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067A -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067A
KR20200075067A KR1020180156980A KR20180156980A KR20200075067A KR 20200075067 A KR20200075067 A KR 20200075067A KR 1020180156980 A KR1020180156980 A KR 1020180156980A KR 20180156980 A KR20180156980 A KR 20180156980A KR 20200075067 A KR20200075067 A KR 2020007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oduct information
shopping
curation
c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661B1 (ko
Inventor
김종훈
김한결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8015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66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팅 또는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앱이나 프로그램에서의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소비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채팅 처리부, 상기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상기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개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 검색엔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상품 큐레이션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자가 대화방에서의 채팅을 이용하여 쇼핑과 관련한 상품정보 문의, 상품 정보 획득, 구매 상품 선택 및 구매 대금 결제까지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 기반의 일대일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CHAT BASED ON-DEMAND SHOPPING CU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채팅 또는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앱이나 프로그램에서의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화방에서 채팅을 기반으로 쇼핑과 관련한 상품정보 문의, 상품 정보 제공, 구매 상품 선택, 이후 구매 대금 결제까지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 등 이커머스 업체의 증가로 인하여 소비자의 업체 선택의 폭은 넓어졌으나 원하는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구매하기 위해서 소비자는 여러 쇼핑몰을 직접 방문해야 하고 상품별 기능과 가격을 직접 비교 검색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며 최종 구매 의사 결정을 하고도 최적의 구매 의사 결정을 했는지에 대해 확신을 갖기 어렵다.
또한, 네이버, 다음(daum) 또는 특정 사이트에서 상품별 최저가격을 제안해 주는 쇼핑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단순하게 가격 정보와 판매처 정보 리스트를 제공해 주는데 불과하여 소비자가 그 리스트 중에서 다시 개별 검색을 통해 최적의 상품을 찾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여전히 존재하고 최적의 구매 의사 결정을 소비자 스스로 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7079(2016.09.13)호는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 정보, 사용자의 관심 분야에 관한 정보 및 사용자의 웹 상에서의 활동을 기초로 사용자의 관심 사항을 분석할 수 있고, 분석한 사용자의 관심 사항 및 구매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상품을 선택하여 상품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7079(2016.09.1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비자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채팅 또는 쇼핑을 목적으로 하는 앱이나 프로그램에서의 채팅을 기반으로 원하는 상품을 빠르고 간편하게 그리고 최적의 가격으로 쇼핑을 할 수 있도록 일대일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얻는 정보 외에 국내외 쇼핑몰에 있는 상품 정보들을 독자적인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고객들의 최신 구매 트렌드와 선호 상품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품 종류별로 정의되는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에 따라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상품쇼핑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채팅 처리부, 상기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상기 상품정보를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 검색엔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맞춤형 상품쇼핑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상품 큐레이션부를 포함한다.
