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8991A1 -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 Google Patents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8991A1
WO2014208991A1 PCT/KR2014/005595 KR2014005595W WO2014208991A1 WO 2014208991 A1 WO2014208991 A1 WO 2014208991A1 KR 2014005595 W KR2014005595 W KR 2014005595W WO 2014208991 A1 WO2014208991 A1 WO 20142089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ilet
storage tank
water
methane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59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용태
Original Assignee
정호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호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46844.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473516B/zh
Publication of WO20142089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8991A1/ko
Priority to US14/979,595 priority patent/US996963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1/00Cessp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that can be produced as an energy source using methane gas of stool generated in the septic tank.
  • toilets are installed in buildings such as homes, businesses, and schools, and toilets discharge the serving, the final product of the human digestion process, to a septic tank.
  • the discharge from the toilet bowl and stored in the septic tank is supplied to the cropland's arable land and used as a fertilizer to facilitate crop growth.
  • serving is not often applied to arable lan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capabl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methane gas by storing and fermenting a high concentration of stool.
  • the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athroom of the building to discharge the user's toilet, the water-saving toilet to discharge the high concentration of the toilet water consumption when discharged;
  • a toilet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water-saving toilet and configured to store the toilet discharged from the water-saving toilet and buried underground;
  • a methane gas supply unit configured to collect and discharge methane gas generated by fermentation of the toilet in the toilet storage tank;
  • a gas storage tank connected to the methane gas supply unit to store methane gas discharged from the methane gas supply unit.
  • the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ermentation efficiency of methane gas and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methane gas in a short time by storing and heating a high concentration of stool.
  • the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producing methane gas using a high concentration of stool and reducing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ane gas purifying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ter-saving toilet shown in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ater-saving toilet shown in FIG.
  •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100 includes a water-saving toilet 110, a toilet storage tank 120, a heating device 130, a methane gas supply unit 140, and a gas storage tank 150. ).
  • the water-saving toilet 110 is installed in a bathroom of a building such as a home or school, a company, a factory, and discharges a user's toilet.
  • the water-saving toilet 110 of this embodiment reduces the amount of water used when discharging the toilet, and in particular, has a function of discharging the toilet with a high concentration. That is, the water-saving toilet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discharge a high concentration of stool with little dilution with water by using a small amount of water of about 1 liter to 5 liters every time the toilet is discharged.
  •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s buried in the basement of the build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saving toilet 110 to store the toilet discharged from the water-saving toilet 110.
  • the toilet storage tank 120 may be hermetically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so that the toilet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 the toilet storage tank 120 may be formed so that only the storage without discharging the internal toilet to the sewer. That is, the septic tank does not discharge the stool that has been treated as a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the sewer to the sewer, thereby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wastewater discharge.
  • the lid 121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lid 121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heating the heated toilet 130 to be described later.
  • the heating device 130 is install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heat the toilet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heating device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heating wire.
  • the heating wir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and the bottom of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generate heat by receiving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electric device.
  • Such a heating device 130 has the advantage of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methane gas in a short time compared to natural fermentation by heating the toilet. In particul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inue to generate methane gas by proceeding fermentation even in low temperature winter.
  •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is installed above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collect and discharge the methane gas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may be a supply pump.
  • a supply pump sucks and discharges methane gas discharged from the stool of the stool storage tank 120.
  • the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s formed in a hopper shape that the center portion is projected upward and the diameter narrows toward the top.
  • the shape of the hopper is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when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suck the toilet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gas storage tank 150 is connected to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to store methane gas discharged from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 the water storage unit 151 is connected to the gas storage tank 150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water remover 151 removes water of the methane gas supplied from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and extracts only methane gas as a fuel. Methane gas from which water is removed is used as various energy sources such as cooling and heating in apartments, schools, and factories.
  • the methane gas generation purification tank 1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160, a gas discharge valve 170, and a pulverization device 180.
  • the pressure sensor 160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sense the methane gas pressure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gas discharge valve 170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to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discharge the methane gas pressure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the outside. That is, the gas discharge valve 170 is opened when the methane gas pressure inside the toilet storage tank 120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60 is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Looking 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gas discharge valve 170, when the methane gas pressure rises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he pressure sensor 160 detects this to open the gas discharge valve 170. Then, the methane gas inside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s discharge valve (170).
  • the pressure sensor 160 blocks the gas discharge valve 170 so that the inside of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s closed. As such, the pressure sensor 160 and the gas discharge valve 170 may prevent the fecal storage tank 120 from exploding due to an increase in the pressure of the methane gas in the fecal storage tank 120.
  • the crusher 180 is install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and is discharged from the water-saving toilet 110 to crush the stool flowing into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crushing device 180 finely crushes the high concentration of waste discharged from the water-saving toilet 110
  • the stool stor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may eject a greater amount of methane gas.
