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8338A -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 Google Patents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8338A
KR20200078338A KR1020190161486A KR20190161486A KR20200078338A KR 20200078338 A KR20200078338 A KR 20200078338A KR 1020190161486 A KR1020190161486 A KR 1020190161486A KR 20190161486 A KR20190161486 A KR 20190161486A KR 20200078338 A KR20200078338 A KR 20200078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compression
compression stockings
stocking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7992B1 (ko
Inventor
홍지만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9/0179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30616A1/ko
Priority to US17/416,013 priority patent/US20210315741A1/en
Publication of KR20200078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4Panti-hose; Body-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093Wound bandages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182Wound bandages with transparent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72Wound bandages protection of the body or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53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 A61F2013/00565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detachable parts with hook and loop-type fastener 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57Plasters form or structure with openable cov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는 압박 스타킹으로서,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신체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의 부위에 따라 다른 압박 정도를 갖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편측마비 환자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여 급성 편측 사지문제를 교정하고 치료할 수 있고,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부위마다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며 혈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되는 관찰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Compression stockings for hemiplegia patient}
본 발명은 압박 스타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측마비 환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편측 사지문제를 효과적으로 교정하고 치료하기 위한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에 관한 것이다.
통상 인간의 뇌는 각 부위마다 담당하는 기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런 이유로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뇌종양 등에 의해 뇌의 특정 부위가 손상되는 경우, 편측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편측마비(hemiplegia)는 편측(한쪽)의 상하지 또는 얼굴부분에 운동장애가 발생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편측마비의 환자들은 주로 뇌손상(뇌졸중, 뇌외상, 선천성 뇌병증 등 다양한 편측 뇌손상)으로 손상된 뇌의 반대편 팔-다리의 운동-감각성 부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편측 사지문제(팔-다리의 편측마비 및 부종, 하지정맥혈전, 편측 감각에 대한 무반응성)를 겪게 된다.
다양한 뇌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편측마비에서는 움직이지 못하는 편측마비 사지를 빨리 움직여주는 것이 마비의 빠르고 효과적인 회복에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편측마비 사지는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2차적인 부상에 취약하여 반복적인 물리적 자극이나 사지에 미치는 중력 등으로 인한 피부손상이나 압박성 궤양 등이 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하지지역은 정맥이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고 저류가 일어나기 쉬워져서 하지정맥혈전등이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압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4-0029172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편측마비 환자의 치료를 위해 필요로 하는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여 급성 편측 사지문제를 교정하고 치료할 수 있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부위마다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며 혈전을 방지할 수 있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되는 관찰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타킹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어깨 부위를 감싸는 외전 방지부가 추가로 연결되어 환자의 어깨의 외전을 방지할 수 있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는 압박 스타킹으로서,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신체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부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의 부위에 따라 다른 압박 정도를 갖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제공한다.
상기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은 상기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환자의 관절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관절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찰부에는, 대응하는 환자의 신체 부위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찰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찰홀은 상지의 손가락 단부 또는 하지의 발가락 단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관찰부는 대응하는 환자의 신체 부위가 노출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투명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관찰부는 상지의 손가락 단부 또는 하지의 발가락 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되,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압박 정도는 상기 환자의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종아리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는 상기 환자의 발목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의 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는 상기 환자의 발목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의 50%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며 상기 본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흘러내림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흘러내림 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하지 발바닥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자의 상지 관절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 돌아감을 방지하는 외전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여 급성 편측 사지문제를 교정하고 치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부위마다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며 혈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되는 관찰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타킹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측마비 환자의 어깨 부위를 감싸는 외전 방지부가 추가로 연결되어 환자의 어깨의 외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나타낸 것으로서, 하지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지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끄럼 방지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하지(다리)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상지(팔)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박 스타킹(100A, 100B)은 본체(110A, 110B)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A, 110B)는 편측마비 환자의 다리 또는 팔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체(110A)는 소정의 탄성을 가진 직물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110A, 110B)는, 착용되어 있는 다리 또는 팔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때, 본체(110A, 110B)는 다리 또는 팔의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압박 정도로 압박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환자의 다리에 착용하는 압박 스타킹(100A)의 본체(110A)가 다리를 압박하는 정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10A)는 환자의 신체에서 멀어지는 부위에 대하여 보다 큰 압박 정도로 압박을 할 수 있다. 즉, 환자의 발목 부위에 대한 압박 정도를 100%로 설정하였을 때, 환자의 종아리 부위에 대하여는 70%의 압박 정도로 압박을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허벅지에 대하여는 50%의 압박 정도로 압박을 할 수 있다.
