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938A -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938A
KR20200077938A KR1020180167354A KR20180167354A KR20200077938A KR 20200077938 A KR20200077938 A KR 20200077938A KR 1020180167354 A KR1020180167354 A KR 1020180167354A KR 20180167354 A KR20180167354 A KR 20180167354A KR 20200077938 A KR20200077938 A KR 20200077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vator
heli deck
deck
hel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8620B1 (ko
Inventor
정진희
이동원
최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0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는, 헬리 데크에 형성된 해치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결된 승강기 통로, 상기 승강기 통로 내에 배치되고, 수압으로 상하 이동되는 승강기, 상기 헬리 데크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통로로 연결된 격납고 및 상기 격납고에 설치되며, 닫힐 때에 수밀(water tight)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LIFTING DEVICE FOR HELI DECK}
본 발명은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나 드릴십(Drill ship) 및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 또는 해상에서 장 기간 체류하게 되는 선박들은 각종 물자나 인원을 수송하기 위해서 헬리콥터를 운용해야 하며, 이로 인해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의 선수나 선미에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을 위한 헬리 데크(Helideck)가 설치된다.
헬리 데크의 주변에는 주유장치가 설치되고, 헬리콥터를 통하여 이송되는 공급품 및 헬리콥터를 운용에 필요한 각종 도구 등의 물품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헬리 데크에서 필요한 물품의 효율적 이송 및 이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한국공개실용 2018-0002947
본 발명의 실시예는, 헬리테크로의 물품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고, 헬리 데크에 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 데크에 형성된 해치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결된 승강기 통로, 상기 승강기 통로 내에 배치되고, 수압으로 상하 이동되는 승강기, 상기 헬리 데크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통로로 연결된 격납고 및 상기 격납고에 설치되며, 닫힐 때에 수밀(water tight)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승강기 통로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헬리 데크 및 상기 격납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프링 쿨러를 더 포함하고, 화재 시에 상기 스프링 쿨러는 상기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헬리 데크는, 헬기가 안착되는 팬케이크 및 상기 팬케이크의 둘레를 감싸는 안전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프링 쿨러는 상기 안전망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팬케이크를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와 상기 승강기 통로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기 통로에 물을 공급하는 수압 공급라인, 상기 수압 공급라인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1 밸브, 상기 승강기 통로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라인 및 상기 배출 라인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펌프와 상기 스프링 쿨러를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물을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라인 및 상기 소화수 공급라인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3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헬리 데크에서 계폐되는 해치를 통하여 물품을 헬리 데크 아래의 격납고에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헬리 데크의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헬리 데크가 설치되는 주변의 물을 이용한 승강 장치를 구성하여, 승강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 시에 승강 장치에 사용되는 물을 이용할 수 있어서, 소화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의 헬리 데크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화수 분사노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는, 헬리 데크(10), 승강기 통로(20) 및 승강기(30)를 포함한다.
헬리 데크(10)는 헬리콥터가 이륙 및 착륙하는 장소로서, 상면에 개폐되는 해치(16)가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의 헬리 데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헬리 데크(10)는 전체적으로 다각형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헬리 데크(10)의 중심부에는 헬기가 안착되는 평평한 팬케이크(pancake, 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팬케이크(12)의 둘레에는 안전망(14)이 감싸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케이크(12)의 일부 영역에 열리고 닫히는 해치(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치(16)는 위에서 볼 때에 미닫이문과 같이 개폐되는 구조로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기(30)가 해치(16) 아래에 도달하면, 해치(16)를 열어서 승강기(30) 내부의 물품(5)을 헬리 데크(10)로 옮기거나 반대로 헬리 데크(10) 위의 물품(5)을 승강기(30)로 옮길 수 있다.
