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378B1 - 이동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이동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378B1
KR101774378B1 KR1020170055206A KR20170055206A KR101774378B1 KR 101774378 B1 KR101774378 B1 KR 101774378B1 KR 1020170055206 A KR1020170055206 A KR 1020170055206A KR 20170055206 A KR20170055206 A KR 20170055206A KR 101774378 B1 KR101774378 B1 KR 101774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ipe
water
constant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to KR102017005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2Means to prevent freezing of lavat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상수공급관의 동파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대상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화장실 본체; 일측으로 유입된 상수의 분배 공급을 위해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상수대상체의 설치 위치를 경유하여 상호 연결되는 상수공급관; 상기 상수공급관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증기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증기공급관; 및 증기의 열기가 상기 상수공급관에 전달되어 동파가 방지되도록 내부로 유입된 상수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상기 증기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공급관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상기 증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공급홀이 형성된 증기배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화장실{movable toilet}
본 발명은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공급관의 동파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이동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유원지, 야영지, 야외의 공공장소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는 공공의 편의를 위하여 설치 및 이동이 편리한 이동식 화장실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식 화장실은 그 설치가 간편하고, 일반적으로 건축되는 화장실에 비해 현저한 시공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이 간편하여 공공장소 이외에도 다양한 장소 등에 비치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이동식 화장실이 설치되는 장소마다 수도사업소에서 공급되는 직수관이 제공됨에 따라 별도의 물탱크를 마련하지 않아도 상기 이동식 화장실에 물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직수관은 땅에 매설되고 끝단은 지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식 화장실의 수관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이동식 화장실은 바람에 전복되지 않고 안정감을 갖도록 바닥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수관은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다.
그러나, 겨울철 동파 내지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상기 수관으로부터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 지점을 찾기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를 파손해야 하며 이를 복구하기 위한 수리비용 및 작업시간 소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수관이 누수되는 경우와 같이, 바닥 하부에 매립되는 오수배관의 어느 일측이 막히게 되더라도 상기 오수배관의 막힌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양변기를 해체하거나 바닥을 파손하여 수리 후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311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수공급관에 증기를 공급함에 따라 동파가 방지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대상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화장실 본체; 일측으로 유입된 상수의 분배 공급을 위해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상수대상체의 설치 위치를 경유하여 상호 연결되는 상수공급관; 상기 상수공급관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증기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증기공급관; 및 증기의 열기가 상기 상수공급관에 전달되어 동파가 방지되도록 내부로 유입된 상수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상기 증기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공급관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상기 증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공급홀이 형성된 증기배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증기공급장치는 상수인입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상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공간의 최대 수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저수탱크의 상수유입부에 구비된 수위조절장치와, 상기 증기가 생성되도록 상기 저수공간의 상수를 가열하도록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증기공급관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증기유로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에 대응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의 단면적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증기조절부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한편, 일측에 수위를 검출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되되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상수대상체의 배수부와 연결되는 오수분기관과, 외부로 상기 오수가 이송되도록 상기 오수분기관이 합류되어 일단부가 오수처리배관과 연결되는 오수이송관과, 상기 오수이송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외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연장된 점검배관을 포함하는 오수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이송관의 막힘 위치를 산출 및 출력하는 컨트롤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증기공급관은 내부공간에 설치된 좌변기, 소변기, 양변기 및 세면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대상체와 상호 연결되는 상수공급관을 감싸도록 구비됨에 따라 내부의 증기유동공간으로 유동되는 증기의 열기가 상수공급관에 전달되어 동파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증기공급관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된 상기 증기배출부는 증기의 배출유량이 유동유량과 대응되도록 설정된 복수개의 공급홀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증기가 배출되므로 별도의 난방설비 없이도 내부온도가 상승되면서도 가습효과까지 제공하므로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컨트롤러는 수신된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상수대상체의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이송관의 막힘 위치를 산출 및 출력하므로 막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되는 이물질제거바를 준비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증기배출부에는 복수개의 공급홀에 