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186B1 -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186B1
KR101148186B1 KR1020110130982A KR20110130982A KR101148186B1 KR 101148186 B1 KR101148186 B1 KR 101148186B1 KR 1020110130982 A KR1020110130982 A KR 1020110130982A KR 20110130982 A KR20110130982 A KR 20110130982A KR 101148186 B1 KR101148186 B1 KR 101148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jet
soil
compressed air
washing tank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제트 분사를 통해 토양 입자에 붙어 있는 오염성상들에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오염원을 분시 부상시켜 강제로 벗겨냄으로써 후공정에 들어가는 용출조의 기능을 간소화하고, 규격화된 조실에서 에어제트 반응하는 동안 사용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세척하고자 하는 오염된 토양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방이 개방된 세척조(11)와, 세척조(11) 바닥판(12)에 설치되어 세척조(11) 내에서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 그리고 세척조(11) 내에 설치되어 세척조(11) 내에서 이동하면서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SOIL WASHING APPARATUS USING AIR JET}
본 발명은 토양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가 수중의 토양에 충돌하면서 토양에 부착된 점성이 강한 유류나 중금속, 유기화합물질 등과 토양성상과 유종에 관계없이 오염물질에 접촉하여 미세공기와 미세진동으로 분화하면서 스카프에 부딪히면서 미세공기의 증폭으로 강력한 세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오염은 지하에 침투한 오염물질이 토양 또는 지하수 등을 오염시키는 현상으로서, 과거에는 광산지역이나 핵폐기물 처리지역에서 발생한 중금속 등에 의한 오염이 주류를 차지하였으나, 최근에는 산업화가 가속됨에 따라 군주둔 지역, 반도체 공장, 드라이클리닝, 도장 공장 및 주유소 등에서 발생된 유류에 의한 오염이 증가하면서 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유류 등에 의해 오염된 토양 등을 복원 또는 정화하는 기술은 복원방법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술로 분류되며, 복원하는 위치에 따라 지중 처리(In-situ)와 지상처리(Ex-situ) 기술로 분류된다. 그리고 오염된 매체에 따라 토양과 지하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에서 지중 처리(In-situ) 정화 방식은 토양증기 추출법과 바이오벤팅, 바이오스파징, 토양 세정법, 투수성 반응벽체 등이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토양증기 추출법(SVE; Soil Vapor Extraction)은 오염 토양이 기화 가능한 오염 물질로 오염된 경우에, 진공과 압력을 이용하여 가스상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한데, 이를 위하여 주입정 및 추출정을 설치하고 진공을 가하여 오염된 토양에서 휘발성, 준휘발성 오염물질을 추출 및 제거하는 기술이다.
상기 바이오벤팅(BV; Bio-Venting)은 공기(산소)나 영양분을 주입하여 토양내에 서식하고 있는 토착미생물의 활성을 촉진시켜 토양에 함유된 유류탄화수소의 생분해를 활성화 시키는 기술이다.
상기 바이오스파징(Biosparging)은 포화 대수층 내에 공기와 미생물을 강제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휘발시켜 제거하는 기술로서 주입된 공기와 미생물은 수평, 수직적으로 토양 공극을 통해 이동되며 증기 추출관으로 오염물질을 이동시킨다. 이 기술은 지하수와 토양사이의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해 운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기분산과 오염물질 분해미생물에 의해 다량의 지하수가 정화된다.
상기 토양 세정법(Soil Flushing)은 오염물 용해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첨가제를 함유한 물 또는 순수한 물을 토양 및 지하수에 주입하여 오염물질을 침출 처리하는 방법으로 오염물질에 따른 세척수의 선정이 중요한 기술로서 세척수로는 일반적으로 순수한 물,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물은 친수성 오염물질, 계면활성제는 소수성 오염물질을 정화하는데 주로 이용한다.
상기 투수성 반응벽체(PRBs; Permeable Reactive Barrier)는 오염대가 존재하는 지반에 투수성 반응벽체를 설치하여 지하수 오염대의 수리학적 흐름을 이용, 반응매질과 오염물질의 화학적 반응을 유도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반응벽체는 오염된 지하수의 흐름을 유지한 채로 그 위치에서 정화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후처리 및 정화과정에서의 동력이 필요 없는 경제적인 공법이다. 특히 단시일 내의 오염정화가 용이하지 않고, 지속적인 지하수 오염이 예상되는 경우에 지하수 흐름의 변경 없이 정화가 가능한 기술이다.
