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462A -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462A
KR20200077462A KR1020190172366A KR20190172366A KR20200077462A KR 20200077462 A KR20200077462 A KR 20200077462A KR 1020190172366 A KR1020190172366 A KR 1020190172366A KR 20190172366 A KR20190172366 A KR 20190172366A KR 20200077462 A KR20200077462 A KR 20200077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hydrate
sodium
injection
mangane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585B1 (ko
Inventor
김대현
홍석환
오진환
박종우
조정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성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성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성제약
Publication of KR20200077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2Manganes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리, 크롬, 아연, 망간 및 셀레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 또는 구리, 크롬, 아연, 망간, 셀레늄, 철, 요오드, 불소 및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하며, pH가 4~11로 조절된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New Mineral Inject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네랄 주사제는 수술 전 후 또는 경구투여를 통해 보급이 용이하지 않을 때 미네랄의 미량원소들을 정맥주사를 통해 인체에 보급하기 위한 제품이다. 미네랄 미량원소들은 구리, 크롬, 아연, 망간, 셀레늄, 철, 요오드, 불소, 몰리브덴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여러가지를 혼합하여 만든 제품들(MultiTrace®-4, 5, American Reagent), 멀티블루 5주(한올바이오파마), 펜타블루 5주(안국약품) 등이 상품화되어 1994년부터 20년 이상 국내/외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미네랄 주사제에 포함된 미량원소들은 물에서는 낮은 용해도로 인해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 물리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염산, 황산등을 사용하여 산성의 상태, 즉 낮은 pH(1 ~ 3 )에서 제조하여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낮은 pH를 가지는 상기의 제품들을 정맥주사를 통해 환자에 투약할 때 낮은 pH로 인해 환자가 투약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으며, 정맥염 등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종의 해당 업자들이 통상적으로 pH를 상승시키는 염기성의 물질들(인산염 완충액, 수산화 나트륨 등)을 미네랄 주사제에 투입하면, pH는 상승시킬 수 있으나 pH가 상승하면 미네랄들의 용해도가 낮아져 침전이 발생하며 안전성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고 환자에게 투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미네랄 주사제 투여 시 통증의 원인이 되는 pH를 인체 내 pH와 유사하게 조절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주사제의 이화학적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며, 환자의 복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구리, 크롬, 아연, 망간 및 셀레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하며, pH가 4~11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일 수 있다.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9 ~ 2.36 mM, 상기 크롬은 0.0019 ~ 0.029 mM, 상기 아연은 0.38 ~ 15.29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mM, 상기 셀레늄은 0.0025 ~ 0.089 m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구리, 크롬, 아연, 망간, 셀레늄, 철, 요오드, 불소 및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하며, pH가 4~11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8 ~ 2.36 mM, 상기 크롬은 0.0019 ~ 0.029 mM, 상기 아연은 0.38 ~ 15.29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 mM, 상기 셀레늄은 0.0025 ~ 0.089 mM, 상기 철은 0.18 ~ 3.58 mM, 상기 요오드는 0.00079 ~ 0.024 mM, 상기 불소는 0.26 ~ 7.63 mM, 상기 몰리브덴은 0.001 ~ 0.026 mM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미네랄 미량원소인 구리, 망간 및 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8 ~ 2.36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mM, 상기 아연은 0.38 ~15.29 m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주사 시 통증의 발생을 방지하고 정맥염의 유발을 억제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를 4 ~ 11 사이로 조절함으로써 그 pH 조절제에 의하여 주사액에서 침전이 생성되지 않으며 이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미네랄 주사제의 원활한 제조와 환자의 복약 편의성 증가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구리, 크롬, 아연, 망간 및 셀레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미네랄 미량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의 약학적 사용 가능한 용량은 미네랄 미량원소별로 주사제에서 1일 사용량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사용 가능한 용량은 미네랄 미량원소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연은 0.38 ~ 15. 