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207A -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207A
KR20200076207A KR1020180165084A KR20180165084A KR20200076207A KR 20200076207 A KR20200076207 A KR 20200076207A KR 1020180165084 A KR1020180165084 A KR 1020180165084A KR 20180165084 A KR20180165084 A KR 20180165084A KR 20200076207 A KR20200076207 A KR 20200076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manufacturing
steel
pipe
crack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홍열
박영환
송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6207A/ko
Publication of KR2020007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3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the longitudinal seam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8Submerged-ar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06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 파이프 등의 강관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부의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IPE HAVING EXCELLENT CRACK RESISTANCE AT WELDED PART}
본 발명은 라인 파이프 등의 강관을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부의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관을 제조하는 기술로, Roll bending, UOE, JCO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관 제조는 판재를 둥글게 말아서 원형의 단면을 갖추게 한 후, 끝단에 맞닿은 판재와 판재 사이를 용접하여 제조한다. 이와 같이 강관을 제조한 후, 진원도를 만들기 위해 확관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확관율은 강관의 종류나 고객사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확관을 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한 용접부의 내면에서 균열(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이렇게 발생한 균열을 보여주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용접부 내부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용접 재료나 모재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은 제조공정 상의 문제로 발생한다. 특히, 용접부 내부의 비드 끝단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균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강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이 확관시, 용접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강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확관시 강관 용접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는 명세서 전반적인 내용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추가적인 과제를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강판을 강관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강판의 에지부를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고, 이후 확관을 행하는 강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의 피킹각(peaking angle)이 85°이상이 되도록 성형하는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확관 시 발생하는 용접부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확율을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제품의 불량율을 낮춰 안정적으로 강관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확관시 용접부에서 균열이 발생한 것을 관찰할 사진으로, 특히 비드 끝단에서 균열이 발생한 것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용접부의 피킹각(peaking angle)의 개념을 모식화한 모식도이다.
도 3은 강관의 형상비(직경/두께, D/t)에 따른 피킹각(peaking angle)의 응력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발명자들은 강관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먼저 판재를 강관 형태로 성형하고 용접한 후, 확관 과정에서 용접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원인을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확관율 약 0.064% 정도에서 최초로 항복강도를 넘어선 후 최대 응력 집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확관율이 0.064% 수준에서 항복강도 이하의 응력 집중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판을 성형하여 강관 형태로 제조하고, 강판의 에지부를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한 후, 확관을 행하는 강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용접부의 피킹각(peaking angle)은 85° 이상이 되도록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강판을 강관 형태로 성형한 후 에지부를 용접하고 단면을 관찰하면, 일정한 각을 갖는다. 이때 양 에지부가 이루는 각을 반으로 나눈 값을 피킹각(peaking angle)이라 칭한다.
도 3은 강관의 형상비(직경/두께, D/t)에 따른 피킹각(peaking angle)의 응력분포를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 그래프이다. 상기 D는 강관의 직경(mm), t은 강판의 두께(mm)를 의미한다.
상기 도 3의 결과는 조관 후 0.064%의 확관율로 확관할 경우, 용접부 피킹각(peaking angle)에 따라, 응력 분포(σHoopYS, 여기서 σHoop는 소재에 걸리는 하중, σYS는 소재가 갖는 항복강도를 의미함)를 나타낸 것으로서, 형상비(D/t)에 상관없이, 확관시 약 82~83°의 피킹각(peaking angle)에서 항복강도와 동일한 응력집중 즉, σHoopYS이 1이 되는 것을 있다. 따라서, 상기 피킹각(peaking angle)이 85° 이상인 경우에는 구조의 설계 응력 기준인 소재 항복강도의 약 2/3 정도의 응력 집중 상태가 나타나므로, 용접부의 균열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피킹각(peaking angle)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강관의 형태상 9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강관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강판은 그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예로써, 원유(oil), 가스 등을 수송하는 라인파이프에 사용되는 강재가 있다. 이러한 강재는 강관의 사용환경에 따라 저온에서의 균열전파저항성과 인성이 우수하거나, 오일이나 가스 내의 불순물인 황화수소(H2S) 가스의 의한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방법은 확관을 수반하는 라인파이프 제조 공정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서, UOE 방법, JCOE 방법, 롤 벤딩(Roll bending)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UOE 방법은 판재를 프레스에 의해 판재 양 끝단(edge)을 굽혀주는 C-crimping 공정 후, 판재를 알파벳 U자, O자 순서로 성형한 후, 상기 양 끝단을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으로 용접하여 강관을 제조하고, 진원도 향상 및 잔류 응력 완화를 위해 확관을 실시한다.
상기 JCOE 방법은 판재를 알파벳 J자, C자 및 O자 순서로 성형한 후 판재 끝단을 용접하여 강관을 제조한 후, 확관을 실시한다. 롤 벤딩(Roll bending)은 3개의 롤(Roll) 사이에 판재를 통과시키면서, 롤(Roll)을 눌러 원하는 직경으로 강관을 제작한 후, 용접을 실시하고 확관을 행하여 강관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상기 피킹각(peaking angle)은 강관의 용접부에서 형성되기는 하는 것이지만, 용접과 무관하게, 상기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강관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판재의 양 끝단(에지부)가 최대한 수평하게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접 방법은 일예로써,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용접재료 및 용접조건(전극, 전류, 속도 등)은 제조되는 강관, 파이프의 재질, 기계적 특성, 용도, 용접 주체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확관 공정은 통상적으로 용접 후, 제조된 강관의 진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행해지며, 일정한 곡률을 가진 다수의 맨드릴(Mandrel)을 강관 내부에 위치시키고, 강관의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한 압력을 가해 원하는 직경의 강관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때, 확관율은 강관의 종류나 고객사의 요구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 0.8~1.5% 범위에서 수행된다.

