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422A -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422A
KR20200074422A KR1020180162779A KR20180162779A KR20200074422A KR 20200074422 A KR20200074422 A KR 20200074422A KR 1020180162779 A KR1020180162779 A KR 1020180162779A KR 20180162779 A KR20180162779 A KR 20180162779A KR 20200074422 A KR20200074422 A KR 2020007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inding
seat
binding mean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섭
유혜숙
김병철
김종훈
임영희
김창준
홍관배
노정협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침식방재 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침식방재 협동조합 filed Critical 한국해양침식방재 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80162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422A/ko
Publication of KR2020007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친환경적이면서 저비용의 경제적인 석재구조물을 만들고, 상기 석재구조물을 이용하여 해조류는 물론, 어패류의 서식환경이 최적인 석재구조물로 된 어초군락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석재를 가공하여 조경석 형태의 1차가공석을 얻고, 상기 1차가공석을 가공하여 결속수단이 형성된 2차가공석을 얻고, 상기 2차가공석에 구성된 결속수단에 결속와이어를 끼워 복수개의 2차가공석이 연결된 석재구조물을 얻고, 상기 석재구조물을 연근해에 투척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STONE BLOCK FOR MAKING HABITATS OF MARINE ORGANISMS USING STON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주로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천연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천연석재를 이용하여 석재구조물을 만들어 사용토록 함으로서, 해조류는 물론 어패류의 서식환경이 개선된 최적의 어초군락이 조성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무분별한 어획 및 환경오염 등으로 인하여 연근해를 비롯한 각종 어장에서의 어획량이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되는 추세하에서 수자원을 적절하게 보호하고 증산하는 방안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매년 다량의 인공어초가 바다에 투입되고 있으며, 바다에 투입되는 여러형태의 인공어초는 대부분 콘크리트 또는 철재구조물로 성형제작된다.
상기 콘크리트 또는 철재로 성형된 인공어초의 경우, 소재 자체가 소석회성분 등으로 되어 있어 강알카리성 유해물질이 배출되기 때문에 해조류나 패류의 서식에 적합하지 못할 뿐 아니라, 염분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고, 또한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인공어초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검토하여 보면, 특허 제10-0761966호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및 그것을 이용한 침식방지 구조물 시공방법"(특허문헌 1)과, 특허 제10-1596648호 "아치형 인공어초"(특허문헌 2)와, 공개특허 제10-2018-0077842호 "인공어초"(특허문헌 3) 등이 제공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를 구성하되, 상호간에 일정각도 유지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다리들이 연결되는 중앙부에 다리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유입홀과, 상기 다리들의 내부에 유입홀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여, 해수가 유입홀을 통해 유입된후, 유입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파력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상부에 방사각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부를 갖고 정면과 후면을 잇는 통공이 형성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아치형본체, 상기 아치형본체의 상부에 터널과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태양광이 터널까지 도달하여 해조류의 광합성작용을 촉진함과 동시에 상기 터널 내의 해류 소통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용승공, 상기 아치형본체의 측면에 터널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널 내의 해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수산동물의 이동과 은닉을 용이하게 하는 측면출입구, 상기 본체 하면에 수평조절판의 걸림쇠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된 걸림쇠삽입공, 상기 아치형본체의 하부에 아치형본체를 지지하며 해저경사면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수평조절판이 연결될 수 있는 걸림쇠삽입공이 형성된 지지부, 상기 걸림쇠 삽입공에 삽입되는 일정 길이의 걸림쇠와 이에 일정각도로 연결되는 바닥판으로 형성된 수평조절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치형 인공어초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기술내용을 검토하여 보면, 지지부, 중앙부, 상단부를 포함하여 총3단으로 형성된 인공어초로서, 각단마다 어류 및 패류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어류 및 패류가 서식 및 은신하도록 넓은 공간을 제공하며, 넓은 공간으로 인해 해류소통이 원활하며, 또한 해초가 이식되는 홈이 각층마다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해조류가 이식되고, 해조류 이식량이 극대화되게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의 구성으로된 인공어초의 경우에도, 해조류나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겠으나, 인공어초를 소석회성분의 콘크리트몰탈로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공어초로부터 발생되는 강알카리성의 유해물질 때문에 이들의 원활한 서식에 장애의 요인이 되는 것이었다.