29mM, 구리는0.079 ~ 2.36 mM, 망간은0.027 ~ 1.46 mM, 크롬은 0.0019 ~ 0.029 mM, 셀레늄은 0.0025 ~ 0.089 mM, 철은 0.18 ~ 3.58mM, 요오드는 0.00079 ~ 0.024mM, 몰리브덴은 0.001 ~ 0.026, 불소는 0.26 ~ 7.63mM의 함량으로 주사제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아셀렌산과 같은 기본적인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가 4~11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pH가 너무 낮으면 정맥 주사를 통해 환자에 투약할 때 환자의 투약 부위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정맥염 등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pH가 너무 높으면 미네랄 성분들의 용해도가 낮아져 침전이 발생되어 안전성에 막대한 영향을 초래하고 환자에게 투약할 수 없을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서 0.1 ~ 100 mM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서 1.0 ~ 50 mM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 pH를 바람직한 영역으로 조절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 제조 후 멸균,보관 과정에서 미네랄의 용해도가 낮아져서 제품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여 임상적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금속 성분들이 안정하게 용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환자가 통증을 적게 느낄 수 있는 pH 4 ~ 11로 조절하기 위해 정맥내 직접 투여가 가능한 pH조절제들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을 단독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적정한 pH 조절제를 사용하여 pH의 범위가 4 ~ 11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네랄 주사제의 물리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주사 시 환자에게 발생하는 통증을 획기적인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구리, 크롬, 아연, 망간, 셀레늄, 철, 요오드, 불소 및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미네랄 미량 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가 4~11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서 1.0 ~ 50 mM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8 ~ 2.36 mM, 상기 크롬은 0.0019 ~ 0.029 mM, 상기 아연은 0.38 ~ 15.29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 mM, 상기 셀레늄은 0.0025 ~ 0.089 mM, 상기 철은 0.18 ~ 3.58 mM, 상기 요오드는 0.00079 ~ 0.024 mM, 상기 불소는 0.26 ~ 7.63 mM, 상기 몰리브덴은 0.001 ~ 0.026 m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미네랄 미량원소인 구리, 망간 및 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8 ~ 2.36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mM, 상기 아연은 0.38 ~15.29 mM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은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서 1.0 ~ 50 mM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에데트산 나트륨 7.627
표 1은 실시예 1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염화 크롬 수화물, 아셀렌산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 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해당량의 에데트산 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1.700
표 2는 실시예 2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염화 크롬 수화물, 아셀렌산,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2.550
표 3은 실시예 3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2와 같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3.400
표 4는 실시예 4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2와 같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5.100
표 5는 실시예 5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2와 같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젖산 나트륨 20.881
표 6은 실시예 6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염화 크롬 수화물, 아셀렌산, 젖산 나트륨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10.200
표 7은 실시예 7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2와 같다.
성분명 사용농도(mM)
염화 크롬 0.003
염화 제 2 구리 수화물 0.222
염화 제 2 철 수화물 0.299
염화 망간 0.078
요오드화 칼륨 0.010
플루오르화 나트륨 0.500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0.002
아셀렌산 나트륨 0.003
염화 아연 0.997
자일리톨 197.173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3.400