  • the toilet discharged from the water-saving toilet 110 is stor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toilet is broken into small pieces by the crushing device 180 is install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s stor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heating device 130 is operated when the toilet is stor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o heat the toilet, wherein the toilet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130 emits methane gas.
  • the heating device 120 may not only heat the toilet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each time, but may also stop the operation to naturally ferment in the summer when the temperature rises.
  • the heating device 130 may be operated so that the toilet does not solidify quickly.
  • the stool heated by the heating device 130 generates a large amount of methane gas. Therefore, the heating device 130 has an effect of capturing a large amount of methane gas even with a small area as the fermentation treatment time is shorter than the natural fermentation method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methane gas.
  • it can be heated even in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llect methane gas from time to time.
  •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sucks the methane gas ejected from the stool storage tank 120 and discharges the methane gas to the gas storage tank 150.
  • the gas storage tank 150 stores methane gas supplied from the methane gas supply unit 140 and discharges only methane gas from which water is removed by the moisture remover 151.
  • Methane gas from which water is removed from the water remover 151 may become an energy source and be used as an energy source used for heating and cooling various buildings.
  • the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by producing methane gas using a high concentration of stool and reducing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 the electric device may be electricity supplied from a bui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electricity generated from sunlight. That is, the solar energy collected from the sun may be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using a solar panel to collect the sunlight, and heat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ing device 130.
  • FIGS. 1 to 3 show a methane gas generation septic tank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3 ar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and repeat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heating device 230 may be a heating pipe.
  • the heating pipe is hollow is formed so that the hot water can be circulated therein, and is install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n a hot water circulation line method.
  • the heating device 23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heat the hot water in the heating pipe by the external fu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methane gas discharged from the gas storage tank 150 may be used as a fuel as an energy source.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of producing methane gas at low cost by heating the heating device 230 using the methane gas generated in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the water-saving toilet used in the methane gas septic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ny type of toilet in the form of using less water than conventional toilets.
  • a water-saving toilet having a structure using about 5% to 25% of water compared to a conventional toilet.
  • the water-saving toilet 110 includes a toilet body 111, a discharge unit 112, a water supply unit 113, an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a controller 115, and an operation button 116.
  • the toilet body 111 includes a receiving part 1111 and an outlet 1112.
  • the receiving part 1111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toilet and temporarily stores the user's toilet and water therein.
  • Discharge port 1112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1111 to discharge the toilet and water.
  • the discharge unit 112 i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ort 1112 so that the toilet collected in the container 1111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2.
  • the discharge unit 112 includes a cover 1121 and a driver 1122.
  • the cover 1121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outlet 1112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112.
  • the cover 1121 may be hinged to the outlet 1112 as shown in FIG. 3.
  • the driver 1122 connects the cover 1121 and provides rotational force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1112.
  • the sealing cover 1123 may include a seal between the outlet 1112 and the hinge.
  • the sealing cover 1123 prevents the toilet from leaking into the hinge gap when the cover 1121 opens the outlet 1112.
  • Such a sealing cover 1123 may be formed of a flexible elastic material capable of contraction and expansion, such as a rubber material.
  • the water supply unit 113 is connected to the toilet body 111 to supply water to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art 1111.
  • the water supply unit 113 supplies water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11 such that the toile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2 when the discharge port 1112 is opened by the discharge unit 112.
  • the water supply unit 113 includes an inlet 1113 and a water supply valve 1132.
  • the inlet 1131 is installed in the toilet body 111 to supply water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111.
  • the inlet 1131 may supply water toward the outlet 1112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1111. This is to easily discharge the stoo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12 together with the water.
  • the feed valve 1132 is connected to the inlet 1131.
  • the water supply valve 1132 connects a water supply pipe such as a water pipe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supply water to the inlet 1113.
  • the water supply valve 1132 may adjust the supply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113.
  •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is buried below the toilet body 111 to store water and toilet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12 by the discharge unit 112.
  •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and installed to immediately store water and toilets discharged from the toilet body 111.
  •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includes an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a water level sensor 1142, an intermediate outlet 1143, and a discharge valve 1144.
  •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embedded below the toilet body 111, that is, on the floor of the building.
  •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has a space formed therein to store the stool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2.
  •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may be hermetically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so that the toilet does not discharge to the outside.
  • the water level sensor 1142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he water level sensor 1142 detects whether the water level of the toilet stored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full.
  •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is formed below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is formed so that the toilet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discharged to the toilet storage tank 120.
  • a pipe connecting the toilet storage tank 120 is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and the toilet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discharged to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hrough the pipe.
  • the discharge valve 1144 is installed at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and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 the discharge valve 1144 is controlled to open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by the controller 115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detected as full water by the water level sensor 1142.
  • the controller 115 the toilet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outlet 1112 through the discharge unit 112 is stored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5.
  • the controller 115 controls the discharge valve 1144 so that the intermediate discharge port 1143 is opened.
