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204A - 튜너 장치 - Google Patents

튜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204A
KR20200073204A KR1020207006582A KR20207006582A KR20200073204A KR 20200073204 A KR20200073204 A KR 20200073204A KR 1020207006582 A KR1020207006582 A KR 1020207006582A KR 20207006582 A KR20207006582 A KR 20207006582A KR 20200073204 A KR20200073204 A KR 20200073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uner
frequency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카즈 요시다
타카히로 안도
노리히로 무라야마
히로시게 타카쿠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3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04B1/0071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using a common intermediate frequency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controlled phase shifter comprising coarse and fine delay or phase-shifting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03L7/09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comprising a ring oscillator
    • H03L7/0996Selecting a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phase-shifted signals produced by the ring oscil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5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Abstract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이다.

Description

튜너 장치
본 기술은, 고도광대역 위성 디지털 방송(advanced broadband satellite digital broadcast)의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튜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위성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약 1GHz~2.1GHz까지의 중간 주파수(IF(Intermediate Frequency)라고 적절히 칭함. 또한, IF는, 중간 주파수 또는 중간 주파수 신호의 양자를 나타내는 어구로서 사용함)로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고 있다. 다만, 2018년에 실용 방송이 예정되어 있는 고도광대역 위성 디지털 방송(고도 BS 방송이라고 적절히 칭함)은, 4K/8K의 초고정세도(ultra-high definition) 텔레비전 방송을 제공하기 위해, IF가 약 2.1GHz~3.2GHz까지 확장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높아지게 될수록, 수신 설비 등에 의해, 고주파 신호는 신호 강도의 열화가 커지게 되고, 낮은 주파수와 높은 주파수에서 신호 강도의 차가 발생한다. 이 문제는, 틸트(tilt) 문제라고 불린다. 또한, 종래의 위성 신호의 수신 대역에서는, 신호 왜곡의 주성분인 2배 왜곡(twofold distortion)(또는 2차 왜곡(secondary distortion))이 발생할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IF가 3.2GHz까지로 확장됨으로써, 종래의 IF에 의한 2배 왜곡이 확장된 IF 대역으로의 방해가 된다.
위성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된 당시에도 틸트 문제는 발생하고 있었고, 왜곡 특성을 개선시키거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하이패스 필터에 의해 분리된 위성 입력의 앞에 PIN 감쇄기를 넣는 것으로 대책을 실시하고 있었다. PIN 감쇄기는, PIN 다이오드를 사용한 고주파 감쇄기이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7-116358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고도 BS 방송에 있어서의 주파수 확장에 관하여는, 2배 왜곡과 같은 왜곡 성분의 증가나, 신호 강도 차의 확대에 따라,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PIN 감쇄기에 의해서는 대책이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의 목적은, 왜곡 성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튜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기술의 제1 태양은,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2 태양은,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제1 증폭기의 출력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5 신호와 제2 증폭기의 출력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6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분리된 제5 및 제6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다중화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와,
다중화기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이다.
본 기술의 제3 태양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주면과, 주면의 주위를 따라 설치된 주위면 부재를 갖는 금속제의 튜너 케이스와,
상기 튜너 케이스 외측의 상기 주면의 4개의 코너 근방의 영역에 각각 장착된 4개의 커넥터와,
상기 튜너 케이스와 별개인 쉴드부로서, 상기 튜너 케이스 내측의 상기 4개의 코너 근방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쉴드부를 포함하는 튜너 장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튜너에 공급되는 신호를 왜곡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 중에 기재된 어떠한 효과 또는 이들과 이질적인 효과이여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예시된 효과에 의해 본 기술의 내용이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2]도 2은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3]도 3은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레코더의 일례의 배면 패널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도 4은 레코더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5]도 5은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6]도 6은 본 기술의 제4 실시형태의 블록도이다.
[도 7]도 7은 튜너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도 8은 튜너의 구성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도 9은 종래 기종에서의 방해파의 신호 단자(32)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도 10은 쉴드 구조를 추가한 기종에서의 방해파의 신호 단자(32)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도 11은 도 9에 핀 접속 단자에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더 붙였을 때의 방해파의 신호 단자(32)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도 12는 쉴드 구조를 추가한 기종에서의 방해파의 신호 단자(11)로의 통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도 13은 본 기술의 효과를 확인한 신호 환경의 도면과 그 결과의 표이다.
[도 14]도 14는 본 기술의 기존 주파수 영역과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간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기술이 바람직한 구체예이며,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이 부가되어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기술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한편, 본 기술의 설명은, 다음 순서에 따라서 행해진다.
<1. 고도 BS 방송에 있어서의 문제점>
<2.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
<3.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
<4.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
<5. 본 기술의 제4 실시형태>
<6. 튜너의 구성예>
<7. 변형예>
<1. 고도 BS 방송에 있어서의 문제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고도 BS 방송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고도 BS 방송에 있어서의 IF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채널 번호 BS-1의 IF의 중심 주파수가 1049.48MHz이다. BS-3, BS-5, BS-7, …, BS-23의 채널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있다. 채널 번호 BS-23의 IF의 중심 주파수가 1471.44MHz이다. 이 BS의 IF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 CS-IF가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채널 번호 ND-2의 IF의 중심 주파수가 1613MHz이며, ND-2, ND-4, ND-6, …, ND-24의 채널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있다. 예를 들면 채널 번호 ND-24의 IF의 중심 주파수가 2053MHz이다. 이들 BS-1 ~ BS-23 및 ND-2 ~ ND-24의 IF는, 기존의 BS 방송 및 CS 방송의 채널이며, 전파가 우선원편파이다.
