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062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062A
KR20200074062A KR1020200067986A KR20200067986A KR20200074062A KR 20200074062 A KR20200074062 A KR 20200074062A KR 1020200067986 A KR1020200067986 A KR 1020200067986A KR 20200067986 A KR20200067986 A KR 20200067986A KR 20200074062 A KR20200074062 A KR 20200074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ose
earring
weare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613B1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구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홍식 filed Critical 구홍식
Priority to KR102020006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26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제1 파트를 포함하고, 제1 파트는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부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 파트는 귀걸이를 구비하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신장된 귀걸이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 파트가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되어 코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독감, 감기 및 코로나 19와 같이 호흡기 질환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감염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필터링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마스크는 하나의 돔(dome) 형상을 가져서 착용자의 입과 코를 모두 커버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 내부에서는 착용자의 입과 코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특히,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날숨에는 이산화탄소 및 구취가 포함되어 있는데, 종래의 마스크는 이들을 그대로 재흡입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착용 상태에서 입을 움직이는 경우(예를 들면, 말을 하는 경우), 마스크 전체가 턱의 움직임에 의해서 이동을 하기 때문에, 코 부분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부분과 입을 커버하는 부분을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제1 파트를 포함하고, 제1 파트는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부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 파트는 귀걸이를 구비하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신장된 귀걸이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 파트가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되어 코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제1 파트와,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제1 파트는 제2 파트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 파트 및 제2 파트는 각각 귀걸이와 결합되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신장된 귀걸이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1 파트가 코 부분에 밀착되고 제2 파트가 입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파트는 공기유입구를 구비하고, 공기유입구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제1 파트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파트는 외피, 필터 및 내피를 구비하고, 공기유입구는 외피에 형성되며, 내피는 착용자의 콧구멍과 접하는 코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귀걸이는 제1 파트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귀걸이를 귀에 걸 때 귀걸이가 제1 파트의 양단부를 수평 및/또는 귀 걸림 위치로 상향해서 당길 수 있다.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제2 파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귀걸이는 제1 파트 및 제2 파트에 각각 연결되고, 귀걸이를 귀에 걸 때 귀걸이가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양단부를 수평 및/또는 귀 걸림 위치로 상향해서 당길 수 있다.
제1 파트와 제2 파트는 결합부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결합부는 제1 파트의 중앙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제1 파트가 펴진 상태에서 제1 파트의 하단 일부가 중첩되어 U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 및 제2 파트는 각각 별개의 귀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트는 절개라인을 구비하고, 제1 파트는 절개라인을 기준으로 그 상부가 전방으로 접혀서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과 접할 수 있다.
제1 파트는 착용시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되어 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부분과 입을 커버하는 부분을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된 공기가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로 코로 재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 상태에서 턱을 움직일 때 코를 커버한 부분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접혀 있던 제1 파트가 펴진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파트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필터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 제2 파트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제1 파트 및 제2 파트가 중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접혀 있던 제1 파트(110)가 펴진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착용자의 코 부분을 커버하는 제1 파트(110)와 입 부분을 커버하는 제2 파트(140)가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부분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 파트(110)는 제2 파트(14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마스크(1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 파트(110)는 접혀서 도 1과 같이 제2 파트(140)와 일부 중첩될 수 있고, 도 2와 같이 전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하나의 귀걸이(160)를 구비하고, 귀걸이(160)의 양단부는 각각 제1 파트(110) 및 제2 파트(14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제1 파트(11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필터(134, 136)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에서 제2 파트(14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의 제1 파트(110)는 제2 파트(140)와는 별개로 제작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코 부분을 커버한다. 그리고 제1 파트(110)에 의해서 커버되는 공간은, 제2 파트(140)에 의해서 커버되는 공간(착용자의 입 부분)과는 분리되어 있다(도 7 참조). 따라서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 또는 입 냄새는 착용자의 코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제1 파트(110)는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를 구비하고, 이들은 각각 열융착 등에 의해서 일체화 될 수 있다.
