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372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372A
KR20110084372A KR1020110003029A KR20110003029A KR20110084372A KR 20110084372 A KR20110084372 A KR 20110084372A KR 1020110003029 A KR1020110003029 A KR 1020110003029A KR 20110003029 A KR20110003029 A KR 20110003029A KR 20110084372 A KR20110084372 A KR 20110084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insert
submarine
inserts
submarin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4888B1 (ko
Inventor
마르코 문트
요른 바르그만
스벤 디트만
스벤 코흐시크
옌스 피쉐르
Original Assignee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호발츠벨케 도이췌 벨프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8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40Rescue equipment for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4Superstructure

Abstract

잠수함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배열된 로크가 형성된 내압선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 로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수함의 내압선각을 관통하고 상부-데크측 상에 로크통로를 갖는다. 이 로크는 로크내압선각 및 이 로크내압선각 속에 일체화 될 수 있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이 인서트는 동작에 따라 여러 개의 다른 인서트들로부터 선택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함 {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기재된 구성들을 가진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압선각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배열된 로크(lock)를 포함하는 군사용 잠수함이 본 발명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 잠수함들의 로크들은 잠수부들을 잠수된 잠수함 내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이 로크들은 무기들과 수중장비들을 밖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져도 좋다. 그러나, 이들 로크들의 디자인은 대개 특정의 응용 목적에 맞도록, 예를 들면, 단지 특정무기들을 외부로 운반하기 위하여, 또는 단지 잠수부들을 방출하기 위한 목적에 맞도록 항상 설계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특정무기들을 외부로 운반하기 위하여 설계된 로크는 다른 목적물 또는 사람들을 외부로 운반하는 데는 전혀 적합하지 아니하며, 외부로 운반되지 아니한 상태의 그러한 무기들을 장착한 잠수함의 배치에 있어서 잠수함 내에 미사용 공간이 필요하고, 이것은 더 작은 잠수함들의 작은 공간 활용도와 관련하여 특히 불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금까지 알려진 잠수함들의 로크들과 비교하여 더욱 융통성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직으로 배열된 로크를 구비한 잠수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항에 기재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잠수함의 더 이점 있는 구성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각 종속항들 및 상세한 설명에 특정된 구성 또는 그 조합은 청구항 1항에 따른 발명의 사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직으로 배치된 로크(lock)가 형성되어 있는 내압선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 로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수함의 내압선각을 관통하고, 상부-데크측로크통로를 구비하고 있다.이 로크통로는 압력밀착방법으로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로크는 로크내압선각과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합체되어져도 좋은 인서트(insert)를 포함하고 있다. 이 인서트는 다수 개의 서로 다른 인서트들로부터 작동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는 로크내압선각을 위한 여러 개의 인서트들이 제공되고, 이들 인서트들은 디자인이나 작동에 대한 의존성 등이 서로 다르며, 개별적 인서트들의 디자인은 서로 다른 로크 사용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잠수된 잠수함에서 잠수부들 또는 특별팀들이 잠수함의 밖으로 운반되어지거나 잠수함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작동 시나리오에 있어서,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그러한 인서트를 통합하고, 이것은 잠수부들을 위하여 폐쇄된 출구공간 또는 입구공간을 형성하고, 특별히 이 폐쇄된 디자인은 기압조절실을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의 인서트 윤곽이 특정의 무기들 또는 수중장치들을 밖으로 운반하는 상황에 직면한다면, 역시 그러한 인서트들이 사용될 수 있고, 이것들은 이들 무기들 또는 수중장치들을 저장하기 위한 또는 전개하기 위한 장비들을 구비하고 있다. 잠수함의 로크가 사람들 또는 목적물들의 내외부 이송을 위하여 전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로크내압선각 속에 그러한 인서트들을 응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잠수함의 선원들을 위한 거실공간, 연료창고, 구류공간 또는 저장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
