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3159A -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159A
KR20200073159A KR1020190166012A KR20190166012A KR20200073159A KR 20200073159 A KR20200073159 A KR 20200073159A KR 1020190166012 A KR1020190166012 A KR 1020190166012A KR 20190166012 A KR20190166012 A KR 20190166012A KR 20200073159 A KR20200073159 A KR 2020007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product
present
information
tr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823B1 (ko
Inventor
전재영
박준철
이현진
유재림
Original Assignee
옴니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옴니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옴니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8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되는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GMENTING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이 쉽게 노출 및 검색되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889230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이용한 쇼핑몰 상품 검색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임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유선망 또는 무선망에 접속하여 임의의 상품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되는 상품 검색 키워드에 대응하는 상품 검색 소팅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상품 검색 결과에 대해 상기 클라이언트가 선택한 상품에 대한 히스토리 정보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누적시키는 단계와, c) 상기 누적되는 히스토리 정보에 대해서 검색어별로 검색된 상품의 선택 횟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품의 점수를 도출하는 단계와, d) 상기 점수 도출 결과에 따라 검색어별로 상품 검색 리스트를 상기 상품의 점수에 따라 소팅하는 단계와, e)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되는 상품 검색 키워드가 기 저장된 상품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 상기 매칭되는 상품에 대해서 별도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품의 점수를 도출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 및 상기 c)단계에서 도출된 점수를 합산하는 단계와, g) 상기 합산 결과에 따라 검색어별로 상품 검색 리스트를 상기 상품의 합산 점수에 따라 소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쇼핑몰 상품 검색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상품 판매자에 의해 판매 상품의 명칭, 키워드, 태그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가 미리 입력되고, 구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 키워드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그 검색 결과가 구매자에게 제공되고 있을 뿐이었기 때문에, 명칭, 키워드, 태그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가 제대로 입력되어 있지 않거나 구매자들 사이에서 통용되고 있는 어휘가 적절히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해당 상품이 구매자에게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의류, 신발 등과 같은 패션 상품의 경우에는 그 명칭을 특정하기 어려운 데다 유행이 다른 상품에 비해 빠르게 변하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에, 판매자가 유행에 따라 일일이 상품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명칭)를 수작업으로 변경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작업이 아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하고, 그 트렌드 키워드를 기반으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증강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품의 명칭, 태그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가 트렌드 변화에 맞추어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이 쉽게 검색 및 노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으로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되는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시스템으로서,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를 획득하는 키워드 획득부,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참조하여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하는 키워드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되는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상기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결정하는 상품 정보 결정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의 명칭, 태그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가 트렌드 변화에 맞추어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이 쉽게 검색 및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에 관한 정보가 증강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면,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식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후술할 디바이스(3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를 획득하고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하고, 그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참조하여 위의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하고, 그 결정되는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에 대하여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후술할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디바이스(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300)는 통신망(100)을 통해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휴대 가능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00)에는, 상품에 관한 정보가 결정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지원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은 키워드 획득부(210), 키워드 결정부(220), 상품 정보 결정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 획득부(210), 키워드 결정부(220), 상품 정보 결정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의 시스템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획득부(21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획득부(21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제1 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획득부(210)는 상품의 이미지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보 영역을 특정하고, 그 특정되는 후보 영역의 형태 및 색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키워드를 