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756A - 자동차의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756A
KR20200073756A KR1020180162292A KR20180162292A KR20200073756A KR 20200073756 A KR20200073756 A KR 20200073756A KR 1020180162292 A KR1020180162292 A KR 1020180162292A KR 20180162292 A KR20180162292 A KR 20180162292A KR 20200073756 A KR20200073756 A KR 20200073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vehicle
steering column
plat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16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3756A/ko
Priority to CN201980083142.XA priority patent/CN113195335B/zh
Priority to DE112019006212.3T priority patent/DE112019006212T5/de
Priority to PCT/KR2019/017590 priority patent/WO2020122633A1/ko
Priority to US17/413,511 priority patent/US11891109B2/en
Publication of KR20200073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은, 제 1 기어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어퍼컬럼, 어퍼컬럼의 외주면에 지지되되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슬릿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조절볼트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이 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이 슬릿의 양측에 구비되는 로워컬럼, 중공으로 형성되어 조절볼트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돌출캠이 형성되는 튜브부재, 제 1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기어가 형성되는 기어부재, 디스턴스 브라켓에 결합되어 기어부재를 덮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와 기어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어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 시 조향컬럼을 고정하는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더라도 록킹과 언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있으며,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최소, 최대 스트로크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텔레스코프 작동 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컬럼{Steering Column}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 시 조향컬럼을 고정하는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더라도 록킹과 언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있으며,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최소, 최대 스트로크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텔레스코프 작동 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컬럼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및 틸트(Tilt) 기능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및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충격 시 운전자의 상체가 조향휠에 부딪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조향컬럼과 조향축이 축방향으로 수축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조향컬럼에서는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및 틸트 작동을 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레버를 회전시켜 텔레스코프 기어부 및 틸트 기어부 각각의 고정기어에서 가동기어를 언록킹시키고, 원하는 돌출 정도 및 기울임 각도를 조절한 후, 다시 레버를 회전시켜 가동기어가 고정기어와 맞물리도록 록킹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운전자가 레버를 회전시키더라도 록킹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과도한 힘으로 레버를 작동시킬 경우 레버 또는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기어치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중 차량 충돌이 발생한 경우, 조향컬럼이 고정되지 않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여 충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 시 조향컬럼을 고정하는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더라도 록킹과 언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있으며,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최소, 최대 스트로크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텔레스코프 작동 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 1 기어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어퍼컬럼, 어퍼컬럼의 외주면에 지지되되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슬릿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조절볼트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이 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이 슬릿의 양측에 구비되는 로워컬럼, 중공으로 형성되어 조절볼트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돌출캠이 형성되는 튜브부재, 제 1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기어가 형성되는 기어부재, 디스턴스 브라켓에 결합되어 기어부재를 덮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와 기어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어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 시 조향컬럼을 고정하는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더라도 록킹과 언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있으며,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최소, 최대 스트로크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텔레스코프 작동 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3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일부의 작동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3의 일부의 작동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6은 도 3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도 3의 일부의 작동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4는 도 3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 15는 도 3의 일부의 작동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100)은, 제 1 기어(111a)가 형성된 플레이트(111)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어퍼컬럼(102), 어퍼컬럼(102)의 외주면에 지지되되 플레이트(111)가 삽입되는 슬릿(131)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조절볼트(109)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133)이 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이 슬릿(131)의 양측에 구비되는 로워컬럼(103), 중공으로 형성되어 조절볼트(109)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돌출캠(124a)이 형성되는 튜브부재(124), 제 1 기어(111a)와 치합되는 제 2 기어(123a)가 형성되는 기어부재(123), 디스턴스 브라켓(132)에 결합되어 기어부재(123)를 덮는 고정부재(121), 고정부재(121)와 기어부재(123)의 사이에 구비되어 기어부재(123)를 가압하는 탄성부재(122)를 포함한다.
