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749B1 - 위생용 종이 마스크 - Google Patents

위생용 종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749B1
KR102417749B1 KR1020200126351A KR20200126351A KR102417749B1 KR 102417749 B1 KR102417749 B1 KR 102417749B1 KR 1020200126351 A KR1020200126351 A KR 1020200126351A KR 20200126351 A KR20200126351 A KR 20200126351A KR 102417749 B1 KR102417749 B1 KR 10241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paper
mask
line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2922A (ko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김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성 filed Critical 김윤성
Priority to KR102020012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74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2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2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40Pa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비말을 차단하는 위생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한장의 천연종이를 접어서 입체적인 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개된 한장의 종이에 입과 코에 위치되는 전면체; 상기 전면체와 연장되어 콧등을 감싸는 상부면체; 상기 전면체와 연장되어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 상기 전면체 좌·우측으로 귀에 거는 걸이줄이 체결되도록한 체결공이 구성되어, 상기 상부면체 및 하부면체에 제 1접이선 내지 제 9접이선을 형성하여 순차적으로 접어서 위생용 종이 마스크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마스크는 친환경적인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한장의 종이를 접어서 마스크를 형성하므로 생산 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입체적인 마스크를 제공하므로서 입과 코 주위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호흡 및 말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생용 종이 마스크{Sanitary Paper Mask}
본 발명은 코와 입을 막고 양쪽귀에 걸어 착용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 입과 코를 통해 흡입되는 세균 및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위생용 종이 마스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입과 코에 위치되고 귀에 걸어 착용되는 위생 마스크는 섬유재의 면 또는 부직포등으로 구성되어 미세먼지등의 체내 유입을 차단하는데 사용되어져 오고 있고 또한, 전염성 바이러스의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바이러스를 차단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통상의 위생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덮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에 체결되는 좌·우측 귀걸이줄로 이루어지고, 본체의 재료는 주로 면 또는 부직포 및 투명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마스크는 일회성으로 한번 사용하고 버려지게 된다.
그런데 근래에 발생된 신규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마스크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많은량의 마스크가 쓰레기로 배출 되었다. 이렇게 쓰레기로 배출된 마스크는 소각하거나 매립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심각한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이었다.
그리고 상기 면마스크는 재단을 하고 재봉하여야 하므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돌출된 입과 코에 밀착되어 쉼쉬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고자, 부직포재질의 마스크를 여러조각으로 재단하여 고주파열로 이어붙혀서 입과 코로부터 이격되게 하였으나 제작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마스크 귀걸이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안면 조건과 상관 없이 착용하여야만 하였다. 그래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비말 및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마스크 표면에 문자 및 기호를 표시하기 위하여는 인쇄를 하거나 자수를 하여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한 후, 폐기되는 마스크에 의해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전개된 한장의 종이 마스크를 접어서 입체적인 마스크 형태가 형성도록 하며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귀걸이줄을 조절하여 안면 형태에 맞춰서 효율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개된 한장의 종이를 접어서 입과 코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귀걸이줄을 귀에 걸어 착용되는 위생용 종이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항균처리 되고 입과 코에 위치되는 전면체; 상기 전면체와 연장되어 콧등을 감싸는 상부면체; 상기 전면체와 연장되어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 상기 전면체 좌·우측으로 귀에 거는 걸이줄이 체결되도록한 체결공;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면체의 가로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 평행되게 형성되는 제 1접이선 및 제 2접이선; 상기 제 1접이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하향에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3접이선: 상기 제 3접이선과 대응되고 상기 제 1접이선의 중심점에서 교차되도록 좌상향에서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4접이선; 상기 제 1접이선의 중심점에서 상부면체로 직각 형성된 세로중심선; 상기 세로중심선 상부에서 좌·우로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는 제 5접이선: 상기 제 5접이선은 콧등에 안착되면서 코주위로 새어나오는 입김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편을 결합하는 절개부; 상기 상부면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 3접이선과 접하고 본체 내측으로 부등호 기호