따라서, 헬리 데크(10)에서 계폐되는 해치(16)를 통하여 물품(5)을 헬리 데크(10) 아래의 격납고(25a-25d)에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헬리 데크(10)의 공간 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헬리 데크(10)에는 화재 시에 소화수를 분사하는 스프링 쿨러(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프링 쿨러(50)는 안전망(14)을 따라 설치되어, 팬케이크(12)를 감싸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승강기 통로(20)는 승강기(30)가 이동하여 물품(5)을 이송하는 경로이다. 승강기 통로(20)는 해치(16)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헬리 데크(10)의 아래에 격납고(25a-25d)가 형성되고, 승강기 통로(20)는 수직하여 형성되어 격납고(25a-25d)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층으로 복수의 격납고(25a-25d)가 형성되고, 승강기 통로(20)가 4개의 격납고(25a-25d)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해치(1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 통로(20)와 격납고(25a-25d)의 경계는 수밀(water tight)되는 도어(26a-26d)로 열리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어(26a-26d)는 격납고(25a-25d)에 설치되어 열고 닫히며, 닫힐 때에 수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승강기(30)는 승강기 통로(20) 내에 배치되어 승강기 통로(20)를 따라 이동하여 물품(5)을 이송한다. 본 실시예의 승강기(30)는 수압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 통로(20)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40)가 설치되어서, 승강기(30)를 이동시키는 수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승강기(30)의 아래에 물(21)이 공급되고 승강기(30)는 수압에 의해 밀려서 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통로(20)에서 물(21)을 빼면 수압이 감소하여 승강기(30)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승강기 통로(20)에는 상하로 레일(32)이 설치되고, 승강기(30)는 레일(32)을 따라 이동하게 설치되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펌프(40)와 승강기 통로(20)를 연결하고 승강기 통로(20)에 물을 공급하는 수압 공급라인(42)과, 수압 공급라인(42)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1 밸브(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40)를 작동시키고 제1 밸브(43)를 열어서 수압 공급라인(42)을 통하여 승강기 통로(20)에 물을 공급하고, 승강기(30)를 상승시키는 수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 통로(20)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라인(44) 및 배출 라인(44)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2 밸브(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밸브(45)를 열어서 배출 라인(44)을 통하여 승강기 통로(20)에서 물을 배출하고, 수압을 낮추어 승강기(3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헬리 데크(10)에 있는 물품(5)을 이송할 경우에, 승강기 통로(20)에 수압을 높여서 승강기(30)를 해치(16)까지 상승시키고 해치(16)를 열어서 승강기(30)에 물품(5)을 실을 수 있다.
이 때, 격납고(25a-25d)의 도어(26a-26d)는 모두 닫혀서, 승강기 통로(20)의 수압이 유지되며 격납고(25a-25d)로 물(21)이 침입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물품(5)을 원하는 격납고(25a-25d)로 이송할 경우에, 승강기 통로(20)에 수압을 낮춰서 승강기(30)를 하강시키고 원하는 격납고(25a-25d) 앞에 승강기(3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해당하는 격납고(25b)의 도어(26b)를 열어서 승강기 통로(20)와 해당하는 격납고(25b)를 연통시킬 수 있다. 승강기 통로(20)가 원하는 격납고(25b)로 열리면 승강기(30)에서 물품(5)을 내려서 해당하는 격납고(25b)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헬리 데크(10)가 설치되는 주변의 물을 이용한 승강 장치를 구성하여, 승강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시에 승강 장치에 사용되는 물을 이용할 수 있어서, 소화수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헬리 데크(10) 및 격납고(25a-25d)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프링 쿨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헬리 데크(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쿨러(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펌프(40)와 스프링 쿨러(50)를 연결하고, 스프링 쿨러(50)에 물을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라인(46)과, 소화수 공급라인(46)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3 밸브(47)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시에 스프링 쿨러(50)는 펌프(40)로부터 소화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특히, 펌프(40)는 승강기 통로(20)에 채워진 물(21)을 소화수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40)를 반대로 작동하여, 수압 공급라인(42)을 통하여 승강기 통로(20)에 채워진 물을 공급받아서 소화수 공급라인(46)에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격납고(25a-25d)에 펌프(40)와 연결된 스프링 쿨러(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화재 시에 격납고(25a-25d)의 도어(26a-26d)가 열려서 승강기 통로(20)에 채워진 물이 바로 격납고(25a-25d)에 유입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 물품 10: 헬리 데크
12: 팬케이크 14: 안전망
16: 해치 20: 승강기 통로
25a-25d: 격납고 26a-26d: 도어
30: 승강기 40: 펌프
42: 수압 공급라인 43: 제1 밸브
44: 배출 라인 45: 제2 밸브