상기 채팅 처리부는 상기 상품쇼핑과 연관된 메시지를 기초로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은 상기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상품에 관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인기 순위를 상기 후보 상품정보에 반영하여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웹 검색엔진은 상기 제2 상품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상품 정보와 연관된 웹 페이지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1차 정렬하고 상기 제2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2차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중복된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큐레이션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 결제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결제 처리부는 상기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쇼핑몰 결제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거나 또는 쇼핑몰 결제를 대신하는 자체적인 구매 대행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는 정보 외에 새로운 상품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추가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고객들의 최신 구매 트렌드와 선호 상품 등을 주기적으로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는 상품 종류별로 정의되는 복수의 구매관련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에 따라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수행되는 쇼핑 큐레이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 및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일대일 대화 방식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품 구매를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채팅앱 또는 채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대화방을 개설하고 해당 대화방 내에서 채팅을 통해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채팅 형식으로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는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에 관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별하여 해당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나아가 해당 상품에 관한 결제 기능까지 제공해주는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 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쇼핑 큐레이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가 사용자 구매를 원하는 상품에 관한 큐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상품 및 구매 상품정보 옵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상품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또는 쇼핑몰 웹사이트를 검색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쇼핑 큐레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채팅 처리부(210),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 웹 검색엔진(230), 상품 큐레이션부(240), 상품 결제 처리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채팅 처리부(210)는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채팅 처리부(210)는 사용자와의 일대일 대화 방식으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메시지 중에서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선별할 수 있다.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는 상품의 명칭이나 브랜드명이 포함된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대화방에 참여한 채팅용 로봇인 챗봇(chatbot)을 통해 상품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질의 메시지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질의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를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로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팅 처리부(210)는 상품 종류에 따라 미리 정의된 복수의 질의 시나리오를 기초로 챗봇(chatbot)을 통해 질의 시나리오에 따라 질의 메시지를 차례로 제공할 수 있고, 각 질의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로서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기초로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a)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구매결정 요소와 구매선택 요소로 분류하는 단계, (b) 구매결정 요소에 대해 선호 옵션값과 수신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c) 구매선택 요소에 대해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차례대로 수행함으로써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채팅 처리부(210)는 (a), (b) 및 (c)의 각 단계를 수행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분류 모듈, 구매결정 유효 범위 결정 모듈 및 구매선택 유효 범위 결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매 상품정보 옵션 분류 모듈은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구매결정 요소와 구매선택 요소로 분류할 수 있다. 구매결정 요소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할 수 있고, 구매선택 요소는 사용자가 특정 상품의 구매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구매할 상품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구매에 있어서 구매결정 요소가 구매선택 요소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구매결정 유효 범위 결정 모듈은 구매결정 요소에 대해 선호 옵션값과 수신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수신 옵션값과 해당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다수의 사용자들이 입력한 선호 옵션값 간의 차이를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고 해당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한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유효 범위는 (수신 옵션값 - 제1 유효 간격) ~ (수신 옵션값 + 제1 유효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매선택 유효 범위 결정 모듈은 구매선택 요소에 대해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하여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지만 구매를 위하여 선택이 필요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각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로 미리 설정된 기본 유효 간격을 기초로 유효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유효 범위는 (수신 옵션값 - 제2 유효 간격) ~ (수신 옵션값 + 제2 유효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채팅 처리부(210)는 상품 종류별 구매 상품정보 옵션 테이블에서 상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리스트를 검출하고 구매 상품정보 옵션 리스트에 포함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순서에 따라 제공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질의를 통해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수집할 수 있다. 