내피(126)는 착용자의 코와 접하는 부분이고, 외피(130)는 착용시 외부를 향하는 면에 해당한다. 그리고 내피(126)와 외피(130)의 사이에는 필터(128)가 구비될 수 있다.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의 동일한 위치에는 절개라인(114)이 구비될 수 있다. 절개라인(114)은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의 중앙 부분을 일정한 길이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절개해서 형성한 것이다. 제1 파트(110)를 착용한 경우 절개라인(114)의 상부가 전방으로 접혀서 착용자의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절개라인(114)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착용자의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과 접하는 부분은 상향 돌출된 돌출부분(113)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절개라인(114)은 착용시 제1 파트(110)의 돌출부분(113)이 전방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게 한다. 절개라인(114)은 직선 또는 곡선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한 곡선인 경우 위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절개라인(114)이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에서 절개라인(114)은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라인(114)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출부분(113)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또는 나노 단위 이하의 기공을 가져서 공기의 자연스러운 유입이 어렵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 마스크 소재의 표면을 가열체 등으로 눌러서 본래의 기공을 폐쇄하거나 더욱 조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기공이 조밀한 다른 소재를 겹쳐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내피(126)에서, 절개라인(114)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출부분(113) 중에서도 콧구멍과 직접 접하는 두 개의 코접촉부(120)는 필터(128)에 의해서 필터링된 공기가 쉽게 통과할 수 있는 밀도를 갖는 면이나 천 또는 부직포 등이 필터를 대신해서 부분적으로 구비되거나 개방(hole)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절개라인(114)의 좌우측에는 공기유입구(118)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유입구(118)는 외부의 공기가 제1 파트(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로에 해당한다. 공기유입구(118)는 외피(130)에 형성되어 있고, 내피(126)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유입구(118)도 절개라인(114)과 동일하게 외피(130)를 일부 절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118) 부분에는 필터(128)가 위치하거나 또는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필터(134, 136)를 공기유입구(118)를 통해서 외피(130) 및 내피(126) 사이에 삽입할 수도 있다.
물론, 공기유입구(118)는 절개된 형상을 갖지 않고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큰 기공을 갖는 부직포 등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118)는 착용자의 콧구멍 및 입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절개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마스크(100)에서 공기가 가장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는 통로에 해당한다. 그리고 공기유입구(118)는 콧구멍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공기유입구(118)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128, 134, 136)가 오염되더라도 콧구멍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서 위생적인 장점을 갖는다.
공기유입구(118)는 외피(130)의 일부를 절개해서 형성할 수 있지만, 부분적으로 외피(13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일부 타공 또는 밀도가 낮은 면이나 부직포 등을 결합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서 공기유입구는 다른 부분에 비해서 외부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도 가능하다.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18)만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기유입구(118)를 제외한 외피(130) 및 내피(126)의 다른 부분은 공기 유입이 잘 이루어지지 않도록 방수 처리를 하거나 또는 기공의 크기가 작은 소재(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파트(110)는 귀걸이(160)와 결합하는 체결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124)는 외피(1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외피(130)에서도 절개라인(114)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하기 위해서 귀걸이(160)를 귀에 거는 경우, 귀걸이(160)가 탄성적으로 늘어나면서 제1 파트(110)의 좌우 단부를 양쪽으로 당기게 되는데, 이로 인해 제1 파트(110)가 착용자의 콧구멍 부분에 밀착된다. 특히, 제1 파트(110)는 절개라인(114)에 의해서 돌출부분(113)이 용이하게 접히기 때문에 귀걸이(160)의 탄성력에 의해서 돌출부분(113)이 콧구멍 부분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다.
필터(128)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한다. 공기유입구(118)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필터(128)를 통과한 후 착용자의 코에 집중적으로 유입되고 입으로도 유입될 수 있다.
제1 파트(110)는 천연섬유 및/또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한 부직포이거나 또는 스판덱스(spandex)가 포함된 소재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파트(110)가 스판덱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경우 절개라인(114)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필터(128, 134, 136)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예시된 필터(134, 136)는 공기유입구(118)를 통해서 내피(126)와 외피(130) 사이에 삽입할 수 있는 형상 및 크기를 구비한다. 즉, 도 4에 예시된 필터(134)와 같이 착용자의 두 개의 콧구멍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하나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 5와 같이 착용자의 각각의 콧구멍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동일한 크기로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필터(134, 136)는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필터(134, 136)는 모두 내피(126) 및 외피(130)에 비해서 작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외부 공기가 주로 공기유입구(118)를 통해서 유입되기 때문에 필터를 마스크 전체에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고가의 필터를 적게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필터(128, 134, 136)의 제작 방법은 필터를 두 장 또는 그 이상을 상하로 적층한 후 테두리 부분을 열융착하거나 재봉해서 합체한 후 일정한 형상을 만든다. 그리고 융착 또는 재봉된 부분 중 일부를 커팅해서 마스크에 장착할 수 있는 필터(128, 134, 136)를 제작할 수 있다. 커팅에 의해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서 두 장 또는 그 이상의 매수로 형성된 필터(128, 134, 136)의 내부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28, 134, 136)의 개방된 부분을 열가압 누름 등으로 표면에 요철을 형성해서 합체된 필터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파트(140)는 착용자의 입 부분을 커버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제1 파트(110)와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2 파트(140)는 내피(142), 필터(144) 및 외피(146)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제1 파트(110)의 내피(126), 필터(128) 및 외피(130)와 유사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파트(140)는 착용자의 입 부분만을 커버할 수 있는 상하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140)의 상부 중앙에는 제1 파트(110)가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40)는 열융착, 접착제 또는 재봉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서 결합되어서 결합부(117)를 형성한다.
