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990A -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990A
KR20200073990A KR1020190147786A KR20190147786A KR20200073990A KR 20200073990 A KR20200073990 A KR 20200073990A KR 1020190147786 A KR1020190147786 A KR 1020190147786A KR 20190147786 A KR20190147786 A KR 20190147786A KR 20200073990 A KR20200073990 A KR 20200073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traffic information
subscriber
data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528B1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정보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정보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정보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00073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 중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이동 경로가 특정 교통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설정된 가입자를 판별하고, 판별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특정 교통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정보와 사건유형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교통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에 거주하는 가입자 또는 인접한 가입자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서 해당 지역을 통과하여야 하는 가입자에게도 미리 교통 정보를 제공하여 사전에 우회 경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LOCAL TRAFFIC INFOR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METHOD OF LOCAL TRAFFIC}
본 발명은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통사고, 도로공사, 지역행사 등으로 인하여 교통정체된 경우, 이를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여, 해당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여, 교통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고속도로, 일반국도, 지방도로, 시내도로 등 다양한 종류의 도로가 있다.
이에 고속도로의 경우, 한국도로공사가 전체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발생된 교통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외 다른 도로의 경우 발생된 교통정보를 신속하게 알 수도 없고, 쉽게 정보를 제공받기도 곤란하다.
특히 고속도로의 경우에도 단지 고속도로의 주행중에 볼 수 있는 전광판으로 보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정보를 구하거나, 또는 특별 지역을 특별히 주의하는 경우에는, 특별 지역에 대한 교통정보를 도로공사나 경찰청에 문의하여 알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원거리를 이동함에 일부 지역을 단지 통과만 해야 하는 운전자에게는 어느 곳에서 교통사고나 정체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쉽게 알 수 없다.
특히 일반적으로 주말이나 계절별로 정체되는 곳을 쉽게 예상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해당 시간을 피해서 운행하면 된다. 그러나 갑자기 발생된 교통사고, 해당 지역에서 시행하는 공사 등은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원거리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일일이 작은 곳의 정보까지 알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평소의 예상과 다른 경우가 발생되어 교통정체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예상 운행시간을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어느 곳에서 정체 또는 교통사고가 발생된 것을 미연에 알지 못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정체로 인한 급정거시 또다른 교통사고가 발생될 우려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통사고, 도로공사, 지역행사 등으로 인하여 교통정체된 경우, 이를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여, 해당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여, 교통정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을 지나지 않아 운행시간을 절약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원거리 운전자가 단지 일부 지역을 통과할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된 지역의 정보를 사전에 알 수 있어, 해당 지역을 우회함으로써 운행시간을 절약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은, 교통정보제공장치로부터 수집된 교통정보 이벤트를 수신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교통정보 이벤트로부터 상기 교통정보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를 판별하는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의 정보와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에서 판별된 위치를 비교하여 교통정보 안내 대상인 가입자를 선별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선별가입자검색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교통정보 이벤트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사건사례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선별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교통정보 이벤트와 상기 사건사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이벤트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분석부는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의 사고 규모 및 행사 규모에 따라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복수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이벤트 유형 분석부와, 상기 분류된 사건사례데이터의 유형별로 교통혼잡의 해소시간을 통계화하여 예상 해소시간을 산출하는 유형별 해소시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교통사고, 도로공사, 지역행사 등으로 인하여 교통정체된 경우, 이를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하여, 해당 지역을 우회하도록 하여, 교통정체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지역을 지나지 않아 운행시간을 절약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원거리 운전자가 단지 일부 지역을 통과할 경우, 교통사고가 발생된 지역의 정보를 사전에 알 수 있어, 해당 지역을 우회함으로써 운행시간을 절약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해당 지역의 인근에 위치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이동 경로를 설정하여 주행 중인 가입자가 설정 이동 경로 상에 해당 지역을 통과하게 되는 경우 이를 미리 통지하여 사전에 우회경로를 설정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가입자 단말에서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내비게이션에 미리 우회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을 이동 중인 다른 가입자의 평균 속도를 제공하여 우회 여부 또는 통과 여부를 사전에 결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을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각각 도시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설치된 