로크의 개장 즉, 개별 인서트들의 장착 및 제거는 잠수함이 수면 위로 떠오른 상태에서 단순한 방법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기서, 로크내압선각 속에 위치한 인서트는 크레인으로 로크 통로를 통해서 로크내압선각 밖으로 들여 올려질 수 있고, 이어서 다른 인서트가 크레인에 의해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넣어질 수 있다. 인서트들의 보수작업은 물론 무기들 또는 수중장치들의 설치는 지상 또는 수중 선상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서트들이 자체지지방법으로 설계되어져 있다. 이처름, 개별 인서트들은 자체지지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이 디자인은 로크내압선각 내에서 또한 잠수함의 밖에서 자유롭게 서는 방법으로 놓여 지는 인서트들 허용한다. 이 프레임의 형상 및 치수는 로크내압선각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로크내압선각의 내부단면 및 길이에 일치하도록 되어 있는 이점이 있다. 이 프레임은 또한 로크내압선각 내에서 인서트들을 해체가능하게 묶는 역활도 제공한다. 이 묶는 기능은 예를 들면, 로크내압선각에 프레임의 스크류 접속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개별 인서트들은 충돌 또는 수중무기들에 의해 기인되는 잠수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크내압선각 내에 충격방지방법으로 탑재된다. 따라서, 이 인서트들은 로크내압선각 내에 충격방지탑재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수단은 인서트들의 외부측면 상에 배열되고, 탑재된 상태에서 로크내압선각과 접촉영역을 형성한다. 인서트들의 프레임 상에, 로크내압선각 내에서 개별 인서트들의 일어서는 표면을 형성하는 영역에서, 프레임과 로크내압선각 사이에 스프링댐핑소자들이 배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댐핑소자들은 또한 프레임과 이 프레임을 둘러싸는 로크내압선각의 주변 벽 사이에 배열되어져도 좋다.
유용하게, 여러 개의 기능적이고 기술적인 인테페이스들(interfaces)이 개별 인서트들과 잠수함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로크내압선각이 로크를 둘러싸고 있는 잠수함의 내압선각내부의 내측에 대해서 밀폐된 폐쇄시스템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후관계로 봐서, 예를들면, 전기에너지, 전기제어신호들, 통신, 수압, 물 또는 가스, 압축공기, 산소, 질소 또는 호흡공기등을 위한 리드-관통홀이 로크내압선각의 벽을 통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인서트들은, 로크내압선각 내에 있는 인서트들 속으로 운반된 설비들의 전기에너지 공급을 위하여 그리고 로크내압선각의 외부로부터 이들 설비들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또는 이들 설비들로부터 로크내압선각의 외부에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로크내압선각의 외부에 배치된 대응하는 전기리드시스템에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접속부는 로크내압선각의 벽을 통해 인도된 전기리드들에 로크내압선각 내에서 유용하게 접속된다.
이 인서트들은 또한 전기 접속부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로크내압선각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수소 및/또는 물-안내, 연료-안내, 가스-안내 도관시스템에 접속을 위한 접속부들을 구비하고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 바람직한 잠수함의 설계에 있어서, 로크내압선각은 기본적으로 전체 내압선각의 직경 즉, 잠수함의 상부 데크로부터 용골까지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로크통로가 용골측상에 존재할 수가 있다. 용골 영역에 배열된 제2로크통로는 부력이 없는 목적물들을 잠수함 밖으로 운반하기 위한 특별한 분별력을 만들고, 따라서 용골측 로크통로를 통해 단순한 방법으로 목적물들을 분출하고 떨어지게 할 수 있다.
만약 잠수함이 그러한 용골측로크통로를 갖는다면, 바다갱과 같은 수중무기들을 저장하고 전개하도록 설계된 더 바람직한 인서트가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 인서트는 이들 수중무기들을 전개하기 위한 운반축을 구비하고 있다. 이 운반축은 유용하게 용골측로크통로에 직접 접속한다. 이 운반축은 배출되어지는 수중장벽무기들을 위한 가이드를 형성하고, 용골측통로를 통해 무기들이 잠수함을 떠난다.
또 다른 설계로, 수중장벽무기들을 전개하기 위한 인서트는 이 수중장벽무기들을 저장하고 밖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회전선반장치 그리고 특별히 이득적으로는 인서트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포개져 배열된 여러 개의 회전선반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선반장치는 모터로 구동되는 회전테이블로 이해될 수 있고, 그 위에 여러 개의 수중장벽무기들이 회전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넘어 저장되고 배분되어 진다. 장벽무기들을 배출하기 위하여, 회전테이블은 잠수함의 밖으로 운반되기 위한 수중장벽무기가 특정된 배출위치에 놓이도록 회전된다.