제2 파트(140)의 내부에는 스커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스커트(150)는 내부에 접혀 있다가 필요한 경우 외부로 펼쳐져서 사용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입 좌우 측에 밀착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파트(140)는 천연섬유 및/또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한 부직포이거나 또는 스판덱스(spandex)가 포함된 소재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예시된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마스크(100)를 착용하는 경우, 귀걸이(160)가 탄성적으로 신장되면서 제1 파트(110) 및 제2 파트(140)를 좌우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은 귀걸이(16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제1 파트(110)는 착용자의 코 부분에 대응해서 변형되면서 밀착된다. 특히, 착용자의 코 부분이 가장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파트(110)의 중앙에 해당하는 돌출부분(113)이 착용자의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에 가장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귀걸이(160)의 당기는 힘에 의해서 제2 파트(140)도 착용자의 입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귀걸이(160)는 제1 파트(110)의 양단부를 좌우 수평 방향 및 귀 걸림 위치로 상향해서 당긴다. 이로 인해, 제1 파트(110)가 콧 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에 밀착하게 된다.
결합부(117)의 좌우 측에는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40)가 상호 결합되지 않은 비결합라인(11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부(117)는 위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파트(110) 또는 제2 파트(140)의 일부가 접혀서 U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117)의 형상 및 비결합라인(116)에 의해서, 제1 파트(110)와 제2 파트(140) 중 어느 하나의 움직임이 다른 하나에 전달되지 않거나 쉽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는 경우, 제2 파트(14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데, 결합부(117)의 형상 및 비결합라인(116)에 의해서 제2 파트(140)의 이동이 제1 파트(110)에 거의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는 경우에도, 제2 파트(140)의 이동이 거의 없어서 코 부분이 개방되어 바이러스 등이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제1 파트(110) 및 제2 파트(140)가 중첩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에 예시된 마스크(100)를 착용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00)는 제1 파트(110) 및 제2 파트(140)가 상호 분리되어 있고 각각 귀걸이(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착용자는 제1 파트(110) 및 제2 파트(140)를 각각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에는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중첩부(154)가 형성된다. 중첩부(154)는 제1 파트(110) 및 제2 파트(140)가 결합되지 않고 착용에 의해서 단순 중첩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200: 마스크
110: 제1 파트
140: 제2 파트
160: 귀걸이

Claims (14)

  1.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제1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부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파트는 귀걸이를 구비하며,
    상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신장된 상기 귀걸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 파트가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되어 코 부분에 밀착될 수 있는 마스크.
  2. 착용자의 코를 커버하는 제1 파트; 및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파트 및 제2 파트는 각각 귀걸이와 결합되며,
    상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신장된 상기 귀걸이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제1 파트가 코 부분에 밀착되고 상기 제2 파트가 입 부분에 밀착되는 마스크.
  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공기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 파트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서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외피, 필터 및 내피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유입구는 상기 외피에 형성되며,
    상기 내피는 착용자의 콧구멍과 접하는 코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는 상기 제1 파트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상기 귀걸이가 상기 제1 파트의 양단부를 수평으로 및/또는 귀 걸림 위치로 상향하여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입을 커버하는 제2 파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는 상기 제1 파트 및 제2 파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를 귀에 걸 때 상기 귀걸이가 상기 제1 파트 및 제2 파트의 양단부를 수평 및/또는 귀 걸림 위치로 상향하여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와 제2 파트는 결합부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파트의 중앙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파트가 펴진 상태에서 상기 제1 파트의 하단 일부가 중첩되어 U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 및 제2 파트는 각각 별개의 귀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3. 제1항 및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절개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절개라인을 기준으로 그 상부가 전방으로 접혀서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는 착용시 콧구멍 주변의 표면 및/또는 코 밑의 인중 부분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되어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00067986A 2020-06-05 2020-06-05 마스크 KR102522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86A KR102522613B1 (ko) 2020-06-05 2020-06-05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86A KR102522613B1 (ko) 2020-06-05 2020-06-05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062A true KR20200074062A (ko) 2020-06-24
KR102522613B1 KR102522613B1 (ko) 2023-04-21

Family

ID=7140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986A KR102522613B1 (ko) 2020-06-05 2020-06-05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261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331B1 (ko) * 2020-07-23 2020-12-08 주식회사 호창인터내셔날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KR102239003B1 (ko) 2020-09-22 2021-04-12 김대성 마스크 걸이용 스트랩 장치
KR102284894B1 (ko) 2020-08-05 2021-08-03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분리형 마스크
IT202000015682A1 (it) * 2020-06-29 2021-12-29 E M Company Srl Mascherina filtrante riutilizzabile, ad elevato confort.