표 8은 실시예 8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염화크롬, 염화 제2 구리 수화물, 염화 제 2 철 수화물, 염화 망간, 요오드화칼륨, 플루오르화 나트륨,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아셀렌산 나트륨, 염화아연, 자일리톨,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 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3.400
표 9는 실시예 9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수화물,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3.400
표 10은 실시예 10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 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 3.400
표 11은 실시예 11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망간 수화물, 구연산 나트륨 이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제 1 인산 칼륨 22.049
표 12는 비교예 1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염화 크롬 수화물, 아셀렌산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제 1 인산 칼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제 2 인산 나트륨 3.240
표 13은 비교예 2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염화 크롬 수화물, 아셀렌산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제 2 인산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화 크롬 수화물 0.011
아셀렌산 0.025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수산화 나트륨 2.500
표 14는 비교예 3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황산 망간 수화물, 염화 크롬 수화물, 아셀렌산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수산화 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염화 크롬 0.003
염화 제 2 구리 수화물 0.222
염화 제 2 철 수화물 0.299
염화 망간 0.078
요오드화 칼륨 0.010
플루오르화 나트륨 0.500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0.002
아셀렌산 나트륨 0.003
염화 아연 0.997
자일리톨 197.173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제 1 인산칼륨 22.049
표 15는 비교예 4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염화 크롬, 염화 제2 구리 수화물, 염화 제 2 철 수화물, 염화 망간, 요오드화 칼륨, 플루오르화 나트륨,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아셀렌산 나트륨, 염화 아연, 자일리톨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 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제 1 인산 칼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염화 크롬 0.003
염화 제 2 구리 수화물 0.222
염화 제 2 철 수화물 0.299
염화 망간 0.078
요오드화 칼륨 0.010
플루오르화 나트륨 0.500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0.002
아셀렌산 나트륨 0.003
염화 아연 0.997
자일리톨 197.173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제 2 인산 나트륨 3.240
표 16은 비교예 5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염화 크롬, 염화 제2 구리 수화물, 염화 제 2 철 수화물, 염화 망간, 요오드화 칼륨, 플루오르화 나트륨,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아셀렌산 나트륨, 염화 아연, 자일리톨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제 2 인산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염화 크롬 0.003
염화 제 2 구리 수화물 0.222
염화 제 2 철 수화물 0.299
염화 망간 0.078
요오드화 칼륨 0.010
플루오르화 나트륨 0.500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0.002
아셀렌산 나트륨 0.003
염화 아연 0.997
자일리톨 197.173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수산화 나트륨 2.500
표 17은 비교예 6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염화 크롬, 염화 제2 구리 수화물, 염화 제 2 철 수화물, 염화 망간, 요오드화 칼륨, 플루오르화 나트륨, 몰리브덴산 나트륨 수화물, 아셀렌산 나트륨, 염화 아연, 자일리톨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수산화 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아연 수화물 2.222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수산화 나트륨 2.500
표 18은 비교예 7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아연 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수산화 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 0.883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수산화 나트륨 2.500
표 19는 비교예 8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제 2 구리 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수산화 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성분명 사용농도(mM)
황산 망간 수화물 0.182
염산 또는 황산 qs to pH 2.5
수산화 나트륨 2.500
