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367A -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 Google Patents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367A
KR20200075367A KR1020180163969A KR20180163969A KR20200075367A KR 20200075367 A KR20200075367 A KR 20200075367A KR 1020180163969 A KR1020180163969 A KR 1020180163969A KR 20180163969 A KR20180163969 A KR 20180163969A KR 20200075367 A KR20200075367 A KR 20200075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disposed
partition
receive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238B1 (ko
Inventor
이상욱
신성홍
이원택
조위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2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2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fixation of the receiver to the hea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6Receivers
    • F25B2400/162Receivers characterised by the plug or s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는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구비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회전시, 상기 파티션부는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부에 캡을 배치하여 응축기의 상기 서브 쿨 영역의 위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CAP, RECEIVER DRIER AND CONDENSE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실시예는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응축기에 공급하도록 모듈화된 캡, 상기 캡을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가 연결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를 도입하여 냉각함으로써 액상으로 변환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응축기들 중에서 다단 기액 분리형 응축기는 복수의 유동통로를 통해 냉매가 흐르도록 일측 또는 양측 헤더탱크에 복수의 배플(Baffle)을 설치하여 냉매가 지그재그 형태로 응축기 내부를 통과하는 동안 튜브(Tube)와 핀(Fin)을 통해 열을 방출하여 기상의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응축기는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기체 냉매가 유입되어 냉각됨으로써 응축되게 되는데, 냉각과정에서 냉매가 전부 액화되기 어려우므로 리시버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액화된 냉매를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의 내부에는 상기 이물질의 제거를 위한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는 응축 영역과 서브 쿨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응축 영역에서는 냉매를 1차 응축하고, 1차 응축된 냉매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의해 액상의 냉매만을 배출하도록 하여 상기 서브 쿨 영역에서 과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응축기 앞에 라디에이터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서브 쿨 영역의 위치 자유도를 확보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맞춰 서브 쿨 영역이 응축기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의 탱크 내부에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선별하면서도 여과하여야 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때, 상부측에 냉매를 응축기로 공급하는 출구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부로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응축기에 공급하도록 리시버 탱크에 배치되어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는 모듈화된 캡, 상기 캡을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가 연결된 응축기를 제공한다.
또한, 필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액화된 냉매만을 공급할 수 있게 파이프를 구비하는 모듈화된 캡, 상기 캡을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가 연결된 응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구비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회전시, 상기 파티션부는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부는 하단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결합부;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격벽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격벽부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격벽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에 의한 유로를 연장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홀의 상부는 상기 필터부의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캡부의 회전과 비연동되게 상기 홈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격벽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는 수평 단면이 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부의 외측에는 실링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상기 격벽부의 중심(C)과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는 격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dT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의 외측에는 실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에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포함하는 파티션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파티션부에서 소정의 길이(L)로 하방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탱크에 상기 캡의 결합시, 상기 파티션부의 격벽부와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시버 탱크 내부를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부측의 여과 공간과 액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존재하는 하부측의 비여과 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비여과 공간에 위치하는 액체 상태의 냉매는 상기 여과 공간으로 이동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여과 공간에는 흡습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격벽부의 중심(C)과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리시버 드라이어의 리시버 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하단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격벽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격벽부를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격벽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에 의한 유로를 연장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격벽부를 연결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캡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부의 회전과 비연동되게 상기 홈에 상기 결합부의 배치시, 상기 캡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를 지지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의 외주면 및 상기 격벽부의 외주면 각각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응축기 본체; 상기 응축기 본체에서 공급된 냉매로부터 이물질을 제거된 액화된 