어퍼컬럼(102)과 로워컬럼(103)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어퍼컬럼(102)에는 조향축(101)이 삽입되고 로워컬럼(103)에는 어퍼컬럼(102)이 삽입되는데, 따라서 축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여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에 의해 텔레스코프 작동 및 컬랩스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어퍼컬럼(102)은 차체에 결합되는 마운팅 브라켓(104)과 결합되어 차량에 지지되게 되는데, 후단이 힌지부재(105)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단에 구비되는 틸트 기어부(107)에 의해 틸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와 틸트 기어부(107)는 운전자가 조절레버(108)를 조작하여 회전되는 조절볼트(109)의 회전에 의해 치합 또는 분리된다.
다시 말해, 텔레스코프 기어부(106)는 플레이트(111), 튜브부재(124), 기어부재(123), 고정부재(121) 및 탄성부재(122) 등을 포함하여 플레이트(111)의 제 1 기어(111a)와 기어부재(123)의 제 2 기어(123a)가 치합되거나 분리되며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틸트 기어부(107)는 고정기어(162), 가동기어(161) 등을 포함하여 고정기어(162)와 가동기어(161)가 치합되거나 분리되며 틸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와 틸트 기어부(107)는 기어치 간의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록킹과 언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어퍼컬럼(102)에는 제 1 기어(111a)가 형성된 플레이트(111)가 결합되는데, 즉 플레이트(111)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컬랩스 운동 시 플레이트(111)의 벤딩부(115)가 소성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플레이트(111)가 결합부재(113)에 의해 결합브라켓(112)에 결합되고 결합브라켓(112)이 어퍼컬럼(102)에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로워컬럼(103)에는 플레이트(111)가 삽입되는 슬릿(131)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즉 슬릿(131)은 어퍼컬럼(102)을 향하는 단부가 개구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어퍼컬럼(102)이 로워컬럼(103)에 삽입될 때 플레이트(111)가 슬릿(131)으로 삽입되게 된다.
텔레스코프 작동 및 컬랩스 운동 시 플레이트(111), 결합브라켓(112) 등이 슬릿(131)에서 슬라이딩되게 되므로, 슬릿(131)은 어퍼컬럼(102)의 스트로크를 고려하여 플레이트(111) 및 결합브라켓(112)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워컬럼(103)에는 조절볼트(109)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133)이 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이 슬릿(13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즉 디스턴스 브라켓(132)은 슬릿(13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는 것이다.
마운팅 브라켓(104)에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플레이트 브라켓(141)이 구비되는데, 플레이트 브라켓(141)에는 틸트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슬릿(142)이 구비된다.
조절레버(108)는 손잡이부(151)와 캠기어(152)를 포함하며, 조절볼트(109)는 일단부가 캠기어(152)와 결합되고 가이드슬릿(142)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타단부가 틸트 기어부(107)의 가동기어(161)와 결합된다.
조절볼트(109)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헤드부(109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너트(109b)가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조절레버(108) 측 단부에 헤드부(109a)가 구비되고 틸트 기어부(107) 측 단부에 너트(109b)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캠기어(152)는 손잡이부(151)와 함께 회전되는 제 1 캠(152a)과 제 1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가이드슬릿(14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 2 캠(152b)을 포함하는데, 제 1 캠(152a)과 제 2 캠(152b)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어 운전자가 손잡이부(151)를 조작함에 따라 회전되는 제 1 캠(152a)이 경사면을 타고올라 제 2 캠(152b)과 멀어지거나 또는 제 1 캠(152a)이 경사면을 타고내려가 제 2 캠(152b)과 가까워지게 되어 있다.
조절볼트(109)는 헤드부(109a) 측 단부에 돌기(421)가 돌출형성되고 제 1 캠(152a)에는 돌기(42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조절볼트(109)는 제 1 캠(152a)과 함께 회전 및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데, 즉 제 1 캠(152a)이 제 2 캠(152b)과 가까워지면 조절볼트(109)가 일측으로 회전 및 전진되며 플레이트(111)와 기어부재(123) 및 가동기어(161)와 고정기어(162)가 분리되고, 제 1 캠(152a)이 제 2 캠(152b)에서 멀어지면 조절볼트(109)가 타측으로 회전 및 후퇴되며 플레이트(111)와 기어부재(123) 및 가동기어(161)와 고정기어(162)가 치합되는 것이다.