제1 키워드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획득부(210)는 상품의 이미지에서 특정되는 상품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복수의 상품 이미지에 부여된 키워드로부터 제1 키워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획득부(21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대하여 판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로부터 제1 키워드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외부 소스는 온라인 상에서 공개되는 복수의 사용자의 일상, 의견, 반응, 성향 등을 기반으로 시장 트렌드(market trend)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 또는 데이터베이스(DB)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외부 소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공공 또는 민간 빅데이터(big data)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외부 소스에서 소정 기간 동안에 소정 수준 이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트렌드 키워드(trend keyword)를 특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외부 소스에서 소정 수준 이상의 영향력이 있는 인플루언서(influencer)에 의해 사용되는 키워드를 참조하여 트렌드 키워드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위의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를 참조하여 위의 키워드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되는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위의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 중 제1 키워드와 의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키워드(예를 들어, 동의어, 유의어, 유사어 등), 제1 키워드와 함께 또는 인접하게 출현하는 빈도가 높은 키워드 등을 제2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위의 트렌드 키워드의 상황 정보 및 문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외부 소스로부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가 그 외부 소스에서 사용되는 상황이나 전후 문맥이 제1 키워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의미로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 트렌드 키워드를 위의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외부 소스로부터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가 그 외부 소스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키워드인지 또는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키워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외부 소스에서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트렌드 키워드만을 제2 키워드를 결정하는데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상품의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상품의 속성 정보에는 카테고리 분류(예를 들어, 가방, 옷 등), 착용 위치, 색상, 질감(또는 재질)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상품의 속성 정보별로 제1 키워드를 각각 획득하고, 그 각각의 제1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2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워드 결정부(220)는, 상품이 "가방"인 경우에, 상품의 속성 정보 중 "착용 위치"에 관한 제1 키워드인 "어깨"에 대응하여 "숄더백"을 제2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고, 상품의 속성 정보 중 "재질"에 관한 제1 키워드인 "엠보스드 레더(Embossed Leather)"에 대응하여 "사피아노 가죽" 및 "프라다 가죽"을 제2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결정부(230)는 키워드 결정부(220)에 의해 결정되는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결정부(230)는 제2 키워드의 빈도, 어휘 및 품사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복수의 제2 키워드의 배치 순서를 결정할 수 있고, 그 결정되는 배치 순서에 따라 순서대로 합성함으로써 상품에 관한 명칭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결정부(230)는 위의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태그(tag)를 더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에는 적어도 하나의 태그가 부여될 수 있고, 이러한 태그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검색 필터 및 카테고리 분류에 사용되는 구분자(classifier)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결정부(230)는 상품에 관한 명칭을 동적으로 재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결정부(230)는 소정 기간(예를 들어, 1일, 12시간 등)마다 상품에 관한 명칭을 재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정보 결정부(230)는 외부 소스에서 소정 수준 이상의 트렌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예를 들어, 짧은 시간 동안 빈번하게 트렌드 키워드로 특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을 재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키워드 획득부(210), 키워드 결정부(220) 및 상품 정보 결정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키워드 획득부(210), 키워드 결정부(220), 상품 정보 결정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키워드 획득부(210), 키워드 결정부(220), 상품 정보 결정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품에 관한 정보가 증강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의 이미지(310)로부터 해당 상품에 관한 제1 키워드(320)가 획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의 이미지로부터 4개의 상품(즉, 의류 2개와 액세서리 2개)이 추출될 수 있고, 해당 상품의 속성 정보별로 제1 키워드(321, 322, 323, 324)가 각각 추출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가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소정 기간 동안 소정 빈도 이상으로 출현되는 "호피 스커트"(410)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해시 태그 중 소정 시간 동안에 소정 수준 이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호피" 및 "레오파드"(420)가 트렌드 키워드로 특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된 해시 태그의 수(501, 502)(예를 들어, 소정 기간 동안 사용된 해시 태그의 수), 해시 태그의 상승량(503)(예를 들어, 지난 주 대비 기준) 및 해시 태그의 상승률(504)(예를 들어, 지난 주 대비 기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트렌드 키워드가 특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해시 태그의 상승률(504)이 가장 높은 "다운점퍼"가 트렌드 키워드로 특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의 특정되는 트렌드 키워드에 기초하여 위의 제1 키워드와 연관되는 제2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고, 그 결정되는 제2 키워드를 참조하여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에 관한 명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될 상품이 "신발"이고 제1 키워드가 "단풍 무늬"이고 트렌드 키워드가 "가을 원피스", "가을 자켓" 및 "가을 블라우스"인 경우에, 제1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위어(hypernym)이면서 복수의 트렌드 키워드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가을"이 제2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키워드인 "가을"을 이용하여 상품에 관한 명칭이 "[가을] 신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200)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영향력이 소정 수준 이상인 인플루언서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닉네임, 아이디 등)를 더 참조하여 제2 키워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상품 정보 증강 시스템