대응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의 단면적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증기조절부가 구비됨에 따라 회전 조작만으로도 손쉽게 증기 배출유량이 선택적으로 증감되어 실내온도가 조절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서 증기 배출과정을 나타낸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증기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100)은 화장실 본체(10), 상수공급관(20), 오수배출관(30), 증기공급관(40), 증기공급장치(50) 및 전원공급장치(6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화장실(100)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운반기기에 의해 적정 위치로 이동되어 외부의 상수인입배관(P) 및 오수처리배관(S)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화장실(100)은 상기 상수인입배관(P)을 통해 상수를 공급받고 사용자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오수를 상기 오수처리배관(S)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화장실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세히, 상기 화장실 본체(10)는 각종 설비가 설치되도록 피트층(11)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트층(11)은 상기 이동식 화장실(100)가 설치되는 위치조건 등에 따라 지하에 매립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지상에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본체(10)는 내부에 내부공간(12)이 형성되도록 복수개의 외벽(1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외벽(13)에는 창문(미도시) 및 출입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외벽(13) 상단부에는 지붕(14)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2)이 외부와 구획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2)에는 분할격벽(15)이 돌설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격벽(15)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이 남자화장실(12a) 및 여자화장실(12b)로 분할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대상체(16)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상수대상체(16)는 좌변기(미도시), 소변기(16a), 양변기(16b) 및 세면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되되 상기 내부공간(12)의 바닥면에 몰탈 내지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수대상체(16)는 상기 화장실 본체(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상기 남자화장실(12a) 및 상기 여자화장실(12b)에 각각 다양한 수량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수대상체(16)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 상수대상체(16) 사이에는 칸막이(17)가 돌설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수대상체(16)는 수도밸브, 하수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수대상체(16)는 상기 상수가 공급되는 설비 및 상수를 이용한 후 발생되는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설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수공급관(20)은 상기 상수가 이송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12)에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상수공급관(20)은 상기 내부공간(12)에 노출되도록 상기 외벽(13)의 내면 및 상기 바닥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수공급관(20)은 일단부가 상기 상수인입배관(P)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수공급관(20)은 상호 구획된 상기 남자화장실(12a) 및 상기 여자화장실(12b)에 각각 구비되어 각 화장실(12a,12b)에 개별적으로 상기 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수대상체(16)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상수공급관(20)은 상기 각 상수대상체(16)의 설치 위치를 경유하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상수공급관(20)에는 상기 각 상수대상체(16) 상기 상수가 공급되도록 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각 상수대상체(16)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공급분기관(도 3의 20a)이 분기되어 상기 각 상수대상체(16)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 상수대상체(16)에는 오수배출관(30)에 연결되어 상기 각 상수대상체(16)에서 상기 상수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오수가 배수부(16c)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오수배출관(30)은 상기 오수가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상수대상체(16)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수대상체(16)가 상기 내부공간(12)의 바닥면에 설치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트층(11)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오수배출관(30)은 오수분기관(31), 오수이송관(32) 및 점검배관(3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오수분기관(31)은 내부에 상기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배수부(16c)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오수분기관(31)의 일측에는 누수감지센서(34)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누수감지센서(34)는 상기 오수분기관(31)의 내부의 어느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수감지센서(34)는 상기 오수분기관(31)의 내부에 상기 오수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필름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루프코일형 내지 스팟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센서(34)는 상기 오수이송관(32)과 합류되는 부분에 인접하도록 상기 오수분기관(31)의 내주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감지센서(34)는 상기 오수분기관(31)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수이송관(32)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상수대상체(16)의 설치 위치를 경유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수이송관(32)은 일단부가 상기 오수처리배관(S)과 연결되어 상기 상수대상체(16)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수가 상기 오수처리배관(S)을 통해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수이송관(32)의 단부 일측에는 상기 각 오수분기관(31)이 합류되도록 연결된다. 