  • the discharge valve 1144 is opened, the toilet and water stored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discharged to the toilet storage tank 120 through the intermediate discharge port 1143.
  • the controller 115 closes the intermediate outlet 1143.
  • the controller 115 may control the discharge valve 1144 to automatically close the intermediate discharge port 1143 after opening the discharge valve 1144 at the intermediate discharge port 1143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controller 115 detects this and discharges the valve 1144. ) Closes the intermediate outlet 1112.
  •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pipe 1145 and an exhaust pump 1146.
  • the exhaust pipe 1145 is installed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o discharge odors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o the outside.
  • the exhaust pump 1146 may be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1145 to discharge odors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1145. That is, the exhaust pump 1146 may suck the exhaust pipe 1145 and discharge the air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o the outside.
  • the controller 1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12, the water supply unit 113 and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 the controller 115 controls the driving unit 1122 of the discharge unit 112 so that the cover 1121 can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ort 1112. That is, the cover 1121 may be opened so that the toilet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1 is discharged to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2.
  • the controller 115 may control the water supply valve 1132 so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1111 through the inlet 1113.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5 may adjust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water supply valve 1132.
  • the control unit 115 may control the discharge valve 1144 to open the intermediate outlet 1112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water level sensor 1142 that detects when the toilet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full. As such, the controller 1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unit 112, the water supply unit 113, and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114, and in particular, the discharge unit 112, the water supply unit 113, and the intermediate storage unit. The operation of the 114 may be controlled at one time, or may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operation button 116 transmits a discharge command of the user to the control unit 115 to discharge the toilet and water temporarily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1111 to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 the control unit 115 operates the driving unit 1122 so that the cover 1121 of the discharge unit 112 opens the discharge port 1112.
  • the water supply valve 1132 of the water supply unit 113 is opened so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on portion 1111. Accordingly, water and toilet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1 are discharged to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2.
  • the operation button 116 as described above may instruct the discharge unit 112 and the water supply unit 113 to be made in one operation, or may be each made to be independent.
  • the odor removing unit 117 is further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1111 of the toilet body 111 to remove the odor generated in the toilet in the receiving portion 1111.
  • the odor removing unit 117 includes a suction pipe 1171 and a blowing fan 1172.
  • the suction pipe 1171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receiving portion 1111 of the toilet body 111.
  • the blowing fan 1172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ipe 1171 to suck the air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11 through the suction pipe 1171 and discharge it to the outside.
  • the odor removing unit 117 effectively discharges the odor gener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1111 during or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116.
  • the control unit 115 receives the discharge command signal of the operation button 116 and the cover 1121 of the discharge unit 112 opens the discharge port 1112.
  • the driving unit 1122 allows the outlet 1112 to be opened by rotating the cover 1121.
  • the controller 115 opens the water supply valve 1132 so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111 through the inlet 1131 of the water supply unit 113.
  • the blowing fan 1172 of the malodor removing unit 117 may be operated to remove the malodor caused by the toilet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1.
  • the blowing fan 1172 sucks out the odor in the accommodating part 1111 through the suction pipe 1171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 the toilet in the receiving portion 1111 has the effect of sav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draining the toilet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of approximately 1 liter to 5 liters. That 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possible to discharge high concentration of stool using only 1/10 or less of water.
  • the water level sensor 1142 detects this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115.
  • the controller 115 operates the discharge valve 1144 so that the intermediate discharge port 1112 is opened.
  • the toilet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is discharged through the intermediate outlet 1112.
  • the toilet stored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opens the discharge valve 1144 in a full state, the toilet in the intermediate storage tank 1141 may generate its own water pressure by its own weight and be discharged to the toilet storage tank 12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는,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을 배출하며, 배출시 물의 사용량을 절수하여 고농도의 용변을 배출하는 절수형 변기; 상기 절수형 변기에 연결되어 상기 절수형 변기에서 배출된 용변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용변저장탱크;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의 용변의 발효 속도를 높이도록 상기 용변저장탱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의 용변이 발효되어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메탄가스 공급부; 및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본 발명은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화조에서 발생되는 용변의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에너지원으로 생산할 수 있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학교 등의 건물에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변기는 인체의 소화 과정의 최종 산물인 인분을 정화조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변기에서 배출되어 정화조에 저장된 인분은 농작물의 경작지 등에 공급되어 작물의 생장을 원활하게 하는 비료로도 이용된다. 그러나 근래에는 단기적으로 작물의 생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화학 비료 등의 발전으로 인해 인분 등을 경작지에 시비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게다가 환경오염 문제 등으로 인하여 거의 모든 인분은 소정의 처리과정을 거쳐 폐기되고, 자원으로 재활용되는 비율이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비료 이외 다른 방안으로 인분을 연료로 사용하는 방안이 있는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5184호(2010.06.14.)에는 분뇨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수집하여 이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메탄가스 수집 기능을 가진 분뇨 정화조가 제안된다. 통상 변기는 사용자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1회 배출시마다 약 10 리터에서 15리터의 물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많은 양의 물의 배출로 인하여 상기한 분뇨 정화조에는 사용자의 용변과 더불어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된다. 따라서 물과 함께 희석된 용변에서는 많은 양의 메탄가스가 발생할 수 있을 정도로 발효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농도의 용변을 저장하고 이를 발효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메탄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는,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을 배출하며, 배출시 물의 사용량을 절수하여 고농도의 용변을 배출하는 절수형 변기; 상기 절수형 변기에 연결되어 상기 절수형 변기에서 배출된 용변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용변저장탱크;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의 용변의 발효 속도를 높이도록 상기 용변저장탱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의 용변이 발효되어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메탄가스 공급부; 및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는, 고농도의 용변을 저장하고 가열함에 따라 메탄가스의 발효 효율을 향상시키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메탄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는, 고농도의 용변을 사용하여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폐수의 배출을 절감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100)는 절수형 변기(110)와 용변저장탱크(120)와 가열장치(130)와 메탄가스 공급부(140) 및 가스저장탱크(150)를 포함한다.