이와 같이, 수중장벽무기들을 운반하기 위한 운반축 주위에 배치되어 질 적어도 하나의 회전선반장치를 상상할 수 있다. 즉, 이 회전선반장치 또는 여러 개의 회전선반장치가 바람직하게는 순환하는 운반축 주위에 원형으로 배열되고, 이 운반축은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하고 이 통로를 통해 잠수함으로부터 배출되기 위한 무기가 회전선반장치에 의해 운반축 속으로 운반된다.
바람직하게는, 장벽무기들이 회전선반장치의 회전테이블 상에 직접 저장되지 않는다. 대신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 또는 여러 개의 회전장치들은 각 케이스에 하나의 수중장벽무기를 저장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콘테이너들로 제공되고 있는 이점이 있다. 이 수중장벽무기들은 이들 저장콘테이너들에 고정되어 의도되지 않는 움직임들에 대하여 안전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저장콘테이너들은 기본적으로 회전장치를 관통해 나온 운반축으로부터 달아나는 방향측 상에 수중장벽무기를 둘러싸면서 맞닿는 반-셀소자들로 설계되어진다.
이 저장콘테이너들은 바람직하게는 배출되기 위한 수중장벽무기를 회전축을 통해 잠수함 밖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회전장치의 저장콘테이너로부터 운반축으로 수압적 회전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개별적 저장콘테이너들은 수압구동방법에 의해 운반축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방법으로 회전장치의 회전테이블 상에 놓여지고, 이 수단에 의해 저장콘테이너들에 탑재된 수중장벽무기들은 운반축상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운반축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에는 로크내압선각을 위한 여러 개의 인서트들이 제공되고, 이들 인서트들은 디자인이나 작동에 대한 의존성등이 서로 다르며, 개별적 인서트들의 디자인은 서로 다른 로크 사용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별 인서트들은 충돌 또는 수중무기들에 의해 기인되는 잠수함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크내압선각 내에 충격방지방법으로 탑재된다. 따라서, 이 인서트들은 로크내압선각 내에 충격방지탑재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따른 잠수함은 여러 개의 기능적이고 기술적인 인테페이스들(interfaces)이 개별 인서트들과 잠수함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전기에너지, 전기제어신호들, 통신, 수압, 물 또는 가스, 압축공기, 산소, 질소 또는 호흡공기등을 위한 리드-관통홀이 로크내압선각의 벽을 통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발명의 효과들이 앞서 설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수직으로 배치된 로크를 구비한 잠수함의 개략도 이고,
도 2는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인서트(insert)의 개략적 투시도 이고,
도 3은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 인서트(insert)의 개략적 투시도 이며,
도 4는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3 인서트(insert)의 개략적 투시도 이다.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예들을 통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잠수함은 상부데크(deck; 12)에 의해 둘러 쌓인 상부영역에 내압선각(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잠수함의 타우워(tower; 6)의 선미측상의 소정 영역에 로크(8)가 수직방향으로 내압선각(2)을 관통한다. 이 로크(8)는 상부데크(12)의 직하방에 배열된 로크통로로 부터 용골 영역에 배열된 로크통로까지 뻗어 있는 로크내압선각(10)을 포함한다. 이 로크내압선각(10)의 내압설계는 잠수함의 내압선각(2)의 것에 대응한다. 상부데크(12)의 직하방에 배열된 로크통로는 선회 가능한 커버(14)에 의해 폐쇄되는 한편, 용골측 로크통로를 선회하기 위하여는 선회 가능한 커버(16)가 제공된다.
로크내압선각(10)은 로크내압선각부분(18)으로 부터 뿌리면(20)을 거쳐 용골측 로크통로에 직접 접속되고 수중장벽 무기들을 잠수함의 밖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로크내압선각부분(22) 까지 점차 가늘어져 있다. 따라서, 로크내압선각부분(22)의 내부 단면은 기본적으로 외부로 운반되어 지기 위한 수중장벽 무기들의 단면차원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잠수함의 로크내압선각(10) 속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1 인서트(24)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제1 인서트(24)는 로크내압선각부분(18)을 통해 바다갱(26)의 형태로 수중장벽무기들을 외부로 운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인서트(24)는 로크내압선각(10) 안에 이 인서트(24)가 장착되는 환형의 기판(28)을 구비하고, 로크내압선각(10) 안에 형성된 뿌리면(20) 상에 놓여 진다. 기판(28)은 내부단면부가 로크내압선각부분(22)의 내부단면부와 일치하는 원형통로를 포함하고 함께 물에 잠긴다.
