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420A - 오염토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오염토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420A
KR20200075420A KR1020180164073A KR20180164073A KR20200075420A KR 20200075420 A KR20200075420 A KR 20200075420A KR 1020180164073 A KR1020180164073 A KR 1020180164073A KR 20180164073 A KR20180164073 A KR 20180164073A KR 20200075420 A KR20200075420 A KR 20200075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ed soil
water
washing
contaminants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8855B1 (ko
Inventor
이재원
이승우
유경민
Original Assignee
지우이앤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우이앤이(주) filed Critical 지우이앤이(주)
Priority to KR1020180164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855B1/ko
Priority to CN201811625062.6A priority patent/CN109365502A/zh
Publication of KR20200075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6Jet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토와 물이 함께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오염토 중 오염 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부 및 상기 오염토에 대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오염 물질이 탈리된 상태에서 상기 오염토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마련되며, 감압 시 발생된 공동 기포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에 대한 연속적인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염토 세척 장치{Washing apparatus for contaminated soil}
본 발명은 오염토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한 오염토 입자의 이물질이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오염의 경우 일단 오염이 되고 나면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주변 환경에 2 차 오염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오염된 토양은 반드시 현장에서 빠른 시간 내에 정화시켜 복원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토양 세척기법은 이미 1970년대 말 미국에서 처음 개발되어 현재는 미국을 비롯하여 독일, 네덜란드 등 많은 나라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특허기술중의 하나로서 각 지역, 각 국의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그 적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다양한 유기 오염물질 및 중금속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는 현 실정에 비추어 보아 현장 적용이 크고 경제적으로도 효율성이 뛰어난 정화기법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정유공장을 비롯한 각종 유류 취급 공장지역 내의 토양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염토양을 효율적으로 굴착하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볼 때, 토양 세척기법은 크게 Ex-situ 세척기법과 In-situ 세척기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Ex-situ 세척기법은 흔히 토양 세척(Soil Washing)이라고도 하는데 토양내 오염 내 물질의 분포 및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처리범위의 오염토양을 굴착한 후, 적절한 세척용액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을 세척하는 기법으로 one-site 처리와 off-site 처리로 나눌 수 있다.
또한, In-situ 세척기법은 토양을 굴착하지 않고 세척용액 주입정, 세척용액 배출정, 세척유출수 처리시설, 펌프 및 계장시설, 휘발물질 처리시설 등을 오염된 부지에 설치하여 토양 내에서 세척수를 순환시켜 세척하는 기법으로 처리시간이 길며, 토양공극이 막혀 세척장치에 있어 세척용액의 회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세정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오염된 토양을 세정장치에 투입하여 약품과 교반기를 통해 세정하여 상대적으로 세정이 어려운 미세한 오염토 입자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분리시키는 세척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수 분사 및 유속 증가를 통해 오염 물질에 대한 1 차적 탈리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물을 포함한 오염토에 대한 감압이 발생되게 하여, 이때 발생된 공동 기포의 붕괴에 의해 오염토의 표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 2 차적 탈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단순한 물리적 처리과정 만을 통해 효과적인 탈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오염토 세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는 오염토와 물이 함께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오염토 중 오염 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부 및 상기 오염토에 대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오염 물질이 탈리된 상태에서 상기 오염토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마련되며, 감압 시 발생된 공동 기포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에 대한 연속적인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탈리부는 상기 오염토에 대한 유속의 증가를 위하여 입측으로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염토에 대해 전단응력 및 수직응력을 발생시켜 오염 물질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쇄구간과, 상기 분쇄구간 단부에서 내부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쇄구간을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게 하여 상기 오염토의 표면으로 공동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확대구간 