각종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데이터를 판별하고, 이러한 교통정보가 필요로 하는 가입자들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의 구성을 살펴보면, 교통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저장부(30)의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되도록 하는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21)가 구비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교통정보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는, 도로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카메라, 교통제어장치, 교통경찰관의 단말기, 보험이나 교통관련사업자(렉카차운영자, 교통사고처리 정비소) 등의 단말기, 교통정보수집요원으로 일반인 중에 선별된 자의 단말기, 운수업자를 비롯한 일반인들의 이동통신단말기 등으로 하여 교통정보제공장치(17)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항공사진, 위성사진을 판별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장비나 센서들에 의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로공사, 지방 해당부서 및 경찰청 등으로부터 이러한 교통정보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교통정보제공장치(17)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영상을 수집하는 차량 블랙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 블랙박스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바, 차량 블랙박스에서 수집된 영상이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의 가입자가 휴대한 이동통신단말기(15)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차량 블랙박스의 영상 데이터가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15)를 통해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블랙박스는 외부 영상을 수신하는 카메라, 외부 영상을 저장하는 SD카드 및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15)와 페어링되어 외부 영상을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15)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통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차량 블랙박스와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15)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출시되는 차량 블랙박스는 사고 발생 지역을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있도록 위치 정보를 영상 정보와 함께 수집하며, 이를 위해 차량 블랙박스는 GPS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 블랙박스는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15)에 외부 영상 데이터와 함께 이 영상 데이터가 수집된 위치 정보인 GPS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교통정보데이터를 판별하여,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를 판별하는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는 도로정보, 지역지도정보 등의 데이터가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도로정보, 지역지도정보 등의 지도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이벤트발생지역을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저장부(30)의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저장된 가입자의 가입지역 중에서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의 지역에 해당하는 가입자를 판별하여 선별된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를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되도록 하는 선별가입자검색부(23)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신호가 발생된 지역의 가입자들에게 먼저 이러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교통정보데이터의 발생지역을 우회하여 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해당 지역이 자신과 관련된 지역일 경우에는 주의하여 살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때 교통정보데이터의 경우, 교통사고에 대한 정보, 대규모 또는 소규모의 집회행사에 따라 교통통제에 대한 정보, 일반적인 구급사고에 대한 정보, 해당 지역 관련자에 의한 특별한 소식 등의 데이터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교통사고나 집회행사에 대한 정보일 경우에는 해당 지역을 우회하여 지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지역의 교통마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공될 수 있는 정보가 해당 지역의 소식일 경우에는 해당 지역 가입자에게만 선별하여 전송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교통정보데이터가 해당 지역의 가입자들에게 필요한 경우에 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이러한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가입자들에게도 통보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저장된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입자의 이동통신회사서버(16)로 요청하여 가입자의 위치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가입자현위치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되도록 하는 이동통신가입자위치요청부(25)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 가입된 이동통신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이동통신회사서버(16)에서 제공될 수 있는 이동통신가입자의 현재 위치는, 최근 통화이력을 바탕으로 하여 근접된 통신중계장치가 위치된 장소로 판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회사서버(16)에서는 별도로 해당 가입자의 단말기가 어디에 위치되어 있는지 탐지작동을 하지 않아도 쉽게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 측으로, 해당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현위치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된 가입자의 현재의 위치정보데이터를 판별하여,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에 해당하는 가입자를 선별하여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되도록 하는 위치가입자판별부(26)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회서서버(16)로부터 전송된 가입된 단말기의 회원 중에서, 해당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신호가 발생된 지역에 위치된 가입자들에게 해당 교통정보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에 있는 단말기 가입자의 경우, 부산으로 가기 위하여 대구 지역을 통과할 경우에는, 해당 교통정보데이터가 대구 부근에서 발생된 것일 때, 해당 교통정보데이터를 대구 지역 부근에 있는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가입자는 자신이 지나게 될 부근의 교통상황을 미연에 알 수 있기 때문에 우회하여 지날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빠르게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교통정보데이터를 판별하여, 데이터저장부(30)의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사건의 유형에 데이터 중 해당되는 사건유형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된 선별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사건유형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전송부(24)가 구비된다.