상품은 종류별로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다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품이 'TV'인 경우 구매 상품정보 옵션으로 '브랜드', '사이즈', '가격',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이 '바지'인 경우 구매 상품정보 옵션으로 '허리사이즈', '길이', '색상', '재질',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품 종류별 구매 상품정보 옵션은 테이블 형태로 구축되어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채팅 처리부(210)는 채팅 봇을 통해 상품의 종류에 대응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 리스트에 포함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해 순서에 따라 구매 상품정보 옵션 질의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응답으로부터 각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는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온라인 쇼핑몰의 카테고리별 쇼핑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으로 상품 종류별 옵션과 해당 쇼핑몰에서의 판매조건 등이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해당할 수 있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고,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의 주기적 갱신을 담당하는 독립적인 장치 또는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상품 정보들 중에서 채팅 처리부(210)에 의해 수집된 상품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 결과를 제1 상품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대한 검색 결과를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사용자 인기도를 기초로 정렬하고 해당 정렬 순서에 따라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인기도는 사용자들의 최신 구매 트렌드와 선호 상품 등의 정보가 반영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해당할 수 있고,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외부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상품에 대한 사용자 인기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 대한 검색 결과에 해당 사용자 인기도를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인기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적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사용자 인기도 만을 반영하여 최신 흐름에 맞는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1차적으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를 기초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고, 검색 결과에서 사용자 인기도 순으로 2차적인 정렬을 수행한 후 정렬 순서에 따라 상위 N개(N은 자연수)만을 선별하여 제1 상품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고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상품에 관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인기 순위를 후보 상품에 반영하여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유효 범위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따라 정확히 일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사용자 입력 옵션 값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옵션 값의 범위로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옵션 범위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품이 '바지'이고 구매 상품정보 옵션 중 하나인 길이가 '90cm'일 경우 '85 ~ 95cm'을 해당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유효 범위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사용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모두 일치하는 상품이 없는 경우에도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유효 범위를 기초로 상품을 검색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가능성이 높은 상품들을 검색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은 사용자가 원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복수개인 경우 모든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된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일정 기준 개수 이상이면 후보 상품으로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검색 기준개수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는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쇼핑몰 사이트에서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새로운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주요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상품에 연관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할 수 있고, 상품 종류에 연관된 쇼핑몰 사이트에 관한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리스트를 기초로 해당 사이트에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 검색엔진(230)은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웹페이지에서 검색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채팅 처리부(210)에 의해 결정된 유효 범위를 기초로 해당 범위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상품들을 후보 상품으로서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웹 검색엔진(230)은 사용자가 입력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총 5개이고 검색 기준개수가 4인 경우 5개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 모두가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에 있는 상품 뿐만 아니라 4개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이 일치하거나 유효 범위에 있는 상품도 검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웹 검색엔진(230)은 제2 상품 정보에 대해 해당 상품 정보와 연관된 웹 페이지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1차 정렬하고 제2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2차 정렬할 수 있다. 웹 검색엔진(230)은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가 수집하지 못하는 최신 상품 정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가장 최근 갱신된 상품을 중심으로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해당 상품을 게시하고 있는 웹페이지의 최신 갱신일 및 해당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단계적인 정렬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정렬된 순서에 따라 제2 상품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채팅앱 또는 채팅 프로그램의 대화방에서의 채팅을 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 쇼핑(구매)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대상으로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제공되는 상품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로 큐레이션할 수 있다. 