210: 키워드 획득부
220: 키워드 결정부
230: 상품 정보 결정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디바이스

Claims (1)

  1.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KR1020190166012A 2019-12-12 2019-12-12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177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12A KR102177823B1 (ko) 2019-12-12 2019-12-12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12A KR102177823B1 (ko) 2019-12-12 2019-12-12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513A Division KR102057321B1 (ko) 2018-12-13 2018-12-13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159A true KR20200073159A (ko) 2020-06-23
KR102177823B1 KR102177823B1 (ko) 2020-11-11

Family

ID=7113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012A KR102177823B1 (ko) 2019-12-12 2019-12-12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8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569A1 (ko) * 2020-07-27 2022-02-03 옴니어스 주식회사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2025570A1 (ko) * 2020-07-27 2022-02-03 옴니어스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에 속성 관련 키워드를 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013876A (ko) * 2020-07-27 2022-02-04 옴니어스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에 속성 관련 키워드를 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48633B1 (ko) * 2022-05-02 2022-09-28 김태평 사용자의 검색어를 기반으로 한 상품 추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215A (ko) * 2009-10-21 2011-04-27 조성호 상품 가격 비교 추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31342A (ko)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호갱노노 매물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870353B1 (ko) * 2017-01-26 2018-06-22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이슈키워드 및 연관키워드를 활용한 능동적인 검색 광고 제안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3215A (ko) * 2009-10-21 2011-04-27 조성호 상품 가격 비교 추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31342A (ko) * 2016-09-20 2018-03-28 주식회사 호갱노노 매물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870353B1 (ko) * 2017-01-26 2018-06-22 강원오픈마켓 주식회사 이슈키워드 및 연관키워드를 활용한 능동적인 검색 광고 제안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569A1 (ko) * 2020-07-27 2022-02-03 옴니어스 주식회사 트렌드에 기반하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WO2022025570A1 (ko) * 2020-07-27 2022-02-03 옴니어스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에 속성 관련 키워드를 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20013876A (ko) * 2020-07-27 2022-02-04 옴니어스 주식회사 상품 이미지에 속성 관련 키워드를 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48633B1 (ko) * 2022-05-02 2022-09-28 김태평 사용자의 검색어를 기반으로 한 상품 추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823B1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7823B1 (ko)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9990557B2 (en) Region selection for image match
US10678849B1 (en) Prioritized device actions triggered by device scan data
US20190258683A1 (en) Image Directed Search
KR101191172B1 (ko)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의 이미지들을 관리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50379608A1 (en) Color based social networking recommendations
US11714814B2 (en) Optimization of an automation setting through selective feedback
JP2019537120A (ja) 画像解析および予測に基づく視覚検索
US11055759B1 (en) Color selection for image matching visual search
JP6212013B2 (ja) 商品推奨装置及び商品推奨方法
US20100131335A1 (en) User interest mining method based on user behavior sensed in mobile device
KR102276091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실내 인테리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00265233A1 (en)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10270093B (zh) 一种智能导购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WO2019143466A1 (en) Adaptive search using social graph information
KR101976816B1 (ko) SaaS 어플리케이션 연동 서비스의 제공장치 및 그 제공방법
US10073794B2 (en) Mobile application builder program and its functionality for application development, providing the user an improved search capability for an expanded generic search based on the user's search criteria
US20210357682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driven image retrieval
KR102247868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큐레이팅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N111191135A (zh) 一种衣着搭配推荐方法及系统
KR102622779B1 (ko) 상품 이미지에 속성 관련 키워드를 부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57321B1 (ko)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증강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57943B1 (ko) 플랫폼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네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52745A (ko) 유망 콘텐츠 선정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286661B1 (ko) 채팅을 기반으로 한 주문형 쇼핑 큐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