이에 다양한 종류의 입력부재로 되는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데이터로는, 교통사고에 대한 정보데이터, 단순 병목으로 인한 교통혼잡의 정보데이터, 도로공사와 같은 공사로 인하여 교통흐름이 원활하지 않는 사항에 대한 정보데이터, 원인을 정확이 알 수 없는 이유에 의해 혼잡한 상태의 정보데이터, 행사로 인한 교통차단의 정보데이터 등 다양한 사유에 따른 교통정보데이터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데이터저장부(30)의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는 미리 입력된 교통정보데이터의 유형별 분류가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21)에서 수신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하여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분류방식에 따라 분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의 관리자가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해당되는 사건 분류에 따라 분류된 사항으로 하여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교통정보제공장치(17)에서 전송되는 교통정보데이터에 분류된 사항으로 하는 분류값에 대한 데이터정보도 함께 전송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해당 분류값을 검출하여 분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후 데이터저장부(30)에는 또한 각 교통정보데이터의 분류된 사항별로, 이동통신단말기(15) 측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가 정하여 질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데이터전송부(24)에서 전송데이터는 음성데이터와 문자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교통사고가 발생된 경우에는, 교통사고 발생위치, 발생시간, 발생경과 등을 음성신호와 문자신호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행사가 있는 경우에는, 행사가 진행되는 위치, 통제되는 도로, 통제시간 등의 정보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공사의 경우에도 공사개시시간, 공사종료예상시간, 공사구간 등을 안내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주말이나 나들이 철에 비롯되는 교통량 증가로 인한 경우에는, 차량주행속도가 시속 30킬로미터 이하로 되는 시기가 언제,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진행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데이터가 전송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15) 사용자는 해당 내용을 문자 또는 음성신호로 전송받게 되고, 해당 지역을 피해서 우회하여 운전하여, 안전하면서 보다 여유로운 운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입자의 단말기에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가입자가 설정한 이동 경로가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경우 이를 가입자의 단말에 미리 통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별가입자검색부(23)는 상기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저장된 가입자 중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5)에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이동 경로가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설정된 가입자를 판별하여 선별된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한다. 더하여, 데이터전송부(24)는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와 사건유형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 인접하지 않은 원거리의 가입자가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경로를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안내 받는 경우 미리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를 취득하고 사전에 해당 지역을 우회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데이터전송부(24)는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의 지역을 우회하는 경로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입자는 별도의 설정 과정 없이 우회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가입자판별부(26)는, 상기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된 가입자의 현재의 위치정보데이터의 변화를 판별하여,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이동 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데이터전송부(24)는 상기 위치가입자판별부(26)에서 연산된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입자는 해당 지역의 이동 속도를 미리 확인하여 우회 경로를 이용할 것인지 해당 지역을 그냥 통과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은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교통혼잡을 유발하는 다양한 과거 교통정보를 분석하는 이벤트 분석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분석부(40)는 이벤트의 유형을 분석하여 발생된 규모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하고 단계별 이벤트의 해소시간을 통계화하여 예상 해소시간을 산출하며 이를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벤트 분석부(40)는 사고의 유형을 분석하여 분류하는 이벤트 유형 분석부(41)와 분류된 이벤트의 해소시간을 통계화하여 각 분류별 예상 해소시간을 산출하는 유형별 해소시간 분석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유형 분석부(41)는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전송되는 실시간 교통정보 및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다양한 이벤트를 분석하여 유형별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대 이하의 차량의 단순 추돌사고는 1유형으로 선정하고, 4대 이상의 다중 추돌사고나 사상자가 발생한 사고는 2유형으로 선정하며, 지역행사나 다양한 집회 등은 3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 기준은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되며,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교통정보 이벤트에 대하여 분류 기준이 적용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반영될 수 있다. 즉, 이벤트 유형 분석부(41)는 과거부터 축적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다양한 이벤트에 대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각 이벤트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실시간 전송된 교통정보 이벤트에 대하여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해당 실시간 이벤트를 기 분류에 적용할 수 있다.