냉매를 선별하여 상기 응축기 본체에 공급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응축기 본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는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구비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회전시, 상기 파티션부는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응축기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응축기는 모듈화되어 조립 공정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리시버 드라이어의 상부에 캡을 배치하여 응축기의 상기 서브 쿨 영역의 위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은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응축기에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리시버 탱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캡에 실링부재를 배치하여 리시버 탱크 내부의 냉매가 외부로 누축되는 문제 및 리시버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부로 누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리시버 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캡의 격벽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와 응축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가 연결된 응축기(3)는 자동차의 공기 조절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리시버 드라이어(1)의 상부에는 캡(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기(3)는 응축기 본체(3a), 유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1) 및 상기 응축기 본체(3a)와 리시버 드라이어(1)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은 리시버 드라이어(1)에 형셩된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를 연통되게 연결할 수 있다. 예컨데, 리시버 드라이어(1)와 응축기 본체(3a)는 파이프와 같은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유체 연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기(3)에서 공급되는 냉매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 상태의 냉매가 선별된 후 다시 응축기(3)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필터가 설치된 상기 캡(2)에 의해 응축기(3)에서 공급되는 냉매는 여과된 액체 상태의 냉매만이 다시 응축기(3)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는 상기 응축기(3)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는 모듈화되어 상기 응축기(3)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응축기(3) 또한 모듈화되어 자동차의 공기 조절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구비하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의 리시버 탱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x 방향은 수평 방향 또는 반경 방향을 나타낼 수 있고, y 방향은 수직 방향, 상하 방향 또는 길이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1)는 리시버 탱크(10) 및 리시버 탱크(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2)과 리시버 탱크(10)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리시버 탱크(1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리시버 탱크(10)는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수평상 단면이 사각형, 오각형 등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시버 탱크(10)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구(11) 및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11)를 통해 응축기(3)의 냉매가 상기 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리시버 드라이어(1)의 캡(2)을 통해 이물질이 여과된 액체 상태의 냉매만이 배출구(12)를 통해 다시 응축기(3)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리시버 탱크(10)의 상부측에는 캡(2)이 결합되게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는 리시버 탱크홀 또는 결합홀이라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측 리시버 탱크(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캡(2)은 리시버 탱크(10)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공간(S)에 존재하는 냉매가 상기 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캡(2)이 상기 개구를 막는 마개의 역할로 사용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나사 결합이 가능한 뚜껑과 같은 타입으로 캡(2)은 리시버 탱크(1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리시버 탱크(10)의 내주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C)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2)이 리시버 탱크(10)에 나사 결합시, 상기 걸림턱(13)은 캡(2)의 하단을 지지하여 캡(2)이 기 설정된 위치까지만 도달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턱(13)은 캡(2)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리시버 탱크(10)의 상기 공간(S)의 하부측에는 흡습부재(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습부재(20)는 냉매로부터 원치 않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흡습부재(20)로는 건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리시버 드라이어의 경우 하부에 캡을 배치하였으나, 차량(미도시)을 기준으로 응축기(3)의 전방의 하부측에 라디에이터가 배치되더라도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1)는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캡(2)이 배치하여 상기 응축기(3)의 서브 쿨 영역의 위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응축기(3)에서 공급되는 냉매의 경우 이물질과 함께 기체 상태 및 액체 상태의 냉매로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상태의 냉매만을 선별하여 여과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그에 따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1)는 상부에 캡(2)을 배치하더라도 액체 상태의 여과된 냉매만을 선별할 수 있는 캡(2)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응축기(3)에 여과된 액체 상태의 냉매만을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캡(2)은 리시버 탱크(1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게 모듈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캡(2)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된다. 그리고, 손상 또는 부착된 이물질 제거를 위한 캡(2)의 보수시, 상기 캡(2)은 별개의 물건으로 제공되어 교체가 용이하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9는 도 6의 A-A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캡(2)은 상기 리시버 탱크(1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100)와 상기 캡부(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파티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2)은 캡부(1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실링부재(300)와 파티션부(200)의 격벽부(220)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실링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이라 함은 중심(C)을 기준으로 평면상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나타내고, 내측이라 함은 중심(C)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심(C)은 캡(2)의 중심(C) 또는 리시버 탱크(10)의 중심(C)일 수 있다.