다음, 지상 처리(Ex-situ) 정화 방식은 바이오파일, 토양 경작, 열탈착법, 토양 세척법 등이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이오파일(Bio-Pile)은 오염토양을 굴착한 다음, 파일 또는 셀 형태로 설치하고 미생물활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공기, 영양물질, 미생물 등을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술이다.
상기 토양 경작(Land-Farming)은 오염토양을 굴착, 이송시켜 토양 내 존재하고 있던 토착미생물의 활성을 증진시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생분해 방법 중 하나로서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지표면에 깔아놓고 정기적으로 뒤집어줌으로써 공기를 공급해주고 미생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영양분, 수분을 공급하는 생분해 공정을 이용한 기술이다.
상기 열탈착법(Thermal Desorption)은 산소 또는 무산소 조건에서 대체로 500℃ 이하의 토양온도 조건에서 오염물질을 토양으로부터 제거하는 기술로서 휘발성 및 준휘발성 유기물과 유기염소 및 유기인 살충제의 제거가 가능하여, 효율이 높고 처리시간이 짧으며, 소각에 비해 가스 발생량이 적고 다이옥신 및 퓨란을 생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기술이다.
상기 토양세척법(Soil Washing)은 오염토양을 굴착하여 토양입자 표면에 부착된 유,무기성 오염물질을 세척액으로 분리시켜 이를 토양내에서 농축, 처분하거나 재래식 폐수처리방법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상기 토양세척기술은 파쇄기, 선별기, 분리장치, 혼합 및 추출장치, 세척액처리장치, 대기오염방지장치, 미세토양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단순한 물리적 화학적인 기작에 의해 오염성상을 입자로부터 분리 추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토양세척기술은 토양 정화시장에서 주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해 제한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유류에 인한 오염이나 각종 유기화합물질에 의한 토양 오염에서는 비용대비 정화효율이 확보되지 않아 적용 자체를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토양세척기술은 물로 토양을 씻어낸다는 개념에서 공법이 시작되어, 씻겨진 오염성상에 대해서는 수처리로 이어지는 공정에서 각 오염성상에 맞는 중화제나 응집제 등을 투여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오염성상들을 잡아내는 방식이다. 이는 토양 세척공정상에서 대규모의 수처리 공정이 함께 따르지 않으면 사실상의 오염제거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오염성상별로 각각에 맞는 중화제나 용출제, 응집제 등과 같은 약품의 대규모 투여가 불가피하다.
또한, 종래의 토양세척기술은 단순히 씻어내는 수준의 기술로, 토양의 입자에 점성이 강한 유기체로서 흡수되어 있는 유류나 유기화합물질 오염에 대해서는 분리/제거가 완전하지 않아 계획단계에서부터 부적합기술로서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토양 세척기술은 제 1 차 선별기와 파쇄기, 제 2 차 선별기, 토양 세척기, 제 3 차 선별기, 분급기에서 오염된 토양을 처리한 후 용출조, 건조 및 탈수조를 통해 정화된 토양으로 처리하고, pH 정화조, 응집조, 침전조, 슬러지 탈수조를 통한 수처리 공정을 거쳐 슬러지 케익을 배출 처리한다. 물론, 침전조에서 발생하는 상등수는 토양 세척기에서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
이는 토양을 세척할 때 오염된 토양량에 비해 6 내지 10배의 많은 물을 사용하므로 수처리 비용이 경제적인 부담을 주고, 물 사용량이 많아지므로 수처리설비가 커지며, 세척시설을 거친 토양이 또 한 번의 용출이나 건조/탈수 등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이를 위한 이중삼중의 설비가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토양성상별 작업과정이 다르고 유종별 장비 선택을 해야 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양성상과 유종에 관계없이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가 미세공기와 파장으로 분화되고, 스카프에 부딪히면서 수중에 와류를 형성하여 토양입자에 부착된 오염물질의 물리적 탈착을 유도하는 기술로써 적은 양의 물과 짧은 기간에 강력한 세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는, 세척하고자 하는 오염된 토양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방이 개방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바닥판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에서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 및 상기 세척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미세공기를 증폭시키는 스카프가 장착된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조는 일측면이 개폐가 가능한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는 그의 하단부가 상기 세척조 바닥판의 일측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는 양측단부에 상기 세척조 제 1 및 제 2 측면과 볼트 및 나비너트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 요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세척조의 제 1 및 제 2 측면과 상기 바닥판에 맞닿는 부위에 제 1 패킹이 내설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는 상기 도어와 맞닿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과 상기 바닥판 단부에 제 2 패킹이 내설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는 일측면이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판은 그의 외측면에 상기 이동판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은 상기 세척조의 내면과 맞닿는 부위에 제 3 패킹이 내설될 수있다.