고도 BS 방송에서는, 좌선원편파가 사용된다. 즉, 채널 번호 BS-2, BS-4, …, BS-24, 그리고, 채널 번호 ND-1, ND-3, ND-5, …, ND-23의 채널이 좌선원편파의 채널이다. 예를 들면 채널 번호 BS-2의 중심 주파수가 2241.66MHz이며, 채널 번호 BS-24의 중심 주파수가 2663.62MHz이다. 또한, 채널 번호 ND-1의 중심 주파수가 2766MHz이며, 채널 번호 ND-23의 중심 주파수가 3206MHz이다.
도 13은, 본 기술에 관하여 신호 강도차 내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시의 신호 파형이다. 기존 주파수 영역,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아래쪽의 대역 채널에 관하여는 신호 레벨을 일정(예를 들면, -30dB)하게 하고,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위쪽 채널로부터 단계적으로 레벨을 내려가, 가장 고역의 채널 ND-23이 어디까지 레벨을 내리더라도 수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로서, 시장 환경에서 상정되는 틸트 레벨 20dB까지의 내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본 기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대역에 포함되는 인접하는 채널끼리의 IF에 의해 2배 왜곡이 발생한다. 도 14에 있어서, 대역(1.03GHz ~ 1.49GHz)은, 채널 번호 BS-1 ~ BS-23의 대역을 나타내고, 대역(1.6GHz ~ 2.07GHz)은, 채널 번호 ND-2 ~ ND-24의 대역을 나타낸다. 나아가, 대역(2.22GHz ~ 2.68GHz)은, 채널 번호 BS-2 ~ BS-24의 대역을 나타내고, 대역(2.75GHz ~ 3.22GHz)은, 채널 번호 ND-1 ~ ND-23의 대역을 나타낸다.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대역에 포함되는 인접하는 채널끼리의 IF에 의해 생긴 2배 왜곡의 대역이 확장된 대역과 겹치고, 왜곡이 증가하게 된다. 하나의 예로서, (1500MHz + 1600MHz = 3100MHz) (1350MHz + 1450MHz = 2800MHz)과 같은 2차 왜곡이 발생한다. 나아가, 확장된 대역의 인접하는 채널의 IF끼리의 차의 주파수 왜곡이 발생한다. 이 왜곡이 기존의 대역의 IF에 영향을 주는 문제도 생긴다. 본 기술은, 이러한 왜곡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도 BS 방송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은, Wi-Fi(등록상표)나, 전자렌지 등의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기의 주파수 영역과 중복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 튜너 장치보다 고성능의 차폐 특성이 필요하다. 특히, 튜너로부터의 불요복사에 관하여는 신규 규격이 도입되고, 보다 엄격한 규제가 도입되는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본 기술에서는,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불요복사를 억제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2.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
도 1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로부터 IF 신호가 공급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BS 수신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컨버터에서 주파수 변환되는 것에 의해 IF가 형성된다. IF가 접속 케이블로서의 동축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입력 단자(11)에 공급된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는, 예를 들면 동축 커넥터이며, 예를 들면 F형 커넥터이다. F형 커넥터의 하나의 타입은, 동축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F형 커넥터 플러그 등으로 불린다. 다른 타입은, F형 커넥터 플러그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이하, 심선(core wire)이라고 칭함)를 받아들이는 F형 커넥터이며, F형 커넥터 리셉터클 등으로 불린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는, F형 커넥터 리셉터클이다. 다만, RF 신호 입력 단자(11)는, F형 커넥터 이외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커넥터이어도 된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로부터의 IF가 다이플렉서(12)에 공급된다. 다이플렉서(12)는, 입력 IF를 다른 대역의 제1 및 제2 신호로 분리한다. 제1 신호 대역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존의 BS 방송의 IF 대역((1.03GHz~1.49GHz) 및 (1.6GHz~2.07GHz))을 포함하는 대역(예를 들면, 0.95GHz~2.15GHz)(이하, 기존 주파수 영역(L로 표시하는 쪽의 출력)이라고 적절히 칭함)이다. 제2 신호 대역은, (2.22GHz~2.68GHz) 및 (2.75GHz~3.22GHz)을 포함하는 대역(예를 들면, 2.15GHz~3.2GHz)(이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H로 표시하는 쪽의 출력)이라고 적절히 칭함)이다.
다이플렉서(12)에 의해 분리된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가 제1 증폭기, 예를 들면, LNA(Low Noise Amplifier)(13)에 의해 증폭되어 기존의 BS 방송 및 고도 BS 방송 수신용의 튜너(15)의 기존 주파수 영역 측의 입력에 공급된다. 다이플렉서(12)에 의해 분리된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가 제2 증폭기, 예를 들면, LNA(14)에 의해 증폭되어 기존의 BS 방송 및 고도 BS 방송 수신용의 튜너(15)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 측의 입력에 공급된다.