큐레이션은 다양한 상품들 중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할 확률이 높은 상품만을 선별하여 정보를 구성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한 검색 결과와 검색 엔진을 통한 검색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큐레이션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중복된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제2 상품 정보가 가장 최신 정보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상품 정보의 중복이 발생한 경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큐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큐레이션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는 복수의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사용자가 추천된 상품을 거부한 것으로 결정하고 쇼핑 큐레이션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만을 삭제한 후 새로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 및 웹 검색엔진(230)을 통한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의 검색을 재수행한 후 새로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채팅 처리부(210)에 의해 분류된 구매결정 요소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매선택 요소에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추천 점수의 총합을 통해 결정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구매결정 요소는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 영향을 미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하고 구매선택 요소는 사용자가 구매를 결정하는데 직접 영향을 주진 않지만 구매를 위하여 선택이 필요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구매결정 요소가 구매선택 요소보다 더 높은 우선위를 가질 수 있고, 이를 반영하여 상품 큐레이션부(240)는 구매결정 요소에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구매선택 요소에 제1 가중치보다 낮은 제2 가중치를 부여한 후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추천 점수의 총합을 통해 결정되는 상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품 결제 처리부(250)는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품 정보만을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해당 상품에 대한 결제까지 해당 대화방 내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상품 구매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품 결제 처리부(250)는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쇼핑몰 결제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거나 또는 쇼핑몰 결제를 대신하는 구매 대행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구매 상품에 대한 결제 방식을 두가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품 결제 처리부(250)는 구매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로 사용자를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를 진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주요 쇼핑몰과 연결된 자체 결제 시스템으로 사용자를 연결해 줌으로써 사용자를 대신하여 구매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60)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채팅 처리부(210),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 웹 검색엔진(230), 상품 큐레이션부(240) 및 상품 결제 처리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수행되는 쇼핑 큐레이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채팅 처리부(210)를 통해 대화방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1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220)를 통해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150)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웹 검색엔진(230)를 통해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쇼핑몰 사이트에서 개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5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 큐레이션부(240)를 통해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큐레이션할 수 있다(단계 S370).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상품 결제 처리부(250)를 통해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9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서 제공되는 채팅 앱에서의 채팅 형식을 이용한 일대일(1:1) 주문형(On-Demand)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는 다음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1) 고객이 채팅 앱에서 '친구추가'로 해당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에 가입하고, 2) 채팅 앱 대화창에서 친구와 대화하듯 쇼핑 큐레이션 챗봇(chatbot)과 대화를 하면서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에 대해서 구체적인 상품 구매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3) 쇼핑 플랫폼 내에서는 자체 운영하는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빅데이터 분석 결과 그리고 주요 쇼핑몰에 대한 실시간 검색 결과를 종합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최적의 쇼핑 정보를 채팅 앱의 대화창을 통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4) 고객은 제공받은 상품 구매 정보를 확인 후 내용이 부족하거나 제안받은 상품 구매 정보가 마음에 안들 경우 챗봇(chatbot)과의 대화를 통하여 추가 상품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제안받은 상품 정보가 마음에 들 경우에는 최종 구매의사 결정을 하고 구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5) 구매 의사 결정 후 구매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가 되며 고객이 최종 선택한 상품이 있는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구매를 희망할 경우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구매 및 결제를 할 수 있도록 중개를 해주며 고객이 바로 대화창에서 구매를 희망할 경우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자체 결제 시스템 화면으로 이동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며 결제 내역 및 정보는 고객이 선택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 이커머스 업체로 자동으로 연결이 되어 이후 구매 및 배송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5는 쇼핑 큐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쇼핑 큐레이션 서비스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그림 (a)에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브랜드와 모델 등이 명확한 경우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해당 브랜드 및 모델에 대해 자체 데이터 베이스 및 주요 쇼핑몰을 검색하여 오늘의 베스트 딜(deal)을 제안해 주며, 고객은 구매결정 후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결제를 할 수도 있고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가 제공하는 결제 시스템에서 직접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그림 (b)에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브랜드와 모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쇼핑 큐레이션 장치(130)는 챗봇이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서 고객이 구매를 희망하는 제품의 브랜드, 사이즈, 기능, 용도나 가격대를 구체화해 나가며 이렇게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 데이터 베이스 및 주요 쇼핑몰의 상품 정보를 검색한 후 브랜드와 모델을 엄선하여 오늘의 베스트 딜(deal)을 제안해 주며 1차 제안한 내용이 고객의 마음에 안 들 경우 고객의 요구에 따라 후속 제안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후 고객이 구매 결정을 한 경우 그림 (a)와 동일한 구매 및 결제 과정을 거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쇼핑 큐레이션 장치
150: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210: 채팅 처리부 220: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230: 웹 검색엔진 240: 상품 큐레이션부
250: 상품 결제 처리부 260: 제어부

Claims (8)

  1. 대화방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 중 소비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결정하는 채팅 처리부;