이 때 가동기어(161)와 디스턴스 브라켓(132) 사이에 스프링(163)이 구비되어 축방향의 탄성력을 제공함에 따라 제 1 캠(152a)과 제 2 캠(152b)이 이격되지 않고 서로 지지되게 할 수 있는데, 따라서 운전자가 조절레버(108)를 언록킹 방향으로 조작할 때 조절볼트(109)가 원활히 전진되게 하고 또한 록킹 방향으로 조작할 때 제 1 캠(152a)과 제 2 캠(152b)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운전자의 조절레버(108)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우선, 틸트 기어부(107)의 작동을 설명하자면, 고정기어(162)에는 플레이트 브라켓(141)의 가이드슬릿(142)과 연통되는 가이드홀과 가이드홀의 양측에 형성되는 고정기어치가 구비되며, 가동기어(161)에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 2 가이드돌기와 가동기어치가 형성된다.
즉, 고정기어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며 가동기어치는 서로 마주보며 내측을 향하게 구비되는데, 조절볼트(109)가 전진함에 따라 스프링(163)이 가동기어(161)를 디스턴스 브라켓(132)에서 멀어지게 지지하여 고정기어치와 가동기어치가 분리되고, 조절볼트(109)가 후퇴함에 따라 너트(109b)가 고정기어(162)를 축방향으로 지지하여 고정기어치와 가동기어치가 치합되게 된다.
이 때, 플레이트 브라켓(141)의 고정기어(162)가 결합되는 면에는 돌출면(143)이 형성되는데, 고정기어(162)는 고정기어치가 돌출면(143)에서 외측으로 벗어나게 구비됨으로써 운전자가 조절레버(108)를 록킹 방향으로 조작할 때 고정기어치와 가동기어치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더라도 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기어치와 가동기어치의 산과 산이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볼트(109)가 후퇴되더라도, 가동기어치가 고정기어치를 축방향으로 가압하며 돌출면(143)에서 외측으로 벗어나게 구비되는 고정기어(162)의 양측이 벤딩되므로 조절볼트(109)의 후퇴가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조절레버(108)가 다시 언록킹 방향으로 조작될 때에는 고정기어(162)의 벤딩된 양측이 복원되게 되고, 그 후 틸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또한, 고정기어(162)와 가동기어(161)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충격하중이 전달되면 고정기어(162)의 벤딩된 양측이 복원되며 고정기어(162)와 가동기어(161)의 치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의 작동을 설명하자면, 기어부재(123), 고정부재(121) 및 탄성부재(122)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의 사이에 구비되는데, 고정부재(121)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에 고정되며 탄성부재(122)는 기어부재(123)와 고정부재(121) 사이에 구비된다. 도면 상에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에 나사결합부(134)가 형성되고 고정부재(121)가 나사결합부(134)에 볼트(125)를 매개로 결합되는 일례로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기어부재(123)는 튜브부재(124)의 돌출캠(124a)에 지지되어 튜브부재(12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며, 탄성부재(122)에는 제 1 내지 제 3 지지부(221,222,223) 등이 구비되어 고정부재(121)에 결합되고 기어부재(123)에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122)는 기어부재(123)를 고정부재(121)에서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데, 조절볼트(109)가 일측으로 회전되면 돌출캠(124a)이 고정부재(121)를 향하게 되고 따라서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에서 분리되며 탄성부재(122)가 압축되고, 조절볼트(109)가 타측으로 회전되면 돌출캠(124a)이 플레이트(111)를 향하게 되고 따라서 탄성부재(122)가 인장되며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에 치합되는 것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튜브부재(124)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조절볼트(109)의 외주면에 지지되는데, 즉 조절볼트(109)의 외주면에는 제 1 세레이션(411)이 형성되고 튜브부재(124)의 내주면에는 제 2 세레이션(412)이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되 조절볼트(109)와 함께 회전되게 되어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볼트(109)가 회전되며 전진 또는 후퇴될 때 튜브부재(124)는 조절볼트(109)와 함께 회전되되 디스턴스 브라켓(132)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어 돌출캠(124a)이 기어부재(123)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부재(124)는 디스턴스 브라켓(132) 사이에서 축방향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게 형성되고 돌출캠(124a)은 튜브부재(124)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기어부재(123)는 몸체부(231)와 결합부(232)를 포함하는데, 몸체부(231)는 플레이트(111)의 반대편에서 튜브부재(124)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결합부(232)는 몸체부(231)에서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 2 기어(123a)가 구비된다. 즉 제 2 기어(123a)는 결합부(232)의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몸체부(231)는 튜브부재(124)를 기준으로 플레이트(111)의 반대편에 위치하여 돌출캠(124a)에 지지되게 되는데, 즉 돌출캠(124a)이 일측으로 회전되며 몸체부(231)가 지지되거나 돌출캠(124a)이 타측으로 회전되며 탄성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기어부재(123)가 작동된다.
