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169A -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169A
KR20200077169A KR1020180166416A KR20180166416A KR20200077169A KR 20200077169 A KR20200077169 A KR 20200077169A KR 1020180166416 A KR1020180166416 A KR 1020180166416A KR 20180166416 A KR20180166416 A KR 20180166416A KR 20200077169 A KR20200077169 A KR 20200077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owder
talc
mica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424B1 (ko
Inventor
변희영
우수연
서은주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6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4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4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이 높은 매트타입의 압축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적용시 광택이 최소화되고, 높은 박샐력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Talc-free matte type pressed powder cosmetic composition}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크는 아이섀도우의 메인 베이스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석면과 관련하여 업계에서 안전성 등에 대한 이슈가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탈크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소비자를 위해 탈크 대용으로서 마이카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탈크-프리 제품의 개발을 위하여 마이카(MICA)를 사용할 수 있는데, 마이카의 특성상 광택감이 높아,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에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진한 발색을 표현할 수 없고, 무광택 외관을 부여할 수 없으며, 이 외에도 성형 안정성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마이카는 매트 타입처럼 무광택 외관과 발색을 필요로 하는 섀도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탈크는 판상성을 갖기 때문에, 분말이 압축됐을 때 층층이 정돈된 상태로 쌓여있어 안정성을 갖지만, 마이카는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고 불균형 상태로 있기 때문에 마이카만 사용하는 안정성에 측면에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탈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광택감이 적은 무광택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제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일 양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기 분체; 메탈 소프;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탈크를 포함하지 않는 무기 분체; 고함량의 메탈 소프; 및 저함량의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무기 분체; 메탈 소프;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탈크를 포함하지 않는 무기 분체; 고함량의 메탈 소프; 및 저함량의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체"는 화장료의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백색 및 착색 안료, 자외선 산란제 등의 미립자(소위 나노 입자를 포함함) 및 체질 안료를 포함한다. 백색 및 착색 안료는 화장료의 착색 등에 사용되는 반면에, 체질 안료는 화장료의 감촉 개량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체"로는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는 백색 및 착색 안료, 및 체질 안료를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분체를 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분체의 형상(구상, 봉상, 침상, 판상, 부정형상, 방추상 등), 입자 크기(연무상, 미립자, 안료급 등) 및 입자 구조(다공질, 무공질 등)는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일차 입자 크기가 1 nm 내지 100 ㎛의 범위에 일 수 있다.
분체로는 예를 들면, 무기 분체, 유기 분체, 메탈 소프, 유색 안료, 펄 안료, 금속 분말 안료 등을 들 수 있고, 게다가, 이것들을 복합화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기 분체로는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화칼슘,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백운모, 합성 운모, 금운모, 홍운모, 흑운모, 리티아 운모, 규산, 무수 규산, 규산알루미늄, 규산나트륨, 규산나트륨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마그네슘, 규산칼슘, 규산바륨, 규산스트론튬, 텅스텐산 금속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버미큘라이트, 하이질라이트(HIGILITE), 벤토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제올라이트, 세라믹스 파우더, 제2인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질화보론 등; 유기 분체로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폴리에스테르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폴리프로필렌 파우더, 폴리스티렌 파우더, 폴리우레탄 파우더, 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메틸벤조구아나민 파우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파우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파우더, 셀룰로오스, 실크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12 나일론, 6 나일론, 실리콘 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구상 분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다이비닐벤젠·스티렌 공중합체, 비닐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미결정 섬유 분체, 전분 분말, 라우로일라이신 등; 메탈 소프로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팔미트산아연, 라우르산아연,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등; 유색 안료로는 벵갈라, 산화철, 수산화철, 티탄산철의 무기 적색 안료, γ-산화철 등의 무기 갈색계 안료, 황산화철, 황토 등의 무기 황색계 안료, 흑산화철, 카본 블랙 등의 무기 흑색 안료, 망간 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의 무기 자색 안료, 수산화크롬,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티탄산코발트 등의 무기 녹색 안료, 감청, 군청 등의 무기 청색계 안료, 적색 3호, 적색 104호, 적색 106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적색 228호, 적색 230호, 적색 401호, 적색 5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2호, 황색 203호, 황색 204호, 황색 401호, 청색 1호, 청색 2호, 청색 20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녹색 201호, 녹색 204호, 녹색 205호, 오렌지색 201호, 오렌지색 203호, 오렌지색 204호, 오렌지색 206호, 오렌지색 207호 등의 타르계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카민산, 락카산, 카르타민, 브라질린, 크로신 등의 천연 색소를 레이크화한 것 등; 펄 안료로는 산화티탄 피복 운모, 운모 티탄, 산화철 처리 운모 티탄, 산화티탄 피복 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티탄 피복 탈크, 아르젠틴, 산화티탄 피복 착색 운모 등; 금속 분말 안료로는 알루미늄, 금, 은, 구리, 백금,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분말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체는 소수성 분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체 자체의 표면이 소수성이 아닌 경우는, 그 표면에 소수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소수성 분체끼리를 복합화할 수 있다.