절수형 변기(110)는 가정이나 학교, 회사, 공장 등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을 배출한다. 본 실시예의 절수형 변기(110)는 용변을 배출시 물의 사용 양을 절감하며 특히, 농도가 높은 용변을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절수형 변기(110)는 용변을 1회 배출시마다 약 1 리터 내지 5 리터의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여 물과의 희석이 적은 고농도의 용변을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용변저장탱크(120)는 건물의 지하에 매설되고 절수형 변기(110)에 연결되어 절수형 변기(110)에서 배출된 용변을 저장한다. 용변저장탱크(120)는 내부의 용변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각 연결부위가 기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변저장탱크(120)는 내부의 용변을 하수구로 배출하지 않고 저장만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기존에 정화조가 하수구를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처리하던 용변을 하수구로 배출하지 않음으로써 폐수배출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용변저장탱크(120)의 상부에는 뚜껑(121)을 설치할 수 있다. 뚜껑(121)은 후술할 가열장치(130)에 의해 가열되고 남은 용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용변저장탱크(12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열장치(130)는 용변저장탱크(120)에 설치되어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용변을 가열한다. 본 실시예의 가열장치(130)는 열선일 수 있다. 열선은 용변저장탱크(120)의 내측벽 및 바닥에 설치되고 외부의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한다. 이와 같은 가열장치(130)는 용변을 가열함으로써 자연 발효에 비해 단시간에 많은 양의 메탄가스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도 발효를 진행시켜 메탄가스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탄가스 공급부(140)는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배출하도록 용변저장탱크(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탄가스 공급부(140)는 공급펌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펌프는 용변저장탱크(120)의 용변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흡입하여 배출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변저장탱크(120)의 상부는 가운데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호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호퍼의 형상은 용변저장탱크(120)의 상측에 설치된 메탄가스 공급부(140)가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용변을 흡입 시 흡입력을 높이게 하기 위함이다.
가스저장탱크(150)는 메탄가스 공급부(140)에 연결되어 메탄가스 공급부(140)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가스저장탱크(150)에는 수분제거기(151)가 연결된다. 수분제거기(151)는 메탄가스 공급부(140)에서 공급된 메탄가스의 수분을 제거하여 연료로서 가능한 메탄가스만을 추출한다. 이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는 아파트, 학교, 공장 등의 냉, 난방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100)는 압력센서(160)와 가스배출밸브(170) 및 분쇄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센서(160)는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메탄가스 압력을 감지하도록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가스배출밸브(170)는 용변저장탱크(120)내의 메탄가스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용변저장탱크(120)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가스배출밸브(170)는 압력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용변저장탱크(120) 내부의 메탄가스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면 개방된다. 가스배출밸브(170)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용변저장탱크(120) 내에서 메탄가스 압력이 상승하면 압력센서(160)가 이를 감지하여 가스배출밸브(170)를 개방한다. 그러면 용변저장탱크(120) 내부의 메탄가스가 가스배출밸브(17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메탄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로 내려가면 압력센서(160)는 용변저장탱크(120)의 내부가 폐쇄되도록 가스배출밸브(170)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160) 및 가스배출밸브(170)는 용변저장탱크(120) 내에서 메탄가스의 압력이 상승하여 용변저장탱크(120)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쇄장치(180)는 용변저장탱크(120)에 설치되며 절수형 변기(110)에서 배출되어 용변저장탱크(120)에 유입되는 용변을 분쇄한다. 특히, 분쇄장치(180)는 절수형 변기(11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의 용변을 잘게 분쇄함에 따라 용변저장탱크(120)에 저장되는 용변은 보다 많은 양의 메탄가스를 분출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절수형 변기(110)에서 배출되는 용변은 용변저장탱크(120)에 저장된다. 이때 용변은 용변저장탱크(120)에 설치되는 분쇄장치(180)에 의해 잘게 부서지면서 용변저장탱크(120) 내로 저장된다.
