그래픽스 용어이다. 와이어프레임(wire),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렌더링 방법 등이 있다.
평면인 그림에 형태·위치·조명 등 외부의 정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그림자·색상·농도 등을 고려하면서 실감나는 3차원 화상을 만들어내는 과정 또는 그러한 기법을 일컫는다. 즉, 평면적으로 보이는 물체에 그림자나 농도의 변화 등을 주어 입체감이 들게 함으로써 사실감을 추가하는 컴퓨터그래픽상의 과정이 곧 렌더링이다.
2차원이나 3차원 그래픽스 영상을 작성할 때 최종 단계에 해당한다. 보통 2차원 그래픽스에서는 완료된 화상을 생성하는 최종 화상 처리 공정을, 3차원 그래픽스에서는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描畵)할 수 있도록 영상화하는 것을 가리킨다.
가장 간단한 렌더링 방법으로는 물체의 모서리만을 그려주는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렌더링을 들 수 있다. 또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본적 렌더링 방법으로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렌더링이 있다. 광선의 굴절·반사 등을 계산해서 광선이 시작되었던 조명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역추적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서 각 픽셀의 색상을 결정하는 렌더링 방법이다.
그밖에 광선이 난반사될 때 주변의 다른 물체들과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렌더링하는 라디오서티(radiosity) 렌더링 방법 등이 있다.
3차원 그래픽스에서는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描畵)할 수 있도록 영상화하는 것을 가리킨다.
가장 간단한 렌더링 방법으로는 물체의 모서리만을 그려주는 와이어프레임(wireframe) 렌더링을 들 수 있다.
또 가장 많이 이용되는 기본적 렌더링 방법으로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렌더링이 있다. 광선의 굴절·반사 등을 계산해서 광선이 시작되었던 조명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역추적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서 각 픽셀의 색상을 결정하는 렌더링 방법이다.
이상에서 제가 가장 궁금한 것이
1).
3차원 그래픽스에서는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描畵)할 수 있도록 영상화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말이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가 무슨 말인가요?
그리고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렌더링이 있다. 광선의 굴절·반사 등을 계산해서 광선이 시작되었던 조명에 이를 때까지의 경로를 역추적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서 각 픽셀의 색상을 결정하는 렌더링 방법이다.
2).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렌더링을 컴퓨터로 어떻게 하는 것인지 말씀해 주시면 좋겠읍니다.
1) 3차원 그래픽스에서는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描畵)할 수 있도록 영상화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 말이 무슨 뜻인가요? 그리고 컴퓨터 안에 기록되어 있는 모델 데이터가 무슨 말인가요?
우선 3차원 그래픽스는 '3DS' 즉 3D 데이터를 말합니다 대부분 3D모델링 프로그램들의 풀네임을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뒤에 꼭 그래픽스라는 단어가 들어가죠 그러니까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1차원 2차원 3차원의 그래픽스가 존재하는데 그중 2차원 그래픽스란 대부분 알고 계시는 일러스트레이터,포토샵등 부분이 2차원 그래픽스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럼 이제 3차원 그래픽스는 무엇이냐 즉 컴퓨터로 설계한 입체적인 가상 그래픽을 말하는거죠 이 그래픽에서 저는 모델링을 하면 자동차,선박,기계,제품등 많은 모델링들을 진행합니다 이걸 우리는 모델 데이터라고 말하죠 그런데 사장님께서 궁금하신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 할 수 있도록 영상화 한다는것이 무슨말씀이냐면 간단하게 말하면 우리는 컴퓨터에서 좌표값 즉 10진수를 이용한 좌표값에 의해 포인트를찍어 모델링을 형성하는겁니다 점이모여 선 선이모여 면 면이모여 솔리드(Solid)라는게 있죠 그런식으로 포인트를찍어 모델링이 진행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시킨다는것은 우리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모니터를 의미합니다 그 모니터에 묘화시킨다는것은 3d데이터를 눈에 보이게 그래픽 실사화를 진행하는거죠
2). 레이트레이싱(raytracing) 렌더링을 컴퓨터로 어떻게 하는 것인지 말씀해 주시면 좋겠읍니다.
