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8980A -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8980A
KR20220158980A KR1020210066669A KR20210066669A KR20220158980A KR 20220158980 A KR20220158980 A KR 20220158980A KR 1020210066669 A KR1020210066669 A KR 1020210066669A KR 20210066669 A KR20210066669 A KR 20210066669A KR 20220158980 A KR20220158980 A KR 20220158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ntrol device
flow control
rainwate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997B1 (ko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210066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9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를 임시 저류조로 사용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심시간과 같이 하수량이 급증하는 시간대에는 저류를 하고, 다른 시간대에 우수토실로 배출하여 하수처리장에서의 처리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우수토실(4)에 삽입되어 차집관로(3)로 연통된 우수토실 박스(10)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거(2)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구(20)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 유입구(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문(30)과;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강우시 하수관거(2)에서 증가된 유량에 의해 폐쇄되는 회전 개폐판(40)과; 상기 하수관거(2)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50)와; 상기 수위 센서(50)의 감지신호에 의해 하수관거(2)의 수위가 설정 높이로 상승할 경우 상기 수문(30)을 폐쇄시키고, 하수관거(2)의 수위가 설정 높이로 하강할 경우 또는 타이머에 의해 특정 시간대에 상기 수문(30)을 개방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Water storage type flow control device for storm overflow chamber}
본 발명은 하수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별도의 저류조를 만들지 않고 하수관거 자체를 임시 저류조로 활용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심시간과 같이 하수량이 급증하는 시간대에는 저류를 하고, 새벽과 같이 한가한 시간대에 우수토실로 배출하여 하수처리장에서의 하수처리부하를 분산 또는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는 생활이나 사업에 기인하거나 수반되는 오수(생활하수)와 자연강우에 의한 우수(빗물)를 합한 것을 말하며, 그 배출방법에는 배제형식에 따라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거에 의하여 배제하는 분류식과, 오수와 우수를 동일 하수관거로 배출하는 합류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도시의 경우에는 오수와 우수를 별개의 관거로 구성하는 분류식 관거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하수를 직접 하수처리장으로 보내기 때문에 우수토실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나, 기존의 많은 도시에서는 오수와 우수를 하나의 하수관거를 통하여 배수하는 합류식 하수관거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우천시 하수시설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우수토실의 사용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를 포함하여 여러 종류의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우수토실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판이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이 대체로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닫히도록 되어 있어 강우시 증가된 하수중의 일부가 개폐판의 하부로 유입되어 우수토실로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서 정확한 유량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 특허문헌 2에서는 호형 개폐판을 개폐시키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어 제조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개폐동작의 신뢰성이 저하되거나 이물질 등의 간섭으로 인한 동작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았고, 장치의 유지보수가 까다로운 등의 문제점이 있어서 실용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상술한 개폐판에서의 누수발생 시 우수토실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하수처리장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하수처리장에서는 강우시 여러 우수소실로부터 우수가 유입됨으로 인해 처리부하의 증가 및 하수처리설비의 운용상 지장을 초래하게 됨으로써 우수토실의 유량조절장치 설치업체 및 개발업체에게 우수 유입을 차단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을 시간대별로 측정해보면 점심 시간대에 피크를 이루고 새벽 시간대에 최저량을 이루고 있으므로 하수처리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바, 특허문헌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유량조절을 위한 저류조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9192호(2012.02.15.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21721호(2013.01.07.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039196호(2011.05.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관거 자체를 임시 저류조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을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수처리장에서의 처리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말단에 하수처리장으로 차집관로가 연결된 우수토실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토실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에서 유입되는 유량의 변화에 의해 개폐되면서 하수처리장으로 공급되는 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하수 유량조절장치로,