한편, 편측마비 환자의 팔에 착용하는 압박 스타킹(100B)에서 본체(110B)의 압박 정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환자의 팔에 대하여는 팔목에 대하여는 100%의 압박 정도를 갖는다면, 팔목과 팔꿈치 사이에는 70%, 팔꿈치와 어깨 사이로는 50%의 압박 정도로 압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A, 110B)는 직물의 직조 시 직조 간격을 조절하거나, 부위에 따라 다른 탄성을 갖는 원사로 직조하여 부위마다 다른 압박 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10A, 110B) 상에는 환자의 팔 또는 다리의 단부에 발생될 수 있는 혈관 병변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부(112A,112B)를 구비한다. 이러한 관찰부(112A,112B)는 혈관 병변 발생 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혈관 병변 발생 부위가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찰부(112A,112B)에는 본체(110A, 110B) 상에서 환자의 신체 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관찰홀일 수 있다. 이러한 관찰홀(112A,112B)은 본체(110A, 110B) 상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찰홀(112A,11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다리 또는 팔의 임의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관찰홀(112A,112B)은 환자의 발가락 또는 손가락이 노출될 수 있도록 발가락 또는 손가락에 대응하는 본체(110A, 110B)의 부위에 형성되어, 이를 통해 환자의 발가락 또는 손가락에 발생될 수 있는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관찰홀(112A,112B)을 통해 4개의 발가락 또는 손가락이 동시에 노출되지만, 발가락 또는 손가락 각각에 대응하도록 형성시켜 발가락 또는 손가락이 개별적으로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관찰홀(112A,112B) 상에는 소정의 비닐 또는 아크릴과 같은 재질의 투명 스크린을 부착하여, 관찰홀(112A,112B)을 통한 관찰을 수행하는 동시에 이물질이 침입하여 환자의 피부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발가락 또는 손가락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관찰홀(112A,112B)에는 발가락 단부를 덮을 수 있는 형태의 커버(120A,120B)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커버(120A,120B)는 본체(110A, 110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커버(120A,120B)의 착탈은 벨크로와 같은 착탈 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환자의 다리 또는 팔에 혈관 병변의 관찰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120A,120B)를 본체(110A, 110B)에서 이탈시켜 관찰을 수행할 수 있고, 관찰이 완료된 후에는 커버(120A,120B)를 본체(110A, 110B)에 결합시켜 환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20A,120B)를 투명한 재질로 만든다면 커버(120A,120B)가 관찰홀(112A,112B)에 배치되는 투명 스크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박 스타킹(100A,100B)은 환자의 관절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충격 흡수부(130A,1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부(130A,130B)는 환자의 관절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통상의 스폰지 등으로 만들 수 있으나,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박 스타킹(100A,100B)은 흘러내림 방지부(140A, 14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체(110A, 110B)의 일단은 환자의 다리 또는 팔에서 골반 관절 또는 어깨 관절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칭하고, 본체(110A, 110B)의 타단은 환자의 발 또는 손에 대응하는 부분을 칭하기로 한다.
흘러내림 방지부(140A, 140B)는 환자의 다리 또는 팔에 착용되는 본체(110A, 110B)의 일단 내측으로 배치되어, 환자의 다리 또는 팔에 착용한 본체(110A, 110B)가 흘러내는 것을 방지한다.