유형별 해소시간 분석부(42)는 과거부터 축적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각 유형별 이벤트 분류 각각에 대하여 과거 교통혼잡 해소시간을 통계화하여 각 분류별 해소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유형별 해소시간 분석부(42)는 과거 3대 이하의 단순 추돌사고 이벤트(1유형)의 해소시간들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이 이벤트의 예상 해소시간을 산출하여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분석부(40)는 과거 교통사고 이벤트를 분류 기준을 적용하여 여러개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예상 해소시간을 산출하여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분석부(40)는 실시간 수신된 교통정보 이벤트를 분석하여 유형을 분석하여 기 설정된 분류에 적용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교통사고 이벤트를 1 내지 3유형, 또는 그 이상의 유형으로 구분하기 위한 분류 기준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과거 사고의 규모, 사고로 인한 교통혼잡의 해소 시간, 교통혼잡의 영향권 거리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류 기준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자유롭게 설계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벤트 분석부(40)에 의해 실시간 수신된 교통정보 이벤트의 예상 해소시간이 즉각적으로 도출될 수 있으며, 이 해소시간이 가입자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분석부(40)는 교통사고의 유형별로 교통정체의 영향권을 분석하는 유형별 영향권 분석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별 영향권 분석부(43)는 이벤트 분석부(40)에 의해 산출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각 이벤트 유형별 해소시간과 각 이벤트 발생시 가입자의 이동속도 등을 기반으로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순 추돌사고(1유형)의 유형에 속하는 과거 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사고 발생이 처리되고 교통혼잡이 해소될때까지의 해소시간과, 해당 사고 발생시 해당 사고에 영향권 안에 있던 가입자 차량의 이동속도 정보들을 종합하여, 해당 사고 발생의 영향권 거리를 통계화하며, 이를 통해 예상 영향권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교통정보제공장치(17)를 통해 수집되는 다양한 교통정보 이벤트는 이벤트 분석부(40)에 의해 유형별로 분류되고, 각 유형별 해소시간이 산출되며, 각 유형별 가입자 이동시간 등의 정보를 통해 사고의 영향권, 즉 정체구간(거리)이 산출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벤트 분석부(40)는 과거부터 축적된 교통정보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가입자에게 보다 정확하고 풍부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입자가 해당 이벤트 지역을 우회할 것인지, 해당 이벤트가 해소될 때까지 대기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은 과거로부터 축적되어 분류 기준에 의해 유형별 구분된 사건사례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입자에게 교통혼잡의 정도, 우회로, 예상 해소시간, 예상 영향권 거리 등과 함께 현재 교통혼잡의 원인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가입자에게 보다 풍부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멸의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은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이벤트가 저장될 시,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였던 시점의 기상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교통혼잡은 도로 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나 이벤트에 더하여 주변의 날씨에 민감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안개 발생 지역, 강우시 물고임에 의해 사고가 발생한 지역, 빙판 발생 지역, 돌풍 발생 지역, 황사나 미세먼지에 의한 시야 감소 지역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에 장애 요소가 되는 다양한 기상정보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서 과거 사건사례 이벤트를 수집하여 저장할 시 함께 저장되어 가입자의 현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상정보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상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교통정보제공장치(17)를 통해 수집되는 실시간 교통정보에 더하여 해당 시간의 기상정보를 함께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교통정보제공장치(17)를 통해 교통정보 이벤트가 수집될 시점의 기상 상태가 양호한 경우, 예를 들어 날씨 맑음, 날씨 흐림, 대기상태 양호, 강우/강수 확률 20% 미만, 안개 발생 확률 20% 미만 등과 같이 교통혼잡에 전혀 영향이 없을 정도의 기상 상태는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은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가입자에 대한 정보에 더불어 가입자에 대한 다양한 부가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는 가입자의 거주지역, 주요 활동지역, 건강상태(병력 기록), 가입자의 가족 정보, 가족의 거주지역, 가족 건강상태(병력, 임신, 노령자 등)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입자 및 가입자의 부가정보(가족 정보)를 통해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은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 이벤트 발생지역이 가입자의 거주지역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가족의 거주지역에 인접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가입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뿐만 아니라 가입자 가족에게도 교통혼잡에 대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가입자나 가입자 가족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정보제공을 실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입자나 가입자의 가족 중 한명이 임신 중이거나 병원의 내원이 필요한 건강상태인 경우, 우선적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을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전송되는 교통정보데이터를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21)에서 수신받아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되도록 하는 교통정보데이터수신단계(S01)가 수행된다.
