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500A -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 Google Patents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500A
KR20200073500A KR1020180161728A KR20180161728A KR20200073500A KR 20200073500 A KR20200073500 A KR 20200073500A KR 1020180161728 A KR1020180161728 A KR 1020180161728A KR 20180161728 A KR20180161728 A KR 20180161728A KR 20200073500 A KR20200073500 A KR 20200073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unit
water purifier
connection portion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4577B1 (ko
Inventor
정종열
정세민
Original Assignee
(주)창성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성텍 filed Critical (주)창성텍
Priority to KR1020180161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2Means for sani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가 개시된다. 본 개시에 따른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의 하부에 존재하여, 상기 제빙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얼음 및 잔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빙 유닛의 하부에, 상기 제빙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모으기 위한 깔대기부, 상기 깔대기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 정수기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얼음 정수기의 본체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얼음 배출구가 상기 얼음 정수기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Ice water purifier to prevent internal pollution}
본 개시는 얼음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얼음 정수기 내부의 얼음 저장고의 내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얼음 정수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물을 정수하여 공급하는 단순 정수기뿐만 아니라,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얼음 정수기가 등장하였다. 얼음 정수기는 정수된 물을 제빙하여 얼음을 생성하며,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정수조, 제빙용 냉수조, 냉각 수단, 제빙 유닛등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제빙 수단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4359호(2013.06.10, 얼음정수기)외에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 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 얼음통(115), 제빙유닛(120), 제빙용 물받이(122), 침지판(124), 증발기(126), 가이드판(130), 관통홀(132), 냉수조(140), 순환펌프(142), 수위감지센서(144), 온도감지센서(146), 냉수통(150), 분산부(160), 수용홀부(162) 및 안내홀부(164)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빙 수단은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구조가 대부분으로, 생성된 얼음이 오염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얼음이 생성되어 얼음 저장부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생성된 얼음이 일부 녹아 제빙 수단 및 얼음 저장부에 잔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잔수와 외부 공기가 결합하여 세균 및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4359호(2013.06.10, 얼음정수기)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수된 물이 냉각되어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수를 줄이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의 하부에 존재하여, 상기 제빙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얼음 및 잔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빙 유닛의 하부에, 상기 제빙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모으기 위한 깔대기부; 상기 깔대기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 정수기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얼음 정수기의 본체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얼음 배출구가 상기 얼음 정수기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부;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에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얼음 정수기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 정면에 위치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를 향해 냉각풍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에 구비된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에 구비된 제2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는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에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흡입 유닛이 동작하여 상기 호스를 통해 잔수를 흡입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에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냉각팬이 동작하여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를 향해 냉각풍을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얼음은 잔수 없이 얼음 저장고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잔수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얼음 정수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정수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얼음통(115)는 제빙 유닛(120)에 의해 생성된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빙유닛(120)은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 가능한 제빙용 물받이(122), 제빙용 물받이(122)에 수용되는 침지관(124) 및 침지관(124) 내부에 구비되어 제빙용 물받이(122)와 제빙용 원수와 열교환되는 증발기(126)을 포함한다. 가이트판(130)은 냉수조(140)와 제빙 유닛(120) 사이에 구비되며, 본 개시에 따른 가이드판(130)은 후술하는 필터 유닛(170)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냉수조(140)는 제빙용 원수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순환펌프(142), 수위감지센서(144), 온도감지센서(146)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유닛(17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필터 유닛(170)은 제빙유닛(120)에서 생성된 얼음 및 얼음과 함께 발생하는 잔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필터 유닛(170)은 제빙 유닛(12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빙 유닛(120)에 의해 얼음이 생성되면, 제빙용 물받이(122)는 회전하여 생성된 얼음을 제빙 유닛(120)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필터 유닛(170)은 배출된 얼음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얼음은 필터 유닛(170)의 상부에 구성된 깔대기부로 배출될 수 있다. 깔대기부를 통해 배출된 얼음은 깔대기부 하단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통과하여 얼음통(115)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는 깔대기부 하단에 위치하여 얼음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얼음 정수기(100)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된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제2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접합되는 연결부로, 얼음 정수기(100) 또는 얼음통(115)를 기준으로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파이프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가 얼음 정수기(100) 또는 얼음통(115)를 기준으로 상부를 향하게 함으로서, 제빙 유닛(120)에서 생성된 얼음은 뒤에 생성되는 얼음에 의해 밀려서 얼음통(115)에 저장되나, 제빙 유닛(120)에서 생성된 잔수는 얼음통(155)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깔때기부를 통과한 잔수는 중력에 의하여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접합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에는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171)가 배치될 수 있다. 호스(171)를 통해 잔수가 배출되므로, 얼음통(115)은 잔수 없는 얼음만 저장되며, 잔수 및 외부 공기 등에 의한 얼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통해 얼음이 원활하게 배출되기 위해서, 얼음은 가로, 세로, 높이가 비슷한 정육면체 또는 구의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생성되는 얼음이 중간에 끼이는 일 없이 배출되도록 생성되는 얼음의 최대 길이 이상의 공간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되는 얼음이 가로, 세로, 높이가 1cm인 정육면체 형태라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정 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인 루트3cm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얼음 정수기(100)는 냉각 팬(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냉각팬(172)는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 정면에 위치하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를 향해 냉각풍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냉각팬(172)이 분사하는 냉각풍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의 바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풍은 섭씨 0도 이하의 바람으로, 냉각풍에 의해 배출되는 얼음이 녹지 않고 얼음통(115)로 배출될 수 있다. 냉각팬(172)은 얼음이 얼음통(115)로 배출되기 전, 얼음을 향해 냉각풍을 분사하여 잔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효율적인 잔수 배출을 위하여, 제2 연결부는 제1 압력 센서 및 제2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압력 센서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 근처에 배치되고, 제2 압력 센서는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호스(171)는 잔수와 얼음을 분리하기 위한 흡입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 근처에 얼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에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호스(171)의 흡입 유닛이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 유닛은 호스를 통해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내부의 공기를 흡입(sunction)할 수 있다. 흡입 유닛을 통해 얼음 정수기(100)는 잔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2 압력 센서는 제2 연결부 후단에 위치한 얼음 배출구 근처에 얼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에 감지된 압력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냉각 팬(172)이 동작할 수 있다. 즉, 냉각팬(172)은 항상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얼음이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부에 위치하여 곧 얼음이 얼음통(115)으로 배출될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에 동작하게 되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얼음 정수기 110: 본체
115: 얼음통 120: 제빙유닛
130: 가이드판 140: 냉수조
150: 냉수통 160: 분산부
170: 필터 유닛 171: 호스
172: 냉각팬