상기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은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제트 노즐로서 상기 세척조의 바닥판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은 하단부에 스카프를 가지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트의 단부에 분리 결합되고, 상기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는 상기 세척조 제 1 및 제 2 측면 상단부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구비한 이동 지지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는 상기 이동 지지체에 고정된 유압모터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조 내에서 상기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은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지게 배열된 다수의 에어제트 노즐로서, 상기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압축공기 분배탱크에 접속되어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세척조는 제 2 측면에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가 위치한 상기 세척조의 일측면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처리 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조는 상기 바닥판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스팀라인 또는 히터를 구비하여 세척조 내부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에어제트 분사를 통해 토양 입자에 붙여 있는 오염성상들에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여 강제로 벗겨냄으로써 후공정에 들어가는 용출조의 기능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규격화된 조실에서 에어제트 반응하는 동안 필요한 물의 양이 정해져 있으므로 물의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류나 유기화합물질에 오염된 토양과 에어제트와의 물리적인 충돌적용으로 점성이 강한 유류나 유기화합물질에 의한 토양오염까지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에어제트의 물리적인 충돌로 인해 오염된 토양 입자에서 분리 제거된 오염성상들이 수면위로 부상하게 되고, 이를 걷어내어 처리함으로써 난분해성 오염성상에 대한 정화가 용이해지고 정화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세척조(11)의 일면인 도어(15)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세척조(11)의 일면인 이동판(22)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수의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과 스팀라인(39)을 가지는 세척조(11)의 바닥판(12)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5는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과 이를 지지하는 이동 지지체(29)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스카프(25)를 가지는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과 이에 연장된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제 1 실시예의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의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 2 실시예의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49)을 거꾸로 본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3 실시예의 제 3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58)을 거꾸로 본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4 실시예의 제 4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67)의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세척조(11)의 제 2 측면(17b)에 형성된 배출구(32)와, 이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는 수처리 라인(33)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및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 공급원과, 세척조(11) 그리고 이에 물과 함께 수용된 점성이 강한 유류나 유기화합물질에 오염된 토양에 도시되지 않는 공기 압축기와 같은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토양으로부터 유류나 유기화합물질 등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미세공기와 미세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정용 에어 제트 노즐(13) 및 제 1 이동용 에어 제트 노즐(14)로 구성되어 있다.
세척조(11)는 점성이 강한 유류나 유기화합물질 등에 오염된 토양과 함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방이 개방된 용기로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세척조(11)는 물과 토양을 수용하고 토양 세척장치의 다른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철골 등과 같은 강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세척조(11)의 일면인 도어(15)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세척조(1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폐가 가능한 도어(15)로 이루어진다. 도어(15)는 그의 하단부가 세척조(11) 바닥판(12)의 일측단부에 힌지(16)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다.
또한, 도어(15)는 그의 양측단부에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에 위치한 한 쌍의 볼트(18)와 나비 너트(19)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 요홈(20)을 가지므로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에 닫힌 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나비 너트(19)를 풀어 도어(15)를 열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볼트(18)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그의 단부가 도어(15)의 개폐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측면(17a)(17b)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합 요홈(20)과의 체결이 용이하다. 볼트(18)와 나비너트(19)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결합 요홈(20)의 개수는 세척조(11)에 수용된 물과 토양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도 견딜 수 있을 정도이어야 한다.
또한, 도어(15)는 제 1 패킹(21a)이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바닥판(12)에 맞닿는 부위에 내설되거나, 세척조(11)는 제 2 패킹(21b)이 도어(15)와 맞닿는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바닥판(12) 단부에 내설되어 있으므로 도어(15)가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에 닫힌 상태에서 도어(15)와 제 1 및 제 2 측면(17a)(17b) 사이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패킹(21a)(21b)은 위에서와 같이 도어(15)나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바닥판(12)에 선택적으로 내설될 수도 있지만, 도어(15)와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바닥판(12)에 모두 내설될 수도 있다.