즉, 상기 각 상수대상체(16)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오수분기관(31)을 통해 상기 오수이송관(32)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오수는 상기 오수처리배관(S)측으로 이송됨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점검배관(33)은 상기 오수이송관(32)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점검배관(33)은 상기 오수이송관(32)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되 타단부는 외부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피트층(11)이 지하에 매립된 경우 상기 오수이송관(32)이 상기 피트층(11)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점검배관(33)은 타단부가 지상에 노출되도록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배관(33)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타단부측 입구에 구비되는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커버부재(33a)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수이송관(32) 또는 상기 오수분기관(31)의 내부가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힌 경우, 상기 커버부재(33a)를 분리하고 상기 점검배관(33)의 내부에 이물질제거바를 삽입하여 상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수이송관(32)의 어느 일측이 상기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히는 경우, 상기 오수가 상기 오수처리배관(S)을 향해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고 상기 오수분기관(31) 내부에 저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오수이송관(32)의 막힌 어느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오수처리배관(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구비된 상기 오수분기관(31)에는 상기 오수이송관(32)으로부터 차오른 상기 오수가 역류하여 상기 누수감지센서(34)가 역류한 상기 오수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각 누수감지센서(34)는 컨트롤러(18)와 연결되어 상기 오수가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8)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8)는 상기 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각 누수감지센서(34)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각 누수감지센서(34)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8)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이송관(32)의 막힘 위치를 산출한다. 상세히, 상기 오수이송관(32)의 어느 지점이 막힌 경우, 상기 오수처리배관(S)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의 상기 오수분기관(31)에 구비된 각 누수감지센서(34)는 역류한 상기 오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18)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18)는 상기 수신된 감지신호 중 상기 오수처리배관(S)에 가장 인접한 누수감지센서(34)의 감지신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감지신호를 전송한 누수감지센서(34)와 상기 오수처리배관(S)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웃하는 누수감지센서(34)의 감지신호를 추출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8)는 추출된 두 개의 감지신호 사이 범위에 대응되는 상기 오수이송관(32) 위치범위를 설정하고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8)는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비된 출력부에 상기 오수배출관(30)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기저장된 배관도를 출력하고, 출력된 상기 배관도 상에 상기 산출된 좌표에 대응되는 상기 오수이송관(32) 위치를 특정 색상 또는 점멸 표시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점검배관(33)으로부터 상기 오수이송관(32)의 막힘 위치까지 길이에 대응되는 이물질제거바를 준비할 수 있으며, 상기 준비된 이물질제거바를 상기 점검배관(33)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이물질을 밀어내거나 제거함에 따라 상기 오수이송관(32)의 막힌 부분이 뚫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18)에 의해 상기 오수이송관(32)의 막힘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되는 이물질제거바를 용이하게 준비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하므로 작업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증기공급관(40)은 상기 상수공급관(20)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공급관(40)은 상기 증기공급장치(50)로부터 생성되는 증기(f)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부에는 상기 상수공급관(2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상수공급관(20)은 내부에 상기 증기(f)가 유동되는 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부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수공급관(20)의 외주 및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주 사이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호 이격된 공간 사이가 증기유동공간(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수공급관(20) 및 상기 증기공급관(40)은 실질적으로 이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유동공간(42) 사이로 상기 증기(f)가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유동공간(42) 사이로 유동되는 상기 증기(f)의 열기가 상기 상수공급관(20)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상수공급관(20)의 내부에 공급되는 상기 상수의 결빙 등에 의한 상기 상수공급관(20)의 동파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수공급관(20)에는 동파가 방지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열선 등의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지 않아도 동파가 방지되므로 제품의 구성이 단순화되므로 생산성이 더욱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주에는 상기 상수공급관(20)이 고정되도록 지지부(41)가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41)는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상기 상수공급관(20)의 외주에 밀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1)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되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에 따라 다단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기공급관(40)에는 상기 증기유동공간(42)을 통해 상기 증기(f)가 유동되면서도 상기 상수공급관(20)이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수공급관(20)은 상기 지지부(41)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내주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되 축방향으로 연장된 격벽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각 격벽에 의해 구획된 증기유동공간(42)이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각 격벽에 연통홀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수공급관(20) 및 상기 증기공급관(40)은 상기 지지부(41)가 상기 상수공급관(20)에 연결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에서 증기 배출과정을 나타낸 상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증기공급관(40)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상기 증기(f)가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유동되도록 증기배출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증기배출부(7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되 외주에 복수개의 공급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은 상기 증기배출부(70)의 외주를 따라 축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에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배출부(70)는 상기 증기공급관(40)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공급관(40)의 타단부, 즉 타측 끝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증기공급관(40)을 통해 유동되는 증기(f)는 상기 증기배출부(70)가 상기 증기공급관(40)의 