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406B1 - 튜너 모듈 - Google Patents

튜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406B1
KR101846406B1 KR1020110076767A KR20110076767A KR101846406B1 KR 101846406 B1 KR101846406 B1 KR 101846406B1 KR 1020110076767 A KR1020110076767 A KR 1020110076767A KR 20110076767 A KR20110076767 A KR 20110076767A KR 101846406 B1 KR101846406 B1 KR 10184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wall
chassis
filt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4984A (ko
Inventor
박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4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한 튜너 모듈에서 각 커넥터 간의 수신 신호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차단 및 노이즈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져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깨끗한 출력 화면과 음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튜너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튜너 모듈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샤시, 상기 샤시의 하측에 고정되며, 고주파스위칭 IC와 복수의 필터들을 포함하는 RF 스위치 블록이 제1 면에 실장되고 제2 면에 접지(GND) 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및 상기 샤시의 상측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샤시의 하측을 마감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의 RF 스위치 블록이 개방되도록 상기 샤시의 상측을 마감한다.

Description

튜너 모듈{TUNER MODULE}
본 발명은 무선 수신 장치의 입력부에 사용되는 튜너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튜너(Tuner)란 무선 수신 장치의 입력부에 사용되는 것으로 일정한 전파 또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에 동조(同調)하여 그 전파만을 선택하여 꺼내는 장치를 말한다.
통상, 튜너 모듈은 상기 튜너를 포함하는 것으로, 셋톱박스나 텔레비젼 등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튜너와, 상기 튜너를 결합 고정하는 세트 메인보드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안테나를 통해서 공중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젼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복합 무선 단말기가 개발되어 2 개 이상의 고주파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튜너 모듈도 개발된다.
여기서, 상기 고주파신호들 간에는 수신되는 신호를 선택할 때 선택된 고주파 신호에 대하여 나머지 고주파신호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야 하며, 수신되는 신호가 입력되는 각각의 입력부, 즉 커넥터 부근에서의 고주파 간섭을 차단하는 능력이 우수한 품질 획득의 관건이다.
상기와 같은 최근 튜너 개발은 원 칩 솔루션(1 Chip Solution)으로 진행됨에 따라, 회로 기판의 크기와 입력부 또는 커넥터 간의 간격이 줄어드는 추세이고, 튜너 내부의 고주파스위칭IC 설계 공간도 줄어들고 있다. 이렇게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각각의 입력부 또는 커넥터 간의 간섭이 발생하므로 차단 성능(Isolation)은 낮아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한 튜너 모듈에서 각 커넥터 간의 수신 신호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차단 또는 노이즈 제거가 이루어져 소형화에도 불구하고, 깨끗한 출력 화면과 음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튜너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림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이 가능하고 장치 전체의 부피를 줄여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튜너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 모듈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된 샤시; 상기 샤시의 하측에 고정되며, 고주파스위칭 IC와 복수의 필터들을 포함하는 RF 스위치 블록이 제1 면에 실장되고 제2 면에 접지(GND) 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및 상기 샤시의 상측에 고정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샤시의 하측을 마감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회로 기판의 RF 스위치 블록이 개방되도록 상기 샤시의 상측을 마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너 모듈은, 상기 샤시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제 1필터는 사방이 차폐되고, 제 2필터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차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튜너 모듈의 샤시는 사방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의 상측에서 연장되고,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위에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외벽으로 둘러싸여 상기 샤시의 하측을 마감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일체의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하여 연결편과 차벽을 형성하여 고주파스위칭 IC를 차폐하고, 각 커넥터로부터 각 필터로 입력되는 서로 다른 신호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차벽 및 노이즈를 공간으로 방출하는 커버와 접지단 설계를 통하여 깨끗한 화면과 음성의 출력 상태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튜너의 RF 스위치 블록에 대한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제거하고, 회로 기판의 배면을 전면 그라운드(GND) 설계함으로써, 차단 성능을 상승시키고 튜너 모듈 전체의 슬림화와 컴팩트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튜너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편과 차벽을 펼쳐 나타낸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샤시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 성능과 기존 튜너 모듈의 차단 성능과의 측정 결과 비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튜너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모듈은 고주파스위칭IC(14)가 장착된 회로기판(10), 샤시(11), 상부커버(12) 및 하부커버(13)로 구성된다.
회로기판(10)의 고주파스위칭 IC(14)가 장착된 제1면의 배면인 제2면(10')에는 입력커넥터와 연결되고, 입력신호를 고주파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15, 15')가 장착된다. 필터(15, 15')가 제2면에 설계되는 것은 노이즈 및 방해 신호 차단을 위해 고주파스위칭 IC(14)와 격리 시키기 위함이다.