가열장치(130)는 용변저장탱크(120) 내에 용변이 저장되면 동작되어 용변을 가열하고, 이때 가열장치(130)에 의해 가열된 용변은 메탄가스를 분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가열장치(120)는, 용변저장탱크(120) 내의 용변을 매번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의 경우 자연 발효하도록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등 기온이 내려갈 때에는 용변이 빨리 응고되지 않도록 가열장치(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장치(130)에 의해 가열된 용변은 많은 양의 메탄가스가 발생시킨다. 따라서 가열장치(130)는 자연 발효시키는 방법보다 발효처리 시간을 단축하여 메탄가스의 생산성을 높임에 따라 작은 면적으로도 많은 양의 메탄가스를 포집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기온이 하강하는 겨울철에도 가열이 가능하여 수시로 메탄가스를 포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메탄가스 공급부(140)는 용변저장탱크(120)에서 분출되는 메탄가스를 흡입하고 가스저장탱크(150)로 메탄가스를 배출한다.
가스저장탱크(150)는 메탄가스 공급부(140)에서 공급된 메탄가스를 저장하고 수분제거기(151)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만을 배출한다. 수분제거기(151)에서 수분이 제거된 메탄가스는 에너지원이 되어 다양한 건물의 냉난방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100)는, 고농도의 용변을 사용하여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폐수의 배출을 절감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본 실시예에서 전기장치는 건물에서 공급되는 전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태양광에서 발생되는 전기일 수 있다. 즉,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태양전지판을 이용하여 태양으로부터 집광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가열장치(130)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2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로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가열장치는(230)는 히팅 배관일 수 있다.
히팅 배관은 내부에 온수가 순환 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온수순환라인 방식으로 용변저장탱크(12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열장치(230)는 외부의 연료에 의해 히팅 배관 내의 온수를 가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스저장탱크(150)에서 배출된 메탄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용변저장탱크(120)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를 이용하여 가열장치(230)를 가열함에 따라 저 비용으로 메탄가스를 생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에 사용되는 절수형 변기는 종래의 변기에 비해 물을 적게 사용하는 형태의 변기는 어떠한 구조이든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변 배출시 회당 1 내지 5리터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변기 비해 약 5% 내지 25%의 물을 사용하는 구조의 절수형 변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절수형 변기(110)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절수형 변기를 사용함으로써 적은 물을 사용하여 용변을 배출할 때 농도가 높은 용변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절수형 변기(110)는 변기 본체(111)와 배출 유닛(112)과 물 공급유닛(113)과 중간저장 유닛(114)과 제어부(115) 및 조작버튼(116)을 포함한다.
변기 본체(111)는 수용부(1111)와 배출구(1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용부(1111)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사용자의 용변과 물을 임시로 저장한다. 배출구(1112)는 수용부(1111)의 하부에 구비되어 용변과 물을 배출한다.
배출 유닛(112)은, 수용부(1111)에 모인 용변이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112)에 설치된다. 배출 유닛(112)은, 덮개(1121)와 구동부(1122)를 포함한다. 덮개(1121)는 배출구(1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구(1112)를 개폐한다. 이와 같은 덮개(1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11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122)는 덮개(1121)를 연결하며 덮개(1121)가 배출구(1112)를 개폐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구(1112)와 힌지 사이를 밀폐하도록 밀폐커버(1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커버(1123)는, 덮개(1121)가 배출구(1112)를 개방 시 힌지 틈으로 용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밀폐커버(1123)는, 고무재와 같이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신축성이 있는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 공급유닛(113)은 변기 본체(111)에 연결 설치되어 수용부(11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물 공급유닛(113)은 배출 유닛(112)에 의해 배출구(1112)가 개방되었을 때, 용변이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되도록 수용부(1111) 내에 물을 공급한다. 물 공급유닛(113)은, 유입구(1131)와 급수 밸브(1132)를 포함한다. 유입구(1131)는 수용부(111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도록 변기 본체(111)에 설치된다. 특히, 유입구(1131)는 수용부(1111) 내부의 배출구(1112)를 향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배출구(1112)에서 배출되는 용변을 물과 함께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함이다. 급수 밸브(1132)는 유입구(1131)에 연결된다. 급수 밸브(113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수도관 등의 급수관을 연결하여 유입구(1131)에 물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급수 밸브(1132)는, 유입구(1131)에 유입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중간저장 유닛(114)은 배출 유닛(112)에 의해 배출구(1112)에서 배출되는 물과 용변을 저장하도록 변기 본체(111)의 하측에 매립된다. 중간저장 유닛(114)은 건물 바닥면에 매립되어 변기 본체(111)에서 배출되는 물과 용변을 바로 저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중간저장 유닛(114)은, 중간저장탱크(1141)와 수위센서(1142)와 중간 배출구(1143) 및 배출 밸브(1144)를 포함한다.