상기 하수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우수토실에 삽입되어 차집관로로 연통된 우수토실 박스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의 전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거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구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문과;
상기 우수토실 박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강우시 하수관거에서 증가된 유량에 의해 폐쇄되는 회전 개폐판과;
상기 하수관거에 설치되어 우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상기 수위 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수위가 설정 높이로 상승할 경우 상기 수문을 폐쇄시키고, 수위가 설정 높이로 하강할 경우 또는 타이머에 의해 특정 시간대에 상기 수문을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토실 박스는 그 전면 또는 측면이 하수관거 말단을 소정 높이로 가로막는 저류벽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저류벽을 우수토실 박스의 전면 또는 측면 상부에 다단으로 부착하여 하수관거가 저류기능을 갖도록 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우수토실 박스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된 하수 유입구가 개방되어 하수관거의 하수가 우수토실로 차집되어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지게 되고, 강우와 같이 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에서 하수관거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수위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하수 유입구를 차단시킴으로써 하수가 하수관거에 저류되도록 하되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우수토실 상부의 회전 개폐판에 의해 차집이 이루어지게 되며, 유량이 더 증가하게 되면 회전 개폐판이 닫혀 우수토실이 완전히 폐쇄되어 우수를 전부 하천으로 방류하게 되고, 유량이 감소하게 되면 다시 회전 개폐판이 열리면서 차집이 이루어지고, 유량이 더 줄어들게 되면 수위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하수 유입구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평상시의 하수 차집으로 전환되게 되는바, 하수량이 적은 평상시에는 정상적인 차집이 이루어지고 점심 시간대와 같이 하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상황에서는 하수 유입구가 폐쇄되어 하수관거가 저류조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하수관거에 저류된 하수는 새벽 시간대와 같이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가 적은 시간에 수문을 개방하여 차집할 수 있으므로 하수처리장에서의 처리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수 유량조절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1)는 하수관거(2)의 말단에 하수처리장으로 차집관로(3)가 연결된 우수토실(4)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토실(4)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2)에서 유입되는 유량의 변화에 의해 개폐되면서 하수처리장으로 공급되는 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하수 유량조절장치(1)는 상기 우수토실(4)에 삽입되어 차집관로(3)로 연통된 우수토실 박스(10)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거(2)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구(20)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 유입구(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문(30)과;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강우시 하수관거(2)에서 증가된 유량에 의해 폐쇄되는 회전 개폐판(40)과; 상기 하수관거(2)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50)와; 상기 수위 센서(50)의 감지신호에 의해 하수관거(2)의 수위가 설정 높이로 상승할 경우 상기 수문(30)을 폐쇄시키고, 하수관거(2)의 수위가 설정 높이로 하강할 경우 또는 타이머에 의해 특정 시간대에 상기 수문(30)을 개방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우수토실 박스(10)는 별도의 저류벽(70)을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 상부에 부착하여 하수관거(2)가 저류기능을 갖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에 하수 유입구(20)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측면에 하수 유입구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우수토실 박스(10)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제작되어 피트형 우수토실(4) 내부에 설치되는데, 이 우수토실 박스(10)에 하수 유입구(20), 수문(30), 회전 개폐판(40) 및 저류벽(70)이 조립되어 한꺼번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위 센서(50)와 제어부(60)만은 별도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60)는 우수토실(4)의 상부 지상에 설치되며, 원격지의 하수처리장 및 중앙 제어실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수문(30)을 개폐시키기 위한 압축공기 발생기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용전원이나 태양광 패널에서 발생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수 유입구(20)에는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량 조절판(21)이 설치되어 있어서 우수토실 박스(10)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유량을 가 