Claims (4)

  1. 강판을 강관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강판의 에지부를 용접하여 용접부를 형성하고, 이후 확관을 행하는 강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의 피킹각(peaking angle)이 85°이상이 되도록 성형하는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 시, 강관의 응력 분포(σHoopYS, 여기서 σHoop는 소재에 걸리는 하중, σYS는 소재가 갖는 항복강도를 의미함)가 2/3 이하인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형은 UOE 방법, JCOE 방법 및 롤 벤딩(Roll bending)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행하는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관 시, 확관율은 0.8~1.5%로 행하는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KR1020180165084A 2018-12-19 2018-12-19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KR20200076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84A KR20200076207A (ko) 2018-12-19 2018-12-19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84A KR20200076207A (ko) 2018-12-19 2018-12-19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207A true KR20200076207A (ko) 2020-06-29

Family

ID=7140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84A KR20200076207A (ko) 2018-12-19 2018-12-19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62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3145B2 (ja) 溶接金属の耐水素脆化割れ特性に優れた高強度溶接鋼管とその製造方法
Lee et al. Mechanism of microstructural deterioration preceding type IV failure in weldment of Mod. 9Cr-1Mo steel
US6782921B1 (en) High-strength steel pipe excellent in formability and burst resistance
US3535484A (en) Method of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of electric resistance welded steel pipe
KR20200076207A (ko)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KR20200076206A (ko) 용접부 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강관의 제조방법
JP4916940B2 (ja) 溶接鋼管の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装置
JP5541432B1 (ja) 鋼管の製造方法
KR102235291B1 (ko) 강관 제조 방법
JP2007130669A (ja) 溶接部特性の良好な電縫管の高能率製造方法
JP5000148B2 (ja) 溶接鋼管の製造方法
JP4983201B2 (ja) 溶接部特性の優れた油井のラインパイプ向けまたは油井のケーシングパイプ向け電縫管製造方法
KR20180007997A (ko) 산업용 후육 강관의 제조방법
JP2003340518A (ja) 圧潰強度に優れたuoe鋼管の製造方法
JP3898909B2 (ja) 成形性及びバースト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管の製造方法
JP4975354B2 (ja) 高強度溶接鋼管の製造方法
JP4720479B2 (ja) 溶接部特性の良好な電縫管の高能率製造方法
JP2007160383A (ja) 溶接部特性の良好な電縫管の製造方法
JP5794166B2 (ja) Uoe鋼管の製造方法
KR20120075252A (ko) 조관 방법 및 조관 장치
JP2008110399A (ja) 溶接部特性の良好な電縫管製造方法
JP5194728B2 (ja) 溶接部特性に優れた電縫管の製造方法
JP5055758B2 (ja) ステンレス鋼の溶接継手
JP2009119484A (ja) 溶接部特性に優れた電縫管の製造方法
JP5263378B2 (ja) 溶接鋼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