도 3은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세척조(11)의 일면인 이동판(22)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세척조(11)는 도 3에서와 같이 그의 일측면이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판(22)은 그의 외측면에 이동판(22)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유압 실린더(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유압 실린더(23)의 파워 및 개수는 세척조(11)에 수용된 물과 토양에 비례한다. 특히 이동판(22)은 유압 실린더(23)에 의해 세척조(11) 내부를 이동할 때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 및 바닥판(12)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유압 실린더(23)가 고정된 설치되거나 혹은 다수의 유압 실린더(23)가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유압 실린더(23)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고정수단에 고정되거나 혹은 별도의 브라켓 등에 의해 세척조(11)에 고정되어야 세척조(11)의 이동판(2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판(22)의 이동거리는 세척조(11)에 수용된 물과 토양을 외부로 완전히 밀어낼 수 있는 거리이면 바람직하나, 내부에 위치한 제 1 이동용 에어 제트 노즐(14)이나 기타 유압 실린더(23)가 밀어낼 수 있는 거리에 한계가 있으므로 제 1 이동용 에어 제트 노즐(14)의 방해를 받지 않고 유압 실린더(23)에 의해 밀어낼 수 있는 한계로 할 수 있다. 물론, 유압 실린더(23)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나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동판(22)의 이동거리를 늘리기 위해 다수개의 유압 실린더를 조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판(22)은 세척조(11)의 내면 즉, 제 1 및 제 2 측면(17a)(17b) 및 바닥판(12)과 맞닿는 부위에 제 3 패킹(24)이 내설되어 있으므로 세척조(11)에 수용된 물과 토양이 이동판(22)과 제 1 및 제 2 측면(17a)(17b) 및 바닥판(12) 사이의 틈으로 새지 않는다. 이는 이동판(22)이 이동시 더 유용하다.
도 4는 다수의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과 스팀라인(39)을 가지는 세척조(11)의 바닥판(12)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세척조(11)의 바닥판(1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제 2 압축공기 공급파이프(34)를 통해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을 구비하는데, 이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은 세척조(11)의 바닥판(12)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지게 배치되고, 바닥판(12)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특히 바닥판(12)에 일정간격을 두고 가설된 스팀라인(39)이나 히터는 세척조(11) 내부를 일정온도로 조절함으로써 계절에 영향을 받지 않고 높은 세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의 일 실시예는 정면에서 보아 제 1 하면(35d)보다 제 1 상면(35a)의 좌우 길이가 긴 육각형형상으로, 좌우로 서로 대향되는 제 1 경사면(35b)이 제 1 상면(35a)과 제 1 하면(35d)에서 연장되게 각각 형성되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이다.
상기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의 제 1 하면(35d)에서 소정 깊이로 중앙 부위에 제 1 공간홈(36)이 형성되고 이 제 1 공간홈(36)이 형성된 노즐의 내주면에는 제 2 압축공기 공급파이프(34)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제 1 결합부(37), 예를 들어 암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즉,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은 제 2 압축공기 공급파이프(34)의 단부에 결합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상기 제 1 결합부(37) 상부의 내주면에서 제 1 상면(35a)으로 제 1 공간홈(36)과 연통되는 제 1 분사구(38)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 1 분사구(38)는 상부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 1 분사구(38)가 제 1 상면(35a)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이격되게 형성되어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 상부에 거의 같은 압력으로 골고루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분사구(38)가 3개씩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또한, 세척조(12)의 바닥판(1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스팀라인(39) 또는 히터를 구비한다. 이 스팀라인(39)이나 히터는 세척조(11)에 수용된 물과 토양을 가열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의 분리 제거를 촉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세척조(1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공급원으로부터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를 통해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이동하면서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기 위한 다수의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은 하단부에 스카프(25)를 가지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트(26)의 단부에 분리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는 세척조(11) 제 1 및 제 2 측면(17a)(17b) 상단부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7a)(27b)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8)를 가지는 이동 지지체(29)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 즉, 제 1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26)는 높낮이 조절을 위해, 이동 지지체(29) 위에 위치한 원통관(72)과 이동 지지체(29)를 상하로 관통해서 설치된다. 상기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는 고정볼트(74)가 원통관(72)의 구멍(73)에서 풀린 상태에서는 자유롭게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고정볼트(74)가 구멍(73)에 잠기면 더 이상 상하로 움직이지 않고 현재 높이를 유지한다. 이처럼, 작업자는 필요시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용 제 1 에어제트 노즐(14)과 이를 지지하는 이동 지지체(29)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동 지지체(29)는 세척조(11)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 등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 이동시키는 것으로 철빔이나 기타 지지부재에 의해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거나 가공된다.