및 상기 공동 기포 붕괴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염토의 표면에 점착된 오염 물질을 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탈착구간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호퍼부에 투입되는 물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고압수가 상기 분쇄 구간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퍼부에 투입되는 물의 성분은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의 성분과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리부는 상기 탈착구간의 출측 상부에 형성되며, 휘발된 오염 물질의 포집을 위하여 포집 경로를 형성하는 포집구 및 상기 탈착구간의 출측 하부에 형성되며, 휘발된 오염 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세척 슬러리가 배출되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는 상기 배출 경로를 따르며 배출되는 상기 세척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상기 세척 슬러리를 입자 별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 경로를 따라 상기 세척 슬러리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마련된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세척 슬러리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세척 슬러리를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시키는 사이클론 및 상기 사이클론과 연결되며, 상기 세척 슬러리의 입자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크기로 분리 배출됨에 따라 물을 제거하여 정화토 상태로 최종 배출시키는 진동체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저장조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절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사이클론과 연결되며, 상기 세척 슬러리의 입자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의 크기로 분리 배출됨에 따라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 및 폐기되도록 형성되는 탈수 수단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고압수 분사 및 유속 증가를 통해 오염 물질에 대한 1 차적 탈리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물을 포함한 오염토에 대한 감압이 발생되게 하여, 이때 발생된 공동 기포의 붕괴에 의해 오염토의 표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 2 차적 탈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단순한 물리적 처리과정 만을 통해 효과적인 탈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오염 물질의 종류 및 특성에 구애 받지 않으며 폭넓은 처리가 가능하여 장치 적용의 범용성을 확대할 수 있고, 별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 물을 통해서만 오염 물질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를 손쉽게 재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처리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에 대한 탈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에 대한 탈리부의 오염 물질 분쇄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에 대한 분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에 대한 탈리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에 대한 탈리부의 오염 물질 분쇄 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에 대한 분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토 세척 장치는 호퍼부(100), 분사부(200) 및 탈리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호퍼부(1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오염토(선별대상 토양)에 대해 일정 입경 이상의 돌(자갈)을 포함하는 이물질은 외부로 배출시키고, 일정 입경 이하의 토양 및 자갈을 선별, 그 중 뭉친 토양을 분쇄시켜 입형을 개선시키고, 자갈에 점착된 오염토를 분리시키도록 한 상태에서, 이러한 오염토와 물이 함께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분사부(200)는 노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또한 호퍼부(100)를 통해 투입된 오염토 중 점착된 오염 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투입되는 오염토를 향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진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부(200)에는 별도의 압력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오염토를 향하여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 점착된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는 압력 수치만큼 선택적인 조절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부(200)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되는 물의 양은 호퍼부(100)에서 오염토와 함께 투입되는 물의 양보다 많은 양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호퍼부(100)로 투입되는 물 성분과 동일한 일반적인 물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탈리를 위한 세척제를 포함하는 유체가 아닌, 일반적인 물이 탈리를 위해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분리부(400)를 포함한 오염 물질 분리 공정 시 물(세척수)의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탈리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토에 대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고압수에 의해 오염 물질이 일부 탈리된 상태에서, 물과 함께 이동하는 오염토에 대한 유속이 증가되도록 마련된다.
탈리부(300)는 오염토를 향해 작용하는 압력이 감소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발생된 공동 기포를 이용, 분사부(200)와 함께 오염토에 점착된 오염 물질에 대한 연속적이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탈리부(300)는 길이 방향을 따르며 분쇄구간(A), 확대구간(B) 및 탈착구간(C)이 구비되어 형성된다.