중간저장탱크(1141)는 변기 본체(111)의 하측 즉,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된다. 중간저장탱크(1141)는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되는 용변을 저장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특히, 중간저장탱크(1141)는 내부의 용변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각 연결부위는 기밀될 수 있다. 수위센서(1142)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상부에 설치된다. 수위센서(1142)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에 저장되는 용변의 수위가 만수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중간 배출구(1143)는 중간저장탱크(1141)의 하부에 형성된다. 중간 배출구(1143)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이 용변저장탱크(120)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중간 배출구(1143) 에는 용변저장탱크(120)를 연결하는 배관이 설치되며,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은 배관을 통해 용변저장탱크(120)로 배출된다. 배출 밸브(1144)는 중간 배출구(1143) 에 설치되며 중간 배출구(1143)를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배출 밸브(1144)는 수위센서(1142)에 의해 중간저장탱크(1141)가 만수로 감지되면 후술하는 제어부(115)에 의해 중간 배출구(1143)를 개방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중간저장 유닛(114)의 동작을 살펴보면, 배출 유닛(112)을 통하여 배출구(1112)에서 배출된 용변과 물은 중간저장탱크(1141)에 저장된다. 중간저장탱크(1141)내의 용변이 만수 상태로 되어 수위센서(1142)가 이를 감지하면 제어부(115)에 감지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15)는 중간 배출구(1143)가 개방되도록 배출 밸브(1144)를 제어한다. 배출 밸브(1144)가 개방되면 중간저장탱크(1141)에 저장된 용변과 물이 중간 배출구(1143)를 통하여 용변저장탱크(120)로 배출된다.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과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제어부(115)는 중간 배출구(1143)를 폐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배출 밸브(1144)가 중간 배출구(1112)를 폐쇄하기 위한 다양한 제어 방법이 제안된다. 즉, 제어부(115)는 배출 밸브(1144)를 일정 시간 동안 중간 배출구(1143)에서 개방시킨 후 자동으로 중간 배출구(1143)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하부에 하부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중간저장탱크(1141)내의 용변과 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5)에 의해 배출 밸브(1144)가 중간 배출구(1112)를 폐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간저장 유닛(114)은 배기 파이프(1145)와 배기 펌프(1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 파이프(1145)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중간저장탱크(1141)에 설치된다. 배기 펌프(1146)는 배기 파이프(1145)에 설치되어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악취를 배기 파이프(114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배기 펌프(1146)는 배기 파이프(1145)를 흡입하여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115)는 배출 유닛(112)과 물 공급유닛(113) 및 중간저장 유닛(114)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15)는 덮개(1121)가 배출구(1112)를 개폐 가능하도록 배출 유닛(112)의 구동부(1122)를 제어한다. 즉, 수용부(1111) 내부의 용변이 배출구(1112)를 통하여 중간저장탱크(1141)로 배출되도록 덮개(112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유입구(1131)를 통하여 수용부(1111)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 밸브(113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5)는 급수 밸브(1132)의 물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5)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이 만수 될 경우 이를 감지한 수위센서(114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중간 배출구(1112)를 개방하도록 배출 밸브(114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15)는 배출 유닛(112)과 물 공급유닛(113) 및 중간저장 유닛(114)의 작동을 제어하며, 특히, 배출 유닛(112)과 물 공급유닛(113) 및 중간저장 유닛(114)의 작동을 한번에 제어할 수도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조작버튼(116)은 수용부(1111)에 임시 저장된 용변과 물을 중간저장탱크(1141)로 배출하도록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제어부(115)로 전달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작버튼(116)을 조작하면 제어부(115)는 배출 유닛(112)의 덮개(1121)가 배출구(1112)를 개방하도록 구동부(1122)를 작동시킨다. 이때, 수용부(1111)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물 공급유닛(113)의 급수 밸브(1132)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수용부(1111) 내의 물과 용변은 배출구(1112)를 통해 중간저장탱크(114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조작버튼(116)은, 배출 유닛(112)과 물 공급유닛(113)을 한번의 조작으로 모두 이루어지도록 명령할 수도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명령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기 본체(111)의 수용부(1111)에 연결 설치되어 수용부(1111) 내의 용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 유닛(117)이 더 구비된다. 악취제거 유닛(117)은 흡입관(1171)과 송풍팬(1172)을 포함한다. 흡입관(1171)은 변기 본체(111)의 수용부(1111)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송풍팬(1172)은 흡입관(1171)을 통하여 수용부(111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흡입관(1171)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 유닛(117)은, 사용자가 조작 버튼(116)을 조작하여 용변 중이거나 또는 용변을 마친 후 수용부(1111)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배출한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절수형 변기(11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수용부(1111) 내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을 배출하기 위해 조작버튼(116)을 누른다. 제어부(115)는 조작버튼(116)의 배출 명령 신호를 전달받아 배출 유닛(112)의 덮개(1121)가 배출구(1112)를 개방시킨다. 이때, 구동부(1122)는 덮개(1121)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구(1112)가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5)는 물 공급유닛(113)의 유입구(1131)를 통해 수용부(1111)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급수 밸브(1132)를 개방한다. 이때, 수용부(1111) 내부의 용변으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악취제거 유닛(117)의 송풍팬(1172)을 가동할 수 있다. 송풍팬(1172)은 흡입관(1171)을 통해 수용부(1111) 내의 악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에서, 수용부(1111) 내의 용변은 대략 1리터 에서 5리터의 적은 량의 물로 용변을 배출하여 물의 사용량을 절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방법에 비해 1/10 이하의 물만을 사용하여 고농도의 용변을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는 중간저장탱크(1141) 내부의 공간에서 만수된 용변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이 만수상태로 되면 수위센서(114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5)로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115)는 중간 배출구(1112)가 개방되도록 배출 밸브(1144)를 작동시킨다. 이때,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은 중간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된다. 중간저장탱크(1141)에 저장된 용변은 만수 상태에서 배출 밸브(1144)를 개방할 경우, 중간저장탱크(1141) 내의 용변은 자중에 의해 자체 수압이 발생되어 용변저장탱크(120)로 배출된다.