상기 이동 지지체(29)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척조(11)의 상부와 접하는 롤러(28)는 이동 지지체(29)에 고정된 유압모터(30)로부터 벨트나 풀리, 체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동력을 전달받아 세척조(11) 상부에 평행하게 가설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7a)(27b)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척조(11) 내에서 제 1 이동용 제어제트 노즐(14)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은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지게 배열된 다수의 에어제트 노즐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각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를 통해 압축공기 분배탱크(31)에 접속되어 도시되지 않은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는다.
도 8은 스카프(25)를 가지는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과 이에 연장된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봉 형상으로 양측이 개방된다. 이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는 고압에 견딜 수 있는 파이프로, 경우에 따라 가늘고 긴 형상을 한다.
제 1 커플러(40)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분배탱크(31)의 에어호스(42)와 연결되며, 압축공기 분배탱크(31)와 에어호스(42)를 연결하는 제 2 커플러(44)에 압축공기의 공급을 단속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43)가 설치된다.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은 내주면에 제 2 결합부(45)가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의 개방된 타측(하측)에 나사 결합되어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에서 공급된 압축공기를 빠르게 가속시켜 제 2 분사구(46)를 통해 상부로 경사지게 분사시킨다.
또한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에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결합관(47)이 외삽되어 고정수단(48)에 의해 고정되고 결합관(47)의 하부에는 스카프(25)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고정수단(48)은 예를 들어 결합관(47)의 외측에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는 너트(48b)와, 상기 너트(48b)와 결합관(47)의 측면에서 나사 결합하여 결합관(47)을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에 고정하는 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카프(25)는 결합관(47)의 하부에 접합되는 부위가 좁고 아래로 갈수록 벌어지는 갓 형상을 한다.
스카프(25)를 압축공기 제 1 공급파이프(26)의 원하는 위치에 이동한 후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48)으로 조여 고정함으로써 하부에 결합된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갓 형상을 하는 스카프(25)는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축공기의 분사 효과를 증대시킨다.
즉, 원뿔 형상의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이 물과 이에 수용된 토양을 파고들어가면서 압축공기를 계속 분사하되, 상기 제 2 분사구(46)를 통해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의 상부로 압축공기를 경사지게 분사는 경우 압축공기가 갓 형상의 스카프(25)에 부딪히면서 공기가 미립화되고 공기량이 증폭되면서 하부의 토양을 향해 분사된다.
이때 압축공기에 의해 물에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이 형성되면서 하부의 토양이 바닥에서 떠오름과 동시에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이 가해지면서 유류나 유기화합물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이 토양으로부터 분리 제거되게 된다.
도 9a 및 도 9b는 제 1 실시예의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의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은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측면(50b)이 하부로 갈수록 뾰족하고 제 2 상면(50a)이 평평한 대략 원뿔 형상으로, 제 2 상면(50a)과 제 3 측면(50b)이 맞닿는 부위에 제 3 경사면(50c)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의 제 2 상면(50a)에서 소정 깊이로 중앙 부위에 제 2 공간홈(51)이 형성되고 이 제 2 공간홈(51)이 형성된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의 내주면에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제 2 결합부(45), 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45) 하부의 내주면에서 제 2 상면(50a)과 제 3 측면(50b) 또는 제 3 경사면(50c)으로 제 2 공간홈(51)과 연통되는 제 2 및 제 3 분사구(46)(54)가 각각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 2 분사구(46)는 상부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3 분사구(54)는 측상부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할수 있도록 제 2 분사구(46)의 벌어지는 각도보다 더 벌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 2 분사구(46)가 제 2 상면(50a)에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 3 분사구(54)는 제 3 측면(50b) 또는 제 3 경사면(50c)에서 제 2 분사구(46) 사이 사이에 제 3 분사구(54)의 개수보다 작은 개수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2 분사구(46)가 6개, 제 3 분사구(54)가 3개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 2 실시예의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49)을 거꾸로 본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49)은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제 2 하면(52d)보다 제 3 상면(52a)의 좌우 길이가 긴 육각형상으로, 좌우로 서로 대향되는 제 4 및 제 5 경사면(52b)(52c)이 제 3 상면(52a)과 제 2 하면(52d)에서 연장되게 각각 형성되는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이다.