먼저, 분쇄구간(A)은 오염토에 대한 유속 증가를 위해 입측으로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오염토에 대해 전단응력 및 수직응력을 발생시켜 오염 물질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분쇄구간(A)에서는 물과 함께 오염토가 이동함에 있어 그 직경이 작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오염토에 작용하는 압력은 높아지고, 유속은 빨라지게 되는데, 이때 오염토를 향하여 고압수가 분사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응력 및 수직응력과 함께 마쇄(attrition), 해쇄(disintegration)의 효과 또한 발생되어 오염토에 점착된 오염 물질에 대한 탈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확대구간(B)은 분쇄구간(A)의 단부에서 내부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분쇄구간(A)을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도록 하여 오염토의 표면으로 공동 기포가 발생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액체 속을 고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의 표면은 액압이 저하하는데, 이를 '베르누이의 정리' 라고 하며, 이러한 경우 압력이 액체의 포화 증기압보다 낮아진 범위에 증기가 발생하거나, 액체 속에 녹아 있던 기체가 나와서 공동(cavity)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은, 일반적으로 수력 터빈이나 선박용 프로펠러를 운전할 때 자주 발생하는 현상으로, 압력면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날개의 등 부분에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기포는 압력이 높은 부분에 이르면 급격히 부서져 소음이나 진동의 원인이 되고, 터빈이나 프로펠러의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실시에서는 상기와 같은 공동 현상(cavitation)을 이용한 것으로, 구조적 특징, 즉 직경이 확대된 확대구간(A)을 통해 물과 함께 이동하는 오염토의 감압이 이루어지게 하여 공동 기포(cavitation buble)를 적극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공동 기포 생성과 붕괴 과정에서 분출되는 에너지(micro jet)를 이용하여 오염토에 대한 세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에 의해 공동 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공동 기포는 오염토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탈착구간(C)에서 공동 기포가 붕괴되면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에 의해 오염 물질의 탈착 또는 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오염토에 대한 세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일반적으로 감압에 의해 발생되어 소음이나 진동의 원인, 효율 하락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발생이 저감되도록 하는 종래의 구조와는 반대로, 직경이 확대된 확대구간(B)을 통해 더 많은 양의 공동 기포가 적극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오염토 표면으로 이동하는 공동 기포의 붕괴를 통해 더 효과적으로 오염토에 점착된 오염 물질을 탈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부(200)를 통한 고압수의 분사 및 구조적 특성에 의한 공동 기포 발생 및 붕괴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처리를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 오직 물리적 처리를 통해서만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오염토의 성분에 따라 이루어지던 진동체, 사이클론 등을 통한 별도의 오염토 분리 공정을 삭제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오염토의 종류에 관계없이 오염 물질의 분리가 가능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탈착구간(C)은 공동 기포의 붕괴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하여 오염토의 표면에 점착된 오염 물질을 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탈착구간(C)에는 공동 기포를 통해 세척된 오염토와 휘발된 오염 물질이 물과 함께 공존하게 되며, 휘발된 오염 물질은 외부로 배출되고, 오염 물질이 제거된 오염토는 세척 슬러리(10)의 형태로 분리부(400)로 배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탈리부(300)는 포집구(310) 및 배출구(320)를 구비한다.
포집구(310)는 탈착구간(C)의 출측 상부에 형성되며, 공공 기포의 붕괴 시 발생된, 즉 휘발된 오염 물질의 포집을 위하여 포집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배출구(320)는 탈착구간(C)의 출측 하부에 형성되며, 휘발된 오염 물질이 포집구(310)를 통해 제거된 상태의 세척 슬러리(10)가 배출되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된 세척 슬러리(10)는 입자 크기에 따라 분별하여 최종적으로 정화토로 정화될 수 있도록 분리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배출구(320)에는 분리부(400)를 향해 배출되는 세척 슬러리(10)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별도의 조절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조절부재(미도시)는 밸브로 이루어져 그 상태가 폐쇄 위치에 위치됨에 따라 저장조(410)가 배출되는 세척 슬러리(10)로 인하여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쇄구간(A), 확대구간(B), 탈착구간(C), 특히 탈착구간(C)은 원자탄, 프라이팬, 고어텍스 등에 사용되는 테플론(Teflon)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탈착구간(C)의 경우 공동 현상이 발생되는 구간으로, 공동 기포의 경우 압력이 높은 부분에 이르면 급격히 부서져 소음이나 진동 뿐만 아니라, 마모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탈착구간(C)에서 발생하는 소음, 진동, 마모 등의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분리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20) 하방에 배치되며, 배출 경로를 따르며 배출되는 오염토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오염토와 오염 물질이 최종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조(410), 사이클론(420) 및 진동체(430)을 구비한다.
저장조(41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저장 공간이 마련되며, 배출구(320)의 하방에 배치되어 배출 경로를 따라 배출되는 세척 슬러리(10)가 저장된다.
사이클론(420)은 유체를 선회 흐름으로 하고 유체 속에 함유되는 이상(異相) 입자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액체에서 분리 포집하는 일반적인 사이클론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구성요소 역시 일반적인 사이클로 장치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저장조(410) 내부에 마련된 공급 펌프(P)에 의해 세척 슬러리가 공급되면, 이러한 세척 슬러리를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일, 사이클론(420)을 통해 세척 슬러리 입자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일례로 0.075mm 미만 크기로 분리된 경우에는, 탈수 수단(440)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물과 세척 슬러리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유수분리 및 응집처리 공정을 거쳐 폐기되게 된다.