결합부(232)는 튜브부재(124)를 사이에 두며 몸체부(23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는데, 즉 기어부재(123)는 튜브부재(124)의 플레이트(111) 반대측면과 폭방향 양측면을 덮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232)가 몸체부(231)의 양측에 구비됨으로써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작동될 때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균형있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부(232)가 튜브부재(124)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됨으로써 돌출캠(124a) 역시 결합부(232)의 사이에 구비되게 되는데, 돌출캠(124a)이 결합부(232)에 걸리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232)는 몸체부(231)에서 튜브부재(124)의 축방향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며 이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돌출캠(124a)이 결합부(23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232)가 튜브부재(124)의 폭방향 양측에서 돌출캠(124a)의 돌출량보다 더 이격되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나, 기어부재(123) 등의 크기, 무게 및 조립성 등을 고려할 때 결합부(232)가 이격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결합부(232)는 몸체부(231)의 네 모퉁이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십자형으로 이격되는 형태를 가져, 기어부재(123)가 기울어짐 없이 작동되며 또한 돌출캠(124a)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부재(123)와 탄성부재(122)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21)에 지지되는데, 고정부재(121)에는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공부(211)가 형성되어 중공부(211)에 기어부재(123)와 탄성부재(122)가 안착될 수 있다.
즉, 중공부(211)는 대략 사각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따라서 기어부재(123)와 탄성부재(122)가 튜브부재(124)의 축방향 및 폭방향으로 지지되어 플레이트(111) 또는 고정부재(121)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작동될 수 있다.
중공부(211)가 형성됨에 따라, 고정부재(121)에는 기어부재(123)에 튜브부재(124)의 축방향으로 지지되는 측면부(213)와 탄성부재(122)가 결합되는 배면부(212)가 구비되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121)에는 조절볼트(109)와 튜브부재(124)가 관통하는 제 2 삽입홀(2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제 2 삽입홀(214)은 제 1 결합홀(133) 및, 측면부(213)에 형성되어 튜브부재(124)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결합부(232)의 사이와 연통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삽입홀(214)은 튜브부재(124)가 회전될 때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튜브부재(124)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서, 도 8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탄성부재(122)에는 고정부재(121)에 결합되며 탄성부재(122)가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측으로 탄성지지하기 위해 제 1 내지 제 3 지지부(223)가 구비된다.
먼저, 제 1 지지부(221)는 양단부가 결합부(232)에 지지되고 중심부(711)로 갈수록 고정부재(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게 형성된다.
즉, 제 1 지지부(221)는 중심부(711)가 몸체부(231) 측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중심부(711)에서 튜브부재(124)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결합부(232)에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여 축방향에서 볼 때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711)와 양단부 사이가 벤딩됨으로써 기어부재(123)에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부(221)와 결합부(232)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91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912)가 형성되어 탄성부재(122)와 기어부재(123)가 결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지지부(221)의 단부에는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7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절곡부(712)의 내측면과 절곡부(712)에 지지되는 기어부재(123)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걸림돌기(91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걸림홈(912)가 형성되어 맞물림으로써, 기어부재(123)가 작동될 때 탄성부재(122)가 기어부재(123)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지지부(222)는 제 1 지지부(221)에서 고정부재(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단부가 고정부재(121)의 내측면에 지지되게 형성된다.