튜너(15)에서, 기존 주파수 영역과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각각에 관하여 신호 처리가 행해진다. 튜너(15)의 출력에 대해 복호 등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최종적으로 TS(Transport Stream)를 얻도록 하고 있다. 튜너(15)에 대해 다이플렉서(12), LNA(13) 및 LNA(14)은, RF 입력측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RF 입력측 회로 및 튜너(15)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튜너 장치라고 칭한다. 또한, 튜너(15)는, 후술하는 RF 신호 출력을 얻기 위한 다이플렉서에 의해 제1 및 제2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여 하나의 신호로 하고 나서 처리를 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나아가, 튜너(15)는,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이들 튜너(15)에 관한 구성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BS 방송용 튜너를 예로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이플렉서(12)에 의해 입력 RF 신호의 대역을 기존 주파수 영역과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으로 주파수 분리하고, 각각의 영역의 신호를 LNA(13) 및 LNA(14)에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LNA(13)에서 발생한 2배 왜곡이 LNA(14)의 출력으로 나오는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에 혼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LNA(14)에서 발생한 저역측 왜곡(low-frequency distortion)이 LNA(13)의 출력으로 나오는 기존 주파수 영역에 혼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저왜곡(low-distortion)의 IF를 튜너(15)가 처리할 수 있어, 수신 신호의 품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3.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
도 2를 참조해서 본 기술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블루레이 디스크(등록상표) 레코더(이하, 간단히 레코더라고 적절히 칭함), 하드디스크 레코더 또는 STB(Set-Top Box)에 적용되는 것이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로부터의 IF가 다이플렉서(12)에 공급되어, 기존 주파수 영역과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으로 주파수 분리되고,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가 LNA(13)로 공급되고,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가 LNA(14)로 공급된다.
LNA(13) 및 LNA(14)의 각각의 출력에 대해 분배기(16 및 17)가 접속된다. 분배기(16)에 의해 LNA(13)의 출력 신호가 두 개의 신호로 분기되어, 일방의 신호가 튜너(15)의 기존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되고, 타방의 신호(제3 신호)가 다이플렉서(18)의 한쪽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한, 분배기(17)에 의해 LNA(14)의 출력 신호가 두 개의 신호로 분기되어, 일방의 신호가 튜너(15)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되고, 타방의 신호(제4 신호)가 다이플렉서(18)의 다른쪽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다이플렉서(18)는, 분배기(16)으로부터 받은 제3 신호의 기존 주파수 영역을 주파수 분리하고, 또한, 분배기(17)로부터 받은 제4 신호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을 주파수 분리하고, 나아가, 이들 분리한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여 RF 신호 출력 단자(19)에 출력한다. RF 신호 출력 단자(19)는, 예를 들면, F형 커넥터 리셉터클이다. RF 신호 출력 단자(19)의 출력으로 추출된 IF가 텔레비전 수상기의 튜너에 대해 공급된다. 다이플렉서(12), LNA(13) 및 LNA(14), 분배기(16) 및 분배기(17), 및 다이플렉서(18)는, RF 입력측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3은, 레코더(30)의 배면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다. 배면 패널에는, 상술한 BS 방송용의 RF 신호 입력 단자(11) 및 RF 신호 출력 단자(19)가 마련되어 있다. 나아가, 이들 단자(11 및 19)의 근방에 지상 디지털 방송용의 RF 신호 입력 단자(31) 및 RF 신호 출력 단자(3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디지털 출력을 위한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등록상표) 출력 단자(33), 전원 입력 단자(34),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35), LAN(Local Area Network) 단자(36), 및 음성/영상 입력 단자(37)가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코더(30)에 안테나 입력이 공급된다. 예를 들면 BS/110도 CS 방송(BS/110-degree CS broadcast)의 IF 및 지상 디지털 방송의 IF가 혼합되어 방 내의 텔레비전 단자(51)로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인도된다. 텔레비전 단자(51)에 대해 분파기(52)가 접속되어, UHF대의 IF와 BS/CS 방송의 IF로 분리된다.
BS/CS 방송의 IF가 레코더(30)의 RF 신호 입력 단자(11)에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고, UHF대의 IF가 RF 신호 입력 단자(31)에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공급된다. 레코더(30)의 RF 신호 출력 단자(19)가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의 BS/CS 방송의 안테나 입력 단자(41)와 접속된다. 레코더(30)의 RF 신호 출력 단자(32)가 안테나 케이블을 통해 텔레비전 수상기의 지상 디지털 방송의 안테나 입력 단자(42)와 접속된다. 나아가, HDMI(등록상표) 출력 단자(33)와 텔레비전 수상기의 HDMI(등록상표) 입력 단자(43)가 HDMI(등록상표)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접속함으로써, BS/110도 CS 방송과 지상 디지털 방송을 텔레비전 수상기(40)에 의해 시청함과 함께, 레코더(30)에 의해 수신 방송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에 기록할 수 있다. 나아가, 레코더(30) 및 텔레비전 수상기(40)가 고도 BS 방송에 대응한 구성인 경우에는, 고도 BS 방송(4K/8K 방송)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레코더(30)는, 하나의 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또한, 도 4에 도시한 접속 관계도 하나의 예이다.