속이빈 실린더형 운반축(30)은 로크내압선각(10)내에 인서트(24)가 장착된 위치에서 뿌리면(20)으로 부터 달아나는 방향으로 기판(28)의 평면 위에 뻗어 있고, 세로빔(32)은 통상 뿌리면(20)으로부터 달아나는 방향으로 평면에 뻗어 있다. 운반축(30)은 기판(28)에 그리고 로크내압선각(10) 안에 장착된 인서트(24)의 위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이 로크내압선각부분(22)의 연장선으로 로크내압선각부분(22)과 함께 공통통로를 형성한다. 세로빔(32)은 기판(28)의 외주 영역에 배열된다. 운반축(30)과 세로빔(32)은 기판(28)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운반축(30)및 세로빔(32)의 단부들에서 가로빔(34)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기판(28), 운반축(30), 세로빔(32)은 물론 가로빔(34)들은 모두 함께 인서트(24)의 지지프레임을 형성한다.
세개의 베어링 소자들(36)이 기판(28)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운반축(30)을 둘러싸고 운반축(3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져 있다. 이들 베어링 소자들(36)은 각각 회전장치(38)를 설치하는데 기여한다. 각 회전장치(38)는 운반축(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판(4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판들(40)의 회전 움직임은 기판(28)으로 부터 떨어져 있는 운반축(30)의 단부에 배열된 모터(42)에 의해 달성된다. 바다갱들(26)은 원형으로 설계된 회전판들(40) 위에 필수적으로 반-셀형 저장 콘테이너들(44) 내에 탑재되고, 여러 개의 저장 콘테이너들(44)은 각 회전판(40) 위에서 회전판들(4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열되어져 있다.
저장 콘테이너들(44)은 회전판들(40)의 내측단부 영역에 배열된 조인트들(46)을 통해, 그들의 길이방향에 교차하게 선회할 수 있는 방법으로 탑재된다. 운반축(30)으로 부터 떨어진 측면에 있는 모든 저장 콘테이너들(44)은 운반축(30)에 대하여 밖으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8)를 포함하고 있다. 만약 저장 콘테이너(44)가 운반축(30)과 세로빔(32) 사이의 위치에 있으면, 각 회전장치(38)와 함께, 세로빔(32) 상에 배치된 피스톤-실린더배치(50)의 뻗는 위치가 대응하는 회전판(40)과 맞닿은 돌출부(48)의 하측면 상에 지지된다. 피스톤-실린더배치(50)의 피스톤이 뻗음에 의해, 해당 저장 콘테이너(44)는 운반축(30)의 방향으로 조인트(46)에 대하여 선회 되어 지고, 이것은 이 저장 콘테이너(44)에 저장된 바다갱(26)이 운반축(30)의 가장자리 벽상에 형성된 통로(52)를 통해 운반축(30) 속으로 운반되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그 다음, 로크내압선각(18)을 통해 잠수함 밖으로 중량에 의해 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제2 인서트(54)는, 잠수함의 로크내압선각(10) 안에서 협동하여, 무인조종의 수중장치(56)를 잠수함 밖으로 운반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인서트(24)와 마찬가지로, 인서트(54)도 원형기판(28)을 구비하고 있다. 로크내압선각(10) 속으로 인서트(54)의 설치와 함께, 이 기판(28)은, 인서트(54)의 쇼크방지 탑재를 위하여, 기판(28)의 장착위치에서 로크내압선각(10)의 뿌리면(20)과 맞닿아 있는 평면측상에 배치된 스프링 댐핑 소자들(58)을 통해 로크내압선각(10)의 뿌리면(20)상에 지지되어 진다.
기판(28)의 바깥쪽 단부상에 배치된 여러 개의 세로빔들(60)은 통상적으로 스프링 댐핑 소자들(58)의 반대측 기판(28)의 평판측에서 뻗어있다. 이들 세로빔들(60)은 바깥쪽에서 세로빔들(60)을 둘러싸는 세 개의 링소자들(62)에 의해 싸여진다. 기판(28), 세로빔(60) 및 링소자들(62)이 함께 인서트(54)의 자체지지프레임을 형성한다.