레이트레이싱이란 찾아보셔서 아시겠지만 3차원 컴퓨터 그래픽에서 사용되는 기법의 하나 그러니까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앞서 제가 말씀드렸던 묘화기법 중에 하나입니다 빛의 굴절률 또는 빛을 역추적해서 우리가 시각적으로 빛의 표현 정도를 레이트레이싱 렌더링이라고 합니다 이것을 컴퓨터로 하는것은 3차원 그래픽스에서는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묘화시켰다면 레이트레이싱이라는것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여러가지 렌더링 프로그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묘화시키는것이지요 이해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자는 녹색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레이저로 재생하여 허공에 녹색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성공하였고
이를 기초로 생각해 보면
R G B 로 돌출된 사각형 이미지를 같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만약에
Green 레이저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을 만들 때에
Green 레이저 앞에 별모양의 像을 필름으로 앞에 두면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맺힐 때
사각형의 상에서 별모양의 像 부분은 레이저 빛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부분은 빠지고 나머지 부분에서 간섭무늬에 의해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면 만약에 레이저광이 비추게 되고
그 전면에 홀로그램을 비추게 될 때에
그 사이에 흑백 필름을 두게 되면 어떻게 될까?
회색 부분에서는 희미해 지기는 하는데 이것이 진폭만 바뀌는 것이냐
아니면 진동수도 바뀌는 것이냐를 생각해 보면
진폭 즉 주파수는 동일하고 진폭 즉 빛의 세기만 바뀌는 것이면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간섭무늬를 형성했던 R G B 각 각의 레이저와 동일 주파수의 레이저로 형성된
레이저 프로젝터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비추면
그래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되면
형성되는 사각형 像은 레이저 프로젝터로 비춰지는 동영상이 사각형 상에 결상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레이저 프로젝터로 본 고안을 이용하여 비추면 허공에 일정 위치에 동영상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면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되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레이저 프로젝터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비추면 허공에 일정 위치에 동영상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되며
이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디지털 홀로그램에 기록하면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되어 디스플레이되게 되며 사각형의 화면의 홀로그램은 각도에 따라서 각도가 조금만 어긋나도 않보일 수가 있는데 디지털 DMD등의 공간광변조기로 여러 각도의 홀로그램을 빠르게 변환시키면 일반 TV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레이저로 재생하여 허공에 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R G B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R G B 레이저로 재생하여 허공에 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린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그린레이저 프로젝터로 허공에 일정 위치에 별모양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R G B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R G B 컬러 레이저 프로젝터로 허공에 일정 위치에 동영상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은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레이저로 재생하여 허공에 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출원인은 한국의 한교홀로그램주식회사라는 회사에 2018년 4월에 의뢰하여 도 1과 같이 허공에 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성공하였다.
도 2는 R G B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R G B 레이저로 재생하여 허공에 사각형판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기초로 생각해 보면
R G B 로 돌출된 사각형 이미지를 같은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린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그린레이저 프로젝터로 허공에 일정 위치에 별모양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가 되는 경우에 만약에
Green 레이저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을 만들 때에
Green 레이저 앞에 별모양의 像을 필름으로 앞에 두면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맺힐 때
사각형의 상에서 별모양의 像 부분은 레이저 빛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부분은 빠지고 나머지 부분에서 간섭무늬에 의해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형성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R G B 레이저로 홀로그램에 사각형의 간섭무늬를 기록하여 같은 주파수의 R G B 컬러 레이저 프로젝터로 허공에 일정 위치에 동영상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간섭무늬를 형성했던 R G B 각 각의 레이저와 동일 주파수의 레이저로 형성된
레이저 프로젝터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비추면
그래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되면
형성되는 사각형 像은 레이저 프로젝터로 비춰지는 동영상이 사각형 상에 결상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레이저 프로젝터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비추면 허공에 일정 위치에 동영상이 사각형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면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되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레이저 프로젝터로 Blue 레이지 빛과 같은 파장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형성 하고 Blue 레이지 빛을 이용해서 녹색 발광물질에 조사하여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해서 Green 빛을 얻어내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그린레이저의 파장과 동일한 파장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형성 하고 Red도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하여 Red 레이저로 허공에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형성하 고 이와 같은 레이저 프로젝터 또는 LED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빛으로 RGB 동영상 등을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가 형성된 홀로그램에 조사 하게 하여 허공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상에 레이저 프로젝터 또는 LED 프로젝터로 RGB 동영상등을 조사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되어 디스플레이되게 되는 것이며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 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과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이자 기록하는 레이저로서 조사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한개의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방식 으로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과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한개의 홀로그램에 기록하되
홀로그램 필름에 감광유제를 바르고 간섭무늬를 기록하고 감광유제를 씻은 후에 다시 감광유제를 바르고 간섭무늬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형 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은 각도에 따라서 각도가 맞지 않으면 허공에 맺혀 지는 상이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각도를 맞추기 위해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허공에 형성되게 되는 경우에
