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971A - 간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간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971A
KR20200073971A KR1020190095734A KR20190095734A KR20200073971A KR 20200073971 A KR20200073971 A KR 20200073971A KR 1020190095734 A KR1020190095734 A KR 1020190095734A KR 20190095734 A KR20190095734 A KR 20190095734A KR 20200073971 A KR20200073971 A KR 2020007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manure storage
manure
support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455B1 (ko
Inventor
김병문
Original Assignee
진영하우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615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0273B1/ko
Application filed by 진영하우징(주) filed Critical 진영하우징(주)
Priority to KR102019009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5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뇨 탱크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분노 저장 탱크의 내측 테두리 영역에 히팅 파이프를 설치하여 분뇨가 일정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분뇨가 굳는 것을 방지하여, 분뇨가 저장 탱크 내부에 골고루 퍼지도록 하여 분뇨 저장 탱크의 사용 효율을 높이고, 동시에 분뇨 이동은 가능하되, 급격한 이동을 막을 수 있는 칸막이를 설치하여 이동이 용이한 간이화징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간이 화장실{MOVABLE TOILET}
본 발명은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열선을 장착하여 동절기에도 분뇨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화장실은 야외에 설치되는데, 야외에 설치되더라도 수도 시설이 좋은 곳에서는 수도사업소에서 공급되는 직수관을 연결하여 수세식 화장실을 설치할 수 있다.
하지만, 수도 시설이 열악한 곳에서는 물탱크를 배치하고 물 사용량을 최대한 줄이는 방법을 선택한다. 이러한 간이 화장실은 분뇨 저장 탱크가 지상 바닥면에 고정되고, 그 상부에 화장실 본체가 설치되기 때문에 악취를 비롯한 여러가지 문제점이 유발된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이러한 간이 화장실에서는 악취 제거에 대한 많은 특허가 공개되어 있으나 동절기 분뇨가 결빙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동절기 동파 방지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대부분 수세식 화장실에서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겨울철에 분뇨가 결빙되는 경우에는 수도관이 동파되는 것 이상으로 여러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 날씨가 추워지는 경우에는 분뇨가 결빙되거나 딱딱해져 분뇨 덩어리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어 한곳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분뇨 저장 탱크가 충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뇨가 변기까지 닿을 수 있다. 또한, 분뇨 수거용 차로 분뇨를 수거할 때에도 잘 수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16513,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공고일 :2014.07.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03405, 이동식 화장실의 오수배관 결빙 방지 장치. 공고일 : 2018.10.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절기에도 분뇨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뇨의 온도를 적정하게 관리하여 간이 화장실의 사용 효율을 높이면서 동시에 분뇨 제거를 쉽게 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장실은 소변기 및 양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본체; 및 상기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는, 분뇨 저장 탱크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격자형 프레임;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인출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제1 지지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인출관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인출관에 형성된 두개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열선이 삽입된 히팅 파이프; 상기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인출관 측 열선에 부착되어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열선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제1 온도센서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히팅 파이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팅 파이프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박스는 상기 제2 온도센서가 상한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고, 양쪽 측벽,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 및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는 30℃이고,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의 관통공은 바닥으로부터 1/3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절기에도 분뇨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뇨 저장 탱크의 분뇨가 한곳에 뭉치지 않고 골고루 퍼지게 하여 분뇨 저장 탱크의 공간을 십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겨울철에도 오수차를 이용하여 분뇨를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도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뇨 저장 탱크의 모서리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분뇨 저장 탱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온도 제어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화장실은 소변기 및 양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본체(100)와 상기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탱크(200)로 구성된다.
상기 화장실 본체(1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남자 화장실과 여자 화장실로 구분되고, 소변기(110) 및 양변기(1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열선의 온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박스(130)가 화장실 본체(100)의 내벽면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는 여자 화장실의 측벽에 부착되어 있으나, 남자 화장실 측벽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분뇨 저장 탱크(200)는 화장실 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격자형 프레임(210), 격자형 프레임에 부착되어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인출관(220),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부착되어 히팅 파이프를 지지하는 제1 지지대(230),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에 타원형으로 설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를 가열하는 히팅 파이프(240), 및 상기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제 1 온도센서(280)를 포함한다.
상기 분뇨 저장 탱크(200)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어 있다. 그리고 상부의 화장실 본체(100)의 하중을 지지해야 하므로 금속 재질로 된 다수의 프레임(210)이 분뇨 저장 탱크의 상부에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격자형 프레임(210)은 지지기둥(212)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기둥(212)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레임(210)이 교차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격자형 프레임(210)의 격자 모양은 상부의 화장실 본체의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즉, 양변기의 위치를 고려해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지점을 위주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출관(220)은 격자형 프레임(200)이 일측면에 세로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서 세로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이고 가로 방향은 지면과 수평 방향이다. 상기 인출관(210)에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두개의 관통공 사이로 히팅 파이프가 삽입된다. 즉, 분뇨 저장 탱크에 설치된 히팅 파이프(240)는 인출관(230)을 통해 화장실 본체(100)로 나와 컨트롤러 박스(130)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지지대(230)는 분뇨 저장 탱크(200)의 내측벽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말단에는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히팅 파이프가 저장 탱크의 바닥에 배치되면 발생되는 열이 뺏겨 열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1 지지대(230)를 통해 히팅 파이프를 분뇨 저장 탱크(230)의 중간 높이 보다 조금 낮은 높이, 대략 바닥으로 부터 1/3 정도로 떠 있도록 한다. 분뇨 저장 탱크 내에 분뇨가 꽉 채워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히팅 파이프를 높이를 대략 바닥으로부터 1/3 정도 되는 높이로 설치함으로써 분뇨를 골고루 히팅 할 수 있다.