{ 〉}와 같이 경사지게 제 6접이선이 좌·우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는 상기 제 2접이선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상향에서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7접이선: 상기 제 7접이선과 대응되고 제 2접이선의 중심점에서 교차되도록 좌하향에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8접이선; 상기 하부면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 7접이선과 접하고 본체 내측으로 부등호 기호{ 〉} 같이 경사지게 제 9접이선이 좌·우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면체와 하부면체에는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흡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체결공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종이재질의 보강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는 표백되지 않은 천연한지 및 크라프트지(kraft pap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5접이선에 결합되어 콧등에 밀착하게 하는 상기 고정편은 연질의 금속재를 종이로 감싸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면체 및 하부면체에 형성되는 흡배기구는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공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공에 결착되는 귀걸이줄에는 길이 조절용 고무링을 결합하여 신체조건에 맞게 귀걸이줄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는 친환경적인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환경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한장의 종이를 접어서 마스크를 형성하므로 생산 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입체적인 마스크를 제공하므로서 입과 코 주위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호흡 및 말을 편안하게 하는 한편, 귀걸이줄을 조절하여 안면 형태에 맞게 착용할 수 있게 되므로서 비말 및 미세먼지등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생용 종이 마스크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제 1접이선 및 제2접이선이 접혀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제 3,4접이선 및 제 7.8접이선이 접혀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상부면체 및 하부면체를 형성하기 위해 벌어진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상부면체 및 하부면체가 형성되는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제 6접이선 및 제 9접이선이 상부면체 및 하부면체에 접혀진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종이 마스크가 완성된 상태로 뒷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절개부에 고정편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흡배기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체결홈에 귀걸이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종이 마스크에 결합된 귀걸이줄의 거리조절 상태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 종이 마스크의 체결공에 부착되는 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 종이 마스크가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위생용 종이 마스크는 본체와 좌·우 양측단에 결합된 귀걸이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생용 종이 마스크가 펼쳐진 전개도로서,
상기 전개된 종이 마스크 본체(1)는 항균처리 되고 입과 코에 위치되는 전면체(10); 상기 전면체(10)와 연장되어 콧등을 감싸는 상부면체(20); 상기 전면체(10)와 연장되어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30); 상기 전면체(10) 좌·우측으로 귀에 거는 걸이줄(80)이 체결되도록한 체결공(60);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면체(10)의 가로중심선(SP)을 기준으로 상·하 평행되게 형성되는 제 1접이선(C1) 및 제 2접이선(C2); 상기 제 1접이선(C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하향에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3접이선(C3): 상기 제 3접이선(C3)과 대응되고 제 1접이선(C1)의 중심점에서 교차되도록 우상향에서 좌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4접이선(C4); 상기 제 1접이선(C1)의 중심점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세로중심선(VP); 상기 세로중심선(VP) 좌·우로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면서 콧등을 감싸는 제 5접이선(C5): 상기 제 5접이선(C5)은 콧등으로 새어나오는 입김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편(50)을 결합하는 절개부(40); 상기 상부면체(2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 3접이선(C3)과 접하고 본체(1) 내측으로 부등호 기호{ 〉}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 6접이선(C6)이 좌·우 대응되게 구성되며, 상기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30)는 상기 제 2접이선(C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상향에서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7접이선(C7): 상기 제 7접이선(C7)과 대응되고 상기 제 2접이선(C2)의 중심점에서 교차되도록 좌하향에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8접이선(C8); 상기 제 8접이선(C8)과 접하고 본체 내측으로 부등호 기호{ 〉}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 제 9접이선(C9)이 좌·우 대응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3접이선(C3) 및 제 7접이선(C7)에는 원활한 호흡을 위해 흡배기구(70)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60)에는 체결공(60)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종이재질의 보강부재(61)가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표백되지 않은 천연한지 및 크라프트지(kraft pap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형성된 본 발명의 위생용 종이 마스크는 도 2 에서 나타내는바와 같이 상기 본체(1) 전면체(10)의 가로중심선(SP) 방향으로 제1접이선(C1) 및 제2접이선(C2)을 맞대응되게 접는다.