상술한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튜너(15)로 공급되는 IF를 왜곡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RF 신호 출력 단자(19)로 추출되는IF도, 다이플렉서(18)에 의해 왜곡이 제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고도 BS 방송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은, Wi-Fi(등록상표)나, 전자렌지 등의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기의 주파수와 중복되고 있기 때문에, 종래 튜너보다 고성능의 차폐 특성이 필요로 한다. 특히, 튜너로부터의 방사에 관하여는 신규 규격이 도입되고, 보다 엄격한 규제가 확실시되고 있다.
<4.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
도 5을 참조해서 본 기술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코더 또는 STB에 적용되는 것이다. 나아가, 3개의 튜너(15a, 15b, 15c)를 구비한다. 2개 이상의 튜너를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2 이상의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로부터의 IF가 다이플렉서(12)에 공급되고,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로 주파수 분리되어,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가 LNA(13)에 공급되고,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가 LNA(14)에 공급된다. LNA(13)의 출력에 분배기(21)가 접속되고, 분배기(21)의 출력에 분배기(22 및 23)가 접속된다. LNA(14)의 출력에 분배기(24)가 접속되고, 분배기(24)의 출력에 분배기(25 및 26)가 접속된다.
분배기(21)에 의해 LNA(13)의 출력 신호가 두 개의 신호로 분기되고, 분기된 각 신호가 분배기(22 및 23)에 의해 두 개의 신호로 더 분기된다. 분배기(22)의 일방의 출력 신호(제3 신호)가 매칭 회로(29a)를 통해 다이플렉서(18)의 기존 주파수 영역측의 입력에 공급된다. 분배기(22)의 타방의 출력 신호가 매칭 회로(27a)를 통해 튜너(15a)의 기존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된다. 분배기(23)의 일방의 출력 신호가 매칭 회로(27b)를 통해 튜너(15b)의 기존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되고, 분배기(23)의 타방의 출력 신호가 매칭 회로(27c)를 통해 튜너(15c)의 기존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된다.
분배기(24)에 의해 LNA(14)의 출력 신호가 두 개의 신호로 분기되고, 분기된 각 신호가 분배기(25 및 26)에 의해 두 개의 신호로 더 분기된다. 분배기(25)의 일방의 출력 신호(제4 신호)가 매칭 회로(29b)를 통해 다이플렉서(18)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의 입력에 공급된다. 분배기(25)의 타방의 출력 신호가 매칭 회로(28a)를 통해 튜너(15a)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된다. 분배기(26)의 일방의 출력 신호가 매칭 회로(28b)를 통해서 튜너(15b)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되고, 분배기(26)의 타방의 출력 신호가 매칭 회로(28c)를 통해 튜너(15c)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 입력에 공급된다.
다이플렉서(18)은, 매칭 회로(29a)의 출력 신호 내의 기존 주파수 영역을 주파수 분리하고, 또한, 매칭 회로(29b)의 출력 신호 내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을 주파수 분리하고, 나아가, 이들 분리한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여 RF 신호 출력 단자(19)에 출력한다. RF 신호 출력 단자(19)는, 예를 들면 F형 커넥터 리셉터클이다. RF 신호 출력 단자(19)의 출력으로 추출된 IF가 텔레비전 수상기의 튜너에 공급된다.
제3 실시형태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코더의 BS 방송 또는 고도 BS 방송용 튜너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3 실시형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튜너(15a, 15b, 15c)에 공급되는 IF를 왜곡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RF 신호 출력 단자(19)에 추출되는 IF도, 다이플렉서(18)에 의해 왜곡이 제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실시형태에서는, 튜너(15a, 15b 및 15c)의 기존 주파수 영역측에 매칭 회로(27a, 27b, 27c)를 설치하고, 튜너(15a, 15b 및 15c)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에 매칭 회로(28a, 28b, 28c)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튜너의 수가 삭감된 경우(예를 들면, 튜너(15a)만을 남기고 다른 튜너(15b 및 15c)를 삭제하는 경우)나, RF 출력 단자(19)에 접속되는 기기가 변화되는 경우나, 튜너(15a, 15b 및 15c)의 입력부의 상태 변화에 의해, 임피던스가 변화한 경우에도, 이들 매칭 회로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자 또는 다른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5. 본 기술의 제4 실시형태>
도 6을 참조해서 본 기술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레코더 또는 STB에 적용되는 것이며, 나아가, 3개의 튜너(115a, 115b, 115c)를 구비한다. 이들 튜너(115a, 115b, 115c)는, 입력이 기존 주파수 영역측 입력과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측 입력으로 나뉘어져 있지 않은 것이다.