프로젝터의 일측에 형성된 센서가 사각형의 像을 보는 사람의 얼굴이나 눈의 위치를 인식하여 제어부로 입력이 되면 제어부에서 사람의 얼굴이나 눈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각형의 像이 사람의 눈에 보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상하좌우로 회전하도록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프로젝터가 상하좌우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레이저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을 만들 때에
재생레이저 앞에 별모양등의 像이 있는 필름을 앞에 두는 1단계와
사각형의 상(像)이 간섭무늬로 기록된 홀로그램을 필름 뒤에 두는 2단계와
재생레이저를 비추는 3단계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맺힐 때
사각형의 상에서 모양등의 像 부분은 레이저 빛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부분은 빠지고 나머지 부분에서 간섭무늬에 의해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형성되게 히는 허공에 상(像)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고
R G B 각 각의 레이저로 형성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전면에 배치하는 1단계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허공의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간섭무늬를 형성했던 R G B 각 각의 레이저와 동일 주파수의 레이저로 형성된
레이저 프로젝터로
R G B 각 각의 레이저로 형성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비추는 2단계
그래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허공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되면
형성되는 사각형 像은 레이저 프로젝터로 비춰지는 동영상등이 허공의 사각형 상에 결상되게 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가상공간 터치기술에 의하여 손가락이 리모컨이 되도록 하여 예를들어 영화를 감상하다가, 손가락을 허공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톡’하고 눌러 다른 영화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사각형 像이 허공에 사각형 像이 크기와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기록 재생되게 하는 것은
프로젝터의 빛이 사각형의 간섭무늬가 형성된 홀로그램에 반사되어서 렌즈를 통하여 빛의 확산을 통하여 허공에 결상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의 동영상등이 각종 렌즈를 통하여 확대, 축소와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기에 2D의 사각형의 홀로그램의 위상을 만들고 또한 동영상등의 색상과 진폭이 공간광변조기에 디스플레이 되어 RGB의 LED나 레이저 프로젝터가 공간광변조기에 조사되고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재생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RGB의 홀로그램을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RGB로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3층 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RGB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이며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RGB의 홀로그램을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RGB로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3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이자 기록하는 레이저로서 조사하여
RGB로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한개의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RGB가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RGB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이며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이며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2D 컨텐츠가 LED나 레이저에 의해서 공간광변조기에 조사되는 경우에 공간광변조기에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이 일정거리 앞의 전면에 재생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아날로그 홀로그램 일체로 또는 이격되어 또는 이격되어 일정각도 를 갖도록 형성되게 하여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재생되는 것이며
공간광변조기 앞에 아날로그 홀로그램이 위치할 때에 슬라이드식으로 아날로그 홀로그램의 위상 즉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의 상이 재생상으로서 프로젝터의 앞에 맺혀지는 프로젝터와의 거리가 아날로그 홀로그램 각 각이 다르게 기록되게 되는 것을 더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는 것을 빠르게 각도를 변화시켜서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상하좌우의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와 2D 컨텐츠가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액정 또는 DMD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액정 또는 DMD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3D로 재생하게 되는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와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장치와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와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와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액정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액정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액정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등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 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어서 TV나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시간차로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가 구비된 TV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등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 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가 구비된 TV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어서 TV나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시간차로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가 구비된 TV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와
다이크로익 미러와 RGB 3개의 LCD를 사용하는 프로젝터에서 프리즘에서 사각형 프리즘의 좌.우.뒤의 RGB의 LCD에서 사각형 프리즘의 앞으로 3가지 컬러의 상이 나갈 수 있게 되는 프로젝터에서 LCD 앞에 레이저로 기록된 RGB 각 각의 홀로그램이 LCD 앞에 부착이 되되 홀로그램에는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사각형의 상이 생기게 하는 간섭무늬가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의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부착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의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부착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홀로그램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에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디지털홀로그램을 DMD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를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와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로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를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이다.