Claims (10)

  1.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용변을 배출하며, 배출시 물의 사용량을 절수하여 고농도의 용변을 배출하는 절수형 변기;
    상기 절수형 변기에 연결되어 상기 절수형 변기에서 배출된 용변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지하에 매설되는 용변저장탱크;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의 용변의 발효 속도를 높이도록 상기 용변저장탱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의 용변이 발효되어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메탄가스 공급부; 및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저장탱크;를 포함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변기는,
    1회 배출시 약 1리터 내지 5리터의 양의 물을 사용하여 용변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수형 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용변이 임시로 저장되는 수용부와 상기 용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변기 본체와,
    상기 수용부에 모인 용변을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 유닛과,
    상기 배출 유닛에 의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변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유닛과,
    상기 변기 본체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용변과 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도록 상기 변기 본체의 하측에 매립되는 중간저장탱크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중간저장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건물의 정화조로 통하는 배관과 연결되는 중간 배출구와,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상기 중간저장탱크가 만수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중간 배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저장된 용변과 물을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구비하는 중간저장 유닛과,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와 중간저장 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및
    상기 수용부에 임시 저장된 용변과 물을 상기 중간저장 유닛의 중간저장탱크로 배출하도록 상기 배출 유닛과 물 공급유닛을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배출 명령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4. 제3항에 있어서,
    중간저장 유닛은,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악취를 배기하기 위해 상기 중간저장탱크에 설치되는 배기 파이프와,
    상기 배기 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저장탱크 내의 악취를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용변저장탱크에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가열된 물을 공급받아 상기 용변저장탱크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용변저장탱크에 설치되는 히팅 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가스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메탄가스를 전달받아 이를 연소시켜 상기 히팅 배관에 온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저장탱크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입력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용변저장탱크의 내부 압력이 일정압력 이상이면 개방되는 가스배출밸브;를 포함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가스 공급부는,
    상기 용변저장탱크내의 메탄가스를 흡입하여 가스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공급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용변저장탱크에 유입되는 용변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PCT/KR2014/005595 2013-06-26 2014-06-24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WO201420899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6844.8A CN105473516B (zh) 2013-06-26 2014-06-24 用于产生甲烷气体的化粪池
US14/979,595 US9969636B2 (en) 2013-06-26 2015-12-28 Septic tank for generating methane ga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517 2013-06-26
KR1020130073517A KR101333786B1 (ko) 2013-06-26 2013-06-26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979,595 Continuation US9969636B2 (en) 2013-06-26 2015-12-28 Septic tank for generating methane ga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991A1 true WO2014208991A1 (ko) 2014-12-31

Family

ID=4985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595 WO2014208991A1 (ko) 2013-06-26 2014-06-24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9636B2 (ko)
KR (1) KR101333786B1 (ko)
CN (1) CN105473516B (ko)
WO (1) WO20142089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9684A (zh) * 2020-06-29 2020-09-29 保定广釜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无害化卫生厕所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50301B (zh) * 2013-12-03 2016-08-17 李淑兰 楼房卫生间粪便免水冲资源无害化综合处理装置