특허 제10-0761966호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및 그것을 이용한 침식방지 구조물 시공방법" 특허 제10-1596648호 "아치형 인공어초" 공개특허 제10-2018-0077842호 "인공어초"
본 발명은 주로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친환경적이면서 저비용의 경제적인 석재구조물을 만들고, 상기 석재구조물을 이용하여 해조류는 물론, 어패류의 서식환경이 최적인 석재구조물로 된 어초군락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석재를 가공하여 조경석 형태의 1차가공석을 얻고, 상기 1차가공석에 이들을 서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수단(관통공, 앙카볼트)이 구비된 2차가공석을 얻고, 상기 2차가공석에 형성된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결속와이어로 복수개의 2차가공석이 연결된 석재구조물을 얻고, 상기 석재구조물을 연근해에 투척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석재를 가공하여 조경석 형태의 1차가공석을 얻고, 상기 1차가공석에 결속수단(관통공, 앙카볼트)을 구비한 2차가공석을 얻고, 상기 2차가공석에 형성된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결속와이어로 복수개의 2차가공석이 연결된 석재구조물을 얻고, 상기 석재구조물을 연근해에 투척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해조류는 물론 어패류의 서식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함은 물론, 저비용으로 투척 석재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해류에 의한 바닥침식방지기능도 기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석재구조물의 예시도
도 2 : 본 발명의 석재구조물 제작을 위한 1차가공석의 단면예시도
도 3 : 본 발명 석재구조물 제작을 위한 2차가공석의 단면예시도
도 4 : 본 발명 석재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5 : 도 4의 석재구조물에 사용된 2차가공석의 단면예시도
도 6 : 본 발명 석재구조물의 또다른 예시도
도 7 : 도 6의 석재구조물에 사용된 2차가공석의 단면예시도
도 8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9 :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석재구조물(10)의 예시도로서, 상기 석재구조물(10)은 복수개의 천연석재를 연결조립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천연석재는 주로 채석장에서 다량으로 얻을 수 있어 소재의 공급에는 어려움이 없다.
상기 천연석재의 경우 불특정한 형상으로서, 주로 절개된 부분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함으로서, 일반적으로 조경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조경석모양으로 가공하여 1차가공석(20)을 얻고, 1차가공석(20)을 다시 가공하여 2차가공석(30)을 얻는다.
2차가공석(30)은 1차가공석(20)에 결속수단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중앙부를 드릴링하여 결속공(31)을 뚫는 작업으로 2차가공석(30)이 얻어진다.
천연석재를 가공하여 얻어지는 1차가공석(20)의 규격 및 총중량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성은 없으나, 1차가공석(20) 크기가 작으면 조류에 유실될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크면 운송 및 취급에 불편한 점이 있기 때문에 70~180㎝ 범위내에서 총무게 3~5톤 범위 내가 적합하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천연석재로부터 얻어진 1차가공석(20)은 반드시 2차가공을 통하여 석재구조물(10) 제작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조경석으로 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관통공(31)이 뚫린 복수개의 2차가공석(30)을 결속와이어(40)로 연결하여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석재구조물(10)를 완성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결속와이어(40)를 2차가공석(30)에 뚫린 관통공(31)에 끼워 연결하는 수단으로 3~5개정도의 2차가공석(30)을 연결한 다음, 결속와이어(40)의 양측 단부를 결속부(41)를 통하여 결속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부(41)는 여러 수단으로 결속고정하는 것으로서, 양측 단부를 용접한 다음, 가는 강철선이나 클립 등을 이용하여 압박고정하여 보강하거나, 매듭형태로 결속한 다음 매듭이 풀리지 않게 결속고정하는 등 여러 결속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2차가공석(30)의 가공단계에서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통공(31) 이외에, 별도의 크고 작은 요입공(32)이나 통공(도시안됨)을 뚫어 바다생물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1차가공석(20)에 결속수단을 구비함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1차가공석(20)에 결속공(36)을 뚫고, 상기 결속공(36)에 고리(38)가 형성된 앙카볼트(37)를 박아 2차가공석(30)을 얻고, 상기 2차가공석(30)에 형성된 앙카볼트(37)의 고리(38)를 이용하여 결속와이어(40)로 복수개의 2차가공석(30)을 연결하여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석재구조물(10)을 얻을 수도 있다.
이때 2차가공석(30)에 결합되는 앙카볼트(37)의 갯수는 2~3개정도 형성하여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석재구조물(10)은 통상의 인공어초와 같이 연근해의 원하는 장소에 투척하여 석재구조물 군락을 형성하는 것이다.