상기 히팅 파이프(240)는 상기 제 1 지지대(230)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바닥면으로 높이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고, 거의 타원형 모양을 형성한다. 그리고 분뇨 저장 탱크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히팅 파이프는 인출관을 통해 화장실 본체(100)로 배출된다.
이때 인출관(220)은 분뇨 저장 탱크(200)의 거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지지대(230)와 인출관(220) 사이의 어느 정도 거리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지지대(230)와 인출관(220) 사이에 제2 지지대(235)를 설치하여 히팅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대(235)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파이프는 엑셀관이 사용될 수 있고, 히팅 파이프 내부에는 열선이 삽입되고, 부동액이 충진될 수 있다. 열선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에는 부동액이 필요없으나 오동작이나 고장 등으로 인해 열선이 작동하지 않을 때를 대비해서 부동액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동액을 충진하게 되면 열선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엑셀관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 센서(280)는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한다. 제1 온도 센서(280)는 분뇨 저장 탱크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므로 도 2에서는 표시하지 않았으며, 도 4의 블럭도로만 나타내었다. 다만, 컨트롤러 박스(130)와의 거리를 고려하면 인출관(220)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트롤러 박스(130)는 상기 제1 온도센서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이를 감지하여 히팅 파이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팅 파이프를 가열하도록 제어한다. 컨트롤러 박스(130)는 열선의 온도가 30℃에서 60℃의 범위도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분뇨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분뇨가 굳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 가열해 분뇨가 한곳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뇨가 특정 부분에 쌓이게 되면 분뇨 저장 탱크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분뇨 수거 시에도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열선의 온도를 결빙 방지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열선의 온도가 일정 범위에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열선의 온도가 과열되는 경우에는 화제의 위험 등이 있으므로 열선에 제2 온도센서를 배치해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한 온도 범위 이상으로 올라 갈 경우, 차단기를 통해 열선으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온도 제어 관련 구성을 살펴보면, 온도 제어 관련 구성으로는 제1 온도센서(280), 제2 온도 센서(282) 및 컨트롤러 박스(130)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박스(130)는 차단부(132)와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온도 센서(280)가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면, 제어부(134)로 감지 온도가 전달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제어부는 히팅 파이프 내의 열선에 전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뇨 저장 탱크 내의 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히팅 파이프가 가열되면서 분뇨 저장 탱크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히팅 파이프가 계속 동작되면서 과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제2 온도센서가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열선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단순히 스위치를 온/오프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차단부(132)를 구성하여 열선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열선의 온도가 30℃ 내지 60℃ 가 되도록 설정을 해 놓는 경우, 분뇨 탱크 내부의 온도가 30℃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제어부(134)가 열선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분뇨 탱크 내부가 가열된다. 이때 제어부는 계속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타이머 기능을 추가하여 일정시간 마다 주기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계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열선이 과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열선의 온도가 60℃ 를 넘는 경우 제어부(134)는 차단부(132)를 동작시켜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과열 이외에서 합선이나 단선 등의 경우에도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뇨 저장 탱크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k
다음으로, 분뇨 저장 탱크에는 칸막이(2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간이 화장실은 한 번 설치된 후에 계속적으로 한 곳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 사용 후 철거 될 수도 있으며, 또한 세척을 위해 이동되는 경우도 있다. 이동시 간이 화장실이 기울어지거나 하게 되면, 분뇨 저장 탱크 내의 분뇨가 한꺼번에 한쪽으로 몰리는 경우 이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칸막이(250)를 추가하여 급격한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250)는 양쪽 측벽,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 및 프레임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어 급격한 쏠림 현상은 방지하지만, 분뇨의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칸막이는 두 개의 지지기둥(212)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뇨 저장 탱크(200)의 외부 형상을 살펴보면, 분뇨 저장 탱크(200)의 상부 테두리를 감싸는 외부 프레임(201)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에는 화장실 본체의 전열기구와 연결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에어컨에서 발생되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20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는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듬히 형성함으로써 공간 확보에 유리한다. 에어컨 냉각수가 분뇨 저장 탱크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연결구를 통해 냉각수를 빼내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외부 프레임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200)의 일측면에는 투명창(260)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의 분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는 배출구(265)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65)를 통해 분뇨가 배출될 수 있으며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뇨 저장 탱크(20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레일홀(27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화장실 입출입을 위한 계단 등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생략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히팅 파이프(240)를 분뇨 탱크 내부의 가장 자리를 따라 타원형으로 설치하여, 히팅 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열이 분뇨 탱크 내부로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화장실 본체 130 : 컨트롤러 박스
200 : 분뇨 저장 탱크 210 : 프레임
220 : 인출관 230 : 제1 지지대
240 : 히팅 파이프 250 : 칸막이