표 20은 비교예 9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미네랄 미량원소별 사용 농도이다. 제조방법으로는 상기 표기된 황산 망간 수화물을 정밀히 칭량하여 혼합용기에 투입한 후 주사용수를 적당량을 가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이 후 0.1M염산 또는 0.1N 황산을 적가하여 pH를 2.5에 맞추고 수산화 나트륨을 칭량하여 투입하고 주사용수로 1L 표선을 맞춘 후 약 1시간동안 교반 하여 pH를 측정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 대한 평가 결과를 설명한다.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에 대한 평가는 성상과 안정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성상은 흰색 또는 흑색의 종이를 뒷면에 대고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pH는 Orion STAR A211 기기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성상 미청색
내지
청색
무색 내지
미청색
미청색 내지 청색 미청색 내지
청색
미청색 내지
청색
미청색 내지
청색
미청색 내지
청색
미황색 내지
황색
무색 내지
미홍색
미청색 내지
청색
무색 내지
미녹색
pH 6.02 4.55 5.07 5.64 6.1 6.31 6.56 7.08 5.98 6.02 6.01
표 21은 실시예들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성상과 pH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성상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침전
발생
pH 3.46 6.64 3.39 6.58 3.78 3.65 3.47 3.55 3.55
표 22는 비교예들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성상과 pH에 대한 평가 결과이다.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처방에 관하여 비교예 1~6은 pH를 상승시키기 위해 동종업계의 통상의 종사자들이 행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 제 1 인산칼륨, 제 2 인산나트륨을 pH조절제로 투입하여 상승시켰으나, 흰색, 청색, 검은색 등의 침전이 발생하며 성상의 변화를 가져왔고, 실시예 2~7은 구연산 나트륨, 젖산 나트륨, 또는 에데트산 나트륨으로 pH를 조절하여 다른 염기성 물질을 투여하지 않아도 pH가 4이상으로 유지되며, 침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7 ~ 9, 실시예 9 ~ 11을 통해 아연, 구리, 망간의 미네랄을 단독 성분으로서 제조하여 pH에 따른 침전 생성 및 pH조절제에 따른 침전 발생 억제에 대해서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미량금속 이온형태의 아연, 구리, 망간은 단독 성분만으로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지 않는 알칼리화제를 사용하여 pH를 상승시킬 경우 침전이 발생하며, 구연산 나트륨을 사용한 결과 침전이 발생하지 않고 pH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안정성 평가는 일정 온도에서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을 유지하면서 주기적으로 pH를 측정하여 pH 변화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의 안정성시험에 따른 pH 결과변화
기간 (weeks) 5℃ 25℃ 40℃ 60℃
0 4.55 4.55 4.55 4.55
1 4.52 4.45 4.51 4.59
2 4.53 4.49 4.62 5.82
3 4.56 4.49 4.67 6.39
4 4.51 4.68 4.72 6.59
5 4.53 4.41 4.72 6.61
6 4.51 4.65 4.8 6.63
7 4.53 4.52 4.88 6.68
8 4.53 4.51 4.94 6.54
표 23은 실시예 2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실시예 3의 안정성시험에 따른 pH 결과변화
기간 (weeks) 5℃ 25℃ 40℃ 60℃
0 5.07 5.07 5.07 5.07
1 5.03 4.88 5.02 5.24
2 4.99 4.98 5.18 6.28
3 5.05 4.91 5.35 6.59
4 4.98 4.9 5.41 6.74
5 5.03 4.91 5.57 6.81
6 4.95 4.92 5.79 6.8
7 4.97 4.95 6.06 6.88
8 4.97 4.97 6.2 6.73
표 24는 실시예 3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실시예 4의 안정성시험에 따른 pH 결과변화
기간 (weeks) 5℃ 25℃ 40℃ 60℃
0 5.64 5.64 5.64 5.64
1 5.61 5.52 5.6 5.76
2 5.62 5.56 5.81 6.35
3 5.57 5.6 5.99 6.63
4 5.54 5.53 6.03 6.78
5 5.55 5.52 6.14 6.84
6 5.53 5.54 6.3 6.91
7 5.55 5.57 6.47 6.99
8 5.59 5.59 6.58 7.01
표 25는 실시예 4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실시예 5의 안정성시험에 따른 pH 결과변화
기간 (weeks) 5℃ 25℃ 40℃ 60℃
0 6.1 6.1 6.1 6.1
1 6.06 5.97 6.1 6.16
2 6.08 6.08 6.38 6.56
3 6.05 6.03 6.5 6.78
4 6.05 6.03 6.54 6.99
5 6.03 6.01 6.62 7.01
6 6.03 6.03 6.75 7.09
7 6.03 6.05 6.88 7.17
8 6.06 6.08 6.96 7.23
표 26은 실시예 5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실시예 6의 안정성시험에 따른 pH 결과변화
기간 (weeks) 5℃ 25℃ 40℃ 60℃
0 6.31 6.31 6.31 6.31
1 6.23 6.19 6.3 6.4
2 6.29 6.28 6.64 6.75
3 6.28 6.3 6.76 6.99
4 6.27 6.26 6.79 7.13
5 6.24 6.23 6.84 7.16
6 6.24 6.25 6.96 7.24
7 6.25 6.27 7.06 7.33
8 6.28 6.3 7.11 7.39
표 27은 실시예 6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실시예 7의 안정성시험에 따른 pH 결과변화
기간 (weeks) 5℃ 25℃ 40℃ 60℃
0 6.56 6.56 6.56 6.56
1 6.45 6.42 6.51 6.56
2 6.56 6.53 7.03 6.82
3 6.51 6.51 7.05 6.97
4 6.51 6.49 7.11 7.15
5 6.49 6.45 7.12 7.18
6 6.49 6.48 7.19 7.26
7 6.25 6.49 7.24 7.35
8 6.56 6.52 7.32 7.41
표 28은 실시예 7에 따른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결과이다.
