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666A -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666A
KR20200073666A KR1020180162080A KR20180162080A KR20200073666A KR 20200073666 A KR20200073666 A KR 20200073666A KR 1020180162080 A KR1020180162080 A KR 1020180162080A KR 20180162080 A KR20180162080 A KR 20180162080A KR 20200073666 A KR20200073666 A KR 20200073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less
cosmetic composition
cps
sil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785B1 (ko
Inventor
서호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62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Explicitly spheroidal or spheric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구형 실리카, 구형 PMSQ 파우더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에 사용되는 크기보다 큰 구형 실리카를 사용하여 모공을 가리는 효과가 더 우수하고 백탁도도 낮아 투명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POWDER FORM SUITABLE FOR COVERING THE SKIN PORES}
본 개시는 모공 커버 효과가 있는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실리카를 포함하여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기존의 고커버력의 파우더 제품은 루스파우더, 트윈팩트, 투웨이케이크,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 다양한 제품 유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일반적으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같은 반사 효과가 좋은 고굴절률의 분체류를 다량으로 함유하여 두꺼운 화장막을 형성하여 피부 결점을 가리는 방향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고커버력의 파우더 제품은 다량의 분체를 포함하고 있고, 이 분체류가 피부의 피지와 뭉쳐 모공에 끼여 모공이 도드라져 보이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의 자연스럽고 투명하며 피부결이 개선되어 보이는 메이크업 트랜드에 있어서, 모공을 효과적으로 커버하여 피부결이 개선되어 보이는 효과가 우수한 파우더 제품의 개발 필요성이 있어왔다.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8-0053232호
본 개시는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과 달리 모공을 흐릿하게 보이는 효과가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구형 실리카를 사용하여 모공을 흐릿하게 보이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개시는 부피 가중 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 구형의 PMSQ (Polymethyl silsesquioxane) 파우더 및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구형의 PMSQ 파우더 대 실리콘 오일의 중량비는 1:0.5 내지 1:1.9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점도가 1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제형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를 사용하여 기존의 모공 커버 화장료 조성물보다 효과적으로 모공을 커버하고, 백탁도가 낮아 우수한 투명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PMSQ 파우더와 실리콘 오일을 더 포함하여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의 사용감도 개선하였다.
도 1은 실시예의 실험 1의 모공 개수 측정을 위하여 피부에 제품을 도포하기 전의 모공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실험 1의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7.5 ㎛인 실리카를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실험 1의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7 ㎛인 실리카를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실험 1의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9 ㎛인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를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실험 1의 투명도 측정을 위해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7.5 ㎛인 실리카를 도포한 인조가죽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의 실험 1의 투명도 측정을 위해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7 ㎛인 실리카를 도포한 인조가죽 사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실험 1의 투명도 측정을 위해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9 ㎛인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를 도포한 인조가죽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실험 2의 모공 개수 측정을 위하여 피부에 제품을 도포하기 전의 모공 사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실험 2의 실험예 1의 조성물을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도 10는 실시예의 실험 2의 실험예 2의 조성물을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도 11는 실시예의 실험 2의 실험예 3의 조성물을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실험 2의 실험예 4의 조성물을 도포한 피부 모공 사진이다.
본 개시의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모공 커버능이 뛰어나고 백탁도가 낮아 투명도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이다.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는 모공 커버능 및 투명도가 직경이 5 내지 8 ㎛인 구형 실리카에 비하여 더 우수하나, 사용시에 입자가 느껴져 거친 사용감이 있어, 종래의 파우더형 화장료에서는 자주 사용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본 개시는 탄성감이 있는 구형 PMSQ 파우더와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를 혼합하여, 입자크기가 큰 실리카의 사용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다만, 구형 PMSQ 파우더는 백탁감이 있는데, 이는 점도가 1000 cps 이하인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적절한 중량비로 혼합하여 백탁 문제를 해결하여, 백탁감 없이 투명감이 높고 우수한 모공 커버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구상의 실리카와 PMSQ 파우더를 사용한다. 구상 파우더(spherical powder)는 입자의 형태가 구형을 이루는 파우더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매끄럽고 가벼운 감촉을 부여한다. 구상 파우더는 광을 모든 방향으로 확산하는 효과가 있어, 판상 파우더(flake powder)에 비하여 모공이나 여드름 흔적 등 피부의 결점을 은폐시켜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구상 파우더는 끈적이는 화장막 위에 도포시 뭉침없이 가볍게 도포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구상 파우더의 비율이 높은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스러운 피부 연출에 효과적이며, 화장막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화장막 고정용 및 수정 화장용으로 적합하다.