투척수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제작된 석재구조물(10)을 바지선에 적재하여 원하는 장소로 이동한 다음, 바지선에 설치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바다속으로 투척하게 되며, 투척과정에서 여러개의 석재구조물(10)이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서로 인접하거나 중첩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 천연석재 무더미, 즉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구조물이 만들어진다
상기에서 만들어진 석재구조물(10) 군락은 채석장에서 얻어진 천연석재를 가공하여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종래 콘크리트몰탈과 철재로 성형제작한 인공어초와 같이 강알카리성분이 장기간 바닷물로 누출되어 해수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채석장에서 얻어지는 자연석재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석재구조물(10)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조류의 서식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키셔 해조류 군락의 형성이 쉽게 조성되므로, 어패류의 서식환경도 자연스럽게 조성된다.,
석재구조물(10) 제작시 2차가공석(30)의 가공과정에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크고 작은 복수개의 요입공(32)을 뚫어 구성할 경우, 해조류의 활착이나, 각종 어패류의 은신처를 제공하게 되므로 보다 이상적인 석재구조물 군락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석재구조물(10)은 인공어초의 기능 외에도 해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는 기능도 기대할 수 있다.
(10)--석재구조물 (20)--1차가공석
(30)--2차가공석 (31)--관통공
(32)--요입공 (36)--결속공
(37)--앙카볼트 (38)--고리
(40)--결속와이어 (41)--결속부

Claims (4)

  1. 채석장에서 수거된 천연석재를 가공하여 1차가공석(20)을 얻고, 상기 1차가공석(20)에 결속수단을 구비한 2차가공석(30)을 얻고, 2차가공석(30)에 형성된 결속수단에 결속와이어(40)를 끼워 복수개의 2차가공석(30)이 연결되게 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2차가공석(30)에 구성되는 결속수단은, 2차가공석(30)을 관통하는 관통공(31)이거나, 2차가공석(30)에 결속공(36)을 뚫고, 상기 결속공(36)에 고리(38)가 형성된 앙카볼트(37)를 결속고정한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결속수단이 형성된 2차가공석(30)에 복수개의 요입공(32)을 구성하여 해조류의 활착이나 어패류의 은신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4. 채석장에서 얻어진 천연석재를 수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석재의 돌출부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여 1차가공석(20)를 얻는 단계와, 상기 1차가공석(20)을 가공하여 결속수단이 형성된 2차가공석(30)을 얻는 단계와, 상기 2차가공석(30)에 형성된 결속수단에 결속와이어(40)를 연결하여 복수개의 2차가공석(30)이 연결된 석재구조물(10)를 얻는 단계를 통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62779A 2018-12-17 2018-12-17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4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779A KR20200074422A (ko) 2018-12-17 2018-12-17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779A KR20200074422A (ko) 2018-12-17 2018-12-17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422A true KR20200074422A (ko) 2020-06-25

Family

ID=7140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779A KR20200074422A (ko) 2018-12-17 2018-12-17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42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66B1 (ko) 2007-06-01 2007-10-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 포드 및 그것을 이용한침식방지구조물 시공방법
KR101596648B1 (ko) 2015-12-03 2016-02-22 (주)세강건설 아치형 인공어초
KR20180077842A (ko) 2016-12-29 2018-07-09 이영철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66B1 (ko) 2007-06-01 2007-10-0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 포드 및 그것을 이용한침식방지구조물 시공방법
KR101596648B1 (ko) 2015-12-03 2016-02-22 (주)세강건설 아치형 인공어초
KR20180077842A (ko) 2016-12-29 2018-07-09 이영철 인공어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ghamer Artificial reef effect in relation to offshore renewable energy conversion: state of the art
JP6709937B2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KR101122408B1 (ko) 인공어초 겸용 테트라포드
KR101294897B1 (ko) 해조류 부착용 요철 홈을 갖는 사다리꼴 요철형 인공어초 및 제작방법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1001828B1 (ko) 해중림 조성용 기둥형 해중림초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KR20130006396U (ko)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KR101120922B1 (ko) 삼곡면 해중림 어초
Perricone et al. Nature-based and bioinspired solutions for coastal protection: an overview among key ecosystems and a promising pathway for new functional and sustainable designs
KR100894325B1 (ko) 트라이포드형 해중림 어초
KR20200074422A (ko) 석재를 이용한 해양생물 서식지 조성용 석재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KR101272219B1 (ko) 여울·수제 등에 적용 가능한 지하 매립형 인공 어초
KR101239378B1 (ko) 문어의 산란장 및 성육이 가능한 다기능 구조물
CN108308079A (zh) 四孔式圆台型滩涂组合构建礁及其建设方法
KR20190044358A (ko) 해조류 종사 이식체
KR200399715Y1 (ko)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JPH09165725A (ja) 生態系を考慮した護岸構造物
KR102052926B1 (ko) 플러스 공간 인공어도초
KR100977533B1 (ko) 인공 어초
KR100570938B1 (ko) 인공어초
KR20170065263A (ko) 계단식 피라미드형 해중림초
KR100665710B1 (ko) 인공어초용 블럭 및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