안정성 시험은 1 ~ 5 ℃의 냉장고, 실온 및 40 ℃, 60 ℃ 가온 챔버에서 보관하여 진행되었으며, 모든 제품은 멸균 후 냉장고 및 챔버에 보관한 후 해당 주차에 불출하여 성상과 pH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저온환경(5℃), 실온환경(25℃), 가속환경(40℃) 가혹환경(60℃)에서도 실시예2 ~ 7은 pH가 낮아지지 않고, 유지되거나 높아지는 형태를 보였으며, 이는 미네랄이 안정적으로 녹아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종업자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네랄 주사제의 pH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첨가된 pH 조절제 만으로 pH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안정성 시험을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하다는 것을 본 발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구리, 크롬, 아연, 망간 및 셀레늄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하며, pH가 4~11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9 ~ 2.36 mM, 상기 크롬은 0.0019 ~ 0.029 mM, 상기 아연은 0.38 ~ 15.29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mM, 상기 셀레늄은 0.0025 ~ 0.089 mM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5. 구리, 크롬, 아연, 망간, 셀레늄, 철, 요오드, 불소 및 몰리브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네랄 미량원소를 약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용량으로 포함하며, pH가 4~11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8 ~ 2.36 mM, 상기 크롬은 0.0019 ~ 0.029 mM, 상기 아연은 0.38 ~ 15.29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 mM, 상기 셀레늄은 0.0025 ~ 0.089 mM, 상기 철은 0.18 ~ 3.58 mM, 상기 요오드는 0.00079 ~ 0.024 mM, 상기 불소는 0.26 ~ 7.63 mM, 상기 몰리브덴은 0.001 ~ 0.026 mM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9. 미네랄 미량원소인 구리, 망간 및 아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미네랄 미량원소중에서 상기 구리는 0.078 ~ 2.36 mM, 상기 망간은 0.027 ~ 1.46mM, 상기 아연은 0.38 ~15.29 mM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pH 조절제로 구연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 젖산 나트륨, 에데트산 나트륨 및 그 수화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의 농도가 0.1 ~ 1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KR1020190172366A 2018-12-20 2019-12-20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KR102295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6471 2018-12-20
KR1020180166471 2018-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462A true KR20200077462A (ko) 2020-06-30
KR102295585B1 KR102295585B1 (ko) 2021-08-31

Family

ID=7112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366A KR102295585B1 (ko) 2018-12-20 2019-12-20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5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6426A1 (en) * 2020-07-02 2022-01-06 American Regent, Inc. Trace elem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
US11998565B2 (en) 2023-03-21 2024-06-04 American Regent, Inc. Trace elem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4511A1 (en) * 2004-04-29 2005-11-03 Laurie Robert N Trace elements
JP2006117586A (ja) * 2004-10-21 2006-05-11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総合輸液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4511A1 (en) * 2004-04-29 2005-11-03 Laurie Robert N Trace elements
JP2006117586A (ja) * 2004-10-21 2006-05-11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総合輸液製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6426A1 (en) * 2020-07-02 2022-01-06 American Regent, Inc. Trace elem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
US11786548B2 (en) 2020-07-02 2023-10-17 American Regent, Inc. Trace elem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
US11975022B2 (en) 2020-07-02 2024-05-07 American Regent, Inc. Trace elem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
US11998565B2 (en) 2023-03-21 2024-06-04 American Regent, Inc. Trace elem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and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585B1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03190C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3,4-dimethoxycinnamoyl) anthranilic acid
RU2260429C9 (ru) Составы моксифлоксацина, содержащие поваренную соль
TWI419683B (zh) 骨代謝改善劑
AU2007309968B2 (en) Aqueous pharmaceutical suspensions containing rebamipid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RU2093160C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воздействия на ретикулоэндотелиальную систему, лечения муковисцидоза и хронических болевых синдромов, сопровождающих заболевания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и онкологические заболевания
CN101732246A (zh) 莫西沙星水溶液型注射剂
KR102295585B1 (ko) 새로운 미네랄 주사제 조성물
AU2023210659A1 (en) Ready to use liquid reck formulation
JPS6363534B2 (ko)
CN105796489A (zh) 一种布洛芬注射液
KR101924786B1 (ko) 이부프로펜의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WO2011052765A1 (ja) 白金含有薬剤投与による腎障害の軽減剤
JP2008534610A (ja) イクサベピロンの投与方法
JP3484689B2 (ja) 微量元素製剤
WO2024066734A1 (zh) 一种高稳定性阿法骨化醇液体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252944B1 (ko) 투석 조성물
JPH0296515A (ja) 点眼液
JPS6333327A (ja) 安定化されたフエニレフリン系液剤
JPH01246227A (ja) 塩化ベンザルコニウム含有水性製剤の配合禁忌防止方法
JP5535900B2 (ja) ガチフロキサシン含有水性液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該水性液剤の低温保存および凍結融解時の沈殿生成を抑制する方法
JPWO2013062050A1 (ja) ゲムシタビン水溶液製剤
JP2012067129A (ja) 点眼剤
EP0051962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4-carbamoyl-imidazolium-5-olate
CN110200905A (zh) 一种盐酸氨溴索组合物及其注射液与应用
JP4961671B2 (ja) 点眼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