Claims (4)

  1. 얼음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정수기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유닛;
    상기 제빙 유닛의 하부에 존재하여, 상기 제빙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얼음 및 잔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유닛; 및
    상기 필터 유닛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얼음통;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빙 유닛의 하부에, 상기 제빙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얼음을 모으기 위한 깔대기부;
    상기 깔대기부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얼음 정수기의 본체와 수직 방향으로 구성된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얼음 정수기의 본체의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얼음 배출구가 상기 얼음 정수기의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된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에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정수기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 정면에 위치하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를 향해 냉각풍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접합 지점에 구비된 제1 압력센서; 및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에 구비된 제2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는 잔수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압력센서에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흡입 유닛이 동작하여 상기 호스를 통해 잔수를 흡입하고,
    상기 제2 압력센서에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냉각팬이 동작하여 상기 제2 연결부의 얼음 배출구를 향해 냉각풍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정수기.
KR1020180161728A 2018-12-14 2018-12-14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KR102164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28A KR102164577B1 (ko) 2018-12-14 2018-12-14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728A KR102164577B1 (ko) 2018-12-14 2018-12-14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219A Division KR102233977B1 (ko) 2020-10-05 2020-10-05 얼음을 제공하는 복합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500A true KR20200073500A (ko) 2020-06-24
KR102164577B1 KR102164577B1 (ko) 2020-10-14

Family

ID=7140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728A KR102164577B1 (ko) 2018-12-14 2018-12-14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75U (ko) * 1994-07-11 1996-02-16 고석배 정수기의 물탱크
KR980002859U (ko) * 1996-06-11 1998-03-30 정수기의 저장수 자동배출장치
KR19980021682U (ko) * 1996-10-22 1998-07-15 이영서 정수기의 냉온수탱크 유로개폐장치
KR20120114718A (ko) * 2011-04-08 2012-10-17 임동원 정수기용 순간냉각장치
KR20140144359A (ko)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얼음정수기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075U (ko) * 1994-07-11 1996-02-16 고석배 정수기의 물탱크
KR980002859U (ko) * 1996-06-11 1998-03-30 정수기의 저장수 자동배출장치
KR19980021682U (ko) * 1996-10-22 1998-07-15 이영서 정수기의 냉온수탱크 유로개폐장치
KR20120114718A (ko) * 2011-04-08 2012-10-17 임동원 정수기용 순간냉각장치
KR20140144359A (ko) 2013-06-10 2014-12-1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얼음정수기
KR101987941B1 (ko) * 2017-12-29 2019-06-11 주식회사 교원 초음파 세척이 가능한 이동형 출수구를 갖는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77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2986B2 (en) Drain pan treatment apparatus utilizing recycled condensate water
US98039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cleanliness of ice machines
CN201018840Y (zh) 水槽用过滤装置
CN101588713A (zh) 水槽用溢流装置
DE602004015285D1 (de) Brühbehälter und schäumereinheit und getränkemaschine mit solch einem brühbehälter
JP2012051309A5 (ko)
KR20200073500A (ko) 내부 오염 방지를 위한 얼음 정수기
KR20210056133A (ko) 가습기
KR102233977B1 (ko) 얼음을 제공하는 복합 정수기
CN203302877U (zh) 饮水机
CN109312519B (zh) 洗衣机的操作方法和实施这种方法的洗衣机
JP6259637B2 (ja) 食品洗浄機
KR20160069565A (ko) 가습형 공기청정기
CN107259644B (zh) 快速散烟水烟壶
CN212546631U (zh) 一种水汽分离盒、水汽分离系统及饮水机
CN105088734B (zh) 包括用于产生压力蒸汽的筒的熨烫设备的工作方法
JP2012020256A (ja) 次亜塩素酸ソーダの注入装置
CN207375138U (zh) 一种物流仓储存货架
KR101070820B1 (ko) 사육수 여과기능이 구비된 멸치 인공 사육수조
CN201015362Y (zh) 水槽用溢出装置
CN205436257U (zh) 粉料干洗设备
KR102544010B1 (ko) 제빙기
CN204952451U (zh) 用于喷水织机的废水过滤装置
CN208681104U (zh) 一种自动排渣装置
CN208176939U (zh) 射水游戏机外壳及射水游戏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