RF 신호 입력 단자(11)로부터의 IF가 다이플렉서(12)에 공급되고,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로 분리되어,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가 LNA(13)로 공급되고,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가 LNA(14)로 공급된다. LNA(13)의 출력 및 LNA(14)의 출력이 다이플렉서(118)에 공급된다. 다이플렉서(118)은, LNA(13)의 출력의 기존 주파수 영역의 제5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또한, LNA(14)의 출력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제6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나아가, 이들 분리한 제5 및 제6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여 분배기(121)에 출력한다. 따라서, 다이플렉서(1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2차 왜곡 등의 대역외의 왜곡이 제거된 것이 된다.
분배기(121)의 출력이 분배기(122 및 123)에 공급된다. 분배기(122)에 의해 분기된 두 개의 출력 중 한쪽이 매칭 회로(127a)에 공급되고, 다른쪽이 매칭 회로(129)에 공급된다. 매칭 회로(129)에 RF 신호 출력 단자(19)가 접속되어 있다. RF 신호 출력 단자(19)는, 예를 들면 F형 커넥터 리셉터클이다. RF 신호 출력 단자(19)의 출력으로 추출된 IF가 텔레비전 수상기의 튜너에 공급된다. 매칭 회로(127a)의 출력이 튜너(115a)의 IF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분배기(123)에 의해 분기된 두 개의 출력 중 한쪽이 매칭 회로(127b)에 공급되고, 다른쪽이 매칭 회로(127c)에 공급된다. 매칭 회로(127b)의 출력이 튜너(115b)의 IF 입력 단자에 공급되고, 매칭 회로(127c)의 출력이 튜너(115c)의 IF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제4 실시형태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코더의 BS 방송용 튜너 장치 또는 고도 BS 방송용 튜너 장치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제4 실시형태는, 제1,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튜너(115a, 115b, 115c)에 공급되는 IF를 왜곡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RF 신호 출력 단자(19)로 추출되는 IF도, 다이플렉서(118)에 의해 왜곡이 제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튜너(115a, 115b 및 115c)의 입력측에 매칭 회로(127a, 127b 및 127c)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튜너의 수가 삭감된 경우나, RF 출력 단자(19)에 접속되는 기기가 변화되는 경우나, 튜너(115a, 115b 및 115c)의 입력부의 상태 변화에 의해, 임피던스가 변화한 경우에도, 이들 매칭 회로에 의해, 임피던스 정합을 취할 수 있어, 접속되어 있는 다른 단자 또는 다른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제4 실시형태는, 제1, 제2 및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튜너(115a, 115b, 115c)에 공급되는 IF를 왜곡이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RF 신호 출력 단자(19)로 추출되는 IF도, 다이플렉서(118)에 의해 왜곡이 제거된 것으로 할 수 있다.
<6. 튜너의 구성예>
상술한 본 기술의 제2, 제3 및 제4 실시형태는, 케이스에 대해 튜너의 회로부가 실장되어 있는 회로 기판 및 커넥터를 장착하고, 나아가, 튜너 케이스를 덮개로 덮는 구성으로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쉴드 대책을 고려한 튜너 장치의 실장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회로 기판 및 덮개를 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회로 기판 및 브래킷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튜너 케이스 내에 BS 방송 및 지상 디지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할 수 있는 튜너가 수납된다.
튜너 케이스(61)의 주면(62)에 대해, 쉴드용의 브래킷(71a 및 71b)이 장착되어 있다. 튜너 케이스(61)는, 사각형의 주면(62)과, 주면(62)의 4변을 따라 설치된 주위면 부재(상면판(63a), 저면판(63b), 측면판(63c 및 63d))을 가진다. 튜너 케이스(61)는, 쉴드 케이스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상자 형상 케이스이다. 예를 들면, 튜너 케이스(61)의 주면(62)의 높이 방향의 폭(상면판(63a) 및 저면판(63b)간의 거리)이 도 3에 도시한 레코더(30)의 배면 패널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되어 있고, 레코더(30)에 장착하였을 때, 레코더의 케이스 내에서 튜너 장치의 상측 또는 하측에 쓸데없는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튜너 케이스(61)는, 90도 회전시켜 레코더 등의 기기에 대해 장착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경우는, 상하와 좌우의 관계가 바뀌게 된다.
튜너 케이스(61)의 주면(62)의 네 코너 근방에 각각 마련된 장착용의 구멍을 사용하여 4개의 동축 커넥터, 예를 들면, F형 커넥터 리셉터클이 장착된다. 즉, 상술한 설명에 대응시키면, RF 신호 입력 단자(11) 및 RF 신호 출력 단자(19)(BS/CS 방송용)과, RF 신호 입력 단자(31)(도 7 및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음) 및 RF 신호 출력 단자(32)(지상 디지털 방송용)이 주면에 장착된다. 커넥터의 장착 방법으로서는, 크림핑(crimpi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커넥터의 외부 도체는, 철, 놋쇠, 아연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튜너 케이스(61)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커넥터에 접속된 동축 케이블의 심선(중심 도체)과 접속된 접속편(64, 65, 66, 67)이 튜너 케이스(61) 내로 돌출되어 있다. 이들 접속편(64, 65, 66, 67)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의 신호 급전부에 각각 접속된다. 나아가, 저면판(63b)에는, 외부 회로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신호 등을 송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용의 접속핀(68)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접속핀(68)은, 튜너 장치가 조립되어지는 기기, 예를 들면 레코더의 회로 기판에 장착된다.