즉, 제 2 지지부(222)는 단부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기어부재(123)에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 2 지지부(222)는 제 1 지지부(221)의 중심부(711) 측에서 튜브부재(124)의 폭방향 양측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122)는 X자 형태를 취하게 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221)의 단부가 결합부(232)에 지지되고 제 2 지지부(222)의 단부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 지지됨으로써 탄성부재(122)가 기어부재(123)에 가하는 탄성력이 증대되게 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제 2 지지부(222)는 압축 또는 인장되며 단부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데, 걸림감 없이 원활히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단부가 절곡되어 배면부(212)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부재(121)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 3 지지부(223)에 의해 탄성부재(122)는 고정부재(121)에 결합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고정부재(121)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결합공(31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 3 지지부(223)는 제 1 지지부(221)에서 고정부재(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단부가 결합공(311)에 삽입되며 고정부재(121)의 외측면에 지지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311)은 배면부(212)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됨으로써, 제 2 지지부(222)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제 3 지지부(223)가 배면부(212)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제 2 지지부(222)와 제 3 지지부(223)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부재(122)가 고정부재(121)에 결합되는 것이다.
제 3 지지부(223)는 단부가 절곡형성되어, 결합공(311)에 삽입되어 돌출되었을 때 배면부(212)의 외측면에 걸리며 결합공(31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제 3 지지부(223)는 제 1 지지부(221)의 중심부(711)에서 튜브부재(124)의 축방향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제 1 지지부(221) 및 제 2 지지부(222)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결합공(311)은 제 3 지지부(223)에 대응되도록 튜브부재(124)의 축방향으로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21), 탄성부재(122) 및 기어부재(123)를 조립하는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제 1 지지부(221)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기어부재(123)에 지지되고, 걸림돌기(911)과 걸림홀(912)이 맞물리며 탄성력에 의해 제 1 지지부(221)가 복원되어 탄성부재(122)와 기어부재(123)가 결합된다. 다음으로, 제 3 지지부(223)가 오므라들며 결합공(311)에 삽입되고, 제 2 지지부(222)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 지지되며 제 3 지지부(223)가 복원되며 배면부(212)의 외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탄성부재(122) 및 기어부재(123)가 고정부재(121)에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탄성부재(122) 및 기어부재(123)가 결합된 고정부재(121)가 디스턴스 브라켓(132)에 결합되어 기어부재(123)가 튜브부재(124)를 덮으며 플레이트(111)와 치합되는 것이다.
고정부재(121), 탄성부재(122) 및 기어부재(123)가 탄성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간단하게 결합되고, 이들 결합체를 로워컬럼(103)에 간단히 나사결합하며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을 조립할 수 있어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는 것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기어부재(123) 및 튜브부재(124)의 작동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
고정부재(121)는 디스턴스 브라켓(132)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기어부재(123)는 돌출캠(124a) 및 탄성부재(122)에 의해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며,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에서 이격되어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가 분리되었을 때 어퍼컬럼(102)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조절레버(108)가 록킹 방향으로 조작되어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와 치합되어 있으며, 탄성부재(122)는 기어부재(123)에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인장되어 있다.
제 1 지지부(221)는 양단부가 결합부(232)에 지지되되 중심부(711)와 양단부의 사이가 기어부재(123)에서 이격되고 중심부(711) 역시 배면부(212)의 내측면과 기어부재(123)의 사이에서 이격되게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지지부(222)는 단부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 지지되되 고정부재(121)의 내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제 3 지지부(223)는 결합공(311)에 삽입되어 배면부(212)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있다.
도 1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조절레버(108)가 언록킹 방향으로 조작되어 돌출캠(124a)이 고정부재(121)를 향하게 되고, 돌출캠(124a)의 돌출량에 의해 기어부재(123)가 고정부재(121) 측으로 지지되어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가 분리되고, 탄성부재(122)가 압축된다.