캡부(100)는 리시버 탱크(10)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바, 상기 파티션부(200)는 상기 캡부(100)의 회전에 비연동되게 캡부(100)의 하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캡부(100)가 리시버 탱크(10)와의 결합 또는 결합 해제를 위해 회전할 때, 상기 파티션부(200)는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즉, 캡부(100)와 파티션부(200)의 비연동 결합에 의해, 캡부(100)의 회전력은 파티션부(200)의 수직 방향 가압력으로 변환되어 캡(2)에 의한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2)이 상기 리시버 탱크(10)에 나사 결합시, 캡부(100)와 파티션부(200)의 비연동 결합에 의해 파티션부(200)의 파이프(222)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파이프(222)와 리시버 탱크(10)의 흡습부재(20) 간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파이프(222)는 선형 이동하기 때문에,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리시버 탱크(10) 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캡부(100)는 리시버 탱크(10)의 개구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리시버 탱크(10) 내부의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10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캡부(100)는 리시버 탱크(10)의 개구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본체(110), 캡부 본체(110)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 홈(120) 및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 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홈(120)은 결합홈이라 불릴 수 있고, 제2 홈(130)은 렌치홈 또는 제2 홈이라 불릴 수 있다.
또한, 캡부(100)는 캡부 본체(110)의 하부에서 중심(C)을 향해 돌출된 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140)는 이탈 방지 돌기 또는 지지돌기라 불릴 수 있다.
한편, 캡부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캡부 본체(110)의 나사산은 리시버 탱크(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캡부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링부재(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링부재(300)로는 오링이 이용될 수 있다.
제1 홈(120)에는 파티션부(200)의 결합부(210)가 캡부 본체(110)의 회전에 비연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210)가 제1 홈(120)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캡부(100)는 돌기(140)를 구비하여 결합부(210)의 하부측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홈(130)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 본체(110)의 상부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130)에는 상기 나사 결합을 위해 육각 렌치와 같은 체결 공구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체결 공구에 의해 캡부 본체(110)는 회전을 할 수 있다.
파티션부(200)는 상기 제1 홈(120)에 배치되는 결합부(210), 상기 결합부(210)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221a)을 포함하는 격벽부(220), 상기 결합부(210)와 상기 격벽부(220)를 사이에 배치되며 필터(232)를 포함하는 필터부(230) 및 격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221a)에 의한 유로를 연장하는 파이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221a)의 상측은 필터부(230)의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210), 격벽부(220) 및 필터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22)는 격벽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210)는 제1 홈(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10)는 캡부(100)의 회전에 비연동되게 캡부 본체(110)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10)는 필터부(230)를 덮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230)의 필터(232)에 이물질이 부착되게 되면 필터부(230)의 내부에 과압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결합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과압 발생시, 액체 상태의 냉매는 캡부(100)와 결합부(210)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어 상기 과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부(210)의 외주면에는 경사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1)은 돌기(140)와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결합부(210)가 용이하게 제1 홈(130)에 배치되게 한다. 상기 경사면(211)은 외주면을 경사지게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부측으로 갈수록 결합부(210)의 반경 방향 두 께가 감소될 수 있다.
격벽부(220)는 결합부(210)의 하부측이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부(220)는 리시버 탱크(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을 상하로 구분되게 할 수 있다. 예컨데, 격벽부(220)의 배치 위치에 의해 상기 공간(S)은 액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존재하는 하부측의 비여과 공간(S1)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부측의 여과 공간(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필터(232)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여과 공간(S2)은 여과 전의 액체 상태의 냉매만이 존재하는 여과전 공간(S2a)과 여과 후 이물질이 제거된 액체 상태의 냉매만이 존재하는 여과후 공간(S2b)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여과 공간(S1)은 리시버 탱크(10)의 유입구(1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여과후 공간(S2b)은 배출구(12)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여과 공간(S1)과 상기 여과 공간(S2)의 여과전 공간(S2a)은 홀(221a)과 파이프(222)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여과 공간(S1)의 액체 상태 및 기체 상태의 냉매 중 액체 상태의 냉매만이 홀(221a)과 파이프(222)를 통해 여과전 공간(S2a)으로 이동하고, 여과전 공간(S2a)의 액체 상태의 냉매는 필터(232)를 통해 필터링되어 여과후 공간(S2b)으로 이동하게 된다.