브래킷(71a 및 71b)은, 예를 들면 쉴드 효과를 갖는 금속판을 절곡 가공한 것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튜너 케이스(61)와 별개 부품의 브래킷(71a 및 71b)을 쉴드용으로 설치하는 것은, 만일, 튜너 케이스(61)를 쉴드용의 형상으로 가공하면, 튜너 케이스(61)에 틈이 발생하여, 튜너 케이스(61)의 쉴드 효과가 손상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다. 브래킷(71a 및 71b)은, 연결부(72a 및 72b)와, 연결부(72a 및 72b)의 각각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쉴드부(73a, 73b, 74a 및 74b)와, 연결부(72a 및 72b)의 각각의 중앙 위치 부근에서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벽(75a 및 75b)을 가진다. 쉴드부(73a, 73b, 74a 및 74b)는, 한쪽 단면끼리가 접합된 제1 및 제2 판형상 부재를 가지고, 제1 및 제2 판형상 부재의 다른쪽 단면을 튜너 케이스의 코너 근방의 주위면 부재의 내면에 각각 접합한다.
쉴드부(73a)는, 튜너 케이스(61)의 상면판(63a)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벽(76a) 및 측면판(63c)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벽(76a)에 의해 구성된다. 이 쉴드부(73a)가 상면판(63a) 및 측면판(63c)의 단면끼리가 접합되는 코너 부근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접속편(64)의 주위가 쉴드부(73a)에 의해 둘러싸인다. 나아가, 회로 기판 및 케이스의 위 덮개가 코너 부근을 덮기 때문에, 접속편(64)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쉴드할 수 있다. 또한, 저면판(63b) 및 측면판(63c)의 단면끼리가 접합되는 코너 부근(접속편(65)이 포함됨)이 브래킷(72b)의 쉴드부(74b)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접속편(65)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상면판(63a) 및 측면판(63d)의 단면끼리가 접합되는 코너 부근(접속편(66)이 포함됨)이 브래킷(72a)의 쉴드부(74a)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접속편(66)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쉴드할 수 있다. 나아가, 저면판(63b) 및 측면판(63d)의 단면끼리가 접합되는 코너 부근(접속편(67)이 포함됨)이 브래킷(72b)의 쉴드부(73b)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접속편(67) 등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쉴드할 수 있다.
한편, 지지벽(75a 및 75b)의 선단이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그라운드 단자와 접속된다. 이에 의해, 회로 기판을 강고하게 지지함과 함께, 브래킷(71a 및 71b)의 접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쉴드 대책이 필요하게 되는 위치는, 고도 BS 방송의 IF가 입력되는 RF 입력 단자(11)와 접속된 접속편(64)의 영역, 및 고도 BS 방송의 IF가 출력되는 RF 출력 단자(19)와 접속된 접속편(65)의 영역이다. 지상 디지털 방송용의 IF가 입력/출력되는 접속편(66 및 67)의 영역을 쉴드할 필요성은 낮다. 그러나, 고도 BS 방송용의 커넥터를 접속하는 위치를 고정하면, 튜너 케이스를 회전시킨 경우나, 메이커에 따라 다른 사양에 대응하는 경우 등에서, 불편함이 생긴다. 따라서, 모든 커넥터의 위치에 대해 쉴드 대책을 시행함으로써 범용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쉴드용의 브래킷(71a 및 71b)의 형상은, 하나의 예이며, 다른 형상이 다양하게 가능하다. 예를 들면, 4개의 코너를 따로따로 둘러싸도록, 4개로 분리된 브래킷을 사용해도 된다.
본 기술의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구성의 쉴드 효과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나의 예로서, 중심 주파수가 2.427GHz이고 주파수 범위가 약 30MHz인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IF 신호를 RF 입력 단자(11)에 공급하고, RF 출력 단자(19)로부터 이 IF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지상 디지털 방송용의 RF 출력 단자(32)에서 상기 주파수를 갖는 방해파의 레벨을 측정한다. 도 9는, 쉴드 대책을 행하지 않은 종래의 튜너 장치에 관한 방해파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고, 도 10은, 본 기술에 의해 쉴드 대책이 행해진 튜너 장치의 방해파의 통과 특성을 나타낸다. 이들 측정 결과로부터, 본 기술에 의하면, 25dB 정도의 특성 개선이 이루어지고, 차폐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쉴드 효과를 향상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의 접속핀(68)은, 안테나로서 방해파의 복사에 기여한다. 이 접속핀(68)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해, 고도 BS 방송의 주파수 대역에 효과가 있고, 또한 각 신호 라인이나 전원 라인에의 영향이 적은 작은 용량의 콘덴서를 바이패스 커패시터로서 접속핀(68)에 삽입한다. 이 대책에 의해, 한층 더 방해파 내성 개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1은,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접속한 후의 방해파의 통과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대책을 실시한 결과, 도 9에 나타낸 종래 특성보다 33dB 정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접속핀(68)에 대해 바이패스 커패시터를 설치할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접속핀(68)과의 거리가 떨어져 있는 두 영역의 커넥터를 BS 방송용의 RF 신호의 입력 단자(11) 및 출력 단자(19)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면판(63a) 및 측면판(63c)의 단면끼리가 접합되는 코너 부근(접속편(64)이 포함됨)과, 상면판(63a) 및 측면판(63d)의 단면끼리가 접합되는 코너 부근(접속편(66)이 포함됨)에 장착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BS 방송용의 RF 신호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로서 사용된다.
