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051B1 - 토양 세척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양 세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051B1
KR100784051B1 KR1020060136519A KR20060136519A KR100784051B1 KR 100784051 B1 KR100784051 B1 KR 100784051B1 KR 1020060136519 A KR1020060136519 A KR 1020060136519A KR 20060136519 A KR20060136519 A KR 20060136519A KR 100784051 B1 KR100784051 B1 KR 10078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dissolved air
pressurized dissolved
detergent
clean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해남
이대성
황병호
최동호
양성재
최상일
Original Assignee
금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및/또는 중금속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입도에 따라 분리함과 함께 오염 토양과 세척수의 접촉 빈도를 향상시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토양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체 형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를 복수개 수직 배열시키고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가압용존공기 및 세척제 혼합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오염 토양의 원활한 세척뿐만 아니라 세척된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토양 세척 시스템{Soil wash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분사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토양 세척 시스템 101 :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
102 : 제 1 세척제 저장조 103 : 제 2 세척제 저장조
104 : 용존공기 배관 105 : 세척제 저장조 배관
106 :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 107 : 제 1 혼합분사노즐
108 : 제 2 혼합분사노즐 120 : 전처리 장치
130 : 후처리 장치
200 : 토양 세척 장치 201 : 챔버
210 :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211, 221 : 개구부
220 :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230 :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본 발명은 토양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류 및/또는 중금속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입도에 따라 분리함과 함께 오염 토양과 세척수의 접촉 빈도를 향상시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토양 세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은 크게 대기 오염, 수질 오염 및 토양 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중 토양 오염은 식량 생산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표수는 물론 지하수 오염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오염된 토양은 빠른 시간 내에 정화되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되는 토양 오염은 주로 액상 폐기물의 무단 매립 또는 누출에 의해 발생되며 그밖에 장기간 산업활동 과정에서 방치되어 온 지상 적치물의 지하 확산에 의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토양 오염원으로서 유류 및 중금속을 들 수 있는데, 유류 및 중금속에 의한 토양 오염은 개별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으나 유류 및 중금속이 복합된 토양 오염 또한 적지 않다.
한편, 오염된 토양을 재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양 세척, 소각, 고형화, 안정화 및 용매 추출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방법과 토양 경작, 바이오벤팅(bioventing), 식물 복원 등과 같은 생물학적 방법이 있는데, 이들 중 토양 세척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토양 세척 방법은 적절한 세척제를 이용하여 토양 입자에 결합된 유기오염물질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거나 중금속을 액상으로 변화시켜 토양 입자로부터 분리시켜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광범위한 유기 및 무기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오염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토양 세척 방법은 계면 활성제나 산성 세척제를 세척제로 이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세척수에 의한 2차 오염 문제가 발생한다. 최근에는, 고압수 또는 고압 공기를 분사하여 토양을 세척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는데, 고압수를 이용하는 경우 많은 양의 물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고압 공기를 이용하는 경우 뭉쳐져 있는 오염 토양의 분리 및 파쇄에 어려움이 있고 토양 표면에 고압 공기의 전단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류 및/또는 중금속에 의해 오염된 토양을 입도에 따라 분리함과 함께 오염 토양과 세척수의 접촉 빈도를 향상시켜 오염된 토양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토양 세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은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 세척제 저장조, 전처리 장치, 토양 세척 장치 및 후처리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는 가압용존공기를 발생시키고 해당 가압용존공기를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과 혼합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 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세척제 저장조는 세척제를 저장하며, 상기 세척제 저장조의 배관은 각각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의 용존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제가 가압용존공기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은 상기 혼합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 내에 분사되며, 상기 토양 세척 장치는 상기 전처리 장치로부터 오염 토양을 공급받아 해당 오염 토양을 세척함과 함께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하고, 최종 분리된 오염 토양을 상기 후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토양 세척 장치는, 오염 토양의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에 수직 배열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체 형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들 및 상기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과 혼합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제 저장조는 제 1 세척제 저장조와 제 2 세척제 저장조로 구성되어 각각 제 1 세척제, 제 2 세척제를 저장하며, 상기 혼합분사노즐은 제 1 혼합분사노즐과 제 2 혼합분사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제 저장조의 배관은 각각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의 용존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 2 세 척제가 가압용존공기와 혼합될 수 있으며, 제 1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인 제 1 세척제 혼합물과 제 2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인 제 2 세척제 혼합물은 각각 상기 제 1, 제 2 혼합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 내에 분사된다.