격벽부(220)의 외주면에는 제2 실링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비여과 공간(S1)에 존재하는 기체 상태의 냉매는 상기 여과 공간(S2)의 여과후 공간(S2b)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제2 실링부재(400)로는 오링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격벽부(220)는 홀(221a)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격벽부 본체(221) 및 격벽부 본체(2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221a)에 의한 유로를 연장하는 파이프(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221a)의 상부는 상기 필터부(230)의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221a)은 격벽부 홀 또는 관통홀이라 불릴 수 있다.
파이프(222)는 격벽부 본체(221)의 하단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L)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이프(222)의 하측 단부는 리시버 탱크(10)의 내부 저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비여과 공간(S1)에 존재하는 액체 상태의 냉매만이 파이프(222)를 통해 여과전 공간(S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이프(222)는 홀(221a)의 하부와 연통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홀(221a)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연장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22)는 격벽부 본체(2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캡의 격벽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파이프(222)는 격벽부(22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시버 탱크(10) 내부의 흡습부재(20)의 화학 작용 등에 의해 파이프(222)가 손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체 상태의 냉매가 파이프(222)를 통해 이송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 파이프(222)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222)를 격벽부 본체(2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파이프(222)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222)는 격벽부(220)의 중심(C)과 편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222)는 격벽부(220)의 중심(C)과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이격 간격(d)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파이프(222)는 리시버 탱크(10)에 형성된 유입구(11)에서 멀리 떨어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유입구(11)를 통해 리시버 탱크(10)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는 흡습부재(20)와의 접촉량이 향상된다.
필터부(230)는 결합부(210)와 격벽부(220)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231) 및 프레임(231)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31)은 필터(232)를 지지하여 상기 냉매에 의해 필터(23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231)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231)은 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231)은 중심(C)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31)은 결합부(210) 및 격벽부(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부(100)의 회전에 따라, 결합부(210), 필터부(230) 및 격벽부(220)는 함께 선형이동하게 된다.
필터(232)는 프레임(231) 사이에 배치되어 액체 상태의 냉매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232)로는 메시 또는 스크린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시는 복수 개의 개구들이 안에 형성된 격자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필터(232)는 수평 단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물질을 걸러낼 때, 상기 냉매와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실링부재(300)는 캡(2)의 캡부(100)에 배치되어 리시버 드라이어(1) 내부의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실링부재(400)는 캡(2)의 격벽부(220)에 배치되어 상기 비여과 공간(S1)에 존재하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상부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에 따라, 제2 실링부재(400)는 격벽부(220)와 함께 비여과 공간(S1)과 여과 공간(S2)으로 리시버 탱크(10)의 공간(S)을 구분하는 구성요소로 제공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리시버 드라이어 2: 캡
3: 응축기 10: 리시버 탱크
100: 캡부 120: 제1 홈
140: 돌기
200: 파티션부
210: 결합부 220: 격벽부
221a: 홀 222: 파이프
230: 필터부 231: 프레임
232: 필터
300: 제1 실링부재
400: 제2 실링부재

Claims (16)

  1.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구비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회전시, 상기 파티션부는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하단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결합부;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격벽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격벽부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격벽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에 의한 유로를 연장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홀의 상부는 상기 필터부의 내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캡부의 회전과 비연동되게 상기 홈에 결합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상기 필터부 및 상기 격벽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필터를 포함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수평 단면이 호 형상인 리시버 드라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외측에는 실링부재가 더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기 격벽부의 중심(C)과 편심되게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격벽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측에는 실링 부재가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11.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에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포함하는 파티션부 및 상기 파티션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실링부재 및 상기 파티션부에서 소정의 길이(L)로 하방을 향해 돌출된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탱크에 상기 캡의 결합시,
    상기 파티션부의 격벽부와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리시버 탱크 내부를 이물질을 여과하는 상부측의 여과 공간과 액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의 냉매가 존재하는 하부측의 비여과 공간으로 구분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상기 비여과 공간에 위치하는 액체 상태의 냉매는 상기 여과 공간으로 이동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 공간에는 흡습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격벽부의 중심(C)과 편심되게 배치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13. 리시버 드라이어의 리시버 탱크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및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하단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며,
    상기 파티션부는
    상기 홈에 배치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격벽부;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격벽부를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부; 및
    상기 격벽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홀에 의한 유로를 연장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격벽부를 연결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캡.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회전과 비연동되게 상기 홈에 상기 결합부의 배치시,
    상기 캡부는 상기 결합부의 하부를 지지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캡.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주면 및 상기 격벽부의 외주면 각각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캡.