진동체(430)는 사이클론(420)과 연결되며, 세척 슬러리 입자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크기, 일례로 0.075mm 이상의 크기로 분리되어 배출됨에 따라 정화토 상태로 공급되며, 이러한 정화토를 탈수하여 최종 배출시키도록 한다.
즉, 진동체(430)는 진동을 통해 사이클론(420)에서 이송된 세척 슬러리를 걸러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거름 막(미도시)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와 같은 사이클론(420)을 통한 분리의 과정 중 설정된 크기 미만의 세척 슬러리가 포함되는 경우 한번 더 분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순수한 정화토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름 막(미도시)을 형성하는 복수의 홀에 대한 단위 면적은 한번 더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에 대한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미리 설정된 크기, 일례로 0.075mm 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한번 더 분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세척 슬러리는 그 하방에 위치된 저장조(410)로 배출되게 되며, 공급 펌프(P)를 통해 재 공급되는 반복 순환 공정을 거치며 효과적으로 순수 정화토가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압수 분사 및 유속 증가를 통해 오염 물질에 대한 1 차적 탈리가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물을 포함한 오염토에 대한 감압이 발생되게 하여, 이때 발생된 공동 기포의 붕괴에 의해 오염토의 표면으로 가해지는 충격으로 2 차적 탈리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단순한 물리적 처리과정 만을 통해 효과적인 탈리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오염 물질의 종류 및 특성에 구애 받지 않으며 폭넓은 처리가 가능하여 장치 적용의 범용성을 확대할 수 있고, 별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 물을 통해서만 오염 물질의 제거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를 손쉽게 재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처리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세척 슬러리 20 : 정화토
100 : 호퍼부 200 : 분사부
300 : 탈리부 310 : 포집구
320 : 배출구 400 : 분리부
410 : 저장조 420 : 사이클론
430 : 진동체 440 : 탈수 수단
A : 분쇄구간 B : 확대구간
C : 탈착구간 P : 공급 펌프

Claims (8)

  1. 오염토와 물이 함께 투입되도록 형성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를 통해 투입된 상기 오염토 중 오염 물질을 탈리시키기 위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분사부; 및
    상기 오염토에 대한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분사부를 통해 오염 물질이 탈리된 상태에서 상기 오염토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마련되며, 감압 시 발생된 공동 기포를 이용하여 오염 물질에 대한 연속적인 탈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탈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상기 오염토에 대한 유속의 증가를 위하여 입측으로부터 직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오염토에 대해 전단응력 및 수직응력을 발생시켜 오염 물질의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분쇄구간;
    상기 분쇄구간 단부에서 내부 직경이 확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쇄구간을 통과하는 유체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게 하여 상기 오염토의 표면으로 공동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확대구간; 및
    상기 공동 기포 붕괴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염토의 표면에 점착된 오염 물질을 탈착시키도록 형성되는 탈착구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호퍼부에 투입되는 물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고압수가 상기 분쇄 구간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호퍼부에 투입되는 물의 성분은,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고압수의 성분과 동일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리부는,
    상기 탈착구간의 출측 상부에 형성되며, 휘발된 오염 물질의 포집을 위하여 포집 경로를 형성하는 포집구; 및
    상기 탈착구간의 출측 하부에 형성되며, 휘발된 오염 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세척 슬러리가 배출되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경로를 따르며 배출되는 상기 세척 슬러리를 연속적으로 순환시켜 상기 세척 슬러리를 입자 별로 분리시키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배출구의 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 경로를 따라 상기 세척 슬러리가 저장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마련된 공급 펌프에 의해 상기 세척 슬러리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세척 슬러리를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시키는 사이클론; 및
    상기 사이클론과 연결되며, 상기 세척 슬러리의 입자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크기로 분리 배출됨에 따라 물을 제거하여 정화토 상태로 최종 배출시키는 진동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저장조로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사이클론과 연결되며, 상기 세척 슬러리의 입자가 미리 설정된 크기 미만의 크기로 분리 배출됨에 따라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 및 폐기되도록 형성되는 탈수 수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토 세척 장치.