흘러내림 방지부(140A, 140B)는 환자의 다리 또는 팔에서 골반 관절 또는 어깨 관절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을 소정의 압력으로 압박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박 스타킹(100A)은 미끄럼 방지부(1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50A)는 본체(110A)의 타단에서 환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어, 환자의 보행 중 환자가 미끄러지며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미끄럼 방지부(150A)는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미끄럼 방지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부(150A)는 본체(110A)에서 환자의 발바닥에 대응하는 부분 외측의 뒷꿈치 부위에 소정의 팔각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미끄럼 방지부(150A)는 뒷꿈치 부위에 각각 배치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환자의 발바닥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등, 배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150A)는 환자의 보행 중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면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박 스타킹(100B)은 외전 방지부(16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전 방지부(160B)는 본체(110B)의 일단에서 환자의 어깨 부위로 연장되어, 환자의 어깨 부위를 감싼다. 외전 방지부(160B)는 환자의 어깨 부위가 들리는 어깨 외전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을 나타낸 것으로서, 외전 방지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외전 방지부(160B)는 환자의 어깨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외전 방지부(160B)의 일측은 환자의 흉부측에서 환자의 몸체 측면을 감싼 후, 환자의 등 부위를 통해 외전 방지부(160B)의 타측으로 연결되도록 연장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편측마비 환자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여 급성 편측 사지문제를 교정하고 치료할 수 있고,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부위마다 다른 압력으로 압박하며 혈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단부에 형성되는 관찰부를 통해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100B: 압박 스타킹 110A, 110B: 본체
112A, 112B: 관찰부(관찰홀) 120A, 120B: 커버
130A, 130B: 충격 흡수부 140A, 140B: 흘러내림 방지부
150A: 미끄럼 방지부 160B: 외전 방지부

Claims (13)

  1. 편측마비 환자의 팔 또는 다리에 착용하는 압박 스타킹으로서,
    상기 환자의 혈관 병변을 확인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신체 부위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부를 구비한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팔 또는 상기 다리의 부위에 따라 다른 압박 정도를 갖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배치되되, 상기 환자의 관절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관절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더 포함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에는,
    대응하는 상기 환자의 신체 부위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찰홀이 관통 형성된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홀은,
    상지의 손가락 단부 또는 하지의 발가락 단부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는,
    대응하는 상기 환자의 신체 부위가 노출되도록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투명 스크린을 포함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는,
    상지의 손가락 단부 또는 하지의 발가락 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본체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7.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압박 정도는
    상기 환자의 몸체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8.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종아리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는,
    상기 환자의 발목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의 70%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9.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허벅지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는,
    상기 환자의 발목에 대응하는 부위의 압박 정도의 50%인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일정 압력을 인가하며 상기 본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흘러내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흘러내림 방지부는,
    상기 본체의 일단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탄성 밴드를 포함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하지 발바닥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상지 관절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어깨 돌아감을 방지하는 외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KR1020190161486A 2018-12-21 2019-12-06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KR102347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7982 WO2020130616A1 (ko) 2018-12-21 2019-12-18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US17/416,013 US20210315741A1 (en) 2018-12-21 2019-12-18 Compression stocking for hemiplegia pat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6985 2018-12-21
KR1020180166985 2018-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338A true KR20200078338A (ko) 2020-07-01
KR102347992B1 KR102347992B1 (ko) 2022-01-07

Family

ID=7160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486A KR102347992B1 (ko) 2018-12-21 2019-12-06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15741A1 (ko)
KR (1) KR102347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888A (ko) 2021-09-17 2023-03-27 정진구 압박스타킹
KR20230070633A (ko) 2021-11-15 2023-05-23 널스노트 주식회사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4439B (zh) * 2022-07-15 2022-11-18 大连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具有压力调节功能的抗血栓弹力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7304A (ja) * 2001-04-23 2002-10-31 Yoshinori Shibata スポーツ用ストッキングとその編成方法
JP3123605U (ja) * 2006-05-11 2006-07-20 アツギ株式会社 医療用弾性ストッキング
US20100228171A1 (en) * 2009-03-04 2010-09-09 Waldridge Irene A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US20100312160A1 (en) * 2009-06-08 2010-12-09 Farrow Medical Innovations, Inc. Customizable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US20130096478A1 (en) * 2011-10-12 2013-04-18 Roar Consultants Wound dressing garment
JP2017051415A (ja) *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弾性ストッキング
KR20180040789A (ko) * 2016-10-13 2018-04-23 김기호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0092A (en) * 1965-01-25 1966-05-10 Kayser Roth Corp Method of knitting ladies seamless support stocking
JP3123605B2 (ja) 1988-01-07 2001-01-1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インダクタ用磁心
FR2703243B1 (fr) * 1993-04-02 1995-05-05 Cognon Morin Article de contention à usage médical pour une jambe ou un bras.