제 1 지지부(221)는 압축되어 중심부(711)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양단부 및 양단부와 중심부(711)의 사이는 기어부재(123)에 지지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지지부(222)는 탄성부재(122)가 압축됨에 따라 단부가 배면부(212)의 내측면에서 슬라이딩되어 고정부재(121)의 내측면에 좌우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진 후 다시 조절레버(108)가 록킹 방향으로 조작되면, 도 10과 같은 상태로 복원되어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가 치합되며 어퍼컬럼(102)과 로워컬럼(103)의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런데,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도 10과 같은 상태로 복원되지 못하고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을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도 조절레버(108)는 록킹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 1 기어(111a)의 산과 제 2 기어(123a)의 산이 지지됨으로 인해 탄성부재(122)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와 치합되지 않고 있지만, 튜브부재(124)는 돌출캠(124a)이 기어부재(123)에서 이탈되며 회전될 수 있으므로 튜브부재(124)와 조절볼트(109)가 타측으로 회전되어 조절레버(108)가 록킹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조절레버(108)가 언록킹 방향으로 조작되는 경우에는 돌출캠(124a)이 고정부재(121)를 향하게 튜브부재(124)가 회전되고, 기어부재(123)가 고정부재(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되며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의 산이 이격되어 텔레스코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틸트 기어부(107)에서 고정기어(162)와 가동기어(161)의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혹은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에서 플레이트(111)와 기어부재(123)의 치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조절레버(108)의 록킹과 언록킹 조작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레이트(111)와 기어부재(123)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충격하중이 전달되면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의 산이 서로 어긋나게 되고, 탄성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되며 치합되게 된다.
따라서,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아 어퍼컬럼(102)이 로워컬럼(103)에 축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충격하중이 전달되며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게 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텔레스코프 작동이 이루어지며 기어부재(123)가 플레이트(111)에서 축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텔레스코프 기어부(106)의 가동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스토핑부(116), 단턱부(135) 등이 구비된다.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스토핑부(116)는 플레이트(111)의 로워컬럼(103)을 향하는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어퍼컬럼(102)에는 스토핑부(116)를 사이에 두고 디스턴스 브라켓(132)과 서로 마주보는 단턱부(135)가 구비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단턱부(135)는 어퍼컬럼(102)의 외주면에서 경방향으로 돌출되되 디스턴스 브라켓(132)과 축방향으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디스턴스 브라켓(132)과 마찬가지로 단턱부(135) 역시 슬릿(131)의 폭방향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퍼컬럼(102)이 슬라이딩될 때 스토핑부(116)가 디스턴스 브라켓(132) 또는 단턱부(135)에 축방향으로 지지되며 텔레스코프 작동의 가동범위가 제한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토핑부(116)에는 댐핑부재(114)가 결합될 수 있는데, 댐핑부재(114)는 스토핑부(116)를 감싸게 구비되어 스토핑부(116)가 디스턴스 브라켓(132) 또는 단턱부(135)에 지지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댐핑부재(114)는 천연 고무,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핑부(116)가 플레이트(11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댐핑부재(114)는 각각의 스토핑부(116)에 결합되는 부위와 이를 연결하는 부위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댐핑부재(114)는 플레이트(111)의 폭방향으로 인장되고, 복원력에 의해 수축되며 스토핑부(116)에 결합되어 플레이트(111)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자동차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해, 결합브라켓(112), 벤딩부(115), 가이드부(1313) 및 공간부(1314) 등이 구비된다.
플레이트(111)가 제 1 기어(111a)와 벤딩부(115)가 구비하여 텔레스코프 작동과 컬랩스 운동시 충격흡수를 함께 수행함으로써,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는 것이다.
도 1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어퍼컬럼(102)에는 결합브라켓(112)이 구비되고 플레이트(111)는 결합브라켓(112)에 결합부재(113)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결합브라켓(112)과 어퍼컬럼(10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간부(1314)가 형성되고, 플레이트(111)는 로워컬럼(103)를 향하는 단부가 벤딩되어 공간부(1314)로 삽입된다.