즉 도로주변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카메라, 교통제어장치, 교통경찰관의 단말기, 보험이나 교통관련사업자(렉카차운영자, 교통사고처리 정비소) 등의 단말기, 교통정보수집요원으로 일반인 중에 선별된 자의 단말기, 운수업자를 비롯한 일반인들의 이동통신단말기, 기타 항공사진촬영정보제공부재, 위성사진촬영정보제공부재, 도로에 설치된 다수의 장비, 센서들에 의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도로공사, 지방 해당부서 및 경찰청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교통정보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입자의 차량에 설치된 차량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 및 GPS 위치데이터를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를 통해 수신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교통정보데이터는 데이터저장부(30)의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통정보데이터에는 해당 교통관련 사항과 함께 해당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정보가 발생된 장소, 시간 및 사고의 규모(단순 추돌, 다중 추돌, 대규모/소규모 집회나 행사)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교통정보제공장치(17)로부터 전송된 교통정보데이터를 판별하게 되면,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를 판별하여,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지도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지역을 판별한 후,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의 GUI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해당 관리자는 GUI화면에 표시된 사건 내역과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사항도 함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통정보데이터의 경우, 정지화상정보, 동영상정보, 문자정보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 전송되고, 이에 이러한 교통정보데이터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의 GUI화면에 정지화상, 동영상 또는 문자나 음성으로 표시되게 된다. 물론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관리용 단말서버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관리용 단말서버의 GUI화면에 이러한 교통정보데이터의 내용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이후의 단계를 수동으로 진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서는 관리자의 지시 없이 이후의 단계가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22)에서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교통정보데이터를 판별하여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를 판별하도록 하는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교통정보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지역정보데이터를 판별하고, 이렇게 판별된 데이터와 이미 저장되었던 지도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GUI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해당 지역정보데이터를 판별한 후, 해당 지역 가입자에 대하여 해당 교통정보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선별가입자검색부(23)에서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저장된 가입자 중에서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 의하여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에 가입된 지역가입자 또는 가입자의 가족이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에 속하는 가입자를 선별한 선별데이터가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되도록 하는 지역가입자선별단계(S03)가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신호가 발생된 지역의 주민들이나 이 지역에 거주하는 가족이 존재하는 가입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일상생활이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해당 지역을 우회하여 이동하거나 해당 지역으로 가서 지원봉사를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해당 지역의 주민들이 해당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 정보도 많이 알 수 있기 때문에, 응급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긴급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상황이거나 해당 지역을 피하여야 할 경우에는, 우회지역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 또는 도로공사와 같은 교통혼잡의 경우에도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불편없이 생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와 달리 다른 지역의 주민들이 단지 그 곳을 통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우회할 수 있도록 알림으로써, 교통혼잡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동통신가입자위치요청부(25)에서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저장된 가입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가입자의 이동통신회사서버(16)로 요청하고, 이동통신회사서버(16)로부터 가입자의 위치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가입자현위치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되도록 하는 가입자현재위치데이터수신단계(S11)가 수행된다.