AU2010238563B1 (en) * 2010-11-01 2011-10-27 Clifford Hallam Healthcare Pty Limited Anti-slip stocking sole
JP2014018632A (ja) * 2012-07-18 2014-02-03 Sakamoto Kk 身体装着用のアイシング用サポータ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7304A (ja) * 2001-04-23 2002-10-31 Yoshinori Shibata スポーツ用ストッキングとその編成方法
JP3123605U (ja) * 2006-05-11 2006-07-20 アツギ株式会社 医療用弾性ストッキング
US20100228171A1 (en) * 2009-03-04 2010-09-09 Waldridge Irene A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US20100312160A1 (en) * 2009-06-08 2010-12-09 Farrow Medical Innovations, Inc. Customizable therapeutic compression garment and method
US20130096478A1 (en) * 2011-10-12 2013-04-18 Roar Consultants Wound dressing garment
JP2017051415A (ja) * 2015-09-09 2017-03-16 株式会社コーポレーションパールスター 弾性ストッキング
KR20180040789A (ko) * 2016-10-13 2018-04-23 김기호 다리 보호용 압박 타이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888A (ko) 2021-09-17 2023-03-27 정진구 압박스타킹
KR20230070633A (ko) 2021-11-15 2023-05-23 널스노트 주식회사 분산 압박 기능을 갖는 압박 스타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15741A1 (en) 2021-10-14
KR102347992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992B1 (ko)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AU2011221371B2 (en) Compression garment having grip
US20040111048A1 (en) Compression device for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ES2857822T3 (es) Artículo textil ponible tubular
EP3344207B1 (en) Contact point reduction garment
KR20080036581A (ko) 만성 정맥 부전증 치료를 위한 하지용 편직 압박 보조기
TWI631912B (zh) 著裝用具、鞋襪類
US5823195A (en) Ankle pad
Bergan et al. Non-elastic compression: an alternative in manage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y
JP2018011903A (ja) 下肢用サポータ
WO2020130616A1 (ko) 편측마비 환자용 압박 스타킹
CN215915659U (zh) 一种足三里穴按摩带
AU2011223991B2 (en) Compression garment having grip
CN204949532U (zh) 牵引治疗保暖袜
KR101467143B1 (ko) 지지밴드가 구비된 기능성 의복
JP6602122B2 (ja) 弾性ストッキング
CN210056460U (zh) 一种用于静脉曲张治疗的弹力袜
TWM542494U (zh) 加壓型關節護具(一)
WO2020226218A1 (ko) 기능성 압박 스타킹
KR20140078990A (ko) 인솔이 결합된 힐링용 워킹양말
CN208573870U (zh) 一种用于踝关节损伤后的固定放松仪
CN215688860U (zh) 一种减少压力性损伤肢具
KR20190057930A (ko) 십자인대 테이핑 무릎보호대
KR102160635B1 (ko) 운동용 타이츠
CN211885322U (zh) 一种同时护脚和护脚腕的护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