CN107021601A (zh) * 2017-06-09 2017-08-08 重庆城池通环保科技有限公司 化粪池排气装置
FR3077977B1 (fr) * 2018-02-21 2020-03-06 Sanisphere Installation pour des toilettes seches installees dans un immeuble
CN112047591A (zh) * 2020-09-23 2020-12-08 赣州众顺环保容器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无害化处理功能的化粪池
CN112321105A (zh) * 2020-12-18 2021-02-05 湟源凯瑞畜牧业开发有限公司 一种微生物可降解环保厕所
CN113152621B (zh) * 2021-04-19 2022-11-18 锦旭建设有限公司 一种安全市政排污系统及其运行方法
CN113737934B (zh) * 2021-08-13 2022-07-19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易于观测的污水池盖板结构及其观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83A (ko) * 1999-12-03 2001-07-02 이문희 바이오가스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73960B1 (ko) * 2004-02-16 2006-04-27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100770956B1 (ko) * 2006-12-20 2007-10-26 윤서복 자연 발효 소멸식 배설물 처리 장치
KR20120083538A (ko) * 2011-01-17 2012-07-25 홍재덕 인분가스의 의한 무안 애너지 발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6196A (en) * 1968-09-23 1970-10-27 Gen Am Transport Waste treatment and storage system
IL120583A (en) * 1997-04-01 2000-07-16 Berkman Eliezer System for purification of domestic household effluent
JP3818970B2 (ja) * 2003-02-07 2006-09-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ガスホルダ一体型メタン発酵槽における加温及び撹拌方式
KR100553087B1 (ko) * 2003-07-15 2006-02-20 미래산전 주식회사 이동식변소의 분뇨진공건조 소각장치
CN200972200Y (zh) * 2006-11-21 2007-11-07 刘建光 家庭再生能源合成恒温系统
CN102050558A (zh) * 2009-11-02 2011-05-11 王建平 太阳能恒温沼气发生器
KR100965184B1 (ko) 2009-12-08 2010-06-24 박덕회 메탄가스 수집 기능을 가진 분뇨 정화조
US8927265B2 (en) * 2011-04-13 2015-01-06 Brigham Young University Human waste treatment system and method
ITVR20110095A1 (it) * 2011-05-06 2012-11-07 Agricola Rofin S R L Soc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biogas.
CN102284470A (zh) * 2011-08-05 2011-12-21 乔华兵 城镇有机生活垃圾生态循环系统
US9643867B2 (en) * 2013-06-24 2017-05-09 Biovessel Technologies Inc. Waste processing system with anaerobic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602232B1 (ko) * 2013-07-23 2016-03-1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이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및 발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83A (ko) * 1999-12-03 2001-07-02 이문희 바이오가스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73960B1 (ko) * 2004-02-16 2006-04-27 최흥문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100770956B1 (ko) * 2006-12-20 2007-10-26 윤서복 자연 발효 소멸식 배설물 처리 장치
KR20120083538A (ko) * 2011-01-17 2012-07-25 홍재덕 인분가스의 의한 무안 애너지 발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19684A (zh) * 2020-06-29 2020-09-29 保定广釜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无害化卫生厕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73516A (zh) 2016-04-06
US20160107910A1 (en) 2016-04-21
CN105473516B (zh) 2017-09-01
US9969636B2 (en) 2018-05-15
KR101333786B1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8991A1 (ko) 메탄가스 발생용 정화조
CN103850447B (zh) 一种模块化生态环保房
CN106214046A (zh) 公共卫生间免水冲粪尿分离收集及处理系统
CN108756302A (zh) 一种排放达标的太阳能生态厕所
CN202447362U (zh) 城市居民单元楼有机垃圾高效发酵处理装置
WO2017222282A1 (ko) 발효 소멸 재래식 화장실
CN205557735U (zh) 车载移动环保厕所
CN106223443A (zh) 一种排泄物资源化收集利用装置
CN109779324A (zh) 一种光伏强化堆肥无水厕所及堆肥方法
CN215440260U (zh) 一种社区厨余垃圾处理发酵装置
CN210765054U (zh) 粪便处理装置和粪便处理系统
CN206548429U (zh) 公共卫生间免水冲粪尿分离收集及处理系统
CN108358679A (zh) 一种农村生活垃圾资源化阳光堆肥房工艺
CN108213047A (zh) 一种智能垃圾收集处理储存系统
CN206408706U (zh) 一种车载移动环保厕所
CN211597853U (zh) 可广泛应用的粪及餐厨垃圾自消纳厕所
CN109095959B (zh) 阳光堆肥房的无动力补气系统
CN107581962A (zh) 一种环保方便袋
FI128612B (fi) Suljettu kuivakäymäläjärjestelmä ja menetelmä käymäläjätteen käsittelemiseksi
KR101631117B1 (ko) 오수 분리장치
CN210563595U (zh) 一种适用于无管网地区使用的环保生态厕所
CN207828316U (zh) 一种处理厨余垃圾的沼气装置
CN211243128U (zh) 一种固液分离防沾污厕具
CN210124704U (zh) 一种生物降解零排放智能环保公厕
WO2020067853A1 (ko) 폐자원 스마트리사이클링 통합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46844.8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66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1666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