상부커버(12) 및 하부커버(13)는 회로기판(10) 내 각각의 블록을 완전 밀폐시켜 상호간 노이즈 및 방해 신호 차단을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재 이와 같은 튜너 모듈의 개발은 사이즈가 많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입력 커넥터와의 간격이 줄어들고 있다. 간격이 줄어들면 튜너 모듈의 상, 하부 커버 및 샤시 설계로 밀폐 차단을 하더라도, 입력 커넥터와의 간격과 필터(15, 15')간의 간격과 고주파스위칭 IC(14)와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입력 신호간의 차단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튜너 모듈의 신호 차폐 성능은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작은 사이즈에서도 차단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일측의 필터는 밀폐 차단되고, 타측의 필터의 차단신호 또는 방해신호는 공기 중으로 방출될 수 있는 튜너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이 제안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너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연결편과 차벽을 펼쳐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및 제 2커넥터와 샤시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튜너 모듈은 샤시(100)와 커버(200)와, 회로기판(300)과, 고주파스위칭 IC(400)와, 필터(800, 800')와 연결편(500, 500')과, 차벽(600)을 포함한다.
샤시(100)는 사방을 둘러싸는 외벽(110, 110', 120, 120')이 마련되어 후술할 회로기판(300)과 다양한 부품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에서 보호한다. 또한 외력, 주파수 방사 및 외부 잡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수로 구획되는 후술할 차벽(600)을 포함한다.
샤시(100)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를 펀칭하고 절곡하여 가공함으로써 솔더링 또는 용접과 같은 불필요한 제조공정을 단축하고, 용접 부위 등과 같은 결합부의 주변에서의 구조적 취성이 발생할 수 있는 개소를 극소화하여 샤시(100)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커버(200)는 샤시(100)의 개방된 양측 중 상측에서 고주파스위칭 IC(400)와 필터(800, 800')가 장착된 RF 스위치 블록(350)를 제외한 부분을 마감하여 외부로부터의 물리적인 충격이나, 후술할 회로기판(300) 상의 각 부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간섭으로 인한 전자파 장해 등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회로기판(300)은 외벽(110, 110', 120, 120')으로 둘러싸여 샤시(100)에 고정되며 튜너부(이하 미도시)를 포함한 다양한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과 샤시(100)와 결합하여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회로기판(300)은 복조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은 후술할 고주파스위칭 IC(400)와 필터(800, 800')를 포함하는 RF스위치 블록(3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스위칭 IC(400)는 회로기판(300)의 일면에 장착되어 제 1 입력신호와 제 2 입력신호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주파스위칭 IC(400)의 자체적인 신호 선택 성능에 따라서도 상기 제 1 입력신호와 상기 제 2 입력신호의 깨끗한 분리 수신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제 1및 제2 입력신호는 두 개의 고주파신호가 복수의 필터(800, 800')를 통해 각각 입력되게 되며, 상기 두 개의 고주파신호는 변조방식이 서로 다른 고주파신호, 즉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신호, 디지털신호와 위성신호 또는 디지털신호와 케이블신호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필터(800, 800')는 고주파스위칭 IC(400)의 양측에 장착되어 수신되는 제1 입력 신호와 제2 입력 신호를 고주파 필터링하여 고주파스위칭 IC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커넥터(700) 및 제 2 커넥터(700')와 각각 연결되는 제 1필터(800) 및 제 2필터(800')가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HPF(High Pass Filter)가 사용되며, 고주파스위칭 IC(400) 및 필터(800, 800')에 대하여는 기존의 고주파 신호의 분리 및 선택에 관한 기술 내용과 대동소이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은 튜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고주파스위칭 IC(400)에서 선택되어 출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원하는 채널의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되며, 입력동조회로 및 엠오피엘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500, 500')은 고주파스위칭 IC(400)의 상부측에서 회로기판(300)과 평행하게 외벽(110, 110', 120, 120') 중 일개소의 외벽(110)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주파스위칭 IC(400)의 양측에 배치된다.
연결편(500, 500')은 외벽(110, 110', 120, 120') 중 상호 대향하는 나머지 외벽(120, 120')을 상호 연결하도록 가로질러 형성되어 샤시(100) 전체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하는 골조 역할을 한다.