이 접속핀(68)과 떨어진 위치의 커넥터를 사용한 경우의 방해파 통과 특성을 도 12에 나타낸다. 입력 단자(11)를 위성 입출력 단자로 설정함으로써, 핀 단자(13)의 영향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접속편(64)의 방해파 통과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한 종래 특성보다 28dB 정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본 기술의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 및 튜너의 구성에 의해, 고도 BS 방송(4K/8K 방송)에 대응한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2.1GHz~3.2GHz)까지 확장된 신호 환경에 대하여도, 신호 강도 차에 의한 수신 성능의 열화를 최대한 막을 수 있고, 수신 성능이 뛰어난 모듈을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IF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방해파로부터의 간섭이나 복사에 관하여도, 차폐 효과가 우수한 튜너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튜너 케이스의 코너에 각각 커넥터를 설치하고, 각 커넥터에 대해 쉴드 대책을 행함으로써, 고도 BS 방송의 신규 추가 주파수 영역의 IF를 취급하는 커넥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범용성이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7. 변형예>
이상, 본 기술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는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 방법, 공정, 형상, 재료 및 수치 등은, 본 기술의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서로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
(2)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3 신호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4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3 및 제4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기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가지는 (1)에 기재된 튜너 장치.
(3)
상기 튜너의 입력측에 매칭 회로가 설치된 (1) 또는 (2)에 기재된 튜너 장치.
(4)
상기 위성 디지털 방송이 고도 BS 방송(advanced BS broadcast)인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튜너 장치.
(5)
상기 튜너가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 가능한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튜너 장치.
(6)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5 신호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6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5 및 제6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와,
상기 다중화기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
(7)
상기 튜너의 입력측에 매칭 회로가 설치된 (6)에 기재된 튜너 장치.
(8)
상기 위성 디지털 방송이 고도 BS 방송인 (6) 또는 (7)에 기재된 튜너 장치.
(9)
상기 튜너가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 가능한 (6) 내지 (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튜너 장치.
(10)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주면과, 상기 주면의 주위를 따라 설치된 주위면 부재를 갖는 금속제의 튜너 케이스와,
상기 튜너 케이스 외측의 상기 주면의 4개의 코너 근방의 영역에 각각 장착된 4개의 커넥터와,
상기 튜너 케이스와 별개인 쉴드부로서, 상기 튜너 케이스 내측의 상기 4개의 코너 근방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쉴드부를 포함하는 튜너 장치.
(11)
상기 쉴드부는, 제1 및 제2 판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판형상 부재의 한쪽 단면은 상기 제2 판형상 부재의 한쪽 단면과 접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판형상 부재의 다른쪽 단면은 상기 튜너 케이스의 코너 근방의 상기 주위면 부재의 내면에 각각 접합되는 (10)에 기재된 튜너 장치.
11: RF 신호 입력 단자
12, 18: 다이플렉서
13, 14: LNA
15, 15a, 15b, 15c, 115a, 115b, 115c: 튜너
19: RF 신호 출력 단자
27a, 27b, 27c: 매칭 회로
28a, 28b, 28c: 매칭 회로
29a, 29b: 매칭 회로
30: 레코더
31: RF 신호 입력 단자
32: RF 신호 출력 단자
40: 텔레비전 수상기
61: 튜너 케이스
64, 65, 66, 67: 접속편
68: 접속핀
71a, 7lb: 브래킷
73a, 73b: 쉴드부

Claims (11)

  1.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3 신호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4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3 및 제4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기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가지는 튜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의 입력측에 매칭 회로가 설치된 튜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방송이 고도 BS 방송(advanced BS broadcast)인 튜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가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 가능한 튜너 장치.
  6. 위성 디지털 방송의 수신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수신 신호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1 신호와 상기 수신 신호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2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분리기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제1 및 제2 증폭기와,
    상기 제1 증폭기의 출력의 저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5 신호와 상기 제2 증폭기의 출력의 고역측 주파수 영역의 제6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5 및 제6 신호를 주파수 다중화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다중화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튜너와,
    상기 다중화기에 접속된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튜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의 입력측에 매칭 회로가 설치된 튜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방송이 고도 BS 방송인 튜너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가 지상 디지털 방송을 수신 가능한 튜너 장치.
  10.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주면과, 상기 주면의 주위를 따라 설치된 주위면 부재를 갖는 금속제의 튜너 케이스와,
    상기 튜너 케이스 외측의 상기 주면의 4개의 코너 근방의 영역에 각각 장착된 4개의 커넥터와,
    상기 튜너 케이스와 별개인 쉴드부로서, 상기 튜너 케이스 내측의 상기 4개의 코너 근방의 영역에 각각 설치된 쉴드부를 포함하는 튜너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제1 및 제2 판형상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판형상 부재의 한쪽 단면은 상기 제2 판형상 부재의 한쪽 단면과 접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판형상 부재의 다른쪽 단면은 상기 튜너 케이스의 코너 근방의 상기 주위면 부재의 내면에 각각 접합되는 튜너 장치.