상기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49)의 제 2 하면(52d)에서 소정 깊이로 중앙 부위에 제 3 공간홈(53)이 형성되고 이 제 3 공간홈(53)이 형성된 노즐의 내주면에는 압축공기 공급파이프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제 3 결합부(57), 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49)은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의 단부에 결합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상기 제 3 결합부(57) 상부의 내주면에서 제 2 상면(52a)과 양측의 제 4 경사면(52b 또는 52c(도면에서는 52c))으로 제 3 공간홈(53)과 연통되는 제 4 및 제 5 분사구(55)(56)가 각각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 4 분사구(55)는 상부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5 분사구(56)는 측상부로 경사지게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 4 분사구(55)의 벌어지는 각도보다 더 벌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 4 분사구(55)가 제 3 상면(52a)에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 5 분사구(56)는 제 5 경사면(52c)에서 제 4 분사구(55) 사이 사이의 위치에 제 4 분사구(55)와 동수(同數)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49) 상부와 측상부에 거의 같은 압력으로 골고루 압축 공기가 분사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4 분사구(55)와 제 5 분사구(56)가 각각 3개씩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11a 및 도 11b는 제 3 실시예의 제 3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58)을 거꾸로 본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 3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58)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측면(59b)이 하부로 갈수록 뾰족하고 제 4 상면(59a)이 평평한 대략 원뿔 형상에서 제 4 상면(59a)과 제 4 측면(59b)이 맞닿는 부위에 제 6 경사면(59c)이 형성되는 형상을 한다.
상기 제 3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58)의 제 4 상면(59a)에서 소정 깊이로 중앙 부위에 제 4 공간홈(60)이 형성되고, 제 4 공간홈(60)이 형성된 제 3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58)의 내주면에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제 4 결합부(61), 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결합부(61) 하부에서 제 4 상면(59a)으로 제 4 공간홈(60)과 연통되는 제 6 분사구(62)가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제 6 분사구(62)는 상부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제 4 실시예의 제 4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67)의 사시도 및 내부구조도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 4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67)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회전관(63)의 하부가 나사 결합하고 이 회전관(63) 상부는 연결관(64) 하부에 외삽된 채 그 사이에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65)이 개재된다.
상기 베어링(65)은 압축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 효과가 있으면서 회전관(64)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무 실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4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67)은 제 5 측면(66b)이 하부로 갈수록 뾰족하고 제 5 상면(66a)이 평평한 대략 원뿔 형상으로, 제 5 상면(66a)과 제 5 측면(66b)이 맞닿는 부위에 제 7 경사면(66c)이 형성된다.
상기 제 4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67)의 제 5 상면(66a)에서 소정 깊이로 중앙 부위에 제 5 공간홈(68)이 형성되고 이 제 5 공간홈(68)이 형성된 노즐의 내주면에는 회전관(63)의 하부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제 5 결합부(69), 예를 들어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 5 결합부(69) 하부의 내주면에서 제 5 상면(66a)과, 제 5 측면(66b) 또는 제 7 경사면(66c)으로 제 5 공간홈(68)과 연통되는 제 7 및 제 8 분사구(70)(71)가 각각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 8 분사구(71)는 상부로 경사지게 압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 8 분사구(71)는 측상부로 경사지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 7 분사구(70)의 벌어지는 각도보다 더 벌어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 7 분사구(70)가 제 5 상면(66a)에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 8 분사구(71)는 측면 또는 제 7 경사면(66c)에서 제 7 분사구(70) 사이 사이의 위치에 제 7 분사구(70)와 동수(同數)로 소정 각도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제 7 분사구(70)와 제 8 분사구(71)가 각각 3개씩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도 13a 및 도 13b는 측면(17b)에 형성된 배출구(32)와, 이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는 수처리 라인(33)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및 A-A선 단면도이다.