  16. 응축기 본체;
    상기 응축기 본체에서 공급된 냉매로부터 이물질을 제거된 액화된 냉매를 선별하여 상기 응축기 본체에 공급하는 리시버 드라이어; 및
    상기 응축기 본체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는 내부에서 냉매가 이동하는 리시버 탱크; 및 상기 리시버 탱크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리시버 탱크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필터를 구비하는 파티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회전시, 상기 파티션부는 수직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응축기.
KR1020180163969A 2018-12-18 2018-12-18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KR10256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69A KR102561238B1 (ko) 2018-12-18 2018-12-18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969A KR102561238B1 (ko) 2018-12-18 2018-12-18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367A true KR20200075367A (ko) 2020-06-26
KR102561238B1 KR102561238B1 (ko) 2023-07-31

Family

ID=71136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969A KR102561238B1 (ko) 2018-12-18 2018-12-18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2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8485A1 (en) * 2020-12-04 2022-06-09 Mahle International Gmbh Closure plug for a collector of a refrigerant circuit
US11712942B2 (en) 2020-08-05 2023-08-0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ermetically sealed cap for heat exchanger modul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393A (ko) * 2003-01-25 2004-07-31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KR200410796Y1 (ko) * 2005-12-30 2006-03-08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 응축기의 필터캡 구조
KR20160123117A (ko) * 2015-04-15 2016-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응축기
KR20170036367A (ko) * 2015-09-24 2017-04-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KR20170108273A (ko) * 2016-03-17 2017-09-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393A (ko) * 2003-01-25 2004-07-31 한라공조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를 갖는 응축기
KR200410796Y1 (ko) * 2005-12-30 2006-03-08 호일정공 주식회사 에어컨 응축기의 필터캡 구조
KR20160123117A (ko) * 2015-04-15 2016-10-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응축기
KR20170036367A (ko) * 2015-09-24 2017-04-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KR20170108273A (ko) * 2016-03-17 2017-09-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기액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2942B2 (en) 2020-08-05 2023-08-0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ermetically sealed cap for heat exchanger modulator
US20220178485A1 (en) * 2020-12-04 2022-06-09 Mahle International Gmbh Closure plug for a collector of a refrigerant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238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994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 droplets from gas
KR20200075367A (ko) 캡, 리시버 드라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응축기
CN106014538B (zh) 曲轴箱通风过滤器滤芯和组件
KR0156082B1 (ko) 디버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0118810Y1 (ko) 공기조화기용 오일분리기
US9656198B2 (en) Oil separator
JPH09324962A (ja) 受液器一体型凝縮器
US20190336900A1 (en) Liquid separator with improved filter service access and dedicated filter service replacement tool
JP6768460B2 (ja) コンデンサ
US10293292B2 (en) Oil separator
US11167228B2 (en) Point of entry water filter assembly
JP2010175166A (ja) 熱交換器
TW202035935A (zh) 壓縮空氣之凝縮方法及壓縮空氣之凝縮裝置
JP2010139089A (ja) 熱交換器
KR100538746B1 (ko) 수액기
KR100825711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JP2010127556A (ja) 熱交換器
JP2003302126A (ja) 受液器
KR20110009947A (ko)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JP2019070503A (ja) 受液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KR20030030501A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430670Y1 (ko) 리시버 드라이어의 하부 캡 구조
CN205316758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分液头
KR20160123117A (ko) 차량용 응축기
EP2110623A1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