KR1020180164073A 2018-12-18 2018-12-18 오염토 세척 장치 KR102188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73A KR102188855B1 (ko) 2018-12-18 2018-12-18 오염토 세척 장치
CN201811625062.6A CN109365502A (zh) 2018-12-18 2018-12-28 受污染土壤洗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073A KR102188855B1 (ko) 2018-12-18 2018-12-18 오염토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420A true KR20200075420A (ko) 2020-06-26
KR102188855B1 KR102188855B1 (ko) 2020-12-09

Family

ID=65372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073A KR102188855B1 (ko) 2018-12-18 2018-12-18 오염토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8855B1 (ko)
CN (1) CN1093655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59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소각재 무해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KR102395666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토양정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4034B (zh) * 2019-05-23 2021-04-23 泰科检测科技江苏有限公司 土壤污染物转移修复系统及其土壤污染物转移修复方法
TWI785572B (zh) * 2021-04-22 2022-12-01 中臺科技大學 油污土壤篩選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30B1 (ko) * 2009-03-12 2009-07-07 주식회사케이에스티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KR101929272B1 (ko) * 2018-04-09 2018-12-14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복합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2286A (en) * 1992-03-17 1994-04-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groundwater remediation
SG73677A1 (en) * 1998-10-30 2000-09-19 Kumagai Gumi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treatment of granular substances with pollutants adhered
JP6096526B2 (ja) * 2013-02-13 2017-03-15 株式会社日本水処理技研 研磨機及びこれを用いた汚染物質除去システム並びに汚染物質除去方法
CN204247681U (zh) * 2014-06-10 2015-04-08 苏州同和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重金属污染土壤处理设备
CN205110351U (zh) * 2015-11-20 2016-03-30 湖南金旅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可挥发性污染物污染土壤修复装置
CN205463590U (zh) * 2016-01-06 2016-08-17 湖南恒凯环保科技投资有限公司 一种基于旋喷桩的土壤原位修复加药装置
JP6618039B2 (ja) * 2016-07-29 2019-12-11 Jfe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除染土壌処理装置及び方法
CN107457257A (zh) * 2017-08-04 2017-12-12 华东理工大学 一种径向颗粒洗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30B1 (ko) * 2009-03-12 2009-07-07 주식회사케이에스티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KR101929272B1 (ko) * 2018-04-09 2018-12-14 (주)티에스케이코퍼레이션 복합 오염 토양 정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659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소각재 무해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KR102395666B1 (ko) * 2021-04-29 2022-05-09 지우이앤이(주) 토양정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65502A (zh) 2019-02-22
KR102188855B1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855B1 (ko) 오염토 세척 장치
KR101744849B1 (ko) 오염토양의 정화처리 시스템 및 정화처리 방법
US6780312B2 (en) Filtration apparatus
WO2015137483A1 (ja) 放射性物質汚染水の除染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639691B1 (ko) 미세토양 정화를 위한 초음파 세척장치
CN104058526A (zh) 洗井液净化处理工艺
KR101902185B1 (ko) 버블층을 이용한 미세입자 제거 및 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JP6396075B2 (ja) 汚染土壌の湿式分級洗浄方法及び装置
JP5912525B2 (ja) 放射性物質汚染土砂の洗浄、減容化方法
JP5768391B2 (ja) 濾過装置
CN114733893B (zh) 用于土壤净化的模块型清洗装置
KR102112962B1 (ko)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US7445708B2 (en)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KR100906130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JP4906936B2 (ja) 濾材の洗浄システム及び濾材の洗浄方法
KR102432177B1 (ko) 여과재 굴상용 세척장치
JP6096526B2 (ja) 研磨機及びこれを用いた汚染物質除去システム並びに汚染物質除去方法
JP2003231891A (ja) 貯油タンクの洗浄及び燃料化方法
WO2013186873A1 (ja) 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
AU2001276599A1 (en) A plant for purifying water contaminated by droplets of hydrocarbonaceous liquid
GB2380952A (en) Regenerating filter media in situ
JP4421417B2 (ja) 汚染土壌の浄化処理装置
JP2004049938A (ja) 汚泥処理装置と方法
JP2010194391A (ja) スラッジ回収用ストレーナー
KR102395659B1 (ko) 소각재 무해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