1 : 홀로그램
2 : 한교홀로그램주식회사에서 제작해 주었던 허공에 결상되는 사각형판 실상이미지
3 : 레이저
5 : 별모양의 필름
10 : RGB 컬러 레이저프로젝터

Claims (41)

  1. 레이저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을 만들 때에
    재생레이저 앞에 별모양등의 像을 필름으로 앞에 두고 사각형의 상(像)이 간섭무늬로 기록된 홀로그램을 필름 뒤에 두고서 레이저를 비추면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像이 맺힐 때
    사각형의 상에서 모양등의 像 부분은 레이저 빛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부분은 빠지고 나머지 부분에서 간섭무늬에 의해서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像이 형성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2. 레이저 프로젝터로 Blue 레이지 빛과 같은 파장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형성 하고 Blue 레이지 빛을 이용해서 녹색 발광물질에 조사하여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해서 Green 빛을 얻어내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그린레이저의 파장과 동일한 파장으로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형성 하고 Red도 다이크로익 미러를 통하여 Red 레이저로 허공에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형성하 고 이와 같은 레이저 프로젝터 또는 LED 프로젝터에서 나오는 빛으로 RGB 동영상 등을 돌출되는 사각형 상의 간섭무늬가 형성된 홀로그램에 조사 하게 하여 허공에 형성되는 사각형의 상에 레이저 프로젝터 또는 LED 프로젝터로 RGB 동영상등을 조사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3. 제 1항 내지 제 2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되어 디스플레이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4. 제 3항에 있어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 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5. 제 3항에 있어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이자 기록하는 레이저로서 조사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한개의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방식 으로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6. 제 3항에 있어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한개의 홀로그램에 기록하되

    홀로그램 필름에 감광유제를 바르고 간섭무늬를 기록하고 감광유제를 씻은 후에 다시 감광유제를 바르고 간섭무늬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형 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7.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허공에 형성되게 되는 경우에
    프로젝터의 일측에 형성된 센서가 사각형의 像을 보는 사람의 얼굴이나 눈의 위치를 인식하여 제어부로 입력이 되면 제어부에서 사람의 얼굴이나 눈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각형의 像이 사람의 눈에 보일 수 있도록 프로젝터가 상하좌우로 회전하도록 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신호에 의하여 구동수단에 의하여 프로젝터가 상하좌우로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8. 레이저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을 만들 때에
    재생레이저 앞에 별모양등의 像이 있는 필름을 앞에 두는 1단계와
    사각형의 상(像)이 간섭무늬로 기록된 홀로그램을 필름 뒤에 두는 2단계와
    재생레이저를 비추는 3단계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맺힐 때
    사각형의 상에서 모양등의 像 부분은 레이저 빛이 나가지 않으니까
    그 부분은 빠지고 나머지 부분에서 간섭무늬에 의해서
    전면에 사각형의 像이 형성되게 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상(像)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9. R G B 각 각의 레이저로 형성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전면에 배치하는 1단계
    홀로그램으로 간섭무늬로 전면에 허공의 일정 위치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간섭무늬를 형성했던 R G B 각 각의 레이저와 동일 주파수의 레이저로 형성된
    레이저 프로젝터로
    R G B 각 각의 레이저로 형성된 사각형 像이 간섭무늬로 형성된 홀로그램을 비추는 2단계
    그래서
    간섭무늬로 전면에 일정 위치에 허공에 사각형 像을 형성하게 되면
    형성되는 사각형 像은 레이저 프로젝터로 비춰지는 동영상등이 허공의 사각형 상에 결상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상공간 터치기술에 의하여 손가락이 리모컨이 되도록 하여 예를들어 영화를 감상하다가, 손가락을 허공에 디스플레이된 화면에‘톡’하고 눌러 다른 영화를 선택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1.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에 있어서
    사각형 像이 허공에 사각형 像이 크기와 거리가 조정될 수 있도록 기록 재생되게 하는 것은
    프로젝터의 빛이 사각형의 간섭무늬가 형성된 홀로그램에 반사되어서 렌즈를 통하여 빛의 확산을 통하여 허공에 결상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의 동영상등이 각종 렌즈를 통하여 확대, 축소와 거리 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2.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공간 광변조기에 2D의 사각형의 홀로그램의 위상을 만들고 또한 동영상등의 색상과 진폭이 공간광변조기에 디스플레이 되어 RGB의 LED나 레이저 프로젝터가 공간광변조기에 조사되고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3.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아날로그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RGB의 홀로그램을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RGB로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3층 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RGB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4.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아날로그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RGB의 홀로그램을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RGB로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3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이자 기록하는 레이저로서 조사하여
    RGB로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한개의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RGB가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RGB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5.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6.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2D 컨텐츠가 LED나 레이저에 의해서 공간광변조기에 조사되는 경우에 공간광변조기에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이 일정거리 앞의 전면에 재생상으로 형성되게 하는 아날로그 홀로그램 일체로 또는 이격되어 또는 이격되어 일정각도 를 갖도록 형성되게 하여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17. 공간광변조기 앞에 아날로그 홀로그램이 위치할 때에 슬라이드식으로 아날로그 홀로그램의 위상 즉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의 상이 재생상으로서 프로젝터의 앞에 맺혀지는 프로젝터와의 거리가 아날로그 홀로그램 각 각이 다르게 기록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2D 동영상이나 시각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방법.