결합브라켓(112)는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폭방향 양측이 절곡되어 어퍼컬럼(102)의 외주면에 지지되는데, 다시 말해 단면이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 어퍼컬럼(10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개구되는 공간부(1314)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브라켓(112)은 어퍼컬럼(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11)는 제 1 기어(111a)가 형성된 부위에서 로워컬럼(103)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벤딩부(115)를 형성하며 공간부(1314)로 벤딩되어 삽입된다.
즉, 플레이트(111)의 제 1 기어(111a)가 형성된 상부(1311)는 결합부재(113)에 의해 결합브라켓(112)에 고정되고, 벤딩된 하부(1312)는 공간부(1314)로 삽입되는 것이다.
도 1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어퍼컬럼(102)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브라켓(112)이 플레이트(111)의 벤딩부(115)를 소성변형시키며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게 된다.
플레이트(111)의 상부(1311)는 기어부재(123)와 치합되어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기어(111a)와 제 2 기어(123a)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충격하중이 전달되며 탄성부재(122)의 탄성력에 의해 치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부(1311)는 기어부재(123)에 고정되어 어퍼컬럼(102)이 슬라이딩될 때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하면 충격하중에 의해 결합부재(113)가 파단되며 결합브라켓(112)이 상부(1311)에서 슬라이딩되며, 결합브라켓(112)이 벤딩부(115)를 축방향으로 지지하며 소성변형시켜 플레이트(111)가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 때, 벤딩부(115)가 원활히 소성변형되게 하기 위해, 결합브라켓(112)에는 플레이트(111)의 벤딩된 부위의 내측면을 따라 지지되는 가이드부(13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313)는 결합브라켓(112)의 로워컬럼(102)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되 벤딩부(115)의 내측면을 따라 절곡되어 단부가 공간부(1314)에 삽입되게 구비되어 있어, 결합브라켓(112)이 벤딩부(115)를 축방향으로 지지할 때 하부(1312)가 가이드부(1313)의 외측면을 따라 상부(1311)로 원활히 소성변형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의하면,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작동 시 조향컬럼을 고정하는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더라도 록킹과 언록킹이 매끄럽게 이루어질 있으며, 기어가 제대로 치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차의 충돌이 발생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컬랩스 운동이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최소, 최대 스트로크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텔레스코프 작동 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의 조향컬럼 101: 조향축
102: 어퍼컬럼 103: 로워컬럼
104: 마운팅 브라켓 106: 텔레스코프 기어부
107: 틸트 기어부 108: 조절레버
109: 조절볼트 111: 플레이트
111a: 제 1 기어 112: 결합브라켓
114: 댐핑부재 116: 스토핑부
121: 고정부재 122: 탄성부재
123: 기어부재 123a: 제 2 기어
124: 튜브부재 124a: 돌출캠
131: 슬릿 132: 디스턴스 브라켓
135: 단턱부 141: 플레이트 브라켓
151: 손잡이부 152: 캠기어
211: 중공부 212: 배면부
213: 측면부 221: 제 1 지지부
222: 제 2 지지부 223: 제 3 지지부
231: 몸체부 232: 결합부
311: 결합공 411: 제 1 세레이션
412: 제 2 세레이션 1313: 가이드부
1314: 공간부

Claims (19)

  1. 제 1 기어가 형성된 플레이트가 외주면에 결합되는 어퍼컬럼;
    상기 어퍼컬럼의 외주면에 지지되되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슬릿이 축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조절볼트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홀이 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이 상기 슬릿의 양측에 구비되는 로워컬럼;
    중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외주면에 지지되고, 돌출캠이 형성되는 튜브부재;
    상기 제 1 기어와 치합되는 제 2 기어가 형성되는 기어부재;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기어부재를 덮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기어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부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의 외주면에는 제 1 세레이션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부재의 내주면에는 제 2 세레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반대편에서 상기 튜브부재와 대향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어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튜브부재를 사이에 두며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튜브부재의 축방향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상기 기어부재와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조절볼트와 튜브부재가 관통하는 제 2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결합부에 지지되고 중심부로 갈수록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는 제 1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 지지부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되어 단부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제 3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상기 로워컬럼을 향하는 단부에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컬럼에는 상기 스토핑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서로 마주보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부에는 댐핑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컬럼에는 결합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결합브라켓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과 상기 어퍼컬럼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로워컬럼를 향하는 단부가 벤딩되어 상기 공간부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브라켓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벤딩된 부위의 내측면을 따라 지지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0180162292A 2018-12-14 2018-12-14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200073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92A KR20200073756A (ko) 2018-12-14 2018-12-14 자동차의 조향컬럼