본 개시에서의 입자크기는 Malvern사의 Mastersizer 2000을 사용하여 측정한 평균입자크기이다. 상기 평균입자크기라 함은 부피가중평균 (Volume weighted mean, D[4,3])에서의 입자크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개시는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 구형 PMSQ 파우더; 및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형 실리카의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는 10 ㎛ 이상, 11 ㎛ 이상, 12 ㎛ 이상, 13 ㎛ 이상, 또는 14 ㎛ 이상이며, 20 ㎛ 이하, 19 ㎛이하, 18 ㎛ 이하, 17 ㎛ 이하, 16 ㎛ 이하, 또는 15 ㎛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PMSQ 파우더:실리콘 오일 중량비는 1:0.5 내지 1:1.9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량비는 1:0.5 이상, 1:0.6 이상, 1:0.7 이상, 1:0.8 이상, 1:0.9 이상, 또는 1:1.0 이상이며, 1:1.9 이하, 1:1.8 이하, 1:1.7 이하, 1:1.6 이하, 1:1.5 이하, 1:1.4 이하, 1:1.3 이하, 1:1.2 이하 또는 1:1.1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점도가 1000 cps 이하일 수 있다. 점도가 1000 cps 이상인 경우, 투명도는 증가하지만 모공 커버능이 저하되고, 파우더류가 응집하게 되어 퍼짐성, 파우더 지속력 등의 사용성이 저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도는 1 내지 1000 cp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점도는 50 내지 100 cps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점도는 1 cps 이상, 7 cps 이상, 14 cps 이상, 21 cps 이상, 28 cps 이상, 35 cps 이상, 40 cps 이상, 45 cps 이상, 50 cps 이상, 55 cps 이상, 60 cps 이상, 63 cps 이상, 66 cps 이상, 69 cps 이상, 72 cps 이상, 또는 75 cps 이상이며, 1000 cps 이하, 900 cps 이하, 800 cps 이하, 700 cps 이하, 600 cps 이하, 500 cps 이하, 400 cps 이하, 350 cps 이하, 300 cps 이하, 250 cps 이하, 220 cps 이하, 190 cps 이하, 160 cps 이하, 130 cps 이하, 100 cps 이하, 90 cps 이하, 85 cps 이하, 80 cps 이하, 78 cps 이하 또는 76 cps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및 트리실록산/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50 내지 95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50 중량% 이상, 53 중량% 이상, 58 중량% 이상, 61 중량% 이상, 64 중량% 이상, 67 중량% 이상, 68 중량% 이상, 69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1 중량% 이상 또는 72 중량% 이상이며, 95 중량% 이하, 92 중량% 이하, 89 중량% 이하, 86 중량% 이하, 83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7 중량% 이하, 76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4 중량% 이하, 또는 73 중량% 이하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PMSQ 파우더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이며, 20 중량% 이하,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또는 1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제형일 수 있다. 상기 파우더 제형은 가루 파우더 제형 또는 압축 파우더 제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우더 팩트, 파운데이션, 투웨이 케이크 기능을 가진 파우더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모공 개수 측정 방법
모공 개수는 모공의 육안 관찰이 용이한 볼 부분을 확대경으로 지름 1 cm로 촬영하여 제품 도포 전후의 모공 개수를 비교하였다. 모공 100개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모공 개수를 측정하였다.
투명도 L 값 측정방법
투명도는 검은색 인조 가죽 (2cm X 2cm) 표면에 0.03g의 파우더를 도포하여 L값을 색차계로 측정하였다. 파우더 도포 전 검은색 인조 가죽의 L값은 25.6이었다. 색차계는 색측정 기기이고, L값은 밝기를 의미한다. 검은색일수록 L값이 낮고, 흰색일수록 L값이 높다. 따라서, L값이 높을수록 백탁이 있는 것이고, L 값이 낮을수록 투명한 것이다.
[실험 1] 실리카 크기 및 다른 파우더와의 비교 실험
파우더류 실리카 실리카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
부피 가중 평균 입자크기(D[4,3]) 7.5 ㎛ 17 ㎛ 19 ㎛
모공 개수 45 (도 2) 31 (도 3) 66 (도 4)
투명도 (L값) 47.6 (도 5) 40.1 (도 6) 48.3 (도 7)
투명도 (패널 평가) 3 5 2
패널 평가는 20세 내지 40세 사이 전문 패널 평가단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피부에 파우더 도포 후의 사용감을 테스트하였다. 5점은 매우 투명하고 뭉침없이 발리는 정도, 4점은 비교적 투명하고 뭉침없이 발리는 정도, 3점은 하얗게 올라오는 현상은 적으나 투명감이 떨어지거나 파우더가 다소 뭉치는 정도, 2점은 텁텁하거나 하얗게 올라오며 파우더가 뭉치는 정도 및, 1점은 하얗게 올라오는 현상 또는 뭉침이 심한 정도를 의미한다.