끝단부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상수공급관(20)에 전체적으로 열기가 전달되도록 순환된 후 상기 증기배출부(7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단면적은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배출되는 상기 증기(f)의 배출유량이 상기 증기유동공간(42)에 유동되는 상기 증기(f)의 유동유량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공급홀(71)의 단면적 합계가 상기 증기유동공간(42)의 단면적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기유동공간(42)을 통해 상기 상수공급관(20)을 따라 유동되며 열기가 전달된 증기(f)가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f)의 역류없이 공급과 배출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기배출부(70)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배출되는 증기(f)는 상기 내부공간(12)에도 열기를 전달하여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난방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수공급관(20)의 동파 방지를 위해 주로 겨울에 상기 증기(f)의 공급 빈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겨울에 건조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부(70)는 상기 내부공간(12)에 증기(f)를 배출함에 따라 별도의 난방설비 없이도 상기 내부공간(12)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으면서도 가습효과까지 제공하므로 생산성 및 에너지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부(70)는 상기 증기공급관(40) 단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상수대상체(16)의 수량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공급홀(71)은 배출되는 상기 증기(f)의 배출유량이 상기 증기유동공간(42)에 유동되는 상기 증기(f)의 유동유량 미만으로 설정되도록 단면적의 크기 또는 수량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출유량이 상기 유동유량 미만으로 설정되면 상기 증기유동공간(42)을 통해 유동되는 증기(f)가 모두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증기배출부(70)가 상기 증기공급관(40) 단부의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일부 증기(f)가 배출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잔존하는 상기 증기(f)가 상기 상수공급관(20)을 따라 유동되어 전체적으로 열기가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증기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증기공급장치(5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상기 내부공간(12) 또는 상기 외벽(13)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물론 상기 증기공급장치(50)의 크기 내지 설치환경 등을 고려하여 상기 화장실 본체(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증기공급장치(50)는 일단부가 상기 상수인입배관(P)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증기공급장치(50)는 상기 상수인입배관(P)으로부터 분지되는 상수분지배관(51)과 연결되어 상기 상수분지배관(51)을 통해 내부에 상기 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상수분지배관(51)은 상기 화장실 본체(10)의 설치 환경 내지 설계 변경 등에 따라 상기 상수공급관(20)으로부터 분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공급장치(50)는 저수탱크(52), 수위조절장치(53), 가열수단(54) 및 증기유로부(5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저수탱크(52)는 내부에 저수공간(52a)이 형성되며 상기 상수분지배관(51)을 통해 공급된 상기 상수가 상기 저수공간(52a)에 저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탱크(52)는 상기 상수분지배관(51)이 연결된 부분을 제외한 상부가 상기 저수공간(52a)을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52)의 내부에는 상기 수위조절장치(5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수위조절장치(53)는 볼탑 또는 플로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공간(52a)에 저수되는 상기 상수가 기설정된 수위에 도달시 상기 수위조절장치(53)에 의해 상기 상수분지배관(51)을 통한 상기 상수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위조절장치(53)가 볼탑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저수공간(52a)에 저수되는 상기 상수가 기설정된 최대 수위(M) 미만이면 저수된 상기 상수의 수면위에 부유하는 부유체(53a)는 상기 상수유입부(52b)와 연결된 밸브(53b)가 폐쇄되도록 상승하지 않아 상기 상수유입부(52b)의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상기 상수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52a)에 저수되는 상기 상수가 기설정된 최대 수위(M)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53b) 내부의 개폐볼과 힌지 연결된 상기 부유체(53a)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개폐볼이 연동 회전되어 상기 밸브(53b)가 폐쇄되며 상기 상수의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수위조절장치(53)는 최대 수위(M) 위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저수공간(52a)의 내부 테두리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저수공간(52a)에 저수되는 상기 상수는 상기 수위조절장치(53)에 의해 최대 수위(M)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54)은 상기 저수공간(52a)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54)은 전기 공급에 따라 가열되는 코일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저수공간(52a)의 내부에 저수된 상기 상수를 가열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저수공간(52a)의 내부에 저수된 상기 상수가 기화되어 증기(f)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기유로부(55)는 상기 저수탱크(52)와 구획되어 구비되며, 내부에는 공급공간(5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증기유로부(55)에는 상기 가열수단(54)에 의해 생성된 증기(f)가 상기 공급공간(55a)으로 유동되도록 일단부에 연통부(55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통부(55b)는 상기 저수탱크(52) 및 상기 증기유로부(55)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저수탱크(52) 및 상기 증기유로부(55)에 양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통부(55b)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부(55b)의 중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통부(55b)가 연결된 상기 저수탱크(52) 및 상기 증기유로부(55)의 각 단부가 개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통부(55b) 내부의 중공에 의해 상기 저수공간(52a) 및 상기 공급공간(55a)이 상호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저수탱크(52)에서 상기 가열수단(54)에 의해 생성된 상기 증기(f)는 상기 연통부(55b)를 경유하여 상기 증기유로부(55)로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유로부(55)는 타단부 측이 상기 증기공급관(40)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기 증기유로부(55)에 유동된 증기(f)가 상기 증기공급관(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부(55b)는 상기 최대 수위(M) 이상에서 상기 저수탱크(52)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통부(55b)는 상기 저수공간(52a)에 저수되는 상기 상수의 최대 수위(M)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수의 최대 수위(M)는 상기 수위조절장치(53)에 의해 유지되므로 상기 가열수단(54)에 의해 생성된 상기 증기(f)는 상기 저수공간(52a)의 상측을 향해 유동된다.