  18.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
  19.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는 것을 빠르게 각도를 변화시켜서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상하좌우의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
  20.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는 것을 빠르게 각도를 변화시켜서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상하좌우의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가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21.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액정 또는 DMD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액정 또는 DMD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3D로 재생하게 되는 장치.
  22.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23.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장치.
  24.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 레이저나 LED를 조사하여 조사된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25.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26.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27.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28. 3D 홀로그래피 카메라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저장되어 입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3D 컨텐츠를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3D 컨텐츠가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액정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액정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 있어서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위상을 변화시켜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어서 프로젝터에서 액정 공간광변조기에서 비추는 빛이 렌즈를 통하여 프로젝터의 전면에 3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변화시킨 위상으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D 컨텐츠를 허공에 위상 변화가 가능하게 되는 3D로 동영상이나 정지 영상을 재생하게 되는 위상변환 장치.
  29.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
  30.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등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 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
  31.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어서 TV나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시간차로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
  32.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보이는 각도도 여러 각도에서 보이도록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과 여러 각도를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공간광변조기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가 구비된 TV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33.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TV나 스마트폰등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등의 디스플레이로 보내어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 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가 구비된 TV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34. 컴퓨터등을 통하여 출력되는 2D 컨텐츠를 별도의 위상변화부에서 또는 프로젝터에 내장되는 위상변화부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디지털 정보통신 기법을 써서 영상 정보의 생성, 기록, 재생을 해내는 디지털 홀로그래피(digital holography)에 의해서 2D 컨텐츠가 사각형이나 곡면으로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2D 컨텐츠가 위상을 갖게 되어 전면의 일정 거리의 허공에 재생되는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어서 TV나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2D 컨텐츠가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재생되는 것에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홀로그램에 기록하는 경우에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홀로그램에 비출때에 재생레이저의 입사각에 대해서 다수의 반사각으로 반사되도록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를 다수의 홀로그램에 시간차로 기록하여
    반사각이 각 각 다르게 기록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의 홀로그램을 여러층으로 겹치게 형성하여
    재생레이저나 재생용 레이저 프로젝터를 조사하면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간섭무늬가 기록된 홀로그램에 반사하되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서 다양한 각도에서 볼 때에 각 각의 각도에 따라서 평면사각형이나 사각형이 곡면이 된 돌출된 상(像)이 보이게 되는 것을 홀로그램으로 만들어서 TV나 스마트폰으로 보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D 컨텐츠를 허공에 사각형이나 곡면 사각형으로 변환하는 위상변환 장치가 구비된 TV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35. 다이크로익 미러와 RGB 3개의 LCD를 사용하는 프로젝터에서 프리즘에서 사각형 프리즘의 좌.우.뒤의 RGB의 LCD에서 사각형 프리즘의 앞으로 3가지 컬러의 상이 나갈 수 있게 되는 프로젝터에서 LCD 앞에 레이저로 기록된 RGB 각 각의 홀로그램이 LCD 앞에 부착이 되되 홀로그램에는 허공에 일정 거리 앞에 사각형의 상이 생기게 하는 간섭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36.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의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부착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37.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의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부착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38.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홀로그램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39.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홀로그램을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40.