이때, 제 3접이선(C3) 및 제 4접이선(C4), 그리고 제 7접이선(C7) 및 제 8접이선(C8)이 동일한 위치에 포개지게 된다. 그래서 도 3 에서와 같이 제 3접이선(C3)과 제 4접이선(C4) 및 제 7접이선(C7)과 제 8접이선(C8)을 경사지게 4곳을 접고, 도 4에서와 같이 상부면체(20)와 하부면체(30)를 잡고 외부 방향으로 뒤집으면, 상기 제1접이선(C1) 및 제 2접이선(C2)이 펴지지면서 도 5와 같이 상부면체(20)와 하부면체(30)가 겹쳐지게 된다.
이렇게 상부면체(20)와 하부면체(30)가 겹쳐지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6접이선(C6) 및 제 9접이선(C9)을 상기 상부면체(20) 및 하부면체(30)의 내부로 접으면, 상부면체(20) 및 하부면체(30)가 고정되면서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위생용 종이 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여 도 7은 본 발명 위생용 종이 마스크를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하여 뒷부분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착용하면 날숨시 콧등 주변으로 새어나오는 입김을 차단하고 콧등 주변과 상기 상부면체(20)의 틈새를 최소화 하기 위해, 도 8에서 나타낸바와 같이 상기 제 5접이선(C5)에 형성된 절개부(40)에 바느질 방식으로 고정편(50)을 교차하며 결합하고 고정편(50) 끝단을 절곡하여 쉽게 빠지지 않도록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편(50)은 본체(1)와 동일한 종이로 감싸진 연질의 금속재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콧등에 맞게 변형할 수 있게 되고, 도 9에서와 같이 들숨과 날숨을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면체(20) 및 하부면체(30)에 형성된 흡배기구(70)는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10에서 나타내는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60)에는 폐쇄된 귀걸이줄(80) 일측단(b)을 관통하여 끼우고, 이의 타측(a) 귀걸이줄(80)을 상기 일측단(b)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체결공(60)에 체결된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귀걸이줄(80)에 결합된 고무링(90)을 이동시켜 코와 입의 조건에 맞게 귀걸이줄(80)의 길이를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60)이 귀걸이줄(80)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본체(1)와 동일한 종이재질의 보강부재(61)를 덧붙여 형성된다.
그래서 도 13과 같이 본 발명의 위생용 종이 마스크를 코와 입을 차단 하면서 착용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종이재질로 형성된 본 발명의 마스크 표면에 문자 및 기호를 착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장의 천연종이를 사용자가 접어서 입체적으로 완성하여 외부의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친환경 마스크를 제공할 수 된다.