CN201980083142.XA CN113195335B (zh) 2018-12-14 2019-12-12 车辆的转向柱
DE112019006212.3T DE112019006212T5 (de) 2018-12-14 2019-12-12 Lenksäule eines Fahrzeugs
PCT/KR2019/017590 WO2020122633A1 (ko) 2018-12-14 2019-12-12 자동차의 조향컬럼
US17/413,511 US11891109B2 (en) 2018-12-14 2019-12-12 Steering colum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92A KR20200073756A (ko) 2018-12-14 2018-12-14 자동차의 조향컬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756A true KR20200073756A (ko) 2020-06-24

Family

ID=7107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292A KR20200073756A (ko) 2018-12-14 2018-12-14 자동차의 조향컬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91109B2 (ko)
KR (1) KR20200073756A (ko)
CN (1) CN113195335B (ko)
DE (1) DE112019006212T5 (ko)
WO (1) WO20201226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225B1 (ko) * 2018-12-19 2020-06-2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72765A1 (en) * 2000-04-20 2003-09-18 Roland Heiml Adjusting and fixing device for a steering shaft, whose height and/or length can be adjusted
FR2915950B1 (fr) * 2007-05-11 2009-07-03 Zf Systemes De Direction Nacam Sas Dispositif de maintien en position a absorption d'energie d'une colonne de direction de vehicule automobile
GB0719971D0 (en) * 2007-10-12 2007-11-21 Trw Ltd Clamp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101615B1 (ko) * 2008-02-13 2012-01-02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421342B1 (ko) * 2012-08-06 2014-07-21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의 조향컬럼
JP6283241B2 (ja) 2014-03-24 2018-02-2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5189253B (zh) * 2014-04-11 2016-11-02 日本精工株式会社 转向装置
WO2017158720A1 (ja) * 2016-03-15 2017-09-21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6694739B2 (ja) * 2016-03-25 2020-05-20 富士機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2445517B1 (ko) * 2016-04-25 2022-09-2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장치
KR20180022289A (ko) * 2016-08-24 2018-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KR102314280B1 (ko) * 2017-01-26 2021-10-19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조향컬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95335B (zh) 2023-11-21
DE112019006212T5 (de) 2021-09-09
US20220048555A1 (en) 2022-02-17
CN113195335A (zh) 2021-07-30
WO2020122633A1 (ko) 2020-06-18
US11891109B2 (en)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35535B (zh) 转向装置
JP4060223B2 (ja)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US10919562B2 (en) Steering assembly with positive lock and energy absorption and pyrotechnic actuator
US8783717B2 (en) Steering column telescope lock
KR101602182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
JP6558572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70123374A (ko) 자동차 조향장치
JP66352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9162701B2 (en) Steering column energy absorbing rake lock
JP5158475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03002211A (ja)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80022289A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CN106394648B (zh) 转向装置以及齿部件
US10752281B1 (en) Collapsib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1307648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200073756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CN111712424B (zh) 带调节限位止动件的驾驶杆
US7306259B2 (en) Lock for tilting and telescoping steering column
KR101955431B1 (ko) 스티어링 컬럼
KR102123258B1 (ko) 조향장치용 틸트 래칫 구조체
JP504525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92714B1 (ko) 자동차의 조향 컬럼장치
US11485400B2 (en) Steering column telescope positive lock and breakaway device
KR101724202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US11975756B2 (en) Steering column telescope assembly and energy absorp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