소수성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분체를 각종 소수화 표면처리제로 처리하는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메치콘 처리, 하이드로젠다이메치콘 처리, 다이메치콘 처리, 실리콘 레진 처리, 실리콘 검 처리, 아크릴 실리콘 처리, 불소화 실리콘 처리 등의 오르가노실록산 처리; 스테아르산아연 처리 등의 금속 비누 처리; 실란 커플링제 처리, 알킬 실란 처리 등의 실란 처리; 퍼플루오로알킬실란, 퍼플루오로알킬인산 에스테르 염,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처리 등의 불소 화합물 처리; N-라우로일-L-라이신 처리 등의 아미노산 처리; 스쿠알렌 처리 등의 유제 처리; 아크릴산알킬 처리 등의 아크릴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무기 분체는 예를 들면, 메치콘 처리 마이카, 하이드로제다이메치콘 처리 마이카, 다이메치콘 처리 마이카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분체는 탈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포함하지 않는"이란,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의 의미이며, 여기에서 "실질적으로"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의 10 질량% 이하까지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상기 탈크가 일정 정도 이상의 광택을 나타내지 않는 정도의 함량으로 수준으로 포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포함하지 않는"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함량은 10 중량%, 8 중량%, 6 중량%, 4중량%, 또는 2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탈크가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무기 분체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 10 내지 50중량%, 20 내지 50중량% 또는 20 내지 45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메탈 소프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5 내지 40중량%, 10 내지 40중량%, 10 내지 35중량%, 15 내지 35중량%, 또는 15 내지 30중량% 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메탈 소프, 및 무기분체를 포함하는 체질 안료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95중량%, 20 내지 95중량%, 30 내지 95중량%, 또는 40 내지 95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체는 구상 분체일 수 있다. 상기 구상 분체는 복원력이 낮은 분체로서,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테르계 오일,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C12∼15 알킬 옥타노에이트(octanoate), 미리스틸 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세틸 옥타노에이트(cetyl octano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octyldodecyl myrist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디(C12-C13) 알킬 말레이트(di(C12-C13) alkyl malate), 미리스틸 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디이소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펜타에리스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및 디글리세릴 트리이소테아레이트(diglyceryl tri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알킬 말레이트(di(c12-c13) alkyl malate), 미리스틸 락테이트(myristyl lactate),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octyldodecyl stearoyl stearate), 디이소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yl malate), 펜타에리스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isostearate) 및 디글리세릴 트리이소테아레이트(diglyceryl tri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dimethicone), 페닐트리메치콘(phenyl trimethicone), 디메치콘/트리메칠실록시실리케이트(dimethicone/trimethylsiloxysilicate/),디페닐디메치콘(diphenyl dimethicone) 및 트리페닐 메치콘(triphenyl 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바인더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8 중량%, 0.5 내지 8 중량%, 1 내지 8 중량%, 2 내지 6 중량% 또는 2 내지 5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분산제"는 큰 입자와 응집한 입자를 분쇄하여 보다 작은 입자와 콜로이드 입자로 만들 때 생성된 미소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물질로, 계면 활성제, 고분자 물질 등 흡착성 물질이 포함된다. 