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서울에 있는 이동통신가입자가 부산을 가게 될 경우, 경부선, 중부선, 중앙선, 동해안로,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하여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운행하는 시기에 따라 정체되는 구간도 각각 다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서는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15)의 현재 위치를 판별하여,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신호가 발생된 부근에 위치하게 되는 단말기 이용자에게도 해당 교통정보데이터의 정보를 전송하여, 운행하게 되는 지역을 우회하거나 다른 곳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15)의 가입된 이동통신회사서버(16) 측으로 해당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이는 해당 지역에 위치된 가입자만을 판별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즉 어느 단말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미리 알 수 없기 때문에, 가입된 전체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은 교통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 전송되게 되는 데이터 전송의 회수가 많은 경우에는, 교통정보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는 매번 위치정보를 요청하기 보다는, 일정 단위 시간별로 이동통신회사서버(16) 측으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5분이나, 10분, 또는 30분 등으로 하는 단위 시간별로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의 발생에 무관하게 항상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15)의 현재 위치의 정보를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단위 시간 동안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입자가 이동하게 되는 범위는 특별히 종전의 장소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해당 지역에 대한 범위도 한정되어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각 도별을 권역으로 하여 범위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고, 또한 지방시군을 단위범위로 하여 한정하여 정하여 질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해당 단위에 계속해서 위치해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측으로는, 동일 내용의 교통정보데이터가 재전송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전의 전송에 이어, 다른 시군 등 권역이 다른 지역에 있던 이동통신단말기들을 선별하여 판별되는 경우에, 해당 신규로 하여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5) 측으로 전송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역권역이 다른 경우를 판별하기 위하여 주기별로 하여 이동통신회사서버(16) 측으로 이동통신단말기(15)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받게 된다.
이처럼 위치가입자판별부(26)에서 가입자현위치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된 가입자의 현재의 위치정보데이터를 판별하여,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에 해당하는 현위치가입자를 선별하여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되도록 하는 현위치가입자선별단계(S012)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에 대해서, 해당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를 권역별로 하여, 해당 권역에 위치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를 판별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위치경로 추정엔진(미도시됨)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5)의 이동경로가 고속도로인지, 아니면 일반도로인지를 판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속도로의 경우 어느 고속도로인지를 판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동되는 도로의 정보 및 이동시간을 기초로 하여 이동예상의 경로를 추정하도록 하여, 이동예상되는 경로상에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해당 이동통신단말기(15) 측으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분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 있어서는, 데이터전송부(24)에서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교통정보데이터를 판별하여,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사건 유형에 따른 사건유형데이터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된 선별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사건유형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교통정보데이터전송단계(S04)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는 데이터저장부(30)에 저장된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31)에 저장된 내용을 판별하고, 각 이벤트 분류에 따라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벤트 분석부(40)에 의해 분석되어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34)에 저장된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된 정보를 해당 교통정보데이터의 이벤트가 발생된 지역의 가입자, 및 해당 지역에 위치된 가입자들에게 해당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보면, 교통사고로 인한 정체인 경우에는, 사고발생지역, 사고발생시간 및 정체구간에 더하여 사고의 규모에 의해 분류된 이벤트 유형, 이벤트 유형별 예상 해소시간, 이벤트 유형별 예상 영향권 거리 등을 음성 또는 문자 등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도로 공사나 지역 행사의 경우, 공사나 행사의 개시시간, 공사나 행사의 종료예상시간, 공사나 행사의 구간에 더하여 이러한 공사나 행사에 의해 유발된 교통혼잡의 예상 해소시간과 예상 영향권 거리 등을 안내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10)에 의하여,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지역의 주변에 가입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최적의 상태로 하여 교통정보를 안내하기 때문에, 우회하여 지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긴급한 