한편, 최상단에 구비되는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여타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들 상부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과 혼합분사노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체 형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를 복수개 수직 배열시키고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가압용존공기 및 세척제 혼합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오염 토양의 원활한 세척뿐만 아니라 세척된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제 분사 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100)은 토양 세척 장치(200),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101), 제 1 세척제 저장조(102), 제 2 세척제 저장조(103), 전처리 장치(120) 및 후처리 장치(130)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는 상기 전처리 장치(120)로부터 오염 토양을 공급받아 해당 토양을 세척함과 함께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의 세부 구성은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101)는 가압용존공기를 발생시키고 해당 가압용존공기를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과 제 1 및 제 2 혼합분사노즐(107)(108)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 내에 공급하여 오염 토양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압용존공기라 함은 가압에 의해 물에 공기가 용해(dissolved air)되어 혼합된 것을 일컫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제 저장조(102)(103)는 각각 제 1 세척제, 제 2 세척제를 저장하는 장소로서 유류 제거용 화학용액 또는 중금속 제거용 화학용액이 세척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세척제 저장조(102)에는 유류 제거용 화학용액이 저장되고 상기 제 2 세척제 저장조(103)에는 중금속 제거용 화학용액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세척제 저장조(102)와 제 2 세척제 저장조(103)의 배관(10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101)의 용존공기 배관(104)과 연결되어 세척제가 가압용존공기와 혼합될 수 있으며,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은 각각 제 1, 제 2 혼합분사노즐(107)(108)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제 저장조(102)(103)의 배관(105)과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101)의 용존공기 배관(104)은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를 만족하도록 설계하여 별도의 부가 장치 없이 제 1 및 제 2 세척제 저장조(102)(103)에 저장되어 있는 세척제가 가압용존공기와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존공기 배관(10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제 저장조(102)(103)의 배관(105)과 만나는 부분은 여타 부분의 배관보다 그 직경이 작도록 설계한다.
한편, 상기 전처리 장치(120)는 최초 오염 토양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적용하는 장치로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진동체 분리장치를 구비시켜 일정 크기 이하의 토양을 걸러내도록 하고 밀폐형 드럼을 구비시켜 상기 진동체 분리장치에 의해 분리된 일정 크기 이하의 오염 토양을 파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진동체 분리장치 및 밀폐형 드럼 등의 전처리 장치(120)를 거친 오염 토양은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에 공급된다.
상기 후처리 장치(130)는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로부터 배출되는 오염 토양에 대해서 후처리 공정을 적용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처리 장치(120)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데 일 예로, 하이드로 사이클론, 응집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은 비중차에 의해 미세 토양을 추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응집조는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에 의해 배출되는 미세 토양을 응집제와 혼합하여 고형 성분을 폐기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였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토양 세척 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장치(200)는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 와 같이 토양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01)를 구비한다. 상기 챔버(201) 내에는 복수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가 수직 배열된다. 상기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며 오염 토양의 크기 및 상태에 따라 그 수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가 적용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3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는 제 1, 제 2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230)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230)는 각각 수평면에서 소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도록 구비되며,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의 경사 각도는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사 각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에서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로 갈수록 경사 각도가 커지도록 한다(α<β<γ). 이와 같이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를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이유는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공급된 토양이 안정적으로 이송되고 입도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는 체 형태로 구성되어 일정 크기 이하의 토양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는 60mm 이하의 토양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20)는 3mm 이하의 토양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도록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에 의해 토양의 입도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제 1 및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와는 달리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는 체 형태가 아닌 평판의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에 의해 걸러진 토양 등을 최종적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제 1 및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를 따라 이송된 토양은 세척이 완료된 청정 토사로서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분류되며,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송된 토양, 유류, 중금속 및 세척제는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후처리 장치로 이송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 이외에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 내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 및 혼합분사노즐이 장착된다. 