세로빔들(60)로부터 떨어져서, 이 세로빔들(60)에 평행하게 배열된 두 가이드레일(64)이 마찬가지로 기판(28)의 외측 단부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레일들(64)은 수중장치(56)를 위한 저장선반(66)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인서트(54)의 길이 방향으로 인서트(54)의 밖으로 연장되어질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저장선반(66)은 두 개의 다른 배치위치들, 즉 인서트(54) 내의 저장위치로, 그리고 인서트(54)의 외부에서 수중장치(56)의 출발위치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선반(66)은 저장위치에 있는 위치 즉, 수중장치(56)의 길이방향 축이 기본적으로 인서트(54)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위치로 부터 인서트(54)의 외부의 출발위치 즉, 수중장치(56)의 길이방향 축이 기본적으로 인서트(5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게 배열되는 위치로 선회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인서트(68)는 잠수부 임무를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이 인서트(68)는 인서트(54)와 유사한 자체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기판부(70), 그 위에 배열된 세로빔들(72) 및 밖에서 세로빔들(72)을 둘러싸는 세 개의 링소자들(74)로 구성된다. 인서트(68)의 기판부는 로딩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스프링댐핑소자들(58)상에 지지되어 있다.
세로빔들(72)과 평행하게 배열되고 기본적으로 인서트(68)의 전체길이보다 더 크게 뻗어있는 사닥다리(76)는 그 외측 단부가 세로빔들(72)에 의해 포위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사닥다리(76)는 인서트(68) 내에 서로 배열되고 평판들(78) 또는 격자판들(78)로 형성된 세 개의 거주할 수 있는 룸(room)평면들을 연결하고 있다. 사닥다리(76)의 영역에 있는 각 평판(78) 또는 격자판(78)은 대응하는 평판/격자판(78)의 바깥측 단부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뻗어 있고 잠수부들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대응하는 거주가능한 룸평면에 개구통로를 형성하고 있는 홈(80)을 포함하고 있다. 로크내압선각(10)의 흡수 또는 배수 하는 동안 잠수부들을 위한 여러 개의 의자장치들(82)이 거주가능한 룸평면들 상에 놓여 있다. 각 거주가능한 룸평면은 호흡공기시스템(84)에 연결되어 있다. 잠수부들의 사물들을 장치하기 위한 저장공간(86)이 최하위 거주가능한 룸평면의 밑에 형성되어져 있다.
2: 내압선각 6: 타우워
8: 로크 10: 로크내압선각
12: 상부데크 14:커버
16: 커버 18: 로크내압선각부분
20: 뿌리면 22: 로크내압선각부분
24: 인서트 26: 바다갱
28: 기판 30: 운반축
32: 세로빔 34:가로빔
36: 베어링소자 38: 회전장치
40: 회전테이블 42: 모터
44: 저장콘테이너 46: 조인트
48: 돌출부 50: 피스톤-실린더배치
52: 통로 54: 인서트
56: 수중장치 58: 스프링댐핑소자
60: 세로빔들 62: 링소자
64: 가이드레일 66: 저장선반
68: 인서트 70: 기판부
72: 세로빔 74: 링소자
76: 사닥다리 78: 평판, 격자판
80: 홈 82: 의자장치
84: 호흡공기시스템 86: 저장공간

Claims (13)

  1. 수직으로 배열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압선각(2)을 관통하고 있고, 상부-데크측 로크 통로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로크(8)가 형성된, 내압선각(2)을 구비한 잠수함에 있어서,
    상기 로크(8)는 로크내압선각(10) 및 이 로크내압선각 속으로 일체화될 수 있는 동작-의존 인서트(24, 54, 68)를 포함하고, 이 인서트(24, 54, 68)는 다수 개의 서로 다른 인서트들(24, 54, 68)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들(24, 54, 68)은 자체-지지 방법으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들(24, 54, 68)은 로크내압선각(10) 내에 충격-방지 탑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들(24, 54, 68)은 로크내압선각(10) 외부에 배치된 전기 및/또는 수력, 가스-안내 도관시스템에 접속을 위한 접속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들(24, 54, 68)은 로크내압선각(10) 외부에 배치된 수력시스템에 접속을 위한 접속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로크내압선각(10)은 기본적으로 전체 내압선각 직경(2)을 초과하여 뻗어 있고 용골측 상에 제 2로크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4)는 수중장벽무기들을 저장하고 운반하기 위하여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4)는 용골측 로크통로에 연결된, 수중장벽무기들을 배출하기 위한 운반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4)는 수중장벽무기들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24)는 인서트(24)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중첩하여 배열된 여러 개의 회전장치들(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1.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38)가 수중장벽무기들을 배출하기 위하여 운반축(30)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2. 제 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회전장치(38)는 각 케이스에 하나의 수중장벽무기를 저장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저장콘테이너들(4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콘테이너들(44)은, 바람직하게는 수압방법으로, 운반축(30)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110003029A 2010-01-16 2011-01-12 잠수함 KR101244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4789.9 2010-01-16