실험 1의 결과로부터 실리카와 다른 파우더인 HDI/Trimethylol Hexyllactone Crosspolymer를 비교하였을 때, 크기가 유사하게 10 내지 20 ㎛ 사이인 경우에는 실리카의 모공 커버능이 약 2배 가량 더 우수하고 투명도도 실리카 파우더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크기가 다른 실리카를 비교하였을 때, 크기가 7.5 ㎛인 실리카는 크기가 17 ㎛인 실리카에 비하여 모공 커버능이 다소 떨어지고 투명도도 더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모공커버능을 가지면서도 백탁없이 투명한 사용감을 가지기 위해서는 17 ㎛ 실리카 파우더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사이의 실리카는 사용감이 다소 부드럽지 못한 측면이 있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PMSQ 파우더 및 실리콘 오일을 조합하는 하기 실험 2를 진행하였다.
[실험 2] PMSQ 파우더와 실리콘 오일의 조합
상기 언급한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사이의 실리카의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표 2는 실험에 사용한 처방이며, 각 처방에 따른 모공 개수 및 투명도 실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의 PMSQ 파우더는 입자크기가 3.5 ㎛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점도가 20 cps인 오일은 Dow corning 사의 XIAMETER PMX-200 SILICONE FLUID 20cs 를 사용하였고, 점도가 10000 cps인 오일은 KCC 사의 SeraSense SF DDM10K를 사용하였다.
처방 (중량%)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실리카(17 ㎛) 90 80 70 80
PMSQ(3.5 ㎛) 10 10 10 10
20 cps 실리콘 오일 - 10 20 -
10000 cps 실리콘오일 - - - 10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실험예 4
모공 개수 47.7 (도 9) 41.9 (도 10) 84.9 (도 11) 98.8 (도 12)
투명도 (L 값) 46.3 42.0 41.7 -
설명 백탁감이 있으며 투명도가 떨어짐 백탁감 없이 투명함 백탁감이 없이 투명하나, 모공 커버능이 떨어짐 파우더가 뭉쳐 고르게 도포되지 않음
상기 결과를 살펴 보면, 시험예 2가 모공 커버능이 우수하면서도 백탁도가 낮고 투명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지 않은 실험예 1은 모공 커버력이 다소 낮을 뿐만 아니라 백탁감이 있고 투명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PMSQ 파우더와 실리콘 오일의 중량비가 1:2인 실험예 3은 백탁감이 없고 투명도는 우수하나 실리콘 오일을 다량 함유하여 모공커버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는 고점도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여 파우더가 뭉치고 고르게 도포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 1과 2에 따라, 부피 가중 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실리카 파우더에 PMSQ 파우더와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적정비율로 혼합한 화장료 조성물이 우수한 모공커버능, 낮은 백탁감 및 우수한 투명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7)

  1. 부피가중평균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인 구형 실리카;
    구형 PMSQ (Polymethyl silsesquioxane) 파우더; 및
    실리콘 오일
    을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MSQ 파우더:실리콘 오일 중량비는 1:0.5 내지 1:1.9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점도가 1000 cps 이하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메틸트리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트리메치콘,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치콘, 디페닐디메치콘 및 트리실록산/디메치콘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이상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50 내지 95 중량%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MSQ 파우더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제형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62080A 2018-12-14 2018-12-14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55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80A KR102552785B1 (ko) 2018-12-14 2018-12-14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080A KR102552785B1 (ko) 2018-12-14 2018-12-14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666A true KR20200073666A (ko) 2020-06-24
KR102552785B1 KR102552785B1 (ko) 2023-07-10

Family

ID=7140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80A KR102552785B1 (ko) 2018-12-14 2018-12-14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7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3232A (ko) 2016-11-11 2018-05-21 (주)아모레퍼시픽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7811A (ko) * 2016-08-11 2018-02-21 (주)아모레퍼시픽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3232A (ko) 2016-11-11 2018-05-21 (주)아모레퍼시픽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785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7399T3 (es) Polvo cosmético de control oleoso
KR100729548B1 (ko) 2층 메이크업 화장품
US5658579A (en) Cosmetic powder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kin coverage
KR100944585B1 (ko) 투명성 고형 분말 화장료
TWI411448B (zh) 適合用於化妝品之光學模糊色素組合物
KR102610684B1 (ko) 보편적인 광학 보정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TW200934524A (en) Gel technology suitable fo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JPH11510167A (ja) 改良された皮膚被覆性を有する化粧用パウダー組成物
KR102336132B1 (ko) 흡유능,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2308B1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US7935358B2 (en) Cosmetic skin preparation
KR20130011584A (ko) 복합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8490B1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52785B1 (ko) 모공 커버에 적합한 파우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9184972A (ja) 化粧料
KR102289867B1 (ko) 화장품용 실리콘 프리 코팅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08007536A (ja) 複合粒子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KR20090032561A (ko) 번들거림 및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3734A (ko)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86456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9210226A (ja) 化粧下地用組成物
WO2022177011A1 (ja) 油性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