1 : 본체 10 : 전면체
20 : 하부면체 30 : 상부면체
40 : 절개부 50 : 고정편
60 : 체결공 61 : 보강부재
70 : 흡배기구 80 : 귀걸이줄
90 : 길이 조절 고무링 SP : 가로중심선
VP : 세로중심선 C1 : 제 1접이선
C2 : 제 2접이선 C3 : 제 3접이선
C4 : 제 4접이선 C5 : 제 5접이선
C6 : 제 6접이선 C7 : 제 7접이선
C8 : 제 8접이선 C9 : 제 9접이선

Claims (4)

  1. 한장의 전개된 종이를 접어서 입과 코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단에 결합되는 귀걸이줄을 귀에 걸어 착용되는 위생용 종이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항균처리 되고 입과 코에 위치되는 전면체(10); 상기 전면체(10)와 연장되어 콧등을 감싸는 상부면체(20); 상기 전면체(10)와 연장되어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30); 상기 전면체(10) 좌·우측으로 귀에 거는 걸이줄(80)이 체결되도록한 체결공(60);이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전면체(10)의 가로중심선(SP)을 기준으로 상·하 평행되게 형성되는 제 1접이선(C1) 및 제 2접이선(C2); 상기 제 1접이선(C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하향에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3접이선(C3): 상기 제 3접이선(C3)과 대응되고 상기 제 1접이선(C1)의 중심점에서 교차되도록 좌상향에서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4접이선(C4); 상기 제 1접이선(C1)의 중심점에서 상부면체(20)로 직각 형성된 세로중심선(VP); 상기 세로중심선(VP) 상부에서 좌·우로 대응되게 하향 경사지는 제 5접이선(C5): 상기 제 5접이선(C5)은 콧등에 안착되면서 코주위로 새어나오는 입김을 차단하기 위해 고정편(50)을 결합하는 절개부(40); 상기 상부면체(2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 3접이선(C3)과 접하고 본체1) 내측으로 부등호 기호
    { 〉}와 같이 경사지게 제 6접이선(C6)이 좌·우 대응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턱부위를 감싸는 하부면체(30)는 상기 제 2접이선(C2)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상향에서 우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7접이선(C7): 상기 제 7접이선(C7)과 대응되고 상기 제 2접이선(C2)의 중심점에서 교차되도록 좌하향에서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8접이선(C8); 상기 하부면체(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제 7접이선(C7)과 접하고 본체(1) 내측으로 부등호 기호{ 〉} 같이 경사지게 제 9접이선(C9)이 좌·우 대응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면체(20)와 하부면체(30)에는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흡배기구(70)가 형성되는데, 상기 흡배기구(70)는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하여 다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0)에는 체결공(60)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종이재질의 보강부재(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종이 마스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표백되지 않은 천연한지 및 크라프트지(kraft paper)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종이 마스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에 결합되는 상기 고정편(50)은 플렉시블(flexible)한 연질의 금속재를 종이로 감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종이 마스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공(60)에 결착되는 귀걸이줄(80)에는 고무링(90)을 결합하여 신체조건에 맞게 귀걸이줄(8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 종이 마스크.
KR1020200126351A 2020-09-28 2020-09-28 위생용 종이 마스크 KR10241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51A KR102417749B1 (ko) 2020-09-28 2020-09-28 위생용 종이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51A KR102417749B1 (ko) 2020-09-28 2020-09-28 위생용 종이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922A KR20220042922A (ko) 2022-04-05
KR102417749B1 true KR102417749B1 (ko) 2022-07-05

Family

ID=8118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351A KR102417749B1 (ko) 2020-09-28 2020-09-28 위생용 종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7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25B1 (ko) * 2016-06-28 2018-07-23 오승묵 디아이와이 마스크 및 디아이와이 마스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922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KR102522613B1 (ko) 마스크
JP3126242U (ja) マスク
JP2003525715A (ja) 使い捨て呼吸マスク
CN111770696A (zh) 一次性口罩
KR102283616B1 (ko) 끈 조절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KR20170104194A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US2265529A (en) Surgical mask
KR101171703B1 (ko) 코주머니형 마스크
TWM599101U (zh) 立體剪裁口罩
KR102259991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구비한 접이식 안면 마스크
WO2022101724A1 (en) Face mask with separate inhaling and exhaling portions
KR102417749B1 (ko) 위생용 종이 마스크
CN111938237A (zh) 一种失语者口罩结构
JP6920768B1 (ja) マスク
JP3121985U (ja) 襞付き立体マスク
JP3113037U (ja) マスク
CN205432233U (zh) 防镜雾一次性使用口罩
JP3231145U (ja) マスク
KR200296073Y1 (ko) 마스크
JP2019143277A (ja) マスク
KR200496668Y1 (ko) 통기성 마스크
KR102667364B1 (ko) 위생 마스크용 지지패드
JP3233245U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