DE102010004789A DE102010004789A1 (de) 2010-01-16 2010-01-16 Unterseebo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372A true KR20110084372A (ko) 2011-07-22
KR101244888B1 KR101244888B1 (ko) 2013-03-18

Family

ID=4390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029A KR101244888B1 (ko) 2010-01-16 2011-01-12 잠수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345578B1 (ko)
KR (1) KR101244888B1 (ko)
DE (1) DE102010004789A1 (ko)
ES (1) ES2653547T3 (ko)
NO (1) NO2345578T3 (ko)
PL (1) PL234557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7889B4 (de) * 2011-12-07 2019-03-21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Unterseeboot
DE102016217142A1 (de) * 2016-09-08 2018-03-08 Thyssenkrupp Ag Waffenrohrmodu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1949A (en) * 1931-10-23 1934-01-02 Martinoli Federico Submarine mine-layer
GB454930A (en) * 1934-04-05 1936-10-05 Amato Capponi System for the disposition and discharging of mines in submarines and ships in general
US3499364A (en) * 1959-11-19 1970-03-10 Us Navy Apparatus for submerged launching of missiles
DE3150894C2 (de) * 1981-12-22 1985-01-24 Blohm + Voss Ag, 2000 Hamburg Kampfschiff mit Funktionseinheitsanlagen
US5677506A (en) * 1996-12-30 1997-10-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ubmarine extendible turret system
EP0850830A3 (en) * 1996-12-30 1999-10-20 Javier Silvano Arzola A submarine
US20020127455A1 (en) * 2001-03-08 2002-09-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eria-based solid oxide fuel cells
DE10330174B3 (de) * 2003-07-04 2004-11-04 Howaldtswerke-Deutsche Werft Ag Unterseeboot
DE102004060010B3 (de) * 2004-12-14 2005-12-22 Atlas Elektronik Gmbh Unbemanntes Unterwasserfahrzeug
DE102004062126B4 (de) * 2004-12-23 2010-07-08 Atlas Elektronik Gmbh Unbemanntes Unterwasserfahrzeug
KR100852547B1 (ko) * 2007-01-12 2008-08-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중관 구조를 갖는 충격흡수용 무장발사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04789A1 (de) 2011-07-21
PL2345578T3 (pl) 2018-02-28
NO2345578T3 (ko) 2018-02-24
ES2653547T3 (es) 2018-02-07
KR101244888B1 (ko) 2013-03-18
EP2345578B1 (de) 2017-09-27
EP2345578A3 (de) 2015-08-05
EP2345578A2 (de)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6999C (en) Maintenance system with a cargo elevator for a wind turbine maintenance program
KR101282350B1 (ko) 컨테이너선의 데크하우스 및 그 데크하우스를 이용한 컨테이너 적재방법
US9334105B2 (en) Sea container that can be closed on all sides
US9340264B2 (en) Marine docking stations
US8866315B2 (en) Underwater electricity generation module provided with a base
IS6307A (is) Lendingarpallur
EP2612022B1 (en) Offshore wind power system
US20090317212A1 (en) Remote Docking Port
PL208227B1 (pl) Morska farma wiatrowa
US8202023B2 (en) Self-standing riser and buoyancy device deployment and positioning system
GB2549079A (en) Apparatus and method
KR20190013705A (ko) 해저 원격 동작 차량(rov) 허브
KR20110084372A (ko) 잠수함
KR102439924B1 (ko) 갑판 호이스트 트랙터, 구조 슈트 및 토트 탱크
IT202000015913A1 (it) Gruppo offshore, sistema e metodo di produzione di idrocarburi comprendente tale gruppo offshore
WO2012117242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se loading stations
KR20170106853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20160017764A (ko) 선실구조
RU2382314C1 (ru) Модульная многоместная корабельная пусковая установка вертикального пуска
KR20140144345A (ko) 해상 변전소 구조물
KR20140049284A (ko) 잠수함의 무장 탑재용 연결장치
KR101691585B1 (ko) 구명 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RU2525188C2 (ru) Съемная транспортно-спасательная наделка
JP2018095058A (ja) 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における揚げ荷役方法
KR20170036312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