하수관거의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개수는 좌우 2개로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수로 제작할 수도 있고, 3개 이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위 센서(50)의 감지 수위는 저류벽(70)이 형성하는 최대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하수관거(2)의 저류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선에서 가능한 높게 설치하면 되며, 단일의 센서만을 설치하는 것보다는 2개 이상 복수로 설치하여 2개의 수위 센서가 모두 수위를 감지한 경우에만 에어 백을 팽창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의 수위 센서에 의해 다양한 현장 상황에 맞도록 단계별 저류 수위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회전 개폐판(40)의 폐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300)가 경사판(18) 측에 설치되어 있고, 이 근접 센서(S)의 감지에 의해 회전 개폐판(40)이 폐쇄된 상태를 제어부(60)에 전송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수 유입구(20)는 우수토실 박스(10) 내부로 수평 연장되고, 상기 수문(30)은 연장된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상부에 중간부가 힌지결합된 회동레버(32)의 일측에 접촉되어 회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레버(32)의 타측에는 에어 백(34)이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팽창시 상기 회동레버(32)의 타측을 들어올리도록 배치되어 있어 평상시 즉, 에어 백(34)이 수축된 상태에서 회동레버(32)는 도면상에서 좌측이 들린 상태이므로 수문(30)이 하수 유입구(20)와 이격되어 하수 유입구(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에어 백(400) 팽창시에는 회동레버(32)가 도면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수문(30)이 하수 유입구(20)에 밀착되어 수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 백(34)은 도시 생략된 압축공기 공급기에서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팽창되고 압축공기의 공급이 중단되는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말단은 하향 경사지도록 사선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수문(30)은 하수 유입구(2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수문(100)이 대체로 수직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2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레버(32)는 자체의 무게 균형에 의해 일측 즉, 수문(100) 쪽이 들린 상태이므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에어 백(34)이 팽창하게 되면 회동레버(32)의 타측이 들리고, 수문(30) 쪽은 내려지게 되면서 수문(30)이 하수 유입구(20) 쪽으로 밀리게 되면서 하수 유입구(20)에 밀착되면서 수밀 상태를 유지하도록 폐쇄하게 되는데, 상기 하수 유입구(20)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패킹(22)이 둘러진 상태이므로 완벽한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바닥(11)은 하수 유입구(20) 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를 이루어 슬러지의 적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우수토실(10) 상부에 설치된 하수 유입 안내판(14) 말단에는 협잡물이 우수토실(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1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저류벽(70)은 각 하수관거(2)의 위치나 하수 유입량에 따라서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데, 도면상에서는 3단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 외측에는 하수 유입구(20)로 유입되는 하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주기 위한 스크린(8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크린(80)은 측면에서 볼때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이 힌지(82)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제자리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스크린 부분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개폐판(40)은 평상시 무게추 겸 부력체(42)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하수의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하수관거(2) 측으로 흘러오는 하수는 우수토실(10) 전면(12)의 개방된 하수 유입구(20)를 통해 우수토실(10) 내부로 유입되어 차집관거(3)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차집될 수 있게 되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강우에 의해 빗물유입이 시작되어 하수관거(2)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유출량보다 유입량이 커지게 되면서 하수관거(2)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하수 유입구(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위가 점차로 상승된다.
그 후 도 4의 (c)에서와 같이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수위 센서(50)가 소정 높이 이상이 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60)는 에어백(34)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도 4의 (d)에서와 같이 수문(30)을 동작시켜 하수 유입구(20)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하수 유입구(20)가 폐쇄된 후 하수관거(2)의 수위가 증가하게 되면 증가된 유량은 도 4의 (e)에서와 같이 저류벽(70)을 넘게 되면서 열려있는 회전 개폐판(40)에 의해 우수토실(10)로 유입되어 하수처리장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도 4의 (f)에서와 같이 회전 개폐판(40)이 우수의 증가된 유량과 유속에 의해 자중을 이기면서 닫히게 되어 우수토실(10)이 완전히 폐쇄되고 우수는 하천으로 방류되게 된다.