세척조(11)는 도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7b)에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2)가 형성되고, 배출구(32)가 위치한 세척조(11)의 일측면(17b)에는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처리 라인(3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조(11) 내의 토양을 세척하는 동안 위로 떠오르는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물이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어 수처리 라인(33)을 타고 모아져 후속 수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세척조 12 : 바닥판
13 :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 14 :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
15 : 도어 16 : 힌지
17a : 제 1 측면 17b : 제 2 측면
18 : 볼트 19 : 나비너트
20 : 체결 요홈 21a : 제 1 패킹
21b : 제 2 패킹 22 : 이동판
23 : 유압 실린더 24 : 제 3 패킹
25 : 스카프 26 :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
27a : 제 1 가이드 레일 27b : 제 2 가이드 레일
28 : 롤러 29 : 이동 지지체
30 : 유압모터 31 : 압축공기 분배탱크
32 : 배출구 33 : 수처리라인
34 : 제 2 압축공기 공급파이프 35a : 제 1 상면
35b : 제 1 경사면 35c : 제 2 경사면
35d : 제 1 하면 36 : 제 1 공간홈
37 : 제 1 결합부 38 : 제 1 분사구
39 : 스팀라인 40 : 제 1 커플러
42 : 에어호스 43 : 개폐밸브
44 : 제 2 커플러 45 : 제 2 결합부
46 : 제 2 분사구 47 : 결합관
48 : 고정수단 48a : 볼트
48b : 너트 49 : 제 2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
50a : 제 2 상면 50b : 제 3 측면
50c : 제 3 경사면 51 : 제 2 공간홈
52a : 제 3 상면 52b : 제 4 경사면
52c : 제 5 경사면 52d : 제 2 하면
53 : 제 3 공간홈 54 : 제 3 분사구
55 : 제 4 분사구 56 : 제 5 분사구
57 : 제 3 결합부 58 : 제 3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
59a : 제 4 상면 59b : 제 4 측면
59c : 제 6 경사면 60 : 제 4 공간홈
61 : 제 4 결합부 62 : 제 6 분사구
63 : 회전관 64 : 연결관
65 : 베어링 66a : 제 5 상면
66b : 제 5 측면 66c : 제 7 경사면
67 : 제 4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 68 : 제 5 공간홈
69 : 제 5 결합부 70 : 제 7 분사구
71 : 제 8 분사구 72 : 원통관
73 : 구멍 74 : 고정볼트

Claims (12)

  1. 삭제
  2. 세척하고자 하는 오염된 토양과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상방이 개방된 것으로서 일측면이 개폐가 가능한 도어(15)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15)는 그의 하단부가 세척조(11) 바닥판(12)의 일측단부에 힌지(16) 결합되고, 상기 도어(15)는 양측단부에 상기 세척조(11)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볼트(18) 및 나비너트(19)와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 요홈(20)을 가지는 세척조(11);
    상기 세척조(11) 바닥판(12)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11) 내에서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 및
    상기 세척조(11) 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11)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미세기포와 미세진동을 발생시켜 물과 혼합된 토양으로부터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미세공기를 증폭시키는 스카프(25)가 장착된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5)는 상기 세척조(11)의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상기 바닥판(12)에 맞닿는 부위에 제 1 패킹(21a)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11)는 상기 도어(15)와 맞닿는 상기 제 1 및 제 2 측면(17a)(17b)과 바닥판(12) 단부에 제 2 패킹(22b)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11)는 일측면이 이동이 가능한 이동판(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판(22)은 그의 외측면에 상기 이동판(22)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유압 실린더(2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22)은 상기 세척조(11)의 내면과 맞닿는 부위에 제 3 패킹(24)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에어제트 노즐(13)은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수의 에어제트 노즐로서 상기 세척조(11)의 바닥판(12)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은 하단부에 스카프(25)를 가지는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트(26)의 단부에 분리 결합되고, 상기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는 상기 세척조(11) 제 1 및 제 2 측면(17a)(17b) 상단부에 위치한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7a)(27b)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28)를 구비한 이동 지지체(29)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8)는 상기 이동 지지체(29)에 고정된 유압모터(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레일(27a)(27b)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조(11) 내에서 상기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용 에어제트 노즐(14)은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지게 배열된 다수의 에어제트 노즐로서, 상기 제 1 압축공기 공급파이프(26)를 통해 압축공기 분배탱크(31)에 접속되어 압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공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11. 