이 외에 당해 업계에서 쓰이는 어떠한 화장료용 분산제도 사용이 가능하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보습제, 유화제, 점증제, 분산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항산화제,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섀도우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뿐만 아니라 아이 섀도우 제형, 파우더형 섀도우 제형 또는 크림형 섀도우 제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가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내지 약 50 중량%, 구체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0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탈크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면서, 고함량의 메탈 소프를 포함하고, 저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함으로써, 준수한 성형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었고, 광택이 최소화되었으며, 높은 함량의 색소를 적용하여도 부드러운 사용감이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제품 외관 색과 피부 발색 간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발색 매트 타입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무광택 고발색을 표현하는 매트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성형 안정성이 높은 매트타입의 압축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적용시 광택이 최소화되고, 높은 박샐력을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탈크 프리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탈크 프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과 배합 비율을 사용하여 압축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의 원료 1 내지 4을 헨셀 믹서에 넣고 1500 rpm으로 2분간 2번 혼합하였다. 이후에, 원료 5 내지 8을 65 ℃로 가온하고 1)에 미세 분사 후 1200rpm으로 1분간 2번 혼합하고 분쇄 처리하였다. 다음으로, 색과 디자인을 위해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적량의 배합으로 믹싱 후 한가지 반제품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믹싱된 내용물을 알루미늄 팬에 충진하여 압축 성형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파우더 1. 마이카/하이드로젠디메치콘 35
2.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실리카 30
3.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22
4.색소 10
오일 5. 페닐트리메치콘 0.75
6.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0.75
7.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0.25
8.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0.25
9. 프로판디올 1
비교예. 탈크 포함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탈크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성분과 배합 비율을 사용한 것만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의 매트 타입 섀도우를 만들기 위해 주로 들어가는 원료들을 사용하였고 색소는 추후 발색력 비교를 위해 실시예와 동일하게 같은 함량으로 적용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파우더 1. 탈크/디메치콘 40
2.마이카/라우로일라이신/트리에톡시카프릴릴실란 14
3. 마이카/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15
4. 나일론-12 3
5.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디메치콘/메치콘 5
6.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1.50
7. 마그네슘미리스테이트 1.50
8. 실리카/마카다미아씨오일/디메치콘 1
9.색소 10
오일 10. 네오펜틸글라이콜디에칠헥사노에이트 2.40
11. 페닐트리메치콘 2
12. 이소스테아릴네오펜타노에이트 0.80
13.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0.80
14.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0.80
15.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 0.80
16. 폴리부텐 0.40
9. 프로판디올 1
실험예 1. 광택감 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 기존의 대중적인 매트 섀도우 (비교예)와 비교했을 때 광택감이 적은지 확인하기 위하여 Skin Glossmeter(Delfin)로 광택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한 후, 광택감을 평가하였고, 대조군으로서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의 피부 표면의 광택감도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치가 낮을수록 광택감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측정1 측정2 측정3 평균
무처리 피부 55 54 50 53
실시예 57 58 57 57.3
비교예 61 60 58 59.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처리 피부의 광택감과 비교했을 때, 실시예 경우 측정 수치가 무처리 피부에 더 근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의 경우 광택감이 무처리 피부 및 실시예에 비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무광택인 피부에 더 근접하게 무광택임을 의미하고,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은 어느 정도 광택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광택감이 현저히 적은 것을 알 수 있으며, 무광택을 구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발색력 평가
상기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발색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SPECTROPHOTOMETER CM-2500d(Konica Minolta) 를 이용하여 발색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L* 값은 흰끼/밝기의 정도를 의미하며 a* 값은 붉은 정도를 뜻한다. b* 값은 노란 정도를 나타낸다.