한편, 하수관거(2)로 유입되는 유량이 감소하게 되면 다시 도 4의 (e)와 같은 상태로 전환되어 회전 개폐판(40)이 열리면서 차집이 이루어지게 되고, 수위 센서(50)에서의 감지신호가 온(on) 상태이고 근접 센서(S)가 상기 회전 개폐판(40)이 열린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있을 경우에는 타이머의 설정에 따라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수문(30)이 동작하여 하수 유입구(20)가 개방되면서 도 4의 (b) 및 (a)와 같이 평상시의 하수 차집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위의 설명에서는 강우에 의한 급격한 유량 증가시의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수관거(2)의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점심 시간대에도 위에서와 같이 하수관거(2)가 저류조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문 즉, 하수 유입구(20)는 하수량이 적은 새벽 시간대에 개방이 되도록 제어부(60)에서 타이머를 설정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하수 처리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구조적으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의 유량조절장치(1)에서는 별도의 저류벽(70)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대신 우수토실 박스(10) 자체를 피트 형으로 이루어진 우수토실(4)에서 소정 높이 들어올려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이 하수관거(2)를 폐쇄하는 저류벽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유량조절장치의 동작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는 하수처리장의 처리용량이 부족한 상황 발생시에 하수를 하수관거에 일정량 저류시켜 하수처리장의 처리부하를 완화시킬 수 있는바, 별도의 저류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설치 비용에 대한 부담이 적고, 저류시설에 저류했던 하수를 펌핑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비용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등이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에 기재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2 : 하수관거
3 : 차집관거
4 : 우수토실(피트)
10 : 우수토실 박스
11 : 바닥
12 : 전면
14 : 유입 안내판
16 : 스크린
18 : 경사판
20 : 하수 유입구
21 : 유입량 조절판
22 : 패킹
30 : 수문
32 : 회동레버
34 : 에어 백
40 : 회전 개폐판
50 : 수위 센서
60 : 제어부
70 : 저류벽
80 : 스크린

Claims (7)

  1. 하수관거(2)의 말단에 하수처리장으로 차집관로(3)가 연결된 우수토실(4)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토실(4)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관거(2)에서 유입되는 유량의 변화에 의해 개폐되면서 하수처리장으로 공급되는 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하수 유량조절장치(1)로,
    상기 하수 유량조절장치(1)는 상기 우수토실(4)에 삽입되어 차집관로(3)로 연통된 우수토실 박스(10)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수관거(2)로부터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 유입구(20)와;
    상기 우수토실 박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수 유입구(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수문(30)과;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평상시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강우시 하수관거(2)에서 증가된 유량에 의해 폐쇄되는 회전 개폐판(40)과;
    상기 하수관거(2)에 설치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50)와;
    상기 수위 센서(50)의 감지신호에 의해 하수관거(2)의 수위가 설정 높이로 상승할 경우 상기 수문(30)을 폐쇄시키고, 하수관거(2)의 수위가 설정 높이로 하강할 경우 또는 타이머에 의해 특정 시간대에 상기 수문(30)을 개방시키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토실 박스(10)는 그 전면(12) 또는 측면이 하수관거 말단을 소정 높이로 가로막는 저류벽을 형성하거나 별도의 저류벽(70)을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 또는 측면 상부에 부착하여 하수관거(2)가 저류기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 유입구(20)는 우수토실 박스(10) 내부로 수평 연장되고, 상기 수문(30)은 연장된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상부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상부에 중간부가 힌지결합된 회동레버(32)의 일측에 접촉되어 회동되며, 상기 회동레버(32)의 타측에는 에어 백(34)이 상기 하수 유입구(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팽창시 상기 회동레버(32)의 타측을 들어올리도록 배치되어 있어 평상시 에어 백(34)이 수축된 상태에서 회동레버(32)의 일측이 들려 수문(30)이 하수 유입구(20)와 이격되어 하수 유입구(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에어 백(400) 팽창시에는 회동레버(32)가 회동되면서 수문(30)이 하수 유입구(20)에 밀착되어 수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수 유입구(20)에는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입량 조절판(2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바닥(11)은 하수 유입구(20) 쪽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를 이루어 슬러지의 적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류벽(70)은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박스(10)의 전면(12) 또는 측면 외측에는 하수 유입구(20)로 유입되는 하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주기 위한 스크린(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80)은 상단이 힌지(82)에 의해 고정되어 제자리에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KR1020210066669A 2021-05-25 2021-05-25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KR102653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69A KR102653997B1 (ko) 2021-05-25 2021-05-25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69A KR102653997B1 (ko) 2021-05-25 2021-05-25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80A true KR20220158980A (ko) 2022-12-02