여기서, 상기 연통부(55b)가 상기 상수의 최대 수위(M)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증기(f)가 상기 연통부(55b) 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부(55b)는 상기 수위조절장치(53)가 장착되는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연통부(55b)에는 상기 증기공급관(40)으로 상기 상수의 유입이 방지되어 수분 유입으로 인한 녹 또는 곰팡이 등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수단(54)에 의해 생성된 상기 증기(f)가 상기 증기공급관(40)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유동 방향이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장치(60)는 상기 화장실 본체(10)에 설치된 전원을 요하는 각종 설비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동식 화장실(100)은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배전설비 등이 설치되지 않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원공급장치(60)는 상기 이동식 화장실(100)의 설치시에 별도의 배전설비 없이도 전원 공급이 가능한 태양열 발전 수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전원공급장치(60)는 솔라셀(61), 전원저장부(62) 그리고 전원제어부(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솔라셀(61)은 태양광을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솔라셀(61)은 태양광이 원활하게 조사되도록 상기 지붕(14)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솔라셀(61)에 의해 변환된 전원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전원저장부(62)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전원저장부(62)에는 전원이 충전되도록 이차전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저장부(62)는 태양광이 공급되는 주간시간대에 상기 솔라셀(61)로부터 전원이 공급받아 충전되며 일몰 후 내지 특정시간대에는 충전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63)는 상기 전원저장부(62)와 연결되어 상기 증기공급장치(50)뿐만 아니라 내부에 설치된 각종 설비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제어부(63)는 상기 증기공급장치(50)로의 전원공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화장실 본체(10)에는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센서(미도시)는 상기 화장실 본체(10)의 외면 일측 및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된 공간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검출치를 상기 전원제어부(63)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상기 화장실 본체(10)의 외면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된다면 외부 기온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에 배치된다면 상기 내부공간(12)의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제어부(63)는 수신된 상기 온도검출치를 기설정된 온도기준치와 비교하며, 수신된 상기 온도검출치가 기설정된 온도기준치 미만이면 증기(f)가 생성되도록 상기 가열수단(54)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온도기준치라 함은 동파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어느 특정 온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0~-1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설정된 온도기준치가 -10도로 설정된다면 상기 온도검출치가 -10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가열수단(54)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63)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온도검출치와 상기 기설정된 온도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온도검출치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가열수단(54)으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63)가 동파 발생이 방지되도록 외부온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상기 증기공급장치(5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제어하므로 관리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가 방지되므로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전원제어부(63)는 동파의 발생 빈도가 높은 야간의 어느 특정 시간대에 상기 증기공급장치(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증기공급장치(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전원공급장치(60)는 풍향팬을 사용하여 풍력 발전에 의해 생성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배전설비 등을 통해 외부 전원을 충전 및 공급하는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화장실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기조절부(8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이동식 화장실에는 증기배출부(70)의 외주를 감싸도록 증기조절부(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증기조절부(80)는 상기 증기배출부(70)의 외주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내주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증기조절부(80)의 내주에 상기 증기배출부(70)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기조절부(80)는 상기 증기배출부(70)를 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조절부(80)의 외주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연통홀(8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81)의 테두리측 단부에는 차폐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증기조절부(8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연통홀(81)이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증기배출부(70)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2)을 향해 배출되는 증기(f)의 배출유량이 최대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증기조절부(80)는 상기 차폐부(82)가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상부 일측을 커버하도록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부(82)가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상부 일측을 커버하는 단면적 크기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부(70)의 증기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부(82)가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상부를 커버하는 단면적이 증가할수록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로부터 상기 내부공간(12)을 향해 배출되는 증기(f)의 배출유량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폐부(82)가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하여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이 실질적으로 폐쇄되도록 상기 증기조절부(80)가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공급홀(71) 및 연통홀(81) 사이 외측단의 폭은 상기 공급홀(71) 및 연통홀(81)의 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부(82)는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연통홀(81) 사이의 외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82)의 폭이 상기 연통홀(81)의 폭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82)는 상기 증기조절부(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71)의 상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증기조절부(80)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상기 내부공간(12)의 온도가 조절되도록 손쉽게 상기 증기배출부(70)의 증기 배출유량이 선택적으로 증감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화장실 본체 20 : 상수공급관