경우 지역 주민들이 긴급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가 최소화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해당 지역에 가입된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해당 지역을 통과해야 하는 사용자에게 우회할 수 있도록 하여, 단지 경우지에서의 지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정체구역 및 정체시간과 달리, 예상되지 않는 교통사고나 공사, 행사 등에 의하여 단지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것도 못하고 원하는 목적지에 원하는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이벤트가 발생된 지역의 가입자나 해당 지역에 위치한 가입자 뿐만 아니라 추후에 해당 지역을 통과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가입자에게 미리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역가입자선별단계(S03)에서는, 상기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32)에 저장된 가입자 중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15)에서 실행되는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이동 경로가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설정된 가입자를 판별하여 선별된 가입자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한다. 이어,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전송단계(S04)에서는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정보와 사건유형데이터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 인접하지 않은 원거리의 가입자가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경로를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안내 받는 경우 미리 해당 지역의 교통정보를 취득하고 사전에 해당 지역을 우회할 수 있는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전송단계(S04)에서는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의 지역을 우회하는 경로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입자는 별도의 설정 과정 없이 우회 경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현위치가입자선별단계(S012)는, 상기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33)에 저장된 가입자의 현재의 위치정보데이터의 변화를 판별하여,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이동 속도를 연산하고, 이어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전송단계(S04)는 상기 상기 현위치가입자선별단계(S012)에서 연산된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에 대한 위치에 해당하는 가입자의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교통정보발생위치판별단계(S02)에서 판별된 교통정보데이터가 발생된 위치의 지역을 통과하도록 이동 경로가 설정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15)로 제공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입자는 해당 지역의 이동 속도를 미리 확인하여 우회 경로를 이용할 것인지 해당 지역을 그냥 통과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0 :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15 : 이동통신단말기
16 : 이동통신회사서버 17 : 교통정보제공장치
21 :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 22 :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
23 : 선별가입자검색부 24 : 데이터전송부
25 : 이동통신가입자위치요청부 26 : 위치가입자판별부
31 :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 32 :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
33 :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 34 :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
35 : 가입자현위치데이터저장부 40 : 이벤트 분석부
41 : 이벤트 유형 분석부 42 : 유형별 해소시간 분석부
43 : 유형별 영향권 분석부

Claims (5)

  1. 교통정보제공장치로부터 수집된 교통정보 이벤트를 수신하여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교통정보 이벤트로부터 상기 교통정보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를 판별하는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가입자의 정보와 상기 이벤트발생지역판별부에서 판별된 위치를 비교하여 교통정보 안내 대상인 가입자를 선별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선별가입자검색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교통정보 이벤트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되는 사건사례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선별된 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교통정보 이벤트와 상기 사건사례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전송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하는 이벤트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분석부는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의 사고 규모 및 행사 규모에 따라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를 복수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이벤트 유형 분석부와, 상기 분류된 사건사례데이터의 유형별로 교통혼잡의 해소시간을 통계화하여 예상 해소시간을 산출하는 유형별 해소시간 분석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분석부는 상기 분류된 사건사례데이터의 유형별로 교통혼잡의 영향권 거리를 분석하여 산출하는 유형별 영향권 분석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교통정보데이터수신부로부터 수집된 교통정보 이벤트를 저장하는 교통정보데이터저장부; 상기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정보데이터저장부; 상기 선별가입자검색부로부터 선별된 교통정보 안내 대상 가입자를 저장하는 선별가입자데이터저장부; 상기 사건사례데이터 유형으로 분류된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 