삭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11)는 상기 바닥판(12) 저부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스팀라인(39) 또는 히터를 구비하여 세척조(11) 내부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KR1020110130982A 2011-12-08 2011-12-08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KR101148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82A KR101148186B1 (ko) 2011-12-08 2011-12-08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82A KR101148186B1 (ko) 2011-12-08 2011-12-08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86B1 true KR101148186B1 (ko) 2012-05-24

Family

ID=462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982A KR101148186B1 (ko) 2011-12-08 2011-12-08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85B1 (ko) * 2016-06-03 2017-09-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락 미세기포 발생노즐을 이용한 세척 시스템
CN117299776A (zh) * 2023-11-17 2023-12-29 中化学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土壤修复剂喷洒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39Y1 (ko) * 2006-01-26 2006-04-10 (주)에스지알테크 토양 세척 장치
KR100828545B1 (ko) * 2006-12-01 2008-05-13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고압 분사된 공기방울 및 난류에 의한 토양세척장치
KR100870447B1 (ko) 2008-07-15 2008-11-25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토양 연속 복원장치
KR100991178B1 (ko) 2009-11-24 2010-11-01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오염 기름 제거용 에어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439Y1 (ko) * 2006-01-26 2006-04-10 (주)에스지알테크 토양 세척 장치
KR100828545B1 (ko) * 2006-12-01 2008-05-13 주식회사 드림바이오스 고압 분사된 공기방울 및 난류에 의한 토양세척장치
KR100870447B1 (ko) 2008-07-15 2008-11-25 주식회사 윈텍에이티에스 토양 연속 복원장치
KR100991178B1 (ko) 2009-11-24 2010-11-01 제이에이치그린 주식회사 오염 기름 제거용 에어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485B1 (ko) * 2016-06-03 2017-09-2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락 미세기포 발생노즐을 이용한 세척 시스템
CN117299776A (zh) * 2023-11-17 2023-12-29 中化学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土壤修复剂喷洒装置
CN117299776B (zh) * 2023-11-17 2024-04-30 中化学土木工程有限公司 一种土壤修复剂喷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545B1 (ko) 고압 분사된 공기방울 및 난류에 의한 토양세척장치
KR101429471B1 (ko) 토양정화 방법 및 장치
KR100830565B1 (ko) 오염토양 정화 장치 및 방법, 그에 사용되는 예열 건조기 및 로터리 킬른
KR100633111B1 (ko) 토양 세척 장치
KR101955112B1 (ko) 지중고압분사장비를 이용한 지중에서의 추출/충진 방법에 의한 지반 침하 방지, 현장지반 안정화 및 토양정화 방법
KR101995207B1 (ko) 지중 원위치 고온 열주입 및 추출을 위한 현장 열탈착, 산화 및 유기산세척에 의한 복합오염토양정화시스템
CN203400922U (zh) 一种污染土壤异位淋洗修复工程化设备
CN103286122A (zh) 一种持久性有机污染场地淋洗修复工程化设备
KR101148186B1 (ko) 에어제트를 이용한 토양 세척장치
KR101691424B1 (ko) 유류오염 지하수의 물리적 및 생물학적 복합정화시스템
KR100950696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KR101691425B1 (ko) 유류오염 지하수의 물리적 및 화학적 복합정화시스템
KR100987198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1223435B1 (ko) 유류 및 금속 혼합 오염 토양의 처리 시스템
CN104475442B (zh) 挥发性污染土壤及地下水修复系统
KR100800630B1 (ko) 오염토양 정화 장치에 사용되는 로터리 킬른
KR101086248B1 (ko) 오염토양 및 지하수 복원을 위한 공기 및 약액 고압주입장치
KR200402215Y1 (ko) 오염토양 및 지하수 복원을 위한 차량 탑재형 산화제주입장치
KR100906130B1 (ko) 토양의 오염물질 세척장치
KR100919276B1 (ko) 오염토양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200487325Y1 (ko) 기포 분사를 이용한 토양 정화 장치
KR100988043B1 (ko)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의 슬러지 분리장치
KR200471245Y1 (ko) 오염 토양 세척 장치
KR102112962B1 (ko)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JP4421417B2 (ja) 汚染土壌の浄化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