이 중, 상기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 및 혼합분사노즐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230) 상부에 구비되어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이송되는 토양을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은 가압용존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혼합분사노즐은 가압용존공기와 세척제의 혼합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혼합분사노즐은 분사되는 세척제의 용도 즉, 유류 제거용 또는 중금속 제거용이냐에 따라 제 1 혼합분사노즐(107), 제 2 혼합분사노즐(108)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과 제 1 및 제 2 혼합분사노즐(107)(108)은 토양 입자 크기와 토양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 상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만 구비시키고, 상기 제 2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 상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과 제 1 및 제 2 혼합분사노즐(107)(108)을 모두 구비시 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의 챔버(201) 하부에는 상기 챔버(201)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장치(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장치(240)는 상기 챔버(201)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230) 상의 토양에 대한 입도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처리 장치(120)를 통해 오염 토양에 대한 전처리 과정이 진행된다(S401). 전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 장치(120)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진동체 분리장치와 밀폐형 드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체 분리장치에 의해 일정 크기 이하의 토양이 걸러지는 과정과 상기 밀폐형 드럼에 의해 오염 토양을 파쇄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전처리 장치(120)를 거친 오염 토양은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에 공급된다. 정확히는,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일단에 공급된다(S402). 여기서,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에 공급되는 오염 토양의 입자는 1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토양 세척 장치(200)에 오염 토양이 공급됨과 동시에 토양 세척 장치(200)를 구성하는 제반 구성요소가 동작하게 된다. 즉, 토양 세척 장치(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진동장치(240)가 동작되고, 상기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106)과 제 1 및 제 2 혼합분사노즐(107)(108)을 통해 가압용존공기와 제 1 및 제 2 세척제 혼합물이 제 1, 제 2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230) 상에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세척제 혼합물은 유류 제거용 세척제가 포함된 것이고, 상기 제 2 세척제 혼합물은 중금속 제거용 세척제가 포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양 세척 장치(200)가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일단에 공급된 오염 토양은 진동장치(240)의 동작 및 가압용존공기의 분사에 의해 일정 크기 이하 예를 들어, 60mm 이하의 입자는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개구부(211)를 통과하게 되고 60∼100mm 크기의 입자는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따라 이송되면서 세척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를 따라 이송되면서 세척된 토양은 청정 토사로서 별도의 이송 수단에 의해 분류된다(S403).
한편, 상기 제 1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의 개구부(211)를 통과한 오염 토양 입자들은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20) 상에 떨어지는데, 이 경우에도 진동장치(240)가 동작하고 가압용존공기와 제 1 및 제 2 세척제 혼합물이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20) 상에 분사됨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하의 입자 예를 들어, 3mm 이하의 입자는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개구부(221)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3∼60mm 크기의 입자들은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 트(220)를 따라 이송과 동시에 세척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다른 일단에 구비된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청정 토사로 분류된다(S404).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20)의 개구부(221)를 통과한 오염 토양 입자들은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 상에 떨어져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의 다른 일단에 구비된 별도의 이송 수단을 통해 후처리 장치로 전달된다. 이 때 역시,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 상에는 가압용존공기와 제 1 및 제 2 세척제 혼합물이 분사된다. 참고로,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송되는 것은 3mm 이하의 토양 이외에 오염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유류, 중금속 및 세척제 등이 포함된다(S405).
이와 같은 토양 세척 장치(200)를 통한 토양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10)(220)를 따라 이송된 토양은 청정 토사로써 분류되고,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송된 토양, 유류, 중금속 및 세척제 등은 후처리 장치(13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청정 토사의 분류 및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송된 물질의 후처리 장치로의 이송은 상기 토양 세척 과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후처리 장치(130)를 통해 상기 제 3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230)를 따라 이송된 오염물에 대한 후처리 과정이 진행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후처리 장치(130)는 하이드로 사이클론, 응집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로 사이클론에 의해 미세 토양이 추출되는 과정과 상기 응집조에 의해 고형 성 분이 폐기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S406).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세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체 형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를 복수개 수직 배열시키고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가압용존공기 및 세척제 혼합물을 분사시킴으로써 오염 토양의 원활한 세척뿐만 아니라 세척된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에 물과 공기가 혼합된 고압의 가압용존공기를 분사함에 따라 오염 토양에 큰 전단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되어 오염 토양의 파쇄 및 이송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부가하여 상기 가압용존공기에 세척제를 포함시켜 분사함에 따라 세척제의 접촉 효율을 향상시켜 오염 토양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가압용존공기를 이용함에 따라 재이용하거나 처리해야 할 폐수의 양이 최소화되고, 챔버의 공간 활용을 통해 대용량의 오염 토양을 처리할 수 있다.