KR1020207006582A 2017-10-27 2018-08-22 튜너 장치 KR202000732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8218 2017-10-27
JPJP-P-2017-208218 2017-10-27
PCT/JP2018/030927 WO2019082485A1 (ja) 2017-10-27 2018-08-22 チュー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204A true KR20200073204A (ko) 2020-06-23

Family

ID=6624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582A KR20200073204A (ko) 2017-10-27 2018-08-22 튜너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65026B2 (ko)
JP (1) JP7173472B2 (ko)
KR (1) KR20200073204A (ko)
CN (1) CN111247809B (ko)
DE (1) DE112018004950T5 (ko)
WO (1) WO20190824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0485A1 (fr) * 2021-12-13 2023-06-16 Ateme Dispositif d’acquisition de signaux vidé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358A (ko) 2006-06-05 2007-12-10 최종철 항균 및 살균과 탈취 기능을 갖는 계란 받침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456B2 (ja) * 2003-03-03 2012-02-29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ブロードバンド信号で搬送される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用の階層的モードを指示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エンティティ
JP2006013646A (ja) * 2004-06-23 2006-01-12 Sony Corp 高周波信号受信装置
US20060099906A1 (en) * 2004-11-09 2006-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for dividing power of satellite broadcast signal using wilkinson power divider
JP2006229510A (ja) * 2005-02-17 2006-08-31 Sharp Corp ディジタル衛星放送システム、送信局、受信機
US7991348B2 (en) * 2005-10-12 2011-08-02 The Directv Group, Inc. Triple band combining approach to satellite signal distribution
JP4348550B2 (ja) 2005-10-19 2009-10-21 ソニー株式会社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7282094A (ja) * 2006-04-11 2007-10-25 Sharp Corp 無線受信装置
JP2009105648A (ja) 2007-10-23 2009-05-14 Sharp Corp 分配器と、それを用いたtv放送受信機、地上波tv放送受信機、衛星tv放送受信機、および地上波tvおよび衛星tv放送受信機
JP2009118056A (ja) * 2007-11-05 2009-05-28 Sharp Corp チューナ及びそれを備えた放送受信機
JP4979630B2 (ja) * 2008-04-09 2012-07-18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放送受信装置及びチューナモジュールの実装方法
US8463228B2 (en) * 2009-01-30 2013-06-11 Thoms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mbined home network communications and broadcast reception in a settop box
US8587729B2 (en) * 2009-07-13 2013-11-19 Sony Corporation Receiver
JP2012156690A (ja) 2011-01-25 2012-08-16 Sharp Corp 受信モジュール
EP3085025B1 (en) 2013-12-18 2019-02-06 Thomson Licensing Front end multiplexer topology for a set top box
JP2016046790A (ja) 2014-08-27 2016-04-04 日本放送協会 ブースター、分波器、及び放送受信システム
KR102277668B1 (ko) * 2014-11-05 2021-07-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6358A (ko) 2006-06-05 2007-12-10 최종철 항균 및 살균과 탈취 기능을 갖는 계란 받침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73472B2 (ja) 2022-11-16
WO2019082485A1 (ja) 2019-05-02
CN111247809A (zh) 2020-06-05
US11265026B2 (en) 2022-03-01
US20200328765A1 (en) 2020-10-15
JPWO2019082485A1 (ja) 2020-11-19
DE112018004950T5 (de) 2020-07-23
CN111247809B (zh)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1791B2 (en) RF interference suppressor
KR100995447B1 (ko) 튜너 및 수신 장치
KR20050025676A (ko)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CN102668557B (zh) 保护卫星接收不受强地面信号影响的装置
WO2011062570A1 (en) Reuse of a switch ic as a step attenuator
KR20200073204A (ko) 튜너 장치
US11470378B2 (en) Tuner device
KR101867846B1 (ko) 텔레비전 튜너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KR101331659B1 (ko) 쿼드 모듈 튜너
KR101846406B1 (ko) 튜너 모듈
KR970006762B1 (ko) 안테나 시일드 박스
KR20040098094A (ko) 알에프 스위치 내장형 튜너의 새시 실드 방법
KR100755609B1 (ko) 모듈 직결 방식의 셋톱 박스
JP7443079B2 (ja) 光端末装置
US20080295136A1 (en) High frequency receiving apparatus
JPS6325798Y2 (ko)
KR100992230B1 (ko) 튜너
KR101915978B1 (ko) 튜너용 노이즈 차단장치
KR101643224B1 (ko) 2개의 고주파 튜너의 회로
JP6256929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受信装置
Taylor On-channel carriage of local TV stations on CATV
JP5949963B2 (ja) 受信装置
JP2006054829A (ja) Tv受像機、記録再生装置及びチューナ
JP2009017112A (ja) 遮蔽構造、遮蔽構造を備える衛星放送受信用コンバータ、および遮蔽構造を備える衛星放送受信用アンテナ装置
JP2018107163A (ja) 電子機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