차벽(600)은 연결편(500, 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회로기판(300)측으로 절곡되며, 고주파스위칭IC(400) 및 필터(800, 800')를 외벽(110)과 함께 차폐한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차폐되는 고주파스위칭IC 및 필터를 외력, 주파수 방사 및 외부 잡음으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차벽(60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샤시(100)의 외벽(110, 110', 120, 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최초에 전개도 형식으로 제작할 때 차벽(600)에 해당하는 부분을 남기고 펀칭하여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차벽(600)의 높이, 즉 연결편(500, 500')에서 회로기판(300)에 이르는 높이는 샤시(100)를 마감하는 커버(200)와 대면하는 상기 커버(200')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도록 하여 샤시의 외벽(110, 110', 120, 120') 내에 상기 튜너부 및 고주파스위칭 IC(400)를 포함한 모든 부품이 내장하여 전체적인 튜너 모듈의 슬림화를 도모한다.
차벽(600)은 상기 높이만큼 회로기판(300)과 일측의 커버(200)를 이격시키되, 회로기판(300)이 차벽(600)의 단부 가장자리와 접촉되도록 하여 회로기판(300)이 뒤틀리지 않고 커버(200, 200')들과 정확한 평행을 이루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적용 및 실시가 가능하며, 다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주요 구성요소별로 설명한다.
우선, 샤시(100)는 회로기판(300)의 정확한 고정 위치를 결정하고 샤시(100) 자체의 비틀림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130)과 접지핀(140)을 포함한다.
격벽(130)은 외벽(110, 110', 120, 120')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것이며, 외벽(110, 110', 120,120')이 상호 뒤틀리지 않도록 하고, 회로기판(300)에 장착되는 다양한 구성 부품간의 전자파 간섭으로 인한 노이즈를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즉, 격벽(130)은 발생되는 전자파의 간섭이 일어나서는 안되는 부품과 인접한 부품간의 구획을 나누어 회로기판(300) 상의 회로패턴(이하 미도시)과 장착되는 부품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설계 위치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접지핀(140)은 격벽(130)으로부터 회로기판(300)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것으로, 회로기판(300)에 관통된 접지홀(340)에 고정된다.
여기서, 회로기판(300)에 이르는 격벽(130)의 높이는 차벽(600)의 높이와 같도록 하여 차벽(600)과 함께 샤시(10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300) 전체 면에 걸쳐 상기 일측의 커버(200)와 일정한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면서 샤시(100) 자체의 비틀림이나 왜곡을 방지한다.
연결편(500, 500')에는 단부의 단자(710, 710')와 고주파스위칭 IC(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상파 신호와 상기 케이블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필터(800, 800')와 고주파스위칭 IC(400)를 통하여 상기 튜너부로 전송하는 제 1및 제2 커넥터(700,700')가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 제 1및 제2 커넥터(700, 700')는 도 1과 같이 회로기판(300)과 수직하게, 또는 도 3과 같이 회로기판(300)과 평행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차벽(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편(500, 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여 일측의 외벽(110)과 함께 고주파 스위칭 IC(400) 및 필터(800, 800')를 외력, 주파수 방사 및 외부 잡음으로부터 차폐하는 것으로, 제1 차벽(610)과, 제2 차벽(620)을 포함한다.
연결편(500, 500')은 제1 차벽(610)과, 제2 차벽(620)의 형성을 위하여 일측의 외벽(110) 양단에 이격하여 형성된 사각 형상으로 제작된다.
제1 차벽(610)은 연결편(500, 500')중 어느 하나인 제1연결편(50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300)측으로 절곡되고, 제2 차벽(620)은 제1 차벽(610)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제1연결편(500)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여 회로기판(300)측으로 절곡되어 일측의 외벽(110)과 평행을 이룬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주파스위칭 IC(400)는 일측의 외벽(110)과, 제1 차벽(610) 및 제2 차벽(620)에 의하여 상측을 제외한 사방이 차폐된다. 또한, 필터중 제1차벽(610)이 형성된 쪽의 필터(800)는 외벽(110, 120)과 제 2차벽(620) 및 제1 차벽에(610)의해 사방이 차폐되며, 반대쪽 필터(800')는 고주파스위칭 IC(400)가 장착된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제2차벽(620) 및 외벽(110, 120')에 의해 차폐된다.
여기서, 제 1필터(800)는 완전히 차폐되어 노이즈가 차단되며, 제 2 필터(800')는 방해신호에 대한 노이즈를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차단 성능이 개선되고, 더 작은 사이즈의 튜너 모듈 개발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1 차벽(610)의 단부에는 회로기판(300)측으로 도 2와 같이 연장되어 회로기판(300)에 삽입되는 고정편(630)을 포함한다.