Claims (3)

  1.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 세척제 저장조, 전처리 장치, 토양 세척 장치 및 후처리 장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는 가압용존공기를 발생시키고 해당 가압용존공기를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과 혼합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 내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세척제 저장조는 세척제를 저장하며, 상기 세척제 저장조의 배관은 각각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의 용존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제가 가압용존공기와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은 상기 혼합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 내에 분사되며,
    상기 토양 세척 장치는 상기 전처리 장치로부터 오염 토양을 공급받아 해당 오염 토양을 세척함과 함께 토양을 입도별로 분리하고, 최종 분리된 오염 토양을 상기 후처리 장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토양 세척 장치는,
    오염 토양의 세척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
    상기 챔버 내에 수직 배열되며, 서로 다른 크기의 개구부를 갖는 체 형태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들; 및
    상기 각각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에 구비되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과 혼합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제 저장조는 제 1 세척제 저장조와 제 2 세척제 저장조로 구성되어 각각 제 1 세척제, 제 2 세척제를 저장하며, 상기 혼합분사노즐은 제 1 혼합분사노즐과 제 2 혼합분사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제 저장조의 배관은 각각 상기 가압용존공기 발생장치의 용존공기 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제 2 세척제가 가압용존공기와 혼합될 수 있으며, 제 1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인 제 1 세척제 혼합물과 제 2 세척제와 가압용존공기의 혼합물인 제 2 세척제 혼합물은 각각 상기 제 1, 제 2 혼합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토양 세척 장치 내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최상단에 구비되는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 상부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여타의 토양 가이드 플레이트들 상부에는 가압용존공기 분사노즐과 혼합분사노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 세척 시스템.
KR1020060136519A 2006-12-28 2006-12-28 토양 세척 시스템 KR10078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519A KR100784051B1 (ko) 2006-12-28 2006-12-28 토양 세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519A KR100784051B1 (ko) 2006-12-28 2006-12-28 토양 세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051B1 true KR100784051B1 (ko) 2007-12-10

Family

ID=3914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519A KR100784051B1 (ko) 2006-12-28 2006-12-28 토양 세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0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33A1 (ko) * 2014-02-06 2015-08-13 이정용 원유묻은 돌과 모래의 원유제거 장치
CN114653744A (zh) * 2022-03-16 2022-06-24 北京北控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污染土壤固化稳定化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521B1 (ko) * 1996-10-24 2000-08-01 포만 제프리 엘 도시권 통신망에서의 억세스 레벨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291561B1 (ko) 1998-09-15 2001-06-01 박호군 토양 세척 장치
KR200411179Y1 (ko) 2005-12-19 2006-03-10 주식회사 오이코스 토양세척용 습식 선별장치
KR20060084085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청석기업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666123B1 (ko) 2006-07-04 2007-01-09 주식회사 알파환경엔지니어링 회전세척장치가 설치된 오염토양 다단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521B1 (ko) * 1996-10-24 2000-08-01 포만 제프리 엘 도시권 통신망에서의 억세스 레벨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291561B1 (ko) 1998-09-15 2001-06-01 박호군 토양 세척 장치
KR20060084085A (ko) * 2005-01-17 2006-07-24 주식회사 청석기업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200411179Y1 (ko) 2005-12-19 2006-03-10 주식회사 오이코스 토양세척용 습식 선별장치
KR100666123B1 (ko) 2006-07-04 2007-01-09 주식회사 알파환경엔지니어링 회전세척장치가 설치된 오염토양 다단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433A1 (ko) * 2014-02-06 2015-08-13 이정용 원유묻은 돌과 모래의 원유제거 장치
CN114653744A (zh) * 2022-03-16 2022-06-24 北京北控生态建设集团有限公司 污染土壤固化稳定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942B1 (ko)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870909B1 (ko) 유류에 오염된 토사석의 복원방법 및 그 장치
KR101805768B1 (ko) 오염토양을 세척, 파쇄 및 선별하는 습식 정량 공급시스템
KR10135814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토양 분리세척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4128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오염가스 세정장치
KR20200075420A (ko) 오염토 세척 장치
KR101711623B1 (ko)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오염토양 정화방법
KR100784051B1 (ko) 토양 세척 시스템
KR100460629B1 (ko) 토양세척기 및 이를 이용한 토양세척장치
KR101717126B1 (ko) 나노버블 및 유기산 다단세척을 이용한 복합오염토양 정화처리시스템
KR100950696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KR101223435B1 (ko) 유류 및 금속 혼합 오염 토양의 처리 시스템
KR100987198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1825528B1 (ko) 오염토양의 습식 세척, 선별 및 정량공급 장치
CN217700633U (zh) 用于土壤净化的模块型清洗装置
JP2006088056A (ja) Pcb汚染土壌の洗浄方法及びpcb汚染土壌の洗浄装置
KR101985827B1 (ko) 발전소 등의 기계설비 배관에 형성되는 스케일이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배관 오염물제거장치
KR102112962B1 (ko)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KR200471245Y1 (ko) 오염 토양 세척 장치
WO2013186873A1 (ja) 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
JP4421417B2 (ja) 汚染土壌の浄化処理装置
KR101148186B1 (ko)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KR101269213B1 (ko) 토양의 탄화수소오염 제거방법
KR20100077356A (ko) 초고압 세정장비의 미스트 제거장치
KR102395659B1 (ko) 소각재 무해화를 위한 모듈형 세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