46: 소화수 공급라인 47: 제3 밸브
50: 스프링 쿨러

Claims (5)

  1. 헬리 데크에 형성된 해치의 하부로 수직하게 연결된 승강기 통로;
    상기 승강기 통로 내에 배치되고, 수압으로 상하 이동되는 승강기;
    상기 헬리 데크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기 통로로 연결된 격납고; 및
    상기 격납고에 설치되며, 닫힐 때에 수밀(water tight)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통로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헬리 데크 및 상기 격납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스프링 쿨러를 더 포함하고,
    화재 시에 상기 스프링 쿨러는 상기 펌프로부터 소화수를 공급 받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 데크는,
    헬기가 안착되는 팬케이크 및 상기 팬케이크의 둘레를 감싸는 안전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는 상기 안전망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팬케이크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승강기 통로를 연결하고, 상기 승강기 통로에 물을 공급하는 수압 공급라인;
    상기 수압 공급라인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1 밸브;
    상기 승강기 통로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 라인; 및
    상기 배출 라인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상기 스프링 쿨러를 연결하고, 상기 스프링 쿨러에 물을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라인; 및
    상기 소화수 공급라인에 설치되고, 개폐를 조절하는 제3 밸브를 더 포함하는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KR1020180167354A 2018-12-21 2018-12-21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KR102538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54A KR102538620B1 (ko) 2018-12-21 2018-12-21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54A KR102538620B1 (ko) 2018-12-21 2018-12-21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38A true KR20200077938A (ko) 2020-07-01
KR102538620B1 KR102538620B1 (ko) 2023-05-31

Family

ID=71601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54A KR102538620B1 (ko) 2018-12-21 2018-12-21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608A (ko) * 2013-08-2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헬리데크
KR20150030950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KR20180002947A (ko) 2016-06-29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반사 구현 가능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053270A (ko) * 2016-09-12 2018-05-21 시바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의 하역방법
KR20180002947U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608A (ko) * 2013-08-20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헬리데크
KR20150030950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KR20180002947A (ko) 2016-06-29 2018-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반사 구현 가능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80053270A (ko) * 2016-09-12 2018-05-21 시바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의 하역방법
KR20180002947U (ko) * 2017-04-05 2018-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20B1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71825A3 (es) Balde para helicópteros de lucha contra incendios
JPS604038B2 (ja) クレ−ン船
US8978570B2 (en) Lifting floor for bodies of water
KR102538620B1 (ko) 헬리 데크용 승강 장치
KR100535369B1 (ko) 부유설비
KR101690936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US20190127188A1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US10793350B2 (en) Subsea storage unit, system and method
WO2019054882A1 (en) WELL HEAD PLATFORM AT SEA
US20150060081A1 (en) Capping stack for use with a subsea well
KR20160066708A (ko) 화재 안전 강화용 알루미늄 헬리데크
KR200489086Y1 (ko) 헬리 데크
RU2530921C1 (ru) Морска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платформа
KR200487932Y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KR101690925B1 (ko) 헬리데크 탈출장치
RU178577U1 (ru) Плавучая база обеспечения буровых работ на шельфе арктических морей
KR20150083517A (ko) 해상 lng 벙커링 터미널
KR101732616B1 (ko) 승선 시스템
KR20110084372A (ko) 잠수함
KR20230173813A (ko) 헬리콥터 화재 방지를 위한 소방용 노즐장치
KR20150025586A (ko) 반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부력 케이싱 소화장치
CN101565097A (zh) 一种飞机升降机
NO20181197A1 (en) A raiseable float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raising the same in a water column
KR20160045474A (ko) 헬리데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