KR20220001823A (ko) 2020-06-30 2022-01-06 이재윤 롤 휴대형 일회용 마스크
KR20220005855A (ko)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엘텍 착용이 용이한 마스크
KR102402972B1 (ko) 2020-12-24 2022-05-27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냉풍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KR20220073480A (ko) 2020-11-26 2022-06-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청정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133A (ja) * 1998-04-30 2003-09-1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着用者の顔面を保護する装置
KR20070117880A (ko) * 2006-06-09 2007-12-13 김창금 마스크
KR20110007565A (ko) * 2009-07-16 2011-01-24 홍완기 코, 입 분리형 마스크
JP2014046067A (ja) * 2012-09-03 2014-03-17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美容マスク
CN204519416U (zh) * 2015-03-16 2015-08-05 赵新德 口罩外用v型鼻夹
KR20170072094A (ko) * 2015-12-16 2017-06-26 안철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이나 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102013953B1 (ko) * 2018-10-04 2019-08-23 박영준 김서림 방지 패드와 이를 구비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133A (ja) * 1998-04-30 2003-09-1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着用者の顔面を保護する装置
KR20070117880A (ko) * 2006-06-09 2007-12-13 김창금 마스크
KR20110007565A (ko) * 2009-07-16 2011-01-24 홍완기 코, 입 분리형 마스크
JP2014046067A (ja) * 2012-09-03 2014-03-17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美容マスク
CN204519416U (zh) * 2015-03-16 2015-08-05 赵新德 口罩外用v型鼻夹
KR20170072094A (ko) * 2015-12-16 2017-06-26 안철 착용이 용이하면서 김이나 서림을 방지한 방진마스크
KR102013953B1 (ko) * 2018-10-04 2019-08-23 박영준 김서림 방지 패드와 이를 구비한 마스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5682A1 (it) * 2020-06-29 2021-12-29 E M Company Srl Mascherina filtrante riutilizzabile, ad elevato confort.
KR20220001823A (ko) 2020-06-30 2022-01-06 이재윤 롤 휴대형 일회용 마스크
KR20220005855A (ko)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엘텍 착용이 용이한 마스크
KR102188331B1 (ko) * 2020-07-23 2020-12-08 주식회사 호창인터내셔날 입과 코 분리형 마스크
KR102284894B1 (ko) 2020-08-05 2021-08-03 주식회사 웰니스헬스케어 분리형 마스크
KR102239003B1 (ko) 2020-09-22 2021-04-12 김대성 마스크 걸이용 스트랩 장치
KR20220039517A (ko) 2020-09-22 2022-03-29 김대성 자성을 이용한 마스크 걸이용 스트랩 장치
KR20220073480A (ko) 2020-11-26 2022-06-03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공기청정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
KR102402972B1 (ko) 2020-12-24 2022-05-27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냉풍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마스크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2613B1 (ko)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4062A (ko) 마스크
JP2020193426A (ja) 長さ調節部付き機能性マスク
JP7050558B2 (ja) 使い捨てマスク
CN111770696B (zh) 一次性口罩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1918084B1 (ko) 공기챔버 확보형 주름 마스크
KR20190128184A (ko) 마스크 및 관련 방법
KR102059146B1 (ko) 귀걸이 끈 조절용 마스크
KR20200067779A (ko) 마스크
JP2011092698A (ja) 把持機構指標を有するフィルタ式顔面装着呼吸マスク
KR20200141410A (ko) 김서림 방지 기능이 강화된 마스크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20200128846A (ko) 스트랩 길이 조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5569A (ko) 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KR20210151632A (ko) 마스크
KR20210052403A (ko) 마스크
KR102417749B1 (ko) 위생용 종이 마스크
US20230337763A1 (en) Mask
KR200497457Y1 (ko) 마스크
JP2005152030A (ja) 簡易マスク
JP2024020986A (ja) マスク
KR102369634B1 (ko) 신축복원성과 호흡성 및 항균성이 향상된 패브릭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2112B1 (ko) 끈 길이 조절가능한 마스크
WO2024029369A1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