    상기 상품을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제1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상기 상품을 분석하여 상품 종류를 결정하고, 상기 상품 종류에 따른 쇼핑몰 사이트를 결정하며, 상기 쇼핑몰 사이트에서 게시된 웹 페이지를 검색하여 제2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 검색엔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을 기초로 대화방에서의 채팅을 통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 쇼핑(구매) 정보를 큐레이션하는 상품 큐레이션부를 포함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팅 처리부는
    상기 상품과 연관된 메시지를 기초로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구매 상품정보 옵션들 각각의 유효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은
    상기 유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구매 상품정보 옵션의 개수가 검색 기준개수 이상인 후보 상품을 상기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상기 상품에 관한 구매 상품정보 옵션별 인기 순위를 상기 후보 상품에 반영하여 제1 상품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검색엔진은
    상기 제2 상품 정보에 대해 상기 제2 상품 정보와 연관된 웹 페이지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1차 정렬하고 상기 제2 상품 정보의 최신 갱신일을 기준으로 2차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제1 및 제2 상품 정보들 중에서 중복된 상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상품 정보를 기초로 상기 큐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큐레이션부는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없는 경우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큐레이션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맞춤형 상품 정보 중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된 구매 상품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품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결제 처리부는
    상기 최종 구매 상품에 관한 쇼핑몰 결제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거나 또는 쇼핑몰 결제를 대신하는 구매 대행 페이지로의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팅 기반의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KR1020180156980A 2018-12-07 2018-12-07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KR10228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80A KR102286661B1 (ko) 2018-12-07 2018-12-07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980A KR102286661B1 (ko) 2018-12-07 2018-12-07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067A true KR20200075067A (ko) 2020-06-26
KR102286661B1 KR102286661B1 (ko) 2021-08-05

Family

ID=7113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980A KR102286661B1 (ko) 2018-12-07 2018-12-07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97B1 (ko) * 2020-07-22 2021-05-10 (주)비씨에스 중고차 차량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97A (ko) * 2003-09-01 2005-03-11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대화형 쇼핑에이전트에 의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80042192A (ko) * 2006-11-09 2008-05-15 주식회사 다나와 가격비교 서비스를 위한 상품정보 제공수단
KR20160107079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60113568A (ko) * 2016-09-20 2016-09-30 네이버 주식회사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20160117678A (ko) * 2015-03-30 2016-10-11 (주)엔비스타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상품 등록 및 추천 방법
KR20180012100A (ko) * 2016-07-26 2018-02-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4697A (ko) * 2003-09-01 2005-03-11 주식회사 엘지홈쇼핑 대화형 쇼핑에이전트에 의한 전자상거래 방법
KR20080042192A (ko) * 2006-11-09 2008-05-15 주식회사 다나와 가격비교 서비스를 위한 상품정보 제공수단
KR20160107079A (ko)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이에쓰씨컴퍼니 사용자의 웹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상품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60117678A (ko) * 2015-03-30 2016-10-11 (주)엔비스타 큐레이션 커머스에서 상품 등록 및 추천 방법
KR20180012100A (ko) * 2016-07-26 2018-02-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13568A (ko) * 2016-09-20 2016-09-30 네이버 주식회사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097B1 (ko) * 2020-07-22 2021-05-10 (주)비씨에스 중고차 차량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661B1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772B2 (en) Information search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972285B1 (ko) 이미지 평가 기법
US972761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sales of item listings
US201802184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search results and recommendations
CN105205089B (zh) 账户推荐
US20100250463A1 (en) Information-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applications employing same
CN108596695B (zh) 实体推送方法及系统
KR20200003106A (ko) 정보 검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98400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모바일 커머스 정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20210390365A1 (en) Aspect Pre-sel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US8793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historical influence for success attribution in network site activity
KR101707660B1 (ko) 연관 검색어를 이용한 관심사 카테고리 기반 이커머스 시스템
CN109155041A (zh) 提供与社交图相关联的基于旅行或促销的推荐
Kaur et al. Review of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retailing sector
KR20220117425A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장성 분석 및 사업화방법론 분석 시스템
US10606832B2 (en) Search system, search method, and program
CN114581175A (zh) 商品推送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286661B1 (ko)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KR102442988B1 (ko) Cnn 학습 방식을 이용한 사용자 경험 기반 취향관계망 생성 시스템
KR20220150140A (ko) 페이지톡 기반의 동시 접속 다중 사용자 이커머스 플랫폼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037711A (ko) 사용자 참여에 기초한 상품 정보 수집,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356738B2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JP707491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7217852B (zh) 一种基于行为识别购买意愿度预测方法及装置
US20230316372A1 (en) Peer-based selection using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