고정편(630)은 회로기판(300)의 요동 및 비틀림을 방지하고, 샤시(100)에 내장되는 회로기판(300)의 정확한 고정 위치 및 제1 차벽(610)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작업자는 최초에 샤시(100)를 제작하기 위하여 금속재의 플레이트에 샤시(100)의 외벽(110, 110', 120,120')과, 격벽(130) 및 접지핀(140)의 형상을 일체로 배치 설계할 때, 상호 대향하는 외벽(120, 120')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연결편(500, 500')과 제2 차벽(620)의 형상도 설계하면서 고정편(630)의 형상도 배치한다.
이후, 작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편(500, 500')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 차벽(610)을 형성하고, 제1 차벽(610)의 단부에는 고정편(630)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편(630)은 필터(800, 800')중 하나를 사방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절개하고 펀칭하며 절곡시켜 샤시(100)를 제작한다.
절곡하여 완성된 고정편(630)은 전체적으로 도 2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본 시점에서 보았을 때 제2 차벽(620)과 직교를 이루며, '⊥'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편(630)과 제2 차벽(620)과의 접점을 기준으로 구조적 강도를 높이고 충격을 분산 지지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한편, 회로기판(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 1차벽(610)에 대응하는 제1 슬릿(310)과, 제2 차벽(620)에 대응하는 제2 슬릿(320)이 마련된다. 제1 슬릿(310)과 제2 슬릿(320)은 회로기판(300)이 샤시(100)에 내장되어 고정될 때 일체의 요동 및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한편, 제 1및 제 2커넥터(700, 700')는 도 1과 같이 연결편(500, 500')에 장착되어 회로기판(300)과 직교를 이루거나, 도 3과 같이 회로기판(300)과 평행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제 1및 제 2커넥터(700, 700')는 연결편(500, 500')에 관통된 체결홀(501, 501')의 가장자리에 제 1및 제2커넥터(700, 700')의 단부가 솔더로 고정되고, 체결홀(501, 501')을 통하여 삽입된 제 1및 제2커넥터(700, 700')의 단자(710, 710')는 각각 회로기판(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1및 제 2커넥터(700, 700')는 일측의 외벽(110)으로부터 연장되게 연결편(500, 500')의 일측을 절개하여 접합편(510, 510')을 형성하고, 접합편(510, 510')에 관통된 체결홀(501, 501')의 가장자리에 제 1및 제2커넥터(700, 700')의 단부를 솔더링 처리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주파스위칭 IC(400)에서는 선택되지 않은 제2 입력신호의 고주파신호에 의해 방사 고조파를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방사 고조파는 상기 튜너부(미도시)에 원하지 않는 방해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샤시(100) 및 차벽(600)에 의해서 상기 고주파스위칭 IC에서 선택되지 않은 고주파신호의 방사 고조파가 상기 튜너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폐하여 방해신호를 차단하게 되며, 차단된 신호는 회로의 접지단(GND)으로 흐르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따른 튜너 모듈은 기존과 달리 하부 커버를 구비하지 않고, IC 및 필터가 실장된 면의 뒷면을 전체적으로 접지(GND) 패턴으로 형성함으로써, 차단된 방해 신호가 기존처럼 하부 커버 내에서 차폐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공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주파스위칭 IC(400)에서 제1 커넥터(700)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를 선택시, 상기 선택되지 않은 제2 커넥터(700')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 및 잡음은, 상부의 커버로 마감되지 않은 공간과 외벽(110, 120') 및 제 2차벽(620)에 의해 개방 형성된 공간으로 방출된다.
또한, 커버되지 않은 회로기판의 제2면의 접지단(GND)을 통해 공기중으로 방출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제1 커넥터(700)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커넥터(700')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 선택시, 선택되지 않은 상기 제1 커넥터(700)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에 의한 방사 고조파 및 잡음은 상기 제 1차벽(610) 및 외벽(110, 120)에 의하여 차폐하고 차단하게 되어, 상기 제 2 커넥터(700')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가 상기 제1 커넥터(700)에 입력되는 고주파신호에 따른 방사 고조파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될 수 있다.