Claims (3)

  1. 소변기 및 양변기가 배치된 화장실 본체; 및
    상기 화장실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로부터 배출되는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간이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분뇨 저장 탱크는,
    분뇨 저장 탱크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 및 양변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다수의 격자형 프레임;
    상기 격자형 프레임의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고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두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인출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벽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제1 지지대;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면에 돌출 부착되고, 말단에 상기 히팅 파이프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있고, 상기 제1 지지대와 인출관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 지지대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인출관에 형성된 두개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면서 배치되어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측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고, 내부에 열선이 삽입된 히팅 파이프;
    상기 분뇨 저장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인출관 측 열선에 부착되어 열선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
    상기 열선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실 본체는 상기 제1 온도센서가 하한 설정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히팅 파이프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팅 파이프를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 박스는 상기 제2 온도센서가 상한 설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상기 차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분뇨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고, 양쪽 측벽, 분뇨 저장 탱크의 바닥, 및 프레임과 이격되어 상기 지지기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 설정온도는 30℃이고, 상기 상한 설정온도는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의 관통공은 바닥으로부터 1/3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화장실.

KR1020190095734A 2018-12-14 2019-08-06 간이 화장실 KR10230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734A KR102304455B1 (ko) 2018-12-14 2019-08-06 간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584A KR102010273B1 (ko) 2018-12-14 2018-12-14 간이 화장실
KR1020190095734A KR102304455B1 (ko) 2018-12-14 2019-08-06 간이 화장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584A Division KR102010273B1 (ko) 2018-12-14 2018-12-14 간이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71A true KR20200073971A (ko) 2020-06-24
KR102304455B1 KR102304455B1 (ko) 2021-09-23

Family

ID=7140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734A KR102304455B1 (ko) 2018-12-14 2019-08-06 간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93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차량장착용 화장실의 결빙방지장치
KR20130063377A (ko) * 2011-12-06 2013-06-14 강평호 가스충전용 구조물
KR101416513B1 (ko)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KR101891827B1 (ko) * 2017-11-29 2018-08-2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배관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KR101903405B1 (ko) 2018-03-29 2018-10-02 (주)신유건영 이동식 화장실의 오수배관 결빙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493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차량장착용 화장실의 결빙방지장치
KR20130063377A (ko) * 2011-12-06 2013-06-14 강평호 가스충전용 구조물
KR101416513B1 (ko)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KR101891827B1 (ko) * 2017-11-29 2018-08-24 주식회사 전국모바일 배관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KR101903405B1 (ko) 2018-03-29 2018-10-02 (주)신유건영 이동식 화장실의 오수배관 결빙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455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3331B2 (en) Integrated domestic utility system
US8281801B2 (en) Greywater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same
JPH08121806A (ja) 自動排液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排液システム
KR101788704B1 (ko) 애완동물 배변장치
RU2011116639A (ru) Мобильный общественный туалет
JP5901050B2 (ja) 循環式水洗トイレ
CN209336644U (zh) 用于交通工具的灰水污物收集系统及交通工具
KR20200073971A (ko) 간이 화장실
KR102010273B1 (ko) 간이 화장실
EP2224067A1 (en) Device for eliminating odours for flush type sanitary fittings
WO2011030180A1 (en) Rainwater collection and dispensation system
KR101774378B1 (ko) 이동식 화장실
KR101038798B1 (ko) 이동식 화장실
KR101435770B1 (ko) 이동식화장실의 세척수 및 세정액 공급제어장치
US20150211222A1 (en) System for the elimination of odours for a flushing sanitary apparatus
CA2832531C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storing water
JP3541940B2 (ja) 雨水貯留装置
KR100711747B1 (ko) 급수조절이 용이한 절수용 식수대
KR101188704B1 (ko) 세척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모래놀이터
CN105155629A (zh) 整体浴室卫生间同层排污系统
JP3216499U (ja) 仮設用便槽ユニット
JP3193325U (ja) 太陽熱温水器
JPH0423973Y2 (ko)
BR102022005677A2 (pt) Ralo sifonado com bombeamento automático
ES2535875B1 (es) Sistema para la recuperación del calor de aguas residu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