KR102653997B1 KR102653997B1 (ko) 2024-04-02

Family

ID=84417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69A KR102653997B1 (ko) 2021-05-25 2021-05-25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1471A (zh) * 2023-09-21 2023-10-31 河南长锦建设工程有限公司辉县市分公司 雨污智能分流阀
CN117027135A (zh) * 2023-07-18 2023-11-10 珠海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雨污收集系统及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75B1 (ko) * 2006-06-02 2007-01-24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KR100684923B1 (ko) * 2006-09-18 2007-02-2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하수용 우수토실
KR101039196B1 (ko) 2011-04-08 2011-06-03 안중록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119192B1 (ko) 2009-04-30 2012-03-21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21721B1 (ko) 2010-02-10 2013-01-11 진두남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95928B1 (ko) * 2011-10-25 2013-08-13 박지운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390111B1 (ko) *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KR101724155B1 (ko) * 2016-07-26 2017-04-18 (주) 일신네이쳐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KR20210041753A (ko) * 2019-10-08 2021-04-16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275B1 (ko) * 2006-06-02 2007-01-24 (주) 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KR100684923B1 (ko) * 2006-09-18 2007-02-2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하수용 우수토실
KR101119192B1 (ko) 2009-04-30 2012-03-21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21721B1 (ko) 2010-02-10 2013-01-11 진두남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039196B1 (ko) 2011-04-08 2011-06-03 안중록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1295928B1 (ko) * 2011-10-25 2013-08-13 박지운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390111B1 (ko) *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KR101724155B1 (ko) * 2016-07-26 2017-04-18 (주) 일신네이쳐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KR20210041753A (ko) * 2019-10-08 2021-04-16 (주)한국하수정보시스템 하수관거 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7135A (zh) * 2023-07-18 2023-11-10 珠海市规划设计研究院 一种雨污收集系统及方法
CN116971471A (zh) * 2023-09-21 2023-10-31 河南长锦建设工程有限公司辉县市分公司 雨污智能分流阀
CN116971471B (zh) * 2023-09-21 2023-12-12 河南长锦建设工程有限公司辉县市分公司 雨污智能分流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997B1 (ko)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8980A (ko)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KR101553770B1 (ko)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US20100263295A1 (en) Water collection system
KR101390111B1 (ko)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US10837165B2 (en) System to prevent basement flooding from sewer backup
KR101877203B1 (ko) 동력 및 무동력 겸용 우수토실 개폐장치
CN111021502A (zh) 一种智慧截流井
KR101920773B1 (ko) 우수토실 일체형 하수 측정장치
KR100856388B1 (ko) 지하수 배수 구조물
KR100447049B1 (ko) 우수토실 제어 시스템
CN209227716U (zh) 一种自控防倒灌雨污分流装置
KR101973393B1 (ko)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KR20150043160A (ko) 유입유량조절장치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516701B1 (ko) 배수장의 배수 처리장치
EP2781666B1 (en) A method for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KR101241459B1 (ko) 확장 저류조를 갖는 초기우수 보관 처리시스템
KR102153821B1 (ko)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WO2015173550A1 (en) Hydro-powered water distribution system
KR101807225B1 (ko) 다중구조 하천수 유입방지장치
KR102645553B1 (ko) 무누수 하수 유량조절장치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20120025065A (ko) 지하수 감압 배수시스템
KR20210013515A (ko)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CA3027294C (en) System to prevent basement flooding from sewer back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