30 : 오수배출관 31 : 오수분기관
32 : 오수이송관 33 : 점검배관
40 : 증기공급관 50 : 증기공급장치
52 : 저수탱크 53 : 수위조절장치
54 : 가열수단 55 : 증기유로부
60 : 전원공급장치 70 : 증기배출부
100 : 이동식 화장실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수대상체가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화장실 본체;
    일측으로 유입된 상수의 분배 공급을 위해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상수대상체의 설치 위치를 경유하여 상호 연결되는 상수공급관;
    상기 상수공급관의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증기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증기공급관; 및
    증기의 열기가 상기 상수공급관에 전달되어 동파가 방지되도록 내부로 유입된 상수를 가열하여 발생된 증기를 상기 증기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증기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공급관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상기 증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공급홀이 형성된 증기배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공급장치는
    상수인입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상수가 저수되는 저수공간이 형성된 저수탱크와,
    상기 저수공간의 최대 수위가 유지되도록 상기 저수탱크의 상수유입부에 구비된 수위조절장치와,
    상기 증기가 생성되도록 상기 저수공간의 상수를 가열하도록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가열수단과,
    상기 저수탱크와 상기 증기공급관이 상호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증기유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배출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에 대응되도록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급홀의 단면적이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는 증기조절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5.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에 수위를 검출하는 누수감지센서가 구비되되 내부에 오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상수대상체의 배수부와 연결되는 오수분기관과, 외부로 상기 오수가 이송되도록 상기 오수분기관이 합류되어 일단부가 오수처리배관과 연결되는 오수이송관과, 상기 오수이송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외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연장된 점검배관을 포함하는 오수배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오수이송관의 막힘 위치를 산출 및 출력하는 컨트롤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화장실.
KR1020170055206A 2017-04-28 2017-04-28 이동식 화장실 KR101774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06A KR101774378B1 (ko) 2017-04-28 2017-04-28 이동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206A KR101774378B1 (ko) 2017-04-28 2017-04-28 이동식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378B1 true KR101774378B1 (ko) 2017-09-04

Family

ID=5992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206A KR101774378B1 (ko) 2017-04-28 2017-04-28 이동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3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47B1 (ko) * 2017-11-29 2018-05-04 주식회사 제이케이 이동식 화장실
CN109138516A (zh) * 2018-09-28 2019-01-04 大庆市地油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流动式环保节能厕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13B1 (ko) *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513B1 (ko) * 2013-01-17 2014-07-09 주식회사 에스엠비테크놀로지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447B1 (ko) * 2017-11-29 2018-05-04 주식회사 제이케이 이동식 화장실
CN109138516A (zh) * 2018-09-28 2019-01-04 大庆市地油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流动式环保节能厕所
CN109138516B (zh) * 2018-09-28 2019-04-26 大庆市地油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流动式环保节能厕所、工作系统及该系统的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378B1 (ko) 이동식 화장실
WO2010014910A1 (en) Geothermal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system
US20070205308A1 (en) Snow removal device
KR101891827B1 (ko) 배관 동파방지수단을 구비한 이동식 화장실
US84438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aining irrigation systems
WO2014208991A1 (ko)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KR20180066905A (ko) 이물질 적층 방지용 에어노즐
CN106374365A (zh) 一种农田机井配电箱
KR101416513B1 (ko)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이동식 화장실
CN207760875U (zh) 一种综合管廊的排水系统
CN203846563U (zh) 稳压补偿式无负压供水设备
KR20220158980A (ko)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KR101576903B1 (ko) 지하수 열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버섯 재배사
CN106906898A (zh) 一种建造隔离雾霾的生态化智能楼宇系统的方法
US4241725A (en) Solar energy collector
RU2335348C1 (ru) Зимний фонтан
CN206487174U (zh) 一种太阳能公共厕所
KR101191889B1 (ko) 이중슬라브식 구들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038798B1 (ko) 이동식 화장실
KR101870868B1 (ko) 에너지절약형 버섯 재배사의 바닥 지하수 순환 구조
JP2008144375A (ja) 壁面冷却システムおよび建物冷却システム
KR101205547B1 (ko) 야외 화장실의 자연 채광 장치
JP2017029110A (ja) 温室
CN214116806U (zh) 一种室外重力型供水消火栓系统
Ye et al. Design and analysis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engineering for a residential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