도 5 본 발명 및 기존 방식의 튜너 모듈에 대한 차단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 그래프의 가로축은 채널 수를 의미하며, 세로축은 ISOLATION 수치 즉, 차단 성능을 dB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도5의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즈가 작아지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GND패턴 형성과 상부 커버 형태 및 개선된 차폐 구조에 따라 기존 방식에 비해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최소 10dB 이상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각 커넥터 간의 수신 신호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깨끗한 출력 화면과 음성을 얻을 수 있고, 슬림화 및 컴팩트화의 구현이 가능하고 장치 전체의 부피를 줄여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튜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2...상부커버 13...하부커버
100...샤시 110, 110', 120, 120'...외벽
200, 200'...커버 300...회로기판
310...제1 슬릿 320...제2 슬릿
340...접지홀 350...RF스위치 블록
400...고주파스위칭 IC
500, 500'...연결편 600...차벽
610...제1 차벽 620...제2 차벽
630...고정편 700, 700'...제 1 및 제2 커넥터
710, 710'...단자
800, 810'...필터

Claims (10)

  1.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고 제1 연결편 및 제2 연결편을 포함하는 샤시;
    고주파스위칭 IC, 상기 고주파스위칭 IC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필터 및 상기 고주파스위칭 IC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필터을 포함하는 RF 스위치 블록;
    상기 샤시의 하측에 고정되며, 상기 RF 스위치 블록이 제1 면에 실장되고 제2 면에 접지(GND) 패턴이 형성된 회로기판; 및
    상기 RF 스위치 블록의 상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샤시의 상측 중 상기 RF 스위치 블록의 상면에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배치되는 커버;
    상기 제1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1 필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필터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연결편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필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필터와 연결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고주파스위칭 IC의 상면은 개방되는 튜너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필터는 사방이 차폐되고, 상기 제2 필터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차벽을 더 포함하는 튜너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벽은 상기 샤시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튜너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사방을 둘러싸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편 및 상기 제2 연결편은 상기 외벽의 상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외벽으로 둘러싸여 상기 샤시의 하측을 마감하는 튜너 모듈.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필터 및 상기 고주파스위칭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주파스위칭 IC를 통해 튜너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필터 및 상기 고주파스위칭 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고주파스위칭 IC를 통하여 상기 튜너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넥터는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 또는 수직을 이루는 튜너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연결편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직교를 이루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연결편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직교를 이루는 튜너 모듈.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외벽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상기 제1 연결편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된 제1 접합편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외벽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게 상기 제2 연결편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된 제2 접합편에 결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을 이루는 튜너 모듈.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벽은,
    상기 제1 연결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외벽의 양단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절곡되는 제1 차벽과,
    상기 제1 차벽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제1 연결편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절곡되는 제2 차벽을 포함하는 튜너 모듈.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벽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삽입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편과 상기 제2 차벽은 직교를 이루는 튜너 모듈.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상기 고정편과 상기 제1 차벽이 고정되는 제1 슬릿과,
    상기 제2 차벽이 고정되는 제2 슬릿이 포함되는 튜너 모듈.
KR1020110076767A 2011-08-01 2011-08-01 튜너 모듈 KR10184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767A KR101846406B1 (ko) 2011-08-01 2011-08-01 튜너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767A KR101846406B1 (ko) 2011-08-01 2011-08-01 튜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984A KR20130014984A (ko) 2013-02-12
KR101846406B1 true KR101846406B1 (ko) 2018-04-06

Family

ID=4789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767A KR101846406B1 (ko) 2011-08-01 2011-08-01 튜너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498B1 (ko) 2015-01-12 2016-11-03 주식회사 솔루엠 튜너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72B1 (ko) * 2008-01-24 2009-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의 샤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72B1 (ko) * 2008-01-24 2009-09-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튜너의 샤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984A (ko) 201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7817B1 (en) Integrated antenna ground plate and EMC shield structure
CN100405744C (zh) 调谐单元、接收装置和电子机器
JPH08316677A (ja) 電磁波遮蔽装置
KR20070029621A (ko) 이어폰 안테나 접속 장치 및 휴대형 무선기
KR101015689B1 (ko) 수신 장치 및 텔레비전 수상기
KR101624916B1 (ko) 휴대 단말기의 노이즈 저감장치
KR20190017945A (ko) 보디팩 송신기를 위한 다이버시티 안테나
KR101846406B1 (ko) 튜너 모듈
EP1102343B1 (en) Polarized wave separator
JP3905334B2 (ja) 受信装置
KR101077390B1 (ko) 튜너 모듈
CN107835624A (zh) 显示装置
KR100687913B1 (ko) 평면 안테나
KR101240844B1 (ko) 내장 안테나를 갖는 셋톱 박스
KR101188561B1 (ko) 높은 감쇠 특성을 가지는 rf 캐비티 필터
KR101077321B1 (ko) 튜너 모듈
EP3282516B1 (en) Waveguide transition structure for receiving satellite signals
KR100660443B1 (ko) 옥외형 무선 통신장비
JP2000294950A (ja) 高周波装置
JP7443079B2 (ja) 光端末装置
KR101372044B1 (ko) Rf 스위치 내장형 튜너
KR101585255B1 (ko) 튜너 모듈
KR101222787B1 (ko) 튜너
CN112086720B (zh) 一种用于5g基站的poi合路器
JP2004235738A (ja) 電子装置及び選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