L* a* b*
실시예 59.36 17.96 12.88
비교예 63.85 12.04 14.55
상기 표 4에 나타낸 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L* 값이 비교예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바탕색인 피부가 밝기 때문에 L* 값이 높게 나왔다는 것은 피그먼트보다 하얀색에 더 근접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이 발색력은 광택력과 반대로 비교예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의 a* 값이 비교예보다 높음을 알 수 있고, 이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색소 함량이 동일하더라도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에 더 붉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참고적으로 실시예의 b* 값은 비교에보다 낮지만 b* 값은 노란 정도를 수치화한 것이기 때문에 노란색 계열의 색소가 들어가지 않은 이 실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결과는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마이카에 의한 광택으로 가려졌던 발색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탈크를 포함하지 않는 무기 분체; 메탈 소프(metal soap); 및 오일 바인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분체는 마이카 또는, 소수성 처리된 마이카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탈 소프는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알루미늄,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미리스트산아연, 미리스트산마그네슘, 팔미트산아연, 라우르산아연, 세틸인산아연, 세틸인산칼슘, 세틸인산아연나트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는 에스테르계 오일, 실리콘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기 분체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15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탈 소프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바인더를 전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8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압축 분말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아이섀도우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무광택 고발색을 표현하는 매트 타입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66416A 2018-12-20 2018-12-20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KR102177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416A KR102177424B1 (ko) 2018-12-20 2018-12-20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416A KR102177424B1 (ko) 2018-12-20 2018-12-20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169A true KR20200077169A (ko) 2020-06-30
KR102177424B1 KR102177424B1 (ko) 2020-11-11

Family

ID=7112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416A KR102177424B1 (ko) 2018-12-20 2018-12-20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42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738A (ko) * 2020-09-16 2022-03-23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9977A (ko) 2020-10-15 2022-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일 흡유량이 높은 파우더와 과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압축 분말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5339A (ko) 2021-09-28 2023-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올-오일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24053786A1 (ko) * 2022-09-06 2024-03-14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알루미늄이 포함되지 않은 지방산이 코팅된 이산화티탄 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79A (ko) * 1995-08-04 1997-03-27 랑핑거, 스타인호프 다금속 산화물 물질
JP2014005279A (ja) * 2012-06-01 2014-01-16 Kose Corp 固形粉体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879A (ko) * 1995-08-04 1997-03-27 랑핑거, 스타인호프 다금속 산화물 물질
JP2014005279A (ja) * 2012-06-01 2014-01-16 Kose Corp 固形粉体化粧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738A (ko) * 2020-09-16 2022-03-23 코스맥스 주식회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9977A (ko) 2020-10-15 2022-04-22 코스맥스 주식회사 오일 흡유량이 높은 파우더와 과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압축 분말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5339A (ko) 2021-09-28 2023-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올-오일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23054921A1 (ko) * 2021-09-28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올-오일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24053786A1 (ko) * 2022-09-06 2024-03-14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알루미늄이 포함되지 않은 지방산이 코팅된 이산화티탄 분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424B1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424B1 (ko) 탈크―프리 매트 타입의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US20050142084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creous pigments of large sized synthetic mica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4799939B2 (ja) 粉末化粧料
KR101587783B1 (ko) 휘발성 유기 겔을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7088183B2 (ja) 粉体改質剤および複合粉体、ならびにメイクアップ化粧料
EP2044924A1 (en) Powdery cosmetic
KR20180111261A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US20180028414A1 (en) Method for producing solid powder cosmetic material and solid powder cosmetic material
WO2022097476A1 (ja) 化粧料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20070006088A (ko) 표면 탄성을 지닌 프레스 타입의 색조 화장료
JP7186125B2 (ja) 化粧料
KR20220161249A (ko) 분말 함유 화장료
JP2002003744A (ja) 焼結複合顔料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CN108078800B (zh) 油性化妆料
KR102594172B1 (ko) 타정성 및 낙하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816A (ko) 표면 개질된 무기 분말을 포함하는 세미-펄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2007291090A (ja) 粉末化粧料
JP2007211131A (ja) 黒色着色球状セルロース粉体および化粧料
WO2012098765A1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7490348B2 (ja) 粉末化粧料
KR20230046125A (ko) 건식 압축분말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80148B2 (ja) 表面処理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803940B1 (ko) 기능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그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