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에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기울어진 디지털홀로그램을 DMD에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그래서 RGB 3개의 색중의 1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를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중의 1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41.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에 있어서 DMD 를 통하여 프리즘에서 나오는 빛의 45도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로 형성하고 RGB 3개의 색이 컬러 휠과 TIR 프리즘의 측면을 통하여 입사되어 DMD로 조사되어서 반사되면 45도 각도로 잘려진 프리즘의 부분에 RGB 3개의 색으로 된 그래서 백색의 사각형의 상이 돌출되게 되는 디지털홀로그램을 DMD를 통하여 DMD 에서 반사된 RGB 3개의 색으로 된 영상이 프로젝터의 전면에 허공에 사각형의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KR1020190172593A 2018-12-22 2019-12-23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KR20200078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6033 2018-12-22
KR2020180006033 2018-12-22
KR20180006036 2018-12-23
KR2020180006036 2018-12-23
KR20180006072 2018-12-25
KR2020180006072 2018-12-25
KR20190000059 2019-01-06
KR2020190000059 2019-01-06
KR20190000173 2019-01-13
KR2020190000173 2019-01-13
KR20190001745 2019-04-27
KR2020190001745 2019-04-27
KR20190001844 2019-05-05
KR2020190001844 2019-05-05
KR20190001976 2019-05-15
KR2020190001976 2019-05-15
KR2020190002467 2019-06-16
KR20190002467 2019-06-16
KR20190003144 2019-07-28
KR2020190003144 2019-07-28
KR2020190003227 2019-08-03
KR20190003227 2019-08-03
KR2020190003395 2019-08-18
KR20190003395 2019-08-18
KR20190003409 2019-08-19
KR2020190003409 2019-08-19
KR20190003463 2019-08-21
KR2020190003463 2019-08-21
KR2020190003595 2019-08-30
KR20190003595 2019-08-30
KR2020190003620 2019-08-31
KR20190003620 2019-08-31
KR20190003715 2019-09-07
KR20190003781 2019-09-13
KR2020190003781 2019-09-13
KR2020190003715 2019-10-10
KR20190004760 2019-11-25
KR2020190004760 2019-11-25
KR2020190004859 2019-11-29
KR20190004859 2019-11-29
KR20190004862 2019-11-30
KR2020190004862 2019-11-30
KR20190004864 2019-12-01
KR2020190004864 2019-12-01
KR2020190004883 2019-12-03
KR20190004883 2019-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09A true KR20200078409A (ko) 2020-07-01

Family

ID=71102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593A KR20200078409A (ko) 2018-12-22 2019-12-23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78409A (ko)
WO (1) WO20201307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6365A (zh) * 2021-05-31 2021-10-0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彩色图像光学加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962A (ja) * 1999-12-24 2001-07-06 Art Nau:Kk ホログラム作成方法
KR100894544B1 (ko) * 2006-11-30 2009-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페이스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0910393B1 (ko) * 2007-08-31 2009-08-04 (주)쓰리디아이에스 넓은 시야각을 갖는 실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9874A (ko) * 2015-12-13 2017-06-21 이정용 홀로그램을 이용한 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6365A (zh) * 2021-05-31 2021-10-08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彩色图像光学加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0742A3 (ko) 2020-08-13
WO2020130742A2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19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holographic display suitable for video image display
KR101894017B1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조 장치 및 홀로그램 재생 장치
CN109085700A (zh) 无零级光干扰的同轴全息近眼ar显示系统及其应用和全息图优化方法
KR20160066942A (ko)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10053563A (ko) 홀로그래피 스크린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 및방법
JP3338479B2 (ja) ホログラムの作成および立体表示方法並びに立体表示装置
JP3270332B2 (ja) 三次元像投写装置
KR100466622B1 (ko) 광굴절 기록매질 제작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78409A (ko)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KR100852009B1 (ko)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인쇄 장치 및 방법
JP2003015079A (ja) 立体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Bove Jr Holographic television
JP5811570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KR20210001874U (ko) 허공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젝터
KR102110866B1 (ko)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재생 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한 입체 영상 재생 방법
KR100311910B1 (ko) 체적홀로그래픽메모리를이용한스테레오동영상기록/재생장치
Xinan et al. 3D holographic display with optically addressed spatial light modulator
KR20190110397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
US200900218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 displaying holographic images
US20100290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a Radially Multiplexed Hologram
KR20170070769A (ko) 홀로그램 스크린이 구비된 영사기에 의한 자동차등의 계기판과 내비게이션
JP2021060469A (ja) 立体像投影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6168116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方法
JPH1078742A (ja) 視差画像列の生成方法
Kumar et al. MINI REVIEW ON HOLOGRAPHY METHODS AN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