해소시간, 유형별 예상 해소시간, 과거 사건사례데이터 영향권 거리, 유형별 예상 영향권 거리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는, 단순 추돌사고, 다중 추돌사고 및 장시간의 공사 및 행사의 기준으로 3단계 유형으로 분류되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건사례데이터저장부는 상기 과거 사건사례데이터에 해당 사건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시점의 기상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상 정보는 강우/강수량, 강우/강수 확률, 안개 유무, 안개 발생 확률, 물고임/빙판 여부, 황사나 미세먼지 발생 여부, 돌풍 발생을 포함하는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KR1020190147786A 2018-12-14 2019-11-18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KR102345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469 2018-12-14
KR20180161469 2018-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90A true KR20200073990A (ko) 2020-06-24
KR102345528B1 KR102345528B1 (ko) 2022-01-03

Family

ID=7140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786A KR102345528B1 (ko) 2018-12-14 2019-11-18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356B1 (ko) * 2023-03-31 2023-10-17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 정보 센터의 돌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17315945A (zh) * 2023-11-30 2023-12-29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一种基于大数据的交通碰撞事故车辆救援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276A (ja) * 2000-04-18 2001-11-02 Nec Mobile Commun Ltd 交通情報システム、交通情報システム用基地局及び交通情報提供方法。
KR101541500B1 (ko) * 2014-02-07 2015-08-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정체 변화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1710A (ko) * 2017-05-31 2018-12-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유고영향권을 고려한 경로 안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7276A (ja) * 2000-04-18 2001-11-02 Nec Mobile Commun Ltd 交通情報システム、交通情報システム用基地局及び交通情報提供方法。
KR101541500B1 (ko) * 2014-02-07 2015-08-0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정체 변화 판별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31710A (ko) * 2017-05-31 2018-12-11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유고영향권을 고려한 경로 안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356B1 (ko) * 2023-03-31 2023-10-17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교통 정보 센터의 돌발 이벤트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117315945A (zh) * 2023-11-30 2023-12-29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一种基于大数据的交通碰撞事故车辆救援方法及系统
CN117315945B (zh) * 2023-11-30 2024-03-01 长春汽车工业高等专科学校 一种基于大数据的交通碰撞事故车辆救援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528B1 (ko)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95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a traffic jam from probe data
DE19526148C2 (de) Verfahren und System zur Prognose von Verkehrsströmen
US9928743B2 (en) Road traffic server
CN112489433B (zh) 交通拥堵分析方法及装置
CN113706737B (zh) 基于自动驾驶车辆的路面巡检系统及方法
US10204515B2 (en) Automated traffic signal outage notification with SPaT information
US6862524B1 (en) Using location data to determine traffic and route information
EP3533041B1 (en) Automated traffic signal outage notification without signal timing and phase information
CN102903237B (zh) 交通管理服务装置以及交通管理服务方法
CN213481359U (zh) 基于路侧设施提供实时数据的导航系统
US10203217B2 (en) Traffic citation delivery based on type of traffic infraction
CZ294596B6 (cs) Způsob a zařízení ke zjišťování dynamických dopravních informací
KR101663985B1 (ko) 차량간 통신을 이용한 교통 상황정보 제공장치 및 그 방법
JP4295130B2 (ja) 交通情報システム
CN113409607A (zh) 路况信息推送系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389144B2 (ja) 動的なイベントの特定および流布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227577B2 (ja) 交通リスク情報出力システム、及び、交通リスク情報出力プログラム
KR102345528B1 (ko)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CN112396858A (zh) 使用整体数据实施道路安全措施
CN112258833A (zh) 可变车道控制方法、边缘计算设备和系统
KR102159111B1 (ko) 이동 id 그룹 정보를 이용한 위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34972A (ko) 도로 좌표를 이용한 선택적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Imani The use of real-time connected vehicles and HERE data in developing an automated freeway incident detection algorithm
KR101875654B1 (ko) 도로전광표지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4483B1 (ko) 교통정보지역안내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교통정보지역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